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927B1 -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927B1
KR100638927B1 KR1020050026932A KR20050026932A KR100638927B1 KR 100638927 B1 KR100638927 B1 KR 100638927B1 KR 1020050026932 A KR1020050026932 A KR 1020050026932A KR 20050026932 A KR20050026932 A KR 20050026932A KR 100638927 B1 KR100638927 B1 KR 100638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er
drum
air
base
foreign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6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4618A (ko
Inventor
명환주
이순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6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8927B1/ko
Publication of KR20060104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26B25/007Dust filtering; Exhaust dust fil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의류 건조기의 건조 드럼을 통과한 습증기가 블로어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동전 기타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 투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는 건조 드럼; 상기 건조 드럼으로부터 토출되는 습증기가 낙하하기 위한 드럼 공기 낙하홈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의 바닥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이물 낙하홈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으로 낙하된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건조 드럼 내부를 빠져 나가는 습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블로어 입구로 유입되어 블로어의 날개를 손상시키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베이스, 베이스 로어, 블로어, 이물 낙하홈

Description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Structure to prevent lint from going into blower of laundry dryer}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로 구조가 구비된 건조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로어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 어퍼를 보여주는 평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베이스 어퍼의 배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블로어 입구부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베이스의 확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건조기 11 : 캐비닛 12 : 도어
13 : 컨트롤 패널 14 : 건조 드럼 15 : 모터
16 : 히터 17 : 건조 덕트 20 : 베이스
21 : 베이스 로어 22 : 베이스 어퍼
본 발명은 의류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 의류 건조기의 건조 드럼을 통과한 습증기가 블로어로 흡입되는 과정에서 동전 기타 이물질이 함께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 투입 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드럼 건조기는 건조 드럼 내부에 젖은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고온 건조한 상태의 공기가 건조 드럼 내부를 순환하면서 세탁물을 건조시키는 가전 제품이다.
상세히, 상기 드럼 건조기는 건조 드럼과 히터를 순환하면서 드럼 내부의 세탁물을 건조하는 응축식 건조기와, 건조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에 의하여 가열된 다음 건조 드럼 내부로 유입되어 세탁물을 건조한 뒤 외부로 배출되는 배기식 건조기로 나뉘어진다.
더욱 상세히, 상기 배기식 건조기의 경우, 실내 공기가 유입되고 히터 및 드럼을 통과하여 린트 필터를 거치면서 보푸라기 등이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린트 필터를 거친 공기는 건조기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기통을 따라 다시 실내로 배출되는 형상을 이룬다.
한편, 상기 건조기의 하단에는 베이스가 안착되고, 상기 베이스 내부에는 상 기 린트 필터를 거친 습증기가 이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공기 유로의 입구에는 블로어가 장착되어 건조 드럼 내부의 습증기를 흡입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드럼을 통과하는 습증기 중에는 보푸라기 또는 세탁물에서 떨어진 동전 기타 이물질들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질들이 습증기와 함께 블로어로 흡입되어 블로어의 날개를 손상시키는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블로어쪽으로 흡입되는 습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블로어와 부딪혀서 블로어 날개를 손상시키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이물질 투입 방지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는 건조 드럼; 상기 건조 드럼으로부터 토출되는 습증기가 낙하하기 위한 드럼 공기 낙하홈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의 바닥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이물 낙하홈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으로 낙하된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가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건조 드럼 내부를 빠져 나가는 습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블로어 입구로 유입되어 블로어의 날개를 손상시키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유로 구조가 구비된 건조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로 구조가 구비된 건조기(10)는 세탁물이 투입되는 건조 드럼(14)과, 상기 건조 드럼(14)의 외측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 드럼(14)을 보호하는 캐비닛(11)과, 상기 건조 드럼(14)의 하단에 설치되며, 내측에 토출되는 공기의 배출 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20)와, 상기 베이스(20)의 상측부에 안착되어 상기 건조 드럼(14)을 회전하는 모터(15)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캐비닛(11)은 상기 건조 드럼(14)의 전면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 드럼(14)의 전면부를 지지하는 프런트 커버(111)와, 상기 건조 드럼(14)의 측면에 장착되는 사이드 커버(112)와, 상기 건조 드럼(14)의 후면에 장착되어 상기 건조 드럼(14)의 후면을 지지하는 백커버(11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건조기(10)는 상기 프런트 커버(111)의 전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건조 드럼(14)의 전면 개구부를 개폐하여 세탁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12)와, 상기 도어(12)의 상측부에 장착되며 건조 조건 설정 버튼 및 작동 버튼 등이 구비되는 컨트롤 패널(13)과, 상기 백커버(114)의 후면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건조 드럼으로 안내되도록 하는 건조 덕트(17)와, 상기 건조 덕트(17) 내부에 장착되어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16)가 더 포 함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1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도어(12)를 열어 상기 건조 드럼(14) 내부에 세탁물을 투입한 다음, 상기 컨트롤 패널(13)에 구비된 입력부를 통하여 건조조건을 입력한다. 그리고, 작동 버튼을 누르면 상기 모터(15)가 구동하고 상기 건조 덕트(17) 내부에 장착된 상기 히터(16)가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15)가 구동함에 따라 상기 모터(15)의 회전축에 연결되는 블로어가 회전하게 되어 상기 건조기(10) 내로 실내 공기가 흡입된다.
상세히, 상기 실내 공기는 상기 백커버(114)의 하단에 형성된 외기 흡입구를 통하여 상기 건조 덕트(17)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건조 덕트(17)를 통과하면서 고온으로 가열된다. 그리고, 고온으로 가열된 실내 공기는 상기 건조 드럼(14)의 후벽을 통하여 건조 드럼(14) 내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드럼(14) 내부로 유입된 고온의 공기는 세탁물에 스며 있는 수분을 흡수하여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화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 드럼(14) 내부의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흡수하여 고온 다습한 상태로 변화된 공기는 상기 건조 드럼(14)을 빠져 나와 상기 프런트 커버(111)에 형성된 리트 필터(미도시)를 통과하면서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이 걸러진다.
또한, 상기 린트 필터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에 장착된 배출 유로를 따라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건조기(10) 외부 즉, 실내도 다시 토출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0) 내부에는 배출되는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20)의 측면 및 배면에 토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 중 어느 하나는 개구되고 나머지는 토출구 캡에 의하여 폐쇄된다. 상기 베이스(20) 내부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건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조기에 장착되는 베이스(20)는 상측에 상기 모터(15)가 안착되고 상부면 내측에 토출 공기의 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 로어(21)와, 상기 공기 유로를 덮어 토출 공기가 분산되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흘러 가도록 하는 베이스 어퍼(22)로 대별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로어(21)와 베이스 어퍼(22)는 프라스틱 사출 방식에 의하여 각각 제작되어 체결 부재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되는 구조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는 전면부 상측에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드럼 연결구(203)와, 측면에 형성되는 측면 토출구(201) 및 배면에 형성되는 배면 토출구(2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20)의 측면 상부에 상기 모터(15)가 안착되며, 상기 모터(15)의 회전축에는 드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블로어가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는 블로어 커버(23)에 의하여 보호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건조 드럼(14) 전면부로 토출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상기 드럼 연결구(203)로 유입되어 상기 측면 토출구(201) 또는 배면 토출구(202)를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20) 내 에 형성되는 공기 유로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도면과 함께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를 구성하는 베이스 로어를 보여주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 로어(21)와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상측부에 안착되는 베이스 어퍼(22)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로어(21) 상부면에는 건조 드럼(14)으로부터 토출되는 공기가 이동하기 위한 공기 유로의 하측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어퍼(22)가 씌워짐으로써, 완전한 공기 통로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상기 베이스 로어(21)는 전면부에 상기 건조 드럼(14)을 통과한 공기가 낙하하는 드럼 공기 낙하홈(20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의 일측에는 상기 공기가 블로어쪽으로 흡입되기 위한 통로가 되는 블로어 입구(20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 입구(206)쪽에는 상기 블로어가 안착되는 블로어 안착부(215a)가 형성되고, 상기 블로어 안착부(215a)로부터 소정 크기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며, 직경이 증가하는 확관부(212)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212)가 끝나는 지점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후단부까지 길게 형성되는 메인 유로(2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유로(213)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브 유로(214)가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양측면에 측면 토출구(201)가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면 토출구(202) 및 측면 토출구(203)측 유로 상에는 응축수 낙하홈(214a)이 소정 깊이로 형성되어, 토출되는 공기가 응축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고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213)와 상기 서브 유로(214)가 교차되는 유로 교차점(215)은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중심부로부터 후면 모서리 쪽으로 치우쳐지게 형성된다. 즉, 상기 서브 유로(214)가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전면부보다 후면부에 더 가깝게 위치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로어(21)에 안착되는 베이스 어퍼(22)가 정위치에 안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베이스 어퍼 가이드 리브(217)가 적어도 하나 이상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213) 및 서브 유로(214)의 테두리부를 따라 체결 후크(219)가 소정 높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퍼(22)가 상기 베이스 로어(21)에 긴밀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상부면에는 상기 베이스 어퍼(22)와 체결되도록 하기 위한 체결부재가 관통하는 체결홈(216)이 다수 개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체결홈(216)은 상기 서브 유로(214)의 양 단부 가장자리 및 상기 메인 유로(213)의 단부 가장 자리에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후면에는 외부 공기가 상기 건조 덕트(17)를 통하여 건조 드럼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외기 흡입구(20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외기 흡입구(204)의 전면에는 상기 외기 흡입구(204)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 중에 포함된 보푸라기와 같은 이물질이 쌓이도록하기 위하여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린트 유입 방지홈(207)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외기 흡입구(204)로 유입되는 실내 공기에는 상기 베이스 어퍼(22)와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결합 부위에 형성되는 미세한 틈새로부터 새어 나오는 고온 다습한 공기가 소량 섞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 중에는 상기 건조 드럼(14)을 통과하면서 흘러 나온 보푸라기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외기 흡입구(204)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린트 유입 방지홈(207)에 쌓이게 되어, 상기 건조 덕트(17)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이 감소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린트 유입 방지홈(207)의 테두리부를 따라 소정 높이로 길게 형성되는 린트 유입 방지턱(218)이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린트 유입 방지턱(21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어퍼(22)와 베이스 로어(21)의 결합부위에 형성되는 틈새로부터 새어 나오는 이물질이 일차적으로 차단된다. 그리고, 상기 린트 유입 방지턱(218)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진 공기는 상기 린트 유입 방지홈(207)에서 재차 필터링된다.
또한, 상기 블로어 안착부(211)와 상기 서브 유로(214) 사이의 내부 공간에는 상기 모터(15)가 안착되기 위한 모터 안착부(215a)와, 상기 모터(15)를 지지하는 모터 서포터(미도시)가 끼워지는 모터 서포터 삽입구(215)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을 통하여 낙하되는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는 상기 블로어 입구(206)를 통하여 상기 블로어 안착부(21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 안착부(211)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확관부(212)를 따라 상기 메인 유로(213)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213)로 이동된 공기는 상기 유로 교차점(215)에서 분산되어 상기 측면 토출구(201) 또는 상기 배면 토출구(202) 중 어느 하나의 토출구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두 개의 측면 토출구(201) 및 상기 배면 토출구(202) 중 어느 한 쪽만이 캡에 의하여 개구되고 나머지 두개는 밀폐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토출구 모두가 개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토출구만이 개구되는 경우에 밀폐된 토출구 쪽으로 분산된 공기는 상기 유로 내부에서 순환하는 과정에서 응축되고, 상기 응축수는 상기 응축수 낙하홈(214a)에 저장된다. 그리고, 모든 토출구가 개구되는 경우에도 상기 토출구(201, 202)를 통과하면서 응축된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낙하홈(214a)에 낙하되어 저장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 어퍼를 보여주는 평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베이스 어퍼의 배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어퍼(22)는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로어(21)의 상부면에 안착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어퍼(22)는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상부면에 형성된 유로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유로의 상부면이 밀폐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어퍼(22)의 전단부에는 상기 건조 드럼(14)을 빠져나온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상기 유로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한 입구가 되는 드럼 연결구(203)가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상기 드럼 연결구는 상기 베이스 어퍼(22)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높이로 형성되는 드럼 연결 덕트(221)의 상부면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연결 덕트(221)의 측면에는 블로어 연결부(221a)가 형성되어, 상기 드럼 연결구(203)를 통하여 하강하는 공기가 상기 베이스 로어(21)에 형성된 블로어 입구(206)로 이 동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어퍼(22)에는 상기 베이스 로어(21) 상에 형성되는 확관부(212)와 메인 유로(213) 및 상기 서브 유로(214)를 덮는 메인 유로 커버(222)와 서브 유로 커버(2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 커버(222)와 상기 서브 유로 커버(223)도 상호 교차되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 커버(222) 상의 일 지점에는 상기 메인 유로(213) 내부를 흐르는 공기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센서가 장착되기 위한 습도 센서 안착부(22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 유로 커버(222)와 서브 유로 커버(223)의 하단부 가장자리에는 상기 베이스 로어(21) 상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체결 후크(219)가 삽입되기 위한 체결 후크 삽입구(225)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유로 커버(223)의 양 단부 가장 자리 및 상기 메인 유로 커버(222)의 단부 가장자리에는 체결 단(224)이 형성되어, 상기 베이스 어퍼(22)가 상기 베이스 로어(21) 상에 더욱 긴밀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체결단(224)에 삽입되는 체결부재가 상기 체결홈(216)에 삽입되어 긴밀하게 조여지도록 하여, 상기 베이스 어퍼(22)와 베이스 로어(21)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즉, 상기 베이스 어퍼(22)와 베이스 로어(21) 사이에 형성되는 틈새의 크기를 최소화함으로써, 상기 유로 내부를 흐르는 공기가 누설되어 상기 외기 흡입구(204)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건조 드럼(14)을 빠져 나온 고온 다습한 공기는 상기 드럼 연결구(203)를 통하여 하강하고, 상기드럼 연결구(203)로 하강하는 공기는 상기 블로어 연결부(221a)를 따라 상기 블로어 입구(206)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 입구(206)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확관부(212)와 메인 유로(213) 및 서브 유로(214)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213)와 서브 유로(214)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도중에 응축되면서 상기 배면 토출구(202) 및/또는 측면 토출구(201)를 통하여 실내로 배출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베이스 내부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건조 드럼(14)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프런트 커버(111)에 장착되는 린트 필터를 거쳐 일차적으로 이물질이 걸러진 다음 상기 드럼 연결구(203)로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 연결구(203)로 낙하한 공기는 상기 블로어 연결부(221a)의 끝단에 형성되는 블로어 입구(208)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블로어 입구(208)로 이동한 공기는 상기 블로어 입구(208)의 단부에 형성된 블로어 안착부(211)에 장착되어 회전하는 블로어에 의하여 흐름 방향이 전환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에 의하여 흐름 방향이 전환된 공기는 상기 확관부(212)로 이동하고, 상기 확관부(212)에서 다시 흐름 바향이 전환되어 상기 메인 유로(213)를 따라 상기 베이스(21)의 후방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213)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의 일부는 상기 메인 유로(213)와 서브 유로(214)가 만나는 유로 교차점(215)에서 상기 서브 유로(214) 쪽으로 분산되어 흐른다. 그리고, 상기 메인 유로(213)와 서브 유로(214)로 분산되는 공기는 상기 배면 토출구(202) 및/또는 측면 토출구(201)를 통하여 다시 실내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건조 드 럼(14)을 빠져 나온 고온 다습한 상태의 공기가 상기 드럼 연결구(203)부터 상기 토출구(201, 202)까지 이동하는 시간 동안 온도가 저하되어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수증기의 일부가 응축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응축된 수분은 상기 메인 유로(213) 및 서브 유로(214)의 바닥면에 형성된 응축수 낙하홈(214a)에 집수된다.
한편, 상기 건조 드럼(14) 후면으로부터 유입되는 외부 공기 즉, 실내 온도 및 습도와 동일한 상태의 실내 공기는 상기 베이스(20)의 후면에 형성된 외기 흡입구(204)를 통하여 유입되어 상기 건조 덕트(17)를 따라 건조 드럼(14) 내부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외기 흡입구(204)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건조기(10)의 캐비닛(11) 내부에 존재하는 실내 공기이다. 그리고, 상기 외기 흡입구(204)를 통하여 흡입되는 실내 공기에 포함된 보푸라기 등과 같은 이물질은 상기 린트 유입 방지 턱(218) 및 상기 린트 유입 방지홈(207)에 의하여 일차적으로 걸러지게 됨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블로어 입구부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베이스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로어 입구부 이물 투입 방지 구조는 상기 베이스 로어(21)의 드럼 공기 낙하홈(205) 바닥면에 형성된다.
상세히, 블로어 입구부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상기 베이스 로어(21)는 전면부에 형성되어 상기 건조 드럼(14)을 통과한 고온 다습한 습증기가 낙하하기 위한 드럼 공기 낙하홈(205)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의 바닥으로부터 소정 깊이 더 함몰되는 이물 낙하홈(30)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을 통하여 낙 하된 습증기가 블로어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의 단부측에 형성되는 블로어 입구(206)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블로어 입구(206)는 상기 블로어 안착부(211)와, 상기 확관부(212) 및 메인 유로(213)와 연결되어 하나의 공기 유로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을 통하여 낙하되는 습증기는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을 따라 상기 블로어 입구(206)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습증기 속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이물 낙하홈(30)으로 낙하되어 바닥에 쌓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물 낙하홈(30)은 최소한 상기 블로어 입구(206)의 하단부보다 더 깊게 형성되도록 하여 낙하된 이물질이 상기 블로어 입구(206)를 통하여 상기 메인 유로(213) 쪽으로 넘어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물 낙하홈(30)의 바닥면이 평평하게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곡률 반경을 가지고 만곡되도록 하여 상기 이물 낙하홈(30)의 바닥면에 응집되는 응축수가 상기 이물 낙하홈(30)의 중심에 모여지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이물 낙하홈(30)은 상기 블로어 입구(206) 쪽 바닥면이 반대 쪽 바닥면보다 깊게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205)을 통하여 낙하되는 습증기가 상기 블로어 입구(206) 쪽으로 빠르게 이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에 의하여, 건조 드럼 내부를 빠져 나가는 습증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이 블로어 입구로 유입되어 블로어의 날개를 손상시키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 과가 있다.
또한, 상기 유입되는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블로어와 부딪혀서 달그락 거리는 소리를 발생시키는 현상이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건조 드럼;
    상기 건조 드럼으로부터 토출되는 습증기가 낙하하기 위한 드럼 공기 낙하홈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의 바닥에 소정 깊이로 함몰되는 이물 낙하홈과, 상기 드럼 공기 낙하홈으로 낙하된 습증기가 외부로 배출되기 위한 유로가 형성되는 베이스;가 포함되는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낙하홈은 일측 단부가 타측 단부보다 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낙하홈은 바닥이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 낙하홈은 바닥이 소정의 곡률 반경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KR1020050026932A 2005-03-31 2005-03-31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KR100638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932A KR100638927B1 (ko) 2005-03-31 2005-03-31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6932A KR100638927B1 (ko) 2005-03-31 2005-03-31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618A KR20060104618A (ko) 2006-10-09
KR100638927B1 true KR100638927B1 (ko) 2006-10-25

Family

ID=376346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6932A KR100638927B1 (ko) 2005-03-31 2005-03-31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92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618A (ko) 2006-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8936B1 (ko) 건조기의 캐비닛 구조
KR100638938B1 (ko) 의류 건조기의 습도 센서 장착 구조
KR101180532B1 (ko) 응축수 저장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US7640678B2 (en) Laundry dryer and impurity entry preventing structure for the same
US8104192B2 (en) Laundry dryer
KR100638904B1 (ko) 의류 건조기
KR100641418B1 (ko) 의류 건조기의 온도 센서 장착 구조
KR100638945B1 (ko) 의류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부 화재 방지 구조
KR100638927B1 (ko)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입구 이물 투입 방지 구조
KR100638919B1 (ko) 외기 흡입구의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AU2017202723B2 (en) Laundry treating machine comprising a removable de-fluff filter
KR100638918B1 (ko) 외기 흡입구의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638903B1 (ko) 의류 건조기의 배기구 개폐 구조
KR100638920B1 (ko) 외기 흡입구의 이물 투입 방지 구조가 구비된 의류 건조기
KR100638926B1 (ko) 의류 건조기의 블로어 체결부 소음 저감 구조
KR100638937B1 (ko) 의류 건조기의 모터 소음 저감 구조
KR100641417B1 (ko) 의류 건조기의 레그부 완충 구조
KR100638905B1 (ko) 의류 건조기
KR100641419B1 (ko) 의류 건조기의 컨트롤 패널 체결 구조
KR100638944B1 (ko) 의류 건조기의 파워 코드 체결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