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615B1 - 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 - Google Patents

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615B1
KR100629615B1 KR1020040108580A KR20040108580A KR100629615B1 KR 100629615 B1 KR100629615 B1 KR 100629615B1 KR 1020040108580 A KR1020040108580 A KR 1020040108580A KR 20040108580 A KR20040108580 A KR 20040108580A KR 100629615 B1 KR100629615 B1 KR 100629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shaft
base
bicycle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858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113119A (en
Inventor
민영희
Original Assignee
민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영희 filed Critical 민영희
Publication of KR20050113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31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6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3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otary cranks, e.g. with pedal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bevel gear whe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3/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 F16H3/2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with gears shiftable only axially
    • F16H3/3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exclusively or essentially using gears that can be moved out of gear with gears shiftable only axially with driving and driven shafts not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주행수단,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위치결정수단을 구비하여 다양한 페달링을 구현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driving a chainless bicycle, and includes a driving means capable of driving the bicycle forward by pedaling in a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 a step climbing pedaling means, and a pedal positioning means, so that various pedaling can be implemented. .

정방향, 역방향, 계단오름페달링수단, 페달위치결정수단, 주행수단Forward direction, reverse direction, uphill pedaling means, pedal positioning means, traveling means

Description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체 사시도,1A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는 도 1의 전방주행장치의 상세도.Figure 1b is a detailed view of the front driving device of FIG.

도 2는, 전방주행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페달링 모드들을 예시한 도면,FIG. 2 illustrates pedaling modes that may be implemented by the forward driving means, FIG.

도 3은 캥거루 스트로크를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예시한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nother embodiment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capable of performing a kangaroo stroke.

도 4는 페달에 구비되는 발걸이수단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4a는 발걸이수단의 도립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b는 발걸이수단의 기립상태를 도시한 도면,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ootrest means provided in the pedal, Figure 4a is a view showing an inverted state of the footrest means, Figure 4b is a view showing a standing state of the footrest means,

도 5는 캥거루 스트로크에 연관하여 실시될 수 있는 페달링 모드들을 예시한 도면,5 illustrates pedaling modes that may be performed in association with a kangaroo stroke;

도 6은 페달축의 좌측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단면도,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in detail the components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pedal shaft,

도 7은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는 페달링 모드들을 예시한 도면,7 illustrates pedaling modes that may be implemented by a stair climbing pedaling means and a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도 8은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을 페달축과 연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uphill pedaling means and the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in association with the pedal shaft;

도 9는 위치결정디스크에 형성된 수납공간부들을 도시한 사시도,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orage spaces formed in the positioning disk;

도 10은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을 내측에서 본 분해사 시도,10 is an exploded view of the stair climbing pedaling means and the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viewed from the inside;

도 11은 도 10의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을 도시한 일부결합 분해사시도,FIG. 11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scending pedaling means and the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of FIG. 10; FIG.

도 12는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의 단면도.Fig. 12 is a sectional view of the step climbing pedaling means and the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본 발명은, 무체인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다양한 모드의 페달링을 구현할 수 있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nless bicycle, and to a driving apparatus of a chainless bicycle capable of implementing pedaling in various modes.

사이클링은 뛰어난 운동이다. 적당한 사이클링은, 다리의 근육에 다량의 혈액을 공급해 심박수를 증대시킨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신체의 건강에 좋다. 또, 조깅과 같이 다리부에 항상 충격이 더해질 것도 없다.Cycling is an excellent exercise. Moderate cycling is generally good for your body's health in that it increases your heart rate by supplying large amounts of blood to your leg muscles. Also, jogging doesn't always add impact to your legs.

이후 설명에서, 전방으로 주행시 자건거의 전륜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은 정방향 그리고 그 역방향은 역방향으로 기재될 것이며, 자전거의 여러가지 구성요소의 회전 방향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서 설명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ame direction as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of the bicycle when driving forward will be described as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verse direction as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various components of the bicycle will be described as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현재 사용되고 있는 통상적인 자전거들 중에는 정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전방으로 주행가능할 뿐만 아니라 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서도 전방으로 주행가능한 자건거는 미국특허 제5,918,894호의 체인식 자전거가 개시되어 있으나, 아직까지 무체인 자전거는 개시되어 있지 않다.Among the bicycles currently in use, the bicycle which can be driven forward by pedaling in the forward direction as well as in the forward direction by pedaling in the reverse direction is disclosed in US Pat. No. 5,918,894. Is not disclosed.

본 발명은,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주행수단을 구비한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driving an autonomous bicycle having a traveling means capable of driving the bicycle forward by pedal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본 발명은 상기 목적에 더하여,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주행수단의 구성요소들을 자전거의 후륜축의 우측 및 페달축 우측에 배치하고,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위치결정수단의 구성요소들을 자전거의 페달축 좌측 및 좌측 페달아암에 배치함으로써, 다양한 모드의 페달링을 자전거 운전자가 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rrange the components of the traveling means capable of driving the bicycle forward by pedal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wheel shaft and the right side of the pedal shaft of the bicycle, the stepped pedaling means and pedal positioning By providing the components of the means to the pedal shaft left and left pedal arms of the bicycl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riving apparatus for a chainless bicycle, which enables the bicycle driver to easily perform various modes of pedaling without having to spread a lot of legs. do.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페달축의 구동력을 연결축을 경우하여 전달받아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한쌍의 프리베벨기어, 한쌍의 프리베벨기어들의 정방향회전시에만 맞물려 후륜허브에 정방향 동력을 전달하는 2개의 일방향클러치를 포함하는 정방향주행수단을 구비하고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apparatus for driving a chainless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re-bevel gears and a pair of pre-bevel gears that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by receiving a driving force of a pedal shaft in the case of a connecting shaft. It is provided with a forward driving means including two one-way clutches that mesh only with and transmit forward power to the rear wheel hub.

본 발명은 상기 구성에 더하여,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주행수단의 구성요소들이 자전거의 후륜축의 우측 및 페달축 우측에 배치되어 있고, 계단오름페달링수단 및 페달위치결정수단의 구성요소들이 자전거의 페달축 좌측 및 좌측 페달아암에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components of the traveling means capable of driving the bicycle forward by pedal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are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axle shaft and the right side of the pedal shaft of the bicycle, and the stepped pedaling means and the pedal position. The components of the determining means are arranged on the left and left pedal arms of the pedal shaft of the bicyc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전거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가, 페달축(6) 좌측 및 좌측 페달아암(4)에, 계단오름페달링수단(100) 및 페달(2, 3)들 간의 상대위치를 선택적으로 위치결정시킬 수 있는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200)을 구비하고 그리고 상기 자전거의 후륜축(380)의 우측 및 페달축 우측에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전방주행수단(300)을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In Fig. 1, the chainless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lectively positions the relative position between the stepped pedaling means 100 and the pedals 2 and 3 on the left and left pedal arms 4 of the pedal shaft 6. A forward traveling means 300 having a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200 capable of driving and capable of driving the bicycle forward by pedaling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wheel shaft 380 and the right side of the pedal shaft of the bicycle. Is shown.

좌측페달(2)과 우측페달(3)은, 종래와 같이, 각각 페달아암(4, 5)을 개입시켜 페달축(6)에 장착되어 있다. 도시되지 않은 전륜 및 후륜은 종래의 자전거와 같이 전륜허브 및 후륜허브에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장착되어 있고, 후륜허브(385)는 도시되어 있지만 부호로서 지시되지 않은 베어링들을 개재시켜 후륜축(380)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The left pedal 2 and the right pedal 3 are attached to the pedal shaft 6 via the pedal arms 4 and 5 as usual, respectively. The front wheel and the rear wheel (not shown) are fixedly externally mounted to the front wheel hub and the rear wheel hub, respectively, as in a conventional bicycle, and the rear wheel hub 385 is provided with rear wheel shafts 380 via bearings, which are shown but not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It is circumferentially rotatable with respect to

상기 전방주행수단(300)은 상기 페달축(6)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페달축하우징(310), 상기 후륜축(380)을 도시되지 않은 차체의 프레임과 함께 고정적으로 지지하고 있는 후륜축하우징(390), 그리고 상기 후륜축하우징(390)과 상기 페달축하우징(310)에 양단이 접속되어 연결축(350)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는 연결축하우징(360)을 포함하고 있다.The front driving means 300 is a pedal shaft housing 310 rotatably supporting the pedal shaft 6, the rear wheel shaft fixedly supporting the rear wheel shaft 380 together with the frame of the vehicle body not shown Both ends of the housing 390 and the rear axle housing 390 and the pedal shaft housing 3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include a connecting shaft housing 360 that rotatably supports the connecting shaft 350.

상기 페달하우징(310)은 상기 페달축(6)의 우측단부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페달축베벨기어(311)와 상기 페달축베벨기어(311)와 맞물리는 피니언베벨기어(312)를 수용하고 있다.The pedal housing 310 accommodates a pedal shaft bevel gear 311 fixedly circumscribed at the right end of the pedal shaft 6 and a pinion bevel gear 312 engaged with the pedal shaft bevel gear 311. .

상기 피니언베벨기어(312)는 일단에 연결축베벨기어(313)를 고정적으로 외접시켜 가지고 있는 상기 연결축(350)의 타단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 The pinion bevel gear 312 is fixedly circumscribed at the other end of the connecting shaft 350, which has a fixed external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shaft bevel gear 313 at one end.

상기 후륜축하우징(390) 내에는 후륜을 정방향으로만 운동시키는 정방향구동기구(330)가 구비되어 있다.The rear wheel shaft housing 390 is provided with a forward drive mechanism 330 for moving the rear wheels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상기 정방향구동기구(330)은 상기 연결축베벨기어(313)의 양측에 배치되어 맞물리는 한쌍의 프리베벨기어(331, 332); 후륜허브(385)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한쌍의 프리베벨기어들중 후륜허브측에 배치된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1)에 외접되어 정방향으로만 프리베벨기어(331)에 맞물려 정방향으로만 프리베벨기어(331)와 함께 회전되는 공지의 제 1일방향클러치(334); 상기 한쌍의 프리베벨기어들중 다른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2)에 외접되어 정방향으로만 상기 프리베벨기어(332)에 맞물려 정방향으로만 프리베벨기어(332)와 함께 회전되는 공지의 제 2일방향클러치(335); 그리고 일단이 상기 후륜허브(385)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제 2일방향클러치(335)에 고정적으로 내접되어 있고, 상기 후륜축(380)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 상기 한쌍의 프리베벨기어(331, 332)에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는 기어축(333)을 포함하고 있다.The forward drive mechanism 330 is a pair of pre-bevel gears (331, 332) ar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onnecting shaft bevel gear (313) for engagement; It is fixedly inscribed to the rear wheel hub 385 and is external to the one prebevel gear 331 disposed on the rear wheel hub side of the pair of prebevel gears and meshes with the prebevel gear 331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to the forward direction. A known first one-way clutch 334 rotated together with the only pre-bevel gear 331; The second known one-way direction which is circumscribed to the other one of the pair of pre-bevel gears and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pre-bevel gear 332 only in the forward direction by engaging the pre-bevel gear 332 in the forward direction only. Clutch 335; One end is fixedly inscribed to the rear wheel hub 385, the other end is fixedly inscribed to the second one-way clutch 335, and is rotatably external to the rear wheel shaft 380. A gear shaft 333 is rotatably inscribed in the pre-bevel gears 331 and 332.

또한, 상기 제 2일방향클러치(335)는 상기 프리베벨기어(332)에도 회전가능하게 내접되어 있고, 상기 후륜축하우징(39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one-way clutch 335 is rotatably inscribed in the pre-bevel gear 332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ar wheel shaft housing 390.

이와 같이 구성된 정방향 구동기구(330)는 정방향의 페달링 또는 역방향의 페달링에 의해, 한쌍의 프리베벨기어(331, 332)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프리베벨기어(331, 332)중 어느 하나의 프리베벨기어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게 되면, 후륜허브(385)에 정방향 구동력을 전단시켜, 상기 후륜허브(385)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후륜이 정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In the forward driving mechanism 33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pair of pre-bevel gears 331 and 332 are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forward pedaling or the reverse pedaling. Thus, the pair of pre-bevel gears 331, Which one of the pre-bevel gears When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forward driving force is sheared on the rear wheel hub 385, and the rear wheel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rear wheel hub 385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한쌍의 프리베벨기어(331, 332)에서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1)가 정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2)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다른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2)는 제 2일방향클러치(335)에 맞물림없이 상기 기어축(333)과 상기 제 2일방향클러치(335) 상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1)은 상기 기어축(333) 상에서 정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제 1일방향클러치(334)와 맞물림되어 상기 제 1일방향클러치(334)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 1일방향클러치(334)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후륜허브(385)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게 되어, 결국 정방향으로 후륜을 구동시킨다.In detail, when one of the pair of pre-bevel gears 331 and 332 rotates one pre-bevel gear 331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other pre-bevel gear 332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other One pre-bevel gear 332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n the gear shaft 333 and the second one-way clutch 335 without engaging the second one-way clutch 335, one pre-bevel gear 331 is The rear wheel hub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first one-way clutch 334 is engaged with the first one-way clutch 334 while being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on the gear shaft 333 to drive the first one-way clutch 334 in the forward direction. 385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which in turn drives the rear wheels in the forward direction.

또한, 상기 한쌍의 프리베벨기어(331, 332)에서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1)가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다른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2)가 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에,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1)는 제 1일방향클러치(334)에 맞물림없이 상기 기어축(333) 상에서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다른 하나의 프리베벨기어(332)는 제 2일방향클러치(335)와 맞물림되어 상기 제 2일방향클러치(335)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상기 제 2일방향클러치(335)에 고정적으로 내접된 기어축(333)을 정방향으로 구동시키고, 이 기어축(333)에 고정적으로 외접된 후륜허브(385)가 정방향으로 구동되게 되어, 결국 정방향으로 후륜을 구동시킨다.In addition, when one pre-bevel gear 33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nd the other pre-bevel gear 33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in the pair of pre-bevel gears 331, 332, one pre-bevel gear 331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n the gear shaft 333 without engaging the first one-way clutch 334, the other pre-bevel gear 332 is engaged with the second one-way clutch 335 is the second The one-way clutch 335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gear shaft 333 fixedly inscribed to the second one-way clutch 335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rear wheel hub 385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gear shaft 333. )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which in turn drives the rear wheels.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자전거의 승객은 정역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도 페달을 밟을 수가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페달을 밟을 수가 있는 페달링 모드는 정방향 페달링, 역방향페달링, 좌측 가위지르기 페달링, 및 우측 가위지르기 페달링이다(도 2참조). With this configuration, the passenger of the bicycle can pedal in any of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he pedaling modes that can be pedaled by this configuration are forward pedaling, reverse pedaling, left scissor pedaling, and right scissor pedaling (see FIG. 2).

캥거루 스트로크Kangaroo stroke

상기 실시예에서 페달아암(4, 5)의 위치만, 상이하고 나머지의 구성은 동일하다.In the above embodiment, only the positions of the pedal arms 4 and 5 are different and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아암(4, 5)은 서로 평행이고, 모두 자전거 상방을 향하고 있다. 페달아암(4, 5)은 각각 페달축(6)에 고정되어 있다.As shown in Fig. 3, the pedal arms 4 and 5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both face upwards of the bicycle. Pedal arms 4 and 5 are fixed to pedal shaft 6, respectively.

본 실시예에서는 자전거의 승객의 구두가 페달(2, 3)에 확고히 고정되어야 하지만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자전거의 승객의 구두를 페달에 고정시키는 구성의 실시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n this embodiment, the shoe of the passenger of the bicycle should be firmly fixed to the pedals 2, 3 but should be able to be easily released. An embodiment of a configuration in which a shoe of a passenger of the bicycle is fixed to a pedal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에는 하나의 페달에 구비된 발걸이수단이 도시되어 있다.Figure 4 shows the footrest means provided on one pedal.

이 발걸이수단(400)은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아암(4 또는 5)의 선단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축(4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체적으로 장방형인 페달베이스(402)를 구비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foot rest means 400 is rotatably mounted to a fixed shaft 401 protruding outwardly with one end fixedly mounted to the tip of the pedal arm 4 or 5. The rectangular pedal base 402 is provided as a whole.

상기 발걸이수단(400)은 상기 페달베이스(402)의 4개의 테두리면들중 이후에 설명될 스트랩(420)이 배치될 테두리면을 제외한 테두리면을 에워싸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서 일측부가 상기 고정축(401)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타측부가 페달베이스(402)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고정축(403)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상기 고정축(401, 403)들에 의해 지지된 무거운 재질(예들 들면 강철)의 발걸이베이스(410)를 포함하고 있다.The footrest means 400 has a size and a shape surrounding an edge surface of the four edge surfaces of the pedal base 402 except for the edge surface on which the strap 420 to be described later is disposed, and the fixed shaft ( Heavy material that is rotatably penetrated through the 401 and the other side is rotatably penetrated through the fixed shaft 403 fixedly mounted to the pedal base 402 and supported by the fixed shafts 401 and 403. A footrest base 410 of steel, for example.

여기에서, 상기 고정축(403)에는 스프링(403a)이 외접되어 있고, 상기 코일스프링(403a)은 일단이 상기 페달베이스(402)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발걸 이베이스(410)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스트랩(420)과 상기 발걸이베이스(410)가 역페달링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40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페달베이스(402)의 바깥측 측벽에는 상기 스트랩(420)과 상기 발걸이베이스(410)의 역페달링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을 제한하여, 상기 발걸이베이스(410) 및 스트랩(420)이 도립자세에서 기립자세로 그리고 기립자세에서 도립자세로만 운동하도록 상기 발걸이베이스(410)의 상기 타측부의 운동을 제한하는 정지턱부(404)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Here, a spring 403a is circumscribed to the fixed shaft 403, one end of the coil spring 403a is fixed to the pedal base 402,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ootrest base 410. In this state, the strap 420 and the footrest base 410 rotate about the fixed shaft 403 in the reverse pedaling direction. In addition, the footrest base 410 and the strap 420 are inverted by limi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trap 420 and the footrest base 410 in the reverse pedaling direction on the outer sidewall of the pedal base 402. The stop jaw portion 404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other side of the footrest base 410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so as to move in the standing posture in the posture and only the inverted posture in the standing posture.

상기 발걸이수단(400)은 고정축(401)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에 암수결합에 의해 일단이 장착되어 있고,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에 페달링 운동에 관계가 없는 방향으로(본 도면에서는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시에서 볼 때 후륜측 방향으로) 신속하게 결합해제가능하게 타단이 장착되어 있고, 그 중앙에서 공지의 길이가변수단(425)에 의해 그 전체길이가 가변되어 페달을 밟은 발의 크기에 따라 그 길이를 맞출 수 있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트랩(420)을 포함하고 있다.The footrest means 400 has one end mounted on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base 410 of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1 is penetrated by male and female, and the footrest base 410 of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penetrates. The other end is mounted in the direction irrespective of the pedaling movement (in this figure in the direction of the rear wheel when viewed from the standing of the footrest base 410), and the other end is mounted so that it can be disengaged quickly, and the known length is changed at the center thereof. The overall length is varied by the means 425 and includes a strap 420 made of plastic tha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foot on which the pedal is pressed.

여기에서, 상기 스트랩(420)의 타단에 대하여 상기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이 도 4에서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시에서 볼 때 후륜측 방향으로 신속하게 결합해제되게 하는 수단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 the tip of the foot base 410 on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penetrates with respect to the other end of the strap 420 is quick in the rear wheel side direction when viewed from the standing of the foot base 410 in FIG. 4. For example, the means for disengaging is as follows.

상기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은 도 4에서는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시에서 볼 때 후륜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그 반대방향 으로는 막혀있는 수납부(4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납부(411)에 바깥측 외벽부(411a)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412)에 고정되어 압박을 받는 원통형부(413)가 상기 수납부(411)의 바깥측 벽부에 형성된 관통구멍(414)에 개재되어 수납부(411)의 내부공간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스트랩(420)의 타단이 상기 수납부(411)의 내부공간과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고 있어서, 상기 스트랩(420)의 타단이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시에서 볼 때 후륜측 방향으로 상기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에 대하여 용이하게 신속하게 결합해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신속하게 해제하는 수단은 페달의 바깥방향으로의 작용힘에 의해서만 그 결합이 해제될 수 있는 공지의 스냅 록 수단도 가능하다.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base 410 of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penetrates is opened in the rear wheel side direction when the footrest base 410 stands in FIG. 4 and the receiving part is blocked in the opposite direction ( 411 is formed,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13 which is fixed to the leaf spring 412 which is fixed to the outer outer wall portion 411a by the fastening means to the housing portion 411 is pressed by the housing portion ( Interposed in the through-hole 414 formed in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411 protrudes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411, and the other end of the strap 420 corresponds to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portion 411 It has a shape and size, and the other end of the strap 420 with respect to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base 410 of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penetrated in the rear wheel side as seen from the standing of the footrest base 410. It can be easily disengaged quickly. Such a quick release means is also possible with known snap lock means in which the engagement can be released only by the outward action of the pedal.

또한, 상기 발걸이수단(400)은 상기 페달베이스(402)에 형성된 소정의 공동부(S)에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정의 공동부(S)를 구획형성하는 페달베이스(402)의 외측벽을 관통하여서 상기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상기 발걸이베이스(410)에 형성된 오목홈(405)에 걸음될 수 있는 발걸이베이스도립유지수단(430)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발걸이베이스도립유지수단(430)은 원통형부(431), 상기 원통형부(431)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공동부(S)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하나의 측벽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하나의 측벽과 상기 원통형부(431)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33)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제 1로드부(432), 상기 원통형부(431)의 타측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공동부(S)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측벽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타단 의 돌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제한편(4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 2로드부(434), 그리고 상기 원통형부(431)의 중공부에 개재된 스프링(436)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형부(431)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돌출되어 상하로 탄성적으로 출몰될 수 있는 돌출편(43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로드부(434)의 선단은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상태에서 도립상태로의 전환시 상기 오목홈(405)을 구획형성하는 테두리부에 캠식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 2로드부(434)가 후퇴하여 상기 오목홈(405)으로부터 상기 제 2로드부(434)의 선단이 이탈되게 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 캠면(434a)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the footrest means 400 is an outer wall of the pedal base 402 to elastically protrude to the predetermined cavity (S) formed in the pedal base 402 to partition the predetermined cavity (S). It includes a foot-base inverted holding means 430 that can be walked through the concave groove 405 formed in the foot-base 410 of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penetrated. The foot-base inverted holding means 430 is a cylindrical portion 431,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1, the other end is one side wall that defines the cavity (S)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first rod portion 432, the cylindrical portion 431 extending through the spring 433 interposed between the one side wall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31 through the protrusion The second end of which protrudes through the other side wall that defines the cavity S, and the protrusion limiting piece 436 for limi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other end is integrally formed. Through the rod portion 434, and the spring 436 interpos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1 penetrates the cylindrical portion 431 up and down and protrudes up and down to elastically move up and down The protrusion piece 435 is included. In addition, the tip of the second rod portion 434 is cam-contacted to the edge portion that defines the concave groove 405 when switching from the standing state of the footrest base 410 to the inverted state, the second rod portion 434 has a cam surface 434a having a shape and size that allows the tip of the second rod portion 434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ave groove 405.

이와 같은 발걸이수단(400)에 의하면, 자전거의 운전자는 발걸이베이스(410)의 도립상태에서 돌출편(435)을 페달아암(4, 5) 측을 향하여 발로 밀어서, 상기 제 2로드부(434)를 상기 오목홈(405)으로부터 이탈시키면, 발걸이베이스(410)가 고정축(403)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발걸이베이스(410)가 스프링(403a)이 힘에 의해 기립상태로 전환되면서 상기 정지턱부(404)와 상기 스프링(403a)의 조력에 의해 그 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고, 그리고 자건거의 운전자는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상태에서 발걸이베이스(410)에 결합된 스트랩(420)을 발로 전륜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발걸이베이스(410)가 고정축(403)을 중심으로 선회하여 발걸이베이스(410)가 스프링(430A)의 힘에 저항하면서 도립상태로 전환되게 되고, 이 때 후퇴된 상기 제 2로드부(434)가 다시 스프링(433)의 가압력에 의해 전진되어서, 그 선단부가 상기 발걸이베이스(410)의 오목홈(405)에 삽입되게 되어, 그 도립상태가 유지되게 되며, 따라서 자건거의 운전자는 돌출편(435)을 누르고 있는 상태에서 페달을 밟게 되면, 안정적으로 페달베이스의 기립상태 또는 도립상태에서 페달링을 수행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foot restraint means 400, the driver of the bicycle pushes the protruding piece 435 toward the pedal arms 4 and 5 in the inverted state of the foot rest base 410, and thus the second rod part 434. When the step away from the concave groove 405, the footrest base 410 pivots around the fixed shaft 403, the footrest base 410 is the spring 403a is switched to the standing state by the force while the stop jaw por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standing state by the help of the 404 and the spring (403a), and the driver of the self-resting foot kicks the strap 420 coupled to the footrest base 410 in the standing state of the footrest base 410. When pressurized toward the front wheel side, the footrest base 410 pivots about the fixed shaft 403 so that the footrest base 410 is converted to an inverted state while resisting the force of the spring 430A, wherein the retracted base The second rod portion 434 again presses the spring 433 Advanced by the tip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405 of the footrest base 410, so that the inverted state is maintained, so that the driver of the bicycle is to press the pedal while pressing the protruding piece 435. If so, the pedaling can be stably performed in the standing state or inverted state of the pedal base.

자전거의 운전자는 상기 발걸이수단(400)의 조력에 의해 페달(2, 3)을 동시에 눌러 내리고, 또 페달(2, 3)을 동시에 밀어 올릴 수 있다. 정방향 캥거루 페달링 및 역방향 캥거루 페달링에 의해 후륜에 동력이 전달된다. 특히, 자전거의 승객이 페달(2, 3)을 정방향으로 밟으면, 페달아암(4, 5)에 고정되어 있는 페달축(6)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페달축(6)의 정방향 회전에 의해 후륜(10)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자전거 운전자가 페달(2, 3)을 역방향으로 밟으면, 페달축(6)은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페달축(6)의 역방향 회전에 의해 후륜(10)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The driver of the bicycle can push down the pedals 2 and 3 at the same time by the help of the footrest means 400, and push up the pedals 2 and 3 at the same time. Power is transmitted to the rear wheels by forward kangaroo pedaling and reverse kangaroo pedaling. In particular, when the passenger of the bicycle presses the pedals 2 and 3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pedal shaft 6 fixed to the pedal arms 4 and 5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ar wheels 10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forward rotation of the pedal shaft 6. When the cyclist presses the pedals 2 and 3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pedal shaft 6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rear wheel 1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pedal shaft 6.

본 실시예에 의하여 자전거 운전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방향 캥커루페달링, 역방향 캥거루 페달링, 요동하향 페달링과 같은 모드에 의해 자전거의 페달링이 가능하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icycle driver can pedal the bicycle by modes such as forward kangaroo pedaling, reverse kangaroo pedaling, and rocking downward pedaling as shown in FIG. 5.

계단오름Stairs

도 1 및 도 6은, 페달축(6) 우측에 배치된 도 1의 상기 전방주행수단(300)의 구성과 함께 작동하여, 상기 페달(2, 3)을 동시에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페달을 교호왕복운동시킬 때, 자전거를 전진시킬 수 있는 계단오름페달링수단(100)에 대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1 and 6 operate together with the configuration of the forward traveling means 300 of FIG. 1 disposed on the right side of the pedal shaft 6,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pedals 2, 3 in reverse with respect to each other,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stair climbing pedaling means 100 capable of advancing a bicycle when the pedal is alternately reciprocated is shown.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계단오름페달링수단(100)이 추가되도록 페달축(6)은 좌측방향으로 어댑터로서 확장되어 있다. 이 페달축(6)의 좌측에 추가되는 부품은 2개의 스프로킷(32, 34)이고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추가되는 부품은 2개의 아이들 롤러(40, 41)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pedal shaft 6 extends as an adapter in the left direction so that the stair climbing pedaling means 100 is added. Parts added to the left side of the pedal shaft 6 are two sprockets 32 and 34 and parts added to a frame not shown are two idle rollers 40 and 41.

상기 아이들롤러(40, 41)는 하나의 엔드리스 체인(35)을 통하여 상기 2개의 스프로킷(32, 34)과 연동되어 있다. 이 아이들롤러(40, 41)는 도시되지 않은 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설치된 베어링(44, 45)내에서 회전하는 상하로 배치된 역전축(42, 43)상을 각각 회전한다. 상기 스프로킷(32)은 페달축(6)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스프로킷(34)은 베어링(36)상에서 페달축(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The idle rollers 40, 41 are interlocked with the two sprockets 32, 34 via one endless chain 35. These idle rollers 40 and 41 rotate on top and bottom reverse shafts 42 and 43 respectively rotated in bearings 44 and 45 provide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a frame (not shown). The sprocket 32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pedal shaft 6 and the sprocket 34 freely rotates about the pedal shaft 6 on the bearing 36.

또한, 상기 엔드리스 체인(35)은, 스프로킷(32)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 아이들롤러(40)의 하부 및 상부를 거쳐, 스프로킷(34)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서, 상기 하부 아이들롤러(41)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스프로킷(32)의 하부 및 상부로 되돌아오는 순으로 스프로킷(32, 34), 아이들롤러(40, 41)에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에 의해 스프로킷(32)과 스프로킷(34)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In addition, the endless chain 35,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procket 32, through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upper idle roller 40, an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rocket 34, the lower idle roller 41. It is wound around the sprockets 32 and 34 and the idle rollers 40 and 41 in order of returning to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sprocket 32 through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of the. In this manner, the sprocket 32 and the sprocket 34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by the configuration.

또, 좌측 페달아암(4)은, 베어링(47)상에서 페달축(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스프로킷(32, 34)이 본 실시예에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페달(2, 3)은 서로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회전시키지 않아도 어느 하나의 페달만 밟아도 다른 하나의 페달이 상기 페달 밟은 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스프로킷(32)이 스프로킷(34)에 상기 하나의 엔드리스체인(35)을 경유하여 연동되어 있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로킷(34)이 걸음편(38)에 의해 상기 페달아암(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우측페달(3)은 페달축(6)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는 한편, 좌측페달(2)은 페달축(6)의 회전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Further, the left pedal arm 4 rotates freely with respect to the pedal shaft 6 on the bearing 47. Since the sprockets 32 and 34 which rotate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pedals 2 and 3 do not rotate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each other, but the other pedal can be stepped on the pedals. It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tepped direction. The sprocket 32 is linked to the sprocket 34 via the one endless chain 35, and as shown in FIG. 6, the sprocket 34 is connected to the pedal arm 4 by the step piece 38. ), The right pedal 3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pedal shaft 6, while the left pedal 2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pedal shaft 6.

상기와 같은 구성된 계단오름페달링수단(100)의 도움을 받아, 자전거는 교호페달왕복스트로크에 의해 전진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다른 다리의 근육에 가세해 둔부 및 대슬건의 근육을 강화시키는 계단오름다리운동을 실시하는데 최적이다.With the help of the stair climbing pedal 10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bicycle can be advanced by alternate pedal reciprocating stroke. This embodiment is most suitable for performing the step climbing exercise to strengthen the muscles of the buttocks and the tendon tendon in addition to the muscles of the other legs.

이 실시예에 의해, 자전거 승객은, 평행교호전방, 평행교호후방, 반달교호하향, 우측반대회전, 좌측반대회전, 전방계단오름, 후방계단오름, 우측쌍방향, 좌측 쌍방향(그림 7 참조)과 같은 모드들로 자전거의 페달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bicycle passengers, such as parallel alternating front, parallel alternating rear, half moon alternating downward, right opposite rotation, left opposite rotation, front stair up, rear stair up, right bidirectional, left bidirectional (see Fig. 7) In these modes, you can pedal your bike.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도 1 및 도 3의 구성에 의해 페달축(6)에 고정된 페달아암(5)의 정역방향 회전으로 도시되지 않은 후륜이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자전거는 전진한다.In detail, the rear wheel, which is not shown in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pedal arm 5 fixed to the pedal shaft 6 by the configuration of FIGS. 1 and 3,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bicycle moves forward.

도 1, 도 3 및 도 6에서 볼 때, 좌측 페달아암(4)이 정방향으로 회전할 때, 좌측 페달아암(4)과 스프로킷(34)을 서로 구동적으로 연결시키는 걸음편(38)을 통하여 좌측 페달아암(4)과 스프로킷(34)도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작에 의해, 스프로킷(32)은 하나의 엔드리스 체인(35) 및 두개의 아이들롤러(40, 41)를 통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프로킷(32)은 페달축(6)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페달축(6)은 스프로킷(32)과 함께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페달아암(4)은 베어링(47)상에서 페달축(6)에 대하여 회전하므로, 페달축(6)은 페달아암(4)과 반대로 회전한다. 페달축(6)의 역방향의 회전에 의해, 프리베벨기어(332)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후륜이 정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1, 3 and 6, when the left pedal arm 4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step piece 38 for driving the left pedal arm 4 and the sprocket 34 to drive each other. The left pedal arm 4 and the sprocket 34 als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By this operation, the sprocket 32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one endless chain 35 and two idle rollers 40 and 41. Since the sprocket 32 is fixed to the pedal shaft 6, the pedal shaft 6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ogether with the sprocket 32. Since the pedal arm 4 rotates about the pedal shaft 6 on the bearing 47, the pedal shaft 6 rotates opposite to the pedal arm 4. By the reverse rotation of the pedal shaft 6, the pre-bevel gear 332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ear wheel is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좌측 페달아암(4)이 역방향으로 회전할 때, 스프로킷(34)도 걸음편(38)을 통하여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동작에 의해, 스프로킷(32)은 상기 하나의 엔드리스 체인(35) 및 2개의 아이들롤러(40, 41)를 통하여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스프로킷(32)은 페달축(6)에 고정되고 있으므로, 페달축(6)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페달축(6)의 정방향의 회전에 의해, 프리베벨기어(33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후륜이 정방향으로 구동되게 된다.When the left pedal arm 4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sprocket 34 also rotates in the reverse direction through the step piece 38. By this operation, the sprocket 32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rough the one endless chain 35 and the two idle rollers 40 and 41. Since the sprocket 32 is fixed to the pedal shaft 6, the pedal shaft 6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rotation of the pedal shaft 6 in the forward direction causes the pre-bevel gear 331 to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rear wheels are driven in the forward direction.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전거 승객은, 페달(2, 3)을 각각을 사용해 교대로 정역방향의 스트로크(계단오름식 페달링)로 자전거를 전진시킬 수가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bicycle passenger can use the pedals 2 and 3 to alternately advance the bicycle in the forward and reverse stroke (stepped pedaling).

페달의 상대 위치Pedal relative position

당업자가 주의해야 할 것은, 상술의 본 발명의 실시예는 모두, 2개의 페달의 회전 방향이 서로 동일해도 역이어도, 2개의 페달은 동일 속도로 회전한다고 하는 것이다. 어느 쪽의 경우여도 상대적인 개시 위치가 중요하다. 이들의 개시 위치는, 페달아암(4, 5)을 페달축(6), 스프로킷(34) 상의 특정의 상대 위치에 고정시키는 것에 의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결정할 수가 있다.It should be no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wo pedals rotate at the same speed even if the rotation directions of the two pedals are the same or vice versa. In either case, the relative starting position is important. These starting positions can be determined in various ways by fixing the pedal arms 4 and 5 to specific relative positions on the pedal shaft 6 and the sprocket 34.

페달 상대 위치 및 페달 상대 회전의 원격 조작 Remote operation of pedal relative position and pedal relative rotation

도로에서 자전거를 타고 있는 동안, 자건거 운전자의 의지로 페달의 상대 위치 및 페달의 상대 회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것은, 도 1, 도 6 및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위치결정수단(200)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페달상대위치결정수단(200)은 위치결정디스크(210), 클러치부(250),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의 소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되는 상기 걸음편(38)을 3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쉬프트장치(2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위 치결정디스크(210)는, 도 6 및 도 8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로킷(3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어 페달축(6)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한다.While cycling on the road, it is desirable to be able to sel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pedals and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pedals at the will of the bicyclist. This is made possible by the pedal positioning means 200 as shown in Figs. 1, 6 and 8-12. The pedal relative positioning means 200 has three steps of the step piece 38, which is selective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sitioning disk 210, the clutch unit 250, and the positioning disk 210. And a shifting device 280 for conveying. 6 and 8 to 12, the positioning disk 210 is fixed to the sprocket 34 is free to rotate on the pedal shaft (6).

상기 클러치부(250)는 페달아암(4)의 기부(4a)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페달아암(4)은 이 클러치(250)를 통하여 페달축(6) 상에서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거나 함께 회전한다. 페달아암(4)을 따르는 걸음편(38)의 움직임은, 페달아암(4)에 장착된 쉬프트장치(28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The clutch unit 250 is provided at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The pedal arm 4 is selectively freely rotated or rotated together on the pedal shaft 6 via the clutch 250. The movement of the step piece 38 along the pedal arm 4 is performed by operating the shifting device 280 attached to the pedal arm 4.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는,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음편(38)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공간부들을 상기 스프로킷(34)에 3개 가지고 있다. 상기 3개의 수납공간부는 상기 페달축(6)의 중심선과 동일한 중심선을 가지고서 방사상의 위치를 달리하고 있고, 그 둘레길이들이 서로 상이하다.6, 8 and 9, the positioning disk 210 has three accommodating space portions in the sprocket 34 into which the step piece 38 can be inserted. The three storage space portions have the same center line as the center line of the pedal shaft 6 and differ in radial positions, and their circumferential length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이를 구체적으로 언급하면, 상기 3개의 수납공간부는 페달축(6)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상 길이가 가장 작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링형상의 제1수납공간부(211), 페달축(6)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상 길이가 가장 큰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걸음편(38)의 크기와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수납공간부(212), 그리고 방사상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공간부(211)와 제2수납공간부(212)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양단부들중 정방향측 있는 하나의 단부 선상에 있는 방사상의 선이 상기 제2수납공간부(212)를 방사상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에 대하여 정방향 페달링 방향으로 약 20도 및 다른 하나의 단부 선상에 있는 방사상의 선이 상기 제2수납공간부(212)를 방사상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에 대하여 역방향 페달링 방향으로 약 35도를 갖는 환형의 제3수납공간부(213)를 포함하고 있 다.Specifically, the three storage spaces are the ring-shaped first storage space 211 and the center line of the pedal shaft 6 which are located at the position with the smallest radi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pedal shaft 6.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is located in the largest radi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tep piece 38, and the first storage in the radial position A radial line located between the space portion 211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and radially dividing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radially bisected on one end line on the forward side of both ends thereof. A radial line on the other end line with about 20 degrees in the forward peda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isector has about 35 degrees in the reverse peda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isector radially bisecting the second storage space 212. Includes an annular third storage space 213.

또한, 상기 스프로킷(34)의 링형상의 뿌리부(214)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선단이 상기 스프로킷(34)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볼(217, 218)을 상기 걸음편(38)측으로 돌출시켜 장착한 상태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제 3수납공간부(213)의 양단부 부근에 각각 위치되게 되는 2개의 평판스프링(S1, S2)을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는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proximal end is fixed to the ring-shaped root portion 214 of the sprocket 34, and the tip ends of the balls 217, 218 toward the step piece 38 through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sprocket 34. The positioning disk 210 includes two flat springs S1 and S2 extending radially outward in the protruded state and positioned near both ends of the third storage space 213. .

상기 클러치부(250)는 베어링(47)을 개재시켜 페달축(6)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페달아암(4)의 기부(4a)에서 페달이 장착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4b)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기부(4a)의 내주부에는 스프링내장케이스(251)가 상기 페달축(6)에 외접되어 상기 기부(4a)와 스플라인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내장케이스(25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편(252)이 상기 스프링내장케이스(251) 및 상기 기부(4a)에 내측에서 맞닿음하여 상기 기부(4a)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베어링(253)을 개재시켜 상기 페달축(6)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다. The clutch portion 250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pedal is mounted on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pedal shaft 6 via a bearing 47. Is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base 4a, a spring built-in case 251 is circumscribed to the pedal shaft 6 and coupled to the base 4a in a spline manner. In addition, the cover piece 252 is in contact with the spring built-in case 251 and the base (4a) to prevent the detachment of the spring built-in case 251 to the fastening means to the base (4a) It is fixed by this and is rotatably external to the said pedal shaft 6 via the bearing 253.

상기 스프링내장케이스(251)는 상기 페달(2)이 장착되는 반대방향 측에 있는 부위에 페달축(6)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90도 절결된 절결부(2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254)를 구획형성하는 양측면에는 스프링(255, 256)들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내장된 보어들(257, 258)이 형성되어 있다. The spring built-in case 251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254 radially c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pedal shaft 6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pedal 2 is mounted. On both sides defining the cutout 254, the springs 255 and 256 protrude to face each other to form embedded bores 257 and 258.

또한, 상기 돌출부(4b)에는 상기 절결부(254)와 유통하는 수납부(25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259)에는 잠금부(260)와 그리고 이 잠금부(26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이 잠금부(260)와 선단이 맞닿음하고 있고 기단이 상기 수납부(259)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유통시키기 위해 돌출부(4b)에 형성된 관통구멍(261)을 통하여 돌출된 로드(262)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protrusion 4b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59 which is in circulation with the cutout portion 254. The accommodating portion 259 has a locking portion 260 and the locking portion 260 up and down. A rod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 261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4b so as to move the lock portion 260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and the base end of the housing portion 259 for distributing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262 is slidably housed.

또한, 상기 잠금부(260)와 상기 로드(26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편(252)에는 이탈방지편(263)이 외주부 일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ocking portion 260 and the rod 262, the separation preventing piece 263 is formed protruding radially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of the cover piece 252.

상기 잠금부(260)는 기단부들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로드(262)의 선단에 안착될 수 있는 시트부(264)가 형성되게 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가지고 있고, 그리고 선단부들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페달축(6)의 외주부에 복수개 형성된 슬릿형 홈(A, B, C, D)들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슬릿형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별개의 2개의 부분(260a, 260b)으로 되어 있다. The locking portion 260 has a size and shape such that the proximal end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eat 264 that can be seated at the tip of the rod 262, and the distal ends cooperate with the pedal shaft ( 6) two separate portions 260a and 260b having a size and a shape that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one slit groove among the plurality of slit grooves A, B, C, and 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thereof. It is.

또한, 상기 관통구멍(261)을 관통하는 상기 로드(262)의 기단은 상기 돌출부(4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축(266)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가압캠(265)에 맞닿음하고 있으며, 이 캠축(266)에는 상기 캠축(266)을 회전시킬 수 있는 L자형 손잡이(267)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다.In addition, the proximal end of the rod 262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261 abuts against the pressure cam 265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cam shaft 266 rotatably mounted to the protrusion 4b. The camshaft 266 is fixedly circumscribed by an L-shaped handle 267 capable of rotating the camshaft 266.

상기 페달축(6)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슬릿형 홈들은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이다. 페달아암(4)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과 동일선상에 있는 대각선상의 양단에 2개의 슬릿형 홈들(A, C)이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페달과 먼 측에 배치된 상기 슬릿형 홈(A)을 중심으로 해서 양측으로 약 35도의 각도를 갖고서 나머지 2개의 슬릿형 홈(B, D)들이 배치되어 있다.The plurality of slit-shaped grooves formed in the pedal shaft 6 are four in this embodiment. Two slit-shaped grooves A and C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diagonal on the same line as the bisector which bisects the pedal arm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lit-shaped groove A disposed on the side far from the pedal. The remaining two slit-shaped grooves B and D are arranged at an angle of about 35 degrees on both sides with the center.

이와 같은 구성된 상기 클러치부(250)는 상기 가압캠(265)이 로드(262)를 가압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페달아암(4)이 자유롭게 페달축(6) 주위를 회전할 수 있게 하고, 그리고 먼저, 가압캠(265)이 가압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페달아암(4)을 돌려서 페달축(6) 주위에 형성된 상기 슬릿형 홈(A 내지 D)들중 어느 하나의 홈에 상기 잠금부(260)의 선단을 맞추어 놓고 나서, 그 다음 가압캠(265)을 작동시켜 로드(262)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잠금부(260)의 선단이 상기 어느 하나의 홈에 삽입되면, 페달아암(4)이 페달축(6)에 대하여 고정되어 페달축(6)과 함께 회전운동할 수 있게 한다.The configured clutch unit 250 allows the pedal arm 4 to rotate freely around the pedal shaft 6 in a state where the pressure cam 265 does not press the rod 262. In the state where the pressurizing cam 265 is not pressurized, the pedal arm 4 is rotated so that the locking portion 26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slit grooves A to D formed around the pedal shaft 6. After aligning the tip, the pressure cam 265 is then operated to press the rod 262 so that the tip of the locking portion 260 is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grooves, and the pedal arm 4 It is fixed relative to the pedal shaft 6 to allow rotational movement with the pedal shaft 6.

따라서, 상기 클러치부(250)는 좌측페달을 상기 슬릿형 홈(A 내지 D)들에 상응하는 위치들에 위치결정될 수 있어, 하기되는 다양한 모드의 페달운동을 가능하게 한다. Accordingly, the clutch unit 250 may be position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lit grooves A to D, allowing the pedal movement of various modes described below.

즉, 상기 걸음편(38)이 상기 제 1수납공간부(211)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클러치부(250)에 의해 좌측페달이 상기 슬릿형 홈(A)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되게 되면, 좌우페달아암(4, 5)이 서로 180도의 각도를 이루게 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역페달링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슬릿형 홈(C)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되어 있으면, 좌우페달아암(4, 5)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정역페달링에 의한 캥거루 페달링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슬릿형 홈(B 또는 D)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되게 되면, 언덕 오름 주행시 좌우측페달중 어느 하나의 페달이 아래방향으로 직립하고 있으며, 다른 하나의 페달이 위방향으로 직립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약 35도 전방 또는 후방으로 경사지게 되어 있어, 도 2에는 도시되어 있 지 않지만, 언덕오름용 정역페달링에 의한 좌측 또는 우측 가위지르기 페달링이 가능하게 되어, 언덕오름 주행을 용이하게 한다.That is, when the step piece 38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rage space 211, when the left pedal is positioned and fixed by the clutch unit 250 in the slit-shaped groove A, When the left and right pedal arms 4 and 5 form an angle of 180 degrees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forward and backward pedaling is possible, and the left and right pedal arms are positioned and fixed in the slit groove C. When (4, 5) is parallel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5, kangaroo pedaling by forward and backward pedaling becomes possible, and is positioned and fixed in the slit-shaped groove (B or D) when driving uphill One of the left and right pedals is upright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the other pedal is inclined forward or backward by about 35 degrees with respect to the upright incline, which is not shown in FIG. In Dragon Pedaling Left or right scissor pedaling is enabled, which facilitates hill climbing.

상기 쉬프트장치(280)는 페달아암(4)의 기부(4a)에 있어서 페달측에 배치되어 페달아암(4)을 따라 3단으로 전지 및 후진할 수 있게 페달아암(4)에 장착되어 있다.The shift device 280 is disposed on the pedal side at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and is mounted to the pedal arm 4 so that the battery can be retracted and retracted in three stages along the pedal arm 4.

이를 위해, 상기 쉬프트장치(280)는 상기 위치결정수단(210)의 소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되는 걸음편(38)과 함께 이동되는 캐리어(290) 그리고 이 캐리어(290)를 3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한다.To this end, the shifting device 280 moves the carrier 290 and the carrier 290 into three stages, which are moved together with the step piece 38 selective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sitioning means 210. A control unit 270 for transferring.

상기 쉬프트장치(280)는 상기 페달아암(4)의 기부(4a) 부근의 상기 페달아암의 일부분(4c)은 상기 쉬프트장치(280)의 캐리어(290)를 미끄럼가능하게 3단으로 이송시기 위해,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 측으로 돌출되어 페달아암(4)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고 윗면 및 바닥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다란 오목홈(81)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편(80)과, 상기 레일편(80)과 등을 지고 있는 페달아암의 일부분(4c)에 상기 캐리어(290)의 상한 및 하한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캐리어(290)를 상기 페달아암(4)의 일부분(4c)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형성된 절결부(82)와를 포함하고 있다.The shift device 280 is a portion 4c of the pedal arm near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to slidably transport the carrier 290 of the shift device 280 in three stages. A rail piece 80 which protrudes toward the positioning disk 210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al arm 4 and has long concave grooves 81 formed in the upper and bottom surfaces there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In order to limit the upper and lower movements of the carrier 290 to the portion 4c of the pedal arm that bears the rail piece 80 and the like, and the carrier 290 is part 4c of the pedal arm 4. And a cutout 82 formed for detachably mounting to the.

또한, 상기 캐리어(290)는 상기 레일편(80)의 오목홈(81)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돌출편(291)이 양 다리부(292, 292)의 내측면에 그 내측면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편(80)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가압스프링(83)을 페달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수납하고 있는 수납홈(84)과 마주하는 홈(293)이 상기 레일편(80)의 선단면과 마주하는 기부(294)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홈(84)과 상기 홈(293)이 협력하여 상기 가압스프링(83)을 가압상태에서 수납하고 있고,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 측을 향한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음편(38)을 지지하는 유지편(295)이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양 측부중 위치결정디스크(210)측에 있는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일측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채널형상부(290a)를 포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carrier 290 has a protruding piece 291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81 of the rail piece 80, the inner surface of both legs (292, 292). Is formed over the entire inner side surface of the inner side surface, and is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ail piece 80 so as to face the receiving groove 84 which protrudes and presses the pressure spring 83 in the pedal side direction. 293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294 facing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ail piece 80, the receiving groove 84 and the groove 293 cooperate to accommodate the pressing spring 83 in a pressurized state And a holding piece 295 for maintaining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leg portions 292 and 292 and supporting the step piece 38 formed by protruding on the surface facing the positioning disk 210 side. Integrally formed at one end of both side portions 292, 292 on the positioning disk 210 side of both sides of the portions 292, 292. A channel shape portion 290a is included.

그리고 상기 캐리어(290)는 상기 채널형상부(290a)를 상기 레일편(80)에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상기 채널형상부(290a)의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양측부중 위치결정디스크(210)측에 반대측에 있는 양 다리부(292, 292)의 타측부 선단에 양단이 도시되지 않은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결합시 상기 절결부(82) 내에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톱편(290b)을 포함하고 있다.The carrier 290 is positioned at both sides of the leg portions 292 and 292 of the channel portion 290a to mount and detach the channel portion 290a to the rail piece 80. Both ends are secured by fastening means (not shown) at the other end of both leg portions 292 and 292 on the opposite side to the disk 210 side, and are slid within the predetermined range within the cutout 82 when engaged. The stop piece 290b arrange | positioned possibly is included.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2개의 다리부(292, 292)들중 하나의 다리부(292)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270)와 마주하는 상기 페달아암(4)의 윗면에 페달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2개의 걸음홈(85, 85)에 선택적으로 걸음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In addition, the controller 270 is detachably mounted to one side of one leg 292 of the two leg portions 292 and 292 of the pedal arm 4 facing the controller 270.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tep on the two step grooves 85 and 85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al arm on the upper surface.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상기 제어부(270)는 채널형상부(290a)의 다리부(292, 292)들중 하나의 다리부(292)에 윗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축받이부(29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선회축(271), 상기 선회축(271)의 일단에 외접되어 상기 선회축(271)과 함께 회전하는 시소바아(272), 상기 선회축(271)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축받이부(296)에 형성된 보어(296a)에 스프링(273)을 개재하여 일단이 삽입되어 있고 타단이 볼형상을 갖고서 상기 보어(296a)에 돌출되어 있는 스톱봉(274), 상기 하나의 다리부(29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270a), 상기 스톱봉(274)의 타단에 형성된 볼형상부(274a)가 탄성적으로 승강 및 하강가능한 상태로 돌출되게 하기 위한 절결부(275)와 그 절결부(275)의 양측의 케이스(270a) 부위에 상기 2개의 걸음홈(83, 85)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갖고서 형성된 관통구멍(276, 276)들, 상기 페달아암(4)에 형성된 상기 2개의 관통구멍(276, 276)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상기 관통구멍(276, 276)들 각각에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하나의 다리부(292)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멍(297, 297),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단차부(278a, 27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이 상기 페달아암(4)에 형성된 걸음홈(85, 85)에 걸음될 수 있게 상기 걸음홈(85, 85)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타단이 상기 단차부(278a, 278a)와 상기 케이스(270a)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279)에 외접되어 상기 케이스(270a)의 관통구멍(276, 276)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중앙부에 상기 시소바아(272)에 걸릴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리프트걸음편(278b, 278b)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래치부(278, 278)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270)는 상기 시소바아(272)를 선회축(27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소바아(272)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기립되어 있는 핸들(H)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핸들(H)은 상기 핸들에 의해 시소바아(272)가 시소운동할 때마다 상기 스톱봉(274)의 볼형상부(274a)와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하여 상기 볼형상부(274a)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미끄럼돌출편을 포함하고 있어서, 자전거 승객이 핸들(H)을 선회시키지 않으면, 항상 시소운동된 시소바아의 위치를 유지되게 한다.The control unit 270 is pivotally mounted to the bearing portion 296 integrally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one leg 292 of the leg portion 292, 292 of the channel-shaped portion 290a integrally formed 271, a see-saw bar 272 that is circumscribed to one end of the pivot shaft 27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pivot shaft 271, and elastically moves up and dow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ivot shaft 271. A stop rod 274 protruding from the bore 296a having one end inserted into the bore 296a formed in the bearing portion 296 via a spring 273 and the other end having a ball shape. A cutout for allowing the case 270a detachably attached to one leg 292 and the ball-shaped portion 274a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 rod 274 to protrude in a state in which it can be lifted and lowered elastically. (275) and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tep grooves (83, 85) in the case (270a)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utout (275). The through holes 276 and 276 formed at intervals, and the through holes 276 and 276 facing each other at the same interval as the gap between the two through holes 276 and 276 formed in the pedal arm 4; Two through holes 297 and 297 formed in the one leg portion 292, and stepped portions 278a and 278a are form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one end is provided on the pedal arm 4. A spring having the same size and shape as the step grooves 85 and 85 and the other end disposed between the step portions 278a and 278a and the case 270a so as to be stepped into the formed step grooves 85 and 85. A lift step piece 278b and 278b that is external to the 279 and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s 276 and 276 of the case 270a and has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caught by the seesaw bar 272 at the center portion. ), Two latch portions 278 and 278 are forme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270 includes a handle (H) which is integrally standing at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esaw bar 272 to seesaw the seesaw bar 272 about the pivot axis 271. The handle H is elastically pressure-contacted with the ball-shaped portion 274a of the stop rod 274 whenever the seesaw bar 272 moves by the handle and rides on the ball-shaped portion 274a. It includes a slippery piece that can be flipped so that the bicycle passenger does not pivot the handle H so that the seesawed position is always maintained.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자전거 승객이 핸들을 “O”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페달축(6) 측에 근접한 래치부(278)가 시소아암(272)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어 스프링(279)의 힘에 의해 그 선단이 페달축(6) 측에 있는 걸음홈(85)에 걸음되게 되고, 페달축(6) 측에서 멀리 배치된 래치부(278)가 시소아암(272)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되어 그 선단이 페달축(6)에서 멀리 배치된 걸음홈(85)에서 걸음해제되게 된다. 이 때, 걸음편(38)은 위치결정디스크(210)의 제 1수납공간부(211)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에서, 클러치부(250)에 있는 잠금부(260)의 선단이 상기 페달축(6)에 형성된 상기 슬릿형 홈(A 내지 D)들 중 어느 하나에 슬릿형 홈에 삽입되어 있으면,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페달링이 가능하게 된다.With this configuration, when the bicycle passenger places the steering wheel at the position of "O", the latch portion 278 proximate to the pedal shaft 6 side releases the pressing force by the seesaw arm 272 to release the spring 279. By the force, the tip is stepped on the step groove 85 on the pedal shaft 6 side, and the pressing force by the seesaw arm 272 acts on the latch portion 278 disposed far from the pedal shaft 6 side. The tip is released from the step groove 85 disposed away from the pedal shaft 6. At this time, the walking piece 38 is inserted into the first storage space 211 of the positioning disk 210. Here, if the tip of the locking portion 260 in the clutch portion 250 is inserted into the slit groove in any one of the slit grooves A to D formed in the pedal shaft 6, Fig. 2 And various pedaling as shown in FIG. 5.

그리고, 자전거 승객이 핸들을 "P"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페달축(6) 측에 근접한 래치부(278)가 시소아암(272)에 의한 가압력이 작용되어 그 선단이 페달축(6)에 근접한 걸음홈(85)에서 걸음해제되게 됨과 동시에, 캐리어(290)가 페달아암(4)의 레일편(80)을 따라 가압스프링(83)에 의해 전진되게 되고, 이어서 페달축(6) 측에서 멀리 배치된 래치부(278)가 시소아암(272)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어 스프링(279)의 힘에 의해 그 래치부의 선단이 페달축(6) 측에서 멀리 배치된 걸음홈(85)에 걸음되게 되게 된다. 이 때, 걸음편(38)은 위치결정디스크(210)의 제 3수납공간 부(213)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에서, 클러치부(250)에 있는 잠금부(260)의 선단이 상기 페달축(6)에 형성된 상기 슬릿형 홈(A 내지 D)들 중 어느 하나의 슬릿형 홈에 도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페달링 중에서 특히, 전방계단오름 및 후방계단오름의 페달링을 용이하게 한다.Then, when the bicycle passenger places the handle at the position of "P", the latching portion 278 near the pedal shaft 6 side acts the pressing force by the seesaw arm 272, and the tip thereof is applied to the pedal shaft 6. At the same time, the carrier 290 is advanced by the pressing spring 83 along the rail piece 80 of the pedal arm 4, and at the pedal shaft 6 side. The latch portion 278 placed far away is released from the pressing force by the seesaw arm 272, and the force of the spring 279 causes the end of the latch portion to walk on the step groove 85 disposed far from the pedal shaft 6 side. Will be. At this time, the walking piece 38 is inserted into the third storage space portion 213 of the positioning disk 210. Here, if the tip of the locking portion 260 in the clutch portion 250 is not inserted into any of the slit grooves of the slit grooves A to D formed in the pedal shaft 6, Among the various pedaling as shown in FIG. 7, in particular, it facilitates the pedaling of the front stairs up and the rear stairs up.

또한, 자전거 승객이 핸들을 다시 "O"의 위치에 위치시키면, 양 래치부(278, 278)의 선단이 상기 양 걸음홈(85, 85)에서 걸음해제됨과 동시에, 캐리어(290)의 스톱편(290b)이 절결부(82)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페달측 측벽에 탄성적으로 부딪칠 때가지 캐리어(290)가 페달아암(4)의 레일편(80)을 따라 가압스프링(83)에 의해 전진되어서, 걸음편(38)이 위치결정디스크(210)의 제 2수납공간부(212)에 삽입되게 된다. 여기에서, 클러치부(250)에 있는 잠금부(260)의 선단이 상기 페달축(6)에 형성된 상기 슬릿형 홈(A 내지 D)들 중 슬릿형 홈(A 내지 D)들중 어느 하나에도 삽입되어 있지 않으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페달링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when the bicycle passenger places the handle back to the position "O", the ends of the latch portions 278 and 278 are released from the step grooves 85 and 85, and at the same time, the stop piece of the carrier 290 The carrier 290 is pushed by the pressing spring 83 along the rail piece 80 of the pedal arm 4 until 290b elastically hits the side wall of the pedal which defines the cutout 82. The advancing piece 38 is inserted into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of the positioning disk 210. Here, the front end of the locking portion 260 in the clutch portion 250 is formed in any one of the slit grooves A to D among the slit grooves A to D formed in the pedal shaft 6. If not inserted, various pedaling as shown in FIG. 7 is possible.

또한, 페달측 측벽에 탄성적으로 캐리어(290)가 부딪칠 때가지 전진된 상태에서, 자전거 승객은 캐리어(290)나 제어부(270)를 발로 페달축을 향하여 가압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걸음편(38)이 상기 3개의 수납공간부(211, 212, 213)들중 어느 하나에 위치시킬 수 있어, 상기된 다양한 페달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Further, in the advanced state until the carrier 290 strikes the pedal side wall elastically, the bicycle passenger presses the carrier 290 or the control unit 270 toward the pedal shaft with the foot, and optionally the step piece 38 ) Can be located in any one of the three storage spaces 211, 212, 213,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above-described various pedaling.

상술의 설명에서는 많은 한정을 실시했지만, 이것들은 본 발명의 범위의 한정된다고 해석해야 하지 않고, 단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있는 것에도 불구하고 많은 다른 실시예를 생각해낼 것이다.Although many limitations were made in the above description, these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re merely illustrative of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devise many other embodiments despit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실시예는 아니고, 법적인 범위인 첨부의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 발명의 범위를 판단해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judged by the appended claims, which are not the examples but the legal scope.

본 발명에 따른 무체인 자전거는 사용자로 하여금 양다리를 많이 벌리지 않고도 사용자의 넙적다리, 장딴지, 하복부 등, 신체의 여러가지 상부 및 측면 근육의 상태를 정돈하기 위해서 폭넓은 운동을 제공하기에 적합하다.The chainless bi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e for providing a wide range of exercise in order to trim the state of various upper and lateral muscles of the body, such as the user's thighs, calf, lower abdomen, without the user wide open both legs.

Claims (14)

삭제delete 좌측페달(2)과 우측페달(3)이 각각 페달아암(4, 5)을 개입시켜 페달축(6)에 장착되어 있고, 전륜 및 후륜이 전륜허브 및 후륜허브에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장착되어 있고, 후륜허브(385)는 베어링들을 개재시켜 후륜축(380)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 측 후륜축(380)의 우및 페달축 우측에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공지의 전방주행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The left pedal 2 and the right pedal 3 are mounted to the pedal shaft 6 via the pedal arms 4 and 5, respectively, and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fixedly externally mounted to the front wheel hub and the rear wheel hub, respectively. The rear wheel hub 385 is circumscribed so as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wheel shaft 380 via bearings, and the bicycle is pedal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the right and the pedal shaft right side of the rear rear wheel shaft 380. In the driving apparatus of a chainless bicycle having a known forward running means 300 that can drive the front of the vehicle, 상기 페달(2, 3) 각각에는 자전거 운전자의 구두를 고정시키는 발걸이수단이 구비되어 있으며,Each of the pedals (2, 3) is provided with a footrest means for fixing the shoes of the bicycle driver, 상기 발걸이수단(400)은 페달아암(4 또는 5)의 선단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장착되어 바깥방향으로 돌출된 고정축(40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전체적으로 장방형인 페달베이스(402),The foot rest means 400 is a generally rectangular pedal base 402 rotatably mounted on a fixed shaft 401 protruding outwardly with one end fixedly mounted to the tip of the pedal arm 4 or 5, 상기 페달베이스(402)의 4개의 테두리면들중 스트랩(420)이 배치될 테두리면을 제외한 테두리면을 에워싸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서 일측부가 상기 고정축(401)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있고, 타측부가 페달베이스(402)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고정축(403)에 회전가능하게 관통되어 상기 고정축(401, 403)들에 의해 지지된 무거운 재질의 발걸이베이스(410),One side of the four edges of the pedal base 402 has a size and shape that surrounds the edge surface except for the edge on which the strap 420 is to be disposed, and one side thereof is rotatably penetrated through the fixed shaft 401. Heavy-duty footrest base 410, the side portion of which is rotatably penetrated by a fixed shaft 403 fixedly mounted to the pedal base 402, supported by the fixed shafts 401, 403, 고정축(401)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에 암수결합에 의해 일단이 장착되어 있고,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에 페달링 운동에 관계가 없는 방향으로 신속하게 결합해제가능하게 타단이 장착되어 있고, 그 중앙에서 공지의 길이가변수단(425)에 의해 그 전체길이가 가변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스트랩(420), 및One en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footrest base 410 on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1 penetrates, and the pedaling movement is related to the tip of the footrest base 410 on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penetrates. A strap 420 made of a plastic material, the other end of which is quickly detachable in a non-direction and whose overall length is changed by a known length variable step 425 at the center thereof, and 상기 페달베이스(402)에 형성된 소정의 공동부(S)에 탄성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소정의 공동부(S)를 구획형성하는 페달베이스(402)의 외측벽을 관통하여서 상기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상기 발걸이베이스(410)에 형성된 오목홈(405)에 걸음될 수 있는 발걸이베이스도립유지수단(430)을 포함하고 있으며,The fixed shaft 403 penetrates through an outer wall of the pedal base 402 which elastically protrudes from the predetermined cavity S formed in the pedal base 402 to define the predetermined cavity S. It comprises a foot base inverted holding means 430 that can be stepped into the concave groove 405 formed in the foot base 410 of the penetrated side, 여기에서, 상기 고정축(403)에는 일단이 상기 페달베이스(402)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발걸이베이스(410)에 고정되어 있는 스프링(403a)이 외접되어 있고, 상기 페달베이스(402)의 바깥측 측벽에는 정지턱부(404)가 바깥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Here, a spring 403a, one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pedal base 402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footrest base 410, is externally connected to the fixed shaft 403, and the pedal base 402 Driving device for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side wall of the stop jaw portion 404 is formed to protrude outward. 제 2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이 발걸이베이스도립유지수단(430)은 The footrest base inverted holding means (430) 원통형부(431), Cylindrical part 431, 상기 원통형부(431)의 일측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공동부(S)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하나의 측벽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상기 하나의 측벽과 상기 원통형부(431) 사이에 개재된 스프링(433)을 관통하여 뻗어 있는 제 1로드부(432),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1, and the other end is protruded through one side wall defining the cavity (S) between the one side wall and the cylindrical portion 431 A first rod portion 432 extending through the spring 433 interposed therebetween, 상기 원통형부(431)의 타측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타단이 상기 공동부(S)를 구획형성하고 있는 다른 하나의 측벽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상기 타단의 돌출량을 제한하기 위한 돌출제한편(436)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제 2로드부(434), 및 One e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1, the other end protrudes through the other side wall that defines the cavity (S), for limiting the amount of protrusion of the other end A second rod portion 434 in which the protruding limiting piece 436 is integrally formed, and 상기 원통형부(431)의 중공부에 개재된 스프링(436)을 관통하여 상기 원통형부(431)를 상하로 관통하여 상하로 돌출되어 탄성적으로 상하로 출몰될 수 있는 돌출편(435)을 포함하고 있으며,Through the spring 436 interpos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cylindrical portion 431 penetrates the cylindrical portion 431 up and down protrudes up and down and includes a protruding piece 435 that can be elastically raised up and down And 상기 제 2로드부(434)의 선단은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상태에서 도립상태로의 전환시 상기 오목홈(405)을 구획형성하는 테두리부에 캠식으로 접촉하여 상기 제 2로드부(434)가 후퇴하여 상기 오목홈(405)으로부터 상기 제 2로드부(434)의 선단이 이탈되게 하는 형상과 크기를 가진 캠면(434a)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tip of the second rod portion 434 is cam-contacted to the edge portion that defines the concave groove 405 when the footrest base 410 transitions from the standing state to the inverted state, and the second rod portion 434. ) Has a cam surface (434a) having a shape and size that allows the tip of the second rod portion (434) to be separated from the concave groove (405) to be retracted.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or 3, 상기 고정축(403)이 관통된 측의 발걸이베이스(410)의 선단은 발걸이베이스(410)의 기립시에서 볼 때 후륜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그 반대방향으로는 막혀있는 수납부(411)가 형성되어 있고, The front end of the footrest base 410 of the side through which the fixed shaft 403 is penetrated is opened in the rear wheel side direction when the footrest base 410 stands up, and an accommodating part 411 which is blocked in the opposite direction is Formed, 상기 수납부(411)에 바깥측 외벽부(411a)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있는 판스프링(412)에 고정되어 압박을 받는 원통형부(413)가 상기 수납부(411)의 바깥측 벽부에 형성된 관통구멍(414)에 개재되어 수납부(411)의 내부공간 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리고 The cylindrical portion 413 which is fixed to the leaf spring 412 fixed to the outer outer wall portion 411a by the fastening means on the outer side wall portion 411a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1 is provided on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1. Interposed in the formed through hole 414 and protruding toward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part 411, and 상기 스트랩(420)의 타단이 상기 수납부(411)의 내부공간과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other end of the strap 420 has a shape and size corresponding to the inner sp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411) drive device of a chainless bike, characterized in that. 좌측페달(2)과 우측페달(3)이 각각 페달아암(4, 5)을 개입시켜 페달축(6)에 장착되어 있고, 전륜 및 후륜이 전륜허브 및 후륜허브에 각각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장착되어 있고, 후륜허브(385)는 베어링들을 개재시켜 후륜축(380)에 대하여 정역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 측 후륜축(380)의 우및 페달축 우측에 정역방향으로의 페달링에 의해 자전거를 전방으로 주행시킬 수 있는 공지의 전방주행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에 있어서,The left pedal 2 and the right pedal 3 are mounted to the pedal shaft 6 via the pedal arms 4 and 5, respectively, and the front and rear wheels are fixedly externally mounted to the front wheel hub and the rear wheel hub, respectively. The rear wheel hub 385 is circumscribed so as to rotate forward and backward with respect to the rear wheel shaft 380 via bearings, and the bicycle is pedaled in the forward and reverse directions to the right and the pedal shaft right side of the rear rear wheel shaft 380. In the driving apparatus of a chainless bicycle having a known forward running means 300 that can drive the front of the vehicle, 페달축 좌측에는 계단오름페달링수단이 배치되어 있으며,On the left side of the pedal shaft is a stair climbing pedaling means, 상기 계단오름페달링수단(100)은 상기 페달축(6)의 좌측에 외접된 2개의 스프로킷(32, 34), 자전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2개의 아이들롤러(40, 41), 및 상기 아이들롤러(40, 41)와 상기 2개의 스프로킷(32, 34)들에 감겨져 있는 하나의 엔드리스 체인(35)을 포함하고 있으며,The stair climbing pedal 100 includes two sprockets 32 and 34 circumscribed to the left of the pedal shaft 6, two idle rollers 40 and 41 rotatably mounted to the bicycle frame, and the idler. A roller 40, 41 and one endless chain 35 wound around the two sprockets 32, 34, 여기에서, 상기 스프로킷(32)은 페달축(6)에 고정적으로 외접되고 상기 스프로킷(34)은 베어링(36)상에서 페달축(6)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하며, Here, the sprocket 32 is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pedal shaft 6 and the sprocket 34 is free to rotate about the pedal shaft 6 on the bearing 36, 상기 엔드리스 체인(35)은, 스프로킷(32)의 상부에서, 상기 상부 아이들롤러40)의 하부 및 상부를 거쳐, 스프로킷(34)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서, 상기 하부 아이들롤러(41)의 상부 및 하부를 거쳐, 스프로킷(32)의 하부 및 상부로 되돌아오는 순으로 스프로킷(32, 34), 아이들롤러(40, 41)에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endless chain 35,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procket 32, passes through the lower and upper portions of the upper idle roller 40, and passes throug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procket 34,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ower idle roller 41. A driving apparatus for a chainless bicycle, which is wound around the sprockets 32 and 34 and the idle rollers 40 and 41 in the order of returning to the low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sprocket 32 via the lower part. 제 2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5, 페달축 좌측 및 좌측 페달아암에는 페달위치결정수단의 구성요소들이 배치되어 있으며,On the left and left pedal arms of the pedal shaft, components of the pedal positioning means are arranged, 상기 페달위치결정수단(200)은 The pedal positioning means 200 상기 스프로킷(34)에 고정적으로 구비되어 페달축(6)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위치결정디스크(210), A positioning disk 210 fixedly provided at the sprocket 34 and freely rotating on the pedal shaft 6, 페달아암(4)의 기부(4a)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아암(4)을 페달축(6) 상에서 선택적으로 자유롭게 회전하게 하거나 함께 회전하게 하는 클러치부(250), 및A clutch portion 250 provided at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to allow the pedal arm 4 to selectively rotate freely on the pedal shaft 6 or to rotate together;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의 소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되는 상기 걸음편(38)을 페달아암(4)을 따라 3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페달아암(4)의 기부(4a)에 있어서 페달측에 배치되어 페달아암(4)에 장착된 쉬프트장치(28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 Pedals in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for transferring the step piece 38, which is selective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sitioning disk 210, along the pedal arm 4 in three stages. And a shift device 280 disposed at the side and mounted to the pedal arm 4.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는, 상기 걸음편(38)이 삽입될 수 있는 수납공간부 들을 상기 스프로킷(34)에 3개 가지고 있고, 상기 3개의 수납공간부는 상기 페달축(6)의 중심선과 동일한 중심선을 가지고서 방사상의 위치를 달리하고 있고, 그 둘레길이들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positioning disk 210 has three accommodating space portions in the sprocket 34 into which the step piece 38 can be inserted, and the three accommodating space portions are formed at the center line of the pedal shaft 6. Driving device of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having the same center line and different radial positions, the circumferential lengths thereof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수납공간부는 페달축(6)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상 길이가 가장 작은 위치에 위치되어 있는 링형상의 제1수납공간부(211), 페달축(6)의 중심선에 대하여 방사상 길이가 가장 큰 위치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걸음편(38)의 크기와 형상에 상응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되어 있는 제2수납공간부(212), 그리고 방사상의 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1수납공간부(211)와 제2수납공간부(212)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양단부들중 정방향방향측 있는 하나의 단부 선상에 있는 방사상의 선이 상기 제2수납공간부(212)를 방사상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에 대하여 정방향 페달링 방향으로 15도 내지 25도 및 다른 하나의 단부 선상에 있는 방사상의 선이 상기 제2수납공간부(212)를 방사상으로 이등분하는 이등분선에 대하여 역방향 페달링 방향으로 상기 15도 내지 25도의 각도보다 크지만, 45도 보다 작은 각도를 갖는 환형의 제3수납공간부(213)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8. The ring-shaped first storage space portion 211 and the center line of the pedal shaft 6,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three storage space portions are located at the position with the smallest radi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center line of the pedal shaft 6.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is located in the largest radial length with respect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step piece 38, and the first storage in the radial position A radial line located between the space portion 211 and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and a radial line on one end line on the forward side of both ends thereof, radially bisects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15 degrees to 25 degrees in the forward peda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isector and the 15 degrees in the reverse pedaling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isector radially bisecting the second storage space portion 212. Is greater than the angle not 25 degrees, 45 degrees, than the drive system of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ncludes a third accommodation space portion 213 of the ring-shaped with a small angle. 제 7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는The positioning disk 210 상기 스프로킷(34)의 링형상의 뿌리부(214)에 기단이 고정되어 있고 그리고 선단이 상기 스프로킷(34)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볼(217, 218)을 상기 걸음편(38)측으로 돌출시켜 장착한 상태에서 방사상 바깥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제 3수납공간부(213)의 양단부 부근에 각각 위치되게 되는 2개의 평판스프링(S1, S2)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proximal end is fixed to the ring-shaped root portion 214 of the sprocket 34 and the tip protrudes toward the stepped piece 38 through the through holes formed in the sprocket 34. Driving device of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two flat springs (S1, S2) extending radially outward in the mounted state, respectively positioned near both ends of the third storage space (213). . 제 6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6, 상기 클러치부(250)는 베어링(47)을 개재시켜 페달축(6)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된 페달아암(4)의 기부(4a)에서 페달이 장착되는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4b)에 구비되어 있고,The clutch portion 250 protrudes in the opposite direction in which the pedal is mounted on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rotatably circumscribed to the pedal shaft 6 via a bearing 47. Equipped with 상기 기부(4a)의 내주부에는 스프링내장케이스(251)가 상기 페달축(6)에 외접되어 상기 기부(4a)와 스플라인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of the base (4a) is a spring built-in case 251 is external to the pedal shaft 6 is coupled to the base 4a in a spline manner, 상기 스프링내장케이스(251)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덮개편(252)이 상기 스프링내장케이스(251) 및 상기 기부(4a)에 내측에서 맞닿음하여 상기 기부(4a)에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어 베어링(253)을 개재시켜 상기 페달축(6)에 회전가능하게 외접되어 있으며,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spring built-in case 251, the cover piece 252 abuts on the inner side to the spring built-in case 251 and the base 4a to be fixed to the base 4a by fastening means. Is rotatably external to the pedal shaft 6 via the bearing 253, 상기 스프링내장케이스(251)는 상기 페달(2)이 장착되는 반대방향 측에 있는 부위에 페달축(6)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90도 절결된 절결부(254)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절결부(254)를 구획형성하는 양측면에는 스프링(255, 256)들이 서로 마주보게 돌출되어 내장된 보어들(257, 258)이 형성되어 있으며,The spring built-in case 251 is formed with a cutout portion 254 radially cut 9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pedal shaft 6 on the opposite side to which the pedal 2 is mounted. On both sides defining the cutout 254, the springs 255 and 256 are project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built-in bores 257 and 258 are formed. 상기 돌출부(4b)에는 상기 절결부(254)와 유통하는 수납부(259)가 형성되어 있고, 이 수납부(259)에는 잠금부(260)와 그리고 이 잠금부(260)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이 잠금부(260)와 선단이 맞닿음하고 있고 기단이 상기 수납부(259)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유통시키기 위해 돌출부(4b)에 형성된 관통구멍(261)을 통하여 돌출된 로드(262)가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The protruding portion 4b is provided with an accommodating portion 259 that passes through the cutout portion 254. The accommodating portion 259 moves the locking portion 260 and the locking portion 260 up and down. The rod 262 protrudes through the through hole 261 formed in the protruding portion 4b so as to contact the lock portion 260 with the front end and the proximal end to distribute the inner space and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259. Is housed in a sliding, 상기 잠금부(260)와 상기 로드(26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덮개편(252)에는 이탈방지편(263)이 외주부 일부에 방사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In order to prevent the lock part 260 and the rod 262 from being separated, the cover piece 252 has a separation preventing piece 263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n a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상기 잠금부(260)는 기단부들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로드(262)의 선단에 안착될 수 있는 시트부(264)가 형성되게 하는 크기와 형상으로 가지고 있고, 그리고 선단부들이 서로 협력하여 상기 페달축(6)의 외주부에 복수개 형성된 슬릿형 홈들중 선택적으로 하나의 슬릿형 홈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는 별개의 2개의 부분(260a, 260b)으로 되어 있으며, 그리고The locking portion 260 has a size and shape such that the proximal ends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form a seat 264 that can be seated at the tip of the rod 262, and the distal ends cooperate with the pedal shaft ( 6, there are two separate portions 260a and 260b having a size and a shape that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one slit groove among a plurality of slit groove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6), and 상기 관통구멍(261)을 관통하는 상기 로드(262)의 기단은 상기 돌출부(4b)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캠축(266)에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가압캠(265)에 맞닿음하고 있으며, 이 캠축(266)에는 상기 캠축(266)을 회전시킬 수 있는 손잡이(267)가 고정적으로 외접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proximal end of the rod 262 penetrating the through hole 261 abuts against the pressure cam 265 fixedly circumscribed to the cam shaft 266 rotatably mounted to the projection 4b. The camshaft (266) is a drive device for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handle (267) that can rotate the camshaft (266) is fixed externally. 제 10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0, 상기 페달축(6)에 형성된 상기 복수개의 슬릿형 홈들은 4개이며The plurality of slit-shaped grooves formed in the pedal shaft 6 is four 여기에서, 2개의 슬릿형 홈들(A, C)은 페달아암(4)을 길이방향으로 이등분하 는 이등분선과 동일선상에 있는 대각선상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Here, the two slit-shaped grooves A and C are disposed at both ends diagonally on the same line as the bisector which bisects the pedal arm 4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나머지 2개의 슬릿형 홈(B, D)들은 페달과 먼 측에 배치된 상기 슬릿형 홈(A)을 중심으로 해서 양측으로 30도 내지 40도의 각도를 갖고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remaining two slit grooves (B, D) are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arranged at an angle of 30 degrees to 40 degrees on both sides with respect to the slit grooves (A) disposed far from the pedal. Drive.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쉬프트장치(280)는 상기 위치결정수단(210)의 소정된 위치에 선택적으로 위치결정되는 걸음편(38)과 함께 이동되는 캐리어(290) 그리고 이 캐리어(290)를 3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제어부(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The shifting device 280 is a carrier 290 which is moved together with the step piece 38 selectively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ositioning means 210 and for transferring the carrier 290 in three stages. Driving device for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control unit (270). 제 1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2, 상기 페달아암(4)의 기부(4a) 부근의 상기 페달아암의 일부분(4c)은, A portion 4c of the pedal arm near the base 4a of the pedal arm 4 is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 측으로 돌출되어 페달아암(4)의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고 윗면 및 바닥면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길다란 오목홈(81)이 형성되어 있는 레일편(80), 및 A rail piece 80 which protrudes toward the positioning disk 210 and ext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al arm 4 and has long concave grooves 81 formed in the upper and bottom surfaces thereof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상기 레일편(80)과 등을 지고 있는 페달아암의 일부분(4c)에 상기 캐리어(290)의 상한 및 하한 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그리고 상기 캐리어(290)를 상기 페달아암(4)의 일부분(4c)에 탈착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해 형성된 절결부(82)를 포함하고 있으며,In order to limit the upper and lower limit movements of the carrier 290 to the portion 4c of the pedal arm that bears the rail piece 80 and the like, and the carrier 290 is part 4c of the pedal arm 4. And a cutout 82 formed for detachably mounting at 상기 캐리어(290)는 The carrier 290 is 상기 레일편(80)의 오목홈(81)에 미끄럼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돌출편(291)이 양 다리부(292, 292)의 내측면에 그 내측면 길이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일편(80)의 선단면에 형성되어 가압스프링(83)을 페달측 방향으로 돌출시켜 수납하고 있는 수납홈(84)과 마주하는 홈(293)이 상기 레일편(80)의 선단면과 마주하는 기부(294)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납홈(84)과 상기 홈(293)이 협력하여 상기 가압스프링(83)을 가압상태에서 수납하고 있고,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간격을 유지시켜주고 상기 위치결정디스크(210) 측을 향한 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걸음편(38)을 지지하는 유지편(295)이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양 측부중 위치결정디스크(210)측에 있는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일측부 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채널형상부(290a)와 그리고Protruding pieces 291 having a size and a shape that can be slidably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s 81 of the rail pieces 80 ar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s of both legs 292 and 29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ir inner surfaces. And a groove 293 formed o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rail piece 80 and facing the accommodation groove 84 that projects and presses the pressure spring 83 in the pedal side direction. It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294) facing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and the receiving groove 84 and the groove 293 cooperate to accommodate the pressing spring 83 in a pressurized state, the both legs ( The holding pieces 295 holding the gaps 292 and 292 and supporting the step pieces 38 formed to protrude on the surface facing the positioning disk 210 are the amounts of the two legs 292 and 292. Channel-shaped portion 290a integrally formed at the tip of one side portion of both leg portions 292 and 292 on the positioning disk 210 side of the side portions. ) And 상기 채널형상부(290a)를 상기 레일편(80)에 장착 및 탈착하기 위해, 상기 채널형상부(290a)의 상기 양 다리부(292, 292)의 양측부중 위치결정디스크(210)측에 반대측에 있는 양 다리부(292, 292)의 타측부 선단에 양단이 체결수단에 의해 고정되고, 결합시 상기 절결부(82) 내에 소정 거리 범위 내에서 미끄럼이동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톱편(290b)을 포함하고 있으며,In order to mount and detach the channel portion 290a to the rail piece 80, the opposite side of the positioning disk 210 side of both sides of the leg portions 292 and 292 of the channel portion 290a. The stop pieces 290b which are fixed at both ends of the other ends of the two legs 292 and 292 by the fastening means and are slidably disposed within the predetermined distance within the cutout portion 82 when engaged. Including, 상기 제어부(270)는 The controller 270 is 상기 2개의 다리부(292, 292)들중 하나의 다리부(292)의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270)와 마주하는 상기 페달아암(4)의 윗면에 페달아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고서 형성된 2개의 걸음홈(85, 85)에 선택적으로 걸음 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Removably mounted on one side of one leg portion 292 of the two leg portions 292, 292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edal arm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al arm (4) facing the control unit 270 Drive device for a chainless bicy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can be selectively stepped on the two step grooves (85, 85) form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제 1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3, 상기 제어부(270)는 The controller 270 is 채널형상부(290a)의 다리부(292, 292)들중 하나의 다리부(292)에 윗면에 돌출되어 일체로 형성된 축받이부(296)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선회축(271), A pivot shaft 271 rotatably mounted on the bearing portion 296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one leg 292 of the leg portions 292 and 292 of the channel shape portion 290a and integrally formed; 상기 선회축(271)의 일단에 외접되어 상기 선회축(271)과 함께 회전하는 시소바아(272), Seesaw bar 272, which is external to one end of the pivot shaft 271 and rotates together with the pivot shaft 271, 상기 선회축(271)의 축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승강 및 하강할 수 있도록 상기 축받이부(296)에 형성된 보어(296a)에 스프링(273)을 개재하여 일단이 삽입되어 있고 타단이 볼형상을 갖고서 상기 보어(296a)에 돌출되어 있는 스톱봉(274), One end is inserted through the spring 273 in the bore 296a formed in the bearing portion 296 so as to elastically move up and down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ivot shaft 271 and the other end is viewed. A stop rod 274 having a shape and protruding from the bore 296a; 상기 하나의 다리부(292)에 탈착가능하게 장착된 케이스(270a), A case 270a detachably mounted to the one leg 292, 상기 스톱봉(274)의 타단에 형성된 볼형상부(274a)가 탄성적으로 승강 및 하강가능한 상태로 돌출되게 하기 위한 절결부(275)와 그 절결부(275)의 양측의 케이스(270a) 부위에 상기 걸음홈(85, 85)들간의 간격보다 작은 간격을 가지고서 형성된 관통구멍(276, 276)들, A cutout portion 275 for protruding the ball-shaped portion 274a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stop rod 274 in an elastically liftable and descendable state, and portions of the case 270a on both sides of the cutout portion 275. Through-holes 276 and 276 formed in the gap between the step grooves (85, 85) smaller than the gap, 상기 페달아암(4)에 형성된 상기 2개의 관통구멍(276, 276) 간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두고서 상기 관통구멍(276, 276)들 각각에 마주하게 위치되어 상기 하나의 다리부(292)에 형성된 2개의 관통구멍(297, 297), Are formed in the one leg portion 292 to face each of the through holes 276 and 276 at an interval equal to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through holes 276 and 276 formed in the pedal arm 4. 2 through holes (297, 297),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단차부(278a, 278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일단이 상기 페달아암(4)에 형성된 걸음홈(85, 85)에 걸음될 수 있게 상기 걸음홈(85, 85)과 동일한 크기와 형상을 가지고 있고 타단이 상기 단차부(278a, 278a)와 상기 케이스(270a)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279)에 외접되어 상기 케이스(270a)의 관통구멍(276, 276)을 관통하여 돌출되어 있고, 중앙부에 상기 시소바아(272)에 걸릴 수 있는 크기와 형상을 가진 리프트걸음편(278b, 278b)이 형성되어 있는 2개의 래치부(278, 278) 및Stepped portions 278a and 278a are formed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and the one end is the same as the step grooves 85 and 85 so that the step can be stepped into the step grooves 85 and 85 formed in the pedal arm 4. It has a size and shape and the other end is external to the spring 279 disposed between the step portions 278a and 278a and the case 270a to protrude through the through holes 276 and 276 of the case 270a. Two latch portions 278 and 278 having a center and a lift step piece 278b and 278b having a size and shape that can be caught by the seesaw bar 272 in the center; 상기 시소바아(272)를 선회축(271)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시소바아(272)의 중앙부에서 일체로 기립되어 있는 핸들(H)을 포함하고 있으며,It comprises a handle (H) that is integrally standing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seesaw bar 272 for the seesaw movement of the seesaw bar 272 about the pivot axis 271, 여기에서, 상기 핸들(H)은 상기 핸들에 의해 시소바아(272)가 시소운동할 때 마다 상기 스톱봉(274)의 볼형상부(274a)와 탄성적으로 가압접촉하여 상기 볼형상부(274a)를 타고 넘어갈 수 있는 미끄럼돌출편(Ha)을 포함하고 있어서, 자전거 운전자가 핸들(H)을 선회시키지 않으면, 항상 시소운동된 시소바아의 위치를 유지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체인 자전거의 구동장치.Here, the handle (H) is elastically pressure-contacted with the ball-shaped portion 274a of the stop bar 274 whenever the seesaw bar 272 is moved by the handle to the ball-shaped portion 274a It includes a sliding protrusion (Ha) that can ride over, so that the bicycle driver does not turn the handle (H), always maintains the position of the seesaw exercised seesaw bar drive Device.
KR1020040108580A 2004-05-28 2004-12-20 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 KR10062961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38595 2004-05-28
KR1020040038595 2004-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119A KR20050113119A (en) 2005-12-01
KR100629615B1 true KR100629615B1 (en) 2006-09-29

Family

ID=3728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8580A KR100629615B1 (en) 2004-05-28 2004-12-20 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61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17A (en) 2019-10-08 2021-04-16 (주)빅라인 Chainless driving device for bicycle and bicycle compris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1324B1 (en) 2013-10-22 2015-04-1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Hand-foot compound bicycle including double ratchet
CN109895931A (en) * 2019-04-16 2019-06-18 辽宁工业大学 A kind of positive and negative Bidirectional pedaling bicycle driv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1717A (en) 2019-10-08 2021-04-16 (주)빅라인 Chainless driving device for bicycle and bicycle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3119A (en)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57648B2 (en) Pedal scooter
US8128111B2 (en) Scooter and pedal drive assembly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US6672607B2 (en) Mini scooter
US6616163B2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US6375208B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US20110241305A1 (en) Hand/foot powered bicycle
JP3101174U (en) bicycle
JP2003514712A (en) Bicycle with pedals driven back and forth
KR100584827B1 (en) Driving apparatus of a multi function chain bicycle
US20100044995A1 (en) Quick board with handle to operate driving power of front wheel
US6840524B2 (en) Scooter having reciprocating pedals
KR100629615B1 (en) driving apparatus of chainless bicycle
US6698779B2 (en) Kinetic energy generating mechanism
US6132341A (en) Cycling exerciser having a rotatable handle
EP0135539A1 (en) Occupant propelled wheeled device
US20020105160A1 (en) Man-powered vehicle
KR20090103259A (en) Electricity motor bicycle
US6695331B2 (en) Kinetic energy generating mechanism
EP2162637B1 (en) Reciprocating belt drive
CA2363672A1 (en) Combined skateboard scooter/exerciser
KR200352878Y1 (en) Healthy bicycle builted in stepping device
EP1366976A1 (en) Tread-cycle
CN200981631Y (en) Manpower snowfield pulle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