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5569B1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5569B1
KR100625569B1 KR1020040099927A KR20040099927A KR100625569B1 KR 100625569 B1 KR100625569 B1 KR 100625569B1 KR 1020040099927 A KR1020040099927 A KR 1020040099927A KR 20040099927 A KR20040099927 A KR 20040099927A KR 100625569 B1 KR100625569 B1 KR 100625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temperature
discharge port
predetermined time
d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9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063A (ko
Inventor
김태헌
백철호
유승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9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5569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0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0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5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5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air out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B2700/21Temperatures
    • F25B2700/2117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 F25B2700/21171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 F25B2700/21172Temperatures of an evaporator of the fluid cooled by the evaporator at the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에서 폐쇄된 토출구측의 이슬맺힘조건을 판단하고, 이슬맺힘조건이면, 폐쇄된 토출구측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일정시간 개방시켜 닫힌 토출구측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폐쇄된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는 이슬맺힘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이슬맺힘조건이면, 폐쇄된 토출구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고, 소정시간이 경과 후 다시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IR CONDITION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IT}
도 1은 종래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중앙기류를 단독 토출하여 냉방하는 솔로운전시 각 블레이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중앙기류를 단독 토출하여 냉방하는 솔로운전시, 좌우측토출구에서의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기능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열교환기
12 : 송풍팬 13 : 측면흡입구
14a : 좌측토출구 14b : 우측토출구
15 : 중앙토출구 16a : 우측블레이드
16b : 좌측블레이드 17 : 중앙블레이드
18a, 18b : 스텝모터 20 : 제어부
30 : 리모컨수신부 40 : 블레이드구동부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내기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 일예로, 삼면토출형 공기조화기는 토출구가 본체 전면 및 양측면에 형성되어 조화된 차가운 공기를 본체 전면 및 양측면을 통하여 실내공간으로 토출시키는 방식의 장치이다.
이러한 삼면토출형 공기조화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양측면에 형성된 측면토출구(2a, 2b)에는 좌우측블레이드(3a, 3b)가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본체(1) 전면부에 형성된 중앙토출구(4)에 중앙블레이드(5)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좌우측블레이드(3a, 3b)와 중앙블레이드(5)는 도시되지 않은 각각의 모터장치에 의하여 회동되게 되어 각각의 토출구(2a, 2b, 4)에서 토출되는 조화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한 삼면토출형 공기조화기는 1개 또는 2개의 토출구를 닫은 상태에서 나머지 토출구를 열어 냉방 운전하는 냉방 운전하는 솔로운전을 수행한다. 일예로, 솔로운전시, 중앙블레이드를 개방시켜 중앙토출구를 열고, 좌우측블레이드는 폐쇄시켜 좌우측토출구를 닫아 조화공기를 중앙토출구로 집중 토출한다.
이러한 솔로운전시, 닫힌 좌우측토출구가 블레이드에 의해 완전 밀폐되지 않 으므로, 좌우측토출구에서 좌우측블레이드와 본체사이의 미세한 틈새로 냉기가 새어나오고, 새어 나온 냉기와 고온다습한 공기가 만나 닫힌 토출구측의 본체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이슬은 본체 전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경우에는 공기조화기의 외관이 나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본체 내부에 흘러들어가는 경우에는 본체 내부의 전기부품의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에서 폐쇄된 토출구측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은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는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폐쇄된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는 이슬맺힘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슬맺힘조건이면, 상기 폐쇄된 토출구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 후 다시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온도와 열교환기의 증발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흡입공기온도와 증발온도가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소정시간이상 유지하면, 상기 이슬맺힘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는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폐쇄된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는 이슬맺힘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슬맺힘조건이면, 상기 폐쇄된 토출구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 후 다시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복수의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온도와 열교환기의 증발온도가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소정시간이상 유지하면, 상기 이슬맺힘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상자형의 본체(10)와,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열교환을 위한 열교환기(11)와 이 열교환된 조화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12)를 구비한다.
본체(10) 양측면 하부에는 실내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측면흡입구(1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 양측면 상부와 본체(10) 전면부에는 송풍팬(12)에 의해 송풍되는 조화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기 위한 측면토출구(14a, 14b)와 중앙토출구(1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측면토출구(14a, 14b)에는 토출되는 조화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좌우측블레이드(16a)와, 이 좌우측블레이드(16a)를 회동시키는 스텝모터(18a, 18b)가 마련된다. 이 스텝모터(18a, 18b)는 측면토출구(14a, 14b)를 미리 설정된 각도범위에서 각각 회동시킨다.
중앙토출구(15)에는 토출되는 조화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중앙블레이드(17)와, 이 중앙블레이드(17)를 회동시키는 스텝모터가 각각 마련된다. 이 스텝모터는 중앙토출구(15)를 미리 설정된 각도범위에서 회동시킨다.
좌우측블레이드(16a, 16b)와 중앙블레이드(17)는 각각의 스텝모터의 구동축에 연결된 연결부재(미도시)가 회전함에 따라 각도가 변화하고, 이 변화된 각도에 의해 측면토출구(14a, 14b)와 중앙토출구(15)에서 토출되는 조화공기의 토출각이 달라져 결국 조화공기의 풍향을 변화시킨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20)를 구비한다.
이 제어부(20)의 입력측에는 리모컨으로부터 조작명령을 수신하기 위한 리모컨수신부(30)와,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검출하는 흡입공기온도검출부(31)와, 열교환기(11)의 증발온도를 검출하는 증발온도검출부(32)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어부(20)의 출력측에는 우측블레이드(16a), 좌측블레이드(16b), 중앙블레이드(17)를 각각 회동시키기 위한 블레이드구동부(4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블레이드구동부(40)는 우측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제1스텝모터(18a)와, 좌 측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제2스텝모터(18b)와, 중앙블레이드(17)를 회동시키는 제3스텝모터(19)를 구비한다.
한편, 제어부(20)의 출력측에는 송풍팬(12)을 구동시키는 송풍팬구동부(50)와, 압축기(61)를 구동시키는 압축기구동부(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리모컨수신부(30)에 리모트컨트롤신호를 송신함으로서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는 리모컨에는 공기조화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운전버튼과, 중앙공간을 단독으로 냉각시키기 위하여 중앙기류를 형성하여 중앙공간을 냉방하는 솔로운전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제어부(20)는 상기한 버튼신호들을 리모컨수신부(30)를 통하여 각각 수신하고, 수신된 리모컨신호에 따라, 솔로운전을 수행한다. 제어부(20)는 솔로운전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기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레이드구동부(40)를 통하여 중앙블레이드(17)를 개방시켜 중앙토출구를 열고, 좌우측블레이드(16a, 16b)는 폐쇄시켜 좌우측토출구(14a, 14b)를 닫아 조화공기를 중앙토출구(15)로 단독 토출한다.
이때, 일예로, 흡입공기온도검출부(31)을 통해 검출된 흡입공기의 온도가 이슬맺힘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음과 함께 증발온도검출부(32)를 통해 검출된 열교환기(11)의 온도 즉, 증발온도가 이슬맺힘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상태를 소정시간이상 지속하게 되면,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의 미세한 틈새로 새어나온 냉기가 주위의 고온다습한 공기와 만나서 좌우측토출구측에 이슬이 맺히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0)는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측의 이슬맺힘조건을 판단한 후 이슬맺힘조건이면, 본체 내부와 외부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원활히 하는 방식으로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측의 이슬맺힘을 방지한다. 즉,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에 각각 마련된 좌우측블레이드(16a, 16b)를 개방시켜 본체(10) 내부와 외부사이의 공기의 유통을 원활히 함으로서 이슬맺힘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서 일예로, 중앙기류를 단독으로 토출하여 냉방하는 솔로운전을 일예로 하여 닫혀진 좌우측토출구에서의 이슬맺힘을 방지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를 살펴보면, 먼저, 단계 S100에서 제어부(20)는 리모컨수신부(30)를 통해 솔로운전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솔로운전이 선택되지 않았으면, 제어부(20)는 단계 S200으로 진행하여 각 블레이드의 회동각도를 연동시켜 통일된 기류를 형성시킴으로서 실내공간을 냉각시키기 위한 패밀리운전제어를 수행한다.
한편, 단계 S100에서 솔로운전이 선택되었으면, 제어부(20)는 압축기구동부(60)를 통해 압축기(61)를 작동시킴과 함께 송풍팬구동부(50)를 통해 송풍팬(12)을 구동시켜 냉기를 실내공간으로 토출하여 실내공간을 냉각시킨다.
이와 함께 단계 S120에서 제어부(20)는 중앙기류를 형성하기 위하여, 블레이드구동부(40)를 통하여 중앙블레이드(17)를 개방시켜 중앙토출구(15)를 열고, 좌우측블레이드(16a, 16b)는 폐쇄시켜 좌우측토출구(14a, 14b)를 닫아 조화공기를 중앙 토출구(15)로 단독 토출한다. 이에 따라, 냉기는 중앙토출구(15)를 통해서만 토출되게 된다.
그런 후 제어부(20)는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의 미세한 틈새로 새어나온 냉기에 의해서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먼저, 단계 S130 내지 S160에 걸쳐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에 이슬이 맺히는 이슬맺힘조건인지를 판단한 후 단계 S170 내지 S180에 걸쳐 닫혀진 좌우측토출구(14a, 14b)측의 이슬맺힘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즉, 단계 S130에서 제어부(20)는 흡입공기온도검출부(31)를 통하여 흡입구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온도를 검출하고, 증발온도검출부(32)를 통하여 증발온도를 검출한다. 단계 S140에서 제어부(20)는 검출된 흡입공기온도(Ta)이 이슬맺힘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an)보다 높음과 함께 검출된 증발온도(Tb)가 이슬맺힘판단을 위해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Tbn)보다 높은지를 판단한다.
단계 S140에서의 판단결과 어느 하나의 온도라도 상기한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슬이 맺힐 조건이 아니므로, 미리 설정된 루틴으로 리턴한다.
한편, 단계 S140에서의 판단결과 단계 S150과 단계 S160에서 흡입공기온도(Ta)가 기준온도(Tan)보다 높고, 증발온도(Tb)도 기준온도(Tbn)보다 높으면, 그 지속시간을 카운트한 후 그 지속시간이 소정시간을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단계 S160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시간이 경과하지 않았으면, 이슬이 맺힐 조건이 아니므로, 미리 설정된 루틴으로 리턴한다.
한편, 단계 S160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단계 S170과 단 계 S180에서, 제어부(20)는 좌우측블레이드(16a, 16b)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켜 좌우측토출구(14a, 14b)를 열음으로서 본체(10) 내부와 외부사이의 공기를 원활히 소통시켜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한다.
그런 후 단계 S180에서의 판단결과 소정시간을 경과하였으면, 단계 S190에서 제어부(20)는 좌우측블레이드(16a, 16b)를 다시 원래대로 폐쇄시켜 좌우측토출구(14a, 14b)를 닫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에서 폐쇄된 토출구측의 이슬맺힘조건을 판단하고, 이슬맺힘조건이면, 폐쇄된 토출구측에 설치된 블레이드를 일정시간 개방시켜 닫힌 토출구측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개폐장치를 갖춘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는 이슬맺힘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슬맺힘조건이면, 상기 폐쇄된 토출구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 후 다시 폐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의 증발온도를 각각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흡입공기온도와 증발온도가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소정시간이상 유지하면, 상기 이슬맺힘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제어방법.
  3. 개폐장치를 갖춘 복수의 토출구를 구비하고, 냉방운전시, 일부의 토출구를 폐쇄시키는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폐쇄된 토출구에 이슬이 맺히는 이슬맺힘조건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이슬맺힘조건이면, 상기 폐쇄된 토출구를 소정시간동안 개방시키고, 상기 소정시간이 경과 후 다시 폐쇄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는 상기 복수의 토출구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마련된 복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를 회동시키는 복수의 스텝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기의 본체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본체 내부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온도와 실내열교환기의 증발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온도검출부에서 측정된 흡입공기온도와 증발온도가 각각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기준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소정시간이상 유지하면, 상기 이슬맺힘조건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
KR1020040099927A 2004-12-01 2004-12-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25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27A KR100625569B1 (ko) 2004-12-01 2004-12-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9927A KR100625569B1 (ko) 2004-12-01 2004-12-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63A KR20060061063A (ko) 2006-06-07
KR100625569B1 true KR100625569B1 (ko) 2006-09-20

Family

ID=37157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9927A KR100625569B1 (ko) 2004-12-01 2004-12-01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556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001A (ja) 1997-01-08 1998-07-3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H11230599A (ja) 1998-02-13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40026403A (ko) * 2002-09-24 2004-03-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측면 토출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97001A (ja) 1997-01-08 1998-07-31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H11230599A (ja) 1998-02-13 1999-08-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KR20040026403A (ko) * 2002-09-24 2004-03-31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에어컨의 측면 토출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063A (ko) 200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81790A (ko) 공기조화기
EP3412984B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s
JP4880377B2 (ja) 空気調和機
JP2003130385A (ja) 空気調和機
JP4169517B2 (ja) 空気調和機
JP5723734B2 (ja) 空気調和機
JP3986280B2 (ja) 空気調和機
KR100677886B1 (ko) 공기조화기
KR100625569B1 (ko)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4619983B2 (ja) 空気調和機
JP2003106555A (ja) 空気調和機
KR100345006B1 (ko) 공기조화기의 이슬맺힘 방지장치 및 그 방법
JP2980093B2 (ja) 空気調和機のファン制御装置
KR100723943B1 (ko) 스탠드형 에어컨의 공기청정기 구조
WO2011043137A1 (ja) 空気調和装置
KR10055119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 제어방법
CN108474582B (zh) 空调系统
CN114364922B (zh) 空调室内机和空调机
WO2022064764A1 (ja) 床置き型空気調和機
JP2003130383A (ja) 空気調和機
US11846436B2 (en) Floor-standing air conditioner
KR100789710B1 (ko) 천정형 에어컨
CN114364921B (zh) 空调室内机和空调机
KR100300582B1 (ko) 2방향 토출 에어컨
KR100248765B1 (ko) 공기조화기의운전제어장치및그운전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