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554B1 - Backlight unit - Google Patents

Backlight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554B1
KR100634554B1 KR1020060024762A KR20060024762A KR100634554B1 KR 100634554 B1 KR100634554 B1 KR 100634554B1 KR 1020060024762 A KR1020060024762 A KR 1020060024762A KR 20060024762 A KR20060024762 A KR 20060024762A KR 100634554 B1 KR100634554 B1 KR 100634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guide plate
light guide
hologram patter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47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8736A (en
Inventor
최진승
최환영
이문규
민지홍
이수미
김진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24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554B1/en
Publication of KR20060028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873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55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2Mechanical or piezoelectric inpu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iffracting Gratings Or Hologram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방사하는 점광원과, 점광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홀로그램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홀로그램패턴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방위각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도광판의 출광면으로 방출되는 출사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출광면에서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The disclosed backlight un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point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and a hologram pattern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centering on the point light source. According to such a structure, the incident azimuth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hologram pattern can be made constan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emitted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ing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can be improved, and uniform brightness can be obtained on the light exiting surface.

Description

백라이트 유닛{Backlight unit}Backlight unit

도 1은 점광원을 사용하는 종래의 가장자리 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dge-emitting backlight unit using a point light sourc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장자리 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dge-emitting backlight unit shown in FIG.

도 3은 LED의 방사각을 보여주는 그래프.3 is a graph showing the radiation angle of the L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출광분포를 보여주는 도면.4 is a view showing the light distribution by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shown in FIG.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출광면에서의 정면휘도를 보여주는 그래프.FIG. 5 is a graph showing the front luminance at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210......도광판 111,211.....입광면110,210 ... light guide plate 111,211 .....

112,212......출광면 120,220......LED112,212 ...... Emitting surface 120,220 ...... LED

130,230......홀로그램패턴 150, 250......확산부재130, 230 ... hologram pattern 150, 250 ... diffusion member

본 발명은 백라이트(backlight) 유닛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cklight unit.

액정표시장치와 같은 수광형 평판 표시소자는 그 자체가 발광하여 화상을 형성하지 못하고 외부로부터 빛이 입사되어 화상을 형성하므로 어두운 곳에서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수광형 평판 표시소자의 배면에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이 설치되어 빛을 조사한다. 백라이트 유닛은 수광형 평판 표시소자 외에도 조명간판 등과 같은 면광원장치에도 사용되고 있다.A light-receiv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itself cannot emit an image to form an image, but light is incident from the outside to form an image, so that the image cannot be observed in a dark place. Therefore, a back light unit is installed on the back of the light receiving flat panel display to emit light. In addition to the light receiving flat panel display device, the backlight unit is used in surface light source devices such as lighting signs.

백라이트 유닛은 광원의 배치형태에 따라서, 직하발광형(direct light type)과, 가장자리 발광형(edge light type)으로 분류된다. 가장자리 발광형은 광원으로서 선광원과 점광원을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인 선광원으로서는 양 단부의 전극이 관내에 설치되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가 있고, 점광원으로서는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가 있다. CCFL은 강한 백색광을 방출할 수 있고 고휘도와 고균일도를 얻을 수 있으며 대면적화 설계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주파 교류신호에 의해 작동되고 작동온도범위가 좁다는 단점이 있다. LED는 휘도와 균일도 면에서 CCFL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나, 직류신호 의해 작동되고 수명이 길며 작동온도범위가 넓다. 또, 박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The backlight unit is classified into a direct light type and an edge light type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the light sources. The edge emitting type can use a line light source and a point light source as a light source. Representative line light sources include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s (CCFLs) in which electrodes at both ends are installed in a tube, and light emitting diodes (LEDs) as point light sources. CCFLs have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mit strong white light, achieve high brightness and high uniformity, and allow for large-area designs, but they are operated by high frequency AC signals and have a narrow operating temperature range. LEDs have lower performance than CCFLs in terms of brightness and uniformity, but are driven by direct current signals, have a long lifetime and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thickness can be reduced.

도 1은 점광원을 사용하는 종래의 가장자리 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가장자리 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을 보면, 도광판(10)의 좌측 가장자리(11)에 점광원으로서 3개의 LED(20) 가 설치된다. 도광판(10)의 저면에는 LED(20)로부터 입사된 광을 출광면(12)으로 방출시키기 위한 홀로그램패턴(30)이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광판(10)의 상방에는 도광판(10)으로부터 나오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미도시)과 확산되어 나오는 광을 정면으로 모아주는 프리즘판(미도시)이 더 구비된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dge-emitting backlight unit using a point light source,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edge-emitting backlight unit shown in FIG. Referring to FIG. 1, three LEDs 20 are provided as point light sources on the left edge 11 of the light guide plate 10. A hologram pattern 30 for emitting light incident from the LED 20 to the light exit surface 12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ight guide plate 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light diffusion plate (not shown)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0 and a prism plate (not shown) for collect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guide plate 10 are further provided.

LED(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도 범위로 광을 방사한다. LED(20)에서 방출된 광은 가장자리(11)를 통하여 도광판(10)으로 입사되어 홀로그램패턴(30)에 입사된다. 홀로그램패턴(30)은 광축(21)에 직각방향으로 형성된 회절격자구조로서 입사된 광을 면광으로 변환시켜 도광판(10)의 상면인 출광면(12)으로 방출시킨다. 홀로그램패턴(30)은 광이 홀로그램패턴(30)과 90°각도로 입사되는 경우에 가장 높은 효율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홀로그램패턴으로 입사되는 광의 입사방위각분포가 작을수록 출광면(12)에서의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 출광면(12)의 휘도가 균일하지 않으면 화면이 얼룩져 보인다. 약 1 센티미터(cm)정도의 좁은 범위에서는 0.9 정도의 휘도변화가 얼룩으로 감지되나, 화면의 중앙부에서 선단부까지 완만하게 휘도변화가 있을 경우에는 0.8정도일지라도 휘도 얼룩은 감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0.8 이상의 휘도균일도가 요구되며 양질의 화질을 얻기 위해서는 0.9 이상의 휘도균일도가 요구된다.LED 20 emits light in a range of ± 90 degrees, as shown in FI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20 enters the light guide plate 10 through the edge 11 and enters the hologram pattern 30. The hologram pattern 30 is a diffraction grating structure formed at right angles to the optical axis 21 and converts the incident light into surface light and emits the light to the light exit surface 12, which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0. The hologram pattern 30 may emit light at the highest efficiency when the light is incident at a 90 ° angle with the hologram pattern 30. In addition, the smaller the incidence azimuth angle distribution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hologram pattern, the more uniform the luminance at the light exit surface 12 can be obtained. If the luminance of the light exiting surface 12 is not uniform, the screen appears stained. In the narrow range of about 1 centimeter (cm), the luminance change of about 0.9 is detected as a stain, but when there is a slight luminance change from the center to the tip of the screen, the luminance stain is not detected even if it is about 0.8. Therefore, a luminance uniformity of 0.8 or more is required, and a luminance uniformity of 0.9 or more is required to obtain high quality image quality.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출광분포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도광판(10)을 LED(20)가 설치된 가장자리(11)로부터 차례대로 입광부(40), 중앙부(50), 대광부(60)의 3영역으로 나누어 출광면(12)으로 방출되는 광의 출광분포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입광부(40)에 비해 중앙부(50)와 대광부 (60)에서 넓은 출광분포를 가진다. 4 is a view showing the light distribution by 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shown in FIG. 1, in which the light guide plate 10 sequentially receives from the edge 11 at which the LEDs 20 are installed; The outgoing distribution of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ing surface 12 divided into three regions of the light projecting portion 60 is shown. Referring to FIG. 4, the central portion 50 and the large light portion 60 have a wider light distribution than the light incident portion 40.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가장자리 발광형 백라이트 유닛에 의한 출광면(12)에서의 휘도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세로축은 휘도를 표시하며, 가로축은 출광면(12)에서의 광출사각을 반치각(FWHM: forward half maximum)으로서 표시한 것이다. 3개의 곡선(C1, C2, C3)은 좌측으로부터 각각 입광부(40), 중앙부(50), 대광부(60)의 휘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5를 보면, 입광부(40)의 휘도가 중앙부(50)와 대광부(60)의 휘도보다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치각 또한 입광부(40)에서는 20°/20°이나 중앙부(50)와 대광부(60)에서는 20°/35°로 더 넓게 나타난다. 20°/35°에서 앞의 20°과 뒤의 35°는 각각 도 3에서 X방향과 Y방향의 반치각을 표시한 것이다.FIG. 5 is a graph showing luminance at the light emitting surface 12 by the edge emitting backlight unit illustrated in FIG. 1.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luminance, and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he light exit angle at the light exit surface 12 as a forward half maximum (FWHM). The three curves C1, C2, C3 represent the luminance of the light incidence portion 40, the center portion 50, and the light portion 60, respectively, from the left side. 5, it can be seen that the luminance of the light incident portion 40 is greater than the luminance of the central portion 50 and the light portion 60. The half angle is also wider at 20 ° / 20 ° in the light incident part 40 or 20 ° / 35 ° in the central part 50 and the light part 60. At 20 ° / 35 °, the front 20 ° and the rear 35 ° represent the half angles in the X and Y directions, respectively, in FIG. 3.

이처럼 휘도가 불균일한 것은, 홀로그램패턴(3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방위각의 분포가 입광부(40), 중앙부(50), 대광부(60)에서 각각 달라서, 홀로그램패턴(30)에 의한 광방출효율과 출사광의 출사방위각분포가 세 영역에서 각각 달라지기 때문이다.The uneven brightness is such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incident azimuth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hologram pattern 30 is different in the light incidence part 40, the center part 50, and the light projecting part 60, and thus the light emission by the hologram pattern 30. This is because the efficiency and the emission azimuth distribution of the emitted light are different in three area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도광판 내부에서 광이 일정한 각도로 홀로그램패턴으로 입사될 수 있도록 개선된 백라이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n improved backlight unit to allow light to be incident in a hologram pattern at a predetermined angle inside the light guide plat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백라이트 유닛은, 광을 방사하는 점 광원; 상기 점광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상으로 형성된 홀로그램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을 포함한다. The backlight uni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oint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It includes;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hologram pattern formed in a concentric shape around the point light source.

상기 홀로그램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바닥면 또는 그와 마주보는 상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hologram pattern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or an upper side facing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점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모퉁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point light source may be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ight guide plate, or may be installed at an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6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보면, 도광판(110)의 모퉁이에 점광원으로서 LED(120)가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6, the LED 120 is installed as a point light source at the corner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도광판(110)은 광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광성 재료로 제작되는데, 주로 굴절률이 1.49, 비중이 1.19 정도인 아크릴계 투명수지(PMMA)가 사용되며, 경량화를 위해 비중이 1.0인 올레핀계 투명성수지가 사용되기도 한다. 도광판(110)의 두께는 보통 2∼3mm 정도이며, 중량을 줄이기 위해 광이 입사되는 가장자리로부터 멀어질수록 두께가 점점 얇아지는 쐐기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광판(110)의 크기는 출광면(112)쪽에 설치되는 화상표시장치(미도시), 예를 들면 LCD(liquid crystal display)의 크기에 좌우된다. The light guide plate 110 is made of a light-transmitting material that can transmit light, and mainly an acrylic transparent resin (PMMA) having a refractive index of 1.49 and a specific gravity of about 1.19 is used, and an olefinic transparent resin having a specific gravity of 1.0 is used for weight reduction. Sometimes.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is usually about 2 to 3 mm, and in order to reduce weight, a wedge shape may be used in which the thickness becomes thinner as the light is moved away from the edge where the light is incident. The siz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depends on the size of an image display device (not shown), for example,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installed on the light exit surface 112 side.

LED(120)는 점광원의 일예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축을 중심으로 ±90도 범위로 광을 방출한다. 이 때, 광의 세기의 최대값(Imax)의 절반에 해당되는 세기(Imax/2)의 광이 방출되는 각도를 반치각이라 하며, LED의 경우에는 보통 반치 각이 약 ±45도 정도가 된다. LED(120)는 예를 들면, 1칩2LED(1-chip-2-LED)타입 또는 2칩1LED(2-chip-1-LED)타입을 사용할 수 있으며, 요구되는 밝기에 따라 적절한 LED를 사용할 수 있다.LED 120 emits light in a range of ± 90 degrees around the optical axis as shown in Figure 3 as an example of the point light source. At this time, the angle at which the light of intensity Imax / 2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maximum value Imax of the light intensity is emitted is called a half-angle angle, and in the case of LED, the half-angle angle is usually about ± 45 degrees. The LED 120 may use, for example, a 1 chip 2 LED (1-chip-2-LED) type or a 2 chip 1 LED (2-chip-1-LED) type, and an appropriate LED may be used depending on the required brightness. Can be.

LED(120)는 도광판(110)의 모퉁이에 설치된다. 이 때, 모퉁이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따기(chamfering)하고, LED(120)는 이에 의해 형성된 입광면(111)으로 광을 입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LED 120 is installed at the corner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t this time, the corner is chamfered (chamfering) as shown in Figure 6, the LED 120 is preferably installed so that light can be incident on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formed thereby.

도광판(110)에는 홀로그램패턴(130)이 형성된다. 홀로그램패턴(130)은 LED(120)로부터 방사되어 도광판(110)에 입사된 광을 회절시켜 출광면(112)으로 방출시키는 회절격자(diffraction grating)로서 LED(120)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도광판(11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홀로그램패턴(130)의 하측에는 홀로그램패턴(130)에 의해 회절된 광을 상방으로 반사시키는 반사판이 더 구비된다. 회절격자는 주기가 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주기 0.4㎛, 깊이 0.2㎛ 정도로 형성될 수 있다. 주기는 동심원간의 간격을 말한다. 회절격자의 주기와 깊이는 상기한 값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출광면(112)에서의 출광분포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홀로그램패턴(130)은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면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The hologram pattern 130 is formed on the light guide plate 110. The hologram pattern 130 is a diffraction grating that diffract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0 and incident on the light guide plate 110 and emits the light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112, forming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LED 120. It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lower side of the hologram pattern 130 is further provided with a reflecting plate for reflecting the light diffracted by the hologram pattern 130 upward. It is preferable that the diffraction grating has a period of 2 μm or less, and for example, the diffraction grating may be formed with a period of 0.4 μm and a depth of about 0.2 μm. Period is the interval between concentric circles. The period and depth of the diffraction grating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values, a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make the light distribution at the light exit surface 112 uniform. The hologram pattern 130 may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facing the bottom surfac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7을 보면, LED(120)가 도광판(110)의 좌측 가장자리(113)에 설치되어 있다. LED(120)는 우측, 상하측 가장자리에도 설치될 수도 있다. 홀로그램패턴(130)은 상술한 바와 같이 회결격자로서, LED(120)를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을 이루면서 도광 판(110)의 바닥면 및/또는 바닥면과 마주보는 상면에 형성된다. LED(120)와 도광판(110)과의 사이에는 LED(120)로부터 방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확산부재(150)는 예를 오목렌즈를 사용할 수 있으며, LED(120)로부터 방사된 광을 확산시켜 최대한 도광판(110)의 가장자리(113) 전역으로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한다.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LED 120 is provided at the left edge 113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The LED 120 may also be installed at the right and upper and lower edges. As described above, the hologram pattern 130 is formed as a gray lattice an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and / or the top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while forming a concentric circle around the LED 120. A diffusion member 150 may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ED 120 and the light guide plate 110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0. The diffusion member 150 may use a concave lens, for example, and diffuses 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0 so that light can be incident to the entire area of the edge 113 of the light guide plate 110 as much as possible.

이제, 상술한 실시예들에 의한 작용효과를 설명한다.Now, the effects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LED(120)로부터 방사된 광은 입광면(111)을 통하여 도광판(110)으로 입사되어 방사형으로 진행된다. 도광판(110) 내에서 광은 홀로그램패턴(130)에 위해 회절되고 다시 반사판(미도시)에 의해 반사되어 출광면(112)으로 방출된다. 도광판(110)의 상방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출광면(112)으로부터 나오는 광이 균일한 강도로 방출되도록 확산시키는 확산판이 더 구비되며, 확산판을 통과한 광은 그 상방에 위치되는 예를 들면, 액정표시장치(미도시)와 같은 평판표시장치로 입사된다.The light emitted from the LED 120 enters the light guide plate 110 through the light incident surface 111 and proceeds radially. In the light guide plate 110, light is diffracted for the hologram pattern 130, reflected by a reflecting plate (not shown), and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112.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ght guide plate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diffusion plate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xit surface 112 to be emitted at a uniform intensity, and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diffusion plate is positioned above the light guide. And incident to a flat panel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not shown).

홀로그램패턴(130)은 광이 홀로그램패턴(130)과 90도의 각도를 이루면서 입사될 때 가장 높은 효율로 회절시켜 방출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홀로그램패턴(130)은 LED(120)를 중심으로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도광판(110) 내의 임의의 점에서 홀로그램패턴(13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방위각(A)은 거의 90도로서 일정하다. 따라서, 홀로그램패턴(130)은 최대의 효율로 광을 회절시켜 출광면(112)으로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출광면(112)으로 방출되는 광의 출사방위각도 출광면(112)에 대해 80도 이상, 바람직하게는 거의 90도를 이루며 일정하게 되므로, 출사 되는 광의 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출광면(112)에서의 휘도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The hologram pattern 130 diffracts and emits light with the highest efficiency when the light is incid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with the hologram pattern 130.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the hologram pattern 130 is formed concentrically around the LED 120, so that the incident azimuth angle A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hologram pattern 130 at any point in the light guide plate 110 is It is constant as almost 90 degrees. Accordingly, the hologram pattern 130 may diffract light at the maximum efficiency and emit the light to the light exit surface 112. In addition, since the exit azimuth angle of the light emitted to the light exiting surface 112 is constant at 80 degrees or more, preferably almos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light exiting surface 112, the intensity of the light emitted can be easily adjusted, The luminance at 112 can be made uniform.

도 1에 도시된 종래의 백라이트 유닛은 출광면(12)에서 방출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판(미도시)과, 확산되어 나오는 광을 정면으로 모아주는 프리즘판(미도시)을 더 구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프리즘판은 보통 두 장이 사용되며, 각 프리즘판은 상호 직교하는 프리즘패턴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출광면(112)으로 방출되는 광이 거의 90도에 가까운 각도로 방출되므로 광을 정면으로 모아주는 프리즘판을 더 구비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광이 LED(120)로부터 방사되어 평판표시장치까지 도달하는 과정에서 통과되는 매질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렇게 되면, 각 매질로 흡수되는 광량이 줄어들어 광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다.The conventional backlight unit illustrated in FIG. 1 further includes a diffuser plate (not shown) for diffusing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surface 12 and a prism plate (not shown) for collecting the diffused light in front. is average. Two prism plates are usually used, and each prism plate has a prism patter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However,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ince the light emitted to the light emitting surface 112 is emitted at an angle close to 90 degrees, it is not necessary to further include a prism plate for collecting the light to the front.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umber of media passing in the process of the light is emitted from the LED 120 to reach the flat panel display. In this case, the amount of light absorbed by each medium may be reduced, thereby improving light utilization efficienc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에 의하면, 홀로그램패턴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방위각을 일정하게 할 수 있어 출광면으로 방출되는 출사광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출사광의 출사방위각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어 출광면에서 균일한 휘도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cklight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cidence azimuth angle of the light incident on the hologram pattern can be made constant,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outgoing light emitted to the outgoing surface can be improved, and the outgoing azimuth angle distribution of the outgoing light can be made uniform. As a result, uniform luminance can be obtained from the light emitting surface.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에 예시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에 기재되는 청구의 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at described above and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that mor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following claims.

Claims (6)

광을 방사하는 점광원;A point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상기 점광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홀로그램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며, 상기 점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모퉁이에 설치되며, 상기 모퉁이는 모따기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And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hologram pattern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around the point light source, wherein the point light source is installed at a corner of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corner is chamfer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홀로그램패턴은 상기 도광판의 바닥면 또는 그와 마주보는 상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The hologram pattern is a backlight unit,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bottom surface or the upper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facing.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광을 방사하는 점광원;A point light source for emitting light; 상기 점광원을 중심으로 하는 동심원 형상으로 형성된 홀로그램패턴을 구비하는 도광판;을 포함하며,And a light guide plate having a hologram pattern formed in a concentric circle shape centering on the point light source. 상기 점광원은 상기 도광판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The point light source is installed at the edge of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점광원과 상기 도광판과의 사이에는 상기 점광원으로부터 방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부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라이트 유닛.And a diffusion member disposed between the point light source and the light guide plate to diffuse light emitted from the point light source.
KR1020060024762A 2006-03-17 2006-03-17 Backlight unit KR1006345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62A KR100634554B1 (en) 2006-03-17 2006-03-17 Backlight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4762A KR100634554B1 (en) 2006-03-17 2006-03-17 Backlight unit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781A Division KR100624408B1 (en) 2003-01-07 2003-01-07 Backlight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736A KR20060028736A (en) 2006-03-31
KR100634554B1 true KR100634554B1 (en) 2006-10-16

Family

ID=37139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4762A KR100634554B1 (en) 2006-03-17 2006-03-17 Backlight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55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7872B1 (en) * 2007-06-22 2009-05-18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Light guiding plate for area light sourc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8736A (en) 2006-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408B1 (en) Backlight unit
KR100499140B1 (en) Backlight unit
KR100499133B1 (en) Backlight unit
US7275850B2 (en) Backlight unit
KR100506092B1 (en) Light guide panel of edge light type backlight apparatus and edge light type backlight apparatus using the same
KR101607287B1 (en) Light guiding plate,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US7448786B2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US20070139968A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0383033B1 (en) Backlight device for display
JPH0442675B2 (en)
US7594745B2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1338823B1 (en) Backlight assembly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KR20010046581A (en) Backlight device for display
KR100634554B1 (en) Backlight unit
KR100855490B1 (en) Backlight Unit
KR20060111997A (en) Backlight panel employing white light emitting diode
JP2011198479A (en) Surface light sour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0968845B1 (en) Back light unit comprising light guide panel
TWI344017B (en) Optical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1779930B1 (en) Light guide plate and Planar light source device the same
KR101861183B1 (en) Led lamp with edge type and emboshing sheet without light guide plate
WO2007061222A1 (en) Totally internally reflection lens and back light unit using the same
KR100926101B1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KR20100080750A (en) Back light unit comprising light guide panel
KR20040084442A (en) The backlight un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