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4090B1 - Air ventillating pillow - Google Patents

Air ventillating pillow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4090B1
KR100624090B1 KR1020040069801A KR20040069801A KR100624090B1 KR 100624090 B1 KR100624090 B1 KR 100624090B1 KR 1020040069801 A KR1020040069801 A KR 1020040069801A KR 20040069801 A KR20040069801 A KR 20040069801A KR 100624090 B1 KR100624090 B1 KR 100624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ventilation
concave groove
pillow body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980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021010A (en
Inventor
황병일
Original Assignee
(주)트윈 세이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윈 세이버 filed Critical (주)트윈 세이버
Priority to KR1020040069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090B1/en
Publication of KR20060021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0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09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종래 메모리폼 베개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폼 베개의 상하로 통풍공을 형성하되 통풍공의 하부가 매트나 요에 의해 막히지 않고 그 구조 자체로 통풍공을 통해 통풍작용을 적극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구조의 통풍베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몸체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 상기 오목홈의 일측으로부터 베개 몸체의 측단에까지 베개 몸체의 하면에 걸쳐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되, 베개 몸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 베개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걸쳐서 관통되되, 상기 오목홈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ventilation of the conventional memory foam pillow, the ventilation hole is form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emory foam pillow, but the lower part of the ventilation hole is not blocked by mats or yaw, and the ventilation pillow has a structure that can actively induce ventilation through the structure itself. .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cave groove which is formed concave in a partial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is formed horizontally long across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from one side of the concave groove to the side end of the pillow body, to the inside of the pillow body At least one air passage is formed concave, and comprises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and formed to be located in the area occupied by the concave groove.

메모리폼 베개, 통풍, 공기Memory Foam Pillow, Ventilated, Air

Description

통풍 가능한 베개{Air ventillating pillow}Air ventillating pillow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베개의 횡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사용상태도.2 is a state of use.

도3은 저면도.3 is a bottom view.

본 발명은 베개의 외부와 내부 사이에서 공기 통풍이 가능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래 메모리폼 베개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폼 베개의 상하로 통풍공을 형성하되 통풍공의 하부가 매트나 요에 의해 막히지 않고 그 구조 자체로 통풍공을 통해 통풍작용을 적극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구조의 통풍베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illow capable of air ventilation between the outside and the inside of the pillow.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ventilation hol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emory foam pillow in order to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conventional memory foam pillow, but the low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hole is not blocked by the mat or yaw, the structure itself actively causes the ventilation action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It relates to a ventilation pillow of the structure that can be.

전통적인 베개인 솜이나 곡식피 등으로 채운 베개의 단점(후두부의 체압을 고루 받지 못하는 등의 문제)를 대체하여 또는 병행하여 메모리폼 베개가 많이 보급되고 있다.Memory foam pillows have been widely used in place of or in parallel with the disadvantages of the pillows filled with cotton or grain blood, which are traditional pillows.

메모리폼 베개는 인체공학적인 형상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쿠션이 좋고, 인체 의 후두부나 경추에 대한 체압을 고루 받아서 쾌적한 수면을 가능케하는 기능성 베개이다. 그러나 메모리폼 베개는 그 재질 자체가 합성 소재이므로 통풍성에 있어서는 전통적인 자연 소재에 비해서 열세인 단점이 있다.Memory foam pillow is a functional pillow that is easy to manufacture with good ergonomic shape, good cushioning, and receives comfortable body pressure on the back of the human head or cervical spine. However, the memory foam pillow is a synthetic material itself, so in terms of breathability has a disadvantage compared to the traditional natural materials.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통풍베개를 실용신안 선출원한 바 있다. 이 선출원 고안은 베개의 상하로 통풍공을 형성하여 베개의 통풍성을 향상시킬 것을 목적으로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고안에서 통풍공은 단순히 통풍구로서 뚫려있는 소극적 역할을 할 뿐이어서, 침대매트나 이불요 위에 베개를 놓을 경우에는 베개의 하면이 매트나 요에 밀착되기 때문에 수직으로 형성된 통풍공의 하부가 막히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가 되어 통풍효과가 그리 높지는 않은 단점이 있다. In order to overcome such a problem, the applicant has filed a utility model for a ventilation pillow. This prior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ventilation of the pillow by forming a ventilation hol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illow. However, in this design, the ventilation hole merely plays a passive role as a ventilation hole. When the pillow is placed on the bed mat or the blanket,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ly formed ventilation hole is blocked because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adheres to the mat or yaw. As a result, the ventilation effect is not so high.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 메모리폼 베개의 통풍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메모리폼 베개의 상하로 통풍공을 형성하되 통풍공의 하부가 매트나 요에 의해 막히지 않고 그 구조 자체로 통풍공을 통해 통풍작용을 적극적으로 일으킬 수 있는 구조의 통풍베개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구조에 의해 통풍성의 향상과 함께, 경추 보호 효과 및 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Thus, the present inventors to form a ventilation hole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emory foam pillow in order to improve the air permeability of the conventional memory foam pillow, but the lower portion of the ventilation hole is not blocked by the mat or yaw can actively cause the ventilation action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itself. We developed a ventilated pillow with With th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improving the breathability and maintaining the cervical spine protection effect and the correct sleeping postur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베개는, 베개 몸체의 하면의 일부 영역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 상기 오목홈의 일측으로부터 베개 몸체의 측단에까지 베개 몸체의 하면에 걸쳐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되, 베개 몸체의 내측으 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 베개 몸체의 상면과 하면에 걸쳐서 관통되되, 상기 오목홈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공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concave groove formed concave in a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is formed horizontally long 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from one side of the concave groove to the side end of the pillow body At least one air passage is formed concave inwardly of the pillow body, and comprises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penetrating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and formed to be located in the area occupied by the recess.

여기서 상기 오목홈은 베개 몸체의 후두부가 접촉하는 부위의 하면에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은 대략 원형일 수도 있고,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는, 길이 방향으로 베개 몸체의 하면에 대해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베개 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의 제1개구부는 베개 몸체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제2개구부는 상기 오목홈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서 개방된다.
Here, the recess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portion where the back of the pillow body contacts. The concave grooves may be substantially circular or polygonal in shape.
The one or more air passages are formed to be ope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the firs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is op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and the second opening is opened in the area occupied by the concave groov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통풍 베개의 횡단면도이고, 도3은 하면에서 바라본 저면도이다. 베개 몸체(10)의 하면의 중앙 부위에 오목홈(20)이 형성되어 있다. 오목홈(20)의 형성 위치는 대략 도2에서와 같이 인체의 후두부 및 경추가 접촉하는 부위의 하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ventilation pillo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ottom view as seen from the bottom. Concave groove 20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10). It is preferable that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concave groove 20 is a lower surface of the site where the back of the human body and the cervical spine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상기 오목홈(20)의 일측으로부터 베개 몸체(10)의 측단에까지 베개 몸체의 하면에 걸쳐서 공기통로(30)가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는데, 이 공기통로(30)는 오목하게 형성되며, 도면에서 보듯이 길이 방향으로 베개 몸체 하면에 대해서 개방된다. 즉, 반원의 홈 형태로 형성된다. 도3에 이 공기통로(30) 쪽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공기통로(30)의 개수는 임의적이다. The air passage 30 is horizontally formed over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from one side of the concave groove 20 to the side end of the pillow body 10, the air passage 30 is formed concave, in the drawing As you can see, it opens to the bottom of the pillow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i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groove. 3 shows a view as seen from the air passage 30 side. The number of air passages 30 is arbitrary.

또한, 베개 몸체(10)의 상면과 하면에 걸쳐서 관통되어 다수의 통풍공(40)이 형성된다. 이 통풍공(40)은 상기 오목홈(20) 내의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개구부(상단)는 베개 상면에서 개방되어 외부로 향하게 되고, 제2개구부(하단)는 상기 오목홈(20)에서 개방된다. 이들 통풍공(40)은 베개의 오목홈(20) 내부(즉, 베개의 내부)과 외부에 공기가 드나들도록 하는 통풍구 역할을 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ventilation holes 40 ar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10. The ventilation hole 40 is formed to be located in an area in the concave groove 20. That is, the first opening (upper end) is open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to the outside, and the second opening (lower end) is opened from the concave groove 20. These vent holes 40 serve as vent holes for entering air into and out of the recess 20 of the pillow (ie, the inside of the pillow).

도면에서 구별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오목홈(20)의 형상은 특정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가령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의 대략적 원형일 수도 있고, 사각형 오각 형 등의 다각형 형상일 수도 있다. Although not distinguished in the drawings, the shape of the concave groove 20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shape. For example, it may be an approximately circular shape such as a circle or an ellipse, or may b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rectangular pentagon.

위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우선, 구조적으로 오목홈(20)은 통풍공(40)과 공기통로(30)의 중간에서 이들을 서로 연결하고 있다. 이 상태로는 본 출원인이 출원한 선고안의 구성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른 점은, 통풍공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오목홈(20)이 베개가 매트 위에 놓일 때에 매트와 베개 사이에 비교적 넓은 공간을 확보하고 그 안에 공기를 품고 있는 점이다. It describes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the concave groove 20 is structur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middle of the ventilation hole 40 and the air passage (30). In this state,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filed is not very different. The difference is that the concave groove 20 having a relatively large diameter compared to the diameter of the vent hole secures a relatively large space between the mat and the pillow and contains air therein when the pillow is placed on the mat.

본 발명에서는 오목홈(20)을 형성함으로써 적극적으로 공기순환을 시킬 수 있게 된다. 즉, 도2에서와 같이 베개에 머리를 올려놓으면 베개가 눌려지고 그에 따라 오목홈(20)이 납작하게 눌리고 오목홈(20) 내에 있던 공기가 이러한 상태에서 통풍공(40) 및 공기통로(30)를 통해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양자중 보다 더 많이 열려있는 쪽으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될 것이다. In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the concave groove 20 it is possible to actively air circulation. That is, when the head is placed on the pillow as shown in Figure 2, the pillow is pressed and the concave groove 20 is pressed flat accordingly, the air in the concave groove 20 in the air vent 40 and the air passage 30 in this state It will exit through the outside. Air will escape from the open side more than either of them.

반대로 사람이 잠을 자면서 머리를 움직여서 오목홈(20)이 있는 부위의 압력이 제거되면 오목홈(20)은 빠르게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 때에는 오목홈(20) 내부의 좁혀졌던 공간이 넓어지면서 외부 공기가 통풍공(40)과 공기통로(30)를 통해 오목홈(20) 내부로 유입된다. On the contrary, when the person moves to the head while sleeping, the pressure in the portion where the concave groove 20 is removed is quickly restored to the original shape. At this time, while the narrowed space inside the concave groove 20 is widened, outside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cave groove 20 through the ventilation hole 40 and the air passage 30.

이상에서 볼 때 오목홈(20)은 마치 펌프의 역할과 같은 동작을 한다. 따라서 단순히 구멍을 뚫어놓고 공기가 통할 수 있는 가능성만을 열어놓은 종래의 고안에 비해, 본 발명은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적극적으로 공기를 베개 내부로 유입했다가 외부로 배출했다가 하는 동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메모리폼 베개의 통풍성이 대 폭 향상될 수 있다. In view of the above concave groove 20 acts as if the role of the pump. Therefore,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design, which simply opens a hole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passing air, the present invention can actively operate air into the pillow and then discharge it to the outside by the movement of the human body. . Therefore, the ventilation of the memory foam pillow can be significantly improved.

한편, 본 발명에서, 오목홈(20)은 인체의 가장 돌출부인 후두부 및 경추 부분에 위치한다. 오목홈(20)이 위치하는 부위는 다른 부위에 비해서 베개 살이 적기 때문에 경도가 낮다. 따라서 기존의 베개에 비해서 후두부 및 경추가 닿는 부위의 경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기 때문에(도1에서 오목홈(20)이 위치하는 부위의 경도 P2가 그 주변부의 경도 P1보다 작다), 후두부와 경추를 보호할 수 있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취침시 머리가 베개 내측으로 안정되게 안착될 수 있기 때문에 올바른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cave groove 20 is located in the back of the head and cervical spine that is the most protruding part of the human body. The location where the recessed groove 20 is located is low in hardness because the pillow flesh is smaller than other parts. Therefor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pillow, the hardness of the site where the back and the cervical spine can be relatively lower (hardness P2 of the site where the concave groove 20 is located in Fig. 1 is smaller than the hardness P1 of the periphery), so that the back and cervical spine It will also play a role in protecting. In addition, since the head can be stably seated inside the pillow when sleeping, it also plays a role in allowing you to sleep in the correct posture.

이상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s a specific embodiment, it is obvious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and the drawings.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determined by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의 움직임에 의해 적극적으로 베개 내에서 통풍작용을 일으키므로 한층 더 통풍성이 강화된 베개를 사용할 수 있게 되며, 부수적으로 배개의 경추 보호 효과 및 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더불어 얻을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ntilation of the human body is actively caused by the movement of the pillow, so that the ventilation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additionally, the cervical spine protection effect and a good sleeping posture can be maintained. You can get the effect that you have.

Claims (4)

베개 몸체의 후두부가 접촉하는 부위의 하면에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홈,Concave groove formed concav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rea where the back of the pillow body contacts, 상기 오목홈의 일측으로부터 베개 몸체의 측단에까지 베개 몸체의 하면에 걸쳐서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되, 베개 몸체의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며 길이 방향으로 베개 몸체의 하면에 대해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통로,At least one air passage formed horizontally long from the one side of the concave groove to the side end of the pillow body, which is formed concave inwardly of the pillow body and is open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 베개 몸체의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관통공으로서, 이 관통공의 제1개구부는 베개 몸체의 상면으로 개방되고 제2개구부는 상기 오목홈이 차지하는 영역 내에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공을 포함하는 베개.A through hole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pillow body, wherein the first opening of the through hole includes at least one ventilation hole that is open to the upper surface of the pillow body and the second opening is opened in an area occupied by the recess. Pillow.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The pillow of claim 1, wherein the recess is circul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홈은 다각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The pillow of claim 1, wherein the recess has a polygonal shape.
KR1020040069801A 2004-09-02 2004-09-02 Air ventillating pillow KR10062409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801A KR100624090B1 (en) 2004-09-02 2004-09-02 Air ventillating pillow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9801A KR100624090B1 (en) 2004-09-02 2004-09-02 Air ventillating pillow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159U Division KR200370095Y1 (en) 2004-09-02 2004-09-02 Air ventillating pill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010A KR20060021010A (en) 2006-03-07
KR100624090B1 true KR100624090B1 (en) 2006-09-20

Family

ID=37127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801A KR100624090B1 (en) 2004-09-02 2004-09-02 Air ventillating pillow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090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80B1 (en) * 2008-06-24 2010-09-13 김대영 Functional pillow for support of head and protection of cervical vertebra
KR101087714B1 (en) 2011-05-24 2011-11-30 조흥곤 A pillow
KR101213112B1 (en) * 2009-11-17 2012-12-17 주식회사 뉴지로 A pillow for a sound sleep having bone conduct vibrating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09B1 (en) 2006-03-06 2007-08-28 삼성전기주식회사 Backlight unit provided with light emitting diodes thereon
KR101883182B1 (en) * 2016-07-04 2018-07-30 공재철 Functionality pillow
KR102415257B1 (en) 2020-11-05 2022-07-01 안정호 A pillow including pocket sprin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87Y1 (en) 2003-08-01 2003-12-06 (주)현대공업 memoryfoam pillow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4887Y1 (en) 2003-08-01 2003-12-06 (주)현대공업 memoryfoam pillow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080B1 (en) * 2008-06-24 2010-09-13 김대영 Functional pillow for support of head and protection of cervical vertebra
KR101213112B1 (en) * 2009-11-17 2012-12-17 주식회사 뉴지로 A pillow for a sound sleep having bone conduct vibrating device
KR101087714B1 (en) 2011-05-24 2011-11-30 조흥곤 A pill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010A (en) 2006-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34280B1 (en) Ventilated mattress and method
KR200488729Y1 (en) Memory foam pillow of high elastic structure
JP2006246956A (en) Washable pillow
KR100624090B1 (en) Air ventillating pillow
KR20080000106U (en) Functional health pillow
KR102076703B1 (en) Mattress assembly comprising two-face topper having a ventilation structure
KR20190010172A (en) Ventilation Mattress
KR100755493B1 (en) Pillow for bedclothes
KR200484097Y1 (en) Pillow
US10548419B2 (en) Air multiplier pad
US20140283304A1 (en) Supportive Self Ventilating Pillow System
KR200370095Y1 (en) Air ventillating pillow
KR200480002Y1 (en) A pillow
KR101087714B1 (en) A pillow
CN210748515U (en) Breathable latex pillow with two usable surfaces
KR101998556B1 (en) Pillow enabling temperature controlling
KR200372590Y1 (en) A health mattress to have functional ball built-in easily
JP3002463B1 (en) pillow
KR200389046Y1 (en) A pillow using super-particles of air bead
KR102164510B1 (en) Bedding mattress with enhanced elasticity
KR102673177B1 (en) A mattress
KR200490055Y1 (en) Memory Foam Pillow
JP3126415U (en) pillow
KR200334887Y1 (en) memoryfoam pillow
JP3108276U (en) pillow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