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526B1 -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526B1
KR100626526B1 KR1020050017371A KR20050017371A KR100626526B1 KR 100626526 B1 KR100626526 B1 KR 100626526B1 KR 1020050017371 A KR1020050017371 A KR 1020050017371A KR 20050017371 A KR20050017371 A KR 20050017371A KR 100626526 B1 KR100626526 B1 KR 1006265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73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96675A (ko
Inventor
장현희
임형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173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526B1/ko
Publication of KR2006009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5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3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flexing of blade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폰북을 활성화하여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 요청한 후 그에 대한 응답 메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양정보를 참조하여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폰북(phone book)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폰북에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시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폰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을 미리 확인한 후 상기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실행하여, 상대방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였음에도 자신에게 서비스 이용료가 과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방이 제공받지 못하는 메시지 작성이나 호 연결을 위하여 시간을 낭비 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METHOD FOR MANAGING A PHONEBOOK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1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
도2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3a 및 도3B는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에서, 활성화된 폰북 기능에서 지원하는 메뉴의 예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통신 단말기 20 : BTS/BCS
30 : MSC 40 : HLR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폰북(phone book)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폰북에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시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폰북에 아이콘으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을 미리 확인한 후 상기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실행하여, 상대방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였음에도 자신에게 서비스 이용료가 과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방이 제공받지 못하는 메시지 작성이나 호 연결을 위하여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메모리의 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근에는 단말기 내에 수 백에서 수 천에 이르는 전화번호를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게 되었고, 그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폰북(phone book), 전화번호부 등으로 불리는 응용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다수의 등록자에 대하여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검색하거나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종래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전화번호부 등에는 그에 등록된 상대방과 관련된 인적정보만 저장될 뿐, 해당 상대방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지원되는 기능에 대한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아,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전송하거나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를 연결하는 경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서비스를 처리하는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면, 발신자는 서비스 이용료가 과금되나 수신자는 해당 서비스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만일, 이동통신 사업자가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를 지원하지 않음을 발신자에게 알려주거나 과금을 하지 않더라도, 발신자는 적어도 한 번은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거나 영상 호 연결을 시도하여야 하므로, 메시지 작성, 호 연결을 위한 시간 낭비가 발생하고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폰북(phone book)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폰북에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시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 스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폰북에 아이콘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폰북을 활성화하여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 요청한 후 그에 대한 응답 메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양정보를 참조하여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의 동작과정을 보인 순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폰북을 활성화하여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 요청한 후 그에 대한 응답 메시시를 수신하는 단계(S10∼S13)와; 상기 수신된 사양정보를 참조하여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S14)와; 상기 확인 결과,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 를 지원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생성하고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폰북 데이터만을 저장하는 단계(S15,S16)와; 추가적으로 등록할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여 휴대폰 번호 혹은 이메일 주소, 팩스번호 등을 등록받는 단계(S17,S18)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은 다수의 등록자에 대하여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검색하거나 관리하는 폰북(phone book)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폰북에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시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폰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을 미리 확인한 후 상기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실행하여, 상대방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였음에도 자신에게 서비스 이용료가 과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방이 제공받지 못하는 메시지 작성이나 호 연결을 위하여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네트워크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통신 단말기(10), BTS/BSC(Base station Transceiver System/Base Station Controller)(20), MSC(Mobile Switching Center)(30), HLR(Home Location Register)(40)로 구성한다.
이동통신 단말기(10)는 BTS/BSC(20), MSC(30) 및 HLR(40)을 포함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측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여 음성통화 혹은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는데, 다수의 등록자에 대하여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검색하거나 관리하는 폰북 기능을 제공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폰북에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시 주제어부(MSM, Mobile Station Modem)에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 등록하고자 하는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를 요청한 후 그 사양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고, 그 수신된 사양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폰북에 표시한다.
BTS/BSC(2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과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고, MSC(30)는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20)의 호 연결 요청이나 특정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 요청을 처리하며, HLR(40)은 가입자가 등록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비롯한 서비스 영역 내의 가입자 정보를 관리한다.
한편, 본 발명의 동작과정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메뉴를 이동하여 폰북 기능을 활성화 한다(S10).
상기 이동통신 단말기(10)에서 활성화된 폰북 기능에서 지원하는 메뉴는, 도 3의 a와 같이, 다수의 상대방에 대하여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등을 저장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통상적으로 영상 통화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등은 '휴대폰 번호'를 이용하여 제공받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폰북 메뉴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위치에 해당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를 아이콘(icon)으로 표시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활성화된 폰북 메뉴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에서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경우(S11), 상기 '휴대폰 번호'를 기재하기 전후중 어느 시점에 이동통신 단말기(10) 내 주제어부에서 BTS/BSC(20) 및 MSC(30)를 통해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이용하여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 전송한 후(S12), 다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S13).
여기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라 함은,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이동통신 시스템측에 서비스 등록할시 자신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종을 등록하면, 이동통신 사업자가 지원하는 각종 부가 서비스 중에서 해당 단말기의 기종에 의해 해당 가입자에게 지원 가능한 서비스를 말하는 것으로, HLR(40)의 가입자 정보에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등록하는 별도의 필드를 설정하여 MSC(30)에서 상기 단계(S12)와 같이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요청받을시 상기 HLR(40)을 검색하여 상기 단말기 사양정보를 요청한 이동통신 단말기(10)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통신 단말기(10)의 주제어부에서, 상기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참조하여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여(S14),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으면, 도3의 b와 같이, 해당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폰북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에 삽입하는데, 특히 폰북 메뉴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 '휴대폰 번호'를 기재하는 위치에 생성하여 표시한 후 상기와 같은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의 변경 사항을 폰북 데이터로 저장한다(S15).
반면, 상기 확인 결과,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없으면, 현재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에 기재된 '휴대폰 번호'만을 폰북 데이터로 저장하며(S16), 이때 폰북 데이터로 저장하기 전에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해당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없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창을 출력할 수도 있다.
그리고, 주제어부는 현재 폰북 메뉴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에 추가적으로 등록할 정보가 있는지 확인하여(S17), 추가적으로 등록할 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과정(S11∼S16)을 반복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폰북 메뉴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에서 별도의 집전화번호, 사무실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팩스번호 등을 등록받는다(S18).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가 폰북에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제어부는, 폰북 데이터 상에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에 추가된 아이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별도의 필드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저장한 후 이에 해당하는 아이콘을 설정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폰북(phone book) 기능을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폰북에 상대방의 휴대폰 번호를 등록할시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부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사양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등과 같은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여부를 폰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을 미리 확인한 후 상기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를 실행하여, 상대방이 해당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였음에도 자신에게 서비스 이용료가 과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대방이 제공받지 못하는 메시지 작성이나 호 연결을 위하여 시간을 낭비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폰북을 활성화하여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경우,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측으로 요청한 후 그에 대한 응답 메시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사양정보를 참조하여 상대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특정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지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확인 결과, 특정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는 경우, 이를 나타내는 아이콘을 생성하여 폰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양에 따라 제한되는 서비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서비스는, 영상 통화(Video Call) 서비스,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폴리(poly) 화음 멜로디 전송 서비스, 해상도에 맞는 이미지 전송 서비스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폰북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콘은, 폰북의 전화번호 등록을 위한 입력창 내 휴대폰 번호를 등록하는 영역 내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KR1020050017371A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KR1006265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71A KR100626526B1 (ko)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7371A KR100626526B1 (ko)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75A KR20060096675A (ko) 2006-09-13
KR100626526B1 true KR100626526B1 (ko) 2006-09-20

Family

ID=37624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7371A KR100626526B1 (ko) 2005-03-02 2005-03-02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52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675A (ko)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8655B1 (ko) 이동 호들에 대한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호출영상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8213969B2 (en) Mobile terminal for chatting by using SMS and method thereof
JP4723841B2 (ja) モバイル・トゥー・モバイル・ビデオ機能をネットワークに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0691128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불능 대처방법 및 그 이동통신단말기
KR20050039367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주소록 자동 등록 방법
WO201106164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ormatting telephone numbers
JP2008005125A (ja) 携帯電話端末装置
US20030074412A1 (en) Electronic mail communication system and portable terminal for the same
CN101959158A (zh) 一种彩铃的实现方法、系统及装置
KR100779369B1 (ko) 다중 전화번호 서비스 가입, 변경 및 해지 방법
US20070105541A1 (en) Method of control of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KR100521033B1 (ko) 메시지 릴레이 전송 방법
KR100754449B1 (ko) 착신 단말기의 발신자 개인 정보 전달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562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폰북 정보 자동변경 방법
WO2005004448A1 (en) Caller id service system and the method
KR1006265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폰북 관리 방법
KR100646377B1 (ko) 스팸 호 수신 거부 시스템 및 방법
KR10103368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메시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시스템, 그리고 메시지 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이동통신 단말
KR20030020530A (ko) 이동단말기의 데이터 저장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067242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메시지 작성방법
KR101064709B1 (ko) 사용자별로 대응되는 대표 번호 서비스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880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KR10081924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개수 표시 방법
KR101014752B1 (ko) 해외 로밍 서비스에서 패킷 기반 문자 메시징을 우선적으로지원하는 이동 단말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