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5868B1 -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Health Level 7 Standard - Google Patents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Health Level 7 Stand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35868B1 KR100635868B1 KR1020040099061A KR20040099061A KR100635868B1 KR 100635868 B1 KR100635868 B1 KR 100635868B1 KR 1020040099061 A KR1020040099061 A KR 1020040099061A KR 20040099061 A KR20040099061 A KR 20040099061A KR 100635868 B1 KR100635868 B1 KR 1006358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ssage
- standard
- module
- access
- metafi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HL7 표준에 의한 메시지를 생성 하고 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HL7 standard, and to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HL7 standard for supporting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a message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본 발명은 HL7 표준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HL7 표준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HL7 표준 메시지에서 특정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메시지를 선택하고, 이를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도록 수정하여 메시지를 정의하는 문서 작성 모듈을 포함하여, HL7 표준 메시지 중에서 특정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메시지를 선택하고, 이를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HL7 표준에 의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특정 의료기관 또는 부서별 특성을 반영한 HL7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HL7 standard message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From the HL7 standard messages stored in the database, the HL7 standard messages include a document creation module that selects a message required by a specific medical institution and modifies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stitution. Since the message is selected and modif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stitution to generate the message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there is an advantage of generating an HL7 message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ecific medical institution or department.
HL7, 문서HL7, articl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서 작성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2 to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ocument cre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서 작성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cument cre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모듈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ccess module class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문서 처리 시스템 110 : 데이터베이스100: document processing system 110: database
120 : 문서 작성 모듈 121 : 메타파일 생성수단120: document creation module 121: metafile generating means
123 : 액세스 코드 생성수단 125 : 엔진 코드 생성수단123: access code generation means 125: engine code generation means
130 : 검증 모듈 140 : 제어 모듈130: verification module 140: control module
150 : 액세스 모듈 152 : 최적화 수단150
본 발명은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HL7 표준에 의한 메시지를 생성 하고 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HL7 standard, and to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HL7 standard for supporting the generation and transmission of a message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일반적으로, 의료 기관에서 진찰을 받는 경우 의료진은 환자의 진료 내용을 종이에 기록하거나 개인용 PC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다.In general, when a doctor visits a medical institution, the medical staff manages the patient's medical treatment by recording it on paper or storing it on a personal PC.
규모가 큰 대형 의료기관의 경우, 복수의 부서와 진료과가 존재하며, 부서와 진료과는 각각의 특성에 따라 서로 다른 회사에서 개발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진료과 간에 의료정보 문서를 공유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의료정보 문서를 종이로 교환하고 있는 실정이다.In large medical institutions, there are multiple departments and departments, and since departments and departments use software developed by different companies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t is often necessary to share medical information documents between departments. If so, the medical information documents are exchanged for paper.
만약, 진료과의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의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서 메타데이터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메타데이터는 특정한 소프트웨어 2개를 연결할 뿐, 그 이상의 소프트웨어를 연계하려면 또 다른 모듈을 추가해야 하며, 이에 따른 메타파일도 정의해야 하고, 이러한 문제점은 타 병원 간에도 발생한다.If metadata is used to share information of different software with the medical department, the metadata only connects two specific softwares, and in order to link more softwares, another module must be added. Also, this problem also occurs among other hospitals.
이에 더하여, 서로 다른 소프트웨어의 의료정보 문서를 공유하기 위해 새로운 모듈이 추가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있다. In addition, new modules must be added in order to share medical information documents of different software, thus consuming unnecessary time and money.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병원 간 네트워킹 및 이와 관련된 연구를 필두로 하는 의료분야 정보 기술화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medical information information technology is being actively promoted, including hospital networking and related research.
의료 기관 간의 네트워킹을 위한 의료정보 표준으로 HL7(Health Level 7)을 들 수 있는데, 이는 서로 다른 보건 의료분야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간 정보 가 호환될 수 있도록 하는 규칙의 집합으로서, 전 세계적 표준으로 자리잡고 있는 추세이며, 이를 이용하게 되면 의료 기관의 유형 또는 규모에 무관하게 모든 종류의 의료 업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HL7은 환자의 진료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네트워크 표준인 것이다.Health Level 7 (HL7) is a healthcare information standard for networking between healthcare organizations. It is a set of rules that ensures that information is compatible between software applications in different healthcare sectors. It is a trend, and the use of this means that all types of medical services can be used regardless of the type or size of the medical institution. In other words, HL7 is a network standard that can share patient's medical information.
이에 따라, HL7 표준에 따라 의료기관 간에 의료정보 문서를 전송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어 지고 있다.Accordingly, the development of a system that supports the transfer of medical information documents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in accordance with the HL7 standard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HL7 표준에 따라 의료기관의 특성을 고려한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의료기관 간에 송수신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HL7 standard for generating a message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a medical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and supporting the transmission and reception between the medical institutions. There is.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신망과 연결되어, HL7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문서 처리 시스템으로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connected to the communication network, and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HL7 message,
HL7 표준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HL7 표준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HL7 표준 메시지에서 특정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메시지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도록 수정하여 메시지를 정의하는 문서 작성 모듈을 포함한다.A database for storing at least one HL7 standard message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The HL7 standard message stored in the database includes a document creation module for defining a message by selecting a message required by a specific medical institution and modifying it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stitu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문서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configuration of a document process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것과 같이, 문서 처리 시스템(100)은 HL7 표준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HL7 표준 의료정보 문서(HL7 표준 메시지)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110),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HL7 표준 메시지 중에서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메시지를 선택하고, 이를 상기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도록 수정하여 메시지를 정의하는 문서 작성 모듈(120), 검증용 메타파일이 HL7 표준에 따르는지 여부를 검증하는 검증 모듈(130), 문서 작성 모듈(120)에 의해서 생성되는 HL7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또는 수신되는 HL7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도록 하는 제어 모듈(140) 및 HL7 메시지에 데이터를 추가하거나 또는 삭제하여 HL7 메시지를 생성하는 액세스 모듈(150)을 포함한다.As shown, the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데이터베이스(110)는 의료정보를 기초로 생성되는 HL7 표준에 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HL7 표준 의료정보 문서(HL7 표준 메시지)를 저장한다. 여기에서, HL7 표준 메시지는 특정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HL7 표준 문서양식이며, 이는 HL7 version 2.x에 근거한 양식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the
문서 작성 모듈(120)은 데이터베이스(110)에 저장되어 있는 HL7 표준 메시지 중에서 특정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메시지를 추출하고, 이를 상기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도록 메시지를 수정한다.The
또한, 문서 작성 모듈(120)은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도록 수정된 HL7 메시지를 검증 모듈(130) 및 액세스 모듈(150)에 적용될 수 있도록 검증용 메타파일 및 액세스용 메타파일 형태로 변환하는 메타파일 생성수단(121), 액세스용 메타파일을 이용하여 HL7 메시지와 맵핑되는 액세스 모듈을 생성하는 액세스 코드 생성수단(123) 및 검증용 메타파일, 검증 모듈(130), 제어 모듈(140) 및 액세스 모듈(150)을 이용하여 HL7 인터페이스 엔진 모듈을 생성하는 엔진 코드 생성수단(125)을 포함한다.In addition, the
검증 모듈(130)은 메타파일 생성수단(121)에서 생성되는 검증용 메타파일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HL7 메시지가 HL7 표준에 적합한지 여부를 검증하고, 또한, 상기 HL7 메시지가 특정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The
액세스 모듈(150)은 HL7 메시지에 특정 환자의 의료정보 데이터를 기록하여 HL7 메시지를 생성하거나 또는 제어 모듈(140)로부터 수신하는 HL7 메시지로부터 특정 데이터를 추출하며, HL7 메시지를 파싱한다.The
또한, 액세스 모듈(150)은 HL7 메시지에서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부분을 제거하는 최적화 수단(152)을 포함한다.The
상기, 액세스 모듈(150)은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클래스와 연계되며, 비쥬얼 스튜디오(Visual Studio)에서 제공하는 Intellisense 기능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메시지 각 부분에 포함된 속성들에 대한 요약을 확인하고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여기에서, Intellisense 기능은 요약 정보 표시 또는 단어 자동 완성 기능 등을 포함하고 있어, 언어 참조를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옵션 배열을 제공하는 것으로, 코딩할 때 언어 요소를 검색하기 위해 코드 편집기 또 는 직접 실행 모드 명령 창을 닫을 필요 없이, 컨텍스트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찾고, 언어 요소를 코드에 직접 삽입할 수 있으며, 사용자 대신 입력을 마치도록 하는 기능이다.The
제어 모듈(140)은 TCP/IP 프로토콜, HTTP 프로토콜 또는 SOAP 프로토콜로 통신망으로 HL7 메시지를 전송하고, HL7 메시지 수신 시 이벤트를 발생하여 이벤트를 처리한다.The
도 1에 개시되어 있는 HL7 인터페이스 엔진은 검증용 메타파일, 검증 모듈(130), 제어 모듈(140) 및 액세스 모듈(150)을 포함하는 모듈로서, 실제 프로그램 내부에 포함되어 작동되며,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과 연동되기 위해 사용되는 모듈이다. 상기, HL7 인터페이스 엔진은 상기 문서 작성 모듈(120)과는 별도의 독립적인 구성으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러한 경우, 상기 HL7 인터페이스 엔진은 타 의료기관에 구비되어 있는 프로그램과 연동되기 위해 타 의료기관의 시스템에 장착되고, 액세스 모듈(150)은 HL7 메시지에 특정 환자에 대한 의료정보를 기록하여 특정 환자에 대한 HL7 메시지를 생성한다.The HL7 interface engine disclosed in FIG. 1 is a module including a verification metafile, a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문서 작성 모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문서 작성 모듈(120)에서 메타파일을 생성할 때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2 to 5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document cre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 an example of a screen displayed on a monitor when a metafile is generated in the
문서 작성 모듈(120)을 실행하면, 데이터베이스(110)로부터 정보를 추출하여 도 2와 같이 문서 작성 모듈 화면을 표시하는데, 좌측에는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게 사용자가 추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시지 리스트와 메시지의 하위 항목인 세 그먼트가 표시된다.When the
상기, 메시지 리스트에서 특정 메시지 항목을 선택하면, 선택한 메시지의 상세정보를 우측에 표시하여 메시지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When a specific message item is selected in the message list,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lected message is displayed on the right side so that the message information can be modified.
또한, 메시지의 하위 항목인 세그먼트를 선택하면, 세그먼트의 상세정보를 우측에 표시하여 세그먼트 정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세그먼트에 테이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테이블 정보를 수정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if a segment that is a lower item of the message is selected, detailed information of the segment is displayed on the right so that the segment information can be modified. At this time, when the table information exists in the segment, it is also possible to modify the table information.
도 3은 문서 작성 모듈(120)의 메타파일 생성수단(120)이 검증용 메타파일과 액세스용 메타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메타파일 생성수단(120)이 메타파일 생성을 실행하면, HL7 표준에 정의되어 있는 모든 이벤트(Event), 메시지(Message), 세그먼트(Segment), 컴포지트(Composite), 데이터 엘리먼트(Data Element), 테이블(Table) 및 프리미티브(Primitive)를 표시하여, 메타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3 is a diagram showing that the
도 4는 메타파일 생성수단(120)에서 생성하는 검증용 메타파일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이벤트, 메시지, 세그먼트를 XML 태그로 지정하고, 각 태그 내부의 데이터는 구분자를 이용하여 분리한다.4 is a diagram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verification metafile generated by the
도 5는 메타파일 생성수단(120)에서 생성하는 액세스용 메타파일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메시지 구조, 세그먼트 구조, 세그먼트 그룹 구조, 컴포지트 구조 및 서브 컴포지트 구조 등으로 구분되며, 상기 구조는 XML로 구성되어 있다.FIG. 5 is a view showing a metafile structure for access generated by the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문서 작성 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문서 작성 모듈(120)에서 액세스 모듈을 생성하는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document creation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shows an example of generating an access module in the
액세스 코드 생성수단(123)이 특정 메타파일을 선택(도 6의 파일선택 아이콘 선택)하고, 액세스 모듈을 생성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도 6의 Code Generate 아이콘 선택)하면 액세스 클래스를 생성하고, 이를 저장한다(도 6의 Save 아이콘 선택).When the access
여기에서, 각 클래스는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과 관련되는 클래스를 포함한 HITObjectBase 클래스를 내려받는다. 이때, CArray 클래스와 템플릿(Templat) 클래스를 이용하여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에서 Itellisense 기능이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Here, each class downloads the HITObjectBase class, including the classes associated with the basic data types. At this time, the Itellisense function is configured to work in Microsoft Foundation Class (MFC) by using CArray class and Template class.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액세스 모듈 클래스 다이어그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7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n access module class dia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각각의 클래스는 도 6에서 개시하고 있는 것과 같이 HITObjectBase 클래스를 내려받으며, HL7 메시지를 생성하고 파싱하는 함수를 구현한다. 템플릿 클래스는 HITSegmentRepeat 클래스와 HITSegmentOption 클래스를 포함하여, 상기 클래스는 HL7 메시지를 구현하지 못하는 그룹에서 반복 기능 및 옵션 기능을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7, each class downloads the HITObjectBase class as shown in Fig. 6 and implements a function for generating and parsing an HL7 message. The template class includes the HITSegmentRepeat class and the HITSegmentOption class, which allow the class to operate the repeat function and the optional function in a group that does not implement the HL7 message.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understood as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as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by the following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HL7 표준에 근거한 문서 처리 시스템은 HL7 표준 메시지 중에서 특정 의료기관에서 요구되는 메시지를 선택하고, 이를 의료기관의 특성에 맞게 수정하여 HL7 표준에 의한 메시지를 생성하기 때문에, 특정 의료기관 또는 부서별 특성을 반영한 HL7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the HL7 stand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elects a message required by a specific medical institution from among the HL7 standard messages, modifies i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institution, and generates a message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The advantage is that you can generate HL7 messages that reflect departmental features.
또한, 본 발명은 HL7 표준에 의한 HL7 메시지를 송수신하기 때문에, 의료기관 간 또는 동일 의료기관 내 타 부서 간에 의료정보 문서를 공유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transmits and receives HL7 messages according to the HL7 standard, the medical information document can be shared between medical institutions or between other departments within the same medical institution.
Claims (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9061A KR100635868B1 (en) | 2004-11-30 | 2004-11-30 |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Health Level 7 Stand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9061A KR100635868B1 (en) | 2004-11-30 | 2004-11-30 |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Health Level 7 Standar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160A KR20060060160A (en) | 2006-06-05 |
KR100635868B1 true KR100635868B1 (en) | 2006-10-18 |
Family
ID=37157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9061A KR100635868B1 (en) | 2004-11-30 | 2004-11-30 |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Health Level 7 Standar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35868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007B1 (en) * | 2008-11-13 | 2011-04-25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of HL7 based message structure for interperability of data from IEEE 1451 based biomedical sensors |
KR101394671B1 (en) | 2012-10-22 | 2014-06-16 |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on of health level seven message and recor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
KR20200013400A (en) * | 2018-07-30 | 2020-02-07 | (주)플라잉마운틴 | Method For Converting Health Inform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Health Information |
KR20220113135A (en) | 2021-02-05 | 2022-08-12 | (주)씨앤텍시스템즈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 of format conversion of JSON fil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7025B1 (en) * | 2014-10-08 | 2016-01-20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for storing medical information, system and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
KR101882176B1 (en) * | 2015-06-22 | 2018-07-26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ethod of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for smart health application, recording medium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9916A (en) | 2002-06-21 | 2004-01-29 | Nec Soft Ltd | Interface conversion system and interface conversion method and its program |
-
2004
- 2004-11-30 KR KR1020040099061A patent/KR100635868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29916A (en) | 2002-06-21 | 2004-01-29 | Nec Soft Ltd | Interface conversion system and interface conversion method and its program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31007B1 (en) * | 2008-11-13 | 2011-04-25 | 세종대학교산학협력단 |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of HL7 based message structure for interperability of data from IEEE 1451 based biomedical sensors |
KR101394671B1 (en) | 2012-10-22 | 2014-06-16 | 주식회사 인피니트헬스케어 | System and method for validation of health level seven message and record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implementing method thereof |
KR20200013400A (en) * | 2018-07-30 | 2020-02-07 | (주)플라잉마운틴 | Method For Converting Health Inform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Health Information |
KR102246603B1 (en) * | 2018-07-30 | 2021-04-30 | (주)플라잉마운틴 | Method For Converting Health Information And System For Managing Health Information |
KR20220113135A (en) | 2021-02-05 | 2022-08-12 | (주)씨앤텍시스템즈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GUI of format conversion of JSON fi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60160A (en) | 2006-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47983B2 (en) | Actionable email document | |
US6889363B2 (en) | Interactive multimedia report viewer | |
CN104126186B (en) | Develop the system and method for calculating the multi-platform application of equipment | |
US2006015010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forms on a user interface | |
US20080109250A1 (en) |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rendering DICOM structured clinical reporting via the internet | |
US20050273365A1 (en) | Generalized approach to structured medical reporting | |
US7500221B2 (en) | Filter-based comments in source code | |
US10964416B1 (en) | Block chain management | |
Chan | WWW+ smart card: towards a mobile health care management system | |
US20170201634A1 (en) | Document output processing | |
CN100578495C (en) | Method and system for exposing nested data in a computer-generated document in a transparent manner | |
CN103294340A (en) | Textual and formatted data presentation method and system | |
KR100932711B1 (en) | Medical Informatio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 |
KR100635868B1 (en) | Document Processing System Based on Health Level 7 Standard | |
US9286061B2 (en) | Generating and managing electronic documentation | |
KR101257286B1 (en) | System for smart electronic consent form base on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 |
Luyten et al. | Runtime transformations for modal independent user interface migration | |
Sartipi et al. | Standard-based data and service interoperability in eHealth systems | |
Altmann et al. | XML-based application interface services—a method to enhance integrability of disease specific systems | |
JP2005107635A (en) | Electronic form input system, method and program, and medium | |
Hurlen et al. | The basic principles of the synapses federated healthcare record server | |
US7730105B2 (en) | Time sharing managing apparatus, document creating apparatus, document reading apparatus, time sharing managing method, document creating method, and document reading method | |
JP2004164052A (en) | Medical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 |
EP1585026B1 (en) | Filter-based comments in source code | |
Kay et al. | The Oxford clinical intranet: providing clinicians with access to patient records and multiple knowledge bases with internet technolog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11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