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636B1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636B1
KR100628636B1 KR1020050028034A KR20050028034A KR100628636B1 KR 100628636 B1 KR100628636 B1 KR 100628636B1 KR 1020050028034 A KR1020050028034 A KR 1020050028034A KR 20050028034 A KR20050028034 A KR 20050028034A KR 100628636 B1 KR100628636 B1 KR 100628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mn
band
network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8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50028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04W8/082Mobility data transfer for traffic bypassing of mobility servers, e.g. location registers, home PLMNs or home ag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중밴드에 대한 매뉴얼 망을 선택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밴드 변환을 수행한 후에, 현재 위치에서의 셀들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저장하는 과정과; 현재 탐색하고 있는 밴드가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매뉴얼 망 탐색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PLMN의 정보를 이용하여 RF 주파수 대역을 설정해 망을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망 선택에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선택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단일 RF 칩의 제약으로 인해서 등록 가능한 PLMN의 검출을 수행하지 못 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Method of Selecting a Manual Network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Manual Network Selection)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을 위한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1 : 탐색 여부 결정부
32 : 리스트 구성부
33 : 망 등록부
34 : 자동 망 탐색 선택부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중밴드에 대한 매뉴얼 망을 선택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에 있어서, 매뉴얼 망 탐색(Manual Network Search)을 수행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 중인 경우와 서비스 미 제공 중인 경우에서의 망 선택이 있다.
첫 번째로 서비스 제공 중에는, 현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밴드에 대해서만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탐색하게 되며, 해당 탐색이 종료되면 PLMN 리스트를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망을 선택하게 된다.
두 번째로 서비스 미 제공 중에는, 첫 번째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PLMN 탐색을 수행하지만, 밴드 정보가 바뀌지 않는 한, 사용 가능한 PLMN 리스트를 제공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망 선택의 권한이 없는 자동 망 탐색(Automatic Network Search)을 수행하여 가장 강한 전력을 제공하는 PLMN을 선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을 위한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LMN 리스트를 구성하기 위한 리스트 구성부(11)와, 망 등록을 수행하기 위한 망 등록부(12)와, 매뉴얼 망 탐색 실패 시에 사용자에게 가장 강한 ARFCN(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을 갖는 PLMN을 선택하는 자동 망 탐색의 선택 여부를 제공하기 위한 자동 망 탐색 선택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을 도 2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해당 매뉴얼 망 탐색을 선택하게 되면, 리스트 구성부(11)에서는 해당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여(단계 S11) 이에 해당하는 밴드에서 등록 가능한 PLMN들을 발견하게 되며(단계 S12), 해당 발견된 PLMN 리스트 및 ARFCN을 저장하는데(단계 S13), 즉 해당 발견된 PLMN들의 정보를 저장하게 되고 해당 탐색이 완료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선택을 수행하도록 PLMN 리스트를 제시하게 된다.
이에, 망 등록부(12)는 L1(RF)을 설정한 후에(단계 S14) 사용자가 임의의(Any) PLMN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단계 S15) 해당 선택된 PLMN을 등록하여 망을 등록하게 되며(단계 S16), 이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단계 S17).
만약에, 상기 제12단계(S12)에서 PLMN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자동 망 탐색 선택부(13)에서는 사용자에게 가장 강한 ARFCN을 갖는 PLMN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망 탐색의 선택 여부를 제시하게 되며(단계 S18), 이에 사용자가 자동 망 탐색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단계 S19) 자동 망 탐색을 수행하여(단계 S20) 가장 강한 ARFCN을 갖는 PLMN을 자동으로 선택한 다음에(단계 S21), 해당 선택된 PLMN을 등록하여 상기 제16단계(S16) 및 제17단계(S17)의 동작을 수행하도 록 한다.
이와 같이, 일반적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은 현재의 밴드 영역에서의 탐색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일 RF(Radio Frequency) 칩(Chip)을 사용하는 단말기의 경우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과 DCS(Desktop Conference System)간의 상호 제어는 가능하지만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밴드까지의 동시 제어가 불가능하게 되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다시 말해서, 밴드간의 이동 없이 망 탐색을 수행하게 되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고 있는 장소가 GSM, DCS 및 PCS의 중첩 지역일 경우에, 해당 단말기가 이전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밴드에 제한되어 PLMN 리스트를 제공함에 따라 사용자가 등록할 수 있는 PLMN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중밴드에 대한 매뉴얼 망을 선택하도록 한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RF 칩을 사용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다중밴드 매뉴얼 망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망 선택에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르게는,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매뉴얼로 망을 탐색함에 있어 서, 다중밴드에 대한 PLMN 리스트를 얻고 망 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는 매뉴얼 망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RF 칩을 가진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GSM, DCS 및 PCS의 밴드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RF 칩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할 때에 다중밴드에 대한 PLMN을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선택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RF 칩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할 경우에 사용자에게 선택의 권한을 줌으로써, 단일 RF 칩의 제약으로 인해서 등록 가능한 PLMN의 검출을 수행하지 못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RF 칩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RF1 칩을 이용한 소프트웨어적인 알고리즘을 통해 다중밴드 매뉴얼 망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하드웨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밴드 변환을 수행한 후에, 현재 위치에서의 셀들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PLMN을 저장하는 과정과; 현재 탐색하고 있는 밴드가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매뉴얼 망 탐색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PLMN의 정보를 이용하여 RF 주파수 대역을 설정해 망을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PLMN 저장 과정은 상기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다른 밴드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밴드 정보에 따라 가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여 해당 PLMN들을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가용 가능한 PLMN이 발견될 때마다 해당 PLM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PLMN 정보는 PLMN 리스트,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에서 추출한 ARFCN,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및 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르게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은 상기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밴드 변환을 수행하여 PLMN을 다시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네트워크 설정을 수행할 경우, 즉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할 때에, 다중밴드에 대한 PLMN 리스트를 얻고 망을 선택하도록 하는 매뉴얼 망 선택 기능을 제공하는데, 다중밴드(예를 들어, GSM, DCS 및 PCS의 밴드)에 대한 PLMN을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다중밴드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도 록 해 준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해당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할 경우에, PLMN, 망 주파수 밴드 정보 및 ARFCN 값(Value)을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 저장하는 리스트 테이블(List Table)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해당 PLMN을 선택하게 되면 이에 상응하는 밴드와 PLMN으로 L1(RF)에서의 망 설정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망 선택에 편의를 도모하도록 해 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을 위한 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색 여부 결정부(31)와, 리스트 구성부(32)와, 망 등록부(33)와, 자동 망 탐색 선택부(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탐색 여부 결정부(31)는 매뉴얼 망 탐색을 계속 수행할지에 대한 지속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블록이다.
상기 리스트 구성부(32)는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밴드 변환을 수행하고 현재 위치에서의 셀들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PLMN을 저장하기 위한 블록으로,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다른 밴드로의 변환을 수행하며, 이에 해당하는 PLMN 리스트들을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밴드의 정보도 저장한다.
상기 망 등록부(33)는 상기 리스트 구성부(32)에 의해 저장된 정보를 이용한 L1(RF)의 설정을 수행하기 위한 블록으로, 사용자가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로 제공된 PLMN 리스트를 선택하게 되는 경우에, 기존에 저장된 정보들을 이용하여 L1(RF)에서의 해당 밴드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달하게 되며, L1로 하여금 해당 밴드에 따른 주파수 대역을 동기화시켜 망 등록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가 해당 PLMN 리스트를 선택할 때에는, PLMN, 망 주파수 밴드 정보 및 ARFCN 값을 데이터베이스로 저장하는 리스트 테이블을 이용하도록 함으로써, 이에 상응하는 밴드와 PLMN으로 L1(RF)에서의 망 설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자동 망 탐색 선택부(34)는 매뉴얼 망 탐색 실패 시에 사용자에게 가장 강한 ARFCN을 갖는 PLMN을 선택하는 자동 망 탐색의 선택 여부를 제공하기 위한 블록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을 도 4의 순서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해당 매뉴얼 망 탐색을 선택하게 되면, 리스트 구성부(32)에서는 해당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게 되는데(단계 S41), 이때 현재 제공하고 있는 밴드 정보를 변환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즉, 해당 리스트 구성부(32)는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다른 밴드로의 변환을 수행하며(단계 S42), 이에 해당 변환된 밴드 정보에 따라 가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여(단계 S43) 해당하는 밴드에서 등록 가능한 PLMN들을 발견하게 된다(단계 S44).
그리고, 상기 리스트 구성부(32)는 해당 발견된 PLMN들의 정보를 저장하는데, 즉 현재 위치에서의 셀들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PLMN을 저장하도록 한다. 이때, 해당 발견된 PLMN 리스트를 저장하며, 해당 가용 가능한 PLMN이 발견될 때마다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에서 ARFCN 값을 추출하고 해당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및 밴드 정보와 함께 저장하게 된다(단계 S45).
그런 후에, 탐색 여부 결정부(31)에서는 상기 매뉴얼 망 탐색을 계속 수행할지에 대한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데, 즉 현재 탐색하고 있는 밴드가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지를 확인한다(단계 S46).
이에, 상기 제46단계(S46)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탐색 여부 결정부(31)는 이를 상기 리스트 구성부(32)에 통보하여 상기 제42단계(S42)의 동작인 밴드 변환을 수행하도록 하여 PLMN을 다시 검색하도록 해 준다.
반면에, 상기 제46단계(S46)에서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 경우에, 상기 탐색 여부 결정부(31)는 이를 상기 망 등록부(33)에 통보하게 되며, 이에 상기 탐색이 완료되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PLMN 리스트를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도록 PLMN 리스트를 제시하게 된다(단계 S47).
이에 따라, 상기 망 등록부(42)는 사용자가 임의의 PLMN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단계 S48) 해당 선택된 PLMN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해당 확인된 MCC, MNC, 밴드 정보 및 ARFCN 값을 이용하여 L1 측의 RF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여(단계 S49) 망을 등록하게 되며(단계 S50), 이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단계 S51).
만약에, 상기 제44단계(S44)에서 PLMN이 발견되지 않은 경우, 자동 망 탐색 선택부(34)에서는 사용자에게 가장 강한 ARFCN을 갖는 PLMN을 자동으로 선택하도록 하기 위한 자동 망 탐색의 선택 여부를 제시하게 되며(단계 S52), 이에 사용자가 자동 망 탐색을 선택하는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단계 S53) 자동 망 탐색을 수행하여(단계 S54) 가장 강한 ARFCN을 갖는 PLMN을 자동으로 선택한 다음에(단계 S55), 해당 선택된 PLMN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제49단계(S49), 제50단계(S50) 및 제51단계(S51)의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매뉴얼로 망을 탐색함에 있어서, 다중밴드에 대한 PLMN을 모두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다중밴드 매뉴얼 망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GSM, DCS 및 PCS의 밴드에 대한 설정이 가능하며, 사용자에게 망 선택에 편의를 도모함과 동시에 선택의 권한을 확대할 수 있으며, 이에 단일 RF 칩의 제약으로 인해서 등록 가능한 PLMN의 검출을 수행하지 못 하는 문제점을 개선하며, 하드웨어적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밴드 변환을 수행한 후에, 현재 위치에서의 셀들의 전계 강도를 검출하여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을 저장하는 과정과;
    현재 탐색하고 있는 밴드가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지를 확인하여 상기 매뉴얼 망 탐색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인 경우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선택된 PLMN의 정보를 이용하여 RF 주파수 대역을 설정해 망을 등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MN 저장 과정은 상기 매뉴얼 망 탐색을 수행하기 전에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다른 밴드로의 변환을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변환된 밴드 정보에 따라 가용 가능한 PLMN을 검색하여 해당 PLMN들을 발견하는 단계와;
    상기 가용 가능한 PLMN이 발견될 때마다 해당 PLMN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LMN 정보는 PLMN 리스트, BCCH(Broadcast Control Channel)에서 추출한 ARFCN(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MCC(Mobile Country Code), MNC(Mobile Network Code) 및 밴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서비스 중인 밴드가 아닌 경우에, 상기 밴드 변환을 수행하여 PLMN을 다시 검색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KR1020050028034A 2005-04-04 2005-04-0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KR100628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34A KR100628636B1 (ko) 2005-04-04 2005-04-0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8034A KR100628636B1 (ko) 2005-04-04 2005-04-0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8636B1 true KR100628636B1 (ko) 2006-09-26

Family

ID=3762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8034A KR100628636B1 (ko) 2005-04-04 2005-04-04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08B1 (ko) 2006-12-04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서비스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308B1 (ko) 2006-12-04 2007-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통신 서비스 유형을 선택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384895B (zh) 使用存取技術指示器之用於促進網路選擇的裝置及相關方法
TWI404430B (zh) 促進互動無線區域網路公眾陸地行動網路選擇之裝置及其相關方法
US7599693B2 (en) Cell search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2180745B1 (e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connection of a wireless device to a network
US87444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lerated network selection using a weighted network list
US8200177B2 (en) Network search method of user equipment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81835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radio access technology in a mobile station employing a removable memory device
US20070191005A1 (en) Technique for using the same wireless frequency channel in overlapping or adjacent coverage areas
CA2589961C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accelerated network selection using a weighted network list
EP2485539B1 (en) Network selection method and terminal device
WO2001063944A2 (en)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optimal service acquisition for a wireless phone
US11825556B2 (en) Frequency band scan in user equipment
KR100628636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매뉴얼 망 선택 방법
US9241303B2 (en) Mobile station and method
KR101508680B1 (ko) 호 발신 제한시 대체 망을 통한 호 발신방법 및 휴대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0639334B1 (ko) 다중모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주파수 밴드에 따른우선순위 셀 선택 방법
KR100584444B1 (ko) 멀티밴드 이동통신 단말기의 셀 선택방법
US6418313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cking of a private communication system subject to retuning
WO2017038187A1 (ja) 無線通信装置および無線通信方法
KR100631592B1 (ko) 다중 밴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네트워크 탐색 방법
US20090017820A1 (en) Cell selec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80338294A1 (e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roaming network registration method
US7218942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digital channel with priority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