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1599B1 -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1599B1
KR100631599B1 KR1020040084543A KR20040084543A KR100631599B1 KR 100631599 B1 KR100631599 B1 KR 100631599B1 KR 1020040084543 A KR1020040084543 A KR 1020040084543A KR 20040084543 A KR20040084543 A KR 20040084543A KR 100631599 B1 KR100631599 B1 KR 10063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liding part
slid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4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5178A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84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1599B1/ko
Publication of KR20060035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5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입력부가 구분되어 슬라이딩부와 단말기 본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상승시킴으로써 키입력부들이 동일한 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시창이 정면에 구비된 단말기 본체와; 단말기 본체에 대하여 슬라이드되며, 제 1키입력부가 구비된 슬라이딩부와; 슬라이딩부와 단말기 본체 사이의 수용공간에 개재되며, 제 2키입력부가 구비된 승강 키패드; 및 슬라이딩부가 열리게 됨에 따라 슬라이딩부와 단말기 본체 사이에서 벌어지는 공간으로 승강 키패드를 올리고, 슬라이딩부가 닫히게 됨에 따라 올려진 승강 키패드를 수용공간으로 하강시키는 승강수단;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한다.
단말기, 키패드, 승강수단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SLIDE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다른 형태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부가 닫혀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부가 열리고 닫힘에 따라 승강 키패드가 승강하게 되는 것을 보인 작동상태도,
도 9는 키입력부가 슬라이딩부와 승강 키패드에 각각 배치된 형태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0: 슬라이딩부 125: 경사 레일부
128a: 하부 수평구간 128b: 경사구간
128c: 상부 수평구간 200: 승강 키패드
212: 돌출부 220: 피봇 연결체
221: 연결부재
본 발명은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키입력부가 구분되어 슬라이딩부와 단말기 본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를 상승시킴으로써 키입력부들이 동일한 면에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소형화·경량화라는 가치에 부응하면서도, 한정된 크기의 제약을 극복하고 넓은 표시창과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단말기 중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는, 표시창(31)과 기능키 입력부(35)를 포함하는 상부의 슬라이딩부(30)와, 숫자키 입력부(24)와 배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배터리(21)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20)로 조립되어진다.
이 슬라이딩부(30)는 사용자를 중심으로 하부의 단말기 본체(20)에 대하여 밀거나, 이 단말기 본체(20)를 슬라이딩부(30)에 대하여 끌어 전진·후퇴시킨 후, 숫자키(23)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기능키(34)는 상기 슬라이딩부(30)가 단말기 본체(20)와 닫혀 있을 경우에도 입력이 가능하나, 숫자키(23)의 입력은 슬라이딩부를 연 후에라야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의 경우 숫자키 입력부(24)는 단말기 본체(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딩부(30)를 내리거나 올렸을 때 숫자키 입력부(24)가 이루는 면과 기능키 입력부(35)가 이루는 면에는 높이의 차가 발생하여 키의 조작상 불편함이 수반된다.
도 2는 다른 형태의 종래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40)의 사시도로서, 단말기 본체(53)에는 표시창(58)과, 다수의 숫자키(56)가 집합되어 구분 배치된 숫자키 입력부(57)와, 다수의 기능키(55)가 집합되어 구분 배치된 기능키 입력부(54)가 구비되고, 덮개 역할을 하는 슬라이딩부(60)가 숫자키 입력부(57)의 상부에서 상하로 가이드 레일(59)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슬라이딩부(60)의 두께와 이 슬라이딩부(60)와 숫자키 입력부(57) 사이의 간격만큼 상기 기능키 입력부(54)와 상기 숫자키 입력부(57) 사이에 높이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어 키 조작이 불편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키 입력부와 숫자키 입력부를 같은 면에 배치시킬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을 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키의 입력을 용이하게 하고, 외양상 미려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간단하면 서도 안정적인 기기조작이 가능한 키패드 승강구조를 제공함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열리면 노출되는 승강 키패드; 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리면 상기 승강 키패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닫히면 상기 승강 키패드를 하강시키는 승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사이에는 그 일단은 상기 승강 키패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연결체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 키패드가 상기 피봇 연결체에 의해 구속되어 승강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슬라이딩부 또는 승강 키패드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 또는 승강 키패드 중 다른 하나에 구속되는 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 또는 승강 키패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부가 구속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일정 길이로 형성되고, 그 일부 구간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열림방향으로 낮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닫힘방향으로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레일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경사 레일부에 형성되는 레일홈에서 구를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링크부재는 길이가 균등하게 상기 승강 키패드의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승강 키패드의 수용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쪽에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슬라이딩부의 열림에 관계없이 항상 노출되는 노출영역이 포함되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다운되어 이동되면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고정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노출영역에는 표시창이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업되어 이동되면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표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노출영역에는 고정 키패드가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승강 키패드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첨부한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딩부가 닫혀 있 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슬라이딩부가 열려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내부에 피시비(도시되지 않음)가 수용되고 표시창(111)과 음성수신부(112) 및 배터리(114)를 포함하는 단말기 본체(110)와, 음성 송신부(123)와 화살표나 메뉴 등 멀티기능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키(122)가 집합된 기능키 입력부(121)가 설치된 슬라이딩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부(120)와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사이에는 숫자키(211)가 집합된 숫자키 입력부(210)가 설치된 승강 키패드(200: 도 3에서 점선부분)가 개재된다.
상기 슬라이딩부(120)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양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5)에 구속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120)를 후방으로 끌어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여는 경우에는 도 3에서의 상기 기능키 입력부(121)가 있던 위치에서는 공간이 생겨,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능키 입력부(121)의 하부에서 가려져 있던 상기 승강 키패드(200)가 올려져 숫자키 입력부(210)가 기능키 입력부(121)와 동일 면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크게 슬라이딩부(120)와 승강 키패드(200) 및 단말기 본체(110)로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부(120)는 기능키 입력부(121)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게 양측으로 상기 단말기 본체의 양측에 형성 된 가이드레일(115)에 끼워지는 슬라이더(127)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부재(129)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하방에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와의 사이로 형성된 수용공간(230)에 승강 키패드(200)가 배치된다.
상기 슬라이드 부재(129)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 레일(115)에 끼워지는 슬라이더(127)와 이 슬라이더(127)의 끝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이탈을 방지하는 돌출형의 턱(126)이 구비되는 한편, 내측으로는 이 슬라이드 부재(129)의 방향과 평행하게 경사 레일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경사 레일부(125)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레일홈(125a)을 가지며, 양 쪽의 평평한 하부 수평구간(128a)과 상부 수평구간(128c) 및, 이 하부 수평구간(128a)과 상부 수평구간(128c)의 사이로 형성된 경사구간(128b)이 포함된다. 이 때, 상기 하부 수평구간(128a)은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슬라이드되어 열려지는 쪽에 있게 되고, 상기 상부 수평구간(128c)은 반대로 닫히는 쪽에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경사구간(128b)의 경사는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열림방향으로 낮고,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닫힘방향으로 높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승강 키패드(200)의 양측에는 돌출부(212)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ㄷ'자 단면 형상을 갖는 상기 경사 레일부(125)의 레일홈(125a)에 끼워져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경사구간(128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승강 키패드(200)를 강제로 올리거나 내리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 경사구간(128b)의 길이나 각은 상기 승강 키패드(200)의 상승이나 하강의 속도를 좌우하나, 이것이 본 발명을 한정하지 않으며, 경사면의 형상 또한 평면 외에 곡면을 이루는 것도 가능하다.
다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0)의 하부에는 숫자키(211)들이 집합된 숫자키 입력부(210)가 블럭화된 승강 키패드(200)에 구획되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부(120)와 상기 승강 키패드(200)에 구분되어 배치되는 키입력부는 본 실시례에서 설명한 예시와 달리 승강 키패드에 기능키 입력부를 설치하고, 슬라이딩부에 숫자키 입력부를 둘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각 키입력부에 속하는 입력키들의 선택은 당업자에 의하여 달리할 수 있다.
한편, 승강 키패드(200)가 부드럽게 승강하도록 상기 키패드(200)의 돌출부(212)에 바퀴(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하여, 이 바퀴가 상기 경사 레일부(125)의 레일홈(125a)에서 구를 수 있게 하는 예도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승강 키패드(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와 케이블(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된다.
한편,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승강 키패드(200)의 측면에 형성된 설치홈(213)과 상기 단말기 본체(110)의 수용공간(230)에 형성된 설치홈(224) 사이에 피봇 연결체(220)에 의하여 승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피봇 연결체(220)는 양 단이 회동축(222)(223)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연결부재(221)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승강 키패드(200)는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이 회동축(222)(223)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수직방향으로 승강이 가능하게 된다.
이 피봇 연결체(220)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23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승강 키패드(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회동할 수 있게 된다. 특히, 각각의 연결부재(221)의 길이가 균등한 경우라면 이 승강 키패드(200)는 상기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수평을 유지하며 승강할 수 있다.
이와 다른 실시례로서, 상기 연결부재(221)를 상기 수용공간(230)의 전방이나 후방 중 어느 한 곳에만 두는 경우, 또는 상기 승강 키패드(200)과 상기 단말기 본체(110)를 상호 동일한 축으로 연결하는 경우라면, 상기 승강 키패드(200)는 연결부재의 양단의 피봇에 의하여 힌지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승강 키패드(200)는 슬라이딩부(120)의 개폐에 따라 전방이나 후방의 어느 한쪽이 승강되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승강수단은 상기 승강 키패드(200)를 위로 올리는 경우와, 올려진 승강 키패드(200)를 하강시키는 경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도 8의 (a)에서 (d)까지의 과정은 상기 승강 키패드(200)가 올라가는 과정을 나타내며, 반대로 (d)에서 (a)까지의 과정은 상기 승강 키패드(200)가 내려오는 과정을 나타낸다.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닫혀 있을 때에는 승강 키패드(200)의 돌출부(212)는 하부 수평구간(128a)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피봇 연결체(220)의 연결부재(221)는 수평선에 대하여 이루는 회동각(α)이 가장 작은 상태에 있게 된다.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하부로(도면에서 보아 오른쪽으로) 슬라이드되어 열리기 시작하면, 이 슬라이딩부(120)의 운동에 따라 함께 상기 경사 레일부(125)도 하부로 이동하게 된다. 다만, 상기 돌출부(212)가 상기 경사구간(128b)에 이르기 전까지는 승강 키패드(200)와 회동각(α)은 변화가 없다.
(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더욱 열려지면 상기 경사 레일부(125)의 레일홈(125a)에 끼워진 돌출부(212)는 상기 경사 레일부(125)의 경사구간(128b)을 지나게 되면서 상기 승강 키패드(200)는 강제적으로 올려지고, 상기 연결부재(2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로 작용하게 되어, 상기 연결부재(221)의 회동각(α)은 증가하게 된다.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가(120)가 완전히 열림 위치에 있을 경우에는, 상기 돌출부(212)는 상기 상부 수평구간(128c)에 이르게 되고, 상기 승강 키패드(200)의 위치와 상기 연결부재(221)의 회동각(α)은 최대가 된다. 이 때에는 상기 돌출부(212)는 상부 수평구간(128c)에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승강 키패드(200)의 양측은 연결부재(221)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므로, 이 승강 키패드(200)에 설치된 숫자키 입력부(210)에의 입력시 키패드가 임으로 하강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딩부(120)를 상방으로 밀어서 닫는 경우 즉, 승강 키패드의 하강기구는 도 8의 (a) 내지 (d)를 역순으로 보면 된다.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완전히 열림 위치로부터 (c)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슬라이딩부(120)가 단말기 본체(110)에 대하여 상방으로(도면에서 보아 왼쪽 방향) 슬라이드되어 닫히기 시작하면, 이 슬라이딩부(120)의 운동에 따라 함께 일체로 되어 있던 상기 경사 레일부(125)도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 레일부(125)의 상부 수평구간(128c)의 위치에 있던 돌출부(212)는 경사구간(128b)의 진행에 의하여 상기 연결부재(2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토크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회동각(α)은 다시 작아지면서 상기 돌출부(212)가 고정된 승강 키패드(200)는 함께 내려오게 된다.
슬라이드가 진행되면서 (b)의 위치에 이른 때에는 상기 돌출부(212)는 상기 경사 레일부(125)의 하부 수평구간(128a)에 이르게 되어 더이상 승강 키패드(200)의 하강은 일어나지 않으며, 회동각(α)은 최소로 된다.
그리고, (a)의 위치에 이르러 상기 슬라이딩부(120)에 의하여 상기 승강 키패드(200)는 완전히 가려지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례에서는 슬라이딩부(120)에 기능키 입력부(121)가 있고 승강 키패드(200)에 숫자키 입력부(210)가 있으며, 표시창(111)이 단말기 본체(110)에 있어 상기 슬라이딩부(120)를 하부로 끌어서 여는 형태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에 대한 것이다.
그러나,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부(320)에 표시창(311)이 설치되고, 단말기 본체(310)에 기능키 입력부(321)가 설치되며, 승강 키패드(400)에 숫자키 입력부(410)이 설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320)을 상부로 밀어서 여는 형태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에도 본 발명에 의한 승강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여타의 구성이나 작용은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실시례와 유사하거나 대응되므로 구체적인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실시례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320)를 밀어 단말기 본체(310)에 대하여 여는 경우에는, 상기 표시창(311)의 하부에 가려져 있던 승강 키패드(400)의 돌출부(412)는 경사 레일부(325)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하부의 연결부재(421)의 회동각을 증가시키며, 이 승강 키패드(400)를 올리게 된다.
반대로 상기 슬라이딩부(320)를 끌어서 닫는 경우에는, 상기 승강 키패드(400)의 돌출부(412)는 경사 레일부(325)를 따라 슬라이드되면서 하부의 연결부재(421)의 회동각을 감소시키며, 이 승강 키패드(400)를 내리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에 의하면, 슬라이드형 단말기에서 키입력부가 별도로 배치되었을 경우 슬라이드하였을 때 나타나는 단차가 하부의 키패드의 상승수단에 의하여 같은 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키조작이 편리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의 슬라이드형 단말기의 슬라이드시에 단차가 수반되어 시각적으로 불안정한 점이 개선되며, 키패드의 상승을 위한 경사 받침부와 하강시 복원기구의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기기의 조작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를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례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단말기 본체;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부에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개폐되는 슬라이딩부;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열리면 노출되는 승강 키패드; 및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열리면 상기 승강 키패드를 상승시키고,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드 이동되어 닫히면 상기 승강 키패드를 하강시키는 승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키패드와 상기 단말기 본체의 사이에는 그 일단은 상기 승강 키패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그 타단은 상기 단말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피봇 연결체가 구비되어, 상기 승강 키패드가 상기 피봇 연결체에 의해 구속되어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슬라이딩부 또는 승강 키패드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어, 그 끝단부가 상기 슬라이딩부 또는 승강 키패드 중 다른 하나에 구속되는 돌출부; 및
    상기 슬라이딩부 또는 승강 키패드 중 어느 하나에 상기 돌출부가 구속되며 이동 가능하도록 안내하며, 그 일부 구간이 상기 슬라이딩부의 열림방향으로 낮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닫힘방향으로 높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 레일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경사 레일부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경사 레일부에 형성되는 레일홈에서 구를 수 있도록 바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연결체는 길이가 균등하게 상기 승강 키패드의 수용공간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 연결체는 상기 단말기 본체와 상기 승강 키패드의 수용공간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어느 한 쪽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의 상면 중 상기 슬라이딩부의 열림에 관계없이 항상 노출되는 노출영역이 포함되도록 하는 길이로 형성되는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다운되어 이동되면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고정키패드가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노출영역에는 표시창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단말기 본체에 대해 슬라이드업되어 이동되면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면에는 표시창이 구비되며, 상기 단말기 본체의 노출영역에는 고정 키패드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키패드는 숫자 또는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들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040084543A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31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43A KR100631599B1 (ko)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4543A KR100631599B1 (ko)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78A KR20060035178A (ko) 2006-04-26
KR100631599B1 true KR100631599B1 (ko) 2006-10-09

Family

ID=37143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4543A KR100631599B1 (ko) 2004-10-21 2004-10-21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15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29B1 (ko) * 2009-09-04 2011-09-02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기기용 승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208B1 (en) 1999-11-16 2003-03-25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9208B1 (en) 1999-11-16 2003-03-25 Nec Corporatio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1429B1 (ko) * 2009-09-04 2011-09-02 주식회사 다이아벨 휴대기기용 승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5178A (ko) 2006-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8607B1 (ko) 양쪽 키패드를 갖는 이동 통신 단말기
US6831229B1 (en) Hinge cover mechanism for folding casings with lift function
EP0978979A2 (en) A radio telephone
US20050064921A1 (en) Sliding-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liding movement in the same
KR100778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631599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93641B1 (ko) 본체와 슬라이드 커버가 수평하게 펼쳐지는 슬라이드형이동 통신 단말기
KR100631600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81875A (ko) 키패드가 슬라이드 커버에 대해 수평하게 상승되는슬라이드형 이동 통신 단말기
KR20070121226A (ko) 이동성 키패드 하우징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CN111988691A (zh) 一种可升降耳机充电盒
KR100675176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단말기의 화면표시장치
KR100636531B1 (ko) 키패드 상승장치를 갖춘 이동통신단말기
KR100501261B1 (ko) 양방향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CN102118940A (zh) 滑动型电子装置
KR101310210B1 (ko) 틸팅 가능한 개인휴대단말기
KR100677310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01029809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70036862A (ko) 슬라이드 힌지장치 및 개인휴대단말기
KR100945480B1 (ko) 휴대 단말기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KR100966554B1 (ko)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CN212752582U (zh) 一种可升降耳机充电盒
CN216596190U (zh) 具有升降式控制旋钮的电子装置
KR100866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