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6821B1 -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6821B1
KR100636821B1 KR1020060066870A KR20060066870A KR100636821B1 KR 100636821 B1 KR100636821 B1 KR 100636821B1 KR 1020060066870 A KR1020060066870 A KR 1020060066870A KR 20060066870 A KR20060066870 A KR 20060066870A KR 100636821 B1 KR100636821 B1 KR 100636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support
transmission line
frames
pres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68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전기
Priority to KR10200600668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6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6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6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covered by H02G
    • H02G2200/30Tools for installing cables comprising a spirit level

Landscapes

  • Insul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신주에 송전선을 고정하는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지상에 입설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입설부,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중심홈과; 상기 지주의 상면에 조적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측면에 수평하게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으로 돌출되며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추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돌부와; 한 쌍의 상기 삽입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돌부의 이동방향으로 탄발하는 완충대를 갖춘 "ㅛ"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지지부, 및
송전선을 고정하는 고정쇠를 상면에 갖춘 고정바아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삽입구를 상면에 갖춘 애자와;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애자와 결합되는 스크류를 갖추고, 측면에 합성수지재질의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대와; "ㄱ" 형상을 이루면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측면은 바깥쪽으로 절곡된 곡면부를 이루고, 상기 스크류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면서 상기 스크류에 구비된 조임너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2고정프레임과; 상기 곡면부와 맞닿는 맞물림판과, 상기 삽입돌부와 맞물리고 상기 관통구멍에 연동하여 조임볼트가 관통하는 끼움구멍을 갖는 고정판을 각각 구비하면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2고정프레임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조임볼트를 조일수록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곡면부가 조여지면서 상기 고정대를 고정하는 제1,2프레스와; 상기 고정대 및 제1,2프레스와 직접 맞닿는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면에 도포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2피복체;를 구비한 완철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 of power-transmission lin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지지구조의 일부인 완철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지지구조의 일부인 완철부와 지지부 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돌부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이고,
도 4는 상기 완철부, 지지부 및 입설부 간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용어설명 -
100 ; 완철부 110 ; 애자
111 ; 삽입구 112 ; 고정바아
113 ; 고정쇠 120 ; 고정대
121 ; 스크류 122 ; 조임너트
123 ; 완충부재 124 ; 지지판
130, 130' ; 프레스 131 ; 고정판
132 ; 끼움구멍 133 ; 맞물림판
134 ; 조임볼트 135 ; 너트
140, 140' ; 고정프레임 141 ; 곡면부
150, 150' ; 피복체 151 ; 끼움홈
200, 200' ; 지지부 210, 210' ; 회전대
211, 211' ; 중심홈 212 ; 관통구
220, 220' ; 지지프레임 221, 221' ; 삽입돌부
222 ; 관통구멍 223 ; 완충대
224 ; 가이드홈 230 ; 이격대
231 ; 중심홈 232 ; 고정홈
233 ; 고정핀 240 ; 마감대
241 ; 고정핀
300 ; 입설부 310 ; 지주
320 ; 회전축
본 발명은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송전탑 또는 전신주 등에는 송전선이 연결 고정되며, 이러한 송전선은 완금 또는 완철이라고 하는 구조물을 매개로 고정된다.
이러한 완철은 대개 금속재로 되어 애자의 위치를 조정할 수 없도록 단단히 고정되므로, 시공 후 상기 애자의 파손에 의한 교체 또는 송전선의 추가 연결 등을 해야할 필요가 있을 경우, 완철에 고정된 애자를 일일이 분해하여 위치를 변경한 후 재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특히, 상기 애자가 고정위치의 변경 또는 송전선의 배선방향 변경에 따른 조정이 필요할 경우엔, 완철 자체를 송전탑 또는 지주로부터 완전히 분리한 후 재조립해야하는데, 단순한 바아 형태의 완철에 애자의 고정위치를 변경하여 단단히 체결하기 위해서는 현장에서 변경된 상기 고정위치에 볼트구멍을 뚫어 상기 애자를 핀 또는 볼팅 방식으로 체결한다. 하지만, 상기 볼트구멍을 뚫는 작업은 현장에서 수행하기엔 그 작업이 곤란하고, 다소의 위험이 따르는 문제도 있었다.
따라서, 현장에서 볼트구멍을 뚫는 작업을 피할 목적으로 새로운 형태의 완철을 대체할 수 있으나, 이럴 경우 불필요한 자재의 소모가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애자의 추가, 교체 및 위치 변경 등에 따른 조정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별도의 자재소모가 일어나지 않고 또한 애자와 완철 간의 견고한 결합구조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의 제공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상에 입설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 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입설부,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중심홈과; 상기 지주의 상면에 조적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측면에 수평하게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으로 돌출되며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추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돌부와; 한 쌍의 상기 삽입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돌부의 이동방향으로 탄발하는 완충대를 갖춘 "ㅛ"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지지부, 및
송전선을 고정하는 고정쇠를 상면에 갖춘 고정바아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삽입구를 상면에 갖춘 애자와;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애자와 결합되는 스크류를 갖추고, 측면에 합성수지재질의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대와; "ㄱ" 형상을 이루면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측면은 바깥쪽으로 절곡된 곡면부를 이루고, 상기 스크류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면서 상기 스크류에 구비된 조임너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2고정프레임과; 상기 곡면부와 맞닿는 맞물림판과, 상기 삽입돌부와 맞물리고 상기 관통구멍에 연동하여 조임볼트가 관통하는 끼움구멍을 갖는 고정판을 각각 구비하면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2고정프레임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조임볼트를 조일수록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곡면부가 조여지면서 상기 고정대를 고정하는 제1,2프레스와; 상기 고정대 및 제1,2프레스와 직접 맞닿는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면에 도포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2피복체;를 구비한 완철부,
를 포함하는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이다.
상기의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송전선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둘레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의 상면에는 상기 중심홈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구가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대의 상면에 조적되되 저면에는 상기 관통구와 고정홈을 순차 관통하는 고정핀이 형성된 마감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지지구조의 일부인 완철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애자(110)는 완철부(100)의 일지점에 고정되더라도 시공 후 상황변화에 따라 애자(110)의 현 고정위치를 변경하거나 새로운 애자(110)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하도록 된 것으로, 상기 애자(110)는 고정대(120)의 상면에 입설된 스크류(121)와 고정되고, 상기 고정대(120)는 제1,2고정프레임(140, 140')과 이동가능하게 맞물려 고정된다.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은 "ㄱ" 형상을 이루면서 측면은 외측으로 절곡된 곡면부(141)를 이루는 바아형상으로, 제1고정프레임(140) 및 제2고정프레 임(140')이 상호 마주보면서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제1고정프레임(140)과 제2고정프레임(140')의 사이로 상기 스크류(121)가 배치되므로,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이격거리는 상기 스크류(121)의 외경에 상응할 것이다.
그런데, 상기 고정대(120)는 고압전류가 흐르는 송전선과 직접 맞닿는 애자(110)에 연결되는 것이고, 다수의 애자(110)를 지지하기에 충분한 강성을 가져야 하는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은 금속재질이어야 하며, 이러한 제1,2고정프레임(140, 140')과 상기 고정대(120)는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유사시를 대비하여 이들을 서로 절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은 "ㄱ"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는 제1,2피복제(150, 150')로 각각 덮힌다. 한편, 상기 제1,2피복체(150, 150')에는 끼움홈(151)이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외면은 물론 내면을 도포하여 외면과 맞닿는 하기 제1,2프레스(130, 130')와 내면과 맞닿는 상기 고정대(12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피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외면 및 내면을 하나의 몸체로 된 제1,2피복체(150, 150')를 매개로 도포하기 위해 절곡되면서 형성된 것이 바로 상기 끼움홈(151)인 것이다.
한편, 상기 제1,2피복체(150, 150')는 합성수지재질로 되어서 연성과 탄성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2프레스(130, 130')와 상기 스크류(121) 및 조임너트(122)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고정대(120) 및 제1,2프레스(130, 130')가 제1,2피복체(150, 150')와 긴밀하게 맞닿으면서 마찰력이 증가하고, 이렇게 증가한 마찰력은 애자(110)의 고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2프레스(130, 130')는 상기 제1,2피복체(150, 150')로 덮힌 제1,2고정프레임(140, 140')에 압력을 가해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으로 삽입된 고정대(120)의 이동을 저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측면은 외측으로 절곡된 곡면부(141)를 이루므로, 상기 고정대(120)의 삽입은 수월하다. 하지만, 이 상태를 유지할 경우, 상기 고정대(120)와 제1,2고정프레임(140, 140') 간의 결속력이 작아, 상기 애자(110)가 쉽게 이탈할 수 있다.
따라서, 애자(110)와 연결된 고정대(120)가 설계 내용에 따라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 안으로 모두 삽입되 맞물리면, 상기 고정프레임(140, 140')을 상기 제1,2프레스(130, 130')로 단단히 덮는다. 이때, 상기 제1,2프레스(130, 130')는 제1,2피복체(150, 150')로 덮힌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곡면부(141)를 밀면서 상기 고정대(120)의 측면에 밀착시킨다.
이를 위해, 상기 제1,2프레스(130, 130')는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곡면부(141)에 수평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맞물림판(133)과, 상기 맞물림판(133)과 연결되어 제1고정프레임(140) 및 제2고정프레임(140')을 상호 체결하는 고정판(131)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판(131)은 하방으로 돌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프레스(130)와 제2프레스(130')는 상기 고정판(131)에 형성된 끼움구멍(132)으로 조임볼트(134)를 삽입한 후 너트(135)를 끼워 상호 고정한다. 따라서, 상기 맞물림판(133)이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곡면 부(141)에 가하는 압력은 상기 조임볼트(134)를 조임으로서 발생하며, 상기 조임볼트(134)를 강하게 조일수록 상기 맞물림판(133)이 상기 곡면부(141)에 수평력을 가하는 힘이 커지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대(120)와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이 맞닿는 상기 고정대(120)의 일지점에는 완충부재(123)가 배치된다. 상기 완충부재(123)는 상기 조임볼트(134)의 조임력에 의해 발생하는 상기 맞물림판(133)의 압력이 단단한 고정대(120)에 직접 전달되면서 발생할 수 있는 파손을 최소화하고, 상기 맞물림판(133)과의 마찰력을 높여 상기 애자(110)의 위치고정을 높일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되는 상기 고정대(120)는, 고정대(120)의 상면에 입설되어서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이격공간을 관통한 상기 스크류(121)에, 지지판(124)을 끼워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상면을 덮은 후, 상기 스크류(121)에 나사산 결합되는 조임너트(122)를 조임으로서, 상기 고정대(120)와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을 체결한다.
이때, 상기 조임너트(122)를 강하게 조일수록 상기 조임너트(122)가 지지판(124)에 압력을 가하게 되고, 상기 지지판(124)은 제1,2고정프레임(140, 140')의 상면에 힘을 가함은 물론 상기 고정대(120)을 상방으로 끌어올려, 상기 제1,2고정프레임(140, 140')과 고정대(120) 간의 긴밀한 결속을 이루게 한다.
미 설명 인출번호 "112"는 고정바아로, 상기 애자(110)에 형성된 삽입구(111)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된다.
미 설명 인출번호 "113"은 고정쇠로, 송전선을 잡아 고정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애자(110)에 고정된 송전선은 고정된 애자(110)를 분해할 필요없이 상기 고정바아(112)의 회전으로 간단하게 방향전환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대(120)의 길이를 충분히 하여, 이웃하는 송전선 간의 간격을 규정 이상으로 강제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고정대(120)의 길이를 이웃하는 송전선 간의 허용된 최소 간격 이상으로 하여, 해당 고정대(120)에 이웃하는 고정대가 하기 지지부(200 ; 도 2 참조)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맞붙게 배치되더라도, 상기 고정대들의 애자에 고정되는 송전선들이 상기 고정대들의 길이만큼 강제로 떨어지면서 규정에 맞도록 하는 것이다.
미 설명 인출번호 "125"는 관통홈으로, 상기 스크류(121)가 관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송전선의 지지구조의 일부인 완철부와 지지부 간의 결합 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삽입돌부의 작동모습을 도시한 작동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이루는 완철부(100)는 지주(310 ; 도 3 참조)와의 결합을 위해 지지부(200)와 연결된다.
상기 지지부(200)는 중심홈(211)을 갖는 회전대(210)와, 상기 회전대(210)로부터 수평하게 인출된 지지프레임(2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대(210)를 중심으로 상호 역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삽입돌부(221, 221')를 포함하여 "ㅗ" 형상의 단면을 이루고, 상기 삽입돌부(221)는 상기 완철부(100)의 제1,2프레스(130, 130') 사이로 삽입되면서,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제 1,2프레스(130, 130')가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조임볼트(134)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22)이 상기 삽입돌부(221, 221')에 형성되면서, 상기 조임볼트(134)를 매개로 상기 지지프레임(220)과 그 상면에 안착되는 완철부(100)를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돌부(221, 221')는 한 쌍이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220)이 "ㅛ" 형상을 이루게 된다. 또한, 상기 삽입돌부(221, 221')는 지지프레임(220) 상에 이동가능하게 고정되고, 삽입돌부(221, 221') 사이에는 완충대(223)가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대(223)의 탄발력에 의해 한 쌍의 상기 삽입돌부(221, 221')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서로를 밀어내게 된다. 상기 삽입돌부(221, 221')와 맞물리는 가이드홈(224)은 상기 삽입돌부(221, 221')가 상기 완충대(223)의 탄발력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동을 안내하면서 그 이동범위에 제한을 두어 상기 삽입돌부(221, 221')가 이탈되는 것을 막는다.
한편, 상기 완충대(223)는 상기 삽입돌부(221, 221')에 삽입되는 조임볼트(134)가 관통하도록 배치되는데,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볼트(134)를 조이면 그 압력이 완충대(223)로 전달되어 상기 삽입돌부(221, 221') 간의 이격거리가 좁혀진다. 물론, 상기 조임볼트(134)를 풀면 상기 완충대(223)의 탄발력에 의해 상기 삽입돌부(221, 221')가 상호 밀리면서 벌어지게 된다. 결국, 상기 조임볼트(134)를 조이거나 풀면 상기 삽입돌부(221, 221')가 좁혀지거나 벌어지고, 이에 따라 상기 제1,2프레스(130, 130')가 좁혀지거나 벌어지면서, 상기 제1,2프레스(130, 130')의 압에 의해 고정 여부가 결정되는 상기 고정대의 이동을 쉽 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220)은 하중을 갖는 상기 완철부(100)를 지지해야 하므로, 지지프레임(220)이 완철부(100)의 하중으로 휘지 않도록,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역학적으로 횡압력에 대한 우수한 저항력을 갖는 "ㅗ" 형상의 단면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 완철부, 지지부 및 입설부 간의 결합모습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인 바, 이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술한 구조를 통해 완철부(100)와 결합되는 지지부(200)는 지면으로부터 입설된 입설부(300)와 결합된다. 이를 위한 입설부(300)는 콘크리트 재질로 된 지주(310)와, 상기 지주(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심에 위치하는 회전축(320)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입설부(300)에 상기 지지부(200)가 조적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200)는 회전대(210)의 중심에 형성된 중심홈(211)에 상기 회전축(320)을 관통시켜 조적한다. 즉, 상기 지지부(200)는 입설부(300)를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이후 고정위치가 결정되면 이격대(230)를 배치한다. 상기 이격대(230)는 완철부(100)를 다층으로 할 경우, 하층 완철부와 상층 완철부 간 간격을 강제로 설정하는 것으로, 단층일 경우엔 하기 마감대(240)가 상기 이격대(230)를 대신하여 조적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이격대(230)의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핀(233)이 구비된다. 상 기 고정핀(233)은 회전대(210)의 관통구(212)에 삽입된 후, 상기 지주(310)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미도시함)으로 끼워진다. 여기서 상기 고정홈은 이격대(230)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23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지주(310)의 상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형성되어서, 고정핀(23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결국, 상기 고정핀(233)이 상기 관통구(212)를 관통한 후 상기 고정홈에 끼워지면서 지지부(200)는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격대(230)의 중심홈(231)은 상기 회전축(320)이 관통하도록 이격대(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이다.
계속해서, 상기 이격대(230)가 조적되면 그 상면으로 다른 지지부(200')가 조적될 수 있다. 이때도 역시 상기 지지부(200')의 회전대(210')가 회전축(320)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면서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더 이상의 지지부를 조적할 필요가 없을 경우, 최종 조적된 지지부(200')의 회전대(210') 상에 마감대(240)를 조적하여 입설부(300)의 상단을 마무리하는 동시에, 상기 지지부(20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한다.
상기 마감대(240) 또한 저면에 하방으로 돌출된 고정핀(241)을 갖추고, 상기 고정핀(241)은 회전대(210')의 관통구(212')로 관통 삽입된다. 또한, 이렇게 삽입된 고정핀(241)은 상기 이격대(230)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232)에 끼워져서 상기 지지부(200')을 잡아주게 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는 완철부(100)의 회전을 분해없이 이룰 수 있고, 또한 애자(110)의 교체는 물론 애자(110)의 고정위치를 상 황에 따라 별도의 조립이나 완철의 교체 및 가공없이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상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임볼트를 풀어줌으로서 고정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미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도 애자의 추가 또는 교체 및 제거가 용이하고, 완철부에 대한 전체적인 회전이 가능하여 송전선의 배선 방향에 따른 융통성 있는 조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지상에 입설되는 콘크리트 재질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내측 중심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어 상기 지주의 상면으로 돌출되는 회전축;을 구비한 입설부,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관통하는 중심홈과; 상기 지주의 상면에 조적되는 회전대와; 상기 회전대의 측면에 수평하게 돌출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면으로 돌출되며 다수의 관통구멍을 갖추고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동가능하게 고정되는 한 쌍의 삽입돌부와; 한 쌍의 상기 삽입돌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삽입돌부의 이동방향으로 탄발하는 완충대를 갖춘 "ㅛ" 형상의 단면을 갖는 지지프레임;을 구비한 지지부, 및
    송전선을 고정하는 고정쇠를 상면에 갖춘 고정바아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삽입구를 상면에 갖춘 애자와; 상면에 돌출되어 상기 애자와 결합되는 스크류를 갖추고, 측면에 합성수지재질의 완충부재가 구비된 고정대와; "ㄱ" 형상을 이루면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측면은 바깥쪽으로 절곡된 곡면부를 이루고, 상기 스크류가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고정대가 삽입되면서 상기 스크류에 구비된 조임너트를 조이는 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2고정프레임과; 상기 곡면부와 맞닿는 맞물림판과, 상기 삽입돌부와 맞물리고 상기 관통구멍에 연동하여 조임볼트가 관통하는 끼움구멍을 갖는 고정판을 각각 구비하면서 서로 마주하게 배치되는 한 쌍으로,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2고정프레임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조임볼트를 조일수록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곡면부가 조여지면서 상기 고정대를 고정하는 제 1,2프레스와; 상기 고정대 및 제1,2프레스와 직접 맞닿는 상기 제1,2고정프레임의 면에 도포되는 합성수지재질의 제1,2피복체;를 구비한 완철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상면에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다수의 고정홈이 둘레부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대의 상면에는 상기 중심홈을 중심으로 다수의 관통구가 둘레부에 형성되며;
    상기 회전대의 상면에 조적되되 저면에는 상기 관통구와 고정홈을 순차 관통하는 고정핀이 형성된 마감대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KR1020060066870A 2006-07-18 2006-07-18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KR100636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870A KR100636821B1 (ko) 2006-07-18 2006-07-18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6870A KR100636821B1 (ko) 2006-07-18 2006-07-18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6821B1 true KR100636821B1 (ko) 2006-10-23

Family

ID=37621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6870A KR100636821B1 (ko) 2006-07-18 2006-07-18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68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655B1 (ko) 2009-05-18 2011-09-01 송홍준 전신주용 애자 고정대
CN103066531A (zh) * 2013-01-14 2013-04-24 义乌市供电局 一种10千伏线路带电导线支撑架
CN106300134A (zh) * 2016-09-22 2017-01-04 国家电网公司 用于带电更换10kV配网线路针式瓷瓶时固定导线的工具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655B1 (ko) 2009-05-18 2011-09-01 송홍준 전신주용 애자 고정대
CN103066531A (zh) * 2013-01-14 2013-04-24 义乌市供电局 一种10千伏线路带电导线支撑架
CN103066531B (zh) * 2013-01-14 2016-06-15 义乌市供电局 一种10千伏线路带电导线支撑架
CN106300134A (zh) * 2016-09-22 2017-01-04 国家电网公司 用于带电更换10kV配网线路针式瓷瓶时固定导线的工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824B1 (ko) 전신주의 특고압 전류 처리를 위한 접지형 완금
US9574598B1 (en) Split nut for screw connection
KR100636821B1 (ko) 송전탑 내 송전선의 지지구조
KR101399043B1 (ko)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0636818B1 (ko) 전신주의 위치조절형 겹완철 구조
CN110617370A (zh) 一种石油化工管道安装支架
CN210179067U (zh) 一种管道安装固定夹具
CN111682466A (zh) 一种基于预埋槽安装的漏缆卡具
CN109296098B (zh) 无附加侧移刚度的抗拉隔震支座
CA2759267A1 (en) Connecting device
CN219710073U (zh) 一种空间索斜拉桥钢锚梁锚固装置
CN113315070B (zh) 一种锤头-钢绞线可拆卸的防振锤及其安装方法
CN116388651A (zh) 组件索更换装置、更换方法及光伏系统
KR200468964Y1 (ko) 케이블 장력 인장클램프 장치
DE102011055468A1 (de) Halterungssystem für dynamoelektrische Maschinen
CN210714044U (zh) 一种紧固型铁附件
KR20090004441U (ko) 철재크롤러용 고무패드
EP3660242B1 (en) Bolt connection for connecting two flanges
US20070062019A1 (en) Assembly for joining structural components without welding
CN106871081A (zh) 抱箍
KR100847244B1 (ko) 관통부를 가진 조립식 배전선로 전주
CN220022677U (zh) 一种整体式的光伏拉索结构
CN212849688U (zh) 一种不易变形的线缆护罩调节结构
CN112814588B (zh) 油管桥固定装置及地面排管装置
CN212462641U (zh) 一种新型单芯刚性固定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0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