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496B1 -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496B1
KR100639496B1 KR1020050044897A KR20050044897A KR100639496B1 KR 100639496 B1 KR100639496 B1 KR 100639496B1 KR 1020050044897 A KR1020050044897 A KR 1020050044897A KR 20050044897 A KR20050044897 A KR 20050044897A KR 100639496 B1 KR100639496 B1 KR 100639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memory area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erso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89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봉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4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49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49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 H04M1/67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 H04M1/67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from a telephone set by electronic means the user being required to key in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6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using a memory through logging in by each user in a mobile terminal are provided to assign an ID and a password to each user so that each user can commonly use a mobile terminal. Each user sets his/her ID and a password and stores them in a mobile terminal(303). When a particular user logs in the mobile terminal by using his/her set ID and password(306), data existing in a memory region of the corresponding user is read and copied to a common memory region(309). As the data is coped to the common memory region, the user can use a function of the mobile terminal(312).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Method and apparatus for memory usage by user logi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torage unit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별로 로그인을 하여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terminal by logging in for each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이동통신단말기 112A - 아이디/패스워드 저장부100-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12A-ID / password storage unit

103 - 제어부 112B - 개인 메모리 영역103-control unit 112B-private memory area

106 - 입력부 112C - 공통 메모리 영역106-Input 112C-Common Memory Area

109 - 표시부 115 - RF 송수신부109-display unit 115-RF transceiver

112 - 저장부 118 - 오디오 변환부112-Storage 118-Audio Conver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별로 로그인을 해서 사용할 수 있는 공용 이동통신단말기에서 각 개개인의 메모리 영역을 따로 할당하고 보호하여 줌으로써 자신의 개인정보를 유출하거나 삭제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공용으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memory through a user logi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re specifically, by allocating and protecting a memory area of each individual in a publi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by logging in for each us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mory usage method and apparatus through a user-specific logi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conveniently us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out leaking or deleting its personal informa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보급이 확산되고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의 부가서비스를 유용하게 이용하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또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 세계적인 폭발적인 수요에 힘입은 활발한 연구활동의 결과로 그 기능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단말기의 외형에 있어서는 휴대를 편리하게 하기 위해 단말기의 크기는 작아지고 무게 또한 가볍게 개선되고 있으며, 단말기의 내적 기능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인터넷 검색, 무선 데이터 통신, 전자수첩 기능 등 매우 다양한 기능이 구현되어 사용자들에게 편리함을 제공하였다. 또한, 사람들은 차를 가지고 운전을 할 때에도 이동통신단말기를 항상 휴대하고 다녔으며, 운전 중 네비게이션 또는 음악의 제공 등의 다양한 기능등으로 사용자가 운전 중에도 단말기의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As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s spread and the use of them has become more common, more and more people use useful service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addi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developing rapidly as a result of active research activities driven by explosive demand around the world. In other words, in terms of the appearance of the terminal, the size of the terminal has been reduced and the weight has been lightly improved for convenient portability. The function has been implemented to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In addition, people always carry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ven when driving with a car, and users can conveniently use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while driving with various functions such as navigation or providing music while driving.

하지만, 이렇게 기능이 있는 단말기일수록 단말기 기기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학생들이나 금전적인 여유가 없는 사람들에게는 단말기 기기를 구입하는 것이 여간 부담스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한개의 단말기를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하여두고 같이 공유해서 쓰게 함으로써 단말기기 가격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에 제안되었으나 종래의 기술은 사용자가 바뀌는 경우에 그 전 사용자가 사용했던 모든 정보를 그 다음 사용자가 볼 수 있었기 때문에 개인 정보를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사용자가 바뀌는 경우에는 그 전의 정보를 모두 지우고 사용해야 한다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a terminal having such a function has a higher price of a terminal device, it is not burdensome for a student or a person who cannot afford to buy a terminal device. Therefore, in order to secure such a problem, a single terminal is set to share the same ID and password, so that the burden on the price of the terminal device has been reduced, and a method for using the terminal has been proposed.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you can not protect your personal information because the next user was able to see all the information used by the previous user, and when the user changes, there is a cumbersome problem of deleting and using all previous informa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하여 여러명이서 함께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memory for each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used together by providing a user ID and password for each user when using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여러명이서 함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각 개인별로 개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여 줌으로써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고, 사용자가 바뀌는 경우에도 그 전에 정보를 모두 지울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number of people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by allocating a personal memory area for each individual, even if the user changes all the information before the erase It is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memory through user-specific logi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necessity.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 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하고 특정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공통 메모리 영역에 복사한다. 이때, 상기 개인 메모리 영역은 사용자 별로 할당되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사용자별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통 메모리 영역은 사용자별 전화부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전화부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사용자별로 보안 설정이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sets an ID and a password for each user, and when a specific user logs in using the preset ID and password, copies the data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to the common memory area.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personal memory area is allocated for each user, and the size of the memory area available for each user can be arbitrarily set by the user. In addition, the common memory area stores a phone book for each user, and the phone book may be set for each user according to a user's discretion.

해당 단말기의 서비스 이용을 종료한 이후에 로그아웃을 하면 공통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저장한다.When the user logs out after the service of the terminal is terminated, data in the common memory area is stored in the personal memory area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은,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복조기와 송신증폭기와 수신증폭기를 포함하는 RF 송수신부와,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데이터 및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별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개인 메모리 영역과 공통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되어있는 저장부와,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오디오 변환부와,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키 입력부와,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공통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n RF transceiver including a modulator, a demodulator, a transmission amplifier and a reception amplifi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a base station,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various display data and text messages generate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t consists of a memory device for storing programs and data, and is divided into a personal memory area for storing user's personal information and a common memory area, and amplifi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converts it into a digital signal. And an audio converter for converting and amplifying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ting the same to a speaker; A key input unit having a back and the like, and controlling the above components When the user logs in using an ID and a password,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read data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and copy the data to the common memory area.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개인 메모리 영역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개인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별로 임의로 설정 가능하다.The storage unit stores user IDs and passwords. The storage unit may have a different personal memory area for each user, and the size of the personal memory area may be arbitrarily set for each user.

삭제delete

상기 저장부는 전화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화부는 사용자 별로 메모리 영역이 구분되어 있고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보안 설정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전화부의 보안설정을 공개로 해놓았으면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전화부의 보안설정을 비공개로 해놓았으면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제어한다. 또한, 서비스 이용을 마친 후에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공통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The storage unit may include a telephone unit, and the telephone unit may be divided into memory areas for each user, and security settings may be made according to an arbitrary user. In this case, if the user sets the security setting of the phone book to be public,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phone book information of the user to another user. Control not to view the phone book information of the user. In addition, when the user logs out after using the service, the controller controls to store data in the common memory area of the storage unit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하 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내부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저장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n intern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storage uni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기지국과 이동교환국 및 단문메시지 센터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하여, 변조기(Modulator)와 송신 증폭기를 포함한 송신기와 수신 증폭기와 복조기(Demodulator)를 포함하는 수신기를 가지는 RF 송수신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수신부는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원하는 신호를 증폭하며, 중간 주파수를 거쳐서 디지털 신호를 생성시키며, 이 디지털 신호는 제어부(103)에서 분석되고 처리된다. 또한 상기 RF 송수신부(115)의 송신부는 제어부(103)에서 생성된 신호를 원하는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시켜 증폭시키며, 최종적으로 도시하지 않은 듀플렉서를 거쳐 안테나로 방사된다. Although not show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transmits and receives signals to and from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base station, a mobile switching center, and a short message center. A transmitter, a receive amplifier, and a demodulator including a modulator and a transmission amplifier are used. It includes an RF transceiver 115 having a receiver including a. The receiver of the RF transceiver 115 suppresses amplification of noise as much as possible, amplifies a desired signal, generates a digital signal through an intermediate frequency, and the digital signal is analyzed and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03. In addition, the transmitter of the RF transceiver 115 modulates and amplifies a signal generated by the controller 103 in a desired frequency band, and is finally radiated to an antenna via a duplexer (not shown).

표시부(109)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100)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 데이터 및 문자 메시지 등을 출력한다. The display unit 109 may be formed of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or the like, and outputs various display data and text messages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100.

입력부(106)는 키패드(Key pad)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다. The input unit 106 may include a keypad or the lik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numeric / character input keys, a function key for interfacing with a user, a key for a call, and the like.

오디오 변환부(118)는 디지털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스피커로 송출하거나 마이크로폰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audio converter 118 converts a digital signal into voice and transmits it to a speaker or converts a voice received through a microphone into a digital signal.

저장부(112)는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ROM) 및 음성 메모리 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사용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112A)와 개인 메모리 영역(112B)과 여러 사람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공통 메모리 영역(112C)으로 구분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용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는 저장부(112)에는 사용자별 개인 데이터 및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저장되어 있다. 이때 상기 개인 데이터는 사용자별 개인 메모리 영역(112B)에 저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개인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 별로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unit 112 includes a read only memory (ROM) and a voice memory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unit 112A stores individual user IDs and passwords, and is divided into a personal memory area 112B and a common memory area 112C that can be used by several people. In addition, the storage unit 112 storing IDs and passwords for each user stores personal data for each user and IDs and passwords. In this case, the personal data is preferably stored in the personal memory area 112B for each user, and the size of the personal memory area may be arbitrarily set for each user.

즉,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저장부(112)는 각각의 사용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112A)를 저장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사용자A로부터 아이디와 패스워드가 입력되었다면 사용자 A에 해당하는 데이터 영역을 읽어들여 개인 메모리 영역(112B)로부터 읽어들여 사용자 A의 데이터 영역에 포함되어있는 개인 데이터를 공통 메모리 영역(112C)에 복사하게 되고, 사용자는 단말기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2, the storage unit 112 stores user IDs and passwords 112A for each user. For example, if an ID and password are input from user A, a data area corresponding to user A is read. By reading from the personal memory area 112B, the personal data contained in the data area of the user A is copied to the common memory area 112C, and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s of the terminal.

또한 상기 공통 메모리 영역(112C)에는 사용자별 전화부를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전화부는 사용자별로 보안설정이 가능하다. 이때, 만약 한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부의 보안설정을 공개로 설정해 놓았다면, 제어부(103)는 다른 사용자도 해당 사용자의 전화부를 볼 수 있도록 제어하고, 만약 한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부의 보안설정을 비공개로 설정해 놓았다면 해당 전화부의 정보가 다른 사용자에게 유출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In addition, the common memory area 112C stores a user-specific phone book, and the phone book may be set for each user. At this time, if one user has set the security settings of his phone book to the public, the control unit 103 controls other users to see the phone book of the user, and if a user private security settings of his phone book If set to, the information in the phone book is controlled so that it is not leaked to other users.

제어부(103)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며,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와 마이크로 프로세서 및 다른 회로들을 포함하며 송신기와 수신기를 제어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스피커와 마이크로폰을 통해 다른 사용자와의 음성 통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하면, 해당 사용자에게 할당되어있는 개인 메모리 영역(112B)에 있는 데이터를 공통 메모리 영역(112C)에 복사하도록 제어한다. The controller 103 controls the above components, and includes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a microprocessor, and other circuits, and controls a transmitter and a receiver so that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er can communicate with other users through a speaker and a microphone. To make a voice call.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enters an ID and password and logs in, it controls to copy the data in the personal memory area 112B allocated to the user to the common memory area 112C.

또한, 상기 제어부(103)는 사용자가 서비스 이용을 마치고 로그아웃을 할 경우에는 공통 메모리 영역(112C)에 복사해 놓았던 개인 데이터 정보를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112B)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In addition, when the user logs out after using the service, the controller 103 controls to store the personal data information copied to the common memory area 112C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112B.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하여 단말기를 공용으로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process of using the terminal in common through the user-specific logi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용자별로 로그인을 하여 단말기를 사용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terminal by logging in for each us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먼저 미리 사용자 별로 자신의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하여 두고 이를 단말기 내부에 저장하여 둔다(단계 303). 이때, 사용자별 개인 메모리 영역의 크기도 사용자별로 설정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ser first sets his or her ID and password for each user in advance and stores it in the terminal (step 303).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set the size of the personal memory area for each user.

특정 사용자가 자신이 기 설정해 놓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을 하면(단계 306),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이를 공통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게 된다(단계 309).When a specific user logs in using his or her preset ID and password (step 306), the user reads data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and copies it to the common memory area (step 309).

공통 메모리 영역에 복사가 되면, 사용자는 단말기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단계 312). If copied to the common memory area, the user can use the function of the terminal (step 312).

또한, 사용자가 상기 개인 데이터를 이용함에 있어서 자신이 자신의 데이터의 보안 설정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공용의 전화부를 구성하여 여러명이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만, 전화부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각의 사용자는 사용자별로 자신의 전화부의 보안 설정을 할 수 있는 옵션을 가지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부 정보를 비공개로 설정해 놓았다면,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였을 경우에 현재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가 유출되지 않으며 사용자가 자신의 전화부 정보를 공개로 설정해 놓았다면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을 하였을 경우에 현재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는 공개되어 다른 사용자도 현재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를 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desirable for a user to use his or her personal data to enable security settings for his or her data. In addition, it is desirable to configure a common phone book so that several people can use it together. However, in using the phone book, each user has an option to set security of his / her own phone book for each user. For example, if a user has set his or her phone book information to be private, if another user logs in, the current user's phone book information will not be leaked, and if the user has set his or her phone book information to public, the other user will log in. In case of, the phone book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is disclosed so that other users can view the phone book information of the current user.

또한 사용자가 투 넘버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다면, 사용자는 각각 번호를 나누어 가질 수 있으며 사용자별로 저장되는 개인 데이터는 다른 사용자가 로그인 한 경우에는 보호가 되어, 다른 사용자에게 유출되지 않는다.In addition, if the user is using the two-number service, the user can have each number is divided and the personal data stored for each user is protected when the other user is logged in, and does not leak to other users.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가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As mentioned above, although this invention was demonstrated to the several example,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Exampl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invention.

이상 설명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할 경우에 사용자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부여하여 여러명이서 함께 단말기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y giving an ID and password for each user has an effect that can be used by multiple people togeth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는, 여러명이서 함께 이동통신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각각 개인별로 개인 메모리 영역을 할당하여 줌으로써 자신의 개인정보를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바뀌는 경우에도 그 전에 정보를 모두 지울 필요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In addition, another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number of people to protect their personal information by allocating a personal memory area for each individual, even if the user changes all the information before that It can be used conveniently without erasing.

Claims (15)

사용자 별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제 1단계;A first step of setting an ID and a password for each user; 특정 사용자가 상기 기 설정된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하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공통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는 제 2단계;If a specific user logs in using the preset ID and password, copying data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to the common memory area;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Memory usage method through the user-specific logi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개인 메모리 영역은 사용자 별로 할당되어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And the personal memory area is allocated for each user.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사용자별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The size of the memory area available for each user is a user can arbitrarily set the memory usage method by the user login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통 메모리 영역은 사용자별 전화부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The common memory area stores a user-specific telephone unit. The method of using a memory through user login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제 4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전화부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사용자별로 보안 설정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에서의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The phone unit is a memory usage method through the user-specific logi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urity setting is possible for each user according to the user's arbitrary.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제 2단계 이후에 로그아웃시 공통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는 단계,Storing data in the common memory area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upon logout after the second step,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을 통한 메모리 사용 방법.Memory usage method through the user-specific login,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변조기, 복조기와 송신증폭기와 수신증폭기를 포함하는 RF 송수신부와,An RF transceiver comprising a modulator, a demodulator, a transmission amplifier and a reception amplifi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with a base station;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발생되는 각종 표시데이터 및 문자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와,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various display data and text messages generat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다수의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소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용자별 개인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개인 메모리 영역과 공통 메모리 영역으로 구분되어있는 저장부와,A storage unit comprising a memory dev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programs and data, and divided into a personal memory area and a common memory area for storing personal information for each user; 마이크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스피커로 출력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오디오 변환부와,An audio converter which amplifies a voice signal input through a microphone and converts the voice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converts and amplifies the voice data received from the outside into an analog signal and outputs the result to a speaker; 복수개의 숫자/문자 입력키와 사용자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기능 키 및 통화를 위한 키 등을 구비하고 있는 키 입력부와,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numeric / character input keys, a function key for interfacing with a user, a key for calling, and the like; 상기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며, 사용자가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로그인 하면,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읽어들여 공통 메모리 영역에 복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A controller which controls the components and controls to read and copy the data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to the common memory area when the user logs in using an ID and a passwor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user-specific login function comprising a.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별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The storage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ogin function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for storing the user ID and password.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저장부는 사용자별로 각기 다른 개인 메모리 영역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개인 메모리 영역의 크기는 사용자별로 임의로 설정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The storage unit includes a different personal memory area for each user, and the size of the personal memory area can be arbitrarily set for each user. 삭제delete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8, 상기 저장부는 전화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전화부는 사용자 별로 메모리 영역이 구분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The storage unit includes a phone unit, wherein the phone unit has a user-specific logi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mory area is divided for each user. 제 1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전화부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보안 설정이 가능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The phone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urity setting is possible according to the user's mobile terminal.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사용자가 상기 전화부의 보안설정을 공개로 해놓았으면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에게 해당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If the user has made the phone book security setting public,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display the phone book information of the user to other users, 사용자가 상기 전화부의 보안설정을 비공개로 해놓았으면 상기 제어부는 다른 사용자가 해당 사용자의 전화부 정보를 볼 수 없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If the user has made the phone book security settings private, the control unit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login function for each user, characterized in that for controlling other users can not see the phone book information of the user. 제 8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사용자가 로그아웃을 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저장부의 공통 메모리 영역에 있는 데이터를 해당 사용자의 개인 메모리 영역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별 로그인 기능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When the user logs out, the control unit controls to store the data in the common memory area of the storage unit in the user's personal memory area, characterized in that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login function for each user.
KR1020050044897A 2005-05-27 2005-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KR10063949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97A KR100639496B1 (en) 2005-05-27 2005-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897A KR100639496B1 (en) 2005-05-27 2005-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496B1 true KR100639496B1 (en) 2006-10-27

Family

ID=37621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897A KR100639496B1 (en) 2005-05-27 2005-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49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657A (en) 2020-02-10 2021-08-19 백기락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login of platform ser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1657A (en) 2020-02-10 2021-08-19 백기락 Control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login of platform 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126873A1 (en) Apparatus for generating magnetic field in portable wireless terminal for the hearing impaired
CA1175933A (en) Subscriber telephone station
KR10063949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memory by according to the user logged in in mobile phone
CN101150747A (en) Multi-function media playing device
JP3438021B2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1241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details of outgoing and incoming calls by using gps in mobile phone
KR20040051132A (en) Multi-user hand-phone
JPH11136323A (en) Communication terminal equipment
JP2001177876A (en) Portable telephone set
KR20070063759A (en) Method for converting text message to speech
JP2002111810A (en) Dual mobile telephone and its use system
KR20070062636A (en) Method for setting password per function in mobile phone
KR10062907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calling with the other people according to request and its method
KR20050087234A (en) Mobile phone with fm transmitter module
KR100776967B1 (en) Method for private life protection in portable terminal
JP2954158B1 (en) PHS terminal
KR20050061945A (en) Method for rejecting calls by using group information in mobile phone
KR200700117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aving images in connection with telephone directory during a video call
KR100564027B1 (en) Method for saving contents in mobile phone
KR0185641B1 (en) Memory dialing apparatus
KR20070060177A (en) Method for informing user of absent call by email in mobile phone
KR20050057812A (en) Method for setting events in mobile phone
JP2005217960A (en) Mobile phone
KR101067713B1 (en) Method for execute of morning call sen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343145Y1 (en) One Way Dual 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