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9351B1 -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9351B1
KR100629351B1 KR1020050048507A KR20050048507A KR100629351B1 KR 100629351 B1 KR100629351 B1 KR 100629351B1 KR 1020050048507 A KR1020050048507 A KR 1020050048507A KR 20050048507 A KR20050048507 A KR 20050048507A KR 100629351 B1 KR100629351 B1 KR 100629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ehicle
zero
valu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윤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4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9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9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9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5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the presence or position of passengers, passenger seats or child seats, and the related safety parameters therefor, e.g. speed or timing of airbag inflation in relation to occupant position or seat belt use
    • B60R21/01512Passenger det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는 단계(S10)와; 무게감지장치를 통해 시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S30)와;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무게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무게판단단계(S5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측정된 무게 값을 소정 비율로 나눈 후 그 값을 상기 제어유닛에 영점으로 재 입력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차량의 주행 완료 후 로드셀의 영점을 재 설정하기 때문에 로드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Process for controling zero point of load cell in automobi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이 도시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이 도시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20 : 무게감지장치
30 : 시트레그 50 : 제어유닛
본 발명은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주행 완료 후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을 재 설정하여 무게감지장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안착되는 시트(1)와, 상기 시트(1)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시트(1)에 탑승한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장치(2)와, 상기 무게감지장치(2)에서 감지된 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유닛(5)과, 상기 무게감지장치(2)의 하측에 위치되어 상기 무게감지장치(2)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시트(1)를 차량의 차체에 연결하는 시트레그(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무게감지장치(2)는 상기 시트(1)에 착석한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는 로드셀(load cell)이고, 상기 로드셀은 상기 시트(1)의 하측에 복수개 설치되어 상기 시트(1)에 착석한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5)은 상기 무게감지장치(2)에서 감지된 무게에 따라 탑승자의 정보를 유추하는 바, 상기 감지된 무게에 따라 탑승자를 성인, 어린이 또는 미탑승 등으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상태에 따라 차량에 설치된 에어백 어셈블리를 작동시킨다.
특히, 상기 무게감지장치(2)는 탑승자의 탑승 시마다 탑승자의 무게를 감지하기 때문에 차량의 출하 시 영점이 조정되어 출하된다.
그런데 차량의 출하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시트(1)의 위치 이동 및 상기 시트(1)의 뒤틀림, 센서의 노화, 차량 플로어의 변형 등으로 인해 상기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이 이동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이 이동되면, 상기 제어유닛(5)에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여 에어백의 작동 시 탑승자에게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에 설치된 무게감지장치의 영점 조절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은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는 단계(S10)와; 무게감지장치를 통해 시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S30)와;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무게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무게판단단계(S5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측정된 무게 값을 소정 비율로 나눈 후 그 값을 상기 제어유닛에 영점으로 재 입력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시트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10)와, 상기 시트(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10)를 지지함과 아울러 차량의 플로어(미도시)에 설치되는 시트레그(30)와, 상기 시트레그(30)와 상기 시트(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10)의 무게를 감지하는 무게감지장치(Weight Classification System, 20)와, 상기 무게감지장치(20)의 측정값을 전달받는 제어유닛(50)과, 상기 제어유닛(50)에 의해 작동되는 에어백 어셈블리(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무게감지장치(20)는 상기 시트(10)의 무게를 전기적인 전류의 변화에 의해 측정하는 로드셀(load cell)이고, 상기 로드셀(20)은 상기 시트(10)의 하측 4개소에 설치된다.
특히 상기 로드셀(20)은 상기 시트레그(30)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레그(30)의 상측에는 상기 시트(10)의 전후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12)이 설치된다.
그래서 상기 시트(10)에 가해지는 무게는 상기 레일(12)을 통해 상기 로드셀(20)에 전달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셀(20)을 통해 감지된 무게는 상기 제어유닛(50)에 전달되고,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로드셀(20)에서 전달받은 값을 참조하여 시트(10)에 착석한 탑승자를 승원분류하며, 상기 승원분류에 의해 에어백 어셈블리의 작동환경을 조절한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10)에 착석한 탑승자가 과체중의 어른인 경우 일반적 인 에어백 어셈블리에서 백의 전개거리보다 과체중인 어른의 백 전개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백에 공급되는 고압가스의 양을 줄이고, 어린이의 경우 상기의 반대 또는 에어백 어셈블리의 작동을 차단한다.
더불어, 상기 로드셀(20) 중 차량의 전방에 위치된 로드셀(20)에 탑승자의 하중이 치우쳐 있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상기와 같이 백의 전개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에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백에 공급되는 고압가스의 양을 줄이게 된다.
즉, 상술한 이외에도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로드셀(20)로부터 측정된 탑승자의 정보를 토대로 상기 에어백 어셈블리를 다양하게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게감지장치의 영점 조절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의 주행을 완료하고 시동을 끄는 단계(S10)와, 상기 시동이 꺼진 후 소정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S20)와, 상기 소정시간 대기 후 로드셀(20)을 통해 시트(10)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S30)와, 상기 시트(10)의 무게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40)와, 상기 무게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무게판단단계(S5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측정된 무게 값을 소정 비율로 나눈 후 그 값을 상기 로드셀(20)의 영점으로 재 입력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대기단계(S20)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에서 내리는 시간동안 상기 무게 측정단계(S30)로의 이행을 기다리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무게감지단계(S30)는 상기 로드셀(20)을 통해 상기 시트(10)의 무게를 감지하는 과정이고, 상기 무게감지단계(S30)에서 감지된 무게는 제어유닛 (50)에 전달된다.
한편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무게판단단계(S50)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시트(10)가 사용 중인지를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무게변화감지단계(S40)는 이의 한 예이다.
그래서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무게변화감지단계(S40)에서 상기 로드셀(20)로부터 전달되는 무게 값을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상기 시트(10)에 가해지는 무게가 소정 범위 이상으로 변화하는 경우, 상기 시트(10)가 사용 중인 것을 판단한다.
즉, 상기 시트(10)의 무게변화가 지속적으로 감지되면, 상기 차량이 시동이 꺼졌음에도 불구하고 탑승자 또는 동물 등이 탑승하고 착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S70)한다.
그리고 상기 무게변화가 소정치 이하인 경우 상기 시트(10)에 탑승자 또는 동물 등이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무게판단단계(S50)로 이행된다.
상기 무게판단단계(S50)는 상기 로드셀(20)에서 감지된 무게 값(W)이 한계값(TH) 이내에 있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예를 들어 상기 한계값(TH)이 ±4㎏으로 설정된 경우, 상기 무게값(W)이 한계값 이내이면 로드셀의 영점이 이동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측정된 무게 값(W)을 소정 비율(n)로 나누고, 상기 소정 비율로 나뉘어진 값을 상기 로드셀(20)의 영점으로 재 설정한다.(S60)
한편, 상기 무게판단단계(S50)에서 감지된 무게 값(W)이 상기 한계값(TH)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어유닛(50)은 상기 시트(10)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S80)한다. 즉, 상기 무게변화감지단계(S40)에서 무게 변화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상기 시트(10)에서 감지된 무게가 한계값이 이상이면, 상기 시트(10) 위에 소정 중량의 물건 등이 올려져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영점의 재 설정을 유보한다.
그래서 상기와 같은 과정은 차량의 주행 완료 후마다 로드셀(20)의 영점을 재 설정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이 도시된 흐름도이다.
제 2 실시예는 상기 제 1 실시예에서 영점 재설정단계(S160)를 제외하고,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그래서, 제 2 실시예의 영점 재설정단계(S160)는 측정된 무게 값(W1)을 수회 반복하여 나눈 후 최종 값(W)을 로드셀(20)의 영점으로 재 설정한다.
즉, 제 1 실시예에서는 소정 비율(n)로 측정된 무게 값(도 3의 W)을 1회 나눈 후 영점을 재 설정하지만, 제 2 실시예에서는 측정된 무게 값(W1)을 단계별로 나눈 후 그 결과값(W2, W3, W) 중 최종 값(W)을 영점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차량의 주행 완료 시마다 영점을 재 설정할 필요 없이 소정 기간을 주기로 상기 제어유닛(50)이 영점을 재 설정하여도 무방하다.
기타, 제 2 실시예에 따른 나머지 단계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은 차량의 주행 완료 후 로드셀의 영점을 재 설정하기 때문에 로드셀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은 로드셀에서 감지되는 무게의 정확도가 향상되기 때문에 시트에 착석하는 탑승자의 위치 및 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은 영점 재설정단계에서 감지된 무게 값을 단계별로 나눈 후 최종 값을 영점으로 재 설정하기 때문에 영점을 보다 정확하게 재 설정하다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주행이 완료되는 단계(S10)와;
    무게감지장치를 통해 시트의 무게를 측정하는 단계(S30)와;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무게 측정단계(S3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무게판단단계(S50)에서 측정된 무게 값이 소정 범위 이내인 경우, 상기 측정된 무게 값을 소정 비율로 나눈 후 그 값을 상기 제어유닛에 영점으로 재 입력하는 단계(S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은 상기 무게측정단계(S20) 전에, 상기 무게감지유닛에 의한 상기 시트의 무게 측정을 소정시간동안 대기하는 단계(S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은 상기 무게판단단계(S50) 전에,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상기 시트(10)의 무게변화를 감지하는 단계(S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에 의해 수행되는 상기 영점 재설정단계는 측정된 무게 값(W1)을 수회 반복하여 나눈 후 최종 값(W)을 영점으로 재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KR1020050048507A 2005-06-07 2005-06-07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KR100629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507A KR100629351B1 (ko) 2005-06-07 2005-06-07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507A KR100629351B1 (ko) 2005-06-07 2005-06-07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9351B1 true KR100629351B1 (ko) 2006-10-02

Family

ID=37622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507A KR100629351B1 (ko) 2005-06-07 2005-06-07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93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528A (ja) 2001-06-28 2003-01-15 Denso Corp シート荷重計測システム
JP2004125595A (ja) 2002-10-02 2004-04-22 Denso Corp 車両乗員検知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4528A (ja) 2001-06-28 2003-01-15 Denso Corp シート荷重計測システム
JP2004125595A (ja) 2002-10-02 2004-04-22 Denso Corp 車両乗員検知装置及びその調整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4893B2 (en) Seat load determining apparatus
US8296099B2 (en) Vehicle tilt detecting apparatus and seat load detec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EP1028867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weight and position of a vehicle seat occupant
JP5174454B2 (ja) 車両用乗客識別装置及び方法
US7295910B2 (en) Vehicle occupant discriminating apparatus
US20110285186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adjusting a seat and use thereof
US20070273139A1 (en) Device for Ascertaining an Occupant Position in a Vehicle
US20110012402A1 (en) Seat belt warning device
US7424355B2 (en) Method for operating and electrically adjustable vehicle seat
US9132772B2 (en) Seat passenger determination apparatus
US6689960B2 (en) Seat weight measuring apparatus which determines the weight value based on a value other than the adder output when sensor output exceeds a predetermined value
EP1609683A1 (en) Occupant classifying device for vehicle
US20090030576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an occupant of a vehicle seat
US6971669B2 (en) Passenger discriminating apparatus
US6957168B2 (en) Passenger detector and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US7444244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variable characteristic of a mass that rests on the seating area of a seat
KR100629351B1 (ko) 차량 무게감지장치의 영점조절방법
US20070235243A1 (en) Seatbelt minder
US7019660B2 (en) Vehicle passenger detection device
JP2005274541A (ja) 乗員検知システムの検査装置および検査方法
US20060106517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occupant seat weight sensor measurement error
US9440608B2 (en) Seat occupant determining apparatus
KR20150051037A (ko) 자동차 승객식별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090125371A (ko) 에어백 제어시스템
US20150127225A1 (en) Seat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