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8469B1 -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 Google Patents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8469B1
KR100638469B1 KR1020060000965A KR20060000965A KR100638469B1 KR 100638469 B1 KR100638469 B1 KR 100638469B1 KR 1020060000965 A KR1020060000965 A KR 1020060000965A KR 20060000965 A KR20060000965 A KR 20060000965A KR 100638469 B1 KR100638469 B1 KR 1006384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engine
voice
cradl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0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자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자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자티전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84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84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04M1/6058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 H04M1/6066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involving the use of a headset accessory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lephone including a wireless conn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루투스기술을 이용하여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엔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블루투스엔진이 헤드셋 또는 차량용 거치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됨으로써 헤드셋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무선 헤드셋 핸즈프리로 구성되거나 또는 차량용 거치대속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모듈이 내부에 장착된 블루투스엔진은 일측에 접속단을 구비하고,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접속단을 이용하여 청취수단 및 마이크가 구비된 음성통화수단의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음성통화수단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접속단을 이용하여 거치대를 포함하는 외부충전수단의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무선통화가 가능한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구성하며, 상기 외부충전수단으로부터 블루투스엔진의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에 따른 실시 예로서, 상기 블루투스엔진을 음성출력수단 및 GPS에 의한 위치정보와 같은 데이터 수집기능을 갖춘 차량용 거치대와 연결하는 경우에는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 기능 수행 및 외부기기와 블루투스에 의한 위치정보 데이터 통신 등이 양방향으로 가능하며, 거치대를 포함하는 외부충전수단으로부터 블루투스엔진에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무선통신, 블루투스, 블루투스 모듈, 블루투스엔진, 음성통화수단, 핸즈프리, 거치대, 무선통화

Description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Separatable or attachable bluetooth engine using bluetooth}
도 1은 종래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거치대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의 내부회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성통화수단과 블루투스엔진이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음성통화수단과 블루투스엔진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이 거치대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과 거치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과 거치대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이 음성통화수단과 부착되었을 때의 내부회 로 블록도.
도 8b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이 거치대와 부착되었을 때의 내부회로 블록도.
도 8c는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의 블루투스모듈의 내부회로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본 발명의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100
음성통화수단: 10
본체: 12 청취수단: 14
마이크: 16 목걸이선: 18
음성통화수단 접속부: 19
블루투스엔진: 20
접속단: 22
충전부: 110 배터리: 120
전원공급부: 130 표시부: 140
블루투스모듈: 150 블루투스모듈 안테나: 152
버튼입력부: 160 플래시메모리: 170
거치대: 30
수용부: 32 거치대 접속부: 34
음성출력수단: 36 거치대 마이크: 38
이동통신단말기: 200
본 발명은 블루투스기술을 이용하여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 엔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통신할 수 있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블루투스엔진이 헤드셋 또는 차량용 거치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됨으로써 헤드셋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를 사용하여 무선 헤드셋 핸즈프리로 구성되거나 또는 차량용 거치대속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차량용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가능하게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루투스(Bluetooth)는 통신기기 간의 기계적으로 취약하고 불편한 유선케이블을 대체할 수 있는 하나의 무선통신수단이며, 이는 휴대폰, PDA와 같 은 소형 통신단말기와 노트북과의 즉각적인 네트워킹과 음성통신을 가능하게 함과 더불어 그 적용범위는 핸드폰, 무선 음성통화수단, 랜엑세스 포인트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캠코더, 조이스틱, PDA, GPS 단말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로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선 핸즈프리 장치를 대체하는 무선 핸즈프리 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블루투스를 이용한 종래의 무선 핸즈프리 장치로는, 공개특허공보 제2001-25661호에는 블루투스모듈이 내장된 휴대폰과 이어폰을 이용하는 어어폰형 핸즈프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으며, 공개특허공보 제2001- 26666호에는 무선 이어폰을 이용하는 휴대폰에서 무선 이어폰을 통한 통화중에 통화권이 이탈되면 경고음이 발생하는 이어폰형 핸즈프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7585호에는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휴대폰을 접속하기 위한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접속장치와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이어폰을 이용한 이어폰형 핸즈프리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들은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이어폰을 운전자가 착용한 상태에서 이용하거나,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하지 않은 휴대폰을 블루투스모듈을 구비한 휴대폰 접속장치에 장착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블루투스모듈을 구 비한 이어폰을 착용하여 이용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이어폰을 운전자가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다른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97038호의 "블루투스 기술을 이용한 핸즈프리 장치"에 잘 나타나 있었다.
상기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특2003-0097038호에 나타난 기술은 블루투스 처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휴대폰과 핸즈프리로 무선통화 가능한 헤드셋(2); 및
상기 헤드셋(2)을 수용가능하며, 상기 헤드셋(2)의 결합 시 상기 휴대폰과 핸즈프리로 무선통화 가능한 핸즈프리 본체(1)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종래의 기술은 블루투스 처리부를 구비한 헤드셋(2)을 운전자가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핸즈프리 본체(1)에서 탈부착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가 편리하게 핸즈프리 상태로 통화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헤드셋(2)은 접점형 돌기로 핸즈프리 본체(1)와 결합되므로 상기 헤드셋(2)의 충전 시 반드시 자동차와 같은 특정 장소에 장착된 핸즈프리 본체(1)에 거치시켜서 충전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상기 헤드셋(2)을 착용하고 다른 장소로 이동 시 접점형 돌기로 이루어진 충전용 단자가 범용성이 없어서 충전이 어려운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상기 헤드셋(2)은 사용자의 귀에 장착하여 사용하도록 헤드폰, 마이크 및 블루투스모듈이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헤드셋(2)을 착용 중에는 헤드셋(2)에 구비된 액정을 확인하며 기기의 조작이 불가능하여 불편하며, 특히 휴대폰으로 결려오는 발신인의 착신번호를 확인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헤드셋(2)의 마이크와 헤드폰은 블루투스모듈과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마이크 및 헤드폰을 원하는 모델로 교체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헤드셋(2)을 사용자가 귀에 착용 시 블루투스모듈이 사용자의 머리에 인접한 상태로 무선 통신하므로 블루투스모듈과 휴대폰과의 무선 통신 시 발생하는 전자파로 인하여 인체에 유해를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첫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엔진이 음성통화수단 또는 거치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탈부착 되어 음성통화수단 또는 거치대의 청취수단(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실시 예로서는 이어폰과 마이크가 구비된 음성통화수단과 결합시 블루투스 헤드셋으로 동작되고,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수단과 마이크가 구비된 차량용 거치대와 결합 시 블루투스 핸즈프리 장치로 동작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둘째, 상기 블루투스엔진을 목걸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블루투스엔진에 구비된 액정을 확인하며 기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셋째, 상기 마이크 및 청취수단이 장착된 음성통화수단을 블루투스엔진과 분리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마이크 및 헤드폰을 원하는 모델로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넷째, 상기 블루투스엔진에 사용자가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임의로 저장 및 재생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섯째,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차량용 거치대가 장착된 제한된 구역에서 벗어나 휴대폰 충전기가 구비된 모든 장소에서 자유롭게 충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모듈이 내부에 장착된 블루투스엔진은 일측에 접속단을 구비하고,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접속단을 이용하여 청취수단 및 마이크가 구비된 음성통화수단의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음성통화수단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무선통화를 가능하게 하거나, 또는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접속단을 이용하여 거치대를 포함하는 외부충전수단의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무선통화가 가능한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구성하며,
상기 외부충전수단으로부터 블루투스엔진의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은 이동통신단말기(200)와 무선 통신하는 블루투스엔진(20), 음성통화수단(10) 및 거치대(30) 등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블루투스모듈(150) 및 이동통신단말기(200)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은 컴퓨터 및 통신 산업계의 규격으로서, 근거리에 놓여 있는 컴퓨터, 이동통신단말기와 같은 가전제품등을 서로 무선으로 연결하여 쌍방향으로 실시간 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을 말하거나 그 규격에 맞는 제품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블루투스모듈(202)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블루투스엔진(20)과 무선 통신이 가능한 모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는 블루투스모듈(202)이 장착된 mp3 플레이어, gps 단말기, cd 플레이어, 휴대폰, pda, psp 및 pmp 등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은 이동통신단말기(200)와 무선통신으로 음성통화 및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게 하는 것으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일측에는 외부기기와 음성 및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하는 접속단(22)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접속단(22)은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용 콘넥터, USB단자 또는 케이블 잭으로 구비하게 되며 외부로부터 데이터 및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모든 접속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접속단(22)은 거치대를 포함하는 외부 충전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역할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거치대(30)의 접속부(34) 및 음성통화수단(10)의 접속부(19)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호간에 음성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과 PC를 포함하는 외부음향, 영상 및 데이터 재생장치를 각종 케이블로 연결하면, 상기 외부장치의 데이터를 블루투스엔진(20)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내부는 블루투스엔진(2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가 구비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내부의 제어회로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외부충전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접속단(22)으로부터 공급 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20)를 충전시키는 충전부;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130);
상기 전원공급부(130)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무선통신 하며, 상기 접속단(22)을 통해서 외부로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전송하며, 각 구성요소를 총괄 제어하는 블루투스모듈(150);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40); 및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을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도록 사용자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입력부(16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접속단(22)은 상기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단(22)은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역할과 블루투스엔진(20)을 충전시키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게 되는 데, 상기 외부의 데이터는 사용자가 접속단(20)과 연결하여 전송가능한 모든 이동통신단말기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전부(110)는 접속단(20)으로부터 인가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배터리(120)를 충전시키게 되고, 상기 블루투스엔진(20)에 전원이 인가됨을 확인하면 블루투스모듈(150)과 통신하며 블루투스모듈(150)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부(130)는 배터리(120)로부터 입력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블루투스엔진(20)의 각 구성요소에 적합한 전원을 인가하게 된다.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은 바람직하게는 영국의 CSR(Cambridge Silicon Radio)사 또는 미국의 브로드컴(Broadcom)사의 블루투스 칩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은 전원공급부(13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게 되며,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은 RF 송신부(153), RF 수신부(154), 기저대역(BASEBAND)(155),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156), 중앙제어부(157) 및 저장부(158)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모듈(150)의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55)는 HCI(HOST CONTROL INTERFACE)에 의해 블루투스모듈(150)의 중앙제어부(157)에 연결되어 HCI 패킷(Packet)을 송/수신함으로써 제어명령을 하고 그 결과, 음성 송수신 데이터가 오고 간다.
상기 HCI로는 RS232C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HCI 패킷은 Command, Event, Data 패킷으로 구분된다.
상기 RF 송신부(153)는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55)에서 생성한 무선 송신용 데이터 패킷을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변조 증폭시켜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안테나로 송신한다.
상기 RF 수신부(154)는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의 잡음의 증폭을 최대한 억제하고 설정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증폭한 후 낮은 주파수 대역으로 낮추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55)로 인가한다.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55)는 블루투스모듈(150)의 중앙제어부(157) 또는 음 성 및 데이터 처리부(156)로부터 인가되는 각종 HCI 데이터 패킷에 억세스 코드 및 헤더를 부가하는 패킷 포맷으로 변경하고, 이를 다시 무선 송신을 위한 소정의 데이터 패킷으로 변경하여, 상기 RF 송신부(153)를 통해 설정된 주파수 대역으로 무선 송신하고, 상기 RF 수신부(154)를 통해 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상기 HCI 패킷으로 변경하여 중앙제어부(157) 또는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156)로 인가한다.
상기 음성 및 데이터 처리부(156)는 접속단(22)을 통해서 음성통화수단(10) 또는 차량용 거치대(30)와 연결되어 음성신호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하는 것으로, [도 8a]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이 음성통화수단(10)의 접속부(19)와 부착되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55)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음성통화수단(10)의 청취수단(14)으로 출력하며, 상기 음성통화수단(10)의 마이크(16)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기저대역 처리부(155)를 거쳐 RF 송신부(153)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블루투스 모듈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이 차량용 거치대(30)의 접속부(34)와 부착되면, [도 8b]와 같이, 상기 기저대역 처리부(155)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차량용 거치대(30)의 음성출력수단(36)으로 출력하며, 상기 거치대(30)의 마이크(38)에 의해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기저대역 처리부(155)를 거쳐 RF 송신부(153)를 통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블루투스모듈(202)로 전송한다.
상기 저장부(158)는 블루투스모듈(150)의 중앙제어부(157)가 블루투스모듈(15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제어부(157)에 의해 블루투스모듈(150)은 블루투스엔진(20)의 각 구성요소를 제어하고 블루투스엔진(20)의 전원의 온오프, 통화연결/종료, 볼륨조절, 음악재생, 검색 기능, 발신자번호표시, 배터리상태표시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블루투스엔진(20)의 버튼입력부(160)는 통화연결/종료, 음악재생 등을 포함하는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을 제어하고 이를 표시부(140)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40)는 바람직하게는 LCD(액정표시장치)를 사용하며,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서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의 상태 및 동작과정 등을 표시하고,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로 수신된 전화번호 및 발신인의 이름 등을 표시 할 수 있다.
상기 저장부는 블루투스모듈의 제어 시 필요한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는 롬(ROM)과, 이동통신단말기와의 통신에 의해 전송된 각 종 전화번호 및 이름 등을 저장하는 비휘발성 메모리(NVM: Non-Volatile Memory; Flash 메모리 또는 EEPROM)와, 상기 프로그램 제어 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여 처리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또한 플래시메모리(170)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임의로 접속단(22)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고, 이를 플래시메모리(170)에 저장하여 재생 및 저장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플래시메모리(170)는 블루투스엔진에 내장형 또는 외장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전원이 꺼지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사라지지 않은 채 유지되는 특성을 지닌 모든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래시메모리(170)가 예를 들어, 내외장형 미니 하드디스크로 구비되어도, 사용자가 임의로 접속단(22)을 이용하여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같을 것이다.
[도 3], [도 4]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과 탈부착 가능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무선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블루투스 헤드셋을 이루도록 음성통화수단(10)을 구비하게 된다.
상기 음성통화수단(10)은 사용자의 목에 걸 수 있는 목걸이 타입의 외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음성통화수단(10)은 본체(12)와, 상기 블루투스엔진(20)으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출력 가능한 청취수단(14)이 목걸이 선(18)을 매개로 본체(12)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마이크로폰(16)이 본체(12)의 일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청취수단(14)은 바람직하게는 이어폰 또는 헤드폰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성통화수단(10)의 본체(12)의 일측에는 접속부(19)가 구비되어 블루투스엔진(20)의 일측의 접속단(22)과 탈부착 되어 상호간에 음성신호를 입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음성통화수단(10)의 접속부(19)는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과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음성통화수단(10)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음성통화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음성통화수단 접속부(19)는 휴대폰용 커넥터 또는 USB 단자로 구성되어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과 탈부착 가능하게 된다.
상기 음성통화수단(10)은 보통 이용되는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으로 구성하고,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일측에 이어폰 잭을 더 구비하여 마이크 일체형 이어폰과 결합함으로써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이 음성통화수단(10)과 분리되어 차량용 거치대 (30)에 탈부착 됨으로써 무선 핸즈프리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데,
[도 5], [도 7]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량용 거치대(30)는 블루투스엔진(20)이 거치되는 수용부(32)가 구비되고, 상기 수용부(32)의 내측에는 접속부(34)가 구비되어,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과 탈부착 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차량용 거치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블루투스엔진(20)과 이동통신단말기(200)가 무선 통신하여 거치대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핸즈프리상태로 음성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거치대의 내부에는 제어회로가 구비되어 있는 데, 상기 거치대(30)의 내부 제어회로는 전원입력부(37), 전원공급부(35), 접속부(34), 음성출력수단(36), 마이크(38), 입력부(33) 및 제어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입력부(37)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12V 또는 24V의 전원을 인가받게 된다. 즉, 차량용 시가잭, 어댑터 등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이를 전원공급부(35)로 공급하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5)는 전원입력부(37)로부터 공급 받은 12V 또는 24V전원을 5V의 전압으로 변압하고 이를 기기의 각 구성요소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거치대 접속부(34)는 블루투스엔진(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블 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과 탈부착 가능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휴대폰용 커넥터 또는 USB단자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상기 음성출력수단(36)은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으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피커를 이용하여 구현한다.
또한 상기 마이크(38)는 사용자의 음성을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시켜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으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입력부(33)는 사용자가 거치대를 제어할 수 있도록 사용자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입력부(33)는 볼륨조절 및 통화연결/종료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31)는 입력부(33)에서 입력받은 사용자조작신호를 이용하여 블루투스엔진(20)과의 무선통화 및 충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차량용 거치대(30)는 RF 송신모듈(39)을 더 구비하게 되는 데, 상기 RF 송신모듈(39)은 블루투스엔진(20)으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 또는 사용자에 의해 플래시메모리에 저장된 음성신호 또는 GPS 수신기로부터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외부에 라디오장치가 장착된 기기에 임의로 설정된 FM 주파수로 무선 송신함으로써, 상기 음성신호를 외부 기기의 출력수단, 즉 스피커로 상기 음성신호를 청취할 수 도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블루투스엔진(20)은 음성통화수단(10) 또는 거치대(30)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30)에는 내부에 GPS 단말기(40)가 더 장착되거나, 또는 외부의 GPS 단말기(40)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거치대(30)는 상기 외부 또는 내부에 장착된 GPS 단말기로(40)부터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받아 저장하는 GPS데이터저장부(41)와;
상기 GPS데이터저장부(41)에 저장된 데이터를 수용부(32)에 부착된 블루투스엔진(20)으로 전송하여 블루투스엔진(20)의 표시수단으로 표출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엔진(20)과 데이터통신 하는 데이터입출력부(42)를 더 포함하여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GPS 단말기(40)는 GPS위성으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의 현재 위도 및 경도좌표를 포함하는 위치데이터와,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데, 상기 안내정보는
해당 영역의 지명, 건물명, 시설명 및 도로명을 포함하는 텍스트로 이루어진 주기와, 도로종별속성, 도로제한속성, 차선수 및 회전규제를 포함하는 도로속성과, 면형 및 선형으로 이루어진 형상속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상기 거치대(30)는 일반적인 GPS 단말기(40)의 데이터를 거치대(40)의 음성출력수단(36)으로 표출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입출력부(42)와 연결된 접속부(34)를 이용하여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으로 전송함으로써 블루투스엔진(20)의 표시수단으로도 GPS 단말기에서 전송받은 데이터를 표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음성통화수단(10)의 접속부(19)와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을 결합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와 무선통신 하는 블루투스엔진(20)과 음성통화수단(10)이 접속 되고, 통화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200)에 전화가 수신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의 음성 및 데이터가 블루투스모듈에 의해 무선으로 블루투스엔진(20)에 전송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200)에 걸려온 전화의 발신번호가 블루투스엔진(20)으로 전송되어 블루투스엔진(20)의 표시부(140)로 표시되며, 사용자에게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게 되고, 사용자는 블루투스엔진(20)의 버튼입력부(160)에 구비된 통화/종료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블루투스엔진(20)의 음성신호는 음성통화수단(10)으로 전송되어 사용자가 음성통화수단(10)의 마이크 및 청취수단으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을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시켜 핸즈프리로 통화할 수 있도록 하려면 블루투스엔진(20)을 음성통화수단(10)과 분리하고 차량용 거치대(30)의 수용부(32)에 거치시킨다.
그러면 블루투스엔진(20)의 접속단(22) 및 차량용 거치대(30)의 접속부(34)의 결합에 의해 차량용 거치대(30)에 구비된 음성출력수단(36) 및 마이크(38)를 이용하여 핸즈프리 상태로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은 차량용 거치대(30)에 거치됨으로써 자동으로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블루투스모듈(150)이 장착된 MP3휴대폰이나 MP3 플레이어 등와 같은 음향재생기기와 블루투스엔진(20)은 데이터를 무선 통신함으로써 이를 재생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상기 블루투스엔진(20)의 플래시메모리(170)에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전송하여 저장시킴으로써 음악재생수단 및 이동식디스크의 역할까지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르면,
첫째, 상기 블루투스엔진이 음성통화수단과 결합하면 음성통화수단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로 무선통화가 가능하고, 또는 상기 블루투스엔진이 차량용 거치대에 거치되면 거치대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하여 통화가 가능하여, 사용자가 블루투스엔진을 음성통화수단 또는 거치대 중 어느 하나와 선택적으로 탈부착 하여 편리하게 무선통화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상기 헤드셋을 헤드폰 및 마이크로 이루어진 음성통화수단 및 블루투스모듈이 구비된 블루투스엔진으로 분리하여 목걸이형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가 블루투스엔진에 구비된 액정을 확인하며 기기의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 음성통화수단의 마이크 및 헤드폰은 블루투스엔진과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임의로 마이크 및 헤드폰을 원하는 모델로 교체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넷째, 상기 블루투스엔진에 플래시메모리를 더 구비하여 사용자가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임의로 저장 및 재생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상기 블루투스모듈이 장착된 블루투스엔진이 거치대에 거치되어 충전되거나, 거치대가 장착된 제한된 구역에서 벗어나 일측에 구비된 접속단을 이용하여 휴대폰 충전기가 구비된 모든 장소에서 자유롭게 충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Claims (5)

  1. 이동통신단말기와 무선으로 통신하는 블루투스모듈이 내부에 장착된 블루투스엔진은 일측에 접속단을 구비하고,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접속단을 이용하여 청취수단 및 마이크가 구비된 음성통화수단의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음성통화수단의 청취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한 무선통화 기능과,
    차량용 거치대를 포함하는 외부충전수단의 접속부와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거치대의 음성출력수단 및 마이크를 이용한 무선통화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블루투스 핸즈프리를 구성하며,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상기 외부충전수단으로부터 충전용 전원을 공급받고,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상기 접속단으로부터 공급 받은 전원을 이용하여 블루투스엔진에 내장된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충전부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공급받은 전원으로 블루투스엔진의 각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와, 상기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고 블루투스가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와 음성신호 및 데이터를 무선통신 하며 각 구성요소를 총괄 제어하는 블루투스모듈과, 상기 블루투스모듈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상기 블루투스모듈을 사용자가 제어 가능하도록 사용자 조작신호를 발생시키는 버튼입력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엔진의 접속단과 차량용 거치대의 접속부는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어 음성통화신호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3. 삭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사용자가 음악파일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전송 및 저장할 수 있도록 내장형 또는 외장형 플래시메모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엔진은
    블루투스모듈 내의 저장수단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와 서로 데이터를 무선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KR1020060000965A 2005-11-28 2006-01-04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KR1006384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14093 2005-11-28
KR1020050114093 2005-11-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8469B1 true KR100638469B1 (ko) 2006-10-25

Family

ID=37621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0965A KR100638469B1 (ko) 2005-11-28 2006-01-04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846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26287B1 (en) Cellular phone capable of accommodating electronic device
US8014824B2 (en) Article of manufacture integrated with music and telephonic communication devices
US7130654B2 (en) Wireless headset having a local area communication module and being detachable from a communication device
US7117021B2 (en) Bluetooth cassette-like device for a hands-free cell-phone kit
US20080226112A1 (en) Structure of cordless earphones
US20080153556A1 (en) Wireless Ear-Phone and Portab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659506B1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형 스피커시스템 및 이를 위한 무선수신팩
US20100273421A1 (en) Electrical accessory configured to transmit electrical signals between a first electrical device, a second electrical device and a third electrical device and a method of providing and using the electrical accessory
US20090197649A1 (en) Mobile phone with headset docking station
US20080227426A1 (en) Structure of a car multimedia wireless transmitting and receiving device
US20050008147A1 (en) Two-purpose wireless hand-free earphone set for use in driving
US20040204163A1 (en) Modular Modification of cellular phone handfree kit and the applications thereof
KR20080004775U (ko) 외장스피커를 구비하는 손목시계 겸용 블루투스 헤드셋
CN210724784U (zh) 一种耳挂式对讲机
KR101124459B1 (ko) 마이크 착탈형 근거리 무선통신 헤드셋
JP2006186904A (ja) ヘッドセット装置
KR200444074Y1 (ko) 블루투스 통신장치
JP2006246420A (ja) 移動通信周辺機器
US20070259701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Detachable Audio Earpiece
KR100638469B1 (ko) 블루투스를 이용한 탈부착형 블루투스엔진
JP2006041787A (ja) 無線通信用ヘッドセット装置
US200301487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n external audio system with a communication device
WO2009136926A1 (e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with at least one detachable audio headset
KR101121927B1 (ko) 스테레오 블루투스 헤드셋
CN212013029U (zh) Tws耳机充电盒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