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0137B1 -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0137B1
KR100630137B1 KR1020050044542A KR20050044542A KR100630137B1 KR 100630137 B1 KR100630137 B1 KR 100630137B1 KR 1020050044542 A KR1020050044542 A KR 1020050044542A KR 20050044542 A KR20050044542 A KR 20050044542A KR 100630137 B1 KR100630137 B1 KR 100630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able terminal
hinge axis
hinge
pogo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45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서재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4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137B1/en
Priority to US11/357,185 priority patent/US7532459B2/en
Priority to EP06004402A priority patent/EP1715660A1/en
Priority to TW095111418A priority patent/TWI305990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13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2Foldable in two directions, i.e. using a two degree of freedom hing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7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arallel to the pivo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05D3/10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with non-parallel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 일면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그의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출몰하는 포고 핀(pogo pin);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제3 하우징; 및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위치된 때, 상기 포고 핀의 일단이 결속홈과 맞물려 상기 제3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rotate about a first hinge axis and a second hinge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ile rotating in a direction facing or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s it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housing coupled to each other and a hinge device for coupling the first housing to the second housing, the portable terminal being fixed on the first housing, one end of which is project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Pogo pins; A third housing at least partially detached from the first housing as one end is engaged on the first housing and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nd a bind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and when the third housing is positioned on the first housing, one end of the pogo pin is engaged with the binding groove to limit rotation of the third housing. Disclosed is a portable terminal.

단말기, 힌지, 가로보기, 포고 핀, 회전 제한 Handset, hinge, landscape view, pogo pin, rotation limit

Description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ion limi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를 나타내는 조립 사시도,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1;

도 3은 도 1에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3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in FIG. 1;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2 하우징이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4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3 is rotated about a second hinge axis.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포고 핀이 제1 하우징 상에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ogo pin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assembled on a first housing;

도 6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3 하우징이 제1 하우징 상에 위치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in which a thir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is positioned on the first housing;

도 7은 도 1에 도시된 휴대용 단말기의 제3 하우징이 제1 하우징 상에 위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third housing of the portable terminal illustrated in FIG. 1 positioned on the first housing; FIG.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한 쌍의 힌지축을 구비함으로써 폴더형 단말기와 같은 개폐동작이 구현됨과 동시에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을 회전시켜 다른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히 위치시키게 하는 복합적인 동작으로 개폐되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어느 한 힌지축에 대한 회전을 일시적으로 제한하여 다른 한 힌지축에 대한 회전 개폐동작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in particular, by having a pair of hinge shafts to realiz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such as a folding type terminal and at the same time to rotate the one housing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to be located side by side on the other hous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ion limiting device configured to stably perform a rotation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about one hinge axis by temporarily limiting rotation about one hinge axis in a portable terminal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n operation.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이동통신 기지국 등을 통해 사용자와 사용자 또는 사용자와 서비스 업자 사이에서 무선통신 기능을 제공해주는 기기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음성 통화서비스로부터 단문 메시지, 모바일 뱅킹(mobile banking), TV 시청, 온라인 게임, 주문형 비디오 등 다양한 형태의 콘텐츠(contents)가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다.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device that provide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between a user and a user or a service provider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such as a short message, mobile banking, or TV from a voice call service. Various types of contents such as watching videos, online games, and video on demand are provided to users through portable terminals.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그 외형에 따라 하나의 하우징에 통신회로, 송화부, 수화부 등의 입출력 장치가 설치된 바형 단말기, 바형 단말기에 플립 커버가 설치된 플립형 단말기, 한 쌍의 하우징이 회전함으로써 개폐되고 입출력 장치가 각각의 하우징에 분산 배치된 폴더형 단말기 등으로 분류된다. 최근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 등이 등장하여 폴더형 단말기와 더불어 휴대성과 사용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면서 사용자의 다양한 취향들을 만족시켜 주고 있다. The portable terminal as described above has a bar-type terminal provided with an input / output device such as a communication circuit, a transmitter, a receiver, and the like in one housing, a flip-type terminal provided with a flip cover in the bar-type terminal, and a pair of housings open and close and open and close. The device is classified into a foldable terminal or the like distributed in each housing. Recently, sliding type terminals have been introduced to satisfy various tastes of users while increasing portability and convenience of use with folding type terminals.

한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한 멀티미디어 서비스 제공의 상용화가 가능해 지면서,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더 다양한 형태로 활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경주되고 있다. 그 예로서, TV, 뮤직 비디오, 주문형 비디오 등의 시청을 위해서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횡비를 일반적인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적합하도록 조정해야 한다. 즉, 비교적 넓은 화면을 확보할 수 있는 폴더형 또는 슬라이딩형 단말기들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종횡비는 가로 방향보다 세로 방향이 더 길게 제작되기 때문에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시청하는데 다소 제약이 따르는 실정이다. Meanwhile, as commercialization of a multimedia service through a portable terminal becomes available, efforts to utilize a display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in various forms are being raced. As an example, for viewing TV, music video, video on demand, etc.,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device should be adjusted to be suitable for general multimedia contents. That is, the aspect ratio of the display device of the foldable or sliding terminals capable of securing a relatively wide screen is made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is somewhat limited in viewing multimedia contents.

따라서, 단말기 조작의 편의성과,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청 시 좀더 넓은 화면을 확보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통신 기능을 사용할 때에는 세로 보기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되고, 멀티미디어 콘텐츠 시청 시 가로 보기 형태로 디스플레이 장치가 위치될 수 있는 복합적인 개폐동작이 구현된 단말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복합적인 개폐동작이 구현된 단말기의 예로서, 한 쌍의 하우징이 한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서로 근접하거나 멀어져 개폐됨과 동시에, 다른 한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한 쌍의 하우징이 대면한 상태로부터 다른 한 하우징이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형태의 단말기가 출시되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facilitate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and to secure a wider screen when watching multimedia content, the display device may be positioned in a vertical view when using a general communication function, and the display device may be positioned in a horizontal view when viewing multimedia content. A terminal that implements a complex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being released. As an example of a terminal in which such a complex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implemented, the pair of housings are opened or closed close to or away from each other as they rotate about one hinge shaft, and the pair of housings face each other as they rotate about the other hinge shaft. A terminal of a type in which the other housing moves laterally from the state has been released.

그러나, 이러한 복합적인 개폐동작이 구현된 단말기일지라도 일반적으로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폴더형 단말기의 개폐동작을 더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단말기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다른 힌지축, 즉 제2 힌지축에 대하여 유동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즉, 단말기의 개폐동작을 위해서는 단말기의 하우징들이 제1 힌지축에 대한 회전을 하여야 하는데, 제2 힌지 축에 대한 유동이 동시에 발생되기 때문에 단말기의 개페동작이 안정적이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는 것이다. However, even in a terminal in which such a complex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is implemented,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a foldable terminal that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is generally used more. There is a problem that flows about an axis, that is, a second hinge axis. That i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terminal, the housings of the terminal should be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However, since the flow about the second hinge axis occurs at the same time, the opening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not stable.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한 쌍의 하우징이 제1, 제2 힌지축 각각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사용자가 어느 한 하우징을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시키고자 할 때, 제2 힌지축에 대하여 유동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안정적인 개폐동작이 구현된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ir of housings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axes, so that the user wants to rotate any one housing with respect to the first hinge ax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ion limiting device in which stabl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s are realized by restricting flow of the second hinge shaf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하우징과,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 일면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in a direction facing or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as it rotates about the first housing and the first hinge axi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housing rotatably coupled about a second hinge axis, and a hinge device for coupl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그의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출몰하는 포고 핀(pogo pin); A pogo pin fixed on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one end protrud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제3 하우징; 및A third housing at least partially detached from the first housing as one end is engaged on the first housing and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nd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속홈을 포함하고, A bind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위치된 때, 상기 포고 핀의 일단이 결속홈과 맞물려 상기 제3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개시한다.When the third housing is positioned on the first housing, one end of the pogo pin is engaged with the binding groove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third housing is disclos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100)는 제1 하우징(101), 각각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102) 및 제3 하우징(104)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3 하우징(104)의 회전을 일시적으로 제한하는 포고 핀(149)을 구비한다.1 to 4,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ing the rotation limi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otatable on the first housing 101, respectively, on the first housing 101. And a second housing 102 and a third housing 104 coupled to each other, and having a pogo pin 149 to temporarily limit rotation of the third housing 104.

상기 단말기(100)는 제1, 제2 힌지축(A1, A2)을 구비한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게 접철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힌지축(A1)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단부에 위치되며 상기 제1 하우징(101)의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 힌지축(A2)은 상기 제1 하우징(101) 일면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구성이며, 상기 제1 힌지축(A1)의 회전 중심을 제공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힌지축(A1)은 상기 제2 힌지축(A2)과 교차되며, 그 교차되는 지점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힌지축(A1)이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The terminal 100 includes first and second hinge axes A1 and A2. The first hinge axis A1 in a state where the third housing 104 is positioned on the first housing 101 and the second housing 102 is folded to face the first housing 101. Is located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extends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first housing 101. The second hinge shaft A2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and provides a center of rotation of the first hinge shaft A1. That is, the first hinge axis A1 intersects with the second hinge axis A2, and the first hinge axis A1 pivots about the intersection point.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근접하거나 멀어지게 개폐되며, 상기 제2 힌지축(A2)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102 opens and closes or moves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1 as it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and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The first housing 101 may be located side by side.

상기 제1 하우징(101)은 그의 일면에 키패드(113), 송화부(115) 및 한 쌍의 스피커 장치(117)들이 설치된다. 상기 키패드(113)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의 키 구성인 3×4 배열의 숫자/문자 입력 키들, 메뉴 검색/선택 키, 통화 키, 종료 키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일반적인 개인용 컴퓨터의 자판인 QWERTY 배열의 입력 키들과, 메뉴 검색/선택 키, 기능 키 등으로 구성된 키패드(113)가 설치된 구성이다. 한편, 상기 QWERTY 배열의 입력 키들 중 일부에는 숫자값이 더 할당됨으로써 통화번호 입력 등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피커 장치(117)들은 상기 키패드(113)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되며, 서로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The first housing 101 is provided with a keypad 113, a talker 115, and a pair of speaker devices 117 on one surface thereof. The keypad 113 may be configured of a 3 × 4 array of numeric / character input keys, a menu search / selection key, a call key, an end key, and the like, which are key configurations of a general portable terminal.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keypad 113 composed of input keys of a QWERTY array, which is a keyboard of a general personal computer, a menu search / selection key, a function key, and the like is installed. On the other hand, some of the input keys of the QWERTY array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erform a communication function such as call number input by further assigning a numeric value. The speaker devices 117 are locat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keypad 113, and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상기 제1 하우징(101) 일면의 상단부에는 안착홈(11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홈(119)은 상기 키패드(113)가 설치된 면과는 단차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A seating groove 119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The seating groove 119 is formed to be stepped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keypad 113 is installed, and provides a space in which the third housing 104 may be located.

상기 안착홈(119) 상에는 상기 제3 하우징(104)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홀(143)과, 상기 포고 핀(149) 고정을 위한 고정홀(14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고 핀(149)은 그 내부에 압축 스프링이 내장되며, 상기 고정홀(145)에 설치된다.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은 내장된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을 제공받아 상기 안착홈(119) 상으로 출몰하게 된다.On the seating groove 119, a rotation hole 143 to which the third housing 104 is rotatably coupled, and a fixing hole 145 for fixing the pogo pin 149 are formed. The pogo pin 149 has a compression spring therein and is installed in the fixing hole 145. One end of the pogo pin 149 is received on the mounting groove 119 is provided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built-in compression spring.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하는 내측면에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에 대하여 회전하여 개방된 때,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121)와 수화부(123)가 개방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의 일단에는 센터 힌지 암(125)이 형성되어 있다.The second housing 102 is provided with a display device 121 and a receiver 123 on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housing 102 that faces the first housing 101. Therefore, when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and open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the display device 121 and the receiver 123 are opened. A center hinge arm 125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102.

도 3은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한 때, 사용자는 상기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음성 통화를 하거나, 단문 메시지를 작성 및 전송할 수 있다.3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to be opened. When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1, the user may make a normal voice call or create and transmit a short message using the terminal 100.

상기 제3 하우징(104)은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141)들을 구비하고, 상기 제1 힌지축(A1)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의 일단이 상기 안착홈(119)의 회전홀(143)을 통해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의 상기 사이드 힌지 암(141)은 상기 제2 힌지축(A2) 상에 위치된다. 즉, 상기 제3 하우징(104)은 상기 제1 하우징(101) 상에서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그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구성이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 상에 위치된 때, 상기 사이드 힌지 암(141)들은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2 하우징(102)은 그의 센터 힌지 암(125)이 상기 사이드 힌지 암(141)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상기 사이드 힌지 암(141)들은 상 기 제1 힌지축(A1) 상에 위치되며, 상기 센터 힌지 암(125)의 양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third housing 104 includes a pair of side hinge arms 141 and extends in the direction of the first hinge axis A1 so that one end thereof is rotated through the rotation hole 143 of the seating groove 119.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101, the side hinge arm 141 on one side is located on the second hinge axis (A2). That is, the third housing 104 is rotated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on the first housing 101. As the third housing 104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101. When the third housing 104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groove 119, the side hinge arms 141 protrude to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101. The second housing 102 has its center hinge arm 125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141 to rotate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That is, the side hinge arms 141 are positioned on the first hinge axis A1 to rotatably support both ends of the center hinge arm 125.

상기 제3 하우징(104)의 타단부 저면에는 결속홈(147; 도 6에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91) 상에 위치된 때, 상기 포고 핀(149)이 상기 결속홈(147)에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으로부터 이탈되기 위해서는 상기 포고 핀(149)이 상기 결속홈(147)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충분한 외력이 작용하여야 한다. A binding groove 147 (shown in FIG. 6)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other end of the third housing 104. When the third housing 104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groove 191, the pogo pin 149 is engaged with the binding groove 147. Therefore, in order for the third housing 104 to be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19, a sufficient external force must be applied to allow the pogo pin 149 to escape from the binding groove 147.

도 5 내지 도 7은 상기 안착홈(119)으로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진입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5 to 7 sequentially illustrate a process of entering the third housing 104 into the seating groove 119.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부는 상기 안착홈(119) 상으로 돌출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제3 하우징(104)의 저면이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에 간섭됨에 따라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은 상기 안참홈(119)의 내측으로 후퇴하게 된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으로 완전히 진입하여 상기 결속홈(147)이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에 대면하게 위치되면,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이 상기 결속홈(147)과 맞물리게 된다.In a state where the third housing 104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groove 119, one end of the pogo pin 149 protrudes onto the seating groove 119. As the third housing 104 enters the seating groove 119, one end of the pogo pin 149 is closed as the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104 interferes with one end of the pogo pin 149. The retracting groove 119 is retracted to the inner side. When the third housing 104 fully enters the seating groove 119 and the binding groove 147 is positioned to face one end of the pogo pin 149, one end of the pogo pin 149 is engaged. Meshes with the groove 147.

이때, 상기 제3 하우징(104)의 저면에는 상기 포고 핀(149)이 지나는 궤적을 따라 가이드 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에 진입하여 상기 포고 핀(149)에 간섭되기 시작하는 시점으로부터 상기 가이드 홈의 내벽은 상기 포고 핀(149)의 일단을 누르면서 점차 상기 안착홈(119)의 내 측으로 후퇴시키게 된다. In this case, a guide groove (not shown) may be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104 along a trajectory through which the pogo pin 149 passes. From the time when the third housing 104 enters the seating groove 119 and starts to interfere with the pogo pin 149, the inner wall of the guide groove gradually presses one end of the pogo pin 149, and the seating groove gradually. It will retreat to the inner side of (119).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으로부터 멀어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 하우징(102)도 상기 제3 하우징(104)과 함께 상기 제2 힌지축(A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된다. 도 4는 상기 제2 하우징(102)이 상기 제1 하우징(101)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스피커 장치(117)들은 상기 제2 하우징(102)에 의해 가려지지만, 그들이 출력하는 음향은 사용자에거 충분히 전달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221)을 횡방향으로 위치시키고 뮤직비디오 등 멀티미디어 콘텐츠을 시청하는 동안 스테레오 사운드와 같은 좀더 현장감 있는 음향을 충분하게 제공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and is located away from the first housing 101, the third housing 104 is connected to the second hinge axis ( When rotating about A2), the second housing 102 also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2 together with the third housing 104 to be positioned side by side on the first housing 101. do.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ousing 102 is locat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101. At this time, the speaker devices 117 are covered by the second housing 102, but the sound they output can be sufficiently transmitted to the user. In addition, since a pair is installed, the display device 221 may be positioned laterally and may provide a more realistic sound such as stereo sound while watching multimedia content such as a music video.

한편,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상기 안착홈(119) 상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102)은 상기 제1 하우징(101)에 대면한 채로 접철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을 회전시켜 상기 단말기(100)를 개방시키고자 할 때, 상기 포고 핀(149)은 상기 결속홈(147)에 맞물려 상기 제3 하우징(104)이 유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따라서, 상기 제1 힌지축(A1)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하우징(102)이 회전하는 개폐동작은 상기 제3 하우징(104)의 유동 없이 안정적으로 구현된다.On the other hand, in a state where the third housing 104 is positioned on the seating groove 119 and the second housing 102 is folded while facing the first housing 101, the user hinges the first hinge. When the second housing 102 is rotated about the axis A1 to open the terminal 100, the pogo pin 149 is engaged with the binding groove 147 to allow the third housing 104 to be opened. ) Restricts flow. Therefore, the opening and closing operation of rotating the second housing 102 about the first hinge axis A1 is stably realized without the flow of the third housing 104.

이상,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 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I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 제한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는 제1 하우징 상에서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개폐되는 제2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1 하우징 상에서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제3 하우징을 구비함으로써, 제2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로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제1 하우징 상에 제공된 포고 핀과 제3 하우징에 제공되어 포고 핀에 맞물리는 결속홈을 구비함으로써 제2 하우징이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는 동안 제3 하우징이 유동하는 것을 제한하여 제2 하우징의 회전을 안정시키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rotation limi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cond housing opened and closed by rotat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on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rotating about the first hinge axis. By enabling the third housing to rotat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on the first housing, the second housing can be positioned side by side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in an open state. At this time, by having a pogo pin provided on the first housing and the engaging groove provided in the third housing to engage the pogo pin to restrict the flow of the third housing while the second housing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2 There is an advantage to stabilize the rotation of the housing.

Claims (11)

제1 하우징과, 제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면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하우징 일면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결합시키는 힌지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The first housing is rotatably coupled to a second hinge axis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of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ile being rotated in a direction facing or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s it rotates about the first hinge axi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second housing and a hinge device for coupl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고정되고, 그의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외주면으로 출몰하는 포고 핀(pogo pin); A pogo pin fixed on the first housing and having one end protrud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에 따라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 가능한 제3 하우징; 및A third housing at least partially detached from the first housing as one end is engaged on the first housing and rotates about the second hinge axis; And 상기 제3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되는 결속홈을 포함하고, A bind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third housing,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 상에 위치된 때, 상기 포고 핀의 일단이 결속홈과 맞물려 상기 제3 하우징의 회전을 제한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when the third housing is positioned on the first housing, one end of the pogo pin engages with the binding groove to limit rotation of the third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은 상기 제3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멀어지게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제3 하우징이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포고 핀의 일단이 상기 결속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제2 하우징을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third housing of claim 1, wherein the second housing is coupled to the third housing to rotate about the first hinge axis, and wherein the third housing is rotated away from the first housing. As the rotation is about a second hinge axis, one end of the pogo pin is separated from the binding groove to position the second housing in parallel to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힌지축 방향을 따라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the third housing extends along the first hinge axis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들; 및2. 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ide hinge arms respectively formed at both ends of the third housing; And 상기 제2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센터 힌지 암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And a center hinge arm formed at one end of the second housing and rotatably coupled between the side hinge arm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사이드 힌지 암들은 상기 제1 힌지축 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5.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pair of side hinge arms are located on the first hinge axis.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단부에 위치되어,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이 상기 제1 하우징 일면 상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4, wherein the third housing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side hinge arms protrude onto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힌지 암들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제2 힌지축 상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5.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any one of said side hinge arms is located on said second hinge axi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은 그의 일단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 단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2 힌지축에 대하여 회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third housing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to rotate about the second hinge axi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면에 형성된 안착홈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3 하우징은 상기 안착홈에 위치된 상태로부터 상기 제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1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ating groove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third housing is rotated about the second hinge axis from the state positioned in the seating groove to be separated from the first housing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by the above.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홈은 상기 제1 하우징 일단부에 위치되고, 측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portable terminal of claim 9, wherein the seating groove is positioned at one end of the first housing and extends in a lateral direction.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되는 한 쌍의 스피커 장치 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의 일측에 나란하게 위치된 때 상기 제2 하우징에 의해 상기 스피커 장치가 가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The apparatus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speaker device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wherein the speaker is disposed by the second housing when the second housing is located side by side on the one side of the first housing. 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the device is covered.
KR1020050044542A 2005-04-22 2005-05-26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KR100630137B1 (en)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542A KR100630137B1 (en) 2005-05-26 2005-05-26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US11/357,185 US7532459B2 (en) 2005-04-22 2006-02-21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06004402A EP1715660A1 (en) 2005-04-22 2006-03-03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TW095111418A TWI305990B (en) 2005-04-22 2006-03-31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4542A KR100630137B1 (en) 2005-05-26 2005-05-26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137B1 true KR100630137B1 (en) 2006-09-27

Family

ID=37628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4542A KR100630137B1 (en) 2005-04-22 2005-05-26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137B1 (e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6001456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98606B1 (en) Hinge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axes for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nection member having the plurality of axes
KR100651497B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8200299B2 (en) Portable terminal
US7532459B2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20050282596A1 (en) Triple-axis rotation folder-type portable apparatus
US7606605B2 (en) Two-way folder-type terminal
JP2002158758A (en) Opening/closing type portable information terminal
KR20050037054A (en) Portable terminal and swing hinge module thereof
US7859585B2 (en) Portable terminal having camera lens assembly
KR20110022365A (en) Portable terminal with dual axis
US8996079B2 (en) Portable terminal with multiple-hinges
KR100842527B1 (en)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US7657027B2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790187B1 (en) Hinge unit for game/mobile phone combination device
KR100630137B1 (en) Portable terminal wiht rotation restriction device
KR100630136B1 (en) Hinge apparatus and portable terminal therewith
KR100790076B1 (en) Rotating hinge device for mobile phone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and swing type mobile phone having the same
KR100592182B1 (en) Folder type mobile phone which rotates an angle of 360 degrees
KR101354399B1 (en) Portable terminal
KR100724873B1 (en) Portable terminal with hinge apparatus
KR100883451B1 (en) Multi mode structure
KR100651538B1 (en) Portable terminal
KR100650862B1 (en) Swing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790169B1 (en) Swing hinge apparatus for portable terminal
KR101058737B1 (en) Hinge device for sliding / swing type mobi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