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561B1 -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561B1
KR100624561B1 KR1020037010836A KR20037010836A KR100624561B1 KR 100624561 B1 KR100624561 B1 KR 100624561B1 KR 1020037010836 A KR1020037010836 A KR 1020037010836A KR 20037010836 A KR20037010836 A KR 20037010836A KR 100624561 B1 KR100624561 B1 KR 1006245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aper
fluid supply
stack
print me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08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80223A (ko
Inventor
윌리암 젠센 데이빗
Original Assignee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실버브룩 리서치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claimed from PCT/AU2002/000069 external-priority patent/WO2002066349A1/en
Publication of KR20030080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80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5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5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0808Suction grippers
    • B65H3/0816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 B65H3/0833Suction grippers separating from the top of pile and acting on the front part of the articles relatively to the final separating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103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for the sheet feeding 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10Sheet holders, retainers, movable guides, or stationary guides
    • B41J13/22Clamps or grippers
    • B41J13/223Clamps or grippers on rotatable drums
    • B41J13/226Clamps or grippers on rotatable drums using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6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on both faces of the prin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4Air blasts producing partial vacu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용지의 더미(30)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32)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더미(30)로부터 분리된 인쇄 매체의 최상단 용지(30.1)를 프린터(10)의 프린팅 스테이션(12)으로 운반하기 위한 용지 운반장치를 포함한다. 분리기(44)는 상기 더미(30)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기 위한 용지 운반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분리기(44)는, 더미(30)로부터 인쇄 매체의 최상단 용지(30.1)의 분리를 용이하게 행하기 위하여 더미(30)의 상단 표면에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유체 공급장치(46)를 포함한다. 포획장치(54)는, 최상단 용지(30.1)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획하고, 상기 최상단 용지(30.1)를 용지 운반장치에 의해 프린팅 스테이션(12)으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용지 운반장치와 연결되어 있다.
프린터, 인쇄 매체, 용지 분리, 유체 공급, 프린팅 스테이션, 피커 조립체

Description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APPARATUS FOR SEPARATING A SHEET OF PRINT MEDIA FROM A STACK OF SHEETS}
본 발명은, 고속, 사진 품질(Photographic Quality)의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다공성(Porous)의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Print Media)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은, 고속, 사진 품질의 인쇄를 제공하는 다양한 프린트헤드(Printhead)를 개발하여 왔다. 상기 프린드헤드는 밀집된 어레이(Array)에 배열된 잉크 젯 노즐(Ink Jet Nozzles)을 포함한다. 사진 품질의 인쇄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노즐들은 인치당 1600 도트(Dot)(DPI)에 달하는 해상도를 제공하도록 배열된다.
상기 잉크 젯 노즐들은, 마이크로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상기 MEMS 기술의 사용으로, 초당 2 페이지에 달하는 속도(양면 인쇄에 있어서)로 인쇄할 수 있는 매우 빠른 속도의 인쇄성능을 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고속 인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첫째로, 프린터의 프린팅 스테이션(Printing Station)에 공급된 종이 또는 인쇄 매체가, 정확하게 정열되어야 하고, 종이 물림(Jam) 또는 그와 비슷한 상황이 가능한 한 발생하지 않도록 요구되는 공급속도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로, 상기 종이는,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을 최고 한도까지 사용하기에 충분한 속도로, 프린팅 스테이션에 공급될 수 있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공성의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장치는:
상기 더미로부터 분리된 인쇄 매체의 최상단 용지를 프린터의 프린팅 스테이션으로 운반하는 용지 운반수단;
상기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용지 운반수단과 결합되어 있고,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의 최상단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 더미의 상단 표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분리수단; 그리고
상기 최상단 용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획하고, 상기 최상단 용지를 용지 운반수단에 의해 프린팅 스테이션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 운반수단에 의해 연결된 포획수단(Capturing Means)을 포함한다.
상기 용지 운반수단은, 더미로부터 최상단의 용지를 집기 위한 피커 조립체(Picker Assembl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커 조립체는, 바(Bar) 또는 튜브(Tube)형태의 기다란(Elongate) 요소와 더미로부터 최상단 용지의 변위를 돕기 위한 복수의 변위 보조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변위 보조수단은 상기 기다란 요소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상기 기다란 요소는 복수의 유체 포트(Port)를 형성할 수 있으며, 각 변위 보조수단은 상기 기다란 요소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트들을 감싸는 풋프린트(Footprint)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각 변위 보조수단은, 사용시, 상기 기다란 요소로부터 상기 더미로 연장된 패드(Pad) 또는 디스크(Disk)의 형태일 수 있다. 각 패드는 상기 기다란 요소의 유체 포트중의 하나에 수납된 중공의 축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축은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 운반수단은 복수의 유체 공급도관(Supply Conduit)을 포함할 수 있는데, 각 도관은 기다란 요소의 유체 포트중의 하나와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으며, 단지 일정한 유체 포트만이 그와 연결된 유체 공급도관을 구비하고 있고, 그 나머지의 유체 포트들은 유체 공급도관들과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지 않다.
상기 유체 공급도관은, 유체 공급 매니폴드(Manifold)와 연결될 수 있고, 소통될 수 있다.
상기 포획수단은 유체 흡입장치일 수 있는데, 유체 흡입장치는 복수의 유체 흡입도관을 포함하고, 각 유체 흡입도관은 기다란 요소의 유체 포트들중의 나머지 중의 하나와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다.
상기 유체 흡입도관은 유체 추출 매니폴드와 연결될 수 있고, 소통될 수 있다.
상기 피커 조립체(Picker Assembly)는, 용지 더미로부터 최상단의 용지를 집 어올리고 이를 프린팅 스테이션에 공급하기 위해 사용된다. 한 쌍의 핀치 롤러(Pinch Roller)가, 프린팅 스테이션에 대한 입력부로 배열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피커 조립체의 바(Bar)는, 한 쌍의 이격된 스윙 아암(Swing Arm)상에 설치되며 상기 스윙 아암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상기 스윙 아암은, 그 다음, 프린터상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축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피커 조립체의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유체 공급도관들과 유체 흡입도관들은 유연한 호스(Hose)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유체를 유체 공급도관에 공급하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수단과, 유체 흡입도관에서 흡입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유체 추출 매니폴드로부터 유체를 추출하기 위한 유체 추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유체 추출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체 공급수단과 유체 추출수단은, 각각 공기 펌프와 추출펌프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구동 모터(Motor)일 수 있다. 상기 공기 펌프는, 구동모터의 반대쪽 두번째 출력축에 설치된 추출펌프와 함께, 구동 모터의 첫번째 출력축상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의 유체공급과, 유체 공급 매니폴드로부터의 유체 추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장치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와 유체 추출 매니폴드의 각각에 배치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각 밸브는 전자기적으로(Electromagnetically) 작동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각 밸브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의 입구 개구부와 유체 흡입 매니폴드의 출구 개구부에 배열된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 의해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매체 공급장치를 포함하는 프린터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장치를 포함하는 인쇄 용지 공급장치의 3차원도이며;
도 3은, 인쇄 용지 공급장치를 아래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4는, 인쇄 용지 공급장치의 작동 초기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5는, 인쇄 용지 공급장치의 그 이후 작동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린터의 부분이 일반적으로 참조번호 "10"으로 명시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프린터(10)는, 대략 초당 1장 내지 2장 또는 2페이지 내지 4페이지(즉, 용지의 양면)의 속도로 인쇄 매체(Print Media)의 양면을 인쇄하는 고속 프린터이다. 상기 인쇄 매체는, 이 경우, 용지 더미(Stack of Sheets)의 형태이다. 쉽게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4 종이 용지 더미인 인쇄 매체, 더욱 상세 하게는, 미리 결정된 다공도(多孔度, Porosity)를 갖는 종이 용지와 관련하여 기술되어질 것이다.
상기 프린터(10)는, 고속 인쇄를 달성하기 위해, 한 쌍의 대향하는 프린트헤드(Printhead, 14)를 포함하는 프린팅 스테이션(Printing Station, 12)을 구비하고 있다. 각 프린트헤드(14)는, 요구되는 고속, 사진 품질의 인쇄를 달성하기 위해, 잉크 젯 노즐 어레이(Array)를 갖는 마이크로전기기계적 시스템(MEMS) 칩(Chip)의 형태를 갖는다. 상기 노즐들은, 사진 품질의 인쇄가 용이하도록, 인치당 1600 도트(Dot)(DPI)에 달하는 해상도를 제공하기 위하여 밀집된 어레이(Array)에 배열된다.
상기 프린팅 스테이션(12)은, 구동 롤러(18)와 종동 롤러(20)를 갖는 주 롤러 세트(Set, 16)를 포함한다. 상기 주 롤러 세트(16)는, 종이 용지를 프린트헤드(14)로 운반하기 위하여 프린팅 스테이션(12)의 프린트헤드(14)의 상측에 배열된다.
상기 인쇄 매체는,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용지 더미(30)에 배열된다. 상기 용지 더미(30)는 프린터(10)의 상자(미도시)에 수용되고, 적당한 캐비넷(Cabinet, 미도시)에서 프린터(10)의 금속 칸막이에 대향하여 유지된다.
상기 프린터(10)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32)를 포함하는데, 종이 용지를 상기 용지 더미(30)로부터 주 롤러 세트(16)의 롤러(18, 20)에 공급하기 위한 종이 공급장치의 일부분을 형성하여, 인쇄를 위해 종이 용지가 프린팅 스테이션(12)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종이 공급장치는, 스테퍼 모터(Stepper Motor, 3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피봇 로드(Pivot Road) 또는 축(34)을 포함한다. 상기 축(34)의 각 끝단에는 스윙 아암(Swimg Arm, 38)이 배열된다.
상기 장치(32)는 피커 조립체(Picker Assembly, 40)를 포함한다. 상기 피커 조립체는 기다란 요소 또는 픽업 바(Pick Up Bar, 42)를 포함한다. 상기 픽업 바(42)는 스윙 아암(38)의 가까운 자유단부(Free End)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스윙 아암(34)이 상기 축(34)의 회전축에 대해 선회함에 따라, 상기 픽업 바(42)는 축(34)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장치(32)는 픽업 바(42)에 연결된 분리수단(44)을 포함한다. 상기 분리수단(44)은, 용지 더미(30)로부터 최상단 종이용지(30.1)를 분리한다. 상기 분리수단(44)은, 상기 바(42)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복수의 유체 공급도관(46)의 형태인 유체 공급수단을 포함한다. 각 유체 공급도관(46)은 유연한 호스(Hose)의 형태이다.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픽업 바(42)는 번갈아 설치된 복수의 유체 포트(48, 50)들을 구비하고 있다. 각 유체 도관(46)의 출구단부는, 상기 바(42)의 유체 포트(48)의 하나에 대해 개방되어 있다. 각 유체 도관(46)의 반대쪽 입구단부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Manifold, 5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장치(32)는, 픽업 바(42)에 연결된 포획수단(Capturing Means, 54)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최상단 용지(30.1)의 적어도 일부를 포획하고, 상기 용지(30.1)가 더미(30)로부터 분리된 후, 상기 용지(30.1)를 픽업 바(42)에 의해 프린팅 스테이션(12)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아 래에서 더욱 상세히 기술될 것이다.
상기 포획수단(54)은, 분리수단(44)의 유체 공급도관(46)과 서로 번갈아 배열된 복수의 유체 흡입도관(56)을 포함한다. 상기 유체 흡입도관(56)도 역시 유연한 호스의 형태이며, 그 각각은 픽업 바(42)의 유체 포트(50)의 하나와 소통되는 입구 단부를 구비하고 있다. 각 유체 흡입도관(56)의 출구단부는, 유체가 흘러들어가도록 유체 추출 매니폴드(58)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피커 조립체(40)는, 각 유체 포트(48, 50)를 둘러싸고 있는 복수의 변위 보조수단 또는 패드(Pad, 60)를 더 포함한다. 각 패드(60)는, 상기 바(42)를 향해 돌출되고, 상황에 따라, 유체 공급도관(46)의 하나의 출구단부 또는 유체 흡입도관(56)의 하나의 입구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줄기부(Stalk Portion, 62)(도 4)를 구비하고 있다. 그 대신에, 각 변위 보조수단은 탄성중합체의 컵(Cup)일 수도 있다. 각 컵은, 잔 물결등을 가지고 있는 더미(30) 표면에 부응하기 위해, 스프링 형태의 강제수단(Urging Means)을 통해 고정된다.
상기 장치(32)는 구동 모터(도 1)의 형태인 구동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공기 펌프(66)가 상기 모터(64)의 일단부의 출력축에 배열되어 있고, 추출 펌프(68)가 모터(64)의 반대쪽 단부의 출력축에 배열되어 있다. 상기 공기 펌프(66)는, 매니폴드(52)의 입구단부에 배열된 솔레노이드 작동밸브(70)를 통해 유체 공급 매니폴드(52)와 소통되어 있다. 상기 추출 펌프(68)는, 추가의 솔레노이드 작동 밸브(72)를 통해 추출 매니폴드(58)의 출구단부와 소통되어 있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상기 프린터(10)는, 초당 1장의 비율로 인쇄할 수 있는 용량을 구비한 고속 프린터이다. 이러한 용량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제어된 방식으로, 용지 더미(30)로부터 프린팅 스테이션(12)으로 종이 용지가 개별적으로 공급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장치(32)가, 용지 더미(30)로부터 프린팅 스테이션(12)으로 운반되는 용지를 정확하게 분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특히, 예를 들어 80 GSM 종이같은 다공성의 인쇄 매체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사용시, 용지 더미(30)로부터 최상단 용지(30.1)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픽업 바(42)는, 상기 용지의 상단 표면에 매우 근접하게 운반되나, 상기 패드(60)가 최상단 용지(30.1)의 상단 표면으로 부터 적은 양, 예로서 0.1 mm 에서 0.2 mm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되도록 유지된다. 상기 구동 모터(64)는, 공기를 유체 공급 매니폴드(52)를 통해 각 유체 공급도관(46)으로 불어넣기 위해 작동된다. 공기는, 상기 포트(48)들을 통해 배출되어, 최상단 용지(30.1)의 상단 표면으로 분출된다. 용지의 다공성으로 인하여, 상기 공기는 또한 최상단 용지(30.1)를 통과하여, 용지 더미의 상단에서 두번째에 있는 용지에 부딪치게 된다. 이로써, 용지 더미(30)의 나머지 용지로부터 최상단 용지(30.1)의 초기 분리가 이루어진다.
또한, 각 패드(60)의 하부 표면과 용지 더미(30)의 최상단 용지(30.1)사이에서 발생하는 국부적인 저압력의 결과로써, 상기 최상단 용지(30.1)는, 유체 공급도관(46)과 연결된 피커 조립체(40)의 이러한 패드(60)들에게 적어도 끌어당겨진다. 상기 최상단 용지(30.1)를 통해 공기가 통과하게 됨으로써, 용지 더미(30)의 나머지 용지로부터 최상단 용지(30.1)가 분리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상기 최상단 용지(30.1)가 더미(30)상에서 그 바로 밑의 용지로부터 올라갈때, 최상단 용지(30.1)의 앞쪽 단부(Leading Edge)가 들어올려진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때, 밸브 70이 닫혀지고 밸브 72가 개방된다. 이러한 밸브 72의 개방은, 공기를, 유체 흡입도관(56)을 통해 픽업 바(42)의 포트(50)로 흡인하고, 유체 추출 매니폴드(58)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러한 결과로써, 최상단 용지(30.1)의 리딩 에지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흡입도관(56)과 연결된 적어도 이러한 패드(60)들에 대해 흡인되며, 이러한 패드(60)들에 대해 포획되어 진다. 이러한 상황이 발생하는 동안, 상기 픽업 바(42)는, 축(34)에 대해 화살표 74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피커 조립체(40)는, 최상단 용지(30.1)의 앞쪽단부가 롤러 세트(16)의 롤러 18과 20사이에 공급될 때까지, 화살표 74의 방향으로 계속 회전한다. 상기 밸브 72는, 최상단 용지(30.1)의 흡인을 해제하기 위해 닫혀져, 롤러 세트(16)의 롤러(18, 20)들이 프린팅 스테이션(12)의 프린트헤드(14)로 최상단 용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최상단 용지(30.1)의 뒷쪽 단부(Trailing Edge)가 피커 조립체(40)의 패드(60)를 떠나자 마자, 피커 조립체(40)는, 프린팅 스테이션(12)에 다음 용지를 공급하기 위하여, 즉시 도 4에 도시된 위치로 복귀한다. 용지 더미(30)의 최상단 용지(30.1)의 표면에 평행한 공기 흐름이, 최상단 용지(30.1)를 픽업 바(42)에 대해 이동운동을 용이하게 하는 저마찰 충격을 초래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상기 최상단 용지(30.1)가, 픽업 바(42)의 면에 수직한 방향에서 픽업 바(42)의 집는 작용을 방해함이 없이, 어떤 적당한 방법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또한, 최상단 용지(30.1)가 롤러 세트(16)로 공급되 는 동안, 최상단 용지(30.1)의 뒷쪽 단부가 용지 더미(30)에 대해 간격을 갖고 유지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본 출원인은, 유체 공급도관(46)을 통한 초기 "분사" 방향에서의 공기의 속도가 결정적이지 않으며, 픽업 바(42)와 용지 더미(30)의 최상단 용지(30.1)사이의 간격 또한 결정적이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더욱이, 용지 더미 종이의 중량 또는 품질 등급도, 용지 더미의 종이가 다공도를 갖는 한, 결정적이지 않다. 대체로, 공기가 종이 더미(30)위로 분사될 때, 유체 공급도관(46)에는 약 5 kPa의 압력이 존재한다. 상기 공기는, 대략 1 /s로 공급되고, 패드(60)와 최상단 용지(30.1)사이의 틈새를, 약 1 kPa의 압력과 약 50 m/s의 속도로 통과하여 나간다. 상기 장치(32)는, 40 GSM 등급으로부터 고해상도, 사진 품질(Photo-quality)의 잉크 젯 종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이 판명되었다.
본 출원인은, 놀랍게도, 용지 더미(30)의 종이위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용지의 분리가 촉진되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누구나 흡입형식의 메카니즘(Mechanism)이 더 잘 작동하리라고 생각하고 있기에, 직관에 반한 전혀 새로운 접근방법이다. 그러나, 용지 더미(30)가 다공성이라면, 더미(30)로부터의 최상단 종이용지의 매우 양호한 분리가 달성될 수 있다.
이 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에서 보인 바와 같이, 넓게 기술된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변경 및/또는 수정이 가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한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용지 더미(Stack)로부터 인쇄 매체(Print Media)를 분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더미의 용지는 다공성(Porous)이고, 상기 장치는:
    상기 더미로부터 분리된 인쇄 매체의 최상단 용지를 프린터의 프린팅 스테이션(Printing Station)으로 운반하는 용지 운반수단으로서, 용지 더미로부터 최상단의 용지를 집기 위한 피커 조립체(Picker Assembly)를 포함하고, 상기 피커 조립체는, 기다란(Elongate) 요소와, 상기 기다란 요소의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더미로부터 최상단 용지의 변위를 돕기 위한 복수의 변위 보조수단을 포함하는 용지 운반수단;
    상기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 상기 용지 운반수단과 결합되어 있고,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의 최상단 용지를 분리하기 위해 더미의 상단 표면에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 공급수단을 포함하는 분리수단; 및
    상기 최상단 용지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획하고, 상기 최상단 용지를 용지 운반수단에 의해 프린팅 스테이션으로 용이하게 운반하기 위하여, 상기 용지 운반수단에 연결된 포획수단(Capturing Means);을 포함하고,
    상기 기다란 요소는, 복수의 유체 포트(Fluid Port)를 형성하고, 각 변위 보조수단은, 상기 기다란 요소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포트들 중의 하나를 감싸는 패드(Pad)를 포함하며,
    상기 포획수단은, 유체 흡입장치이고 복수의 유체 흡입도관을 포함하며, 각 유체 흡입도관은, 상기 기다란 요소의 유체 포트들의 나머지 중 하나와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수단은, 복수의 유체 공급도관을 포함하고, 각 도관은 상기 기다란 요소의 유체 포트 중의 하나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단지 일정한 유체 포트만이 그와 연결된 유체 공급도관을 구비하고 있고, 나머지 유체 포트들은 상기 유체 공급도관과 유체적으로 소통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도관은, 유체 공급 매니폴드(Manifold)와 연결되어 있고,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7. 삭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흡입도관은, 유체 추출 매니폴드와 연결되어 있고, 소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공급도관과 연결된 유체 포트들은, 기다란 요소의 길이를 따라 유체 흡입도관과 연결된 유체 포트들과 번갈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유체를 유체 공급도관에 공급하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에 유체를 공급하기 위한 유체 공급수단과, 유체 흡입도관에서 흡입효과를 일으키기 위해 유체 추출 매니폴드로부터 유체를 추출하기 위한 유체 추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유체 공급수단과 유체 추출수단을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유체 공급 매니폴드로의 유체 공급과 유체 추출 매니폴드로부터의 유체 추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는, 유체 공급 매니폴드와 유체 추출 매니폴드의 각각에 배열된 밸브(Valve)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각 밸브는 전자기적으로(Electromagnetically)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KR1020037010836A 2002-01-22 2002-01-22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KR1006245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R3153 2001-02-19
PCT/AU2002/000069 WO2002066349A1 (en) 2001-02-19 2002-01-22 Apparatus for separating a sheet of print media from a stack of sheets
AUPR315302 2002-02-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223A KR20030080223A (ko) 2003-10-11
KR100624561B1 true KR100624561B1 (ko) 2006-09-18

Family

ID=500326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0836A KR100624561B1 (ko) 2002-01-22 2002-01-22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5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50812B2 (ja) * 2007-08-29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紙葉類取り出し装置
CN114873251B (zh) * 2022-05-30 2024-05-07 菲迪斯智能装备(广东)有限公司 一种pp片的全自动分层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80223A (ko) 2003-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7314B2 (en) Air-based picker assembly for a printer
KR100624561B1 (ko) 용지 더미로부터 인쇄 매체 용지를 분리하는 장치
AU2004210571B2 (en) A printer incorporating an apparatus for separating a sheet of print media from a stack of sheets
AU2002227775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sheet of print media from a stack of sheets
AU2002227775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 sheet of print media from a stack of shee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