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981B1 -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 Google Patents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981B1
KR100636981B1 KR1020040022333A KR20040022333A KR100636981B1 KR 100636981 B1 KR100636981 B1 KR 100636981B1 KR 1020040022333 A KR1020040022333 A KR 1020040022333A KR 20040022333 A KR20040022333 A KR 20040022333A KR 100636981 B1 KR100636981 B1 KR 100636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ent sec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voice data
sil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23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97219A (en
Inventor
최관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40022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981B1/en
Publication of KR20050097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72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98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MCATCHING, TRAPPING OR SCARING OF ANIMALS; APPARATUS FOR THE DESTRUCTION OF NOXIOUS ANIMALS OR NOXIOUS PLANTS
    • A01M1/00Stationary means for catching or killing insects
    • A01M1/08Attracting and catching insects by using combined illumination or colours and suction effe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1. TECHNICAL FIELD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임.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2.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invention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설정 기능, 안내 음성 설정 기능, 음성 메모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녹음된 음성에서 불필요하게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무음 구간을 추출하여 조정함으로써, 메모리 사용을 줄이고 청취 효율을 높이기 위한,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음.The present invention reduces the memory usage and listening efficiency by extracting and adjusting a silent section that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unnecessarily from the recorded voice in order to use the answering machine setting function, the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the voice memo function, etc.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to increase the.

3.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3. Summary of the Solu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며,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무음 구간을 추출한 후에, 해당 추출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무음 구간을 제거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해당 재구성된 음성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함.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storage means for storing recorded voice data;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And reading the speech data from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extracting the silent section from the read speech data using a speech detection algorithm, and then extracting the silent section. And reconstructing the voice data by removing the silen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then updat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with the reconstructed voice data.

4. 발명의 중요한 용도4. Important uses of the invention

본 발명은 유/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이용됨.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for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통신 단말기, 음성 서비스, 음성 녹음, 무음 구간 조정Communication terminal, voice service, voice recording, silent section adjustment

Description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and its method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silent section adjusting method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1 : 무선송수신장치 12 : 연산/제어장치11: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2: operation / control device

13 : 코덱(CODEC) 14 : 저장장치13: codec 14: storage device

15 : 음성출력장치(스피커) 16 : 표시장치(LCD)15: audio output device (speaker) 16: display device (LCD)

17 : 입력장치(키패드) 18 : 음성입력장치(마이크)17: input device (keypad) 18: voice input device (microphone)

본 발명은,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설정 기능, 안내 음성 설정 기능, 음성 메모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녹음된 음성에서 불필요하게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무음 구간을 추출하여 조정함으로써, 메모리 사용을 줄이고 청취 효율을 높이기 위한,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unnecessarily use the recorded voice in order to use the answering machine setting function, the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the voice memo function, etc.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ing function for reducing memory usage and improving listening efficiency by extracting and adjusting a silent section lasting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본 발명은 유선통신 단말기 및 무선통신 단말기 등에 적용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to a wired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본 발명에서 무선통신 단말기란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휴대통신 단말기(PCS), 개인용디지털단말기(PDA), 스마트폰, 차세대이동통신 단말기(IMT-2000), 무선랜 단말기 등과 같이 개인이 휴대하면서 무선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를 말한다. 이하의 일실시예에서는 무선통신 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i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 pers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CS), a personal digital terminal (PDA), a smart phone, a next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MT-2000), a wireless communication while carrying an individual such as a wireless LAN terminal. Say this is possible terminal. In the following embodiment,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최근, 무선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되면서 여러가지 편리한 기능들이 속속 추가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자동 응답 설정 기능, 안내 음성 설정 기능, 음성 메모 기능 등을 포함하는 음성 서비스 기능은 사용자가 통화를 할 수 없는 경우 또는 통화 내용의 녹음이 필요한 경우에 매우 유용한 기능이다.Recently, as the use of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s has become more common, various convenient functions have been added one after another. In particular, a voice service function including an automatic answering setting function, a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a voice memo function, and the like is very useful when a user cannot make a call or needs to record a call.

먼저, 자동 응답 설정 기능은 전화를 받을 수 없는 경우에 안내 음성을 출력하여 상대방이 메시지를 녹음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First, the answering machine setting function outputs a guide voice when a call cannot be answered so that the other party can record a message.

그리고, 안내 음성 설정 기능은 사용자의 음성(예를 들어, 인사말)을 녹음하여 안내 멘트로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is a function that can be used as a guide comment by recording the user's voice (for example, a greeting).

그리고, 음성 메모 기능은 대기중이나 통화 중에 통화 내용을 녹음/재생/삭 제할 수 있는 기능이다.In addition, the voice memo function is a function of recording / playing / deleting a call during a call or a call.

그런데, 이러한 음성 서비스 기능을 이용하기 위하여 음성을 녹음한 때에는 녹음된 음성(자동 응답 메시지, 안내 멘트, 음성 메모)의 시작과 끝 부분, 또는 중간 부분에 의도하지 않은 무음 구간이 포함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voice is recorded in order to use the voice service function, an unintended silent section may be included in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recorded voice (automatic response message, announcement, voice memo), or the middle part.

따라서, 사용자 또는 상대방은 의도하지 않게 포함된 무음 구간을 어쩔 수 없이 청취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비효율적이며,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공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user or the other party is inefficient because the user must listen to the silent section included inadvertently,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recorded voice data is was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설정 기능, 안내 음성 설정 기능, 음성 메모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녹음된 음성에서 불필요하게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무음 구간을 추출하여 조정함으로써, 메모리 사용을 줄이고 청취 효율을 높이기 위한,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silent section that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unnecessarily in the recorded voice in order to use the automatic answer setting function,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voice memo function, etc.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method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for reducing the memory usage and increasing the listening efficiency by extracting and adjusting th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며,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무음 구간을 추출한 후에, 해당 추출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무음 구간을 제거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해당 재구성된 음성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the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recorded voice data; 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And reading the speech data from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extracting the silent section from the read speech data using a speech detection algorithm, and then extracting the silent section. And reconstructing the voice data by removing the silen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set time or more, and then updat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to the reconstructed voice data.

한편,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에 있어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단계;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음성 데이터 로딩 단계;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무음 구간을 추출한 후에, 해당 추출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무음 구간을 제거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무음 구간 조정 단계; 및 상기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재구성된 음성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음성 데이터 업데이트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metho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metho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the storage step of storing the voice data; A voice data loading step of reading corresponding voice data according to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A silent section adjustment step of extracting a silent section from the read speech data using a speech detection algorithm, and then reconstructing the speech data by removing the silen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extracted silent section over a preset time; And updating the stored voice data with the reconstructed voice data.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The above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의 일실시예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embodi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통신 단말기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무선송수신장치(11),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고 제어하며,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입력받은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에 따라 저장장치(14)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여,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무음 구간을 조정하여 재구성한 후, 상기 저장장치(14)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연산/제어장치(12), 상기 연산/제어장치(12) 의 제어에 따라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로 출력하고,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로부터 입력받은 음성을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연산/제어장치(12)로 전달하여 상기 무선송수신장치(11)를 통하여 송출되도록 하기 위한 코덱(CODEC)(13), 상기 무선통신 단말기를 구동시키기 위한 프로그램과 파일 시스템(이미지, 캐릭터, 아이콘)을 저장하고 있으며, 자동 응답 설정 기능, 안내 음성 설정 기능, 음성 메모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녹음된 음성 등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장치(14), 상기 코덱(CODEC)(13)으로부터 전달받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음성출력장치(스피커)(15), 상기 연산/제어장치(12)의 제어에 따른 화면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장치(LCD)(16), 버튼을 통해 전화번호, 메뉴선택정보,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 등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장치(키패드)(17), 음성을 입력받아 상기 코덱(CODEC)(13)으로 전달하기 위한 음성입력장치(마이크)(18)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 wireless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 11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signal wirelessly through an antenna, driving and controll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 input device (keypad) The voice data is read from the storage device 14 according to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17, after reconstructed by adjusting the silent section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4. A voice output device (speaker) 15 by conver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1 into voice according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for updating voice data and the control of the calculation / control device 12. ), And converts the voice input from the voice input device (microphone) 18 into a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to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to be transmitted through th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device 11. A codec 13 for storing a program and a file system (image, character, icon) for driv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nd using an auto answer setting function, a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a voice memo function, and the like. Storage device 14 for storing the recorded voice, etc., a voice output device (speaker) 15 for outputting the voice received from the codec (13),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A display device (LCD) 16 for outputting a scree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 input device (keypad) 17 for receiving a telephone number, menu selection information,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and the like through a button, a voice input And a voice input device (microphone) 18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codec 13.

이 때, 본 발명에 사용되는 음성구간(End-point) 검출 알고리즘으로는 평균 에너지(average magnitude)와 영교차율(Zero-crossing rate)을 이용한 음성 검출 알고리즘, 레벨 등화기(level equalizer)를 이용한 음성 검출 알고리즘, 티거(Teager)의 에너지를 이용한 음성 검출 알고리즘 등이 있다.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음성 구간과 무음 구간을 구분하고,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무음 구간을 조정한다. At this time, as an end-point detection algorithm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detection algorithm using average energy and zero-crossing rate, and a voice using a level equalizer Detection algorithms, voice detection algorithms using the energy of Teager (Teager).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distinguishes the voice section from the silent section by using a voice detection algorithm and adjusts the silent section lasting for a predetermined time or more.

여기서, 무음 구간의 조정이란, 소정 이상 지속되는 무음 구간에 대하여 무음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에 연속되는 일정 부분(여분)을 남기고 제거하는 것을 말 한다. 이 때, 시작점과 끝점에 연속되어 제거되지 않는 무음 구간은 자연스러움을 해치지 않을 정도의 값으로 결정되어야 한다. 즉, 무음 구간 조정시 여분의 무음 구간을 남기지 않으면 제거된 무음 구간과 연결되는 음성 구간이 매우 부자연스럽게 되므로, 시작과 끝부분에 적절한 여분의 무음 구간을 남기고 나머지 무음 구간은 제거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이어지도록 한다.Here, the adjustment of the silent section refers to the removal of the silent section lasting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leaving a certain portion (extra) consecutive to the start and end points of the silent section. At this time, the silent section that is not removed continuously at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should be determined to a value that does not harm the naturalness. In other words, if you do not leave an extra silent section when adjusting the silent section, the voice section connected to the removed silent section becomes very unnatural. .

본 발명의 전체적인 동작 과정에 대하여서는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에 대한 일실시예 흐름도로서, 에너지와 영교차율을 이용한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adjusting a silent s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oice detection algorithm using energy and a zero crossing rate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먼저, 상기 연산/제어장치(12)가 입력장치(키패드)(17)를 통하여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으면(201), 저장장치(14)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인다(202). 이 때,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는 음성 녹음을 마친 후 무음 구간 조정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여 입력받을 수도 있고, 메뉴 선택에 의하여 이미 녹음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에 대한 무음 구간 조정을 요청받을 수도 있다.First, when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receives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through an input device (keypad) 17 (201), the corresponding voice data is read from the storage device 14 (202). In this case,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may be input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silent section is adjusted after the voice recording is completed, or may be requested to adjust the silent section for the voice data already recorded by the menu selection.

이후,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상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음성 데이터의 초기 일정 구간, 예 : 100ms)의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Zero-crossing rate)을 측정하여, 음성 구간과 무음 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에너지 문턱값(Energy Threshold)을 결정한다(203). Subsequently,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measures an energy average value and zero-crossing rate of background noise (initial interval of voice data, eg, 100 ms) from the read voice data. In operation 203, an energy threshold for distinguishing between a voice section and a silent section is determined.

이 때, 음성 데이터의 초기 일정 구간의 프레임을 이용하여 에너지 문턱값(Energy Threshold)을 결정하는 이유는, 음성 구간의 프레임 에너지가 비음성 신호보다 비교적 큰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음성 데이터의 초기 구간이 비음성 신호 특성을 가진 것으로 가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비음성 신호의 에너지 평균값을 계산하여 얻어진 에너지 문턱값(Energy Threshold)은 무음 구간의 시작점 및 끝점 검출시 기준값이 된다. At this time, the reason for determining the energy threshold using the frame of the initial predetermined interval of the speech data is because the frame energy of the speech interval has a relatively larger characteristic than the non-voice signal, and thus the initial interval of the speech data. This is because it can be assumed to have this non-voice signal characteristic. As such, the energy threshold obtain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energy value of the non-voice signal becomes a reference value when detecting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ilent section.

한편, 에너지 문턱값(Energy Threshold)이 결정되면 상기 연산/제어장치(12)는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방식을 이용하여 각 스텝마다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Zero-crossing rate)을 측정한다. 그리고,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Zero-crossing rate)의 측정치가 에너지 문턱값(Energy Threshold) 이하인 시작점과 끝점을 추출하여 무음 구간을 추출한다(204). 그리고, 상기 추출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지를 확인한다(205). On the other hand, when the energy threshold value (Energy Threshold) is determined, the operation / control device 12 uses the sliding window method for the voice data to determine the energy average value and zero-crossing rate for each step. Measure In operation 204, a silent section is extracted by extra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having a measured energy average value and a zero-crossing rate below an energy threshold value. Then, it is checked whether the extracted silent section is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205).

상기 확인 결과(205), 상기 추출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이면 음성 데이터에서 무음 구간을 조정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구성한다(206). 이 때, 무음 구간의 조정은,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무음 구간에 대하여 시작점과 끝점에 연속되는 일정 부분(여분)을 남기고, 그 이외의 무음 구간을 제거한다.As a result of the check 205, if the extracted silent section is longer than a preset time, the silent data is reconstructed by adjusting the silent section in the speech data (206). At this time, the adjustment of the silent section leaves a portion (extra) consecutive to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for the silent section longer than a predetermined time, and removes the other silent section.

그리고, 모두 처리하였는지를 확인하여(207), 모두 처리하지 않았으면 "204" 과정으로 진행하여 반복 수행하고, 모두 처리하였으면 저장장치(14)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무음 구간을 조정하여 재구성한 음성 데이터로 업데이트한 후(208) 종료한다.In addition, if all the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207), if not all of the processing proceeds to the process "204" and repeats, if all process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14 is reconstructed by adjusting the silent section After updating with data (208), the process ends.

한편, 상기 확인 결과(205), 상기 추출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미만이 면 "207" 과정으로 진행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check result 205, the extracted silent section is less than a predetermined time proceeds to "207" process.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not limited by the drawings.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에서 자동 응답 설정 기능, 안내 음성 설정 기능, 음성 메모 기능 등을 이용하기 위하여 녹음된 음성에서 불필요하게 소정 시간 이상 지속되는 무음 구간을 추출하여 조정함으로써, 메모리 사용을 줄이고 청취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memory by extracting and adjusting a silent section that lasts more than a predetermined time unnecessarily from a recorded voice in order to use an automatic answer setting function, a guide voice setting function, a voice memo function, etc. in a communication terminal. It can reduce and increase the listening efficiency.

Claims (6)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에 있어서,A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녹음된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수단; Storage means for storing the recorded voice data;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입력수단; 및Input means for recei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And 상기 입력수단을 통하여 입력받은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에 따라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며,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당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무음 구간을 추출한 후에, 해당 추출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무음 구간을 제거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구성한 후,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해당 재구성된 음성 데이터로 업데이트하기 위한 제어수단The speech data is read from the storage means according to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input means, and after the silent section is extracted from the read speech data using a voice detection algorithm, the extracted silent section is pre-written. Control means for reconstructing the voice data by removing the silen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predetermined time or more, and then updating the voice data stored in the storage means with the reconstructed voice data. 을 포함하는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comprising a.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제어수단이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배경 잡음의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Zero-crossing rate)을 측정하여 음성 구간과 무음 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에너지 문턱값(Energy Threshold)을 결정한 후, 상기 저장수단으로부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에너지 문턱값 이하인 시작점과 끝점을 추출하여 무음 구간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After the control means measures the energy average value and zero-crossing rate of the background noise from the speech data read from the storage means, and determines an energy threshold for distinguishing the speech section from the silent section. And a silent section by extracting a silent section by measuring an energy average value and a zero crossing rate from the speech data read from the storage means, extra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whose measured values are below an energy threshold valu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상기 제어수단은,The control means,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무음 구간 중에서 무음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에 연속되는 일정 부분(여분)을 제외한 무음 구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음 구간 조정 기능을 가지는 통신 단말기.Th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silent section adjustment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o remove a silent section except for a portion (extra) continuous to the start and end of the silent section of the silent section of the predetermined time or more.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에 있어서,In 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method in the communication terminal, 음성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단계;A storage step of storing voice data; 무음 구간 조정 요청 신호에 따라 해당 음성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음성 데이터 로딩 단계;A voice data loading step of reading corresponding voice data according to a silent section adjustment request signal; 음성 검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무음 구간을 추출한 후에, 해당 추출된 무음 구간이 기설정된 시간 이상인 경우에 해당하는 무음 구간을 제거하여 음성 데이터를 재구성하는 무음 구간 조정 단계; 및 상기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상기 재구성된 음성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음성 데이터 업데이트 단계After the silent section is extracted from the read voice data using a voice detection algorithm, the silent section corresponding to the case where the extracted silent section is longer than a preset time is removed. A silent section adjustment step of reconstructing voice data; And updating the stored voice data with the reconstructed voice data.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Silent section adjustment metho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무음 구간 조정 단계는,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step, 상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로부터 배경 잡음의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을 측정하여, 음성 구간과 무음 구간을 구분하기 위한 에너지 문턱값을 결정하는 에너지 문턱값 결정 단계;An energy threshold value determining step of determining an energy threshold value for distinguishing a speech section from a silent section by measuring an energy average value and a zero crossing rate of background noise from the read speech data; 상기 읽어들인 음성 데이터에 대하여 에너지 평균값과 영교차율을 측정하여, 그 측정치가 에너지 문턱값 이하인 시작점과 끝점을 추출하여 무음 구간을 추출하는 무음 구간 추출단계A silent section extraction step of extracting a silent section by measuring an average energy value and a zero crossing rate of the read voice data, extracting a start point and an end point whose measured values are below an energy threshold value. 를 포함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Silent section adjustment method in a communication terminal comprising a.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or 5, 상기 무음 구간 조정 단계는,The silent section adjustment step, 상기 기설정된 시간 이상의 무음 구간 중에서 무음 구간의 시작점과 끝점에 연속되는 일정 부분(여분)을 제외한 무음 구간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에서의 무음 구간 조정 방법.The silent section adjusting method of the communication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for removing the silent section except for a portion (extra) continuous to the start point and the end point of the silent section from the silent section of the predetermined time or more.
KR1020040022333A 2004-03-31 2004-03-31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KR10063698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33A KR100636981B1 (en) 2004-03-31 2004-03-31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2333A KR100636981B1 (en) 2004-03-31 2004-03-31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219A KR20050097219A (en) 2005-10-07
KR100636981B1 true KR100636981B1 (en) 2006-10-19

Family

ID=37277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2333A KR100636981B1 (en) 2004-03-31 2004-03-31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981B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7219A (en) 2005-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520943A (en) Extended use of phones in noisy environments
JP2010258701A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regulating volume level
CN101467431A (en) Audio processing in communication terminals
CN107621933B (en) Audio playing method and device and related medium product
CN111937371B (en) Telephone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elephone apparatus, and program
JP2017216603A (en) Telephone
KR100595612B1 (en) Audio volum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CN109511040B (en) Whisper amplifying method and device and earphone
KR100636981B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its method for providing silent interval adjustment function
US11087778B2 (en) Speech-to-text conversion based on quality metric
JP5040511B2 (en) Telephone device having reception volume adjustment function for each speaker
EP2474974A1 (en) Voice reproduction device and voice reproduction method
CN111818215B (en) Record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Bluetooth wireless answering device
JP2007104184A (en) Information storage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H08214058A (en) Recorder for telephone set
JP4819642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KR100649986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radication noise of voice signal o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4242050A (en) Radio terminal and method for adjusting sound volume of received call thereof
KR100638250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versation volume of peronal portable device and apparatus of enabling the method
KR20030018950A (en) Method of using cellular phone for recording sound
JP6166059B2 (en) Call apparatus and sound correction method thereof
JPWO2004066524A1 (en) Mobile phone
JP2008278327A (en) Voice communication device and frequency characteristic control method of voice communication device
KR100561774B1 (en) Method for adjusting a volume of voice automatically
JP6675079B2 (en) Telephon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