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998B1 -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 Google Patents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998B1
KR100639998B1 KR1020050074441A KR20050074441A KR100639998B1 KR 100639998 B1 KR100639998 B1 KR 100639998B1 KR 1020050074441 A KR1020050074441 A KR 1020050074441A KR 20050074441 A KR20050074441 A KR 20050074441A KR 100639998 B1 KR100639998 B1 KR 1006399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network
data
tex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탁병철
김선자
김도형
김재평
윤민홍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50074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99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998B1/en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A dual-mode terminal and a voice synthesizing call method in the dual-mode terminal are provided to convert inputted characters into voice in real time to perform voice call communication through a wireless voice network. A TTS(Text To Speech) client unit(330) transmits input character data to a TTS server(340) through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and receives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character data from the server(340). A CDMA interworking unit(310) is connected with a CDMA. A voice reproducing unit(320) transmits the converted voice data through the CDMA.

Description

듀얼모드 단말기 및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음성 합성 통화 방법{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도 1 은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음성 합성을 통한 무선 통화 과정의 전체 개략도이다.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call process through speech synthesis in a dual mode terminal.

도 2 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회로 배선도이다.2 is a circuit wiring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도 3 은 문자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변환시켜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3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for receiving a text and converting it into a voice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도 4 는 도 3 의 문자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변환시켜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for receiving a text of FIG.

도 5 는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발신자가 입력하는 문자를 기초로 음성통화를 하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voice call based on a character input by a caller in the dual mod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0 듀얼모드 단말기 110 무선음성(CDMA)망100 Dual Mode Terminal 110 Wireless Voice (CDMA) Network

120 CDMA 단말기 130 휴대인터넷(WiBro)망 120 CDMA terminal 130 Mobile Internet (WiBro) network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 음성망(CDMA)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지원 단말에서 음성 합성 방법 및 듀얼모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사용자가 음성 대신 문자를 입력하고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를 사용하여 입력한 문자를 음성으로 합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음성 합성 통화를 가능케 하는 방법 및 듀얼 모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ch synthesis method and a dual mode terminal in a dual mode supporting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using a mobile Internet network (WiBro) and a wireless voice network (CDMA).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 dual mode terminal for synthesizing a text inputted using a voice conversion (TTS) server into a voice and using the same.

일반적인 무선 음성망 통화시 여러 이유로 인하여 정상적으로 음성 통화를 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주변이 매우 시끄러워서 화자가 하는 말이 상대방에게 잘 들리지 않거나 회의 시와 같이 소리를 내어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 혹은 화자가 언어 장애를 가지고 있어서 말로 통화하기 어려운 경우 등이다. 종래의 경우 이런 상황에서도 무선 음성망을 통해 음성 통화를 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general, a wireless voice network call may not be able to make a normal voice call due to various reasons. For example, if the speaker is too noisy and the speaker cannot hear you or cannot speak loudly, such as during a meeting, or because the speaker has a speech impairment, making it difficult to speak.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a problem that only a voice call can be made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무선 인테넛망과 휴대인터넷망을 동시에 사용하여 수신자에게는 일반 통화시와 마찬가지로 음성이 들리는 반면 송신자는 문자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음성으로 통화하기 어려운상황에서 음성 합성을 통한 무선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and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t the same time, the receiver can hear the voice as in a normal call while the sender is difficult to talk by voice by communicating through a text Enables wireless calls through speech synthesis.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모드 단말기는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 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문자-음성 변환(TTS) 클라이언트부; 무선 음성망에 접속하는 무선 음성 연동부;및 상기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음성망을 통해 전송하는 음성재생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ual-mode terminal transmits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through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corresponds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A text-to-speech (TTS) client unit for receiving the converted speech data; And a wireless voice interworking unit for accessing a wireless voice network; and a voice reproducing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converted voice data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상기의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듀얼모드 단말기는 입력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출력부를 지니고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인터넷망 모뎀; 무선음성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무선음성망 모뎀; 상기 휴대인터넷망 모뎀에서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음성 입력부를 연결하고 상기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out 단자에 음성 청취부를 연결하며 상기 출력부를 상기 무선 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연결하고 상기 출력부를 상기 음성 청취부에 연결한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dual-mode terminal has an output unit for playing the input voice file and converts the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A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voice network; And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converted voice data received by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wherein the voice input unit is connected to a line-in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and a voice is input to a line-out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A listening unit is connected, and th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a line-in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and th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voice listening unit.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휴대인터넷망과 음성 통신을 위한 무선음성망 모두를 이용한 음성 합성 통화 방법은 상기 무선 음성망에 접속하는 단계;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음성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still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synthesis call method using both a portable Internet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voice network for voice communication comprises the steps of: accessing the wireless voice network; Transmitting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Receiving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converted voice data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데이터 통신을 위한 휴대인터넷망과 음성 통신을 위한 무선음성망 모두를 이용한 음성 합성 통화 방법은 무선음성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음성 입력부를 연결하는 단계; 상기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out 단자에 음성 청취부를 연결하는 단계;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인터넷망 모뎀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출력부를 상기 무선 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부를 상기 음성 청취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synthesis call method using both a portable Internet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voice network for voice communication is a line-in of a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voice network. Connecting a voice input unit to a terminal; Connecting a voice listening unit to a line-out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Transmitting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a mobile Internet network, and reproducing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a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for receiving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Connecting an output unit to a line-in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And connecting the output unit to the voice listening unit.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들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among the drawing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symbo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와이브로(WiBro)망 기술은 국내에서 개발중인 차세대 무선 통신 기술로써 정지 및 이동시에도 현재의 DSL급과 유사한 수준의 인터넷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다. WiBro network technology is a next gene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is being developed in Korea. It is a technology to provide Internet service similar to the current DSL level at a low price even when stationary and mobile.

와이브로 기술은 무선랜에서의 협소한 커버리지(coverage)와 CDMA에서의 느린 데이터 속도를 극복하는 위치에 있으며 차후에 802.20의 무선 광대역 서비스로 가기 위한 중간 단계로 인식되고 있다. WiBro technology is in a position to overcome the narrow coverage in WLAN and the slow data rate in CDMA, and is recognized as an intermediate step in the future to 802.20 wireless broadband service.

와이브로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한 몇 가지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면, 다중 접속 방식으로는 OFDMA를 사용하며 채널 대역폭은 10Mbps이다. 사용 주파수 대역은 2.3GHz이고 상향 전송속도는 최소 128Kbps, 최대 1Mbps, 하향 전송속도는 최소 512Kbps, 최대 3Mbps이다. Looking at some of the key technical features used in WiBro, OFDMA is used for multiple access and the channel bandwidth is 10Mbps. The frequency band used is 2.3GHz, and the uplink transmission rate is at least 128Kbps, the maximum is 1Mbps, and the downstream transmission rate is at least 512Kbps, and the maximum is 3Mbps.

이동성 지원과 관련하여, 와이브로 규격에서는 최대 이동속도 60Km에서도 서비스가 원활하게 제공될 것을 규정한다. 와이브로 서비스가 성공적으로 상용화 될 경우 과거 CDMA가 끼쳤던 수준 이상의 파급효과를 가질 것으로 예상된다.In terms of mobility support, the WiBro standard stipulates that service will be provided smoothly even at a maximum travel speed of 60 km. If WiBro service is successfully commercialized, it is expected to have more ripple effect than CDMA had in the past.

본 발명은 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 음성망(CDMA)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듀얼 모드 지원 단말에서 음성 합성 방법 및 듀얼모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 음성망(CDMA)을 동시에 사용면서 듀얼모드 단말에서 필요한 경우 망 전환을 수행하여 투명하게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종망 연동 기술이 필요하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ech synthesis method and a dual mode terminal in a dual mode supporting terminal capable of simultaneously using a portable internet network (WiBro) and a wireless voice network (CDMA), and a portable internet network (WiBro) and a wireless voice network (CDMA). It is necessary to use a heterogeneous network interworking technology to maintain the service transparently by performing network switching when necessary at the same time while using the dual mode terminal.

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 음성망(CDMA)의 연동은 무선 음성망(CDMA)망이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가 모두 가능하므로 1) 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 음성망(CDMA)의 데이터 서비스 연동과 2)휴대인터넷망(WiBro)과 무선 음성망(CDMA)의 음성망 연동으로 구분할 수 있다.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WiBro and the wireless voice network (CDMA) is possible because both the wireless voice network (CDMA) network can provide both voice and data services. 1) Data service of the wireless Internet network (WiBro) and wireless voice network (CDMA) 2) can be divided into interworking with the voice network of the mobile Internet network (WiBro) and wireless voice network (CDMA).

1. 휴대인터넷망(1. Mobile Internet Network WiBroWiBro )과 무선 ) And wireless 음성망(CDMA)의Voice network (CDMA) 데이터 서비스 연동 Data Service Integration

와이브로 데이터 망과 CDMA망의 데이터 서비스 연동은 끊김 없는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이다. 듀얼 모드 단말을 소지한 사용자는 이동하면서 서 비스를 제공 받기 때문에 현재 서비스 받는 망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기도 하고 다시 진입하기도 한다. Data service interworking between WiBro data network and CDMA network aims to provide seamless data service. A user who owns a dual mode terminal is provided with services while moving, so he may leave the service area of the current service network and reenter the service.

사용자에게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무선망의 상태, 종류 등의 정보보다는 안정적인 서비스의 제공이 중요하다. 안정적인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단말에서 망의 상태를 관측하고 있다가 현재 사용중인 망이 단절되거나 서비스 영역을 벗어나게 되면 다른 망으로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다. For users, it is more important to provide stable services than information on the status and type of the wireless network currently in use. In order to provide a stable service, a terminal needs to be able to access a different network when the current network is disconnected or the network is out of service.

사용자의 개입이 없이 자동적으로 망간 전환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단말에서 동작하고 있는 응용계층에 단일한 망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order to automatically switch between networks without user interven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ingle network interface to the application layer operating in the terminal.

이를 위해서 TCP/IP 계층의 바로 하단에 망 디바이스를 통합하는 계층이 필요하다. 이 계층의 구체적 역할은 CDMA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와이브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관리하고 현재 사용 가능한 망을 선택하여 데이터 프레임을 상위 계층(IP계층)에 전달하고, 응용 계층에 존재하는 망 접속, 관리 모듈이 망 전환 명령을 내릴 경우 이에 응답하여 망을 전환한다. This requires a layer that integrates network devices just below the TCP / IP layer. The specific role of this layer is to manage the CDMA device driver and WiBro device driver, select the currently available network, transfer the data frame to the upper layer (IP layer), and the network access and management module existing in the application layer. In case of failure, switch the network in response.

TCP/IP 계층 이상에서는 하나의 디바이스만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지만 망 통합 계층에서는 실제로 현재 망의 상태를 고려하여 하나의 특정망에 접속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연동 기술은 해외에서는 주로 무선랜, ATM, WCDMA 간의 망 연동 위주로 연구되고 있으나 CDMA와 와이브로간의 망 연동은 국내외적으로 관련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In the TCP / IP layer and above, only one device is recognized as being present, but in the network integration layer, it is actually connected to one specific network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network state. Such interworking technology has been mainly studied in the network interworking between wireless LAN, ATM, WCDMA, but there is no relevant research at home and abroad for network interworking between CDMA and WiBro.

2. 휴대인터넷망(2. Mobile Internet Network WiBroWiBro )과 무선 ) And wireless 음성망(CDMA)의Voice network (CDMA) 음성망Voice network 연동 peristalsis

와이브로 데이터 망과 CDMA음성 망의 연동은 사용자가 일반 CDMA 통화를 하 면서 IP망을 통한 데이터 서비스를 동시에 사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와이브로 데이터 망과 CDMA 음성 망을 사용하게 되면 데이터 서비스 연동시와는 달리 두 망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interworking between the WiBro data network and the CDMA voice network means that a user uses a data service through an IP network while making a general CDMA call. If WiBro data network and CDMA voice network are used, two networks can be used at the same time unlike data service interworking.

데이터 서비스 연동의 경우에는 한 순간에 와이브로 혹은 CDMA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야 하지만 CDMA 음성망은 IP 망이 아니며 단말 내부에서도 단말의 OS가 아닌 CDMA모듈에 의해 처리되므로 와이브로와 동시에 동작할 수 있다. In the case of data service interworking, either WiBro or CDMA should be selected at a time. However, since CDMA voice network is not an IP network and is processed by the CDMA module, not the OS of the terminal, it can operate simultaneously with WiBro.

이러한 CDMA 음성망과 와이브로 망의 동시 사용을 응용하여 기존의 CDMA 음성 통화의 가용성을 높일 수 있다. The simultaneous use of the CDMA voice network and WiBro network can be used to increase the availability of existing CDMA voice calls.

도 1 은 듀얼모드 단말기(100)에서 음성 합성을 통한 무선 통화 과정의 전체 개략도이다.1 is an overall schematic diagram of a wireless call process through speech synthesis in a dual mode terminal 100.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CDMA 음성/데이터망(110)과 차세대 초고속 무선망인 와이브로(WiBro)망(130)을 지원한다. 와이브로는 저렴한 가격으로 ADSL 급 속도의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되고 있는 기술로서, TCP/IP 프로토콜 스택을 지원하는 다른 이종망도 적용이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CDMA 망(200)과 와이브로망(300)의 이종망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The dual mode terminal 100 supports the CDMA voice / data network 110 and the WiBro network 130, which is a next generation high-speed wireless network. WiBro is a technology developed to provide ADSL-class wireless Internet service at a low price, and other heterogeneous networks supporting the TCP / IP protocol stack can be appli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heterogeneous network of the CDMA network 200 and the WiBro network 300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듀얼모드 단말기(100)는 노트북이나 PDA, 스마트폰 등의 형태를 가진다. 다만 이는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치환, 변경 가능한 것을 모두 포함하는 것임을 주의하여야 한다. The dual mode terminal 100 may have a form of a notebook, a PDA, a smartphone, or the lik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as one embodiment, it includes all that can be easily substituted, chang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노트북을 사용할 경우 PCMCIA 카드형태의 CDMA 모듈과 와이브로 모뎀을 장착 하여 듀얼 모드 단말기(100)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차후에 출시될 와이브로/CDMA용 듀얼 모드 단말기(100)은 이러한 망 접속 기능들이 하나의 단말기 내로 내장되어 있는 형태를 가질 것이며 S/W 플랫폼도 현재의 CDMA폰에서 사용되는 다운로드 플랫폼이 아닌 하나의 온전한 OS가 장착될 것이므로 현재의 노트북과 크기와 성능에서만 차이가 있을 뿐이며 내부 구조와 기능성 등은 매우 유사하게 구성 될 것으로 예상된다. When using a notebook can be equipped with a CDMA module and WiBro modem in the form of a PCMCIA card can function as a dual mode terminal (100). The dual mode terminal 100 for WiBro / CDMA, which will be released later, will have such network access functions embedded in one terminal, and the S / W platform is not a download platform used in current CDMA phones but a complete OS. Will differ only in size and performance with current notebooks, and its internal structure and functionality are expected to be very similar.

도면에서는 발신자측과 수신자측에서 각각의 단말기(100,120)가 CDMA망을 통해 음성통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발신자측의 단말기는 와이브로/CDMA용 듀얼 단말기(100)이고 수신자측의 단말기는 CDMA망만을 사용 가능한 단말기(120)이다.In the figure, each of the terminals 100 and 120 in the caller side and the receiver side is in a state of making a voice call through the CDMA network. The calling party's terminal is a dual terminal 100 for WiBro / CDMA and the calling party's terminal is a terminal 120 which can use only a CDMA network.

CDMA 통화 연결을 하기 위해 발신자는 상대방의 전화번호를 입력하고 CDMA망(110)을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 CDMA망을 통해 통화 연결을 시도한다는 것은 전화 걸기를 위한 TAPI(telephony API)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TAPI 함수가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음성으로 CDMA망을 통한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In order to make a CDMA call connection, the caller inputs a phone number of the other party and attempts to make a call through the CDMA network 110. Attempting to make a call over a CDMA network means calling a telephony API (TAPI) function for dialing. If the TAPI function is successfully executed, communication through the CDMA network becomes possible.

전화가 연결된 후 발신자는 단말에 연결된 이어폰 또는 스피커를 통해 수신자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고, 의사소통을 원하나, 음성을 통한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황에서는 키보드를 사용한다. After the call is connected, the caller can hear the receiver's story through the earphone or speaker connected to the terminal, and wants to communicate, but in a situation where communication through voice is difficult, the keyboard is used.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는 휴대인터넷망(130,140)을 통해 문자-음성 변환 TTS(Text To Speech) 서버(150)에 전송되고 사용자 인증을 거친 후에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150)에서 키보드를 통해 입력된 텍스트를 wav나 mp3 형태의 음 성데이터로 변환하여 발신자에게 재전송한다. The text input through the keyboard is transmitted to the text-to-speech text to speech (TTS) server 150 through the mobile Internet network 130 and 140 and after user authentication, the text-to-speech (TTS) server 150 keyboard It converts the text entered through wav or mp3 type voice data and sends it back to the sender.

이 음성데이터는 발신자의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서 플레이 되어 CDMA 망(110)을 통해 수신자에게 음성으로 전달된다.This voice data is played on the caller's dual mode terminal 100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er as voice through the CDMA network 110.

발신자는 음성 통화가 어려운 경우, CDMA 통화 연결이 이루어진 이후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서 음성 대신 문자를 입력함으로써 수신자와 통화를 한다. 이를 위해서, 듀얼모드 단말기(100)에 문자 입력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가 요구된다. If the voice call is difficult, the caller makes a call with the receiver by inputting text instead of voice in the dual mode terminal 100 after the CDMA call connection is made. To this end, a graphic interface for character input is required in the dual mode terminal 100.

문자 입력을 위한 그래픽 인터페이스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작은 입력창으로 문자를 입력받아 휴대인터넷망(130,140)을 통해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150)에 전달한다. The graphic interface for inputting text is input to the text-to-speech (TTS) server 150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130, 140 receives the text in a small input window that the user can enter the text.

사용자는 듀얼모드 단말기(100)에서 제공하는 적절한 입력 수단을 통하여 문자를 입력한다. 예를 들어, 노트북 형태의 듀얼 모드 단말기(100)에서는 키보드를 통해 문자를 입력하고 PDA나 스마트폰과 같은 형태에서는 문자 입력기 혹은 문자 인식기를 통해 입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기재된 것은 일 실시예로서, 이와 동일한 기술적 사상 내지 용이하게 치환 가능한 수단은 모두 포함하는 것을 주의하여야 한다.The user inputs text through appropriate input means provided by the dual mode terminal 100. For example, the dual mode terminal 100 in a notebook form may input characters through a keyboard, and in a form such as a PDA or a smartphone, the characters may be input through a character input unit or a character recognizer.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described one is an embodiment, and includes the same technical idea or easily replaceable means.

도 2 는 듀얼모드 단말기의 회로 배선도이다.2 is a circuit wiring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CDMA망(110)을 통해 통화가 연결되면, 듀얼모드 단말기(100)를 이용하는 발신자는 문자를 입력하여 말을 하고, 수신자는 음성으로 통화 하게 된다. 다만, 듀얼모드 단말기(100)에 입력된 문자는 수신자가 판독할 수 없으므로, 휴대인터넷망(WiBro)망을 통해 음성 데이터로 변환되어 다시 CDMA 망을 통해 수신자에게 전달된다. When a call is connected between the caller and the receiver through the CDMA network 110, the caller using the dual mode terminal 100 speaks by inputting a letter, and the receiver calls by voice. However, since the characters input to the dual mode terminal 100 cannot be read by the receiver, the characters are converted into voice data through the WiBro network and then transferred back to the receiver through the CDMA network.

상기 과정이 수행되기 위해서는 듀얼 모드 단말기(200)에서 특수한 형태의 배선 구조가 요구된다. 듀얼모드 단말기(200)는 무선음성망 모뎀(210)과 휴대인터넷망 모뎀(220) 및 상기 휴대인터넷망 모뎀(220)에서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출력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perform the above process, a special type of wiring structure is required in the dual mode terminal 200. The dual mode terminal 200 includes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converted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210,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220, and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220.

무선음성망 모뎀(210)은 무선음성망에서 통신하기 위해 요구되고 휴대인터넷망 모뎀(220)은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다.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210 is required for communication in the wireless voice network and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220 transmits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the mobile internet network, and from the server Receive converted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CDMA모뎀의 라인인/아웃(Line in/out)(210)은 CDMA를 통한 음성통화를 지원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CDMA모뎀이 존재하는 단자인데 보통 하나의 단자로 음성 입력, 출력이 모두 지원되므로 그림에서도 하나의 단자로 표현되지만 입력/출력 선이 모두 연결되어 있다. Line in / out (210) of the CDMA modem is a terminal in which a CDMA modem is generally present to support a voice call through CDMA. Although represented by one terminal, all input / output wires are connected.

마이크 등과 같은 음성 입력부(230)는 발신자가 하는 말을 수신자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CDMA모뎀의 라인인(Line in)(210) 단자에 연결된다(S200). The voice input unit 230, such as a microphone, is connected to a line in 210 terminal of the CDMA modem in order to deliver the words spoken by the sender (S200).

스피커, 이어폰 등과 같은 음성 청취부(240)는 수신자가 하는 말을 출력하기 위하여 CDMA모뎀의 라인아웃(Line out)(210) 단자에 연결된다(S200).The voice listening unit 240 such as a speaker, earphone, etc. is connected to a line out 210 terminal of the CDMA modem to output the words spoken by the receiver (S200).

발신자가 듀얼모드 단말기(200)에 입력한 문자는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를 통해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로 변환된 후 듀얼모드 단말기(200)에서 재생된다. Characters input by the caller to the dual mode terminal 200 are converted into converted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through a text-to-speech (TTS) server and then reproduced in the dual mode terminal 200.

이 때, 재생되는 소리가 수신자에게 들리기 위하여, 듀얼모드 단말기의 출력부(250)는 상기 무선 음성망 모뎀(210)의 라인인 단자에 연결된다. 또한 발신자는 상기 재생된 소리를 들을 수 있어야 하므로 출력부는 음성 청취부(240)에 연결된다.At this time, in order for the reproduced sound to be heard by the receiver, the output unit 250 of the dual mode terminal is connected to a terminal which is a line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210. In addition, since the caller should be able to hear the reproduced sound, th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voice listening unit 240.

이상에서는 듀얼모드 단말이 CDMA모뎀과 와이브로 모뎀을 사용하는 형태의 단말이라는 가정을 하였으나 스마트폰과 같은 형태의 듀얼모드 단말에서는 스피커와 마이크가 현재의 핸드폰과 같이 단말의 일부로 존재하며 모뎀도 내장되어 있는 형태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는 상기와 같은 배선 연결이 회로 차원로 이루어 질 수 있다.In the above, it is assumed that the dual mode terminal is a type of terminal using a CDMA modem and a WiBro modem. However, in a dual mode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a speaker and a microphone exist as part of a terminal, such as a mobile phone, and a modem is also built in. Form is also possible. In this case, the wiring connec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ade at the circuit level.

도 3 은 문자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변환시켜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이다. 3 is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for receiving a text and converting it into a voice to make a call with the other party.

CDMA 통화 연결을 관리하는 전화번호 관리 모듈은 전화번호부를 지니고 이전에 통화 목록을 기록한다. 또한, 전화 번호 관리 모듈은 발신자와 수신자간에 전화 통화를 연결하는 기능을 지닌다. The phone number management module, which manages CDMA call connections, has a phone book and records the call list previously. In addition, the telephone number management module has a function of connecting a telephone call between the caller and the receiver.

문자 입력 모듈은 GUI(Graphical User Interface)로서, 발신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다. 그 후 입력 받은 문자열을 줄 단위 내지 의미 단위로 구분하여, 음성 재생부(320)로 전송한다. The text input module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and receives text from a caller. Thereafter, the received string is divided into lines and semantic units, and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unit 320.

음성 재생부(320)는 판단부(321), 저장부(322) 및 재생부(PLAY)로 구성되어 있다. 판단부(321)에서는 이전에 전송하였던 음성파일에 상응하는 문자열과 동일한지를 판단하고, 이전에 전송한 음성파일에 상응하는 문자열과 동일한 경우 저장되어 있는 이전 문자열에 상응하는 음성파일을 재생한다. The audio reproducing unit 320 includes a determining unit 321, a storage unit 322, and a reproducing unit PLAY. The determination unit 321 determines whether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transmitted voice file is the same, and if the character string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transmitted voice file is the same, reproduces the voice file corresponding to the stored previous character string.

동일하지 않은 경우에는, 입력받은 문자열을 TTS 클라이언트(330)를 통해 TTS 서버(340)로 전송한다. TTS 서버(340)는 입력받은 문자열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를 반환하며, 음성재생부(320)에서 TTS 서버(340)로부터 받은 음성 데이터를 재생한다. If not the same, the received string is transmitted to the TTS server 340 through the TTS client 330. The TTS server 340 returns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character string, and reproduce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TTS server 340 in the voice reproducing unit 320.

도 4 는 도 3 의 문자를 입력받아 음성으로 변환시켜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내부 구조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4 illustrates an embodiment of an internal structure diagram of a dual mode terminal for receiving a text of FIG.

전화번호 관리 모듈(411)은 CDMA 통화 연결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전화번호부를 가지며 이전에 통화한 전화번호의 목록들도 기록한다. 또한, 전화번호 관리 모듈(411)은 발신자가 수신사와 CDMA 전화 통화를 하도록 발신자가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수신자와 통화하고자 하는 경우, CDMA TAPI(420)를 호출하고 CDMA TAPI(420)는 직접 CDMA 디바이스(160)를 제어하여 CDMA 음성 망에 연결한다.The phone number management module 411 is a module for managing CDMA call connection and has a phone book and also records a list of previously called phone numbers. Further, the phone number management module 411 calls the CDMA TAPI 420 and the CDMA TAPI 420 directly calls the CDMA when the caller wants to talk to the receiver after the caller enters the phone number so that the caller can make a CDMA phone call with the recipient. The device 160 is controlled to connect to the CDMA voice network.

문자 입력 모듈(412)은 사용자 내지 발신자로부터 문자를 입력받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이다. 문자 입력 모듈(412)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은 문자열을 줄 단위로 구분하여 TTS모듈(415)로 전달한다. The text input module 412 is a graphical user interface (GUI) that receives text from a user or a sender. The character input module 412 divides the string received from the user into lines and transmits the string to the TTS module 415.

TTS모듈(415)은 입력된 문자열을 음성 데이터로 변환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는 모듈로써 TTS캐시(416)로부터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전달받는다. The TTS module 415 receives the converted voice data from the TTS cache 416 as a module that performs a procedure for converting an input character string into voice data.

TTS캐시(416)는 이전에 수행한 문자 데이터에서 음성데이터로 변환한 작업의 결과물들을 캐시하고 있다가 TTS모듈의 변환 요청이 발생하는 때에 입력된 문자와 자신의 캐시 내에 입력된 문자열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음성 데이터를 전해준다. The TTS cache 416 caches the results of the operation of converting previously performed text data into voice data, and then voices corresponding to the text input when the conversion request of the TTS module occurs and the character string input in its cache. If data exists, voice data is delivered.

만약 TTS캐시(416)에 없을 경우, TTS클라이언트(417)에게 요청하여 문자열을 외부의 TTS서버로 전달한다. TTS서버는 합성된 음성을 반환하고 TTS클라이언트(417)가 이를 전달 받아 TTS캐시에 넘겨주게 된다. TTS캐시(416)는 이를 자신의 캐시에 저장한 후 WAV재생기(418)을 통해 재생한다. If it is not in the TTS cache 416, the TTS client 417 is requested and the string is transmitted to an external TTS server. The TTS server returns the synthesized voice and the TTS client 417 receives it and delivers it to the TTS cache. The TTS cache 416 stores it in its cache and plays it back through the WAV player 418.

로그인 모듈(413)은 듀얼모드 단말에서 최초로 문자데이터를 음성데이터로 변환할 때 가장 먼저 외부의 TTS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모듈이다. 로그인 모듈(413)을 통해 아이디와 암호를 입력하고 TTS클라이언트(417)를 통해 TTS서버에 인증을 받는다. The login module 413 is a module for first connecting to an external TTS server when converting text data into voice data for the first time in a dual mode terminal. Enter the ID and password through the login module 413 and authenticate with the TTS server through the TTS client 417.

네트워킹 모듈(402)은 TCP/IP 네트워킹을 위한 프로토콜 스택을 의미하며 네트워크 구조는 본 발명에서 다루지 않으므로 간단하게 표시하였다. 듀얼 모드 단말에서 TCP/IP 기반의 네트워킹은 와이브로 디바이스(423)를 통해서 이루어진다.The networking module 402 means a protocol stack for TCP / IP networking and the network structure is simply indicated because it is not cover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ual mode terminal, TCP / IP based networking is performed through the WiBro device 423.

CDMA디바이스(421)를 통해서도 제공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CDMA디바이스는 음성망을 사용하는 경우만을 고려한다. Although it may be provided through the CDMA device 42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DMA device only considers the case of using a voice network.

도 4에서의 TTS서버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일반 인터넷상(500)에 존재한다. TTS 서버의 역할은 주어진 문자를 음성으로 조합, 합성하여 그 결과를 WAV, mp3 파일과 같은 음성파일형태로 변환하는 것이며, wav, mp3 파일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어떠한 형태, 사양, 내부 구조를 가지는가에 상관 없이 문자열을 음성으로 변환하는 서버를 의미하는 것으로 특별한 형태를 요구하지는 않는다. The TTS server in FIG. 4 exists on the general Internet 500 as shown in FIG. The role of the TTS server is to combine and synthesize the given text into voice and convert the result into a voice file such as WAV and mp3 files, and is not limited to wav and mp3 files. Represents a server that converts a string to speech regardless of whether it has a structure, but does not require a special form.

도 5 는 본 발명의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발신자가 입력하는 문자를 기초로 음성통화를 하는 흐름도이다. 5 is a flowchart of a voice call based on a character input by a caller in the dual mod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발신자는 무선음성망(CDMA)에 접속한 후 문자 입력 모듈을 통해 문자를 입력한다(510, 520).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는 발신자가 입력한 문자와 이전에 전송한 문자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판단한 후(531) 입력한 문자에 상응하는 음성 데이터 파일이 있는 경우 음성을 재생하고 이를 저장하며(532,533) 수신자와 통신한다(550). The caller inputs a text through the text input module after accessing the wireless voice network (CDMA) (510, 520). The dual mode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he caller matches the input text and the previously transmitted text with the converted voice data (531). If there is a voice data file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the voice is played and stored (532,533). Communicate with the receiver (550).

듀얼 모드 단말기에서는 발신자가 입력한 문자와 이전에 전송한 문자를 변환한 음성 데이터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듀얼모드 단말기는 TTS 서버로 문자를 송신하고(540) 그 후 TTS 서버로 부터 문자에 상응하는 변환된 음성 데이터를 수신한 후(540,541)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고 저장한 후(532, 533) 수신자와 통신한다(550).In the dual mode terminal, if the caller does not match the input data with the voice data converted from the previously transmitted character, the dual mode terminal transmits the character to the TTS server (540) and then corresponds to the character from the TTS server. After receiving the converted voice data (540, 541) and playing back and storing the voice data (532, 533) and communicating with the receiver (550).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The invention can also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all kinds of recording devices that store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 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and the like, which are also implemented in the form of carrier waves (for example,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It also includes.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can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 coupl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fashion.

이상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The 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abov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herein,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meaning or claims.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본 발명은 무선음성망과 휴대인터넷망을 동시에 사용함으로써, 듀얼모드 단말기에서 외부의 소음이 심하거나 정숙을 요하는 상황 내지 언어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음성을 이용하지 않고서도 문자만으로도 통화를 할 수 있는 효과를 발생한다.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wireless voice network and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t the same time, the external noise in a dual-mode terminal or a situation requiring a quiet or a user with a language disorder can make a call using only the text without using a voice Causes effect.

또한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문자 입력을 음성으로 변환하여 무선음성망을 통해 음성 통화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voice call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by converting the text input to the voice in real time.

본 발명을 통해 통화시 사용자에게 편리함과 가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고, 향후 상용화될 무선인터넷망(WiBro)을 이용한 서비스를 통한 듀얼모드 단말기의 활용도를 높이는 효과를 발생한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availability to the user during a call, an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utilization of the dual-mode terminal through a service using a wireless Internet network (WiBro) to be commercialized in the future.

Claims (15)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문자-음성 변환(TTS) 클라이언트부;A text-to-speech (TTS) client unit for transmitting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receiving converted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무선 음성망에 접속하는 무선 음성 연동부;및Wireless voice interworking unit for connecting to a wireless voice network; And 상기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음성망을 통해 전송하는 음성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And a voice reproducing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received converted voice data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음성 재생부는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And the voice reproducing unit reproduces the converted voice dat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재생부는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voice reproducing unit 소정의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전의 변환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A storage unit which stores previous converted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ext data;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판단부; 및A determination unit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And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상기 음성 재생부로 전송하고 If the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xt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the converted voice data is transmitted to the voice reproducing unit.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를 상기 문자-음성 변환(TTS) 클라이언트부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And a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received text data to the text-to-speech (TTS) client unit when the converted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does not exist in the storage unit. Mode terminal.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음성 변환(TTS) 클라이언트부는 상기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와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휴대인터넷망 모뎀을 포함하고The text-to-speech (TTS) client unit includes a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text-to-speech (TTS) server and a portable Internet network. 상기 무선 음성연동부는 무선음성망을 통해 통신하는 무선음성망 모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The wireless voice linkage unit is a dual 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for communicating over a wireless voice network.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문자-음성 변환(TTS) 클라이언트부는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전송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요구되는 아이디와 암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 The text-to-speech (TTS) client unit is a dual-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transmitting the input text data to the text-to-speech (TTS) server, the ID and password required for user authentication. 입력된 음성 파일을 재생하는 출력부를 지닌 듀얼 모드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dual mode terminal having an output unit for playing the input voice file,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인터넷망 모뎀;A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for transmitting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a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receiving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무선음성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무선음성망 모뎀;A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for communicating in a wireless voice network; 상기 휴대인터넷망 모뎀에서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And an output unit for reproducing the converted voice data received by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상기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음성 입력부를 연결하며Connect a voice input to the line-in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상기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out 단자에 음성 청취부를 연결하고Connect a voice listening unit to the line-out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상기 출력부를 상기 무선 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연결하며The output unit is connected to the Line-in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상기 출력부를 상기 음성 청취부에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And connecting the output unit to the voice listening unit. 제 1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6, 상기 휴대인터넷망은 Wibro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is a dual 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Wibro network. 제 1 항, 제 4 항 및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4 and 6, 상기 무선 음성망은 CDMA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모드 단말기.The wireless voice network is a dual mod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CDMA network. 데이터 통신을 위한 휴대인터넷망과 음성 통신을 위한 무선음성망 모두를 이용한 음성 합성 통화 방법으로서, A voice synthesis call method using both a mobile Internet network for data communication and a wireless voice network for voice communication, 상기 무선 음성망에 접속하는 단계;Accessing the wireless voice network;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Transmitting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Receiving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And 상기 수신한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음성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converted voice data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음성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는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transmitting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소정의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이전의 변환 음성 데이터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previous converted speech data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ext data in a storage unit;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가 상기 저장부 내에 존재하는지 판단하는 단계;Determining whether the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변환 음성 데이터를 상기 무선 음성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및Transmitting the converted voice data through the wireless voice network when the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xt data exists in the storage unit; and 상기 저장부 내에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입력받은 문자 데이터를 상기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문자-음성 변환(TTS) 클라이언트부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 And transmitting the received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client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when the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text data does not exist in the storage unit. Characterized by voice synthesis call method.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송신 단계 및 상기 수신 단계는 휴대인터넷망 모뎀을 통해 상기 휴대인 터넷망에서 문자 데이터 및 음성 데이터를 각각 송수신하고The transmitting step and the receiving step transmit and receive text data and voice data in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through 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상기 전송 단계는 무선음성망 모뎀을 통해 상기 무선음성망에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 And the transmitting step transmits the voice data in the wireless voice network through a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제 9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 송신시, 사용자 인증을 위해 요구되는 아이디와 암호를 먼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 When the input text data to the text-to-speech (TTS) server, the step of first confirming the ID and password required for user authentication; voice synthesis call method further comprising. 무선음성망에서 통신하기 위한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음성 입력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a voice input unit to a line-in terminal of a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for communication in a wireless voice network; 상기 무선음성망 모뎀의 Line-out 단자에 음성 청취부를 연결하는 단계;Connecting a voice listening unit to a line-out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휴대인터넷망을 통해 입력 문자 데이터를 문자-음성 변환(TTS)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입력 문자 데이터에 상응하는 변환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휴대인터넷망 모뎀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음성 데이터를 재생하는 출력부를 상기 무선 음성망 모뎀의 Line-in 단자에 연결하는 단계; 및Transmitting input text data to a text-to-speech (TTS) server via a mobile Internet network, and reproducing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a portable Internet network modem for receiving converted voice data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xt data from the server. Connecting an output unit to a line-in terminal of the wireless voice network modem; And 상기 출력부를 상기 음성 청취부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Connecting the output unit to the voice listening unit.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상기 휴대인터넷망은 Wibro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The portable Internet network is a voice synthesis call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Wibro network. 제 9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3, 상기 무선 음성망은 CDMA 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 합성 통화 방법.And said wireless voice network is a CDMA network.
KR1020050074441A 2005-08-12 2005-08-12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KR1006399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441A KR100639998B1 (en) 2005-08-12 2005-08-12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441A KR100639998B1 (en) 2005-08-12 2005-08-12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998B1 true KR100639998B1 (en) 2006-11-01

Family

ID=37621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441A KR100639998B1 (en) 2005-08-12 2005-08-12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998B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61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forwarding voice signals
EP2095250B1 (en) Wireless server based text to speech email
US6601031B1 (en) Speech recognition front end controller to voice mail systems
US7400712B2 (en) Network provided information using text-to-speech and speech recognition and text or speech activated network control sequences for complimentary feature access
US869346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bridging calls or data between heterogeneous network domains
TWI333778B (en) Method and system for enhanced conferencing using instant messaging
US20100299150A1 (en) Language Translation System
US20050180464A1 (en) Audio communication with a computer
US20070190987A1 (en) Voicemail short message service method and means and a subscriber terminal
US20020097692A1 (en) User interface for a mobile station
RU2376727C2 (e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sound communication with possibility of noiseless selection and transmission of audio messages
JP2003524958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and transmitting email communication using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JP2010505134A (en) Voice and text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00151915A1 (en) Headset or Hands-free Set for Mobile Telephones Monitoring Voice Mail Messages in Real-Time and Offering the Option to Take Over Conversation with the Caller
US72776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minimising bandwidth utilisation in a wireless interactive voice response system
CN101510917B (en) Silent call method for mobile terminal
US7319742B2 (en) Voice information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and method
JP2004159335A (en) Automatic interpretation system and method for tripartite talking scheme
US7164934B2 (en) Mobile telephone having voice recording, playback and automatic voice dial pad
KR100650060B1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adjusting automatically call volume of receiving device
US942008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ivacy for telephone conversations
US20160234384A1 (en) Efficient allocation and usage of communication channels for text streams
JPH09116940A (en) Computer-telephone integral system
KR100639998B1 (en) Dual-mode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voice call system with text-to-speech generation
US20050122959A1 (en) Enhanced telecommunic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