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7325B1 -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7325B1
KR100627325B1 KR1020040105437A KR20040105437A KR100627325B1 KR 100627325 B1 KR100627325 B1 KR 100627325B1 KR 1020040105437 A KR1020040105437 A KR 1020040105437A KR 20040105437 A KR20040105437 A KR 20040105437A KR 100627325 B1 KR100627325 B1 KR 100627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rate
rate
frame
optimum
experi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6903A (ko
Inventor
이현석
조진웅
전선도
연규정
원윤재
권대길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105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7325B1/ko
Publication of KR2006006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7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7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04W28/22Negotiating communication r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6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simulated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4Registration at HLR or HSS [Home Subscriber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a) 프레임 특성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b) 일부 프레임은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로 전송하고 나머지 프레임은 최적 전송속도와 상이한 실험속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샘플링 구간마다 상기 (b) 단계의 전송 결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전송속도별로 축적하는 단계와; (d) 샘플링 구간이 종료하면 상기 (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험속도에서의 전송 결과가 최적 전송속도에서의 전송 결과보다 양호하면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를 상기 실험속도로 변경한다. 이 때, 상기 (a) 단계는 프레임 유형 및 프레임의 길이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전송 실패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는 경우에 상기 샘플링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802.15.3 통신에서 ISM 대역의 무선 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응 속도 제어, 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브로드캐스트, 최적 전송속도, 실험속도, 샘플링 구간, 고속 무선 PAN

Description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ADAPTIVE CONTROL METHOD OF TRANSMISSION RATE I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SYSTEM}
도 1은 프레임의 특성에 따라 각각의 최적의 전송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분류.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응 전송속도 제어를 위해 사용되는 구조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 전송속도 제어의 작용을 시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프레임의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프레임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의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송 완료후 전송속도 제어 관련 통계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샘플링 구간이 종료할 때 주기적으로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본 발명은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변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무선 개인 무선 네트워크에서 무선채널의 환경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적응 속도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IEEE 802.15 워킹 그룹은 PAN과 같이 짧은 거리로 구성된 네트워크 안에서 이동성 있는 컴퓨팅 디바이스들로 구성된 개인 무선 네트워크(WPAN; Wireless Pesonal Area Network)의 표준을 수립하고 있으며, 홈 오토메이션(Home Automation),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biquitous Sensor Network) 등에 이를 응용하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다.
특히, 최근에 규격이 완성된 802.15.3은 고속 무선 PAN(HR-WPAN; High Rate-WPAN)으로 불리며, 55Mb/s 이상의 고속 데이터 전송률을 요구하는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를 지향하고 있으며, 홈 네트워크(Home Network)에서 무선 멀티미디어 전송을 위해 5m 내지 55m 의 짧은 거리, 55 Mbps 이상의 데이터 전송률, 네트워크 구성 디바이스들의 동적인 토폴로지 구성, 스트림의 QoS 보장을 위한 TDMA 지원, 피어-투-피어 접속성(Peer-to-Peer Connectivity) 등의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802.15.3에서 사용하는 2.3 ㎓ ISM 대역은 공용 통신주파수대역 이어서, 노이즈, 간섭 등의 영향이 상당하며, 시간적인 채널 특성의 변화를 무시할 수 없다. 따라서, ISM 대역을 사용하는 고속 무선 PAN 시스템에서 무선 채 널 환경을 효과적으로 분석하여 적응적으로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성능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802.15.3 표준에 의하면, 이러한 가변 전송속도 제어를 위한 효율적인 절차 또는 방법이 제공되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802.15.3 통신에서 2.3 ㎓ ISM 대역의 채널 특성 변화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속도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으며, 특히 프레임 재전송 횟수, 수신신호세기(RSSI) 등의 통계 정보뿐만 아니라 프레임의 유형 등을 고려하는 효율적 속도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송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a) 프레임 특성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b) 일부 프레임은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로 전송하고 나머지 프레임은 최적 전송속도와 상이한 실험속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샘플링 구간마다 상기 (b) 단계의 전송 결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전송속도별로 축적하는 단계와; (d) 샘플링 구간이 종료하면 상기 (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실험속도에서의 전송 결과가 최적 전송속도에서의 전송 결과보다 양호하면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를 상기 실험속도로 변경한다.
이 때, 상기 (a) 단계는 프레임의 유형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프레임 유형 및 프레임의 길이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 단계는 유니캐스트 프레임인 경우에 해당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의 성능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며,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인 경우에 무선 환경이 가장 열악한 디바이스의 전송속도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험속도는 상기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 실험 속도와, 상기 최적 전송속도보다 낮은 실험속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는 상기 최적 전송속도 및 실험속도에 대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전송된 프레임의 개수를 재전송 횟수별로 카운트하여 상기 통계 정보를 축적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d) 단계는 전송 실패 횟수가 증가하여 무선 환경이 악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샘플링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프레임의 재전송 횟수가 과도하고 당해 프레임의 실제 전송속도가 최적 전송속도 이하이면, 최적 전송 속도를 최저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프레임의 특성에 기초하여 각각의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기 위한 프레임의 분류표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이용하여 최적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결정한다.
첫 번째 분류 기준으로서, 프레임의 유형에 따라 유니캐스트(Unicast) 프레임, 멀티캐스트(Multicast)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으로 분류하고, 각 각에 대하여 최적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결정한다. 유니캐스트(Unicast) 프레임은 수신하는 디바이스의 무선 채널 환경만 고려하면 되므로 일반적으로 높은 전송속도로 전송을 한다. 이에 반하여,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은 다중 스테이션이 수신을 하여야 하므로, 무선 환경이 가장 열악한 디바이스를 고려하여 전송속도를 결정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비교적 낮은 전송속도로 전송을 한다.
두 번째 분류 기준으로서,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최적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세분화하여 결정한다. 이는 긴 프레임보다 짧은 프레임의 수신 확률이 높다는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예컨대, 비컨, 명령 프레임, 200 Byte 이하의 데이터 프레임은 짧은 프레임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200 Byte를 초과하는 데이터 프레임은 긴 프레임으로 분류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유니캐스트 프레임의 경우에는 디바이스의 성능 및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전송속도가 세분화되어 결정되며, 브로드캐스트(멀티캐스트) 프레임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에 따라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전송속도가 세분화되어 결정된다.
한편,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속도의 초기 설정값은 802.15.3 표준에 규정된 바에 따라 각 디바이스의 성능을 확인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이후에는 후술하는 바에 따라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에서 사용하는 구조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적응 전송속도 제어의 작용을 시간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수신 스테이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스테이션 정보 베이스(SIB; Station Information Base)에는 속도 제어를 수행하는 속도제어 항목(rateCtrl)이 포함되며, 전술한 SIB의 속도제어 항목(rateCtrl)에 대응하는 속도제어 구조체(rateCtrl_s)(여기서, "s"는 구조체를 의미하는 structure의 약자임)는 짧은 프레임(Short) 및 긴 프레임(Long)에 대하여 재전송 횟수에 관한 통계 정보를 축적하는 항목(retry_s LongF 및 retry_s ShortF)을 각각 포함하고 있다.
도 2의 우측에 도시된 데이터 구조체는 후술하는 도 4 및 도 5의 전송속도 결정 방법에 따라 축적된 통계 정보를 저장한 것으로서, 각 열은 전송속도에 따른 분류이며, 각 행은 재전송 횟수별로 프레임의 개수를 카운트한 값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짧은(short) 프레임의 통계 정보에 따르면, 세 개의 속도(rate index), 즉 중앙의 최적 전송속도(optimal rate ) 및 이보다 한단계 높거나 낮은 실험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하여 재전송(retry) 횟수를 카운트한 값이 재전송 횟수별로 저장되어 있다. 즉, 중앙의 최적 전송속도의 경우에는 재전송없이 전송이 성공한 프레임이 95개이고, 1회 재전송으로 전송이 성공한 프레임이 15개, 2회 재전송 횟수가 15개로 카운트되어 있다. 만약, 이 상태에서 최적 전송속도로 2번 재전송하여 성공한 프레임이 하나 추가될 경우, 그 카운트 값은 15에서 16으로 증가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최적 전송속도보다 한단계 높은 실험속도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전송없이 전송이 성공한 프레임이 15개이고, 1회 재전송으로 전송이 성공한 프레임이 4개, 2회 재전송 횟수가 1개인 것으로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최 적 전송속도보다 한단계 낮은 실험속도의 경우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재전송없이 전송이 성공한 프레임이 12개이고, 1회 재전송으로 전송이 성공한 프레임이 3개, 2회 재전송된 프레임은 존재하지 않음을 표시하고 있다.
도 2의 통계 정보로부터, 대부분의 프레임(145개)은 최적 전송속도로 전송되고 있으며, 최적 전송속도를 적응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일부 프레임이 실험속도로 전송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있다. 즉, 최적 전송속도로 전송된 프레임은 총 145개(=95+24+15+7+4)이며,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거나/낮은 실험속도로 전송된 프레임은 총 35개[=(15+4+1)+(12+3)]이다.
이어서 도 3을 참조하면, 도 3 하단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통계 정보는 제1 샘플링 구간에서 전술한 통계 정보 구조체의 정보가 시간축 상에서 순차적으로 변화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샘플링 구간이 시작하는 시점에서의 제1 통계 정보는 각 전송속도별 재전송 횟수에 대하여 누적된 카운트 값이 존재하지 않는다. 제1 샘플링 구간에서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이후, 최적 속도 및 실험속도별로 전송 성공(Tx OK) 및 전송 실패(Tx Fail)를 모니터링하여 통계 정보 구조체를 업데이트한 결과가 제2 통계 정보에 표시되어 있다. 제2 통계 정보를 살펴보면, 최적 전송속도에 대하여 재전송 0회인 프레임이 32개, 재전송 1회가 8개, 2회가 5개, 3회가 2개, 4회가 1개 존재한다.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 실험속도에서는 재전송 0회인 프레임이 5개, 1회가 1개 존재하고, 최적 전송속도보다 낮은 실험속도에서는 재전송 0회인 프레임이 4개, 1회가 1개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2 통계 정보가 축적된 시점으로부터 시간이 더욱 경과하여 제3 통계 정보 에 이르면, 전송 실패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최적 전송속도에 대하여 재전송 0회인 프레임이 95개, 재전송 1회가 24개, 2회가 15개, 3회가 7개, 4회가 4개 존재한다. 그리고,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 실험속도에서는 재전송 0회인 프레임이 15개, 1회가 4개, 2회가 1개 존재하고, 최적 전송속도보다 낮은 실험속도에서는 재전송 0회인 프레임이 12개, 1회가 3개 존재하고 있다.
그런데, 가변 전송속도 제어를 위해 통계 정보를 축적하는 시간, 즉 샘플링 구간(Sampling 구간)이 짧으면, 무선 채널의 환경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무선 채널의 일시적인 환경에 지나치게 민감하게 반응하여 오히려 역효과가 생길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샘플링 구간이 너무 길 경우에는 무선 채널의 환경 변화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여 재전송 횟수가 급격히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채널 환경 변화에 따라 샘플링 구간을 가변적으로 결정할 필요가 있다.
최적 샘플링 구간의 결정을 위한 판단 기준으로는 전술한 재전송 횟수에 관한 통계 정보 및/또는 수신신호세기(RSSI)의 통계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전송 실패 횟수가 급격히 증가하거나, 재전송 횟수가 넓게 분포하면 채널 환경에 변화가 발생하였음을 의미하므로, 사전에 설정된 샘플링 구간이 종료하지 않더라도 현재의 샘플링 구간을 종료하고 새로운 샘플링 구간을 개시할 수 있다. 즉, 도 3에서 제3 통계 정보가 축적된 시점에서 통계 정보 구조체의 재전송 횟수별 전송량을 비교한 결과, t1 시점에서 제1 샘플링 구간이 종료하고 새로운 제2 샘플링 구간이 개시되며, 전술한 통계 정보 구조체는 모든 카운트 값이 0인 상태로 초기화된다. 이에 따라, 변화된 채널 환경을 보다 효율적으로 반영하여 최적 전송 속도를 변경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유니캐스트 프레임의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방법(FindTxRate)의 흐름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멀티캐스트 프레임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의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방법(FindTxMbRate)의 흐름도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유니캐스트 프레임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수신 스테이션(디바이스)의 전송속도 정보를 탐색하고(S410),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짧은 프레임과 긴 프레임으로 분류하여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한다(S420). 전술한 단계에 따라 결정된 최적 전송속도로 일정 개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낮은 실험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하여(S430), 전술한 도 2의 통계 정보를 축적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멀티캐스트 프레임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의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신 스테이션(디바이스)별 전송속도를 감안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프레임의 길이에 따라 짧은 프레임과 긴 프레임으로 분류하여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한다(S510). 이어서, 전술한 단계(S510)에서 결정된 최적 전송속도로 일정 개수의 프레임을 전송하고,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낮은 실험속도로 프레임을 전송하여(S520), 통계 정보를 축적한다.
도 6은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 결과에 따라 전송속도 제어 관련 통계 정보를 갱신하는 방법(UpdateRateCtrl)을 도시한 것으로서, 각 프레임의 전송이 완료된 시점, 예컨대, 도 3에서 Tx OK 또는 Tx Fail이 발생되는 시점에서 실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각 디바이스에 대한 전송이 완료되면 통계 정보 갱신을 위한 인터럽트 서비스 루틴(UpdateRateCtrl)이 개시되고, 전술한 바에 따라 축적된 통계 정보에서 재전송 횟수를 고려하여 전송에 사용한 총시간을 계산한다(S610). 이에 따라, 예컨대, 단위 시간당 전송 바이트, 즉 전송속도(txRate)를 산출할 수 있다. 이어서, 단계(S620)는 재전송 횟수가 과도하고, 단계(S610)에서 산출된 실제 전송속도(txRate)가 현재 설정된 최적 전송속도(currentRate) 이하이면, 무선 환경이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판단하여 최적 전송속도를 보다 낮은 속도로 변경하며, 이 때 바람직하게는 최저 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S630). 이러한 최적 전송속도의 변경은 도 2의 전송제어 구조체에 반영된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현재 설정된 최적 전송속도를 그대로 유지한다.
도 7은 샘플링 구간이 완료될 때 주기적으로 통계정보를 이용하여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방법(RateCtrlCore)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에 따라 샘플링 구간이 완료되면(도 3의 t1, t2, t3), 최적 전송속도 및 실험속도에 대하여 각각의 총전송량을 계산한다(S710). 그리고,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의 변경 여부를 판단한다(S720). 예컨대, 단계(S710)에서 계산된 총전송량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 시간당 전송량(throughput)이 최적 전송속도보다 실험속도에서 보다 높게 나타날 경우, 최적 전송속도를 당해 실험속도로 변경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계(S720)에 후속하여, 전술한 통계 정보를 초기화하며(S730), 이에 따라 새로운 샘플링 구간에 대한 통계 정보가 축적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여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802.15.3 통신에서 ISM 대역의 무선 환경 변화에 효율적으로 대처하여 전송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특히 프레임 재전송 횟수, 프레임의 유형 등의 정보를 함께 고려하고 샘플링 구간을 가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급격한 채널 환경 변화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6)

  1.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전송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 프레임 특성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b) 일부 프레임은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로 전송하고, 나머지 프레임은 최적 전송속도와 상이한 실험속도로 전송하는 단계와,
    (c) 샘플링 구간마다 상기 (b) 단계의 전송 결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전송속도별로 축적하는 단계와,
    (d) 샘플링 구간이 종료하면 상기 (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하고, 실험속도에서의 전송 결과가 최적 전송속도에서의 전송 결과보다 양호하면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를 상기 실험속도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프레임의 유형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프레임 유형 및 프레임의 길이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 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유니캐스트 프레임인 경우에, 해당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의 성능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며,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인 경우에, 무선 환경이 가장 열악한 디바이스의 전송속도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속도는 상기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 실험 속도와, 상기 최적 전송속도보다 낮은 실험속도를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상기 최적 전송속도 및 실험속도에 대하여, 상기 (b) 단계에서 전송된 프레임의 개수를 재전송 횟수별로 카운트하여 상기 통계 정보를 축적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전송 실패 횟수가 증가하여 무선 환경이 악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샘플링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프레임의 재전송 횟수가 과도하고 당해 프레임의 실제 전송속도가 최적 전송속도 이하이면, 최적 전송 속도를 최저 속도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9.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속도를 가변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aa) 프레임 특성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bb) 일부 프레임은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로 전송하고, 나머지 프레임은 최적 전송속도와 상이한 실험속도로 전송하는 단계와,
    (cc) 샘플링 구간마다 상기 (bb) 단계의 전송 결과에 대한 통계 정보를 전송속도별로 축적하는 단계와,
    (dd) 샘플링 구간이 종료하면 상기 (c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하고, 실험속도에서의 전송 결과가 최적 전송속도에서의 전송 결과보다 양호하면 해당 프레임의 최적 전송속도를 상기 실험속도로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a) 단계는 프레임의 유형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aa) 단계는 프레임 유형 및 프레임의 길이별로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IEEE 802.15. 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aa) 단계는,
    유니캐스트 프레임인 경우에, 해당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디바이스의 성능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며,
    멀티캐스트 및 브로드캐스트 프레임인 경우에, 무선 환경이 가장 열악한 디바이스의 전송속도에 따라 최적 전송속도를 결정하는 것인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3.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실험속도는 상기 최적 전송속도보다 높은 실험 속도와, 상기 최적 전송속도보다 낮은 실험속도를 포함하는 것인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cc) 단계는
    상기 최적 전송속도 및 실험속도에 대하여, 상기 (bb) 단계에서 전송된 프레임의 개수를 재전송 횟수별로 카운트하여 상기 통계 정보를 축적하는 것인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5.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dd) 단계는,
    전송 실패 횟수가 증가하여 무선 환경이 악화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샘플링 구간을 종료하고 상기 (cc) 단계에서 축적된 통계 정보를 비교하는 것인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16.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bb) 단계는
    프레임의 재전송 횟수가 과도하고 당해 프레임의 실제 전송속도가 최적 전송속도 이하이면, 최적 전송 속도를 최저 속도로 변경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IEEE 802.15.3 통신 시스템에서의 가변 전송속도 제어 방법.
KR1020040105437A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KR100627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437A KR100627325B1 (ko)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437A KR100627325B1 (ko)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903A KR20060066903A (ko) 2006-06-19
KR100627325B1 true KR100627325B1 (ko) 2006-09-25

Family

ID=37161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437A KR100627325B1 (ko) 2004-12-14 2004-12-14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73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09398A (ko) * 2008-04-15 2009-10-20 주식회사 캐스트이즈 적응형 가변속도 컨텐츠 전송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903A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942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channel medium access control protocol
US20200162316A1 (en) Optimization of distributed wi-fi networks estimation and learning
CN102210118B (zh) 用于多播通信的数据速率自适应的方法
KR10112595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과 기록 매체
US5721733A (en) Wireless network access scheme
JP4005599B2 (ja) 無線ネットワークでの帯域幅管理
US20080285489A1 (en) Redundant radio frequency network having a roaming terminal communication protocol
US20080222478A1 (en) Retransmission metho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627885B1 (ko) 랜덤 액세스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링크(들)의 채널 손실률 및 충돌 손실률의 계산을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93208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ference avoidance and network coexistence in wireless systems
US20050141547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dapting priority for transmitting packets in WPAN
CN110049451B (zh) 一种面向野外的移动自组网信息回传的方法、装置和系统
US20130308451A1 (en)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CN106060955B (zh) 基于三类服务的无线传感器网络mac协议轮询控制方法
WO2011006336A1 (zh) 一种基于tdd制式的数据传输方法和装置
Alonso et al. MAC-PHY Enhancement for 802.11 b WLAN Systems via Cross-layering
EP2337383A1 (en) System for distributing broadband wireless signals indoors
KR100627325B1 (ko) 개인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적응 전송속도 제어 방법
US11784723B2 (en) Method for implementing many-to-one concurrent transmission medium access control (MAC) protocol for underwater acoustic networks
US7411933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radio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22039447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cket detail detection and precision blocking
Lertpratchya et al. Fast and accurate link discovery integrated with reliable multicast in 802.11
Klein Performance issues of MAC and routing protocols in wireless sensor networks
Burich A cross layer analysis of harq protocols in wireless networks
Sankaranarayanan et al. Enhancing wireless spectrum utilization with a cellular-ad hoc overlay archite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