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9248B1 -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9248B1
KR100639248B1 KR1020050082074A KR20050082074A KR100639248B1 KR 100639248 B1 KR100639248 B1 KR 100639248B1 KR 1020050082074 A KR1020050082074 A KR 1020050082074A KR 20050082074 A KR20050082074 A KR 20050082074A KR 100639248 B1 KR100639248 B1 KR 100639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ssage
notification
buffering
network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숙
Original Assignee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노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노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2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924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9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9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8/00User notification, e.g. alerting and paging, for incoming communication, change of service or the like
    • H04W68/005Transmission of information for alerting of incoming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의 전송 시에 노티피케이션 메시지 전송에 의한 병목현상을 최소화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원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이엠에스(EMS: Element Management System)로부터 분류된 메시지를 전송받아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시지처리부에서 출력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저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동통신 망, 네트워크, 코바에이전트, 노티피케이션 서비스, 버퍼링

Description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Message transmission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management and the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망 관리를 위한 코바에이전트(CORBA Agent)에 의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원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처리과정 중 메시지전송과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 망 구성요소 2: EMS(Element Management System)
3: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
4: NMS(Network Management System)
10, 100: 메시지관리부 10', 100' : 메시지처리부
11, 101: 구성메시지처리부(BasicCMIRP: Basic Configuration Integrated Reference Point)(11)
12, 102: 상태메시지처리부(BulkCMIRP: Bulk Configuration Management Integrated Reference Point)
13, 103: 장애메시지처리부(AlarmIRP: Alarm Integrated Reference Point)
14, 104: 통계메시지처리부(PmBase: Performance Management Base)
15: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
110: 버퍼부 120: 메시지전송부
130: 타이머 140: 카운터
150: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
본원 발명은 네트워크 관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에서 전송되는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의 전송 시에 노티피케이션 메시지 전송에 의한 병목현상을 최소화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규모의 종합 정보 통신망을 운용하고 있는 공중 통신망에서는 집중화 및 자동화가 통신망을 구성하는 필수 구성요소로 등장하였다. 이에 따라 각 통신망을 구성하는 구성요소(Element)에 대한 관리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성에 따라 ITU-T에서는 요소관리시스템(EMS: Element Management System)을 제안하였다. 즉, 요소관리시스템(EMS: Element Management System)은 EMS서버가 TCP프로토콜에 의해 통신망에 접속된 상태에서 SNMP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망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한 제어 및 망 감시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술한 이동통신 망 관리는 3GPP에서 TS 32시리즈로 제시하여 망 관리를 위안 메시지의 전송을 코바에이전트(CORBA Agent)에 의해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코바플랫폼(CORBA platform)에서 제공하는 유틸리티 서비스(Utility service)인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를 사용하여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이동통신 망 관리를 위한 코바에이전트에 의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 시스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서 코바에이전트(CORBA Agent)를 메시지관리부(10)로 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는 데몬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의 설명에서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망에서의 망 관리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를 위한 시스템은, 각각의 망 구성요소(Network Element: NE1, NE2,....)(1)로부터 EMS(2)가 수집한 구성정보메시지, 상태정보메시지, 장애메시지, 통계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하여 NMS(Network Management System)(4)으로 전송하는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가 구성된다.
즉,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는 망 요소(NE: Network Element)가 출력하는 모든 메시지와 자체 동작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특정 형식의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15)로 만들어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로 전송하고,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는 수신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15)를 NMS(4)로 전송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정보메시지, 상태정보메시지, 장애메시지, 통계메시지의 처리를 위하여 메시지관리부(10)에는 구성메시지처리부(BasicCMIRP: Basic Configuration Integrated Reference Point)(11), 상태메시지처리부(BulkCMIRP: Bulk Configuration Management Integrated Reference Point)(12), 장애메시지처리부(AlarmIRP: Alarm Integrated Reference Point)(13), 통계메시지처리부(PmBase: Performance Management Base)(14)로 구성되는 메시지처리부(CORBA Agent)(10')가 구비된다.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이동통신 망 관리를 위한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망 관리를 위하여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는 망 구성요소(NE1, NE2, NE3.....)(1)를 관리하는 시스템인 EMS(2)로부터 여러 메시지를 수신하여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15)로 변환한 후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로 전송한다.
이때, EMS(2)는 망 구성요소(1)들의 출력 메시지를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의 메시지처리부(10')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에 따라서 구성메시지 (BasicCMIRP message: Basic Configuration Integrated Reference Point message), 상태메시지(BulkCMIRP message: Bulk Configuration Management Integrated Reference Point message), 장애메시지(AlarmIRP: Alarm Integrated Reference Point message), 통계메시지(PmBase message: Performance Management Base message)로 분류하여 메시지관리부(10)로 전송한다.
이후 메시지관리부(10)의 각 메시지처리부(10')는 메시지 한 개를 수신할 때마다 노피티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NMS(4)로 전송하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이동통신 망 구성요소(1)들은 특정 장애가 발생했을 경우, 해당 장애로 인해 관련되는 메시지들이 짧은 시간에 거의 동시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망 구성요소(1)들은 정해진 시간(매 5분/매 60분 등)에 모두 통계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이동통신 망은 관리되는 망 구성요소(1)가 다수이므로 장애가 다수의 망 구성요소(1)에서 발생하는 경우 메시지 폭주 상황이 나타날 가능성이 있다. 이 경우, NMS(4)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15)를 전송하는 중개 역할을 하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에는 심한 부하가 걸리게 되며, 이로 인해 제때에 전송되지 못하는 노티피케이션 메시지(15)들은 이동통신 망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상에서 병목현상으로 작용하게 되며, 이로 인해 메시지관리부(10)의 메시지처리부(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에서도 처리해야 할 메시지들이 누적/지연되므로 전체 이동통신 망 관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의 전송 시에 전송될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버퍼링한 후 일정 조건이 만족하는 경우 버퍼링 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들을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로 만들어 한번에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부하를 최소화하고 이로 인한 네트워크 병목 현상을 제거함으로써 네트워크 관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이엠에스(EMS: Element Management System)로부터 분류된 메시지를 전송받아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시지처리부에서 출력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저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버퍼부에 버퍼링된 메시지의 전송시간을 알리는 타이머와, 상기 버퍼링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타이머의 버퍼링 시간이 종료되는 경우, 또는 버퍼링 되 는 메시지가 일정 개수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전송부가 상기 버퍼링된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로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로 전송한다.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관리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 망을 구성하는 망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류되어 전송되는 메시지들을 버퍼링하는 메시지버퍼링과정과; 상기 버퍼링되는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전송판단과정과; 상기 전송판단과정의 판단결과 상기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네트워크관리를 위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버퍼링과정은, 상기 메시지의 버퍼링이 시작된 후, 상기 버퍼링 경과 시간의 측정을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는 타이머구동과정과; 상기 버퍼링 개수의 측정을 위한 카운터를 구동하는 카운터구동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시지전송은 지정된 버퍼링 개수와 버퍼링 시간 중 어느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메시지전송과정은 상기 버퍼링된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로 재조합하는 배열 메시지 생성과정과; 상기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를 전송한 후 상기 버퍼와 상기 버퍼링 개수의 저장 값과 상기 버퍼링 시간 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네트워크는 이동통신 망, 랜 망 등 다수의 클라이언트 노드를 가지는 망을 말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원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 2 내지 도 6은 이동통신 망을 일 예로 한 것으로서, 코바에이전트(CORBA Agent)는 메시지관리부(10)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 시스템은, 각각의 망 구성요소(Network Element: NE1, NE2,....)(1)로부터 EMS(2)가 수집한 구성정보메시지, 상태정보메시지, 장애메시지, 통계메시지를 수신한 후 이를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하여 NMS(Network Management System)(4)으로 전송하는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0)가 구성된다.
상기 EMS(Element Management System)(2)는 망 구성요소(NE1, NE2,....)(1)를 관리하는 로컬 운용 시스템으로서, 각각의 망 구성요소(1)를 직접 제어하고 망 요소가 출력하는 여러 구성/상태/장애/통계 메시지를 수신하여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술한 EMS(2)는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0)로 망 구성요소(1)의 출력 메시지들을 각각 관리를 위해 분류된 기준에 따라 분류하여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는 망 3GPP 표준에 정의된 망 연동 규격을 만족하는 CORBA 기반의 Agent 시스템으로서 망 구성요소(NE: Network Element)(1)가 출력하는 모든 메시지와 자체 동작 상황에 대한 메시지를 특정 형식의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로 만들어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로 전송하고,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는 수신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150)로 만들어 NMS(4)로 전송한다.
상기 메시지관리부(100)에는 구성정보메시지, 상태정보메시지, 장애메시지, 통계메시지의 처리를 위하여 구성메시지처리부(BasicCMIRP: Basic Configuration Integrated Reference Point)(101), 상태메시지처리부(BulkCMIRP: Bulk Configuration Management Integrated Reference Point)(102), 장애메시지처리부(AlarmIRP: Alarm Integrated Reference Point)(103), 통계메시지처리부(PmBase: Performance Management Base)(104)로 구성되는 메시처리부(100')와; 상기 메시지처리부(100')의 출력 메시지를 버퍼링하는 버퍼부(110)와; 상기 버퍼부(110)에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150)를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부(12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메시지전송부(120)가 버퍼부(110)에 저장되는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150)로 생성하여 전송해야하는 전송 시점을 알리는 타이머(130)와 카운터(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구성메시지처리부(BasicCMIRP: Basic Configuration Integrated Reference Point)(101)는 망 요소의 구성/상태 정보 관리 및 변경 사항을 NMS(4)로 통지한다.
상태메시지처리부(BulkCMIRP: Bulk Configuration Management Integrated Reference Point)(102)는 망 요소의 구성정보를 대용량 파일(Bulk file)로 생성하여 대량으로 출력(Export)하는 것에 의해 NMS(4)로 통지한다.
장애메시지처리부(AlarmIRP: Alarm Integrated Reference Point)(103)는 망 요소에서 발생하는 모든 알람 정보를 NMS로 통지한다.
통계메시지처리부(PmBase: Performance Management Base)(104)는 CORBA 플랫폼에서 제공되는 유틸리티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으로서 망 요소의 통계 메시지를 수신하여 NMS로 통지하는 것으로서, 수신된 통계 메시지를 기 설정된 방식의 대용량 파일 형태로 생성하여 NMS(4)로 전송한다. 즉, 송신자와 수신자가 상호 연결을 위한 정보를 알 필요 없이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상기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0)(100)가 공급자(Supplier)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에 등록하여 메시지를 전송하고, NMS(4)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에 소비자(Consumer)로 등록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에 도착하는 메시지를 수신한다.
상기 버퍼부(Buffer)(110)는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0)가 NMS(4)로 전달할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임시로 저장해두는 저장소이다. 상기 버퍼부(110)는 시스템의 성격에 따라 파일 또는 메모리로 구현 가능하다.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0)는 EMS(2)로부터 망 구성요소(1)들의 상태를 알리는 메시지(Notification)가 수신되면 일단 버퍼에 저장한 후 다음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100)는 EMS(2)로부터 수신한 망 구성요소(1)들의 메시지(Notification)가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3)에 전송되기까지 기다릴 필요가 없으므로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에 걸리는 부하에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상기 메시지전송부(120)는 상기 버퍼부(110)에 쌓이는 메시지(Notification)들을 감시 및 처리하는 것으로서 버퍼부(110)에 메시지(노티피케이션: Notification)가 저장되기 시작되는 경우 구동된 타이머(130)에 의해 일정 경과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버퍼부(110)에 메시지(노티피케이션: Notification)가 저장되기 시작하는 경우 구동된 카운터(140)가 카운터한 저장된 메시지의 개수가 일정 개수를 초과한 경우 해당 메시지(Notification)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로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한다. 한다. 상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메시지전송부(120)는 데몬 프로세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NMS(Network Management System)(4)는 전체 망 요소를 통합 관리하는 최상위 시스템으로서, 상기 이동통신 망의 망 구성요소(1)를 통합관리하며 이를 위하여 모든 이동통신 망의 망 구성요소(1)는 NMS(Network Management System)(4)와의 연동을 위하여 망 관리를 이한 에이전트(Agent) 시스템을 제공하여야 한다. 본원 발명에서 상기 에이전트 시스템은 메시지관리부(100)가 된다.
도 3은 본원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처리과정 중 메시지전송과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발명의 본원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은 네트워크 관리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망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류되어 전송되는 메시지를 들을 버퍼링하는 메시지버퍼링과정(S1)과; 상기 버퍼링되는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전송판단과정(S2)과; 상기 전송판단과정의 판단결과 상기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네트워크관리를 위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과정(S3)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S3과정의 메시지전송과정은 도 3의 S2과정의 판단 결과 버퍼링된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로 재조합하는 배열 메시지 생성과정(S31)과; 상기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를 전송한 후 상기 버퍼와 상기 버퍼링 개수의 저장 값과 상기 버퍼링 시간 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S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 및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원 발명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의 동작 과정 및 방법의 상세 처리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은 각 메시지관리부(100)의 메시지처리부(100')를 구성하는 구성메시지처리부(BasicCMIRP: Basic Configuration Integrated Reference Point)(101), 상태메시지처리부(BulkCMIRP: Bulk Configuration Management Integrated Reference Point)(102), 장애메시지처리부(AlarmIRP: Alarm Integrated Reference Point)(103), 통계메시지처리부(PmBase: Performance Management Base)(104)가 이동통신 망의 망 구성요소(1)가 출력한 장애/통계/구성/상태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시작된다. 즉,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메시지관리부(100)는 각각의 망 구성요소(Network Element: NE1, NE2,....)(1)로부터 발생하는 메시지를 EMS(2)가 수집한 후 구성정보메시지, 상태정보메시지, 장애메시지, 통계메시지로 분류하여 전송하면, 수신된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로 생성한 후 버퍼부(110)에 저장한다. 즉, 메시지처리부(100')의 각 구성요소는 NMS(4)와 약속된 특정 형식의 노티피케이션 메시지(Notification Message)를 생성하여 버퍼에 쌓기만 하고 돌아가서 다음 동작을 취한다. 그리고 메시지처리부(100')는 이후 해당 노티피케이션 메시지의 전송에는 관여하지 않는다. 이때 처음 버퍼링이 수행되는 순간 타이머(130)를 구동하고(타이머구동과정), 카운터(140)를 구동한다(카운터구동과정)(S1).
이 후, 메시지전송부(130)는 상기 타이머(130)와 카운터(140)를 계속 모니터링 하여 버퍼링된 경과 시간을 알리는 타이머(130)와 버퍼링된 메시지 개수를 알리는 카운터(140)에서 출력되는 버퍼링 경과시간 또는 버퍼링 개수 값이 기 설정된 메시지 전송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메시지 전송 조건은 버퍼링 이후 일정 시간이 경과되는 경우 또는 버퍼링 이후 일정 개수 이상의 노티피케이션 메시지가 버퍼링된 경우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150) 를 생성하여 전송하도록 기 설정된 조건을 말하며, 상기 조건의 판단은 메시지전송부(120)가 타이머(130)와 카운터(140)를 이용하여 판단한다(S2).
S2과정의 판단 결과 버퍼링 이 후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메시지전송부(120)가 버퍼링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15)로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한다(메시지전송과정)(S3)
도 4는 도 3의 S3과정의 상세 처리과정을 나타내는 서브루틴도로서 도 4를 참조하여 S3과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의 S2과정의 판단 결과 버퍼링 이 후 일정 시간이 경과 하였거나 또는 일정 개수 이상의 메시지가 버퍼부(110)에 버퍼링된 경우 메시지 전송부(120)는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150)를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Notification Service)를 제공하는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로 전송한다(도 4 참조).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3)는 수신된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150)를 NMS(Network Management System)(4)으로 전송함으로써 이동통신 망을 통합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메시지 전송과정)(S31).
그리고 S31과정 이후 버퍼부(110)에 버퍼링된 메시지가 모두 전송된 후에 메시지전송부(130)는 버퍼부(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고, 타이머(130)의 시간과 카운터(140)의 버퍼링 개수 값을 0으로 설정하는 초기화과정을 수행한 후 다음 메시지의 전송을 준비한다(S32).
상술한 본원 발명의 이동통신 망 등의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의 전송 시에 전송될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버퍼링 한 후 일정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를 생성하여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로 전송함으로써 노티피케이션 서비스부(Notification Service)에 부하가 걸리는 경우에도 메시지관리부(CORBA Agent)의 자체 처리 성능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되므로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써 네트워크 관리를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6)

  1.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이엠에스(EMS: Element Management System)로부터 분류된 메시지를 전송받아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메시지처리부와;
    상기 메시지처리부에서 출력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저장하는 버퍼부와;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노티피케이션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를 생성하여 일괄 전송하는 메시지전송 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전송부는,
    상기 버퍼부에 버퍼링된 메시지의 전송시간을 알리는 타이머와;
    상기 버퍼링 메시지의 개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3. 네트워크 관리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망 구성요소들로부터 분류되어 전송되는 메시지들을 버퍼링하는 메시지버퍼링과정과;
    상기 버퍼링되는 메시지의 전송을 위해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 조건을 만족하는 지를 판단하는 전송판단과정과;
    상기 전송판단과정의 판단결과 상기 버퍼링된 메시지가 일정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상기 메시지를 네트워크관리를 위한 상위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메시지전송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버퍼링과정은 상기 메시지의 버퍼링이 시작된 후,
    상기 버퍼링 경과 시간의 측정을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는 타이머구동과정과;
    상기 버퍼링 개수의 측정을 위한 카운터를 구동하는 카운터구동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전송과정은,
    상기 타이머가 일정시간 경과한 경우와, 상기 카운터가 일정 개수 이상을 카운터한 경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경우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전송과정은,
    상기 버퍼링된 메시지를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로 재조합하는 배열 메시지 생성과정과;
    상기 노티피케이션 배열 메시지(Notification Array Message)를 전송한 후 상기 버퍼와 상기 버퍼링 개수의 저장 값과 상기 버퍼링 시간 값을 초기화하는 초기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1020050082074A 2005-09-05 2005-09-05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KR100639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74A KR100639248B1 (ko) 2005-09-05 2005-09-05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2074A KR100639248B1 (ko) 2005-09-05 2005-09-05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9248B1 true KR100639248B1 (ko) 2006-10-27

Family

ID=37621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2074A KR100639248B1 (ko) 2005-09-05 2005-09-05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92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917B1 (ko) 2011-06-30 2017-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917B1 (ko) 2011-06-30 2017-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네트워크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93528B2 (ja) 分散ネットワーク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849920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status of objects in computer networks using virtual state machines
US706948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dentifying problems in computer networks
US10333724B2 (en) Method and system for low-overhead latency profiling
US20050235058A1 (en) Multi-network monitoring architecture
US6430613B1 (en) Process and system for network and system management
US729619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aining the status of objects in computer networks using virtual state machines
US20060168263A1 (en) Monitoring telecommunication network elements
EP1976185B1 (en) Operating network entities in a communication system comprising a management network with agent and management levels
DK2544406T3 (en) Procedure and event notification correlation handling agent
US75960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a communication link
KR20150090216A (ko) 암호화된 세션 모니터링
EP2034662A1 (en) Self monitoring of managed entities in a telecommunication network
JP2023523472A (ja) ネットワーク性能監視方法、ネットワークデバイス、および記憶媒体
EP1622310A2 (en) Administration system for network management systems
KR100639248B1 (ko) 네트워크 관리를 위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 방법
CN105592485A (zh) 一种基于snmp网管协议实时采集并处理消息的方法
US71000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ult notification and correlation
US10129086B2 (en) Collection of performance data in a communications network
EP2678977B1 (en) System and method for error reporting in a network
US20230362078A1 (en)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object history collector management information base to curtail management traffic
KR20050076406A (ko) 통신 관리 네트워크에서 네트워크 소자에 대한 관리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146836B1 (ko) 매니저 고장시 관리 네트워크를 운영하기 위한 방법 및설비들
KR20010038494A (ko) 티엠엔 에이전트와 엠엠에스간의 접속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시스템 관리방법
Jagadish et al. Distributed control of event floods in a large telecom networ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