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711B1 - Video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key frame using video cursor frame on multi key frame screen - Google Patents

Video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key frame using video cursor frame on multi key frame scre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711B1
KR100633711B1 KR1019980707892A KR19980707892A KR100633711B1 KR 100633711 B1 KR100633711 B1 KR 100633711B1 KR 1019980707892 A KR1019980707892 A KR 1019980707892A KR 19980707892 A KR19980707892 A KR 19980707892A KR 100633711 B1 KR100633711 B1 KR 1006337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keyframes
keyframe
video stream
substantially continuo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78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00064846A (en
Inventor
마그달레나 딘게나 잔세
두코 안나르도 다비드 다스
혹 콩 당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Priority claimed from PCT/IB1998/000089 external-priority patent/WO1998034181A2/en
Publication of KR20000064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48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711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9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11B27/28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by using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by the same method as the main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2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 G11B27/107Programmed access in sequence to addressed parts of tracks of operating record carriers of operating tap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1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by using information not detectable on the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7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rolling playback functions for recorded or on-demand content, e.g. using progress bars, mode or play-point indicators or bookma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0Tuning indicators; Automatic tuning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40Combinations of multiple record carriers
    • G11B2220/4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 G11B2220/455Hierarchical combination of record carriers, e.g. HDD for fast access, optical discs for long term storage or tapes for backup said record carriers being in one device and being used as primary and secondary/backup media, e.g. HDD-DVD combo device, or as source and target media, e.g. PC and portable play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Abstract

비디오 표시의 키프레임에 기초한 디스플레이는 사용자로 하여금 키프레임들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사용자 선택에 기초하여 표시와 관련하는 실질적으로 연속하는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한다. 특히, 다양한 키프레임들이 감소된 정적 비디오 포맷으로 병렬로 디스플레이되며, 디스플레이는 실질적으로 비디오 포맷내의 동적 커서 프레임으로 작용하는 특정 활성 키프레임에서 개시함으로써 제어된다. 커서는 동적 오디오를 포함한 동적 비디오가 될 수 있으며, 동적 비디오만 될 수도 있고, 또는 동적 오디오를 포함한 일정 구간마다의 정적 비디오가 될 수 있다.A display based on keyframes in the video representation allows the user to select keyframes and displays a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associated with the representation based on the user selection. In particular, various keyframes are displayed in parallel in a reduced static video format, and the display is controlled by initiating at a particular active keyframe that substantially acts as a dynamic cursor frame within the video format. Cursors can be dynamic video with dynamic audio, dynamic video only, or static video over a period of time including dynamic audio.

Description

멀티키프레임 스크린에서 비디오 커서 프레임을 사용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video display based on keyframe using video cursor frame on multikey frame screen

본 발명은, 사용자로 하여금 키프레임들(keyframes)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며, 그러한 선택을 통해 비디오 표시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비디오 표시의 상기 키프레임에 기초한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감소된 정적의 비디오 포맷으로 다양한 상기 키프레임들을 병렬로 디스플레이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representation based on said keyframe, which enables a user to select among keyframes and, through such selection, displays a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based on the video representation. As such, the method displays the various said keyframes in parallel in a reduced static video format.

종래 기술에서, 후속되는 선택적 재생을 위해 기록된 비디오 표시의 대표적인 부분들로서 키프레임들을 사용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은 비디오가 "온" 상태로 지속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것은 애니메이션, 일련의 스틸(stills), 또는 대화식 시퀀스의 영상들을 포함할 수 있다. 캐릭터는 영화, 뉴스 또는 실례로 쇼핑 리스트와 같이 다양할 수 있다. 이러한 기술의 상황은1994년 여름판 IEEE 멀티미디어 페이지 62-72의 S.W. Smoliar 및 H.J. Zhang에 의한 논문 '컨텐트에 기초한 비디오 인텍싱 및 검색(Content-Based Video Indexing and Retrieval)'에 공개되어 있다.In the prior art, it has been proposed to use keyframes as representative portions of a recorded video representation for subsequent selective playback. A continuous video stream means that the video continues to be "on", which can include animations, series of stills, or interactive sequences of images. Characters can vary, such as movies, news or, for example, shopping lists. The situation with this technology is described in the S.W. Smoliar and H.J. It is published in Zhang's article Content-Based Video Indexing and Retrieval.

키프레임들은 일부 유도 알고리즘을 통하여 사용자의 전제로 비디오 자료의 수신시 그 비디오 자료로부터 유도될 수 있거나, 키프레임들은 실례로 각각의 새로운 비디오 숏(video shot)이 키프레임으로 시작한다는 점에서 비디오 제공자에 의해 라벨링(labelling)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자료를 분별가능한 방식으로 편집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설비와 결합하여, 사용자들에게 비디오 표시의 동적인 양상을 제공하도록 그러한 키프레임들이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Keyframes may be derived from the video material upon receipt of the video material on the premise of the user through some derivation algorithm, or the keyframes may be, for example, a video provider in that each new video shot starts with a keyframe. Can be labeled. The present invention recognizes that such keyframes can be utilized to provide users with a dynamic aspect of the video presentation, in combination with useful facilities that allow video material to be edited in a discernable manner.

도 1은 TV 레코더 조합의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of a TV recorder combination.

도 2는 비디오 레코딩의 예시적 구성도.2 is an exemplary configuration diagram of video recording.

도 3은 스크롤링 모자이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3 is an illustration of a scrolling mosaic user interface.

도 4는 스크롤링 리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도면.4 is a diagram of a scrolling list user interface.

도 5는 도 3의 실현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5 is a view showing the realized state of FIG. 3; FIG.

도 6은 도 4의 실현 상태를 도시한 도면.FIG. 6 is a view showing the realized state of FIG. 4. FIG.

도 7은 시스템 동작의 상태도.7 is a state diagram of system operation.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단일 비디오 스크린에 결합되는, 비디오 표시의 정적인 컨텐트는 물론 동적 양상의 즉각적인 느낌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 중 하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 포맷내의 동적인 비디오 커서 프레임으로 작용하는 특정의 활성 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가 시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커서 프레임은 실시간으로 이동되므로, 사용자로 하여금 유사한 장면의 구성들이지만 다른 동적 상태들을 가질 수 있는 키프레임들 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to provide the user with an immediate feel of the dynamic aspect as well as the static content of the video presentation, which is combined in a single video screen. One characteristic feature of the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splay is controlled to start from a particular active keyframe which acts as a dynamic video cursor frame in the video format according to user selection. In this embodiment, the cursor frame is moved in real time, allowing the user to see between keyframes that are similar scene configurations but may have different dynamic states.

바람직하게, 상기 방법은 오디오를 수반하는 비디오 표시를 실행(render)시킬 수 있으며, 사용자 선택에 따라서 상기 비디오 포맷내의 별개의 비디오 커서 프레임으로 작용하는 특정의 활성 키프레임과 관련된 오디오로부터 상기 실행이 시작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정의 표시들에 있어서, 적절한 편집을 위해 오디오는 비디오 보다 더욱 구별되며, 따라서 오디오는 진행중인 스트림을 나타낼 수 있고, 비디오 키프레임은 해당하는 두 연속하는 키프레임들간의 구간에 속하는 일종의 "헤더(header)"로서 동작할 것이다. 비디오 키프레임은 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개별적인 또는 개별적으로 스텝핑(stepping)하는 커서 프레임으로 작동하는 활성 키프레임이 적절한 방식으로 강조(highlight)될 수 있다.Advantageously, the method may render a video representation involving audio and the execution begins from audio associated with a particular active keyframe that acts as a separate video cursor frame in the video format, depending on user selec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trolled to. For certain indications, for proper editing the audio is more distinct than the video, so the audio can represent the stream in progress, and the video keyframe is a kind of "header" that falls within the interval between the corresponding two consecutive keyframes. Will act as "." Video keyframes can remain static and active keyframes that act as cursor frames that individually or individually stepping can be highlighted in an appropriate manner.

바람직하게, 상기 동적인 비디오 커서 프레임은 다음에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의 컨텐트와 일치할 때 정지된다. 이러한 정지된 디스플레이 컨텐트는 바로 디스플레이된 구간의 시작 또는 종료에 속할 수 있다. 이어서, 다음 키프레임이 동적인 비디오 커서 프레임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인계는 제어가능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표시의 어떠한 편집이 수행될 것인지를 관측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음 구간으로 진행할 때, 디스플레이 모드는 정규 속도에서 고속 또는 저속 디스플레이로 변경될 수도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완전히 디지털 비디오로 이용될 수 있거나, 또는 용이한 어드레싱을 위해 다양한 비디오 프레임이 디지털 라벨을 갖는 비디오에 이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ynamic video cursor frame is frozen when it matches the content of the next displayed keyframe. This paused display content may belong to the beginning or end of the immediately displayed section. The next keyframe may then be a dynamic video cursor frame. Such takeover may be controllable and / or programmable. This allows the user to observe what editing of the display will be performed. Also, when proceeding to the next section, the display mode may be changed from normal speed to high speed or low speed displa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as fully digital video, or various video frames can be used for video with digital labels for easy addressing.

바람직하게, 키프레임들은 계층적 구조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다양한 키 프레임들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삭제되도록 허용될 수 있으며, 삭제된 키프레임 이전 및 이후에 상기 표시의 구간을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파인-그레인(fine-grained) 및 코스-그레인(coarse-grained) 편집에 있어 빠른 변경이 적용될 수 있다. 다시, 계층적 구조가 제공자에 의해 또는 일부 클러스터 알고리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실례로, 키프레임들이 일부 교차-상관을 통해 알려진다면,다소 작은 불일치가 낮은 레벨 키프레임인 것을 알릴 수 있으며, 이에 반하여 높은 불일치가 높은 레벨 키프레임인 것을 알릴 수 있다. 전자는 본질적으로 동일한 영화 장면에서의 연속하는 숏(shot)들 사이에서 발생하며, 후자는 밝기 레벨과 같은 전체적인 조건들을 극적으로 변경할 수도 있는, 장면들간의 변환에 속한다. 또 다른 상황은 뉴스, 영화, 또는 서비스 숍 리스트와 같은 다양한 다른 형태의 비디오 자료가 서로간에 이어지게 될 때이다. 모든 이러한 것은 최종 사용자의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Preferably, the keyframes may be set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various key frames may be allowed to be deleted from the display, and the sections of the display may be combined before and after the deleted keyframe. In this way, fast changes can be applied to fine-grained and coarse-grained editing. Again, the hierarchical structure may be executed by the provider or by some cluster algorithms. For example, if the keyframes are known through some cross-correlation, then a small mismatch may indicate a low level keyframe, whereas a high mismatch may indicate a high level keyframe. The former occurs essentially between successive shots in the same movie scene, and the latter belongs to a transition between scenes, which may dramatically change the overall conditions such as brightness level. Another situation is when various other forms of video material such as news, movies, or service shop list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ll of this facilitates the operation of the end user.

본 발명은 또한, 비디오 표시를 키프레임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프레임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 수단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에 관련한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감각적 스트림을 실행시키고, 감소된 정적인 비디오 포맷으로 다양한 상기 키프레임들을 병렬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배치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가, 이후 상기 비디오 포맷내에서 비디오 커서 프레임으로 작용하는 특정의 활성 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실행이 시작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선된 비디오 레코더와 TV셋 조합과 같은 사용자 단말의 환경에서 상기 장치의 제공은 그 사용자에 의한 직접적인 실행을 보다 광범위하게 확장시킨다.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n apparatus for displaying a video representation based on keyframes, the apparatus having a selection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mong the keyframes, and which is substantially continuous with respect to the display based on the user's selection. The display device arranged for executing the sensory stream and displaying the various keyframes in parallel in a reduced static video format is then executed from a particular active keyframe that acts as a video cursor frame within the video format. I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o start. In the context of a user terminal, such as an improved video recorder and TV set combination, the provision of the device broadly extends the direct execution by that user.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들은 이후 첨부된 도면과 적절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자세하게 기술된다.These and other feature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appropriate embodiments.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통상의 정규 고객 및 가정 전용 이용에 포함되는 여러 가지의 유익한 특징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한다:Although not limiting, many of the beneficial features included in regular regular customer and home use include the following:

키프레임들은 해당 비디오 사이즈와 관련하여, 통상적인 TV 시청 거리에 위치된 사용자에 의해 서로간에 통상적으로 구별될 수 있는 방식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패밀리 셋에서 이러한 거리는 수 미터가 되며, 데스크탑 셋의 경우는 대략 0.5 미터가 된다.The keyframes should be displayed in a manner that can typically be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by the user located at a typical TV viewing distance with respect to the corresponding video size. In a family set, this distance is a few meters, and in a desktop set, it is approximately 0.5 meters.

스크린상에 동시에 표시되는 키프레임들의 수는 디지털 비디오 자료의 컨텐트의 중요 부분의 개관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에 충분해야 한다.The number of keyframe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he screen should be sufficient to provide the user with an overview of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content of the digital video material.

키프레임들은 분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왜곡되지 않은 방식으로 디스플레이되어야 한다. 실례로, 특정 키프레임의 종횡비는 바람직하게 유지되어야 한다.Keyframes should generally be displayed in an undistorted manner to maximize discernment. As an example, the aspect ratio of a particular keyframe should preferably be maintained.

TV셋 자신의 원격 제어 장치는 사용자 제어 입력 장치로 동작한다.The TV set's own remote control device acts as a user control input device.

피드백은 피드백 관련 정보가 상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텔리비젼 셋의 일반적인 시청 거리로부터 인지할 수 있도록 되어야 한다.The feedback should be such that the feedback related information can be perceived from the general viewing distance of a typical television set as described above.

"드래그 및 드롭"과 같은 컴퓨터 개념은 일반적으로 필요치 않다.Computer concepts such as "drag and drop" are generally not necessary.

장비의 임시 사용이 제공되어야 한다.Temporary use of the equipment should be provided.

장비는 연속적인 것보다는 단지 임시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제공되어야 한다.Equipment should be provided so that it can only be used temporarily, rather than continuously.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념은 사용자에게 익숙한 비디오 표시의 선형 모델을 반영해야 한다.The concept of the user interface should reflect the linear model of the video representation that is familiar to the user.

본 발명의 실행과 관련하여, 도 1은 TV·레코더 조합을 도시한다. 부호 20은 TV 셋 디스플레이 및 관련 즉석 제어와 전원공급을 나타낸다. 부호 22는 안테나, 또는 다른 형태의 신호 분산 엔트리와의 접속을 나타낸다. 이러한 부호는 적절한 경우 수신된 신호로부터의 디지털 신호 부분 또는 디지털 비디오 정보의 유도를 포함한다. 부호 32는 도 1의 여러 서브시스템간의 비디오 스트림 및 관련 정보의 루트를 나타낸다. 이러한 루트는 라인(35)상의 제어 신호를 통하여 제어 박스(34)에 의해 통제된다. 제어 라인은 단일의 양방향 상호접속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제로는 일정 수의 단방향 또는 양방향 라인들로 설치된다. 제어 박스는 디스플레이로부터 그리고 다른 서브스트림(38, 40)으로부터 검출 신호를 수신하며, 또한 상기 서브스트립을 제어한다. 블록(38)은 다수 기가바이트 영역의 대량 기억 용량을 갖는 선형 형태의 레코더이다. 블록(40)은 대량 기억 용량을 갖는 자기 디스크 레코더이기는 하지만 레코더(38)의 기억 용량에 비해 단지 일부분에 지나지 않는다. 하지만, 레코더(40)의 액세스는 크로스 트랙 점핑을 통하여 대단히 보다 빠르다. 블록(28, 40)은 컴퓨터 메모리 캐시 시스템과 다소 유사하며 적어도 한번은 비디오 표시의 모든 항목을 기억하는 2-레벨 기억 구성을 형성한다.In connection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shows a TV recorder combination. Reference numeral 20 denotes a TV set display and associated instant control and power supply. Reference numeral 22 denotes a connection with an antenna or other type of signal distribution entry. Such signs include derivation of digital video information or digital signal parts from the received signal, as appropriate. Reference numeral 32 denotes a route of a video stream and related information between various subsystems of FIG. This route is controlled by control box 34 via control signals on line 35. The control line is shown as a single bidirectional interconnect, but is actually installed with a number of unidirectional or bidirectional lines. The control box receives detection signals from the display and from other substreams 38 and 40 and also controls the substrip. Block 38 is a linear recorder with a large storage capacity of multiple gigabytes. Block 40 is a magnetic disk recorder with a large storage capacity but only a fraction of the storage capacity of recorder 38. However, the access of recorder 40 is much faster through cross track jumping. Blocks 28 and 40 are somewhat similar to a computer memory cache system and form a two-level storage configuration that stores at least one item of all of the video representations.

도 2는 비디오 표시의 예시적 구성을 도시한다. 비디오 자료 기능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바(60)는 코드화 MPEG와 같은 압축 비디오 자료 스트링으로서 또는 프레임의 형태로 비디오 자체를 포함한다. 실제 기억 요구는 시간상에서 균일할 필요는 없지만, 정보는 비디오 타임 프로세스로서 바를 따라 기억된다. 분산된 키프레임은 68과 같은 어두운 수직 스트립으로 표시된다. 키프레임은 다음 키프레임까지의 구간에서 전체 비디오를 대표하거나 또는 나타내도록 이용된다. 한가지의 실행은 비디오 제공자가 "컨텐트 테이블"(TOC)에 일부 라벨 또는 함유물을 부가하는 것을 통하여 그 키프레임으로서 각각의 새로운 숏의 제 1 프레임을 선발하는 것이다. 또 다른 실행은 수신기가 알고리즘을 통하여 매 프레임 비디오 컨텐트가 순간적으로 변경되는 것을 검출한다. 본 발명은 허용된 관련 알고리즘을 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들 분산은 균일하지 않게 된다. 대안적 메카니즘은 연속하는 키프레임이 수십초와 같이 사전 설정된 구간에서 서로간에 연속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라, 키프레임은 단지 표시(62)로 표시된다. 또한, 키프레임은 일부 계층적으로 구성되며, 표시(64)는 높은 위치의 관련 키프레임의 제한된 세트만을 갖는다. 이러한 계층은 반복되며, 표시(66)는 모든 비디오 표시(60)에 대한 단일 키프레임에만 관련된다. 다양한 레벨의 키프레임이 상술한 구성과는 다르게 결정될 수 있으며, 병렬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상의 기억 맵핑은 비디오 표시의 주 몸체가 테이프 레코더(38)에 기억되고, 키프레임이 관련 키프레임에 바로 뒤이어 작은 비디오 구간과 가능한 결합하여 적어도 디스크 레코더(40)에서 발생되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구간의 길이는 선형 테이프 레코더(38)의 대기 시간(time latency)에 일치할 수 있어, 그에 따라 실시간 액세스가 달성될 수 있다. 그 자체로서, 비디오 표시는 필름과 같이 기본적으로 선형이 될 수 있다. 대체적인 사용은 임의의 기억 구간이 현 소비자에 의해 이용될 애니메이션, 스틸 또는 다른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키프레임의 가능한 영향은 이를 억제하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해당 키프레임 전의 시간 구간을 그 뒤의 시간 구간과 효과적으로 결합하는 것이다. 리셋 특징은 구간을 다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고정된 시간 구간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종류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키프레임이 억제될 수 있다. 다양한 다른 종류의 키프레임이 수신시 논리 알고리즘에 의해 발생된 것에 대한 제공자에 의해 도입된 것과 같은 한 표시에 대해 이용가능할 수 있다.2 illustrates an example configuration of a video presentation. To achieve video material functionality, bar 60 includes the video itself as a compressed video material string, such as coded MPEG, or in the form of a frame. The actual storage needs do not have to be uniform in time, but the information is stored along the bar as a video time process. Scattered keyframes are represented by dark vertical strips, such as 68. The keyframe is used to represent or represent the entire video in the interval up to the next keyframe. One implementation is for the video provider to select the first frame of each new shot as its keyframe through adding some label or inclusion to the "Content Table" (TOC). Another implementation detects that the receiver instantly changes every frame video content through an algorithm. The present invention takes the relevant algorithm allowed. As shown, these dispersions are not uniform. An alternative mechanism is for consecutive keyframes to be contiguous with each other in preset intervals, such as tens of second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frames are only indicated by the display 62. In addition, the keyframes are organized in some hierarchical manner, and the indication 64 has only a limited set of related keyframes at high positions. This layer is repeated, and the indication 66 relates only to a single keyframe for all video indications 60. Keyframes of various levels may be determined differently from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ay exist in parallel. The storage mapping on FIG. 1 can be achieved such that the main body of the video representation is stored in the tape recorder 38 and the keyframes are generated at least in the disc recorder 40 in possible combination with a small video section immediately following the associated keyframe. have. The length of such interval may correspond to the time latency of the linear tape recorder 38 so that real time access can be achieved. As such, the video display may be essentially linear, such as film. Alternative uses may include animation, still or other images in which any memory interval will be used by the current consumer. The possible effect of keyframes is to suppress them. This effectively combines the time interval before the keyframe with the time interval after it. The reset feature can separate the segments again. In addition, various kinds of keyframes such as typ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fixed time intervals may be suppressed. Various other kinds of keyframes may be available for one indication, such as introduced by the provider for what was generated by the logic algorithm upon receipt.

도 3은 스크롤링 모자이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디자인을 도시한다. 모든 스크린은 정상 좌측 코너에서 시작하여 좌측에서 우측으로 그리고 기저부 우측 코너까지 20개의 키프레임을 나타낸다(각각의 키프레임은 도시된 키프레임의 전체 순위의 번호임). 실제로, 키프레임(144)은 직사각 제어 커서에 의해 강조(highlight)된다. 사용자는 원격 제어기를 작동시켜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들상에서 는 물론, 커서 장치상의 항법 제어를 통하여 상부 및 기저바에 디스플레이된 버튼상에서 자유롭게 제어 커서를 이동시킨다. 사용자가 상부 좌측 코너의 좌측으로 제어 커서를 이동시키는 경우, 디스플레이는 20 키프레임 만큼 뒤로 점프된다. 하위 우측 코너의 우측으로 이동하면 20 프레임 순방향 점프를 야기시킨다. 또한, 전체 스크린의 상부바의 액세스는 표시의 다른 부분의 액세스에 대한 숏컷 제어를 달성하며, 후자는 다섯 개의 동일하게 긴 부분으로 분할한다(어두운 수평 바는 전체 표시의, 여기에서 디스플레이된 20 키프레임에 의해 커버되는 전체 시간을 나타낸다).3 illustrates an example design of a scrolling mosaic user interface. All screens show 20 keyframes starting from the normal left corner, from left to right and from the bottom right corner (each keyframe is the number of the total rank of the keyframe shown). In practice, keyframe 144 is highlighted by a rectangular control cursor. The user operates the remote control to move the control cursor freely on the displayed keyframes, as well as on the buttons displayed on the top and basebar via navigation control on the cursor device. If the user moves the control cursor to the left of the upper left corner, the display jumps back by 20 keyframes. Moving to the right of the lower right corner causes a 20 frame forward jump. In addition, access to the top bar of the full screen achieves shortcut control for access to other parts of the display, with the latter split into five equally long parts (dark horizontal bar is the 20 keys displayed here of the full display). The total time covered by the frame).

다른 기능은 먼저 특정 키프레임을 선택하고 이어서 기저 버튼중 한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뷰 프로그램"은 커서 액세스 키프레임으로부터 시작을 제어한다. "뷰 세그먼트"는 동일할 수도 있지만, 다음 키프레임에서 종료되는 단지 단일 세그먼트만을 플레이하도록 제한될 수 있다. "뷰 x-y"는 두 커서 액세스 키프레임의 가장 이른 시간에서의 개시를 제어한다. 다양한 다른 제어 모드 또는 기능은 상술한 바와 같은 키프레임 선택 기능성과 조합하여 실행될 수 있다. 실례로서, 사용자가 확실한 비디오 효과를 얻기 위해 일정한 발생 또는 그 역에 대한 특정 구간을 검사할 수 있게 하는 고속 포워드 또는 저속 포워드가 있다. 디스플레이 동안, 특정 키프레임에 속하는 순간을 통과할 때 후자는 다음 키프레임과 관련하는 순간에 도달하기까지 활성되어 비디오 스트림을 효과적으로 디스플레이한다. 그 경우 후자는 활성 프레임이 된다. 상기 특징은 사용자가 광고와 같은 어떤 세그먼트를 생략하는 것과 같은 구간 디스플레이 시퀀스에 대한 비디오 레코더를 바로 프로그램하거나, 또는 저속 포워드에 의해 어떤 세부사항을 주의할 수 있게 한다. 디스플레이 동안에, 오디오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버튼을 통하여 활성 상태로 되거나 억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는 오디오를 진행시킬 수 있지만, 비디오 커서는 분리되며, 적절한 강조를 통해 단지 매 구간 진행한다.Another function can be started by first selecting a particular keyframe and then selecting one of the base buttons. The "view program" controls the start from the cursor access keyframe. The "view segment" may be the same, but may be limited to playing only a single segment ending at the next keyframe. "View x-y" controls the start at the earliest time of the two cursor access keyframes. Various other control modes or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combination with the keyframe selection functionality described above. As an example, there is a fast forward or slow forward that allows a user to check a particular interval for a given occurrence or vice versa in order to get a definite video effect. During display, when passing the moment belonging to a particular keyframe, the latter is active until the moment associated with the next keyframe is reached, effectively displaying the video stream. In that case the latter becomes the active frame. This feature allows the user to program the video recorder directly for a segment display sequence, such as omitting certain segments, such as advertisements, or to notice certain details by slow forward. During display, audio can be activated or suppressed via control buttons, not shown. Alternatively, the control may advance the audio, but the video cursor is separated and proceeds only every segment with proper emphasis.

도 4는 스크롤링 리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시적 도면이다. 여기에서, 전체 스크린의 기저부에 5개의 키프레임이 디스플레이된다. 키프레임(145)은 키프레임의 가장자리를 따라 표시된 직사각 제어 커서에 의해 강조된다. 키프레임(145)은 또한 배경에서 보다 큰 확대로 디스플레이된다. 제어 인터페이스는 제어버튼 위치가 다르기는 하지만 도 3에서의 것과 동일하다. 대안적으로, 확장된 키프레임은 다수 키프레임 바내에서 억제된다.4 is an exemplary diagram of a scrolling list user interface. Here, five keyframes are displayed at the base of the entire screen. Keyframe 145 is highlighted by a rectangular control cursor displayed along the edge of the keyframe. Keyframe 145 is also displayed at greater magnification in the background. The control interface is the same as in FIG. 3 although the control button positions are different. Alternatively, the extended keyframes are suppressed in multiple keyframe bars.

도 5는 키프레임를 나타내는 실제 영상과 일부 변경을 갖는 도 3을 실현한 것이다. 제어 인터페이스는 일부 항목이 미적 감각으로는 처리되지 않았지만 상술된 것과 일치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20 키프레임으로 커버된 시간 스트레치는대략 2초가 되며, 이는 유용한 하위 범위에 근접하게 나타낸다. 다양한 키프레임은 실제로 서로간에 완전히 구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값비싼 편집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않을 경우, 변경은 제어 버튼 중 생략된 다양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FIG. 5 implements FIG. 3 with an actual image representing a keyframe and some modifications. The control interface is consistent with the above, although some items have not been processed aesthetically. In this embodiment, the time stretch covered by 20 keyframes is approximately 2 seconds, which approximates a useful subrange. The various keyframes can actually be completely distinguished from each other. Also, if the user does not feel the need for expensive editing, the change may include various buttons omitted from the control buttons.

실제 작동 키프레임 필드에서 시간상 진행하는 비디오 커서의 동적 표시를 갖기 위한 장치의 원리는 키프레임 만의 정적 표현이 그러한 동적 표시가 이벤트의 전개를 이해하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할 경우, 전체로서 비디오 표시의 의미를 불충분하게 전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그 의미는 다음과 같이 향상된다. 시스템이 일정량의 시간 동안 아이들 상태에 있은 후, 어떤 관련 오디오 및 다른 효과를 포함하는 소형의 디지털 비디오 자료를 플레이하기 시작함에 따라 커서가 '인클로우즈'인 키프레임은 '컴 얼라이브'가 된다. 재생 동안 다음 키프레임이 도달된다면, 커서는, 사용자가 시스템과의 상호작용을 개시(재개시)하기 까지,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다음의 키프레임으로 자동적으로 점프한다.The principle of a device for having a dynamic representation of a video cursor progressing in time in a real-world keyframe field is that if a static representation of keyframes alone is such that the dynamic representation is absolutely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volution of an event, the meaning of the video representation as a whole is insufficient. Is to deliver. Therefore, the meaning is improved as follows. After the system has been idle for a certain amount of time, keyframes with the cursor 'enclose' become 'com-live' as they begin to play small digital video material containing some associated audio and other effects. If the next keyframe is reached during playback, the cursor automatically jumps to the next keyframe displayed in the user interface until the user initiates (resumes) interaction with the system.

이와 관련하여, 도 7은 시스템 동작의 상태도를 도시한다. 상태(100)에서,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을 대기하며, 다수 키프레임을 디스플레이한다. 그러한 입력은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중의 점핑, 키프레임의 다른 셋으로의 점핑, 관련 기간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키프레임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도 있다. 그러한 입력은 화살표(104)를 이루며, 새로운 기간을 개시한다. n초(실례로, 20초)동안 그러한 입력이 없는 경우 화살표(108)가 이루어지며, 상태(102)가 도달된다. 여기서 시스템은 동적인 비디오 커서 프레임으로 진행한다. 사용자 입력이 도달되지 않는 한, 화살표(110)가 이루어지며, 시스템은 디스플레이가능한 비디오 자료가 이용가능한 지속된다. 하지만 사용자 입력이 수신된다면, 화살표(106)가 달성되고, 시스템은 동적인 비디오 커서의 실제 컨텐트 또는 실제 기간의 시작에서 정지된다.In this regard, FIG. 7 shows a state diagram of system operation. In state 100, the system waits for input from the user and displays a number of keyframes. Such input may mean selecting a keyframe for displaying jumping among the displayed keyframes, jumping to another set of keyframes, and the associated period. Such input constitutes an arrow 104 and initiates a new period. If there is no such input for n seconds (eg 20 seconds), an arrow 108 is made and state 102 is reached. Here the system proceeds to a dynamic video cursor frame. As long as user input is not reached, arrow 110 is made and the system continues to display displayable video material. However, if user input is received, an arrow 106 is achieved and the system is stopped at the beginning of the actual content or actual period of the dynamic video cursor.

도 6은 도 4를 실현시킨 것이다. 이는 실제 실행의 스크린 포착을 디스플레이한다. 여기에서, 스크린의 상부 바로부터 갈라지는 라인은 미적 감각의 이유로 실행되지 않는다. 또한, 커서 위치는 스크린의 중심에서 고정 상태로 유지되며, 그에 따라 커다란 실제의 필림 스냅숏들의 포커스 지점으로 동작한다. 이러한 작은 부분은 별도로 변경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상술된 바와 같이 작용한다.FIG. 6 realizes FIG. 4. This displays a screen capture of the actual run. Here, the lines diverging from the top bar of the screen are not executed for aesthetic reasons. In addition, the cursor position remains fixed at the center of the screen, thus acting as the focal point of large actual film snapshots. This small portion is changed separately and the user interface acts as described above.

Claims (14)

키프레임(keyframe)에 기초하여 비디오 표시(video presentation)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A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presentation based on a keyframe, the method comprising: 감소된 정적인 비디오 포맷으로 비디오 표시의 키 프레임들을 병렬로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Displaying the key frames of the video representation in parallel in a reduced static video format;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프레임들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단계와;Allowing a user to select from the keyframes;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들에 따라 상기 표시에 기초하여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isplaying a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based on the ind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keyframes, 상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이 상기 선택된 정적인 키프레임 대신에 상기 감소된 포맷내에서 디스플레이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And the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s displayed in the reduced format instead of the selected static key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스트림은 오디오를 수반하며, 상기 방법은 상기 비디오 스트림과 관련된 오디오의 억제를 가능하게 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ideo stream carries audio and the method enables suppression of audio associated with the video stream.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은 다음에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의 컨텐트와 일치할 때 정지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s stopped when it matches the content of the next displayed keyfram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시, 다음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이 상기 다음의 키프레임 대신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4.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upon matching, the next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s displayed instead of the next keyfram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의 디스플레이는 제어가능 및/또는 프로그램 가능한,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of the next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s controllable and / or programmable.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의 디스플레이는 프로그램 가능한 모드 변경을 포함할 수 있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display of the next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may comprise a programmable mode chang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들은 실질적으로 실제 비디오 포맷의 모두를 수용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ed keyframes accept substantially all of the actual video format.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들은 실제 비디오 포맷의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은 다른 키프레임들에 대하여 확대된 포맷으로 디스플레이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ed keyframes accept a portion of an actual video format and the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s displayed in an enlarged format relative to other keyframes. Display method of video displa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세트의 소프트 제어 키들을 더 디스플레이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displaying a preset set of soft control key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표시는 적어도 디지털적으로 라벨링(labelling)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3. A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video representation is at least digitally labeled.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키프레임들은 계층적 구조로 설정되고, 및/또는 다양한 키프레임들이 디스플레이로부터 삭제될 수 있게 되어, 삭제된 키프레임 전후의 상기 표시의 구간들을 결합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방법.The key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keyframes are set in a hierarchical structure, and / or various keyframes can be deleted from the display to combine the sections of the indication before and after the deleted keyframe. Display method of displaying a video based on a frame. 키프레임에 기초하여 비디오 표시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에 있어서:A device for displaying a video representation based on a keyframe, comprising: 감소된 정적인 비디오 포맷으로 비디오 표시의 키프레임들을 병렬로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Display means for displaying keyframes of the video representation in parallel in a reduced static video format;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키프레임들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는 선택 수단; 및Selecting means for allowing a user to select among the keyframes; And 상기 선택된 키프레임에 따라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실행시키는 실행 수단(rendering means)을 포함하고,Rendering means for executing a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n accordance with the selected keyframe,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선택된 정적인 키프레임 대신에 상기 감소된 포맷내에서 상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실행시킬 수 있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execution means is capable of executing the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n the reduced format instead of the selected static keyframe. 제 1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실행 수단은 다음에 디스플레이된 키프레임의 컨텐트와 일치할 때 상기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정지하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And the execution means stops the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when it matches the content of the next displayed keyframe.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일치시, 상기 실행 수단은 상기 다음의 키프레임 대신에 다음의 실질적으로 연속적인 비디오 스트림을 실행시키는, 키프레임에 기초한 비디오 표시의 디스플레이 장치.14. A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in said matching, said execution means executes a next substantially continuous video stream instead of said next keyframe.
KR1019980707892A 1997-02-03 1998-01-22 Video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key frame using video cursor frame on multi key frame screen KR10063371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97200286 1997-02-03
EP97200286.9 1997-06-16
PCT/IB1998/000089 WO1998034181A2 (en) 1997-02-03 1998-01-22 A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46A KR20000064846A (en) 2000-11-06
KR100633711B1 true KR100633711B1 (en) 2006-12-28

Family

ID=2614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7892A KR100633711B1 (en) 1997-02-03 1998-01-22 Video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key frame using video cursor frame on multi key frame screen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0928455A2 (en)
JP (1) JP2000511736A (en)
KR (1) KR100633711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Visual Languages and Computing, Volume 1, 1990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4846A (en) 2000-11-06
JP2000511736A (en) 2000-09-05
EP0928455A2 (en) 1999-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40971B1 (en)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US20230336820A1 (en) User control for displaying tags associated with items in a video playback
US6222532B1 (en)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through video matter by mean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key-frames in parallel
US20190035433A1 (en) User control for displaying tags associated with items in a video playback
KR101660153B1 (en)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digital storage
KR10058428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lay control of multimedia contents
US7031596B2 (en) Digital video reproduction method, digital video reproducing apparatus and digital video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411340B1 (en) Video browsing system based on article of news video content
US200400348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play and manipulation of thematic segmentation in the analysis and presentation of film and video
BRPI0821388B1 (en) CONTINUOUS BROADCASTING MEDIA AND COMPUTER READABLE MEMORY PLAYBACK CONTROL METHOD
WO1998034182A2 (en) A method and device for navigating through video matter by means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key-frames in parallel
WO1998034181A2 (en) A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AU2004204969B9 (en) Fast play DVD
KR10055224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avigating through video material by multiple key-frames parallel display
KR100633711B1 (en) Video display method and device based on key frame using video cursor frame on multi key frame screen
JPH0779404A (en) Method and device for generating representative picture list of video image
US6718117B1 (en) Method and device for keyframe-based video displaying using a video cursor frame in a multikeyframe screen
JP4456874B2 (en) Image display device
JPH0232473A (en) Moving image retrieving/editing system
EP2194713A2 (en) Video playback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