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558B1 -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 Google Patents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558B1
KR100628558B1 KR1020050019329A KR20050019329A KR100628558B1 KR 100628558 B1 KR100628558 B1 KR 100628558B1 KR 1020050019329 A KR1020050019329 A KR 1020050019329A KR 20050019329 A KR20050019329 A KR 20050019329A KR 100628558 B1 KR100628558 B1 KR 100628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standardized
standardization
code
n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9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8098A (ko
Inventor
강주석
이성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리데오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050019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558B1/ko
Publication of KR20060098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8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8Databases characterised by their database models, e.g. relational or object models
    • G06F16/289Object oriented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문서 관리 방법 및 문서 관리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방법과 장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사용자가 공유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화 객체 구조의 원하는 폴더 안으로 업로드(upload)하는 경우 상기 문서의 이름을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꿀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과 장치는 공유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폴더 안의 표준화 코드를 갖는 문서가 사용자 컴퓨터로 다운로드되면, 다운로드된 문서의 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표준화 객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고, 다운로드된 문서를 원래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생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과 장치를 이용하면 문서관리가 용이해진다.
문서관리

Description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documents}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상세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문서명 분류 체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서명 분류 체계에 따라 생성된 표준화 코드 체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유서버에 의하여 형성된 표준화 객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에 따라 변환된 표준화 객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문서관리방법 및 문서관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공유서버의 소정의 폴더 안으로 업로드(upload)하는 경우 상기 문서의 이름이 표준화 코드의 이름으로 바뀌는 방법과 장치, 및 상기 표준화 코드의 이름만으로 표준화 폴더를 생성하는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윈도우TM나 매킨토시TM와 같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 User Interface)에서, 폴더(folder)는 여러 개의 문서를 담고 있는 하나의 객체(object)를 말한다. 폴더는 정보를 조직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도스나 유닉스에서는 디렉토리라는 이름으로 불린다.
현재 혁신적인 과학기술들은 계속하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발전과정에서 생성되는 많은 양의 문서(file)는 상기 문서를 작성한 사람에 의하여 관리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문서를 관리하고 분류할 때 필요한 이름은 상기 문서를 작성한 사람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부여된다. 그러므로, 상기 문서가 공유서버로 업로드되면, 상기 문서의 작성에 관여하지 않은 사람은 상기 문서에 부여된 이름만으로 상기 문서의 특성을 파악할 수 없다.
또한, 하나의 프로젝트가 여러 사람들에게 할당되어 수행되고, 그 수행의 결과로서 생성된 문서들 각각의 이름이 표준화되지 않고 작성자에 의하여 임의적으로 부여된 후, 상기 문서들 각각이 공유서버로 업로드된다면, 최종적으로 업로드된 각 문서를 관리하는 사람은 각 문서를 일일이 열어보고 자신만의 표준에 따라 각 문서에 부여된 이름을 다시 바뀌어 부여할 것이다. 즉, 각 문서의 이름이 문서 관리자에 따라 임의적으로 부여된다면, 그 문서의 관리는 효율적이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공유문서에 업로드되는 문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문서의 이름을 명명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운로드된 표준화된 문서 명만으로 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할 수 있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문서 관리방법은 공유서버가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안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서버가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상기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꾸는(rename)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는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복사(copy), 및 이동(move)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업로드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록매체에는 공유서버가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안으로 클 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서버가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상기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꾸는(rename)단계를 구비하는 문서 관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문서 관리 서버는 표준화 객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구비하는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모듈, 및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안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상기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꾸기 위한 표준화 코드 생성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표준화 생성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복사(copy), 및 이동(move) 중의 어느 하나로 업로드되는 상기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문서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 (download)받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문서의 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표준화 객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제2객체를 포함하는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1객체와 동일한 객체인 상기 제2객체 안에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문서 관리 방법은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표준화 코드 변환모듈에 저장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표준화 코드를 상기 제2표준화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2표준화 객체를 구성하는 제2객체 안에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한다.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상기 방법들을 기록하고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문서 관리 장치는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기 위한 문서 수신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의 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표준화 객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제2객체를 포함하는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1객체와 동일한 객체인 상기 제2객체 안에 생성시 키기 위한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문서 관리 장치는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기 위한 문서 수신모듈; 제2표준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 변환 모듈; 및 상기 코드 변환 모듈에 저장된 상기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수신 모듈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제1표준화 코드를 상기 제2표준화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은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2표준화 객체를 구성하는 제2객체 안에 생성한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시스템(100)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제1사용자 컴퓨터(110), 공유서버(130), 및 제2사용자 컴퓨터(150)를 구비한다. 각 컴퓨터(110과 150)는 유/무선 통신 단말기의 일예를 나타낸다.
상기 제1사용자 컴퓨터(110)와 상기 제2사용자 컴퓨터(150)각각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각 실시예를 수행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또는 애플리케이션)은 공유서버(130)로부터 인터넷을 통하여 다운로드받아 설치될 수 있으며, 독립적인 설치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CD나 디스크에 저장되어 배포될 수도 있고, 다른 웹페이지를 통하거나 FTP(File Transfer Protocol) 등을 이용하여 전달되어 대응되는 사용자 컴퓨터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사용자 컴퓨터(110)는 도6을 참조하여 설명될 문서수신 모듈(111) 및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 모듈(113)을 구비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은 S/W 또는 H/W로 구현될 수 있으며, S/W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모듈은 독립적으로 또는 서로 연동하여 동작하는 프로그램을 의미한다.
상기 공유서버(130)는 데이터베이스(131), 표준화 객체구조 모듈(133), 표준화 코드 생성 모듈(135), 및 업로드(upload) 문서 저장 데이터베이스(137)를 구비한다. 상기 공유서버(130)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구현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유서버(130)는 일정한 용량의 저장공간인 스토리지(storage)를 확보해 디스켓이 없이도 어느 곳에서나 인터넷 환경과 함께 자신이 작업한 문서나 파일을 저장·열람·편집하고, 다수의 사람과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인터넷 파일관리 시스템을 의미한다. 즉,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공유서버 (130)는 웹하드TM (webhard)와 같은 개념으로 사용되는 서버를 의미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13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화 객체 구조(400)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즉, 상기 데이터베이스(13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문서명 분류 체계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도2를 참조하면, 문서명 분류 체계는 각 분류에 상응하는 코드와 상기 코드를 구성하는 영문/숫자 자리 수에 대한 정의를 갖는다.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모듈(13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131)에 저장된 도2에 도시된 문서명 분류 체계에 대한 정보(즉, 표준화 객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객체(또는 폴더)를 구비하는 표준화 객체 구조(400)를 자동적으로 생성한다.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400)는 도2에 도시된 문서명 분류체계에 기초하여 형성된 폴더들의 트리(tree)구조를 의미한다. 도2에 도시된 문서명 분류 체계에 대한 정보(즉, 표준화 객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는 XML파일(또는 템플릿 파일)로 작성될 수 있다.
상기 표준화 코드 생성모듈(135)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화 객체 구조(400)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file)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 또는 폴더)안으로 제1사용자 컴퓨터(110) 또는 제2사용자 컴퓨터(15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가 상기 문서를 넣고자 하는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바꾸고, 바뀌어진 이름을 갖는 문서를 업로드 문서 저장 데이터베이스(137)에 저장한다.
상기 업로드 문서 저장 데이터베이스(137)는 상기 표준화 코드 생성모듈(135)에 의하여 이름이 바꾸어진 업로드된 문서를 저장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문서명 분류 체계에 따라 생성된 표준화 코드 체계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인허가 분류단계(301)는 사전상담(B), 심의(C), 허가(P), 착공(S), 사용승인(U), 및 대장(Z) 등으로 분류된다. 업무별 설계도서 분류(303)는 기본설계도서(B) 및 협의설계도서(C) 등으로 분류된다. 설계도서 분류(305)는 문서(A), 도면(D), 및 서식(F) 등으로 분류된다. 대분류(307)는 건축, 구조, 기계, 전기, 및 조경(L) 등으로 분류된다.
소분류(309)는 숫자 2자리를 갖는 다수의 코드들로 분류되고, 일련번호(311)는 대쉬(-)와 숫자 3바리를 조합하여 사용하며 첫 번째 문서를 기준으로 "001"부터 부여한다. 동분류(313)는 숫자 3자리를 사용하며 첫 번째 동을 기준으로 "001"부터 부여한다. 단, 단일동의 경우에도 "001"로 부여한다.
층분류(315)는 도면의 층을 구분하는 영문1자리와 층번호 숫자3자리를 조합하여 사용한다. 리비젼 번호(317)는 리비전기호 -R과 숫자 2자리를 조합하여 "R01", "R02"와 같이 사용하며 최초 작성한 문서를 기준으로 "01"부터 부여한다.
한글 도면 명 예시(319)에는 다수의 도면 명들이 예시되어 있다. 문서명 코 드 예시(321)에는 인허가 단계분류(301)에서부터 한글도면 명 예시(319)에 이르는 규칙에 따른 코드들이 예시되어 있다.
도1, 도4, 및 도5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부여한 문서의 이름을 표준화 코드로 바꾸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110)를 이용하여 문서를 작성하고, 작성된 문서에 A라는 이름을 붙이고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한다. 이때 저장된 문서는 자신이 작성했는지의 여부 또는 상기 문서의 이름을 자신이 부여했는지의 여부를 불문한다.
상기 사용자는 A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도4에 도시된 표준화 객체 구조(400)를 구성하는 "평면도(31)"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객체(예컨대, 폴더; 410)안으로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복사(copy), 및 이동(move) 중의 어느 하나의 명령을 사용하여 업로드(upload)한다(510단계).
상기 공유서버(130)는 사용자에 의하여 평면도(31) 폴더(410)로 업로드된 A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서의 이름(A)을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표준화 코드에 따라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으로 바꾸고(520단계),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를 업로드 문서 저장 데이터베이스(137)에 저장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공유서버(130)로 업로드된 문서의 이름(A)이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또는 표준화 코드)으로 바뀌었으나, 상기 이름(A)이 소정의 표준화 코드에 따라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A" 또는 "PBD-31-001-001F001-R01"처럼 다양하게 바뀔 수 있다. 또는 영 문자와 숫자로 이루어진 표준화 코드가 한글과 숫자의 조합으로 구성된 표준화 명으로 바뀔 수도 있다.
즉, 사용자가 임의로 부여한 문서의 이름은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갖는 이름으로 바뀌나, 문서의 내용은 동일성을 유지한다.
만일, 제2사용자 컴퓨터(150)가 로그인 과정을 통하여 공유서버(130)에 접속하고, 구조(S)폴더 안으로 자신이 부여한 B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으로 업로드하는 경우, 업로드된 문서의 이름(B)은 도2 및 도3에 예시된 바에 따라 구조(S)폴더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자동적으로 바뀐다.
또한, B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가 상기 구조(s)폴더 안으로 업로드되어 상기 문서의 이름(B)이 구조(S)폴더에 상응하는 제1표준화 코드(또는 제1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로 바뀐 경우라도, 상기 제1표준화 코드를 이름으로 하는 문서를 다시 평면도(31) 폴더(410)로 그래그 앤드 드롭하는 경우, 상기 문서의 제1표준화 코드는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제2표준화 코드로 바뀐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 각각이 서로 다른 이름을 갖는 문서를 자신이 원하는 폴더로 업로드하는 경우라도 업로드된 각 문서의 이름이 표준화 코드에 따른 이름으로 변경된다. 따라서 문서 작성 순서에 무관하게 대응되는 문서를 대응되는 폴더로 업로드 할 수 있고, 표준화 코드를 사용하므로 문서관리가 용이해진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 도4, 및 도6을 참조하여 제1사용자 컴퓨터(110)로 다운로드된 표준화 코드를 갖 는 하나의 문서(411)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 객체 구조(400)를 상기 제1사용자 컴퓨터(11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그래그 앤드 드롭으로 공유서버(130)의 업로드 문서 저장 데이터베이스(137)의 평면도(31) 폴더(410)에 저장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또는 코드)을 갖는 문서(411)를 제1사용자 컴퓨터(110)로 다운로드한다.
즉, 사용자는 공유서버(130)에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400)의 평면도(31) 폴더(410)에 저장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를 제1사용자 컴퓨터(110)로 다운로드한다(610단계).
문서 수신모듈(111)은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를 수신한다.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 모듈(113)은 상기 문서 수신모듈(111)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또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서버(130)에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400)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평면도 폴더를 포함하는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고, 다운로드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평면도(31) 폴더(410)와 동일한 이름을 갖는 폴더 안에 생성시킨다(620단계).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 모듈(113)은 표준화 코드를 해석하여 원하는 폴더로 원하는 문서를 복사한다. 즉,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 모듈(113)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화 객체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표준화 객체 구조(400)에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문서를 다운로드함으로서 표준화 객체 구조(400)에 대한 모든 정보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에 따라 변환된 표준화 객체 구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1, 도4,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제2사용자 컴퓨터(150)로 다운로드된 표준화 코드를 갖는 하나의 문서(411)에 기초하여 공유서버(130)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화 객체 구조(400)와 서로 다른 표준화 객체구조를 상기 제2사용자 컴퓨터(150)에 설치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생성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그래그 앤드 드롭으로 공유서버(130)의 업로드 문서 저장 데이터베이스(137)의 평면도(31) 폴더(410)에 저장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를 제2사용자 컴퓨터(150)로 다운로드한다.
즉, 사용자는 공유서버(130)에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400)의 평면도(31) 폴더(410)에 저장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를 제2사용자 컴퓨터(150)로 다운로드한다(710단계).
문서 수신모듈(151)은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를 수신한다. 코드 변환 모듈(153)은 제2표준화 코드를 저장한다. 상기 제2표준화 코드는 XML파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153)은 상기 코드 변환 모듈(153)에 저장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문서 수신 모듈(151)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제1표준화 코드 를 상기 제2표준화 코드로 변환하고(720단계), 변환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표준화 객체 구조(800)를 생성한다(730단계).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155)은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411)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도8에 도시된 제2표준화 객체 구조(800)를 구성하는 제2객체(810)안의 BBBF202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811)로 생성(또는 저장)한다(740단계). 따라서 "PBD-31-001-001F001-R01-1층 평면도"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411)의 내용과 BBBF202라는 이름을 갖는 문서(811)의 내용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로부터 독출된 해당 프로그램은 디지털 컴퓨터 시스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에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씨디롬, 디브이디 등) 및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면, 인터넷을 통한 전송)와 같은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관리 장치는 공유서 버의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는 폴더를 일일이 열고 찾는 번거로움 없이 드래그 앤드 드롭(drag-and-drop)만으로 문서를 원하는 폴더 안에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 폴더 안에 넣어진 문서의 이름은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으로 변경되므로, 문서의 이동과 관리가 효율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관리 장치는 공유서버로부터 사용자 컴퓨터로 다운로드된 표준화 코드를 갖는 문서에 기초하여 상기 공유서버에 의하여 생성된 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할 수 있으므로, 문서의 생성과 관리가 용이하다.

Claims (11)

  1. 문서 관리방법에 있어서,
    공유서버가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안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서버가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상기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꾸는(rename)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는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복사(copy), 및 이동(move)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업로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방법.
  3. 공유서버가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안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공유서버가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상기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꾸는(rename)단계를 구비하는 문서 관리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4. 문서 관리 서버에 있어서,
    표준화 객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구비하는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모듈; 및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를 구성하며 적어도 하나의 문서를 담을 수 있는 소정의 객체(object)안으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업로드(upload)되는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서의 이름을 상기 소정의 객체에 상응하는 표준화 코드 및/또는 표준화 명칭을 포함하는 이름으로 바꾸기 위한 표준화 코드 생성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서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 생성모듈은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에 의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복사(copy), 및 이동(move) 중의 어느 하나로 업로드되는 상기 사용자가 부여한 이름을 갖는 문서를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관리 서버.
  6. 문서관리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 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는 단계; 및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다운로드된 문서의 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표준화 객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제2객체를 포함하는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1객체와 동일한 객체인 상기 제2객체 안에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7. 문서관리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는 단계;
    상기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이 표준화 코드 변환모듈에 저장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수신된 제1표준화 코드를 상기 제2표준화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2표준화 객체를 구성하는 제2객체 안에 생성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8.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는 단계는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 복사(copy), 및 이동(move)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방법.
  9. 제7항 또는 제8항에 기재된 문서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0. 문서관리장치에 있어서,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기 위한 문서 수신모듈; 및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의 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표준화 객체 구조와 동일한 구조를 갖으며 제2객체를 포함하는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고,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1객체와 동일한 객체인 상기 제2객체 안에 생성시키기 위한 표준화 객체 구조 생성 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
  11. 문서관리장치에 있어서,
    공유서버의 의하여 생성된 제1표준화 객체 구조의 제1객체(object)안에 저장된 표준화 코드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문서를 상기 공유서버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받기 위한 문서 수신모듈;
    제2표준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코드 변환 모듈; 및
    상기 코드 변환 모듈에 저장된 상기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상기 문서 수신 모듈을 통하여 다운로드된 제1표준화 코드를 상기 제2표준화 코드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2표준화 코드에 기초하여 제2표준화 객체 구조를 생성하기 위한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표준화 객체 구조 변환 모듈은 상기 다운로드된 문서를 상기 제2표준화 객체를 구성하는 제2객체안에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관리장치.
KR1020050019329A 2005-03-08 2005-03-08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KR100628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29A KR100628558B1 (ko) 2005-03-08 2005-03-08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9329A KR100628558B1 (ko) 2005-03-08 2005-03-08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8A KR20060098098A (ko) 2006-09-18
KR100628558B1 true KR100628558B1 (ko) 2006-09-26

Family

ID=37629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9329A KR100628558B1 (ko) 2005-03-08 2005-03-08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20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대용량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파일변경 시스템과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729B1 (ko) * 2009-07-23 2012-01-11 (주)공영디비엠 회사명 데이터 표준화 관리 장치 및 방법
KR102463120B1 (ko) * 2022-01-16 2022-11-08 이태영 문서 다운로드시 사용자 맞춤형 파일명 생성 기능을 제공하는 특허 문서 검색 서버 및 이를 이용한 특허 문서 검색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3920A (ko) 2016-12-02 2018-06-14 주식회사 스튜디오매크로그래프 대용량 파일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파일변경 시스템과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8098A (ko) 2006-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0755B1 (ko) 정적 및 동적 리스트의 사용을 포함하는 가상 폴더 및 항목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8874580B2 (en) Machine, computer readable medium, and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file management, storage, and display
EP1766539B1 (en) Data compil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79227A1 (en) Processor for creating document binders in a document management system
BRPI0609105A2 (pt) agregação e sincronização de mìdia próxima
Ardestani et al. B2share: An open escience data sharing platform
KR100628558B1 (ko) 문서 관리방법 및 문서 관리장치
Eckard et al. Bridging technologies to efficiently arrange and describe digital archives: the Bentley Historical Library’s ArchivesSpace-Archivematica-DSpace Workflow Integration Project
Shein From accession to access: A born-digital materials case study
Phiri et al. Managing cultural heritage: information systems architecture
Kupfer et al. Digitization and digital preservation of government information
Churchill et al. Ps AND Qs Designing for digital archives
Calanducci et al. A digital library management system for Grid
CN106210039A (zh) 对象管理方法、客户端和云服务端
US20090100057A1 (en) Organization System for Distributed Items
Seth Digital Library and Silent features of Greenstone Digital Library Software
Kutay Trust Online for Information Sharing.
Akram Omeka: An Open Source Digital Archiving Application
Werla Cloud technologies as a solution for digital collections management in small libraries
D’Andrea Integrating Architectural and Archaeological 3D-Models into Europeana
Kshirsagar Concept of Digitization
Ivens Windows® Server 2003: The Complete Reference
Baucom Accessioning and Stabilization Workflow
Munro et al. Managing Containers
Rafiq UCLanData Deposit Gu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8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