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4279B1 -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4279B1
KR100634279B1 KR1020040039869A KR20040039869A KR100634279B1 KR 100634279 B1 KR100634279 B1 KR 100634279B1 KR 1020040039869 A KR1020040039869 A KR 1020040039869A KR 20040039869 A KR20040039869 A KR 20040039869A KR 100634279 B1 KR100634279 B1 KR 100634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article
reader
t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4818A (ko
Inventor
김영민
노병덕
Original Assignee
(주) 세이프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이프텔 filed Critical (주) 세이프텔
Priority to KR102004003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4279B1/ko
Publication of KR20050114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4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이 휴대하는 주요 물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등록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는 자체 소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아이디 리더기;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와 설정을 담당하며,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있고,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관리 메모리;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로 물품의 고유번호를 송신하는 물품에 구비된 RF 태그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입력받아 분실 메시지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로 이루어짐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는 개인이 휴대하는 주요 물품에 RF 태그를 부착하고 그 물품을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등록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나타난 개인물품관리 상태를 계속해서 감시나 추적이 가능하여 메모리에 등록된 물품의 보관상태, 위치 또는 분실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RF 아이디, RF 태그, 이동통신 단말기, 리더기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Device for preventing loss us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RF 아이디 카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의 분실방지 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RF 아이디 리더기 110. 안테나
120.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 130. 물품관리 메모리
140.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 150. 물품
160. RF 태그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개인이 휴대하는 주요 물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등록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RF(Radio Frequency) 아이디(IDentification) 카드란 주파수를 이용해 무선으로 상품 정보를 주고 받는 것으로 이미 지하철과 버스의 교통카드에 포함돼 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RF 아이디 카드는 줄 모양 이미지에 정보를 담는 바코드 장치에 비해 무선으로 정보를 빠르게 처리하는 것이다. 카드 소지자가 RF 아이디 카드를 단말기의 안테나 박스 위를 인식거리 이내로 스치면 카드 단말기는 100ms(0.1초) 이내의 속도로 처리하므로 카드 소지자는 RF 아이디 카드 처리를 위해 정지하여 기다릴 필요가 없다.
RF 아이디는 제품에 붙이는 태그(Tag)에 생산, 유통, 보관 및 소비의 전 과정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자체 안테나를 갖추고 있으며, 리더기(Reader)로 하여금 이 정보를 읽고, 인공위성이나 이동통신망과 연계하여 정보장치와 통합하여 사용되는 칩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RF 아이디 카드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1을 살펴보면, 메인기판(5)의 상면 외곽을 중심으로 가는 구리선이 수회 배치된 루프안테나(10)가 설치되고, 상기 루프안테나(10)는 각종 정보가 기억되며 단말기와 통신하는 RF 아이디 칩(15)과 연결되어 있다.
상기 메인기판(5)의 상하 측에는 상기 메인기판(5)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판 기능을 가지며 광고가 인쇄되는 보호층(20, 25)이 설치된다. 상기 보호층(20, 25) 상측에는 상기 보호층(20, 25)의 표면에 인쇄되어 있는 광고면(30)을 보호하는 투명필름(35, 40)이 배치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RF 아이디 카드의 동작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단말기에 RF 아이디 카드를 근접시키면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고주파대역의 주파수를 루프안테나(10)에서 수신하게 되며, 이때 동작전원이 유기되어 RF 아이디 칩(15)에 구동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저장된 프로그램에 의해 각종 정보가 루프안테나(10)를 통해 단말기로 전송되어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다.
한편, 산업발전과 개인 중심적인 사회로의 이행에 따라 각 개인이 휴대하고 다니는 물품 중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나 손지갑, 휴대형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MP3 플레이어 및 휴대형 CD플레이어와 같은 개인 휴대물품을 분실하거나 도난당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상기 개인 휴대물품의 분실이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각종 보안장치 내지는 알람장치들이 다양한 형태로 제시되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초소형의 송신기와 수신기를 이용해서 개인 휴대물품의 도난 또는 분실을 방지하는 기술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 기술의 일례를 살펴보면, 초소형의 RF 송신기를 개인 휴대물품에 부착하고, 초소형 수신기는 개인이 휴대하여 상기 RF 송신기가 부착되어 있는 개인 휴대물품이 도난 또는 분실로 인하여 그 소유자로부터 소정 거리 이상 멀어지게 되면 송신기에서 발생되는 RF 신호의 세기가 미약해지고, 이것을 물품 소유자가 지니고 있는 수신기에서 감지하여 그 전계강도가 소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경보음을 통해 물품 소유자에게 알려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단지 RF 수신 신호의 전계강도의 세기를 검출하기 때문에 송신기와 수신기의 주변 환경의 영향 즉, 각종 전자파나 구조물 등에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오작동하는 경우가 빈번하였고, 자기 물품의 도난 또는 분실에 대한 경보 오작동은 곧 그 기기에 대한 신뢰성의 저하는 물론, 휴대물품의 도난이나 분실 그 자체를 감지하여 경보하지 못하게 되는 최악의 상황까지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인이 휴대하는 주요 물품을 이동통신 단말기에 등록하고 해당 아이템이 분실되기 전에 이동통신 단말기 가입자가 알 수 있도록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를 전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자체 소형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아이디 리더기;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와 설정을 담당하며,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있고,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관리 메모리;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로 물품의 고유번호를 송신하는 물품에 구비된 RF 태그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입력받아 분실 메시지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물품의 분실방지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RF 아이디 리더기(100), 안테나(110),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120), 물품관리 메모리(130),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140) 및 물품(150)으로 구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RF 아이디 리더기(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물품(150)에는 RF 태그(160)가 내장되어 있어 서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RF 태그(160)가 고유번호를 송신하면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100)는 수신되는 고유번호가 해당 물품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물품(150)은 자기가 소유한 은행통장, 자동차,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PDA, 시계, 지갑, 가방 또는 관리대상이 되는 소유자의 중요한 물건을 말하고,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100)는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가 다 소진되었을 경우에 동작할 수 있도록 자체 소형전지를 사 용한다. 또한, 상기 RF 태그(160)는 자체 전지를 가지고 있는 능동형 또는 전지가 필요없는 수동형 모두 사용가능하다. 만약 수동형일 경우에는 RF 아이디 리더기(100)의 유도 전류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아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100)에는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110)와 이동통신 단말기의 모든 제어 및 설정을 담당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12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120)는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 보관상태, 위치 또는 분실유무 등의 물품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관리 메모리(130)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120)는 RF 태그(160)로부터 상기 안테나(110)를 통하여 RF 태그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고 수신이 되지 않거나 수신된 데이터가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와 상이한 경우에는 경고 신호를 발생한다.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14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120)의 경고 신호를 입력받아 분실 메시지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경고장치이다. 상기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140)는 분실 메시지를 이동통신 단말기 표시부에 출력하고 경고음은 스피커로 출력한다. 상기와 같이 물품(150)의 RF 태그(160)를 통해 분실 사실을 인지하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의 동작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200)는 RF 아이디 리더기 기능을 보유하고 있고, 지갑, 핸드백 및 열쇠고리와 같은 주요관리 대상물품(210)은 RF 아이디 태그 기능을 구비한다. 상기 이동동신 단말기(200) 내에 구비된 RF 아이디 리더기는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어도 동작할 수 있는 자체 소형전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성능 확보를 위해 RF 아이디 리더기와 RF 아이디 태그 사이의 일정거리를 유지할 수 있는 전력이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와 RF 아이디 태그에서 방출되어야 하고, 각각의 수신감도가 보장되어야 한다. 상기 수신감도는 각각의 안테나의 방사효율, 휴대자의 몸 및 기타 차폐물질에 의한 전파감쇠 등을 고려해야 한다. 만약 전파출력이 지나치면 장거리에서 분실사실을 알게 되어 분실방지를 못할 수 있다.
따라서, RF 아이디 리더기와 RF 아이디 태그의 송수신이 가능한 최대거리가 2~3m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 거리 이내에서 몸이나 기타 차폐물질에 의해 송수신이 단절되지 않도록 송수신기는 다중 주파수를 사용한다. 저주파는 회절특성이 좋아 신체와 같은 차폐물질을 쉽게 통과하나 외부와의 전파간섭을 최소화해야 하기에 전력을 약하게 해야 하고, 고주파는 전파의 직진성이 좋아 RF 아이디 리더기와 RF 아이디 태그의 통신이 효율적이긴 하나 차폐물질을 통과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는 통신을 위해 HF(High Frequency), UHF(Ultra High Frequency), 마이크로 웨이브대 등 여러 주파수대에 걸쳐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어느 하나라도 통신이 단절되지 않으면 최대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주파수 대역에서 최적의 송수신을 위한 RF 아이디 리더기와 RF 아이디 태그의 안테나의 크기 및 모양이 달라지기 때문에 단일 안테나로서 다양한 주파수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
상기 안테나 구조는 각 주파수별로 송수신하는 전력의 크기를 감안하여 그 크기 및 모양을 결정하며 다이폴 형태, 루프 형태 또는 슬롯 형태 등이 가능하다.
상기 안테나 구조를 동시에 동작시키면 주파수간 간섭과 전력소모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각 주파수 송수신을 시간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DMA) 방식으로 시간차원에서 다중화함으로써 최대의 효과를 거둔다. 또한 각 주파수마다 얼마의 간격으로 어느 기간 동안 송수신을 할 것인가를 정하는 것은 전력소모를 최소화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시간은 RF 아이디 리더기와 RF 아이디 태그의 이격거리가 최대 이격거리를 초과한 사실이 얼마나 지속되느냐와 얼마나 자주 일어나느냐 그리고 얼마나 신속하게 알려줄 수 있느냐에 달려 있으며 이러한 변수는 프로그램으로 쉽게 바꿀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노트북과 같은 개인소유 또는 휴대 물품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하여 상기 휴대 물품의 소재를 파악하고 관리하는 장치가 가능하다. 즉, 현재 자기가 소유한 은행통장, 자동차, 컴퓨터, 디지털카메라, PDA, 시계와 같은 주요관리 대상물품(210)에 RF 아이디 태그를 부착하면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된 RF 아이디 리더기와 최후 통신한 위치가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GPS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추적장치에 의해 이동통신 단말기에 자동으로 저장되어 이동통신 단말기가 그 지역을 떠나더라도 언제든지 등록된 물품의 최종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이 분실되었을 경우 그 물품의 소유자를 인식하여 신속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이동통신 단말기가 물품의 아이디를 인식하고 그 소유자와의 연락 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아이디 인식능력은 자체 내장된 RF 아이디 리더기에 의해 가능하고, 그 아이디가 자신 소유의 물품 RF 아이디가 아니면 그 위치를 파악하거나 그 존재유무를 알 수 없도록 보안장치가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RF 아이디의 인식번호는 RF 태그를 부착한 당사자가 전체 DB관리센터에 등록하여 전체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경찰서와 같은 각종 분실물 신고처로부터의 분실물들이 분실물 종합관리센터(220)에 신고되면 상기 분실물종합 관리센터(220)에서는 DB에 의해 신속하게 소유주를 파악하고 연락하여 물품의 현재 위치를 알려준다.
또한 물품 분실자는 분실 물품내용을 분실물 신고/접수처(230)에 신고하여 종합관리센터(220)에 등록하고 상기 종합관리센터(220)에서는 홍보 및 분실 예측지역에 연락 또는 인력을 파견하여 분실물 아이디를 확보하여 DB상에 등록하고 계속 그 분실물 추적상태를 갱신한다.
그러면 각 개인은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나타난 개인물품관리 상태를 계속하여 감시 및 추적이 가능하도록 이동통신 단말기 메모리에 등록된 물품의 보관상태 또는 위치, 분실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분실시 분실물 종합관리센터(220)와 연결되어 분실 신고, 추적정보 수령을 한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는 개인이 휴대하는 주요 물품에 RF 태그를 부착하고 그 물품을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등록함으로써 이동통신 단말기 상에 나타난 개인물품관리 상태를 계속해서 감시나 추적이 가능하여 메모리에 등록된 물품의 보관상태, 위치 또는 분실유무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에 있어서,
    소형전지를 구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소진 시 추가 전력을 공급받아 안테나를 통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RF 아이디 리더기;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와 연결되어 있고,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어와 설정을 담당하며,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가 송신되지 않으면 경고 신호를 발생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중앙제어기와 연결되어 있고, 등록된 물품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물품 정보와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 내의 GPS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현재 위치 추적 장치를 통한 상기 물품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는 물품관리 메모리;
    상기 RF 아이디 리더기로 물품의 고유번호를 송신하는 물품에 구비된 RF 태그; 및
    상기 경고 신호를 입력받아 분실 메시지나 경고음을 발생하는 분실 메시지/알람 발생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물품관리 메모리에 저장된 위치 정보를 통해 물품의 최종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다이폴, 루프 또는 슬롯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 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신호의 송수신은 시간분할 다중접속 방식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 정보는 물품의 보관상태, 위치 및 분실여부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 태그는 자체 전지를 가지고 있는 능동형 또는 전지가 필요없는 수동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KR1020040039869A 2004-06-02 2004-06-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KR100634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869A KR100634279B1 (ko) 2004-06-02 2004-06-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9869A KR100634279B1 (ko) 2004-06-02 2004-06-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18A KR20050114818A (ko) 2005-12-07
KR100634279B1 true KR100634279B1 (ko) 2006-10-16

Family

ID=3728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9869A KR100634279B1 (ko) 2004-06-02 2004-06-02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42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26A (ko) 2020-07-15 2022-01-24 김용호 소지품 분실방지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430B1 (ko) * 2004-12-30 2007-05-21 (주) 엘지텔레콤 Rfid 태그를 이용한 물품 도난 방지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790489B1 (ko) * 2006-05-26 2008-01-02 오승돈 원격 위치추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9226A (ko) 2020-07-15 2022-01-24 김용호 소지품 분실방지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4818A (ko) 2005-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2314B1 (en) Secondary card reader
EP1899931B1 (en) Techniques for detecting rfid tags i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systems using frequency mixing
EP2377076B1 (en) Method and system for item level uhf rfid tag with low frequency power assist
US6130612A (en) Antenna for RF tag with a magnetoelastic resonant core
US7839276B2 (en) Secure self scan
US8026819B2 (en) Radio tag and system
US20070075145A1 (en) Jammer for tags and smart cards
US20070120698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proximity of personal articles
US20090309736A1 (en) Multifunction contactless electronic tag for goods
US20090189768A1 (en) Combination security tag using a perimeter rfid antenna surrounding an eas element and method thereof
CN102209971A (zh) 能量增强的rf通信设备
JP2012217209A (ja) 無線周波数識別システム
US20070095914A1 (en) RFID tag-reading notification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control method
KR101468632B1 (ko) 소지품 분실 방지 시스템
EP2260541B1 (en) Combination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tenna
US20080252454A1 (en) Clip Chip
JP2008070964A (ja) 携帯情報端末機器による紛失予防システム
EP3453117B1 (en) Wearable device with integrated rfid or nfc chipset
KR100634279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분실방지 장치
JP2006227936A (ja) 携行品探索方法および携行品探索システム
US1062184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enabled deactivation of acousto-magnetic resonator
RU67306U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мобильного телефона и других предметов от краж
KR20070004179A (ko) 지갑 분실 방지장치
US20100117834A1 (en) Anti theft electronic apparatus
JP2009290632A (ja) Rfidタグ通信用床置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rfidリーダライ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