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871B1 -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 Google Patents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871B1
KR100622871B1 KR1020050062236A KR20050062236A KR100622871B1 KR 100622871 B1 KR100622871 B1 KR 100622871B1 KR 1020050062236 A KR1020050062236 A KR 1020050062236A KR 20050062236 A KR20050062236 A KR 20050062236A KR 100622871 B1 KR100622871 B1 KR 1006228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supply pipe
test cell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2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만구
Original Assignee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500622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87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8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2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gaseous state
    • G01N1/2273Atmospheric sampl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59Transmissivity
    • G01N21/5907Densitome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양단의 폭이 상이한 나팔관 형상으로서, 폭이 좁은 일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채널(201) 및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채널(203)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200); 및 양단의 폭이 상이한 나팔관 형상으로서, 공기공급관(200)의 내부에 공기공급관(200)과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폭이 좁은 일단부가 공기배출채널(203)과 연통되어 있는 공기배출관(210)을 구비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로서, 공기배출관(210)은 공기공급채널(201)을 통해 공기공급관(200)에 유입된 공기가 유통가능하도록 공기공급관(20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공기배출관(210)의 타단부는, 공기공급관(200)의 타단부로 유동한 공기가 공기공급관(200)의 타단부에 밀착된 시료(230)의 표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시료(230)와 이격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ant release tes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shape of a fallopian tube having different widths at both ends, and the air supply channel 201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narrow end portion and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are provided. An air supply pipe 200 formed; And an air discharge pipe 210 having a shape of a fallopian tube having different widths at both ends and installed in the air supply pipe 200 so as to correspond to the air supply pipe 200 and having a narrow en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As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to be,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install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200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201, the air discharge pipe The other end of the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sample 230 so that the air flowing to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is discharged via the surface of the sample 230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Provide pollutant release test cells.

오염물질, 오염물질 방출시험셀, 공기공급관, 공기배출관, 나팔관 Pollutant,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ir supply pipe, air exhaust pipe, bugle pipe

Description

오염물질 방출시험셀{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Pollutant Emission Test Cell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도 1은 종래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뚜껑부 중 일부가 절단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ut part of the lid portion of a conventional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돌장치가 구비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equipped with an ond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200: 공기공급관 201: 공기공급채널200: air supply pipe 201: air supply channel

203: 공기배출채널 210: 공기배출관203: air discharge channel 210: air discharge pipe

220: 밑판 240: 체결수단220: base plate 240: fastening means

본 발명은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emitted from the building materials.

최근 들어, 건물내 에너지 절감 및 에너지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건물 밀폐화가 강조되면서 단열재와 같은 건축자재의 사용으로 인하여 실내 공기질이 악화되 고 있다. 뿐만 아니라, 경제수준의 향상으로 다양한 인테리어 용품의 사용량이 증가하면서 예상치 않은 오염물질이 방출되고 있다.Recently, with the emphasis on encapsulating buildings in order to save energy and increase energy efficiency, indoor air quality has deteriorated due to the use of building materials such as insulation. In addition, the increase in the use of various interior goods due to the economic level is increasing unexpected pollutants.

이러한 건축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은 주로 휘발성 유기화합물이나 폼알데하이드가 대부분을 차지하는데, 이들 오염물질 중에는 발암성 성분도 함유되어 있어 큰 문제가 되고 있다.Pollutants emitted from such building materials are mainly volatile organic compounds or formaldehyde, and these pollutants also contain carcinogenic components, which is a big problem.

이러한 실내오염을 줄이기 위해 여러 나라에서는 건축자재 등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을 측정하여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양에 따라 건축자재의 등급을 나눔으로써 건축자재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양을 간접적으로 규제하고 있다.In order to reduce such indoor pollution, many countries indirectly measure the amount of pollutants contained in building materials by dividing the grade of building materials according to the amount of pollutants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Regulated.

건축자재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시료로부터 오염물질을 방출시켜야 하는데, 오염물질 방출장치로는 챔버식에 의한 것과 셀방식에 의한 것이 있다. 셀방식의 오염물질 방출장치는 현장에서 시료 위에 직접 설치하여 실험할 수 있으므로 챔버방식에 비해 간편하고 효율적이다.In order to measure the amount of pollutant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the pollutant must first be released from the sample. The pollutant discharge device includes a chamber type and a cell type. Cellular pollutant release devices are simpler and more efficient than chamber methods because they can be installed and tested directly on the sample in the field.

도 1은 종래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방출시험셀의 뚜껑부 중 일부가 절단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lid portion of the emission test cell of the conventional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u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은 크게 뚜껑부(100)와 밑판(11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conventional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is composed of a lid part 100 and a bottom plate 110.

뚜껑부(1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뚜껑부(100)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채널(101)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공기공급관(102)에 접속되어 있다.The lid part 100 has a circular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the lid part 100 is formed with an air inflow channel 101 through which external air is introduced,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supply pipe 102.

한편, 뚜껑부(100)의 중앙에는 유입된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배출채널(103)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공기배출관(104)과 접속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enter of the lid portion 100 is formed an air discharge channel 103 through which the introduced air is discharged, which is connected to the air discharge pipe (104).

뚜껑부(100)에는 공기유입채널(101)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유통하는 공기유통로(105)가 뚜껑부(100)의 원주와 대응되게 뚜껑부(100)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In the lid part 100, an air flow path 105 through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inflow channel 101 flows is formed in the lid part 100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ce of the lid part 100.

유입된 공기는 뚜껑부(100)의 하단에 설치된 시료(120)의 표면을 경유하게 되는데, 이때 유입된 공기는 공기유통로(105)의 슬릿(106)부분을 통해 시료에 공급된다.The introduced air passes through the surface of the sample 120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lid part 100. At this time, the introduced air is supplied to the sample through the slit 106 of the air flow path 105.

한편, 이와 같은 뚜껑부(100)만을 이용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도 있지만, 카펫이나 고무 등과 같이 실험 도중 밀리거나 말릴 수 있는 시료(120)는 밑판(110) 내부에 시료(120)를 안치한 상태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해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centration of the contaminant may be measured using only the lid part 100, but the sample 120 that can be pushed or dried during the experiment such as carpet or rubber may have the sample 120 inside the bottom plate 110.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should be measured while in place.

이때, 밑판(110)은 내부에 설치되는 시료(120)의 두께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뚜꺼운 시료를 뚜껑부(100) 내부에 안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밑판(110)의 높이를 크게 하여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bottom plate 110 can be adjusted in height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ample 120 is installed inside, if you want to place a thick sample inside the lid portion 100 to increase the height of the bottom plate 110 use.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기술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prior ar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the following problems.

즉, 종래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은 뚜껑부에 공기공급채널이 2군데 형성되어 있고, 공급된 공기가 공기유통로의 슬릿을 통해 시료에 공급되므로 공기공급채널과 가까운 시료표면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고, 공기공급채널로부터 멀리 떨어진 시료표면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공급되는 등 시료의 표면을 경유하는 공기의 양이 시료 표면의 전 방향에서 균일한 것이 아니라 방향성을 나타내게 되므로 시료의 전 표면에서 오염물질을 골고루 방출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That is, in the conventional pollutant discharge test cell, two air supply channels are formed in the lid part, and the supplied air is supplied to the sample through the slit of the air passage, so that a large amount of air is provided on the sample surface close to the air supply channel. Is supplied, and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is supplied to the sample surface far away from the air supply channel.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evenly release the pollutants from the surface.

또한, 뚜껑부의 중앙에 형성된 공기배출채널을 통해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시료의 중앙부로 진행할수록 시료의 표면을 흐르는 공기의 선속도가 빨라지게 되어 시료의 전 표면에서 오염물질을 골고루 방출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channel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id portion, the linear velocity of the air flow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sample becomes faster as it proceeds to the center portion of the sample, which does not evenly release contaminants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sample. There is a problem.

또한, 카펫이나 고무 등과 같은 시료를 사용할 경우 밑판을 별도로 구비해야 되며, 시료의 두께에 따라 밑판의 높이를 조절해야 하는 등 장치의 복잡성 및 실험의 불편함이 뒤따르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using a sample such as carpet or rubber should be provided separately under the bas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plexity of the device and the inconvenience of the experiment, such as to adjust the height of the base plate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ample.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된 공기가 시료에 대해 방향성 없이 전 방향에서 균일하게 공급되고, 시료의 표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항상 일정한 선속도를 갖도록 함으로써 시료의 전 표면에서 오염물질을 골고루 방출시킬 수 있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ir is supplied uniformly in all directions without directivity to the sample, and discharg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sample By providing a constant linear velocity at all times, it provides a pollutant release test cell that can release pollutants evenly on the whole surface of the sampl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카펫이나 고무 등과 같은 시료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밑판을 구비할 필요없이 내부의 공기배출관의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킨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emitted from a sample such as carpet or rubber, without having to provide a separate base plate contaminants to improve the ease of use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 discharge pipe inside To provide a release test ce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시료가 안치된 밑판 하단부에 온돌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시료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함으로써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을 반영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제공함에 있다.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reflect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Korea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 emitted from the sample while the ondol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where the sample is placed.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양단의 폭이 상이한 나팔관 형상으로서, 폭이 좁은 일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채널 및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 및 양단의 폭이 상이한 나팔관 형상으로서, 공기공급관의 내부에 공기공급관과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폭이 좁은 일단부가 공기배출채널과 연통되어 있는 공기배출관을 구비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로서, 공기배출관은 공기공급채널을 통해 공기공급관에 유입된 공기가 유통가능하도록 공기공급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설치되고, 공기배출관의 타단부는, 공기공급관의 타단부로 유동한 공기가 공기공급관의 타단부에 밀착된 시료의 표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시료와 이격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 fallopian tube shape of the both ends of the width is different, the ai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to the narrow one end and the air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outside An air supply pipe having a discharge channel formed therein; And a trumpet tube shape having different widths at both ends, the air discharge tube having an air discharge tube installed inside the air supply tube so as to correspond to the air supply tube, and having a narrow end portion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channel. The air flowing into the air supply pipe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the air flowing to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Provide a pollutant release test cell spaced apart from the sample to be discharged via the sample surface.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급되는 모든 공기가 시료의 각 방향에서 시료의 전 표면을 경유하므로 보다 짧은 시간 안에 많은 오염물질을 시료로부터 방출시킬 수 있어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all the supplied air passe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sample in each direction of the sample, many pollutants can be released from the sample in a shorter time, thereby reducing the tim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s.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배출관은 직경이 일정한 기둥부와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산부로 이루어지며, 기둥부의 길이는 상기 기둥부의 직경의 10배 이상으로 형성된다.Here, preferably, the air supply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is composed of a pillar portion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a diffusion portion that increases in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pillar portion is formed at least 10 times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기공급채널은 상기 공기공급관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채널은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된다.In addition, preferably the air supply channel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the air discharge channel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one end of the air supply pipe.

또한, 바람직하게는 공기공급관의 타단부의 내주면과 공기배출관의 타단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1~2㎜ 이다.Further, preferably,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is 1 to 2 mm.

한편, 시료와 밀착되는 공기공급관의 타단부에는 공기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차폐부재 및 시료가 안치되는 밑판을 더 구비하며, 밑판과 공기공급관의 타단부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된다.On the other hand,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n close contact with the sample further includes an air shielding member for preventing the entry of air and a bottom plate on which the sample is place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plate and the air supply pipe is fastened by a fastening means.

또한, 바람직하게는 밑판의 하단부에 밑판을 가열하기 위한 온돌장치가 더 구비되는데, 온돌장치는 알루미늄블럭 및 알루미늄블럭을 에워싸는 내열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맨틀히터이며, 온돌장치의 온도는 40~70℃ 를 유지한다.In addition, preferably an ondol device for heating the bottom plate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is further provided, the ondol device is composed of an aluminum block and a heat-resistant member surrounding the aluminum block or a mantle heater,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device is 40 ~ 70 ℃ Keep it.

이에 의하면, 온돌장치를 밑판 하단에 설치할 경우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을 반영한 상태에서 오염물질을 방출시킬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측정값을 얻을 수 있다.According to this, when the ondol device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can be released pollutants in a state reflect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Korea can obtain a more accurate measurement valu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단면도이다.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은 크게 공기공급관(200), 공기배출관(210) 및 밑판(22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2, the pollutant discharge tes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n air supply pipe 200, an air discharge pipe 210, and a bottom plate 220.

공기공급관(200)은 상단의 폭이 하단의 폭보다 좁은 나팔관 형상으로서, 상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채널(201) 및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채널(203)이 형성되어 있다. Air supply pipe 200 has a shape of the fallopian tube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the air supply channel 201 for supplying the outside air to the upper end and the air discharge channel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 203 is formed.

공기공급채널(201)에는 공기공급노즐(202)이 연통되어 있고, 공기배출채널(203)에는 공기배출노즐(204)이 연통되어 있다.An air supply nozzle 202 communicates with the air supply channel 201, and an air discharge nozzle 204 communicates with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이때, 공기공급채널(201)은 공기공급관(200)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공기배출채널(203)은 공기공급관(200)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되어 공기배출관(210)과 수직으로 연통된다. At this time, the air supply channel 201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200,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is form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20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discharge pipe 210 vertically.

공기공급관(200)은 상단부의 폭보다 하단부의 폭이 넓은 나팔관 형상이면 되므로, 상단부에서 하단부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는 나팔관 형상이어도 되고, 일정한 폭을 유지하다가 하단부에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어도 무방하다.Since the air supply pipe 200 may have a shape of a fallopian tube having a wider width at the lower end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it may be a fallopian tube shape that gradually widens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or may have a shape that is wider at the lower end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

바람직하게는, 공기공급관(200)은 직경이 일정한 기둥부(205)와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산부(206)로 이루어진 나팔관 형상으로서, 기둥부(205)의 길이가 기둥부(205)의 직경보다 10배 이상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Preferably, the air supply pipe 200 is a fallopian tube shape consisting of a pillar portion 205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a diffusion portion 206 that increases in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length of the pillar portion 205 is a pillar portion ( It is preferable that it is formed to be 10 times or more than the diameter of 205).

이와 같이 기둥부(205)의 직경이 일정하고 그 길이가 길 경우 공기공급채널(201)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층류(laminar flow)를 형성하여 상호 얽힘이 없이 질서정연하게 흐르면서 수직하방으로 방향성을 유지하게 된다.As such, when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205 is constant and its length is long,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201 forms a laminar flow and flows in an orderly manner without mutual entanglement, thereby directing the direction downward. Will be maintained.

또한, 공기공급관(200)의 하단은 개방되어 있으며, 상단은 공기공급채널(201)과 공기배출채널(203)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밀폐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is open, and the upper end is closed except for a portion where the air supply channel 201 and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is formed.

한편, 공기공급관(200)의 내부에는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관(210)이 공기공급관(200)과 대응되도록 설치된다. 공기배출관(210) 또한 상단부의 폭보다 하단부의 폭이 넓은 나팔관 형상으로서, 공기배출관(210)도 나팔관의 형상이면 족하므로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어도 되고, 일정한 폭을 유지하다가 하단부에서만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어도 무방하다.On the other hand, the air discharge pipe 210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the air supply pipe 20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air supply pipe (200). The air discharge pipe 210 also has a width of the lower end than the width of the upper end of the fallopian tube shape, the air discharge pipe 210 also satisfies the shape of the fallopian tube, so the width from the upper end to the lower end may be gradually wider,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width The shape may be widened only at the lower end.

바람직하게는, 공기배출관(210)은 직경이 일정한 기둥부(213)와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산부(215)로 이루어진 나팔관 형상인 것이 좋다.Preferably,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preferably a fallopian tube shape consisting of a pillar portion 213 having a constant diameter and a diffusion portion 215 which increases in diamet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와 같은 공기배출관(210)은 공기공급채널(201)을 통해 공기공급관(200)에 유입된 공기가 유통가능하도록 공기공급관(20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공기공급관(200)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공기배출관(210)의 하단부는, 공기공급관(200)의 하단부로 유동한 공기가 공기공급관(200)의 하단부에 밀착된 시료(230)의 표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시료(230)와 이격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공기배출관(210)의 기저부는 시료(230)와 밀착되는 공기공급관(200)의 기저부보다 높은 위치에 있게 된다.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install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200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200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201 can be distributed. 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so that the air flowing to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is discharged via the surface of the sample 230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the sample 230 and It is installed spaced apart. Therefore, the base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in a position higher than the base of the air supply pipe 200 in close contact with the sample 230.

이때, 공기배출관(210)관은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의 두께에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다. 즉, 두꺼운 시료 위에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경우에는 공기배출관(210)을 위로 올려서 공기공급관(200)의 기저면과 공기배출관(210)의 기저면과의 이격거리가 크도록 하고, 두께가 얇은 시료를 사용할 경우에는 공기배출관(210)을 아래로 내려서 공기공급관(200)의 기저면과 공기배출관(210)의 기저면과의 이격거리를 작게 조절한다.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pipe 210 can be adjusted in height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amp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That is, when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is installed on a thick samp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the distance between the base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base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raised by raising the air discharge pipe 210 upward. When the sample is thin and thin,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lowered to adjust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공기배출관(210)이 공기공급관(20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설치시, 공기공급관(200)의 하단부의 내주면과 공기배출관(210)의 하단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1~2㎜ 정도로서 공기가 유통할 수 있을 정도이면 된다. 이와 같이 틈이 형성될 정도로만 공기배출관(210)의 하단부의 외주면이 공기공급관(200)의 하단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야 유입되는 공기가 경유하는 시료(230)의 표면적이 증가한다.When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about 1 mm to 2 mm. Just enough to do it. Only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to the extent that the gap is formed so that the surface area of the sample 230 through which the incoming air passes.

한편, 공기배출관(210)의 상단은 공기배출채널(203)과 연통되어 공기배출관(210)을 경유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the air via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공급관(200)의 하단 및 공기배출관(210)의 하단이 개방되어 있으므로, 현장에서 건축자재 위에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직접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are open,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building material in the field.

이때, 현장에서 건축자재 등과 같은 시료 위에 직접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설치하여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경우, 본 발명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과 건축자재 사이를 밀폐시키기 위해 고정장치가 부착된 스탠드 등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벽에 밀착시켜 고정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ly installed on a sample such as a building material in the field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is measured, a fixing device for sealing between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building material The stand can be fixed by attaching it to a wall using a stand attached to it.

한편, 본 발명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은 공기공급관(200)의 하단에 시료가 안치되는 밑판(220)을 더 설치하여 실험실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laboratory by further installing a base plate 220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air supply pipe 200.

이때,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내부는 대기압보다 높은 상태이므로 제어되지 않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시료(230)와 접촉하는 공기공급관(200)의 하단면에는 고무패킹과 같은 공기차폐부재(미도시)를 설치하고, 공기공급관(200)과 밑판(220)은 체결수단(240)으로 체결하여 기밀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since the inside of the pollutant discharge test cell is higher than atmospheric pressure, it should be kept airtight so that uncontrolled outside air does not enter. Therefore, an air shielding member (not shown) such as rubber packing is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in contact with the sample 230, and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bottom plate 220 ar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240. It is desirable to enhance airtightness.

또한, 밑판(220)의 하단에는 밑판(220)을 가열하기 위한 온돌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온돌장치가 구비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단면도이다. 도 3에서, 도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220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n ondol device for heating the bottom plate 220,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equipped with an ondo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3, the same components as in FIG. 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밑판(220)의 하단부에 알루미늄블럭과 이를 에워싸는 내화벽돌과 같은 내열부재(320)로 이루어진 온돌장치(30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an ondol device 300 including an aluminum block and a heat-resistant member 320 such as a firebrick surrounding the bottom plate 220 may be further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se plate 220.

이때, 알루미늄블럭(310)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장치를 더 설치하여 시료(230)가 안치된 밑판(220)의 온도를 조절함으로써, 온돌문화권에 있는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을 반영한 상태에서 시료(230)로부터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알루미늄블럭(310)의 둘레에는 내화벽돌과 같은 내열부재(320)를 설치하여 가온된 알루미늄블럭(310)으로부터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further installing a temperature control device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aluminum block 310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base plate 220 is placed the sample 230, the sample in the state reflecting the domestic living environment in the ondol culture (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emitted from 230). A heat resistant member 320, such as a firebrick, may be installed around the aluminum block 310 to prevent heat loss from the heated aluminum block 310.

이와 같은 온돌장치(300)로는 맨틀히터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맨틀히터는 실험실에서 반응용기 등을 가열하고자 할 경우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서, 맨틀히터 내에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을 설치한다. 이때 맨틀히터의 바닥면을 가온해주면 시료(230)가 안치된 밑판(220)의 온도가 올라가게 된다. As the ondol device 300, a mantle heater or the like may be used. Mantle heaters are commonly used to heat reaction vessels in laboratories, and contaminant release test cells are installed in mantle heaters. At this time, whe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ntle heater is heated, the temperature of the base plate 220 on which the sample 230 is placed increases.

온도조절장치에 의해 온도가 조절되는 온돌장치(300)는 그 온도가 40~7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우리나라의 경우, 바닥재 밑에 설치된 온돌의 온도가 대략 40~70℃이기 때문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the temperature control device 300 maintains the temperature 40 ~ 70 ℃. This is because in Korea,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installed under the flooring is approximately 40 ~ 70 ℃.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동작에 대하여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현장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로부터 밑판 (220)을 제거하여 원하는 건축자재 위에 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한편, 밑판(220)을 구비한 채 실험하고자 할 경우에는 시료(230)를 채취하여 밑판(220) 위에 안치시키게 되며, 이때 시료(230)는 밑판(220)의 크기로 준비한다.In the case of use in the field, the base plate 220 may be removed from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fixed on the desired building material. On the other hand, if you want to experiment with the base plate 220, the sample 230 is taken and placed on the base plate 220, the sample 230 is prepared in the size of the base plate 220.

이하, 밑판 및 온돌장치가 구비된 상태에서의 본 발명의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tate equipped with the base plate and the ondol device will be described.

온돌장치(300)를 40~70℃로 가온시킨다. 그리고 공기공급장치(미도시)를 통해 오염물질 방출시험셀로 공기를 공급한다. 공급된 공기는 공기공급노즐(202) 및 공기공급채널(201)을 경유하여 공기공급관(200)의 내부로 유입된다.Warm the ondol device 300 to 40 ~ 70 ℃. Air is then supplied to the pollutant discharge test cell through an air supply (not shown). The supplied air is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200 via the air supply nozzle 202 and the air supply channel 201.

유입된 공기는, 공기공급관(200)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설치된 공기배출관(210)과의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공기공급관(200)의 기둥부(205) 및 확산부(206)를 경유하여 공기공급관(200)의 하단으로 유동한다. The inflowed air passes through the pillar portion 205 and the diffusion portion 206 of the air supply pipe 200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discharge pipe 210 and the air discharge pipe 210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It flows to the lower end of the supply pipe (200).

이때, 공기공급관(200)의 기둥부(205)는 공기공급관(200)의 직경보다 10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므로, 유입된 공기는 층류(laminar flow)를 형성하면서 수직하방으로 유동하여 공기공급관(200)의 확산부(206)로 이동하게 되고, 확산부(206)에서 공기는 측면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pillar portion 205 of the air supply pipe 200 is formed to have a length 10 times greater than the diameter of the air supply pipe 200, the introduced air flows vertically downward while forming a laminar flow (air supply pipe ( The diffusion portion 206 of the 200 is moved, and in the diffusion portion 206, the air moves downwardly to the side.

공기공급관(200)의 하단으로 이동한 공기는 공기공급관(200)과 공기배출관(210)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해 시료(230)의 표면으로 흐르게 된다. 이때, 공기배출관(210)의 하단 외주면과 공기공급관(200)의 하단 내주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1~2㎜ 정도이며, 유입된 공기는 시료(230)의 각 방향에서 시료(230)의 가장자리로부터 시료(230)의 중심부를 향해 유동하게 된다.The air moved to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flows to the surface of the sample 230 through a gap formed between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air discharge pipe 210. At this tim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200 is about 1 ~ 2mm, the introduced air is the sample from the edge of the sample 230 in each direction of the sample 230 It will flow toward the center of 230.

이때, 공기유입채널 부근의 시료 표면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흐르고 공기유입채널과 멀리 떨어진 시료 표면에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공기가 흘러 시료의 표면을 경유하는 공기의 양이 균일하지 못하고 방향성이 생기게 되는 종래의 방출시험셀과는 달리, 본 발명에 의한 오염물질 방출시험셀에 의하면 공급된 공기의 방향성이 제거되어 시료(230)의 전 표면을 골고루 경유하게 되므로 시료(230)로부터 오염물질을 골고루 방출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a large amount of air flows on the surface of the sample near the air inlet channel, and a relatively small amount of air flows on the surface of the sample far from the air inlet channel, resulting in an uneven and directional amount of air passing through the surface of the sample. Unlike the conventional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is removed to evenly pass through the entire surface of the sample 230, the pollutant is evenly released from the sample 230. You can.

또한, 공기공급관(200) 및 공기배출관(210)이 나팔관 형상을 하고 있는 본 발명에 의하면, 일정량의 공기가 시료(230)의 중심부를 향해 유동할 때, 특정 시점에서 (공기가 경유하는 시료표면의 원주)x(시료표면에서 공기배출관에 이르는 높이)= k(일정)가 되므로 시료(230)의 전 표면에서 공기의 선속도가 일정하게 되어 시료(230)의 전 표면에서 오염물질을 골고루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air discharge pipe 210 have a fallopian tube shape, when a predetermined amount of air flows toward the center of the sample 230, at a specific time point (a sample surface via air) Circumferential) x (height from the sample surface to the air discharge tube) = k (constant), so that the linear velocity of air is constant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ample 230, evenly discharging contaminants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sample 230 You can do it.

한편, 측정하고자 하는 시료(23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공기공급관(200)의 기저면과 공기배출관(210)의 기저면 간의 이격거리를 크게 하기 위하여 공기배출관(210)을 위로 올리고, 시료(230)의 두께가 얇으면 공기배출관(210)을 시료(230)쪽으로 내려서 실험을 한다. 즉, 밑판(220)의 높이를 조절하기 보다는 공기배출관(210)의 높이를 조절하여 실험을 행함으로써 보다 간단하게 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if the thickness of the sample 230 to be measured is thick,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raised up to increase the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base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200 and the base surface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the sample 230 If the thickness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is lowered to the sample 230 to the experiment. That is,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ir discharge pipe 210 rather than adjusting the height of the base plate 220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experiment more simply.

시료(230)를 경유한 공기는 오염물질과 함께 공기배출채널(203) 및 공기배출노즐(20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된 오염물질 및 공기는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하는 장치(미도시)로 이송된다.The air passing through the sample 23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discharge channel 203 and the air discharge nozzle 204 together with the pollutant, and the discharged pollutant and air is a device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the pollutant (not shown) Is transferred.

또한, 밑판의 하단에 온돌장치를 구비할 경우 우리나라의 주거환경을 재연한 상태에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확한 조건하에서 시료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ndol devic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base plate,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in a state reproduc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of Korea, so that the concentration of pollutants contained in the sample can be measured under more accurate conditions.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상기한 상세한 설명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through specific embodiment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rather than the above-described detailed description.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급되는 모든 공기가 시료의 각 방향에서 방향성 없이 균일하게 공급되고, 공기가 시료의 표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는 과정에서 시료의 각 지점에서 공기의 선속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시료에 대한 방향성을 제거하여 시료의 전 표면에서 오염물질을 골고루 방출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the air supplied is uniformly supplied in each direction of the sample without directivity, and the linear velocity of the air is kept constant at each point of the sample while the air is discharged through the surface of the sample. By removing the directivity, the contaminants can be evenly released from the entire surface of the sampl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배출관의 길이를 조절하여 시료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시료의 두께에 크게 제약받지 않고 용이하게 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istance from the sampl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air discharge tube, the experiment can be easily performed without being significantly restricted by the thickness of the sample.

또한, 밑판의 하면에 온돌장치를 더 구비하여 시료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측정할 경우, 우리나라의 실내환경을 재연한 상태에서 오염물질을 방출시킬 수 있으므로 시료에 함유된 오염물질의 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centration of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sample is further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bottom plate, the contaminants may be released in a state reproducing the indoor environment of Korea. You can measure more accurately.

Claims (11)

양단의 폭이 상이한 나팔관 형상으로서, 폭이 좁은 일단부에 외부의 공기를 내부로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채널 및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기배출채널이 형성되어 있는 공기공급관; 및A trumpet tube shape having different widths at both ends, the air supply tube having a narrow end portion having an air supply channel for supplying external air to the inside and an air discharge channel for discharging the air inside; And 양단의 폭이 상이한 나팔관 형상으로서, 상기 공기공급관의 내부에 상기 공기공급관과 대응되도록 설치되고, 폭이 좁은 일단부가 상기 공기배출채널과 연통되어 있는 공기배출관을 구비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로서,A contaminant discharge test cell having a shape of a fallopian tube having a different width at both ends, the air supply pipe being disposed inside the air supply pipe so as to correspond to the air supply pipe, and having a narrow one end communicating with the air discharge channel. 상기 공기배출관은 상기 공기공급채널을 통해 상기 공기공급관에 유입된 공기가 유통가능하도록 상기 공기공급관의 내주면과 이격되어 설치되고,The air discharge pipe is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supply pipe so that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ir supply pipe through the air supply channel can be distributed,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부는, 상기 공기공급관의 타단부로 유동한 공기가 상기 공기공급관의 타단부에 밀착된 시료의 표면을 경유하여 배출되도록 상기 시료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the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spaced apart from the sample so that the air flowing to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s discharged via the surface of the sample in close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공급관 및 상기 공기배출관은 직경이 일정한 기둥부와 길이방향으로 진행할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확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air supply pipe and the air discharge pipe is a pollutant discharge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onstant diameter column portion and the diffusion portion increas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기둥부의 길이는 상기 기둥부의 직경의 10배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length of the pillar portion is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10 times the diameter of the pillar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공급관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air supply pipe is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is adjustab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공급채널은 상기 공기공급관의 측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채널은 상기 공기공급관의 일단부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air supply channel is formed in the side portion of the air supply pipe, the air discharge channel is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in the center of one end of the air supply pip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공기공급관의 타단부의 내주면과 상기 공기배출관의 타단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거리는 1~2㎜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 And a separation distance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air discharge pipe is 1 to 2 mm.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시료와 밀착되는 상기 공기공급관의 타단부에는 공기의 출입을 방지하기 위한 공기차폐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other end of the air supply pipe in close contact with the sample is a 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provided with an air shield member for preventing the entry of air.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상기 시료가 안치되는 밑판 및 상기 밑판과 상기 공기공급관의 타단부를 체결하는 체결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And a fastening means for fastening the bottom plate on which the sample is placed and the other end of the bottom plate and the air supply pipe. 제 8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8, 상기 밑판의 하단부에 상기 밑판을 가열하기 위한 온돌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end of the bottom plate further comprises an ondol device for heating the bottom plate.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온돌장치는 알루미늄블럭과 상기 알루미늄블럭을 에워싸는 내열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맨틀히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The ondol device is a contaminant emission test cell comprising an aluminum block and a heat resistant member surrounding the aluminum block or a mantle heater. 제 9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온돌장치의 온도는 40~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염물질 방출시험셀.Pollutant emission test cell, characterized in that the temperature of the ondol device is 40 ~ 70 ℃.
KR1020050062236A 2005-07-11 2005-07-11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KR1006228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236A KR100622871B1 (en) 2005-07-11 2005-07-11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236A KR100622871B1 (en) 2005-07-11 2005-07-11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871B1 true KR100622871B1 (en) 2006-09-12

Family

ID=37624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236A KR100622871B1 (en) 2005-07-11 2005-07-11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871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330B1 (en) 2010-03-18 2012-05-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 chamber for measuring the pollutant of the interior material
KR101313041B1 (en) * 2013-04-22 2013-10-01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Measuring device for gas of deposit in sealed spac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834A (en) * 1989-12-26 1991-08-29 Nec Corp Method for measuring evaporation of organic solvent and pretreating device for measurement of evapor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7834A (en) * 1989-12-26 1991-08-29 Nec Corp Method for measuring evaporation of organic solvent and pretreating device for measurement of evapor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330B1 (en) 2010-03-18 2012-05-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Micro chamber for measuring the pollutant of the interior material
KR101313041B1 (en) * 2013-04-22 2013-10-01 대구광역시 환경시설공단 Measuring device for gas of deposit in sealed sp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1370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he upper and lower faces of a wafer
CN109103125A (en)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and method for calibrating semiconductor processing equipment
KR920700764A (en) Reaction chamber with controlled radiation and distribution of reactants
KR100622871B1 (en) Emission test cell for emitting pollutants
ES2178337T5 (en) COOKING FIELD PLATES CONTROLLED WITH A SENSOR READY UNDER THE PLATES.
US20060045166A1 (en) Apparatus for measuring corrosion loss and method for measuring corrosion loss
US20080060408A1 (en) Breath test simulator
CN208270537U (en) A kind of test macro of the air cleaning performance of scavenging material
US7317172B2 (en) Bake system
JP2007163482A (en) Sensor with temperature gradient pump
CN214665674U (en) Wafer drying groove and wafer drying device
CN113063272B (en) Wafer drying groove, wafer drying method and wafer drying device
KR20070068596A (en) A baking apparatus
KR100782318B1 (en) Test chamber for emitting pollutants with air supply pipe
EP3444591B1 (en) Gas sensor and constant-temperature apparatus
TW201632851A (en) Method for measuring temperature by refraction and change in velocity of waves with magnetic susceptibility
KR100622869B1 (en) Test chamber for emitting pollutants with distribution plate
JPH11316178A (en) Device and method for evaluating gas
US7532334B2 (en) Temperature controlling case
JP2000206068A (en) Device for thermal analysis
JPH09236559A (en) Spontaneous combustion testing device
KR100886357B1 (en) Temperature, gas changeable in-situ cell and the controller for X-ray absorption spectroscopy
KR101144330B1 (en) Micro chamber for measuring the pollutant of the interior material
CN115372046B (en) Stable releasing device for simulating oil fume
CN218180796U (en) Formaldehyde detection environment c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