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6064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6064B1
KR100626064B1 KR1020050022938A KR20050022938A KR100626064B1 KR 100626064 B1 KR100626064 B1 KR 100626064B1 KR 1020050022938 A KR1020050022938 A KR 1020050022938A KR 20050022938 A KR20050022938 A KR 20050022938A KR 100626064 B1 KR100626064 B1 KR 10062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disposed
dielectric lay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2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종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2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60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6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4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in sheet-like materials, e.g. sheet-metal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fixed directly to the wall by means of magnets, hook and loop-type or similar fasteners, not necessarily involving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기판상에 어드레스전극만을 덮도록 전면 유전체층을 형성하여 패널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전면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 기판과 함께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내에 매립된 Y 전극과; 상기 배면 기판상에 배치되는 X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상에 배치되는 어드레스전극과; 상기 X 전극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상에 배치되는 배면 유전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상기 전면기판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전면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 공간내에 도포된 형광체를 포함한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식각되어 제거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방전 셀에 대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방전 셀에 대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일부 절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유지전극들과 어드레스전극들의 배열상태를 도시한 부분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200...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10...전면 기판
220...배면 기판 230...어드레스 전극
241, 245...유전체층 250... 격벽
261...X 전극 265...Y 전극
270...형광체 280...보호막층
본 발명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기판상에 어드레스전극만을 덮도록 전면 유전체층을 형성하여 패널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 사이에 밀봉된 방전 가스를 방전시키고, 방전에 의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형광체층을 여기시켜 원하는 화상을 구현하는 평판 표시 장치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채용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대화면을 가지면서도,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우수한 광시야각의 특성을 갖으며, 다른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해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대형화가 용이하여 차세대 대형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각광을 받고 있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 셀에 인가하는 구동 전압에 따라 직류(DC)형, 교류(AC)형 및 혼합형(hybrid)으로 분류되고, 전극들의 배열에 따라 대향 방전형 및 면 방전형으로 분류된다.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모든 전극들이 방전 공간에 노출되는 구조로서, 대응 전극들 사이에 전하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진다. 반면에,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적어도 한 전극이 유전체층에 매립되고,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에 직접적인 전하의 이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대신에 벽전하(wall charge)의 전계에 의해 방전이 수행된다.
한편, 대향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단위 픽셀마다 어드레스 전극과 유지 전극이 대향하여 마련되고, 두 전극간에 어드레싱 방전 및 유지 방전이 일어나는 방식이다. 반면에, 면 방전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 단위 픽셀마다 어드레스 전극과 그에 해당되는 X 및 Y 전극이 마련되어 어드레싱 방전과 유지 방전이 발생하게 되는 방식이다.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대응하는 전극들 사이에서 전하의 이동이 직접적으로 이루어져, 심각한 전극손상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으로 인하여, 최근에는 교류형 면방전 구조를 갖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채용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단위 방전 셀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전면 기판(110)과 이와 대향되게 배치된 배면 기판(120)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 기판(110)의 내표면에는 X 전극(161) 및 Y 전극(165)과, 상기 X 및 Y 전극(161), (16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버스 전극(163)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전면기판(110)의 내표면에는 상기 X 전극(161) 및 Y 전극(165)과 버스 전극(163)을 덮도록 전면형성된 전면 유전체층(145)과, 상기 전면 유전체층(145)의 표면에 코팅되는 보호막(180)을 구비한다.
상기 배면 기판(120)의 내표면에 형성되며 상기 X 및 Y 전극(161), (165)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된 어드레스 전극(130)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130)을 덮도록 배치되는 배면 유전체층(141)을 구비한다. 상기 전면 및 배면 기판(110), (120)사이에 배치되는 격벽(150)에 의해 방전공간(190)이 한정되고, 상기 격벽(150)과 전면기판(110) 및 배면기판(120)에 의해 한정되는 방전공간(190)에 형광체층(170)이 배치된다.
종래의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배면기판(120)상에 어드레스전극(130)이 형성되고 전면기판(110)상에 X 및 Y 전극(161), (165)이 형성되어 어드레싱동작에 의해 선택된 방전셀에서 유지방전이 일어나 가시광을 전면기판으로 방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에서, 어드레스전극 또는 X 및 Y 전극을 둘러싸는 유전체층의 두께는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간의 캐패시턴스 또는 어드레스전극과 X 및 Y 전극간의 캐패시턴스값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전극들을 둘러싸는 유전체층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면 패널의 캐패시턴스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패널의 온도가 증가하고 변위전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패널상의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간의 캐패시턴스의 불안정으로 인하여 단자부에서 발열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TCP(tape carrier package)의 단자부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100)은 전면기판(110)에는 ITO 막으로 된 X 및 Y 전극과 금속박막의 버스전극 그리고 상기 전극들을 덮도록 유전층이 두껍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방전공간(190)의 형광체(170)에서 발광된 가시광이 전면기판(110)을 통과하는 가시광의 투과율이 현격히 떨어져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조할 때, 격벽에서 불량이 발생된 경우에는 격벽중 불량이 발생된 부분을 임의로 제거한 다음, 새로이 격벽을 부분적으로 재생하는 수리공정을 통하여 격벽불량을 치유하였다. 그러나, 격벽중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가로격벽이 무너진 경우, 수리공정을 통하여 무너진 가로격벽을 제거할 때, 배면기판상에 배열된 어드레스전극이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어드레스전극의 손상은 폐기성 패널불량으로 되어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면기판상에 어드레스전극만을 덮도록 전면 유전체층을 선택적으로 형성하여 패널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키고 이로 인하여 패널의 온도증가 및 변위전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유전체층을 어드레스전극을 제외한 부분에서 제거하여 가시광의 가시광의 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지전극을 배면기판과 격벽내에 배치하여 가시광의 투과효율을 향상시켜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어드레스전극을 전면기판상에 형성하여 격벽불량을 재생하는 수리공정시 어드레스전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전면 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 기판과 함께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내에 매립된 Y 전극과; 상기 배면 기판상에 배치되는 X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상에 배치되는 어드레스전극과; 상기 X 전극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상에 배치되는 배면 유전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상기 전면기판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전면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 공간내에 도포된 형광체를 포함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식각되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면 유전체층은 상기 X 전극을 덮도록 배면기판상에 부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Y 전극은 방전공간을 따라 격벽내에 배치되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벽은 유전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위 방전셀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3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에 있어서, II-II 선에 따른 단면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전면기판(210)과, 상기 전면 기판(210)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배면기판(220)을 포함한다. 상기 전면기판(210)은 PbO, SiO2, B2O3 등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투명한 유리기판을 포함한다. 상기 배면기판(220)도 상기 전면기판(210)과 마찬가지로 투명한 유리기판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배면기판(220)은 방전셀의 방전공간(290)내에서 발생하는 가시광이 진행하는 경로상에 위치하지 않으므로, 반드시 투명 유리기판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 등과 같은 기판부재를 구비할수도 있다. 상기 전면기판(210)과 배면기판(220)은 프릿트 글라스(frit glass)에 의하여 상호 봉합된다.
배면 기판(220)의 내측 표면에는 X 전극(261)이 배치된다. 상기 X 전극(261)은 Y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X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다. 상기 X 전극(261)은 각 단위 방전 셀의 방전공간(290)마다 배열된다. 상기 X 전극(261)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100)과는 달리 방전공간(29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이 진행하는 광경로상에 배열되지 않고 배면기판(210)의 저면에 배치되므로, 반드시 ITO 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X 전극(261)은 Ag, Cu 등과 같은 도전성이 우수한 금속박막을 포함한다.
배면기판(220)상에는 배면 유전체층(241)이 형성되는데, 배면 유전체층(241)은 상기 X 전극(261)만을 덮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배면 유전체층(241)은 PbO, B2O3, SiO3 등과 같은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 면유전체층(241)이 상기 X 전극(261)만을 덮도록 배면기판상에 형성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기판전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전면기판(210)의 내측 표면에는 어드레스전극(230)이 형성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230)은 X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Y 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스트라이프 형상을 갖는다. 상기 어드레스전극(230)은 ITO와 같은 투명도전막을 포함하거나 또는 Ag, Au, Cu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박막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기판(210)의 내측 표면에는 전면 유전체층(245)이 형성되는데, 상기 전면 유전체층(245)은 상기 어드레스전극(230)만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 유전체층(245)도 배면 유전체층(241)과 마찬가지로 PbO, B2O3, SiO3 등과 같은 유전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에서는, 전면 유전체층(245)이 전면기판(210)상에 어드레스전극(230)만을 덮도록 나머지 부분에서는 식각되어 제거되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면 유전체층(245)의 에지부분(246)에 전계가 집중된다. 이에 따라 어드레스방전 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방전 공간(290)과 전면 기판(210)의 내표면에는 종래와 같이 유지 전극 그리고 유지전극을 매립하기 위한 유전체층과 상기 유전체층의 내측면에 코팅된 보호막층이 형성되지 않으며, 게다가 전면 유전체층(245)은 절연파괴를 견딜 수 있는 최소한의 두께만을 확보하고 어드레스전극(230)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서는 식각되어 제거되므로, 방전공간(290)에서 발생되는 가시광이 전면기판 (210)의 전면 유전체층(245)을 통하지 않고 방출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패널(200)의 개구율이 증대하고, 방전공간(29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의 방출효율이 증대하여 발광휘도를 증대시키게 된다.
또한, 전면기판(210)의 내측 표면에 어드레스전극(230)을 형성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230)만을 덮도록 전면 유전체층(245)을 형성하여 줌으로써, 전면기판(210)에서의 유전체층의 두께를 감소시켜 준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간의 캐패시턴스 및 어드레스전극과 유지전극간의 캐패시턴스 등과 같은 패널의 캐패시턴스가 감소하게 된다. 패널의 캐패시턴스 감소에 따라 패널의 온도 증가 및 변위전류의 증가를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어드레스 전극(230)은 방전이 개시될 방전공간(290)을 선택하는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각각의 방전공간(290)에 대응하도록 스트라이프 형태의 패턴을 갖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방전공간(29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어드레스전극(230)을 90°회전시켜 도시한 것이다. 즉, 도 2에서는 어드레스전극(230)이 X 전극(261)과 나란하게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도 3에서와 같이 X 전극(261)과 교차하는 방향 즉, X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된다.
전면기판(210)의 전면 유전체층(245)과 배면기판(220)의 배면 유전체층(241)사이에는 복수의 방전공간(290)을 형성하고, 셀간의 크로스토크(cross-talk)를 방지하기 위한 격벽(250)이 배치된다. 상기 격벽(250)내에는 Y 전극(265)이 배치된 다. 상기 Y 전극(265)은 방전공간(290)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어드레스전극(230)과 교차하는 방향, 즉 Y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Y 전극(265)은 종래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100)과는 달리 방전공간(290)으로부터 발생되는 가시광이 진행하는 광경로상에 배열되지 않고 격벽(250)내에 배치되므로, 반드시 ITO 와 같은 투명전극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Y 전극(265)은 Ag, Cu 등과 같은 도전성 금속박막으로 형성한다.
도 3에는 격벽(250)은 전면기판(210)에 배열되어 내부에 Y 전극(265)이 배치되는 전면 격벽(251)과 배면기판(220)에 배열되어 내측 면에 형광체층(270)이 도포되는 배면격벽(255)을 구비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격벽(250)은 일체형으로 형성가능하다.
상기 격벽(2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어드레스 전극(230)과 직교하는 방향 즉, Y 방향으로 배치된 세로 격벽(250a)과, 상기 어드레스 전극(230)과 나란한 방향 즉, X 방향으로 배치된 가로 격벽(250b)을 포함한다. 상기 세로 격벽(250a)과 가로 격벽(250b)으로 구성되는 격벽(250)은 격자형태를 가지며, 상기 격벽(250)에 의해 다수의 방전공간(290)을 한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격벽(250)이 격자형태를 갖으며, 상기 격벽(250)에 의해 한정되는 방전공간(290)이 사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격벽(250)은 복수개의 방전공간(290)을 형성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격벽(250)은 스트라이프타입 또는 미앤더타입(meander type) 등과 같은 개방형 격벽형태 뿐만 아니라 매트릭스 또는 델타타입등과 같은 폐쇄형 격벽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폐쇄형 격벽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격벽(250)에 의해 형성되는 방전공간(290)은 사각형이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뿐만 아니라 원형 또는 타원형 등과 같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배면 유전체층(241)상부에 격벽(250)이 배치되도록 구성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배면유전체층(241)이 X 전극(261)만을 덮도록 배면기판(220)상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격벽(250)은 배면기판(220)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격벽(250)은 Pb, B, Si, Al 및 O 등과 같은 원소를 포함하는 유리성분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ZrO2, TiO2 및 Al2O3 와 같은 필러(filler)와 Cr, Cu, Co, Fe, TiO2 등과 같은 안료가 포함되는 유전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격벽(250)은 Y 전극(265)에 펄스전압이 제공되는 경우에는 하전입자를 유도하여 방전에 참여하는 벽전하를 유도함으로써 메모리효과등을 통한 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방전시에는 가속되는 하전입자의 충돌로 인하여 상기 Y 전극(26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방전공간(290)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로격벽(250b)과 세로격벽(250a)에 의해 구획되는 것으로서, 상기 방전공간(290)사이에는 방전이 일어나지 않는 비방전영역(295)이 배치된다. 상기 비방전영역(295)은 다수의 방전공간(290)중 어드레스전극(230)과 교차하는 방향, 즉 Y 방향으로 배열되는 이웃하는 방전공 간(290)사이에 배치되고, 어드레스전극(230)과 나란한 방향 즉, X 방향으로 배열된다. 상기 비방전영역(295)은 방전영역(290)과 동일한 형상을 갖거나 또는 다른 형상을 가질 수도 있을 뿐만 아니라,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구조 및 배열상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 및 배열상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유지 전극(260)은 방전공간(290)을 둘러싸도록 격벽(245)내에 배치되는 Y전극(265)과, 배면기판(220)상에 배열되는 X 유지전극(261)을 구비하는데, 상기 X전극(261) 및 Y 전극(265)은 예를 들어 인쇄법, 샌드블라스트법, 증착법, 에칭법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유지전극(260)인 X전극(261)은 배면기판의 내측 표면상에 배열되고, Y전극(265)은 격벽(250)의 상부에 매립되도록 배열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X전극(261)과 Y전극(265)은 방전공간(290)내에서 면방전을 발생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 및 위치 등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격벽(250)에 의해 구획된 방전 공간(290)내에는 방전 가스로부터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하여 여기되어 가시광을 방출하는 형광체층(270)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이 풀칼라 화상을 구현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방전 셀에는 각각 적, 녹, 청색의 형광체층(270)이 도포된다. 이때, 적색발광 형광체로는 Y(V,P)O4:Eu 등이 있고, 녹색발광 형광체로는 ZnSiO4:Mn, YbO3:Tb 등이 있으며, 청색발광 형광체로는 BAM:Eu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그밖에도 다양한 형광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형광체층(270)은 방전 공간의 어느 면에도 코팅될 수 있으나, 형광체층(270)으로부터 방출되는 가시광의 투과율 등을 고려할 때 상기 유지 전극(260)이 형성된 격벽(250) 하부 및 측벽의 내측에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공간(290) 중 배면기판(220)쪽의 저면과 측면하부를 덮도록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250)의 내표면에는 격벽(250)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층(280)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막층(280)은 상기 격벽(250)의 절연 파괴를 방지하고, 2차 전자 방출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산화 마그네슘(MgO)을 포함한다.
한편, 방전공간(290) 내부에는 10% 정도의 제논(Xe)가스를 포함한 네온(Ne), 헬륨(He) 또는 아르콘(Ar) 가스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중 둘 이상의 혼합가스로 이루어진 방전가스가 충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어드레스전극(230)과 유지전극(260)중 Y 전극(265)에 소정의 어드레스방전 전압이 인가되면, 다수의 방전공간(290)중 해당하는 방전공간이 선택되고, 선택된 방전공간(290)의 Y 전극(265)상에 어드레스방전에 의해 벽전하(wall charge)가 형성된다.
이어서, 벽전하가 형성된 상태에서 X 전극(261)과 Y 전극(265)에 상기 X 전극에 소정의 유지방전 전압을 인가하면, 유지방전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유지방전에 의해 발생된 전하들이 방전공간(290)내의 방전가스 원자와 충돌하면서 방전 을 일으켜 플라즈마를 생성한다. 상기 방전에 의하여 생성된 자외선은 각 방전 공간(290)에 도포되어 있는 형광체층(270)의 형광 물질을 여기시켜 가시광을 발생하게 되고, 발생된 가시광은 방전 공간(290)으로 방사되어서 원하는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따르면, 배면기판의 내표면과 격벽내에 X 및 Y전극이 배열되고 전면기판의 내표면에 어드레스전극이 배열되는 구조에서, 전면 유전체층이 어드레스전극만을 덮도록 나머지 부분은 식각되어 제거되므로, 이웃하는 어드레스전극간의 캐패시턴스 및 어드레스전극과 유지전극간의 캐패시턴스 등과 같은 패널의 패널의 캐패시턴스를 감소시켜 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패널의 온도증가 및 변위전류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자부에서의 발열현상을 방지하여 단자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패터닝된 전면 유전체층의 에지부분에 전계집중현상이 발생하여 어드레싱전압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면기판의 내표면에 유전체막이 전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어드레스전극만을 덮도록 부분적으로 형성되므로, 패널의 개구율을 향상시키고, 가시광의 투과효율을 증대시켜 줄 수 있다. 그러므로, 동일한 구동전압에서 발광휘도를 증가시켜 줌으로써 패널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어드레스전극을 전면기판상에 형성하 므로 격벽불량을 재생하는 수리공정시 어드레스전극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서로 대향되게 배치된 전면기판 및 배면 기판과;
    상기 전면 기판과 배면 기판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전면기판 및 배면 기판과 함께 방전 공간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격벽내에 매립된 Y 전극과;
    상기 배면 기판상에 배치되는 X 전극과;
    상기 전면 기판상에 배치되는 어드레스전극과;
    상기 X 전극을 덮도록 상기 배면기판상에 배치되는 배면 유전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도록 상기 전면기판상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는 전면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 공간내에 도포된 형광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 유전체층은 상기 어드레스전극을 덮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식각되어 제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유전체층은 상기 X 전극을 덮도록 배면기판상에 부분적으로 배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Y 전극은 방전공간을 따라 격벽내에 배치되며, 어드레스전극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유전체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패널.
KR1020050022938A 2005-03-19 2005-03-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938A KR100626064B1 (ko) 2005-03-19 2005-03-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2938A KR100626064B1 (ko) 2005-03-19 2005-03-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6064B1 true KR100626064B1 (ko) 2006-09-22

Family

ID=37628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2938A KR100626064B1 (ko) 2005-03-19 2005-03-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6064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60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1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191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JP2009218208A (ja) 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KR10067028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2603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60098459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유전체층 형성 구조 및 이를구비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9229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4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3011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3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5955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제조 방법
KR100768219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4760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9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261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28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80071325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72216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70005337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EP1993117A1 (en) Plasma Display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