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045B1 -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045B1
KR100628045B1 KR1020050016844A KR20050016844A KR100628045B1 KR 100628045 B1 KR100628045 B1 KR 100628045B1 KR 1020050016844 A KR1020050016844 A KR 1020050016844A KR 20050016844 A KR20050016844 A KR 20050016844A KR 100628045 B1 KR100628045 B1 KR 100628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radio
user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684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95319A (en
Inventor
안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6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8045B1/en
Publication of KR20060095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53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045B1/en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1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 B65F1/1415Supports, racks, stands, posts or the like for holding refuse receptacles for flexibl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6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flexible inserts, e.g. bags or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14Suspens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8Suspe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20/00Properties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20/106Collapsible
    • B65F2220/1063Collapsible fold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라디오 청취 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장치와;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라디오 수신 주파수로 채택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An apparatus for switching to a radio listening mode; A memory dev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And a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a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for adopting any one of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a radio reception frequency, and a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라디오, 단말기, 주파수, 선호, 점유시간 Radio, handset, frequency, preference, occupancy time

Description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A mobile tele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the receiving method thereof}A mobile tele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도 1은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구성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1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n example of applying the bas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a built-in radio receiver.

도 2는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2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functional configuration of a terminal having a radio reception func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현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mpon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radio receiv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 방법의 진행 중 LCD를 통해 나타나는 선호 채널의 예시도이다.5 is an exemplary view of a preferred channel shown through the LCD during the radio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통상적으로 휴대폰 장치는 사용자가 이동하며 통화하는 이동통신 장치로 개발되었으며, 휴대폰 가입자들이 계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폰의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에서 더 많은 부가 기능을 수행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이를 수용하기 위해 많은 개발이 이루어져 왔으며, 또한 휴대폰에 많은 기능들이 실장되어 왔다.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사항들 중 하나로 휴대폰 사용자들은 휴대폰에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는 기능이 부가되기를 원하고 있다. 왜냐하면 휴대폰과 라디오를 함께 가지고 다닐 경우 부피가 커지는 문제점과 함께 두가지 기기를 모두 구입해야 하므로 가격적으로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In general, cellular phone devices have been developed as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that users move and talk, and cell phone subscribers are continuously increasing. As the number of mobile phone users increases, mobile phone users want to perform more functions on their mobile phones. Many developments have been made to accommodate this, and many functions have been implemented in mobile phones. One of the requirements of these users is that cell phone users want to add the ability to listen to radio broadcasts. This is because it is expensive to carry both devices together with the bulky problem of carrying a mobile phone and a radio together.

이러한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가진 이동통신 단말기가 개발되었다. 도 1은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본 구성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 자체에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하여 라디오와 이동통신 단말기를 항상 같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order to meet the demands of this era,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reception function has been developed. 1 illustrates an example of applying a basic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orporating a radio receiver. As shown in the drawing, a radio receiver is embed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o that the radio an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n be used together at all times.

그 내부 구성은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지국에서 수신된 신호를 입력하고 송신할 신호를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통신 안테나(1)와, 상기 통신 안테나(1)로부터 수신된 무선주파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거나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통신 안테나(1)로 출력하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와, 라디오 방송국에서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는 라디오수신 안테나(8)와, 상기 라디오수신 안테나(8)를 통해 수신된 신호중 선택된 방송국 신호를 변조하여 출력하는 무선주파 수신부(9)와, 상기 무선주파 송 수신부(2)와 무선주파 수신부(9)에서 송수신을 위해 적절한 변조가 되도록 제어하고 변조된 무선주파신호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디지탈 처리부(10)와, 상기 디지탈 처리부(10)와 사용자 사이의 인터페이싱을 수행하는 인터페이스부(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a communication antenna 1 for inputting a signal received from the base station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and modulating and outputting a radio frequency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antenna 1 Or a radio frequency transceiver 2 for modula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and outputting it to a communication antenna 1, a radio receiving antenna 8 for receiving a signal transmitted from a radio station, and a radio receiving antenna 8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9 modulates and outputs the selected broadcast station signal among the received signals. And a digital processor 10 for converting the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for the user to listen to, and an interface unit 20 for interfacing between the digital processor 10 and the user. It can be seen that formed.

한편, 상기 인터페이스부(20)는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24)와,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별도의 장치이면서 라디오수신 안테나(8)를 내장한 이어폰(25)과, 송신할 때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가 입력되고 라디오를 사용할 때 사용자가 희망하는 주파수신호를 선택하는 키입력부(22)와, 상기 디지탈 처리부(20)의 제어에 의해 키입력부(22)에 입력된 전화번호와 사용자 선택 라디오 주파수를 나타내는 표시창(21)과, 송신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과 통화할 때 사용자의 음성을 신호화하는 마이크로폰(23)으로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interface unit 20 is a speaker 24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 separate device for outputting a voice signal and earphone 25 with a radio receiving antenna 8, and when the user transmits A key input unit 22 for selecting a frequency signal desired by a user when a telephone number is input and using a radio, and a telephone number and user-selected radio frequency input to the key input unit 22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processing unit 20. And a microphone 23 for signaling the user's voice when talking with the other party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이와 같이 구성된 라디오 수신기를 내장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라디오 방송 수신시 사용자가 키입력부(22)를 이용하여 방송국 주파수를 선택하면 디지탈 처리부(20)가 이를 인식하여 표시창(21)에 방송국 주파수를 표시하고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방송신호를 라디오수신 안테나(8)를 통하여 무선주파 수신부(9)에 전달한다. 무선주파 수신부(9)의 신호는 디지탈 처리부(20)의 제어에 따라 방송신호를 적절히 변조하여 디지탈 처리부(20)로 전달하고, 디지탈 처리부(20)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4)로 전달함으로써 라디오 방송을 청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with a radio receiver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When the user selects a broadcast station frequency using the key input unit 22 when receiving a radio broadcast, the digital processing unit 20 recognizes this and displays the broadcast station frequency on the display window 21. The broadcast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roadcast station is received by the radio receiving antenna 8 It is transmitted to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9 through). The signal of the radio frequency receiver 9 is appropriately modulated to the broadcast signal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processor 20, and then transmitted to the digital processor 20. The digital processor 20 converts the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at can be heard by the user. You can listen to the radio broadcast by passing it to (24).

만약, 라디오 방송 청취 도중에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무선주파 신호가 통 신 안테나(1)에 수신되면, 디지탈 처리부(20)의 제어에 따라 라디오 방송은 끊어지고, 수신된 무선주파 신호는 무선주파 송수신부(2)에서 적절히 변조하여 디지탈 처리부(20)에 전달한다. 디지탈 처리부(20)는 사용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24) 또는 이어폰(25)으로 전달하게 된다. 또, 송신의 경우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와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전화번호를 누르면 디지탈 처리부(20)의 제어하에 표시창(21)에 전화번호가 표시되고, 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신호가 무선주파 송수신부(2)에서 변조되어 통신 안테나(1)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기지국에 접속된 후 송신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상대방과 통화시에는 음성 신호를 마이크로폰(23)을 통해 디지탈 처리부(20)와 무선주파 송수신부(2)를 거쳐 통신 안테나(1)로 송출한다.If the radio frequency signal transmitted from the base station is received by the communication antenna 1 while listening to the radio broadcast, the radio broadcast is cut off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processor 20, and the received radio frequency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 In 2), it is properly modulated and transmitted to the digital processing unit 20. The digital processor 20 converts the voice signal into a voice signal that can be heard by the user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speaker 24 or the earphone 25. In the case of transmission, like the conventio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a user presses a telephone number, the telephone numb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21 under the control of the digital processing unit 20, and the signal corresponding to the telephone number is a radio frequency. Modulated by the transceiver 2 and transmitted to the base station through the communication antenna (1). When connected to the base station and talking to the other party corresponding to the transmitted telephone number, the voice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mmunication antenna 1 through the digital processing unit 20 and the radio frequency transceiver 2 through the microphone 23.

이러한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방송 주파수 변경은 키입력부(22)를 통한 직접 입력 방법과, 상·하 방향키를 이용한 스캔 방식이 있다. 스캔 방식의 경우 현재 위치한 채널과 목표 채널 사이에 있는 모든 주파수를 거쳐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제시된 방식이 선호 채널을 미리 설정하고, 그 채널에 할당된 키패드의 숫자를 누르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라디오 채널을 미리 설정해야 하는 점이 번거롭고,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채널의 개수에도 한계가 있어 충분한 대안이 될 수 없다. 또한, 채널을 미리 설정하기 위해서는 채널을 스캐닝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The radio broadcasting frequency change in the terminal includes a direct input method through the key input unit 22 and a scan method using up and down direction keys. In the case of the scan method, it is inconvenient to pass through all frequencies between the currently located channel and the target channel.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proposed method is to set a preferred channel in advance, and press the number of the keypad assigned to the channel. However, this method is cumbersome in that radio channels must be preset, and the number of preset channels can be limited and thus cannot be a sufficient alternative. In addition,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scanning the channel in order to preset the channel.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을 반영한 라디오 채널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channel reception function reflecting a user's taste and a radio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정시간대별 사용자의 청취패턴을 반영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which can reflect a user's listening pattern for a specific time period.

이러한 목적들은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와;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라디오 수신 주파수로 채택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특징으로 한다.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s comprises: a memory dev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And a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a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for adopting one of th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a radio reception frequency.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우선 순위 정보를 갖는 점이다.A featur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has priority information reflecting user preferences.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는 청취내역(history)에 따라 결정되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configuration fea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ing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user's prefere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histories.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청취내역은 주파수 점유시간에 따라 업데이트(update)되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configuration fea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istening history is upd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ccupancy time.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청취내역은 시간대별 주파수 점유시간에 따라 업데이트 (update)되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configuration fea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ing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listening history is upda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occupancy time for each time zone.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주파수 채택은 우선 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점이다.Another detailed configuration featur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ing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frequency adoption can be made automatically according to priority or manually by a user input signal.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또 다른 세부적 구성의 특징은 상기 메모리 장치가 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점이다.Another detailed configuration featur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memory device is a non-volatile memory that can be recorded.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의 특징은 라디오 청취를 위한 수신 주파수 점유시간을 기준으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반영하여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채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A feature of a radio receiv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generating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based on a reception frequency occupancy time for radio listening; It includes a process of adopting a radio reception frequency by reflecting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의 다른 구성의 특징은 라디오 청취를 위한 수신 주파수 점유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 산출된 결과가 반영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 선호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반영하여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채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점이다.Another feature of the radio receiving metho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alculating a reception frequency occupancy time for radio listening; Generating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reflecting the calculated result; Storing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in a memory; It includes a process of adopting a radio reception frequency by reflecting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의 또 다른 구성의 특징은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라디오 수신 모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과정과;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를 읽어 들이는 과정과; 상기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라디오 수신 주파수 로 채택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점이다. Another asp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radio receiving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cognizing a switch to a radio receiving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Reading frequency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radio stations stored in a memory; It is made of a process of adopting any one of the frequency information as a radio reception frequency.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과 그 작용을 설명하며,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상기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by it will be described by at least one embodiment,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its cor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is not limi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구현을 위한 주요 구성요소를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2)와; 상기 메모리(32)에 저장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표시하는 LCD(35)와; 사용자의 선택 의사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키패드(31)와; 상기 키패드(31)를 통해 제공된 신호에 따라 스피커(34)를 통해 출력되는 라디오 방송의 주파수 수신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main compon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receiv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a memory 32 for storing a plurality of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An LCD (35) for displaying a user's favorit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32) so as to be recognized by a user; A keypad 31 for converting a user's selection intention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outputting the converted signal; It includes a control unit 33 for controlling the reception of the frequency of the radio broadcast output through the speaker 34 in accordance with the signal provided through the keypad 31.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청취 패턴을 수신 주파수에 반영하는 것이다. 청취 패턴은 수신 주파수의 점유 시간을 합계하여 추출한다. 아래의 [표 1]은 메모리에 저장된 테이블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즉, 키패드의 숫자 "1~0", "*" 및 "#"에 "a"부터 "l"까지의 채널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고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flects the user's listening pattern on the reception frequency. The listening pattern is extracted by summing up the occupancy time of the reception frequency. [Table 1] below shows an example of a table stored in memory. That is, it is assumed that channel information from "a" to "l" is stored in the numbers "1 to 0", "*" and "#" of the keypad.

선호 채널 설정 상태Preferred Channel Setting Status 1One 채널 aChannel a 22 채널 bChannel b 33 채널 cChannel c 44 채널 dChannel d 55 채널 eChannel e 66 채널 fChannel f 77 채널 gChannel g 88 채널 hChannel h 99 채널 iChannel i 00 채널 jChannel j ** 채널 kChannel k ## 채널 lChannel l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널 i" 방송을 1시간 청취한 경우, 메모리의 테이블은 다음의 [표 2]와 같이 변경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channel i" broadcast for 1 hour, the table of the memory is changed as shown in Table 2 below.

선호 채널 설정 상태Preferred Channel Setting Status 1One 채널 iChannel i 22 채널 aChannel a 33 채널 bChannel b 44 채널 cChannel c 55 채널 dChannel d 66 채널 eChannel e 77 채널 fChannel f 88 채널 gChannel g 99 채널 hChannel h 00 채널 jChannel j ** 채널 kChannel k ## 채널 lChannel l

즉, 선호 채널의 순위가 변경된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채널 m"을 2시간 청취한 경우, 사용자의 선호 주파수가 변경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에 따른 테이블의 변화는 [표 3]과 같다.That is, it can be seen that the rank of the preferred channel has chang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listens to the "channel m" for 2 hours in this state, it is assumed that the user's preferred frequency has changed. The table changes accordingly are shown in [Table 3].

선호 채널 설정 상태Preferred Channel Setting Status 1One 채널 mChannel m 22 채널 iChannel i 33 채널 aChannel a 44 채널 bChannel b 55 채널 cChannel c 66 채널 dChannel d 77 채널 eChannel e 88 채널 fChannel f 99 채널 gChannel g 00 채널 hChannel h ** 채널 kChannel k ## 채널 jChannel j

한편, 시간대별 선호 채널(또는 주파수)에 대한 처리도 가능하다. 즉, 위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한 방법으로 시간대별 채널의 선호도에 따라 키패드의 숫자가 할당되는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때, 할당되는 키패드 숫자는 우선 순위의 개념에 따라 가장 선호하는 채널이 "1"에 다음 순위의 채널은 "2"에 저장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아래의 [표 4]는 메모리 테이블에 저장되는 예를 나타낸 것이다.On the other hand, it is possible to process the preferred channel (or frequency) for each time zone. That is, in a similar manner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aid that the number of the keypad is assigned according to the preference of the channel for each time slot. At this time, the keypad number to be assigned is made in such a way that the most preferred channel is stored as "1" and the next channel is stored as "2" according to the concept of priority. [Table 4] below shows an example of being stored in the memory table.

시간대slot 선호채널Preferred Channel AM 09:00 ~ AM 11:00AM 09:00 to AM 11:00 채널 iChannel i AM 11:00 ~ PM 1:00AM 11:00 ~ PM 1:00 채널 kChannel k ↕↕ ↕↕ ↕↕  ↕↕ PM 3:00 ~ PM 5:00PM 3:00 to PM 5:00 채널 aChannel a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의 진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대기 모드 상태에서(S41) 라디오 수신을 위한 메뉴 또는 기능 키가 동작되면(S42), 메모리로부터 선호 주파수(채널) 정보를 읽어 들인다(S43). 이때, 채널 변경 모드는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와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가 있다. 이 변경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이 가능하다. 자동 설정 여부를 판단한 후(S44), 자동으로 설정된 경우, 메모리 테이블의 최우선 순위에 저장된 채널이 선택된다. 만일 수동으로 설정된 경우라면,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LCD 화면을 통해 메모리에 저장된 선호 주파수 정보를 나타낸다(S45). 사용자가 키패드를 사용하여 입력한 채널 선택신호가 전달되면(S46), 해당 채널을 선택하여 스피커(혹은 이어폰)를 통해 라디오 방송을 출력한다(S47).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a radio recep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ndby mode (S41), when a menu or function key for radio reception is operated (S42), preferred frequency (channel) information is read from the memory (S43). At this time, the channel change mode may be set automatically or manually. This change mode can be set by the user. After determining whether to automatically set (S44), if automatically set, the channel stored in the highest priority of the memory table is selected. If it is set manually, as shown in FIG. 5,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is displayed through the LCD screen (S45). When the channel selection signal input by the user using the keypad is transmitted (S46), the corresponding channel is selected to output a radio broadcast through the speaker (or earphone) (S47).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을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라디오 수신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라디오 수신 방법은 사용자의 청취 내역(history)에 따른 선호 주파수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선택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reception function and a radio recep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an effect of automatically or manually selecting a preferred frequency according to a user's listening history.

Claims (28)

라디오 청취를 위한 수신 주파수 점유시간을 기준으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based on a reception frequency occupancy time for radio listening;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반영하여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채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And a step of adopting a radio reception frequency by reflecting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radio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adop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점유시간은 특정 시간대별로 구분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requency occupancy time is calculated according to a specific time zon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현재 시각의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4. The radio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frequency is automatically adopt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urrent time. 라디오 청취를 위한 수신 주파수 점유시간을 산출하는 과정과;Calculating a reception frequency occupancy time for listening to a radio; 산출된 결과가 반영된 선호 주파수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과;Generating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reflecting the calculated result; 선호 주파수 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과정과;Storing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in a memory; 상기 선호 주파수 정보를 반영하여 라디오 수신 주파수를 채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And a step of adopting a radio reception frequency by reflecting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radio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the frequency is automatically adopted according to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점유시간 산출과정은 특정 시간대별로 구분되어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radio receiving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requency occupancy time calculation process is calculated for each time zon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현재 시각의 선호 주파수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8. The radio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frequency is adopted automatically according to the preferred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current time.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라디오 수신 모드로의 전환을 인식하는 과정과;Recognizing a switch to a radio reception mode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ption function;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를 읽어 들이는 과정과;Reading frequency information of a plurality of radio stations stored in a memory; 상기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라디오 수신 주파수로 채택하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And a step of adopting any one of the frequency information as a radio reception frequency.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는 사용 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우선 순위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has priority information reflecting a user's preferenc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는 청취내역(history)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user's prefere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history.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내역은 주파수 점유시간에 따라 업데이트(upd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1, wherein the listening history is updated according to a frequency occupancy time.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내역은 시간대별 주파수 점유시간에 따라 업데이트(upd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12, wherein the listening history is updated according to a frequency occupancy time for each time zo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우선 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radio recep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frequency adop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according to a priority.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12.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frequency is adopted manually according to a signal input by a user.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과정은,The method of claim 15, wherein the frequency adoption process, 우선 순위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나타 내는 단계와;Displaying priority information through a display device so that a user can recognize the priority information; 사용자의 선택 신호에 대응되는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된 신호를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And outputting a signal received through a frequency channel corresponding to a user's selection signal through a speaker.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신호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숫자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user's selection signal is a numeric signal input through a keypad.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신호는 방향키와 기능키의 조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The method of claim 16, wherein the user's selection signal is a combination signal of a direction key and a function key. 다수의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장치와;A memory device for storing a plurality of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상기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주파수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주파수를 라디오 수신 주파수로 채택하기 위한 일련의 제어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And a control device for performing a series of control operations for adopting one of the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device as a radio reception frequency.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라디오 방송국 주파수 정보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반영된 우선 순위 정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9, wherein the radio station frequency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has priority information reflecting user preferences.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는 청취내역(history)에 따라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0, wherein the user's preference is determined according to a history.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내역은 주파수 점유시간에 따라 업데이트(upd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2.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1, wherein the listening history is updated according to a frequency occupancy time.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청취내역은 시간대별 주파수 점유시간에 따라 업데이트(update)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2, wherein the listening history is updated according to a frequency occupancy time of each time zone.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우선 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라디오 수신 방법.21. The method of claim 20, wherein the frequency adoption is automatic according to priority.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채택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에 따라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1.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0, wherein the frequency is adopted manually according to a signal input by a user.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신호는 키패드를 통해 입력된 숫자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5, wherei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user is a numeric signal input through a keypad.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신호는 방향키와 기능키의 조합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25, wherei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user is a combination signal of a direction key and a function key.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치는 기록할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디오 방송 수신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20.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f claim 19, wherein the memory device is a recordable nonvolatile memory.
KR1020050016844A 2005-02-28 2005-02-28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06280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844A KR100628045B1 (en) 2005-02-28 2005-02-28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6844A KR100628045B1 (en) 2005-02-28 2005-02-28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319A KR20060095319A (en) 2006-08-31
KR100628045B1 true KR100628045B1 (en) 2006-09-26

Family

ID=3762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6844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8045B1 (en) 2005-02-28 2005-02-28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045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02B1 (en) 1999-05-3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Receive Radio Broadcast Signal from Mobile Phon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02B1 (en) 1999-05-31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How to Receive Radio Broadcast Signal from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5319A (en) 2006-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878214B (en)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 and broadcast service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 terminal
US6259931B1 (en) Controlling a communication device with dual-mode telecommunications signaling
KR100689444B1 (e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channel informatio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terminal
US8698620B2 (en)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KR100628045B1 (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a radio broadcast receiving function and a radio receiv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020010005A1 (en) Method for performing voice dialing through ear-microphone in a mobile terminal
JP2001196997A (en) Mobile phone
KR20010027850A (en) Method for automatic answering using character message of mobile wireless set
KR100474183B1 (en) A mobile radio for mobile wireless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0715794B1 (en) How to manage call lis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1135B1 (en) Wireless microphone device and method of mobile terminal
KR101199860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pan Call of Landscape View Mode and the Method
KR100469854B1 (en) Method for reserved tv-phone broadcasting using a classified region-channel scanning
KR20060088960A (en) Radio frequency automatic sett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system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0834659B1 (en) How to send and receive short messages and save phone numbers using multiple phone numbers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00041982A (en) Method for implementing television remote controller function by voice recognition in cellular phone
KR20070011726A (en) Telephone and Digital TV
KR100605964B1 (en) How to store and display incoming / outgoing call information in portable terminal
KR20000040558A (en) Method for receiving radio broadcasting in portable phone inserting radio receiver
KR100678029B1 (en) Multiple channel display method in portable terminal with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reception function
KR100686876B1 (en) Phone number processing method recognized during digital broadcasting reproduction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60002393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radio reception function and radio frequency automatic conversion method using the same
KR19980016364A (en) Multi-call processing metho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20040015914A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and method by bluetooth
KR20000020442A (en) Method for receiving dtmf signal of mobile radio terminal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L13-X000 Limitation or reissue of ip right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L10-L13-lim-X000

U15-X000 Partial renewal or maintenance fee paid modifying the ip right scop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5-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170920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17092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