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666B1 -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 Google Patents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666B1
KR100625666B1 KR1020050034871A KR20050034871A KR100625666B1 KR 100625666 B1 KR100625666 B1 KR 100625666B1 KR 1020050034871 A KR1020050034871 A KR 1020050034871A KR 20050034871 A KR20050034871 A KR 20050034871A KR 100625666 B1 KR100625666 B1 KR 10062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ll
mode
user terminal
text
c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48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관
박현화
김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48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6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6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13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for computer conferences, e.g. chat rooms
    • H04L12/1822Conducting the conference, e.g. admission, detection, selection or grouping of participants, correlating users to one or more conference sessions, prioritising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04W76/45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for Push-to-Talk [PTT] or Push-to-Talk over cellular [PoC] services

Abstract

그룹 통화가 개시되어 음성 통화를 수행하던 중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텍스트 모드로 전환하고 타 사용자 단말은 음성 통화 모드를 유지하여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 전환 방법을 제시한다.
본 발명의 그룹 통화 서버는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되면,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호를 시도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그룹 통화를 개시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룹통화 종료 요청이 시도되는 경우 해당 그룹 통화 호를 해제하기 위한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 및 그룹 통화 서비스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 대한 통화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 변환한 후, 그룹 통화에 참여한 타 참여자 단말로 전송하고, 그룹 통화에 참여한 타 참여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텍스트 변환한 후,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모드 전환 모듈을 포함하여, 음성으로 통화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유롭게 그룹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룹 통화, 모드 전환

Description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 전환 방법{Group Telephone Call Server Having Individual Mode Conversion Function and Method for Mode Conversion}
도 1은 그룹 통화 서버가 접속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그룹 통화 서버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그룹 통화 서버 110 : 제어부
120 : 통신망 인터페이스 130 :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
131 : 그룹정보 분석부 133 : 단말 호출부
135 : 그룹통화 상태 설정부 137 : 그룹통화 발언 제어부
139 : 그룹통화 해제부 140 : 모드 전환 모듈
141 : 권한 확인부 143 : 모드 판별부
145 : 모드 변경 통지부 147 : 음성-문자 변환부
149 : 문자-음성 변환부
본 발명은 그룹 통화 서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룹 통화가 개시되어 음성 통화를 수행하던 중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자 하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를 텍스트 모드로 전환하고 타 사용자 단말은 음성 통화 모드를 유지하여 그룹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 전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과 이동통신 단말간, 또는 이동통신 단말과 유선 전화기 간의 통화로를 통하여 일대일의 음성 통화 서비스를 제공한다. 그리고, 이러한 일대일 음성 통화에 따른 폐쇄성을 해소하고 음성 통화 상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최근에는 셋 이상의 통화자가 그룹으로 음성 통화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그룹 통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그룹 통화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 사용자가 적어도 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단말 정보가 포함되는 그룹을 적어도 하나 이상 등록하여 두고,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특정 기호(또는 숫자 등)와 그룹 번호를 이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면, 그룹 통화 서버에서 해당 그룹에 포함된 각 그룹원에게 통화를 시도하고, 그룹원의 응답 결과를 발신자에게 알려준 후, 통화가 개시되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이와 같이 하여 그룹 통화가 개시된 후, 발신자와 각 그룹원 간에 음성 통화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현재의 그룹 통화 서비스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이기 때문에 통화가 개시된 후 계속해서 음성으로만 의사를 전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그룹 통화에 참여한 사용자 중 음성 통화가 곤란한 상황에 있는 경우(회의중 등)에 있는 사용자가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무리한 발언에 의해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거나 자신의 의사를 명확하게 표시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단점 및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룹 통화 중에 모드 전환을 희망하는 사용자의 단말을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나머지 참여자는 음성 통화 모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자유로운 그룹 통화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 전환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유선 전화와 접속되어, 셋 이상의 단말 간에 그룹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룹 통화 서버로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됨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호를 시도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그룹 통화를 개시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룹통화 종료 요청이 시도되는 경우 해당 그룹 통화 호를 해제하기 위한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 및 그룹 통화 서비스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통화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 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 변환한 후, 그룹 통화에 참여한 타 참여자 단말로 전송하고, 그룹 통화에 참여한 타 참여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텍스트 변환한 후,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모드 전환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유선 전화와 접속되어, 셋 이상의 단말 간에 그룹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가 개시되는 과정; 상기 그룹 통화 서비스 이용 중인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텍스트 통신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과정;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타 참여자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통보하는 모드 변환 정보 통지 과정; 및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타 참여자 단말 간의 발언 내용을 변환하기 위한 발언 내용 변환 및 전송 과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그룹 통화 서버가 접속되는 통신망의 일 예시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그룹 통화 서버(GTS, 10)는 기지국(BTS, 210), 기지국 제어기(BSC, 220) 및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250)를 통해 이동통신 단말(20)과 접속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250)를 경유하여 인터넷(40)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30)와 접속된다. 여기에서, 기지국(210)은 이동통신 단말(20)과의 무선구간 통신을 수행하고, 기지국 제어기(220)는 복수의 기지국(210)을 제어하고 관리하며, 교환기(MSC, 230)는 기지국 제어기(220)와 접속되어 호 교환을 수행한다. 아울러, 홈위치 등록기(HLR, 240)는 가입자 정보 및 위치 정보를 관리하고,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250)는 기지국 제어기(220)와 접속되어 패킷 데이터를 서비스한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그룹 통화 서버(10)는 교환기(230)와 접속되어 음성 통화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교환기(230)를 통해 공중전화 교환망과 접속되어 유선 전화기 사용자가 그룹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그룹 통화 서버(10)는 이동통신 단말, 개인용 컴퓨터 또는 유선 전화 사용자가 그룹 통화를 요청함에 따라, 해당 그룹에 포함된 그룹원 정보를 확인하여 각 그룹원의 단말(이동통신 단말 또는 유선 전화 또는 인터넷 전화)을 호출한다. 그리고, 각 그룹원의 단말이 이에 응답하면 그룹 통화 상태를 설정하여 복수의 단말 간에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그룹 통화 서버(10)는 그룹 통화 개시 후 각 참여자에 대한 발언권을 제어한다. 왜냐하면 다자간의 통화 링크가 양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수의 가입자가 동시에 음성을 송수신하게 되면 단말의 성능 및 무선 자원의 제한으로 인하여 음성 품질이 저하되고, 화상 그룹 통화의 경우 화상 품질도 함께 저하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룹 통화 서버(10)는 그룹원의 단말로부터 발언권 획득을 위한 키가 입력되면, 발언권 부여 여부를 판단하여 발언권을 부여하고 발언권 획득자만 발언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그룹 통화 서버(10)는 그룹 통화 개시 후 어느 하나의 그룹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모드 전환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음성 통화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그룹 통화중인 가입자가 텍스트 통신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는 경우 그룹 통화 서버는 모드 전환을 수행하기 전 적법한 단말로부터의 모드 전환 요청인지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모드 전환 요청은 발신자 또는 발언자에 국한하여 요청할 수 있도록 설정해 둘 수 있다.
그리고, 적법한 단말로부터의 모드 전환 요청인 경우 대화에 참여하고 있는 그룹원의 단말 각각으로 특정 참여자가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통보한다. 아울러, 모드 전환을 요청한 사용자는 발언 내용을 텍스트로 입력하여 그룹 통화 서버(10)로 전송하며, 그룹 통화 서버(10)는 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타 참여자들에게 전송하고, 타 참여자로부터 발언 내용이 음성으로 수신되면, 모드 전환한 사용자 단말로는 해당 발언 내용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타 참여자들에게는 음성으로 전송한다.
또한, 그룹 통화 참여자는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서비스를 이용하던 중 다시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 경우 그룹 통화 서버(10)는 그룹 통화 참여자에게 해당 참여자가 음성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통보하고, 모든 그룹원 간에 음성을 통한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그룹 통화 서버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시한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그룹 통화 서버(10)는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0), 이동통신 시스템, 인터넷, 공중전화 교환망과의 데이 터 송수신을 위한 통신망 인터페이스(120),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를 개시하고 종료하기 위한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130) 및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특정 참여자의 통신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모듈(140)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130)은 그룹 통화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이동통신 단말(10))로부터 그룹 통화를 위한 호가 시도됨에 따라 해당 그룹에 포함된 가입자 정보를 분석하고 그룹 통화를 위한 통신 자원을 예약하는 그룹정보 분석부(131), 그룹정보 분석부(131)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통신망을 통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을 호출하는 단말 호출부(133) 및 단말 호출부(133)에서 호출한 단말들이 응답함에 따라 그룹 통화 상태를 설정하는 그룹통화 상태 설정부(135)를 포함한다.
그리고,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130)은 이에 더하여 그룹 통화시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통화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룹 통화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발언권을 부여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그룹통화 발언 제어부(137) 및 사용자 단말로부터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 자원을 해제하기 위한 그룹통화 해제부(139)를 더 포함한다.
다음으로, 모드 전환 모듈(140)은 그룹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통신 모드 또는 음성 통화 모드로의 모드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어떠한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모드 판별부(143), 특정 참여자의 모드 변경 사실을 타 참여자에게 통보하기 위한 모드 변경 통지부 (145), 텍스트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로 타 참여자의 발언 내용을 전달하기 위한 음성-문자 변환부(147) 및 텍스트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의 발언 내용을 타 참여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문자-음성 변환부(149)를 포함한다.
아울러, 모드 전환 모듈(140)은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가입자들의 무분별한 모드 전환 요청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신자 및/또는 발언자에게만 모드 전환 권한을 부여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적법한 권한자로부터의 모드 전환 요청인지 확인하기 위한 권한 확인부(141)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모드 전환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로서, 그룹 통화 개시 후 특정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에 대한 통신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드 전환 방법은 모드 전환 과정(S101~S103), 모드 변환 정보 통지 과정(S105, S111) 및 발언 내용 변환 및 전송 과정(S113~S127)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룹 통화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의 호 시도에 따라,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130)에 의해 셋 이상의 사용자 단말 간에 그룹 통화가 개시된 후,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1)이 모드 전환 모듈(140)로 텍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하면(S101), 모드 전환 모듈(140)의 모드 판별부(143)는 사용자의 모드 전환 요청이 텍스트 통신 모드로의 전환 요청인지 음성 통화 모드로의 전환 요청인지 확인하여, 텍스트 모드로의 전환을 수락한다(S103). 여기에서, 사용자 단말 1은 모드 전환 요청시 현재 진행중인 그룹 통화 식별 번호를 모드 전환 모듈(140)로 전송하여 모드 전환 모듈(140)의 모드 판별부(143)가 어떠한 그룹의 구성원으로부터 모드 전환이 요청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어서, 모드 변경 통지부(145)는 모드 전환을 요청한 참여자가 속한 그룹의 타 참여자 단말(사용자 단말 2 및 3)로 사용자 단말 1의 모드 전환 사실을 각각 전송하고(S105, S109), 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며(S107, S111), 이에 따라 모드 전환을 요청한 참여자의 단말(사용자 단말 1)은 텍스트 통신 모드로, 타 참여자의 단말(사용자 단말 2 및 3)은 음성 통화 모드로 그룹 통화를 이용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단말 1에 대한 모드 전환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사용자 단말 1은 발언하고자 하는 내용을 텍스트로 입력하여 모드 전환 모듈(140)로 전송하며(S113), 모드 전환 모듈(140)의 문자-음성 변환부(149)는 이를 음성으로 변환하여(S115) 타 참여자의 단말(사용자 단말 2 및 3)로 전송한다(S117, S119). 아울러, 타 참여자 단말(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2)로부터 발언 내용이 음성으로 전송되면(S121), 모드 전환 모듈(140)의 음성-문자 변환부(147)는 이를 텍스트로 변환하여(S123)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 1로 전송하고(S125)는 한편, 사용자 단말 3으로는 음성 신호 그대로 전송한다(S127).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텍스트 통신 모드로의 전환 요청은 발신자 및/또는 발언자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모드 전환 요 청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101) 이후, 모드 전환을 수락 하기 전(S103) 모드 전환 요청자의 권한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 단말 1로부터 모드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모드 전환 모듈(140)의 권한 확인부(141)가 가입자 정보 및 그룹 통화 식별번호를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130)로 전송하여 해당 모드 전환 요청자가 발신자인지 또는 발언자인지 확인할 것을 요구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모드 전환 수락 여부를 판단하도록 한다.
아울러,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여 그룹 통화중인 사용자 단말은 다시 음성 통화 모드로 전환할 수 있으며, 모드 전환 모듈(140)의 모드 판별부(143)에서 이를 판단하고, 모드 변경 통지부(145)에서 타 참여자 단말로 이를 통보하여 모드 그룹원 간에 음성을 통한 그룹 통화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룹 통화시, 적어도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사용자 단말을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타 참여자 단말은 음성 통 화 모드를 유지함으로써 음성으로 통화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자유롭게 그룹 통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아울러, 모드 전환 요청 권한을 발신자 및/또는 발언자에게 국한함으로써 무분별하게 모드 전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0)

  1.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유선 전화와 접속되어, 셋 이상의 단말 간에 그룹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룹 통화 서버로서,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그룹 통화를 요청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호가 시도됨에 따라, 복수의 사용자 단말로 호를 시도하고, 이에 대한 응답을 수신하여 그룹 통화를 개시하며, 사용자 단말로부터 그룹통화 종료 요청이 시도되는 경우 해당 그룹 통화 호를 해제하기 위한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 및
    그룹 통화 서비스 이용 중인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통화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를 수신하여 음성 변환한 후, 그룹 통화에 참여한 타 참여자 단말로 전송하고, 그룹 통화에 참여한 타 참여자 단말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텍스트 변환한 후,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기 위한 모드 전환 모듈;
    을 포함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은 그룹 통화를 희망하는 사용자 단말로부 터 그룹 통화를 위한 호가 시도됨에 따라 해당 그룹에 포함된 가입자 정보를 분석하고 그룹 통화를 위한 통신 자원을 예약하는 그룹정보 분석부;
    상기 그룹정보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참조하여 통신망을 통해 해당 그룹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을 호출하는 단말 호출부; 및
    상기 단말 호출부에서 호출한 단말들이 응답함에 따라 그룹 통화 상태를 설정하는 그룹통화 상태 설정부;
    를 포함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통화 연결 및 해제 모듈 그룹 통화에 참여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발언권을 부여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그룹통화 발언 제어부; 및
    그룹 통화 서비스 중인 사용자 단말로부터 종료 요청이 수신되면 통신 자원을 해제하기 위한 그룹통화 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모듈은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통신 모드 또는 음성 통화 모드로의 모드 전환 요청이 수신되면 어떠한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한 모드 판별부;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의 모드 전환 요청에 따라 해당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타 사용자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모드 전환 사실을 통보하는 모드 변경 통지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텍스트 모드로 전환한 경우, 상기 텍스트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전송된 텍스트 형식의 발언 내용을 음성 변환하는 문자-음성 변환부; 및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타 참여자의 단말로부터 전송된 음성 형식의 발언 내용을 문자 변환하는 음성-문자 변환부;
    를 포함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모듈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드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적법한 권한자로부터의 모드 전환 요청인지 확인하기 위한 권한 확인부를 더 포함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권한자는 그룹 통화 발신자 및/또는 발언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7.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동통신 단말과 접속되고, 인터넷을 통해 개인용 컴퓨터와 접속되며,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유선 전화와 접속되어, 셋 이상의 단말 간에 그룹 통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으로서,
    사용자 단말의 요청에 따라 그룹 통화가 개시되는 과정;
    상기 그룹 통화 서비스 이용 중인 어느 하나의 사용자 단말이 텍스트 통신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함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의 통화 모드를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 과정;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타 참여자의 단말로 상기 사용자가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하였음을 통보하는 모드 변환 정보 통지 과정; 및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과 상기 그룹 통화에 참여 중인 타 참여자 단말 간의 발언 내용을 변환하기 위한 발언 내용 변환 및 전송 과정;
    을 포함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언 내용 변환 및 전송 과정은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텍스트 형식의 발언 내용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텍스트를 음성으로 변환하여, 상기 음성 변환된 발언 내용을 상기 그룹 통화 중인 타 참여자에게 전송하거나,
    상기 그룹 통화 중인 타 참여자로부터 음성 형식의 발언 내용이 전송됨에 따라, 상기 음성을 텍스트로 변환하여, 상기 텍스트 변환된 발언 내용을 상기 텍스트 통신 모드로 전환한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모드 전환 요청시 현재 진행중인 그룹 통화 식별 번호를 상기 그룹 통화 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그룹 통화 서버는 모드 전환을 수락하기 전 상기 그룹 통화 식별 번호를 참조하여 어떠한 그룹의 참여자 단말로부터 모드 전환이 요청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 과정은 상기 모드 전환을 요청한 사용자의 권한을 확인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며, 상기 모드 전환 권한을 갖는 사용자 단말은 발신자 및/또는 발언자 단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에서의 모드 전환 방법.
KR1020050034871A 2005-04-27 2005-04-27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KR10062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871A KR100625666B1 (ko) 2005-04-27 2005-04-27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4871A KR100625666B1 (ko) 2005-04-27 2005-04-27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5666B1 true KR100625666B1 (ko) 2006-09-20

Family

ID=3763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4871A KR100625666B1 (ko) 2005-04-27 2005-04-27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6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9784A1 (en) * 2011-03-30 2012-10-04 Motorola Solutions, Inc. Multi-group communications and related devices
KR101222132B1 (ko) 2009-12-18 2013-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ip 망에서 그룹 통신과 일대일 통신을 병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000A (ko) * 2001-07-21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WO2004008335A1 (en) 2002-07-17 2004-01-22 Fastmobile, Inc. Voice and text group chat techniques for wireless mobile terminals
KR20050020270A (ko) * 2003-08-21 200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텍스트 음성 변환 장치 및 그방법
KR20050037033A (ko) * 2003-10-17 2005-04-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4155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를 통한 인스턴트메시지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9000A (ko) * 2001-07-21 2003-01-29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기기를 이용하여 문자 채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WO2004008335A1 (en) 2002-07-17 2004-01-22 Fastmobile, Inc. Voice and text group chat techniques for wireless mobile terminals
KR20050020270A (ko) * 2003-08-21 2005-03-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통화중 텍스트 음성 변환 장치 및 그방법
KR20050037033A (ko) * 2003-10-17 2005-04-21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폰 인스턴트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50114155A (ko) * 2004-05-31 2005-12-05 삼성전자주식회사 푸시투토크 시스템에서 단문메시지를 통한 인스턴트메시지 전달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2132B1 (ko) 2009-12-18 2013-01-1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 ip 망에서 그룹 통신과 일대일 통신을 병행하는 방법 및 시스템
WO2012129784A1 (en) * 2011-03-30 2012-10-04 Motorola Solutions, Inc. Multi-group communications and related devices
US9161178B2 (en) 2011-03-30 2015-10-13 Liang Chen Multi-group communications and related devic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636384B (zh) 进行带可选语音到文本转换的电话会议的方法和系统
CN100450222C (zh) 在会话中被邀请用户获取群组信息的方法及装置
US7333803B2 (en) Network support for voice-to-text memo service
KR20060016373A (ko) Ptt휴대용 단말기에서 ptt통신서비스의 발언권자표시방법
MXPA06013790A (es) Establecimiento de sesion de datos de paquete concurrente para pulsar para hablar sobre celular.
WO2005120035A1 (fr) Procede et systeme pour l&#39;interconnexion d&#39;un systeme de groupe numerique et d&#39;un systeme telephonique publique
US7966029B2 (en) Method for push-to-talk pre-emption
KR20090031465A (ko) 다른 무선 통신 세션을 수행하는 동안 무선 호출을 중단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EP2001213A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02021816A1 (en) Setting up a conference call between members of a chat group
KR20060128657A (ko) 통신제어서버, 통신단말 및 통신제어방법
US7983707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PTT communication
KR100625666B1 (ko) 개별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전환 방법
WO2007012265A1 (fr) Procédé et système pour réaliser une conversation en temps réel
CN101600158A (zh) 数字集群终端状态转换的实现方法
KR100625665B1 (ko) 모드 전환 기능을 구비한 그룹 통화 서버 및 모드 전환방법
US6658255B1 (en) Enhanced wireless radio channel utilization
KR20070003227A (ko) 메시징 서비스를 이용하여 ptt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방법 및 그 이동 통신 시스템
KR100678712B1 (ko) 통화 중 대기 유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006332B1 (ko) 메시지 변환 장치 및 이를 사용한 통화 방법 및 시스템
KR100627814B1 (ko) 이동통신망에서 ptt 서비스를 위한 발언권 부여 방법및 시스템
KR101104704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
KR100568190B1 (ko) 단문메시지를 이용한 푸쉬 투 토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630125B1 (ko) Ptt콜 중재방법
US20060264216A1 (en) Method for sending a message to a calling phone when called phone aborts an incoming call reques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