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3396B1 -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3396B1
KR100623396B1 KR1020050056602A KR20050056602A KR100623396B1 KR 100623396 B1 KR100623396 B1 KR 100623396B1 KR 1020050056602 A KR1020050056602 A KR 1020050056602A KR 20050056602 A KR20050056602 A KR 20050056602A KR 100623396 B1 KR100623396 B1 KR 100623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wave device
acoustic wave
form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6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빈
김흥래
여기봉
이영수
김형준
Original Assignee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이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이재빈 filed Critical 쌍신전자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6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33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3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33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 H03H3/007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 H03H3/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impedance networks, resonating circuits, resonators for the manufacture of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or networks for the manufacture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resonators or network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86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03H9/02133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stres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02Details
    • H03H9/02007Details of bulk acoustic wave devices
    • H03H9/02086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 H03H9/02149Means for compensation or elimination of undesirable effects of ageing changes of characteristics, e.g. electro-acousto-migration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9/00Networks comprising electromechanical or electro-acoustic devices; Electromechanical resonators
    • H03H9/15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 H03H9/17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 H03H9/171Constructional features of resonators consisting of piezoelectric or electrostrictive material having a single resonator implemented with thin-film techniques, i.e. of the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FBAR] type
    • H03H9/172Means for mounting on a substrate, i.e. means constituting the material interface confining the waves to a volume
    • H03H9/173Air-g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rface Acoustic Wave Elements And Circuit Networks Thereof (AREA)
  • Piezo-Electric Or Mechanical Vibrators, Or Delay Or Filt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 지지층, 하부전극, 압전박막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체적탄성파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공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는 음향학적 반사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 아래쪽의 기판을 슬림화를 통하여, 기판의 제거를 최소화 하고 최소화하고 희생층의 존재로 인하여 식각공정에 의하여 공진구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사층이 완만한 경사형상을 갖음으로 인하여 기판의 제거를 최소화 하여 물리적으로 보강된 구조를 갖는 효과가 있다.
보쉬공정, 기판 슬림화, 부분열산화, 기판공극

Description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Film Bulk Acoustic Wave Device and Process of Manufacturing Thereof}
도 1a 내지 1d는 종래 기술의 체적탄성파 소자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6a 내지 6g는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를 단면도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희생층 형성단계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실리콘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판,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 지지층, 하부전극, 압전박막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체적탄성파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공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최근 이동통신부품의 고주파수화, 고품질화, 초소형화 경향에 부합하는 차세대부품으로서 체적탄성파 소자(FBAR;Film Bulk Acoustic Wave Device) 및 이를 이용한 대역통과필터, 듀플렉서 필터가 널리 연구 개발되고 있다.
상기 체적탄성파 소자는 압전재료의 압전/역압전 현상을 이용한 것으로 압전박막과 상하부전극의 단순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인 형태(air-gap 형태)이며, 단순하면서 공진특성이 우수한 체적탄성파 소자를 얻기 위한 여러가지 구조 및 제조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이하에서는 종래 기술의 체적탄성파 소자의 구조를 설명한다. 하기의 체적탄성파 소자들은 상부전극(1), 압전박막(2), 하부전극(3), 지지층(4) 및 기판(5)로 구성된다.
도 1a는 HABR(high-overtone bulk acoustic wave resonator)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음향학적 손실이 낮은 고품질의 기판을 사용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기계적으로 안정하면서도 간단하지만, 제조시 음향학적 손실이 낮은 고품질의 기판을 사용하여야 하여 양산화에 어려움이 있다.
도 1b는 SMR(solidly mounted resonator)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공진영역 하부에 공기층 대신 브랙반사층(Bragg reflector)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브랙 반사층(6)은 음향학적 임피던스의 차이가 큰 물질을 특정두께를 갖도록 교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모든 층들이 고체박막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기계적으로 안정하나, 브랙반사층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반사층 한 층을 증착할 때마다 평탄화 및 세정공정을 거쳐야 하고 각 공정이 정밀하게 조절되어야하여 생산성이 낮다.
도 1c는 공진영역 하부에 공기층을 갖는 구조이다. 상기 구조는 지지층을 가지며, 기판 후면 습식식각을 통하여 공극을 형성하며 습식 식각의 결과로 공극이 경사각을 갖게 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기판하부의 공극이 습식 이방성 식각에 의한 경사각을 가지므로, 희생층의 면적보다 더 큰 식각면적이 요구되어 생산성이 낮고, 기계적으로도 취약하여 후처리 공정에서 소자가 파손되기 쉽다. 또, 장시간 동안 강염기에 노출시켜야 하므로 인체에 유해하고 사고의 위험성이 있다.
도 1d는 공극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딥리에(DRIE;deep reactive ion etching)공정을 이용한 것이다. 딥리에 공정이란 반응성 이온을 이용하여 건식 식각을 깊게 할 수 있는 공정이다. 상기 딥리에 공정을 이용한 결과, 상기 구조는 공진영역의 측벽이 기판면과 수직을 이루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공진영역 하부의 기판이 공진영역의 넓이만큼 제거되어 상부로부터의 기계적 충격에 대하여 취약하며 딥리에 공정의 식각속도를 고려하였을 때(보통 20um/min, 최대 80um/min) 생산성이 낮다. 또, 딥리에 공정에 의하여 하부전극이 손상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물리적으로 보강되도록 희생층을 이용하여 음향학적 반사층 아래의 기판이 직접 제거되지 않고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기판의 저면으로 관통된 기판공극이 형성된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CMP 공정이 필요없이 간단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표면이 평활한 열산화막을 형성하여 공정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표면의 평활성이 우수한 희생층을 형성하여 압전박막의 c-축 우선배향성을 크게 향상된 체적탄성파 소자를 제조할 수 있는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판을 슬림화함으로써 식각 공정에 필요한 시간을 줄이고, 습식 식각에 필요한 식각면적을 줄여 생산성을 높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희생층 제거 후 화학처리를 함으로써 박막과 기판 부분의 점착을 방지하는 체적탄성파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체적탄성파 소자는 기판,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 지지층, 하부전극, 압전박막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체적탄성파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공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은 기판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고 희생층 위에 지지층을 형성한 다음 희생층을 제거하는 것에 의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른 체적탄성파 소자는 기판,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 상기 공진영역을 제외한 기판 상부에 형성된 산화방지막, 지지층, 하부전극, 압전박막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체적탄성파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공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발명과 구조가 유사하나 부분적열산화 공정을 통하여 제조되었다는 점에서 차이점을 갖는다.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은 실리콘 기판위에 산화 방지막을 부분적으로 형성하고 희생층을 형성할 부분의 산화방지막을 제거한 다음, 상기 산화방지막을 제거한 부분을 열산화 시켜 이를 희생층으로 이용하여 형성된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체적탄성파 소자의 제조방법은 기판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희생층형성단계와, 상기 희생층 위에 소정의 두께로 AlN, SiO2 및 Si3N4 중 하나를 증착시키거나 하나 이상을 다층 증착시켜 지지층을 형성하는 지지층형성단계와, 상기 지지층 위에 전도성 재료를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하여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하부전극형성단계와, 상기 하부전극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압전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증착하여 압전박막을 형성하는 압전박막형성단계와, 상기 압전박막 위에 전도성 재료를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하여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상부전극형성단계와, 상기 희생층의 하단으로부터 기판 저면까지 관통되는 기판공극을 형성하는 공극형성단계 및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희생층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다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은 상기 희생층 형성단계 전 또는 공극 형성단계 전에 그라인딩 머신, 래핑 머신 또는 폴리싱 머신을 이용하여 실리콘 기판을 수십~200 um 두께로 하는 기판슬림화 단계 및 상기 실리콘 기판을 세정용액, 초음파 또는 버블링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기판세정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의 일실시예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16)과,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19), 지지층(12), 하부전극(13), 압전박막(14) 및 상부전극(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수개의 공극(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의 다른 실시예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16)과,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19), 지지층(12), 하부전극(13), 압전박막(14) 및 상부전극(15)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공극(1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극은 습식식각에 의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습식식각의 공정 특성상,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공극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이다.
상기 공극은 습식식각 공정의 특성상, 식각이 진행됨에 따라 공극이 수직으로 형성되지 않고, 피라미드 형상으로 식각된다. 이 경우, 식각되는 기판 저면의 폭이 음향학적 반사층의 폭보다 크다면, 기판 당 제조가능한 소자의 수가 감소하여 생산 수율이 낮아지므로, 상기 공극의 최장폭은 음향학적 반사층의 최장폭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기판슬림화단계를 통하여 가능하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음향학적 반사층 아래의 기판을 전부 제거하지 않고, 희생층의 제거에 필요한 넓이만을 갖는 공극을 형성하는 것이다. 종래의 기술과 같이 음향학적 반사층 아래의 기판을 전부 제거할 경우, 지지구조의 부재로 인하여 필연적으로 물리적으로 취약해지며, 특히 지지층, 하부전극, 압전박막, 상부전극에 있어서 음향학적 반사층의 가장자리와 겹치는 부분에서 응력이 집중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크랙 등이 발생할 염려가 높다.
상기 공극이 차지하는 면적이 작을 수록 물리적으로 좋을 것이나, 희생층 제거를 고려할 때, 다수의 공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극형성에 있어서 건식식각을 이용할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기판 저면과 수직으로 공극을 형성할 수 있다. 습식식각을 이용할 경우에는 공정 특성상, 피라미드 형상의 공극이 형성되나, 후술할 기판슬림화단계를 거침으로써 생산수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적탄성파 소자의 또 다른 실시예는 부분적열산화 공정을 통하여 희생층을 형성함으로써, 도 4와 같이, 기판(16),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19), 상기 공진영역을 제외한 기판 상부에 형성된 산화방지막(18), 지지층(12), 하부전극(13), 압전박막(14) 및 상부전극(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희생층 형성에 있어서 부분적열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열산화막은 열산화 장비를 투입하여 산화방지막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 전극영역이 모두 산화될 때까지 열산화시키는 것에 의하여 형성되며 열산화된 부분은 희생층으로 후공정에서 제거되어 음향학적 반사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분적 열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열산화막은 산화방지막이 없는 부분에서는 열산화막이 성장하고, 산화방지막이 남아 있는 부분에서는 열산화막이 성장하지 않는데, 경계부분에서는 산소확산의 결과로 완만한 경사면을 갖게 된다. 따라서, 후에 형성되는 하부전극의 전극부분과 공진영역부분이 경사를 따라 연결되므로 패드부와 전극부분을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게되며, 열산화막의 경사가 급격하게 변하는 것에서 기인하는 미세균열의 발생과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적탄성파 소자는 기판 공극형성시 습식 식각 공정을 이용하여 도 3과 같은 경사를 갖는 기판공극을 포함할 수도 있다.
살펴본 상기 체적탄성파 소자들의 기판은 실리콘 또는 산화 실리콘인 것이 바람직하며, 지지층은 AlN, SiO2 및 Si3N4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고,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은 몰리브덴, 알루미늄, 금, 구리, 크롬, 루테늄 또는 백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의 일실시예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기판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희생층 형성단계(S 10, 도 6a)와, 상기 희생층 위에 소정의 두께로 AlN, SiO2 및 Si3N4 중 하나를 증착시키거나 하나 이상을 다층 증착시켜 지지층을 형성하는 지지층 형성단계(S 20, 도 6b)와, 상기 지지층 위에 전도성 재료를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하여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하부전극 형성단계(S 30, 도 6c)와, 상기 하부전극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압전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증착하여 압전박막을 형성하는 압전박막 형성단계(S 40, 도 6d)와, 상기 압전박막 위에 전도성 재료를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하여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상부전극 형성단계(S 50, 도 6e)와,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기판공극을 형성하는 공극형성단계(S 60, 도 6f) 및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희생층 제거단계(S 70, 도 6g)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희생층 형성단계의 일실시예는 희생층을 증착할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폴리실리콘, SiO2, ZnO 및 고분자 중 선택된 하나를 증착하고 화학-기계적 연마(CMP)를 이용하여 상기 실리콘 기판과 희생층을 연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법은 표면마이크로머시닝(M/M 1) 방법에 의한 것으로, 먼저 실리콘 기판에 수um 깊이의 홈(음향학적 반사층으로 기능하는 빈 공간)을 형성한다. 그 홈에 SiO2, Poly-Si, ZnO 등의 희생층을 증착한 다음,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공정을 이용하여 경면 연마한다.
여기서 CMP(chemical-mechanical polishing)는 화학적인 반응과 기계적인 연마를 병행하여 기판이나 희생층을 평탄화 하는 공정을 말한다. 평면 정반위에 pad를 붙이고, 그 위에 연마제와 화학작용을 할 수 있는 연마액이 혼합된 슬러리를 붓고, 정반을 회전시키면서 가공물을 회전하는 pad와 마찰시킨다. 그러면 그 사이의 연마제와 연마액에 의하여 가공물은 기계적인 마찰에 의하여 연마되고, 화학적인 반응에 의해서 식각되며, 이 기계적이고 화학적인 작용들이 상호 상승작용을 일으켜 더욱 경면(거울면)에 가깝게 연마할 수 있는 것이다.
1차 CMP공정은 대략 거칠게 연마하는 공정이다. 홈이 아닌 기판위에 증착된 희생층을 제거하여 홈속에 증착된 희생층 표면 높이와 기판면과의 높이를 전체적으로 비슷하게 평탄하게 하는 작업이다. 2차 CMP공정은 기판 홈속에 증착된 희생층부분을 평활하게 연마하는 것이다. 2차 CMP는 매우 중요한 공정으로 이를 통하여 홈속의 희생층 표면이 매우 평활해져야만 한다. 어떤 물질을 증착할 때, 그 근본이 되는 기판의 표면 상태에 따라서 증착되는 박막의 모든 특성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특히 압전체의 c-축 우선배향성은 매우 중요한 압전박막의 특성인데, 이 특성이 희생층의 표면거칠기에 직접영향을 받는다. 희생층표면이 평활할수록 압전 체의 우선배향성이 우수하고 따라서 소자특성이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희생층형성단계의 다른 실시예는 도 8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기판 위에 폴리실리콘, SiO2, ZnO 및 고분자 중 선택된 하나를 증착하는 희생층을 증착하고, 포토레지스트 공정을 이용하여 공진영역을 구분하는 패턴으로 희생층의 경계가 완만한 경사를 갖도록 하는 희생층을 패턴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는 전술한 희생층형성 방법과 유사하나 홈을 형성하지 않고 기판을 그대로 이용하였다는 점이 다르다. 이 경우, 기판에 홈을 생성하는 공정이 필요치 않아 제조공정이 단축된다.
본 발명의 다른 희생층 형성 단계는 도 7에 나타난바와 같이, 상기 실리콘 기판 위에 실리콘 질화막을 수~수십nm의 두께로 성장시키는 산화방지막형성단계(S 12)와, 포토레지스트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산화방지막이 공진영역을 구분하는 패턴을 갖도록 식각하는 패턴단계(S 14)와, 상기 산화방지막이 제거된 부분을 열산화시키는 열산화막형성단계(S 16)로 이루어진다.
상기 산화방지막형성단계(S 12)에서 실리콘 질화막은 LP-CVD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1,000℃ 정도에서 O2, N2, TCE 등을 이용하여 상기 공진영역을 제외한 기판 상부에 형성한다.
상기 실리콘 질화막은 열산화막이 성장할 영역인 공진영역과 열산화막의 성장을 억제할 영역인 전극영역을 구분하는 구조로서, 열산화 과정에서 파괴되지 않고, 산소공급을 차단한다.
상기 패턴단계(S 14)에서는 상기 실리콘 질화막 위에 포토레지스트공정(포토레지스트 도포/노광/현상)을 이용하여 공진영역과 전극영역을 구분하고, 습식식각(인산 이용)법이나 건식식각(RIE, ICP 등 이용)법을 이용하여 공진영역에 있는 저응력 실리콘 질화막을 제거하여 산화방지막을 형성한다.
상기 열산화막형성단계(S 16)에서는 습식 열산화방법에 의하여 산화방지막에 의하여 보호되지 않는 부분을 산화시킨다. 상기의 부분적열산화 방법을 이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열산화막은 산화방지막이 없는 부분에서는 열산화막이 성장하고, 산화방지막이 남아 있는 부분에서는 열산화막이 성장하지 않는데, 경계부분에서는 산소확산의 결과로 완만한 경사면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지지층형성단계(S 20)는 스퍼터링법, 원자층 증착법, 화학기상증착법, 또는 열산화법을 이용하여 AlN, SiO2 및 Si3N4 중 하나를 증착시키거나 하나 이상을 다층 증착시킨다. 지지층의 두께는 체적탄성파 파장의 0.5배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하부전극형성단계(S 30), 압전박막형성단계(S 40), 상부전극형성단계(S 50)는 스퍼터링 방법 또는 증발증착법을 이용하여 소정의 두께로 재료를 증착한 다음 사진식각공정, 리프트오프법, 직접 식각 방법 등을 이용하여 패턴할 수 있다.
상기 하부전극은 상기 압전박막에 의해 덮여지도록 압전박막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전극은 압전박막이 형성된 부분에만 형성되도록 압전박막보다 작은 면적으로 형성한다.
상기에서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은 동일한 면적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최적의 공진특성을 얻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전극과 상부전극은 Mo, Pt, Au, Al, Cu, Cr 또는 Ru로 이루어지고 두께는 수십~수백n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전극은 표면이 평활한 지지층 위에 형성되어 그 표면 역시 매우 평활하게 되므로 그 위에 형성되는 압전박막의 c-축 우선배향성이 우수하다.
상기 압전박막은 ZnO, AlN, PZT 또는 압전특성 고분자로 이루어지며 필요로 하는 체적탄성파 파장의 0.5배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한다.
본 발명의 공극형성단계(S 60)는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희생층형성단계 전에 기판슬림화단계(S 2) 및 세정단계(S 4)를 포함하거나, 공극형성단계전에 기판슬림화단계 및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판슬림화단계는 1차로 그라인딩 머신으로 기판의 표면을 분쇄하여 두께를 얇게 한 후, 래핑 머신으로 2차연마를 하고 마지막으로 폴리싱 머신을 사용하여 경면처리를 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슬림화단계에서는 필연적으로 많은 오염물이 발생하므로 세정이 불가피하다. 세정은 SC1, SC2용액을 사용하거나 버블링 초음파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기판슬림화단계를 거침으로써 공극 형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 기존의 방법에서 습식식각을 이용하여 공극 형성을 할 경우, 공정 특성상 소자의 넓이보다 기판하부의 식각면의 넓이가 크게 되어 소자의 생산성이 저하되는데, 기판 슬림화를 거치고 습식 식각을 하면 식각 깊이가 낮아지므로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할 수가 있다.
상기 공극형성단계에서 건식식각으로는 특히 보쉬(BOSCH)공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쉬공정에 대해서는 이미 발표된 논문('Caracterization of a time multiplexed inductively coupled plasma etcher' Journal of the Electrochemical Society, 146(1), 339-349, 1999)에 충분히 개시되어 있는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공극형성단계는 이후의 희생층제거단계에서 식각물질이 통과할 정도의 크기만을 확보하는 작은 공극을 다수 형성하여 공진영역 하부의 기판의 제거를 최소화함으로써 상부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 물리적으로 취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극형성단계에서 습식식각으로는 실리콘 이방성 습식식각 공정을 이용하며 공정특성상 공극은 경사각을 갖게 된다.
본 발명의 희생층제거단계(S 70)는 건식식각 또는 습식식각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건식식각에서 희생층이 실리콘인 경우에는 XeF2 가스, 희생층이 SiO2인 경우에는 HF가스, 희생층이 폴리머인 경우에는 산소 가스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습식 식각에서 희생층이 실리콘인 경우에는 KOH 또는 TMAH 용액, 희생층이 SiO2인 경우에는 HF 용액, 희생층이 폴리머인 경우에는 아세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을 제거한 후에는 디클로로디메틸실란(DDMS) 용액 등을 처리하여 표면을 개질할 수 있다. 상기 용액은 기판과 박막의 표면을 친수성에서 소수성으로 개질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습식 식각을 이용하여 희생층을 제거할 경우 기판과 지지층이 표면장력 등에 의하여 접착하는 스틱션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상기 표면개질단계의 필요성이 높다.
본 발명에 따른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공정에서 필연적 으로 제거되는 공진영역 하부의 기판을 최소화하므로 상부로부터의 압력에 대하여 보강된 구조를 가져 마이크로크랙 등 물리적 손상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기판 슬림화를 통하여 공정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식각용액 등에 과다 노출되어 기판이 손상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기판 슬림화를 통하여 습식 식각에 필요한 면적을 줄임으로써, 생산수율을 향상시킨다.
또, 부분열산화 공정을 이용하여 희생층을 형성할 경우 CMP 공정이 필요치 않아 제조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으며 CMP공정에 의하여 연마된 형성층보다 평활한 형성층을 형성하여 압전박막의 c-축 배향성과 공진특성이 향상된다.

Claims (9)

  1. 기판, 기판 상부에 공진영역을 형성하는 음향학적 반사층, 지지층, 하부전극, 압전박막 및 상부전극을 포함하여 구성된 체적탄성파 소자에 있어서,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관통되는 공극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진영역을 제외한 기판 상부에 형성된 산화방지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두개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음향학적 반사층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기판의 저면까지 공극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의 최장폭은 음향학적 반사층의 최장폭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6. 기판 위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희생층형성단계와,
    상기 희생층 위에 소정의 두께로 AlN, SiO2 및 Si3N4 중 하나를 증착시키거나 하나 이상을 다층 증착시켜 지지층을 형성하는 지지층형성단계와,
    상기 지지층 위에 전도성 재료를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하여 하부전극을 형성하는 하부전극형성단계와,
    상기 하부전극 위에 소정의 패턴으로 압전특성을 보유하는 재료를 증착하여 압전박막을 형성하는 압전박막형성단계와,
    상기 압전박막 위에 전도성 재료를 소정의 패턴으로 증착하여 상부전극을 형성하는 상부전극형성단계와,
    상기 희생층의 하단으로부터 기판 저면까지 관통되는 기판공극을 형성하는 공극형성단계 및
    상기 희생층을 제거하는 희생층제거단계를 포함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형성단계는
    상기 기판 위에 실리콘 질화막을 수~수십nm의 두께로 성장시키는 산화방지막형성단계와,
    포토레지스트 공정을 이용하여 상기 산화방지막이 공진영역을 구분하는 패턴을 갖도록 식각하는 패턴단계와,
    상기 산화방지막이 제거된 부분을 열산화시키는 열산화막형성단계로 이루어지는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형성단계는 보쉬(bosch) 공정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
  9. 제5항 내지 제8항에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희생층형성단계 전 또는 공극형성단계 전에 그라인딩 머신, 래핑 머신 또는 폴리싱 머신을 이용하여 기판을 수십~200 um 두께로 하는 기판슬림화단계 및
    상기 기판을 세정용액, 처음파 또는 버블링을 이용하여 세정하는 세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적탄성파 소자 제조방법.
KR1020050056602A 2005-06-28 2005-06-28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23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02A KR100623396B1 (ko) 2005-06-28 2005-06-28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6602A KR100623396B1 (ko) 2005-06-28 2005-06-28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3396B1 true KR100623396B1 (ko) 2006-09-13

Family

ID=376247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6602A KR100623396B1 (ko) 2005-06-28 2005-06-28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33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8965A1 (en) * 2012-01-18 201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CN111740003A (zh) * 2020-06-22 2020-10-02 济南晶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压电薄膜体及其制备方法、空腔型器件及其制备方法
CN111756351A (zh) * 2020-04-03 2020-10-09 诺思(天津)微系统有限责任公司 体声波谐振器及其制造方法、滤波器和电子设备
CN112953446A (zh) * 2021-02-05 2021-06-11 苏州汉天下电子有限公司 一种体声波谐振器的制备方法以及体声波谐振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8965A1 (en) * 2012-01-18 2013-07-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CN103534943A (zh) * 2012-01-18 2014-01-22 三星电子株式会社 体声波谐振器
US9899593B2 (en) 2012-01-18 2018-0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US10991872B2 (en) 2012-01-18 2021-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Bulk acoustic wave resonator
CN111756351A (zh) * 2020-04-03 2020-10-09 诺思(天津)微系统有限责任公司 体声波谐振器及其制造方法、滤波器和电子设备
CN111740003A (zh) * 2020-06-22 2020-10-02 济南晶正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压电薄膜体及其制备方法、空腔型器件及其制备方法
CN112953446A (zh) * 2021-02-05 2021-06-11 苏州汉天下电子有限公司 一种体声波谐振器的制备方法以及体声波谐振器
CN112953446B (zh) * 2021-02-05 2024-02-13 苏州汉天下电子有限公司 一种体声波谐振器的制备方法以及体声波谐振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65026B2 (ja) 基板実装型バルク波音響共鳴器の空洞全体にまたがる下部電極
US7212082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piezoelectric thin film device and piezoelectric thin film device
JP4636292B2 (ja) 電子部品及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4248177B2 (ja) パターン化された音響ミラーを固体的に取り付けられたマルチ共振器バルク音波フィルタ
KR100398363B1 (ko) Fbar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6842088B2 (en) Thin film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20060179642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JP2007028669A (ja) 薄膜音響共振器の製造方法
US20070194863A1 (en) Film bulk acoustic resona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6400693B2 (ja) 犠牲材料で充填されたキャビティを含む半導体構造を作製する方法
EP3881065B1 (en) Anti-stiction bottom cavity surface for micromachined ultrasonic transducer devices
US6905970B2 (en) Method for making a thin film bulk acoustic-wave resonator
JP4441843B2 (ja) 薄膜音響共振器
KR100623396B1 (ko) 체적탄성파 소자 및 그 제조방법
CN110311643A (zh) 一种薄膜体声波谐振器及其制备方法
JP5299676B2 (ja) 圧電薄膜音響共振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3193846A (zh) 一种带混合横向结构特征的薄膜体声波谐振器
JP2004328739A (ja) 基板からフローティングされたエアギャップを有する薄膜のバルク音響共振器及びその製造方法
CN115412042B (zh) 薄膜体声波谐振器及其制备方法
CN111294011B (zh) 固态装配型谐振器及其制备方法
JP2005033379A (ja) 薄膜バルク波振動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37327B1 (ko) 마이크로머신의 제조방법
CN114679145A (zh) 薄膜体声波谐振器的制备方法
CN114978093A (zh) 声波谐振器、滤波器、通信设备及其制造方法
CN220798237U (zh) 一种薄膜体声波谐振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