KR100640015B1 -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 Google Patents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40015B1
KR100640015B1 KR1020060060085A KR20060060085A KR100640015B1 KR 100640015 B1 KR100640015 B1 KR 100640015B1 KR 1020060060085 A KR1020060060085 A KR 1020060060085A KR 20060060085 A KR20060060085 A KR 20060060085A KR 100640015 B1 KR100640015 B1 KR 100640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river water
river
waterwa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내인
Original Assignee
(유)대산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대산이앤씨 filed Critical (유)대산이앤씨
Priority to KR1020060060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400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40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40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7Contaminated open waterways, rivers, lakes or po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 상에 횡단방향을 설치되어 일정량의 하천수를 가둠으로서, 건기 시에도 원활한 물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치수하는 취입보 구조에 관한 것으로,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건설되는 정화구조물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 배치되어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의 상기 정화구조물 전면이 돌출되어 하천수의 흐름을 상기 배수로로 안내하는 경사형 전면; 상기 정화구조물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수로; 상기 배수로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의 상기 정화구조물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배수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면이 개구된 유입로; 상기 유입로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걸름망; 상기 배수로로부터 통하는 수로의 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회전축대를 갖춘 하판과, 하천수와 맞닿는 전면이 절개되어 수용홈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는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투수구를 갖추며 편중된 위치의 회전구멍이 상기 회전축대와 맞물리면서 상기 하판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날개와, 상기 날개가 수평력에 대해 탄발하도록 상기 회전구멍와 회전축대를 연결하는 토션스프링과, 다수의 상기 날개를 상면에서 덮어 고정하고 상면 중심에는 외주면에 두 개의 맞물림홈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상판 회전축을 갖는 상판을 구비한 걸림식 수차; 상기 수로로 유입된 하천수가 상기 수로의 상면을 통해 배수되지 않도록 덮어 폐구하고, 상기 상판 회전축이 상 방으로 돌출되도록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한 덮개; 및, 좌우로 이웃하는 상기 걸림식 수차의 맞물림홈 각각에 무한궤도 형태로 맞물려서 이웃하는 상기 걸림식 수차들의 회전을 상호 연동시키는 벨트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Dike structure removing floating matters on the r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 구조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식 수차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 구조의 동작 모습을 순차 도시한 평면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 구조의 전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취입보 101 ; 경사형 전면
102 ; 수로 103 ; 배수로
110 ; 걸름식 수차 111 ; 날개
112 ; 상판 113 ; 하판
120 ; 배면돌출대 121 ; 유입로
122 ; 안착턱 123 ; 배수구
131, 132 ; 안내롤러 140 ; 걸름망
150 ; 덮개 161, 162 ; 벨트
본 발명은 하천 상에 횡단방향을 설치되어 일정량의 하천수를 가둠으로서, 건기 시에도 원활한 물공급을 이룰 수 있도록 치수하는 취입보 구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취입보는 하천 치수를 목적으로 건설되어, 식수 및 농수 등을 포함하는 생활상수를 부족함 없이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천을 건널 수 있는 다리의 기능 또한 수행하면서, 다리를 쉽게 건설할 수 없는 깊은 산골인 하천 상류에 다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하천 상류의 깔끔한 자연환경은 많은 행락객을 모으고, 각종 편의시설 및 부대시설이 형성되면서 많은 오염물과 쓰레기를 발생시켰다. 이러한 오염물과 쓰레기는 하천상류로부터 계속 흘러와 중류 및 하류로 흐르면서 하천을 오염시켰고, 이러한 오염은 하천에 인접하는 생태계를 파괴하는 문제를 낳았다.
하지만, 생태계 파괴의 주범인 상기 오염물과 쓰레기의 발생은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불규칙적으로 일어나므로, 오염물과 쓰레기의 제거가 항시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이를 위해 하천에 새로운 구조물을 건설하는 것은 경제적으로나 효율성 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 이러한 구조물을 건설한다고 해도 상기 구조물은 단순히 수면상에 철조망를 설치하는 것이 전부여서, 수중에 있는 오염물이나 쓰레기를 제거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상기 철조망 상에 걸린 오염물 및 쓰레기를 주기적으로 제거해야하는데, 상기 오염물과 쓰레기가 철조망에 휘감겨 쉽게 제거할 수 없어 그 작업 또한 용이하지 않았다.
뿐만 아니라, 하천을 횡단하는 철조망은 외관미를 저해할 수 있어 이런 방식의 취입보은 그 실효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하천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이나 쓰레기를 걸러 하천수를 정화할 수 있고, 걸려진 오염물 또는 쓰레기 등에 대한 제거 및 처리가 수월하며, 건설을 위한 경제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건설되는 정화구조물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 배치되어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의 상기 정화구조물 전면이 돌출되어 하천수의 흐름을 상기 배수로로 안내하는 경사형 전면;
상기 정화구조물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수로;
상기 배수로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의 상기 정화구조물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배수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면이 개구된 유입로;
상기 유입로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걸름망;
상기 배수로로부터 통하는 수로의 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회전축대를 갖춘 하판과, 하천수와 맞닿는 전면이 절개되어 수용홈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는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투수구를 갖추며 편중된 위치의 회전구멍이 상기 회전축대와 맞물리면서 상기 하판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날개와, 상기 날개가 수평력에 대해 탄발하도록 상기 회전구멍와 회전축대를 연결하는 토션스프링과, 다수의 상기 날개를 상면에서 덮어 고정하고 상면 중심에는 외주면에 두 개의 맞물림홈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상판 회전축을 갖는 상판을 구비한 걸림식 수차;
상기 수로로 유입된 하천수가 상기 수로의 상면을 통해 배수되지 않도록 덮어 폐구하고, 상기 상판 회전축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한 덮개; 및,
좌우로 이웃하는 상기 걸림식 수차의 맞물림홈 각각에 무한궤도 형태로 맞물려서 이웃하는 상기 걸림식 수차들의 회전을 상호 연동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100)는 저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천을 횡단하는 방향으로 건설되며, 그 전면부는 하천수가 통과하는 배수로(103)로 하천수의 흐름을 안내할 수 있도록 경사형 전면(101)을 이루고, 상면에는 취입보(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로(103)와 연통하는 수로(102)를 갖춘다.
한편, 상기 수로(102)는 취입보(100)의 배면에 형성된 배면돌출대(120)의 유입로(121)와 연통하는데, 상기 배면돌출대(120)는 배수로(103)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배수로(103)는 걸림식 수차(110)가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상기 배수로(103)를 주기적으로 개폐한다. 즉, 상기 걸림식 수차(110)가 유력에 의해 무동력으로 회전하면서 하천수의 흐름을 일정 타이밍으로 끊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걸림식 수차의 모습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걸림식 수차(110)는 중심축(113c)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상판(112) 및 하판(113)을 포함하고, 상기 상판(112) 및 하판(113)은 상기 중심축(113c)의 길이만큼 이격되게 고정된다.
계속해서, 상기 상판(112) 및 하판(113)의 둘레부에는 다수의 회전축대(113a)가 소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이 회전축대(113a)에는 토션스프링(113d)이 고정된다. 이러한 상기 회전축대(113a)는 전면에 수용홈(111a)을 구비한 날개(111)가 회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수용홈(111a)에는 다수의 투수구(111b)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11a)은 날개(111)의 전면에 소정깊이로 절개 형성된 홈으로, 상 기 배수로(103)를 통해 유입되는 하천수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면서 상기 날개(111)에 회전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날개(111)에는 편심된 방향으로 회전구멍(111c)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대(113a)는 상기 회전구멍(111c)으로 삽입되어서 상기 날개(111)를 회동가능하게 고정시킨다. 이때, 상기 회전축대(113a)와 회전구멍(111c)은 토션스프링(113d)을 매개로 고정되어서, 상기 날개(111)가 하천수의 유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탄발하는 힘을 받도록 한다. 즉, 상기 날개(111)는 상기 토션스프링(113d)에 의해 현위치를 고수하려 하지만, 상기 수용홈(111a)으로 유입되는 하천수의 유력에 의해 하천의 하류 쪽으로 지속적인 힘을 받으면서 하류를 향해 다소 접힌 상태로 되고, 이러한 힘으로 인해 상기 걸림식 수차(110)는 회전하게 된다.
상기 날개(111)가 양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에 대하여 탄발력을 갖도록 하는 연결구조는 널리 알려진 방식으로, 상술한 토션스프링(113d) 이외에도 탄발력을 갖는 평판형상의 탄성판(미도시함)을 상기 날개(111)와 하판(113)의 연결매개로 하여, 상기 날개(111)가 수평력에 대해 탄발할 수 있는 구조가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수용홈(111a)에는 다수의 투수구(111b)가 형성되어서, 상기 수용홈(111a)으로 유입된 하천수가 상기 투수구(111b)를 통해 배수될 수 있도록 하는 반면, 상기 투수구(111b) 보다 큰 오염물 또는 쓰레기는 상기 날개(111)를 통과할 수 없도록 한다.
미설명 인출번호 '112b'는 상판 회전축이고, '113b'는 하판 회전축으로, 상기 회전축(112b, 113b)를 매개로 상기 수로(102) 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상판 회전축(112b)은 외주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제1맞물림홈(a)과 제2맞물림홈(b)을 갖추면서, 상기 덮개(150)에 형성된 관통홈(151)으로 회전가능하게 관통 삽입되 고정된다.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 도 4를 설명하면서 상세히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자원 취입보의 동작 모습을 순차 도시한 평면 단면도인바,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자원 취입보(100)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1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다수 개의 배수로(103)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취입보(100)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로(102)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수로(102)와 배수로(103)는 상호 연통되므로, 상기 배수로(103)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는 상기 수로(102)로 유입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취입보(100)은 다량의 하천수가 배수로(103)를 통해 상기 수로(102)로 유입될 수 있도록 상기 배수로(103)와 수로(102)가 연결되는 부분에 상기 걸림식 수차(110)를 두어, 상기 배수로(103)를 통한 하천수의 원활한 흐름이 방해받도록 한다. 즉, 상기 걸림식 수차(110)는 배수로(103)를 부분 차단하는 날개(111)가 배수로(103)를 막으면서 하천수의 직접 통과를 막는 것이다. 결국, 상기 하천수의 대부분은 상기 날개(111)의 수용홈(111a)을 경유할 수 밖에 없다. 이때, 하천수의 흐름은 날개(111)에 하천수의 흐름과 나란한 수평력을 제공하여 상기 걸림식 수차(110)는 상기 수로(102)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하천수의 수평력을 받는 상기 걸림식 수차(11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날개(111)가 수로(102)로 삽입된다. 이때, 상기 수로(102)의 폭은 펼쳐진 날개(111)의 길이보다 좁아 상기 날개(111)는 상기 수로(102)의 내벽과 맞닿으면서 걸림식 수차(110)의 회전력에 의해 접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식 수차(110)의 수용홈(111a)에는 하천수의 각종 오염물과 쓰레기가 걸려 포집되는데, 상기 날개(111)가 수로(102)로 들어가면서 접히는 방향이 수로(103) 내에 있던 날개의 배치방향과 일치하므로, 포집된 오염물과 쓰레기가 외부로의 이탈없이 수로(102) 안으로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배수로(103)의 내벽에는 다수의 안내롤러(131, 132)가 배치되어 상기 날개(111)의 배면과 배수로(103)의 내벽 간에 마찰을 최소화한다.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걸림식 수차(110)는 지속적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날개(111)를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여, 해당 날개(111)와 연결된 토션스프링(113d)이 탄발력을 지속적으로 보유하도록 한다. 이후,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날개(111)는 접힌 상태에서 해제되면서 상기 탄발력에 의해 강력하게 회동하고, 이를 통해 상기 수용홈(111a) 내에 포집된 각종 오염물과 쓰레기가 상기 수로(1102) 안으로 투출된다.
이렇게 투출된 상기 오염물과 쓰레기는 상기 수로(102)와 유입된 하천수와 더불어 상기 유입로(121)로 안내된다. 이때, 상기 유입로(121)를 갖춘 배면돌출 대(120)에는 배수구(123)를 갖추고 있어, 상기 오염물과 쓰레기를 동반한 하천수는 상기 배수구(123)를 통해 배출되고, 상기 오염물과 쓰레기는 유입로(121) 내에 잔존한다. 물론, 오염물과 쓰레기가 상기 배수구(123)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배수구(123)에는 오염물과 쓰레기를 막을 수 있는 망(미 도시함)이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수로(102)가 넘치면서 수로(102)로 유입된 오염물 및 쓰레기 등이 상기 유입로(121)가 아닌 하류 쪽으로 넘어갈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100)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로(102)로 유입된 오염물 및 쓰레기가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수로(102) 상에는 덮개(150)를 덮어 유수의 이동을 차단한다. 또한, 상기 유입로(121)를 통한 하천수의 배수는 원활히 이루어져야 하므로, 상기 유입로(121)의 개구된 상면에는 쓰레기와 오염물의 이탈을 차단할 수 있는 걸름망(140)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걸름망(140)은 유입로(121)의 측면에 형성된 안착턱(122) 상에 안착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류 하천수가 상기 취입보(100)의 배수로(103)로 유입되면, 상기 걸름식 수차(110)의 날개(111)와 맞부딪치면서 상기 날개(111)를 회전시키고, 상기 하천수에 포함된 오염물 및 쓰레기는 상기 수용홈(111a)으로 포집된다. 이렇게 포집된 오염물 및 쓰레기는 상기 걸림식 수차(110)가 회전하면서 수로(102)의 안쪽으로 안내되고, 상기 걸림식 수차(110)의 지속적인 회전에 의해 상기 날개(111)를 잡고 있던 힘이 해제되면서 탄발력에 의해 상기 날개(111)가 원 위치로 강하게 복귀되어, 수용홈(111a) 내에 있던 각종 오염물 및 쓰레기를 투출시킨다. 이렇게 투출 된 오염물 및 쓰레기는 상기 유입로(121)로 안내되어 수집되고, 함께 들어온 하천수는 상기 유입로(121)의 개구된 상면 및/또는 상기 배수구(123)를 통해 배출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 구조의 전면모습을 도시한 도면인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상판 회전축(112b)은 외주면을 따라 절개 형성된 제1,2맞물림홈(a, b)을 구비하고, 상기 제1,2맞물림홈(a, b)으로는 이웃하게 배치된 다른 회전축(112b', 112")의 제1,2맞물림홈과 무한궤도 형태로 연결되는 제1,2벨트(161, 162)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벨트(161)는 서로 이웃하는 회전축(112b, 112b')의 제1맞물림홈(a)과 연결되고, 상기 제2벨트(162)는 서로 이웃하는 회전축(112b', 112b")의 제2맞물림홈(b)과 연결되면서,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100)에 설치된 모든 걸림식 수차(110)가 상호 연동할 수 있게 된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취입보(100)가 구비한 다수의 배수로(103) 마다 통행하는 쓰레기 및 오염물의 양이 다르고, 이러한 양적 차이로 인해 상기 걸림식 수차(110)의 회전이 방해를 받아 특정 위치의 배수로(103)에 대한 하천수의 통행이 부실할 수 있는데, 상기 취입보(100) 내의 모든 걸림식 수차(110)를 상호 연동시킴으로서, 상기 걸림식 수차(110)들의 일률적인 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다소 무리가 있는 쓰레기 및 오염물의 유입으로 걸림식 수차(110)의 회전이 간섭을 받더라도 다른 걸림식 수차의 회전력이 공급되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구조물을 하천에 건설할 필요없이 취입보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하천에 포함된 각종 쓰레기와 오염물을 효율적으로 걸러 포집할 수 있고, 이렇게 포집된 쓰레기와 오염물에 대한 제거가 용이하여 깔끔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천의 횡단방향으로 건설되는 정화구조물에 있어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 배치되어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는 공간을 이루는 배수로;
    상기 배수로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의 상기 정화구조물 전면이 돌출되어 하천수의 흐름을 상기 배수로로 안내하는 경사형 전면;
    상기 정화구조물의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상기 배수로와 연통되는 수로;
    상기 배수로와 이웃하는 다른 배수로 사이의 상기 정화구조물 배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로와 연통되고, 상기 수로를 통해 유입된 하천수가 배수되는 배수구를 포함하며, 상면이 개구된 유입로;
    상기 유입로의 개구된 상면을 덮는 걸름망;
    상기 배수로로부터 통하는 수로의 입구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면에는 다수의 회전축대를 갖춘 하판과, 하천수와 맞닿는 전면이 절개되어 수용홈을 이루고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는 하천수가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투수구를 갖추며 편중된 위치의 회전구멍이 상기 회전축대와 맞물리면서 상기 하판과 회동가능하게 고정되는 날개와, 상기 날개가 수평력에 대해 탄발하도록 상기 회전구멍와 회전축대를 연결하는 토션스프링과, 다수의 상기 날개를 상면에서 덮어 고정하고 상면 중심에는 외주면에 두 개의 맞물림홈이 상하로 나란하게 형성된 상판 회전축을 갖는 상판 을 구비한 걸림식 수차;
    상기 수로로 유입된 하천수가 상기 수로의 상면을 통해 배수되지 않도록 덮어 폐구하고, 상기 상판 회전축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관통하는 관통홈을 구비한 덮개; 및,
    좌우로 이웃하는 상기 걸림식 수차의 맞물림홈 각각에 무한궤도 형태로 맞물려서 이웃하는 상기 걸림식 수차들의 회전을 상호 연동시키는 벨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KR1020060060085A 2006-06-30 2006-06-30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KR100640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085A KR100640015B1 (ko) 2006-06-30 2006-06-30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0085A KR100640015B1 (ko) 2006-06-30 2006-06-30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40015B1 true KR100640015B1 (ko) 2006-11-01

Family

ID=376212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085A KR100640015B1 (ko) 2006-06-30 2006-06-30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40015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6B1 (ko) 2006-10-20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의 부유쓰레기 포집 기능이 있는 수중보
KR100673982B1 (ko)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
KR101025581B1 (ko) 2009-04-24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방에 설치되는 계단식 수질 정화장치
KR101083647B1 (ko) 2009-04-24 2011-1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KR101115029B1 (ko) 2011-04-20 2012-03-13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배수량 조절형 하천취입보
CN109537553A (zh) * 2018-12-29 2019-03-29 北京绿景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水面漂浮杂质清除设备
CN110054254A (zh) * 2019-04-26 2019-07-26 刘君保 一种废水池漂浮垃圾打捞装置
CN110607786A (zh) * 2019-10-11 2019-12-24 新昌冰银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河道闸口自动泄洪装置
CN111893952A (zh) * 2020-08-11 2020-11-06 南昌大学 一种堰塞湖泄流坝体逐渐溃坝防护系统
KR102240531B1 (ko) * 2020-05-07 2021-04-16 주식회사 기산엔지니어링 수자원 정밀 회수장치
CN113529668A (zh) * 2021-07-16 2021-10-22 王金龙 一种水利工程用河道内水流除杂装置
CN114232572A (zh) * 2021-12-08 2022-03-25 郑州市水利建筑勘测设计院 一种水利灌溉用控制闸门
CN114718026A (zh) * 2022-03-24 2022-07-08 安徽北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堤坝防渗生态防护结构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3982B1 (ko) 2006-10-17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제방에 설치되는 부유물 제거장치
KR100673986B1 (ko) 2006-10-20 2007-01-25 (주)평화엔지니어링 하천의 부유쓰레기 포집 기능이 있는 수중보
KR101025581B1 (ko) 2009-04-24 2011-03-3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방에 설치되는 계단식 수질 정화장치
KR101083647B1 (ko) 2009-04-24 2011-11-1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상에 설치되는 다단계 수질 정화장치
KR101115029B1 (ko) 2011-04-20 2012-03-13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배수량 조절형 하천취입보
CN109537553A (zh) * 2018-12-29 2019-03-29 北京绿景行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水面漂浮杂质清除设备
CN110054254A (zh) * 2019-04-26 2019-07-26 刘君保 一种废水池漂浮垃圾打捞装置
CN110607786A (zh) * 2019-10-11 2019-12-24 新昌冰银智能技术有限公司 一种河道闸口自动泄洪装置
CN110607786B (zh) * 2019-10-11 2020-12-29 广昌县兴莲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河道闸口自动泄洪装置
KR102240531B1 (ko) * 2020-05-07 2021-04-16 주식회사 기산엔지니어링 수자원 정밀 회수장치
CN111893952A (zh) * 2020-08-11 2020-11-06 南昌大学 一种堰塞湖泄流坝体逐渐溃坝防护系统
CN113529668A (zh) * 2021-07-16 2021-10-22 王金龙 一种水利工程用河道内水流除杂装置
CN114232572A (zh) * 2021-12-08 2022-03-25 郑州市水利建筑勘测设计院 一种水利灌溉用控制闸门
CN114718026A (zh) * 2022-03-24 2022-07-08 安徽北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堤坝防渗生态防护结构
CN114718026B (zh) * 2022-03-24 2024-03-22 安徽北润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水利工程堤坝防渗生态防护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0015B1 (ko) 하천수면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취입보 구조
KR20070055462A (ko) 오염된 수질을 자연적으로 정화시키는 방법
KR20110123978A (ko) 초기우수 분리용 개폐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초기우수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스템
KR20150114224A (ko) 빗물정화 빗물침투시설
WO2015175428A1 (en) Permeable reactive weir
KR101327526B1 (ko) 수처리 구조물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101538439B1 (ko) 교량용 비점오염물질 정화처리장치
KR101080636B1 (ko) 비점오염원 저감시스템
KR101305519B1 (ko) 식생형 비점오염 처리 도랑
KR100700991B1 (ko) 무동력 기반의 수자원 정화구조물
KR101165241B1 (ko) 조립식 인공습지 블록 및 이를 이용한 자연정화 시스템
KR101147865B1 (ko) 비점오염 처리 장치
KR20080080063A (ko)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회전수문을 이용하여하천의 수질을 개선하는 방법
KR101574480B1 (ko) 하천으로 흘러들어오는 빗물 또는 하천수에 함유된 오염물질들과 협잡물들을 제거하여 깨끗한 물로 정수하여주는 친환경 수질정화용 가동보 수문 시스템
KR101494221B1 (ko) 무동력 하천용수 상시 취수 시스템 및 취수 구조
KR100596216B1 (ko) 하천의 친환경적인 부유물 제거장치
KR100477484B1 (ko) 친환경적인 자연여과식 하천정화시설
KR101853617B1 (ko) 유지관리가 용이한 모듈형 침투도랑
KR200469032Y1 (ko) 회전개폐수단이 구비된 집수정용 그레이팅
KR100749718B1 (ko) 오염된 하천수만을 선별처리하도록 구성되는 오염물질 선별 처리시스템
KR102240531B1 (ko) 수자원 정밀 회수장치
KR20190081454A (ko) 여재 세정형 다단 습지여상
CN112273124A (zh) 一种具有固堤护岸性能的河岸植被缓冲带栽植结构
KR101889907B1 (ko) 비점오염 처리를 위한 모듈형 여과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