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652B1 -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652B1
KR100622652B1 KR1020040013916A KR20040013916A KR100622652B1 KR 100622652 B1 KR100622652 B1 KR 100622652B1 KR 1020040013916 A KR1020040013916 A KR 1020040013916A KR 20040013916 A KR20040013916 A KR 20040013916A KR 100622652 B1 KR100622652 B1 KR 100622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information
data
prepaid card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3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88548A (ko
Inventor
곽봉군
김연길
신상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40013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652B1/ko
Publication of KR20050088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88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65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Meter Arrangement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킷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메뉴 서버간에 구비된 과금 처리 장치가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한 후,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해당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과금 기초 정보를 추출하고, 과금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사용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미리 지정된 할인, 무료 등의 혜택이 제공되도록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며, 산출된 컨텐츠 사용료를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실시간으로 차감함으로써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선불카드를 구매한 가입자에게는 미리 지정된 혜택을 부여함으로써 차등화된 과금 요율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과금 데이터, 포탈 웹사이트, 무선 인터넷, 컨텐츠, 네트워크

Description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Graded bill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of portal website of prepaid subscriber}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처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a는 세션 연결 중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과금 데이터의 검증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사용자 단말기
120 :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125 :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130 :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135 : 데이터 서비스 장치
140 : 과금 처리 장치
143 :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
145 : 메뉴 서버
150 : 컨텐츠 제공 서버
205 : 과금 데이터 생성부
210 : 과금 자료 관리부
215 : 과금 처리부
220 : 과금 검증부
본 발명은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탈 웹사이트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보유한 가입자가 해당 포탈 웹사이트에 접속한 경우 자동으로 저렴한 과금 요율이 적용되도록 하 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학 기술의 발전과 경제 수준의 향상은 광범위한 통신망 구축 및 통신 단말기의 보급을 가속화시키고 있다. 사용자는 다양한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고정된 위치에서 데이터 송수신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동 중에도 이동 통신 단말기나 개인 휴대 단말기(PDA : Personal Digital Assistant)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요금을 지불하여야 하며, 요금 산정의 기준은 사용 패킷량, 사용 시간 등으로 다양하며, 요금 지불 방법도 정액제, 선불제, 후불제 등으로 다양하다.
종래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체계는 POS(Point of Service) 개념에 기초하여 통신 서비스의 종단인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나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에서 과금 데이터(CDR : Call Detail Record)를 생성하게 된다. 음성 통화를 위한 음성 호의 경우에는 기지국 제어기(BSC)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을 위한 데이터 호의 경우에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에서 과금 데이터(CDR)를 생성하게 될 것이다.
그러나, 무선 데이터 통신에서는 다양한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들이 무선 인터넷,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와 연결되어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통신 서비스 사업자의 관리 영역 이외의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에 종래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요금 산정 방법에 의해서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 산정이 단순화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된 서비스에 대한 과금이 네트워크 이용료와 컨텐츠 이용료라는 개별 항목으로 구분되어 이루어져야 하지만 실제적으로는 이를 적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접속할 수 있는 임의의 포탈 웹사이트에 상응하여 선불카드를 구매한 가입자도 동일한 과금 요율이 적용될 뿐 아무런 혜택을 부여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자의 단말기와 컨텐츠 제공자간에 세션 연결을 통한 네트워크 이용에 대해 과금 데이터(CDR)를 생성하는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는 출발지 아이피(Source IP), 목적지 아이피(Destination IP), 포트 넘버(Port Number)만을 수집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일종의 라우터(Router)에 불과하고, 이를 통해 고객의 개별 컨텐츠 및/또는 그룹 컨텐츠별 네트워크 사용량을 분석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과 인터넷의 경계에 위치한 프록시 서버가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패킷에 자신의 정보를 포함시켜 전달하고, 과금시에는 해당 정보를 이용하여 과금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요금 산정 방법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자가 이용한 패킷의 양 또는 서비스 이용 시간만을 중심으로 과금이 이루어질 뿐 다양한 조건에 따른 과금 수행이 불가능하므로 다양한 요금 상품 개발이 불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네트워크 이용료와 컨텐츠 이용료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미리 지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한 가입자에게는 할인된 과금 요율이 적용되도록 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네트워크 이용료 및/또는 컨텐츠 이용료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세분화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세분화된 형태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요금 상품 개발을 가능하게 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합리적이고 정교한 요금 제도의 도입, 신속하고 정확한 과금 수행 및 고객 만족을 통한 컨텐츠 수익 극대화를 기할 수 있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 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메뉴 서버간에 구비된 과금 처리 장치에서,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 서비스에 상응하는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하나 이상의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는 적어도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한 혜택 정보를 포함함-;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과금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과금 기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접속 주소를 포함함-; 상기 과금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혜택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혜택 정보는 무료, 할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임-;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계정의 차감 후 잔액이 음수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이 제공 되고,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은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트래픽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은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사용량 정보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네트워크 사용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이 과금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과금 대상인 경우,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네트워크 사용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는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에 따라 차등 책정된 요금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는 망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 서빙 GPRS 서포팅 노드(SGSN : Serving GPRS Supporting Node), 게이트웨이 GPRS 서포팅 노드(GPRS : 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패킷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메뉴 서버간에 구비된 과금 처리 장치에서,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 서비스에 상응하는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접속 주소를 포함함-;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구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는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혜택 정보를 포함함-; 상기 사용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상기 과금 기초 정보 및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는 단계;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차감하는 단계; 및 상기 계정의 차감 후 잔액이 음수값을 가지지 않는 경우,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이 제공되고,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의 수행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 장치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해 적어도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한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과금 처리 장치로부터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를 상기 과금 처리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상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서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상기 메뉴 서버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상기 메뉴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 상기 트래픽 패킷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실시간 과금 차감을 수행하는 과금 처리 장치-여기서, 상기 과금 처리 장치는 가입자 구분 정보를 이용 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함-; 및 하나 이상의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과금 처리 장치의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를 상기 과금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여기서,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는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여 등록된 선불카드의 혜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 정보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한 할인 또는 무료 혜택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 번호에 상관없이 동일한 수단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컨텐츠별 차등 과금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10a, 110b, ... , 110n - 이하 110이라 칭함),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 및 복수의 컨텐츠 제공 서버(150a, 150b, ... , 150n - 이하 150이라 칭함)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에 접속하고,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을 경유하여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 접속한 후 당해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임의의 컨텐츠 데이터(예를 들어, 벨소리, 배경 화면, 주식 정보 등)를 수신하여 처리(예를 들어, 저장, 디스플레이 등)하는 장치이다. 도 1에는 사용자 단말기(110)의 종류로서 이동 통신 단말기(110a), 개인 휴대 단말기(110b) 및 노트북 컴퓨터(110n)만이 도시되었으나, 이외에도 상술한 기능을 동일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아무런 제한없이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특정 포털 웹사이트 또는 특정 포털 웹사이트 그룹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한 선불카드 가입자(즉,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이거나 선불카드를 구매하지 않은 일반 가입자일 수 있다. 물론, 선불카드 가입자 또는 일반 가입자로의 구분이 이동통신 서비스 시스템 가입자를 구분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아닐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동일 가입자가 구매한 선불카드에 상응하는 포탈 웹사이트 A에 대해서는 선불카드 가입자로 그 이외의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일반 가입자로 인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은 기지국(BTS : Base Transceiver Station, 125), 기지국 제어기(BSC : Base Station Controller, 130),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 과금 처리 장치(140)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 및 메뉴 서버(145)를 포함한다. 물론, 이외에도 억세스 포인트(AP : Access Point), 교환기(MSC : Mobile Switching Center), 홈 위치 등록기(HLR : Home Location Register), 방문자 위치 등록기(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등이 더 포함될 것은 자명하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지국(125)은 무선 접속 시스템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와 이동 통신 서 비스 시스템(120)간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고, 전송 경로상의 기지국 제어기(130)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30)는 기지국에 의한 셀(Cell) 내의 사용자 단말기(110) 등록, 제어 및 트래픽 채널 할당, 핸드오프 수행, 호 설정과 종결의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장치이다.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는 음성 통화망에 추가하여 무선 인터넷 서비스의 제공 및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장치로서, 망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 서빙 GPRS 서포팅 노드(SGSN : Serving GPRS Supporting Node), 게이트웨이 GPRS 서포팅 노드(GPRS : 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망 연동 장치(IWF)는 2G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를 의미하고,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는 동기 3G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를 의미하며, 게이트웨이 GPRS 서포팅 노드(GPRS)는 비동기 3G망에서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장치를 의미한다. 물론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이면 상술한 장치들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과금 처리 장치(140)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와 메뉴 서버(145)간(또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와 컨텐츠 제공 서버(15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을 기준으로 사용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과금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때 과금 처리 장치(140)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가입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아니면 일반 가입자인지 여부를 가입자 정 보 관리 장치(143)로 질의하여 가입자 구분 정보(예를 들어,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 제공 혜택 등)를 수신한 후, 수신된 가입자 구분 정보에 상응하는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선불 카드 가입자가 벨소리 제공 웹사이트 A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한 선불카드 가입자이고,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가 웹사이트 A에 접속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였다면 일반 가입자에 비해 할인된 과금 요율을 적용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과금 처리 장치(140)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하나의 장치로 결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과금 처리 장치(140)에 대해서는 이후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일반 가입자인지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과금 처리 장치(140)로부터 가입자 정보 요청(예를 들어, 전화번호, 컨텐츠 제공 서버의 URL 등을 포함할 수 있음)이 수신된 경우, 가입자 정보 요청에 상응하는 가입자 구분 정보를 생성하여 과금 처리 장치(140)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임의의 가입자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을 통해 특정 포탈 웹사이트 또는 특정 포탈 웹사이트군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한 경우, 당해 가입자에 상응하는 선불카드 구매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선불카드 구매 금액, 제공 혜택 정보 등)는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전송되어 관리된다. 당해 선불카드 구매 정보는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가 이동통신사 대리점 등을 방문하여 등록을 요청하거나 당해 포탈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선불카드에 기재된 인증번호를 입력함으로써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전송될 수 있다. 또한,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가 온라인상에서 선불카 드를 구매 또는 무상 제공받은 경우, 판매처 또는 무상 제공처에서 해당 선불카드 구매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일괄 전송함으로써 선불카드 구매 정보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에 등록되도록 한다. 물론, 이외에도 선불카드 구매 정보를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전송하여 등록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면 아무런 제약없이 함께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과금 처리 장치(140)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가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메뉴 서버(145)는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비된 서비스 플랫폼(예를 들어, BLEW(Binary Runtime Environment for Wireless), ME(Mobile Explorer), KUN(KTF Unified Navigator), WIPI(Wireless Internet Platform for Interoperability), VOD 등)에 상응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고, 해당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와 접속하는 장치(예를 들어, 게이트웨이, 프록시 서버 등)이다. 메뉴 서버(145)는 컨텐츠 데이터의 중개, 프로토콜 변환, 암호화 처리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메뉴 서버(145)는 사용자 단말기(110)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요청을 전송한 경우 당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비된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여 미리 지정된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항목들에 상응하는 메뉴 정보들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특정 컨텐츠 데이터 제공 요청이 수신되면 해당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즉, 메뉴 서버(145)에는 게이트웨이(또는 프록시 서버)의 아이피(IP)와 포트 번호(Port Number)가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 단말기(110)의 서비스 플랫폼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ME 브라우저)에서는 게이트웨이의 아이피(IP)와 포트 번호(Port Number)가 동일하게 세팅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 개시 요청을 입력하면, 자동으로 당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설치된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는 메뉴 서버(145)로 접속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비스 플랫폼으로 ‘ME’가 설치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벨소리 컨텐츠 데이터를 요청하면, 서비스 플랫폼 ‘ME’에 상응하는 메뉴 서버(145)에 컨텐츠 데이터 요청이 수신되고, 메뉴 서버(145)는 해당 벨소리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벨소리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하는 중개 역할을 하게 된다.
컨텐츠 제공 서버(15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20)과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고, 사용자가 요청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하는 장치로서, 벨소리 제공 서버, 배경 화면 이미지 제공 서버, 주식 정보 제공 서버, 웹메일 제공 서버, 인스턴트 메신저 서비스 서버 등이 있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처리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과금 처리 장치(140)는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 과금 자료 관리부(210), 과금 처리부(215) 및 과금 검증부(220)를 포함한다. 물론, 일부 구성 요소는 생략될 수 있으며, 메뉴 서버(145)가 과금 처리 장치(140)의 일부 구 성 요소로 포함될 수도 있다.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와 메뉴 서버(145)(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간에 송수신되는 모든 트래픽 정보(예를 들어, 패킷 사용량, 사용 시간 정보 등)와 과금 기초 정보(예를 들어, 발신자/착신자 전화번호, 출발지 아이피(Source IP), 목적지 아이피(Destination IP),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URL, 포트 번호(Port Number), 호 시작 시간(Call Start Time), 호 종료 시간(Call Stop Time) 등)를 이용하여 과금 자료(CDR : Call Detail Record)를 생성하여 과금 처리부(215)로 전송한다.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가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도록,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와 메뉴 서버(145)(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은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를 경유하여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당해 데이터 패킷은 복제되어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때 당해 데이터 패킷의 복제 프로세스는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에 의해 이루어지거나 별도의 복제 패킷 제공부(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는 메뉴 서버(145)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헤더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추출하여 과금 자료 관리부(210)로 전달할 수도 있다.
과금 자료 관리부(210)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내부 또는 외부의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컨텐츠 데이터 이용시 과금을 위한 과금 산출 기준 정보(예를 들어, 무선 데이터 과금 정보와 컨텐츠 과금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과금 자료 관 리부(210)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URL 정보, 서비스 유형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으며, 메뉴 서버(145)가 과금 처리 장치(140)의 일 구성 요소로 포함되는 경우에는 메뉴 서버(145)에서 당해 URL 정보 등을 관리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50) 등으로부터 전송되는 과금 산출 기준 정보는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 또는 과금 검증부(220)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과금 자료 관리부(210)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가입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가 접속한 컨텐츠 제공 서버(150)가 할인 혜택의 제공 대상인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로부터 수신한 과금 자료에서 가입자의 전화번호 및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URL을 추출하여 가입자 정보 요청을 생성하여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전송한다. 그리고,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구분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가입자에 상응하도록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갱신한다. 물론,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가 과금 자료 관리부(210)와 일체화되어 구성된 경우에는 과금 자료 관리부(210) 내에서 상술한 동작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과금 처리부(215)는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로부터 수신한 과금 자료와 과금 자료 관리부(210)에 저장된(또는 갱신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에 대한 세부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는 과금 처리부(215)에 의해 저장 및 관리되거나 별도의 과금 데이터 관리 장치(도시되지 않음)로 전달되어 관리될 수 있다.
과금 검증부(220)는 과금 자료 관리부(210)에 저장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가 신규 정보가 아니거나 과금 처리부(215)에 의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의 검증이 필요한 경우 해당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수신하여 세부 과금 데이터를 재생성함으로써 과금 처리부(215)에 의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의 유효성 여부를 검증한다. 만일, 과금 자료 관리부(210)에 저장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가 미리 지정된 기간(예를 들어, 유효 기간 2개월) 이전에 저장된 것이라면 검증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과금 데이터 생성부(205), 과금 자료 관리부(210), 과금 처리부(215) 및 과금 검증부(220)는 각각의 독립된 장치로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각각의 구성 요소들이 과금 처리 장치(140)라는 하나의 장치로 구현된 경우 각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4a는 세션 연결 중에 송수신되는 데이터 패킷의 송수신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과금 처리 장치에 의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03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는 네트워크 이용량 및/또는 컨텐츠 이용량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기 위한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저장한다. 당해 과금 산출 기준 정보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관리자에 의해 입력되거 나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단계 306에서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임의의 가입자에 상응하는 선불카드 구매 정보(예를 들어, 전화번호, 선불카드 구매 금액, 제공 혜택 정보 등)를 이동통신사 대리점, 판매자 또는 제공자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 단계 306을 통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어떤 가입자가 어떤 포탈 웹사이트(예를 들어, 벨소리 제공 웹사이트 A) 또는 포탈 웹사이트군(예를 들어, 벨소리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사이트 A, 웹사이트 B 등의 그룹)에 상응하는 얼마의 선불카드를 구매하였는지 또한 해당 선불카드를 구매함에 따라 제공되는 혜택은 무엇인지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가입자 "홍길동"이 특정 벨소리 제공 서비스 그룹에 상응하는 10,000원의 선불카드를 구매)를 등록하게 된다. 물론, 선불카드 구매에 따른 혜택은 포탈 웹사이트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다만, 당해 선불카드 구매 정보는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가 사용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상응하는 포탈 웹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번호를 입력하는 방법을 통해서도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제공될 수 있으므로, 선불카드 구매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는 단계 306만으로 제한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단계 309에서 사용자 단말기(110)는 사용자로부터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제공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입력받고 통신망을 통해 과금 처리 장치(140)로 전송한다. 물론, 당해 컨텐츠 제공 요청은 기지국(125), 기지국 제어기(130),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 등을 경유하여 과금 처리 장치(140)에 수신될 것이다.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13에서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316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이 과금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당해 사용자가 컨텐츠 데이터 다운로드 단계에서만 과금이 이루어지는 요금 상품(예를 들어, 다수의 데이터 요금 상품 중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량에 대한 과금을 면제하는 상품)을 선택하였거나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140)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컨텐츠 데이터 요청에 대한 네트워크 사용량을 부담하는 경우에는 과금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다.
만일 과금 대상인 경우라면,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19에서 당해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네트워크 이용료를 부과하기 위한 과금 기초 정보(즉, 가입자 전화번호,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URL을 포함하는 정보로서 당해 가입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일반 가입자인지에 대한 정보 및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제공되는 혜택 정보 등을 질의하기 위한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326으로 진행하여 가입자 정보 요청(예를 들어, 을 통신망을 통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 전송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과금 처리 장치(140)와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단계 326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로부터 가입자 정보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329에서 가입자 정보 요청에 포함된 과금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당해 가입자가 해당 URL에 상응하여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일반 가입자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상세 정보 및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제공되는 혜택 정보(예를 들어, 네트워크 사용료 면제, 컨텐츠 사용료 50% 할인 등)를 추출한다. 물론, 혜택 정보는 과금 처리 장치(140)에서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 경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는 당해 가입자가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아니면 일반 가입자인지에 대한 정보만 제공함으로서 충분하다. 이후, 단계 333에서 추출된 가입자 상세 정보 및/또는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가입자 구분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가입자 구분 정보를 과금 처리 장치(140)로 전송한다.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36에서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부터 가입자 구분 정보를 수신하고, 단계 339로 진행하여 네트워크 사용량에 상응하는 제1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39에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첫째, 당해 가입자가 선택한 무선 데이터 통신 요금 상품에 상응하거나 디폴트(default)로 지정된 과금 요율에 따라 네트워크 사용량에 상응하는 원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 후,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구분 정보에 상응하는 혜택을 부여하여 원시 과금 데이터를 갱신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둘째, 검색된 과금 요율에서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부터 수신된 가입자 구분 정보에 상응하는 혜택을 반영하여 과금 요율을 갱신한 후 네트워크 사용량에 상응하는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셋째, 검색된 과금 요율과 가입자 구분 정보에 상응하도록 갱신된 과금 요율을 이용하여 모든 과금 데이터를 한꺼번에 생성하는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추가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단계 319 내지 단계 339를 통해 생성된 당해 과금 데이터에는 실제적인 금액 정보 는 포함되지 않을 수 있으며, 네트워크 이용량 정보(예를 들어, 패킷 사용량, 서비스 이용 시간 등)만이 포함될 수 있다.
다시 단계 316을 참조하여, 당해 데이터 패킷이 과금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343으로 즉시 진행한다.
단계 343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을 당해 사용자 단말기(110)에 구비된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는 메뉴 서버(145)를 경유하여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 전송한다. 메뉴 서버(145)와 과금 처리 장치(140)가 하나의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46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150)는 과금 처리 장치(140)로부터 수신되는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추출한 후 메뉴 서버(145)를 통해 과금 처리 장치(140)로 전송한다. 이후, 단계 349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당해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이 과금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컨텐츠 데이터 제공에 대한 요금을 지정한 경우에는 컨텐츠 이용량에 따른 과금 대상에 해당될 뿐 아니라 해당 패킷 데이터 송수신에 따른 네트워크 사용량에 따른 과금 대상에도 해당될 수도 있다.
과금 대상인 경우,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53에서 당해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에 대해 네트워크 이용료 및/또는 컨텐츠 이용료를 부과하기 위한 제2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 후 단계 356으로 진행한다. 이때, 단계 323 내지 단계 336을 통해 수신한 가입자 구분 정보 및 갱신된 과금 요율 정보를 이용하 여 제2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물론, 단계 316의 판단에 의해 당해 트래픽 패킷이 과금 대상이 아니므로 단계 323 내지 단계 336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 353에 선행하여 단계 323 내지 단계 336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당해 과금 데이터에는 실제적인 금액 정보는 포함되지 않고, 단지 어떤 컨텐츠 제공 서버(150)에서 누구에게 제공된 컨텐츠 데이터라는 정보와 네트워크 이용량 정보(예를 들어, 패킷 사용량, 서비스 이용 시간 등)만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과금 대상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 356으로 즉시 진행한다.
단계 356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당해 컨텐츠 데이터를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110)로 전송한다.
사용자 단말기(110)는 단계 359에서 컨텐츠 데이터를 수신하고, 단계 363으로 진행하여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당해 컨텐츠 데이터가 벨소리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당해 컨텐츠 데이터가 실시간 주식 정보라면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계 366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03를 통해 저장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단계 336을 통해 수신한 가입자 구분 정보, 단계 339 및 단계 356을 통해 생성된 과금 데이터들 등을 이용하여 당해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에 대한 세부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단계 369에서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366을 통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 즉,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의 선불 금액 계정에서 네트워크 사용료 및/또는 컨텐츠 사용료에 해당하는 금액을 실시간으로 차감하는 것이며, 단계 369는 과금 처리 장치(140) 이외의 과금 수행 장치(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과금 처리 장치(140)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의 후단에 또한 메뉴 서버(145)(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전단에 위치하는 구조적 특징을 가진다. 이러한 구조적 특징에 의해 과금 처리 장치(140)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가 어떤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어떤 서비스를 제공받았는지 여부에 대한 세부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과금 처리 장치(140)는 사용자 단말기(110)로의 컨텐츠 데이터 전송이 완료된 후,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143)로부터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즉,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의 신규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신규 트래픽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단지 세션이 설정되었다는 이유만으로 과금이 이루어지는 불합리함을 제거할 수도 있다.
종래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 방법은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에 과금 장치가 결합되어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에서 제공되는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과금을 수행하는 방법이었다. 즉,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는 게이트웨이별 과금 로그(예를 들어, 게이트웨이의 IP 및 포트 번호에 따른 과금 로그)를 이용한 과금 수행 방법이므로, 해당 사용자가 실제로 어떤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았는지 알 수 없고, 단지 세션 연결 중에 사용한 전체 패킷 데이터량 또는 전체 사용 시간에 따른 과금만이 이루어질 수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사용한 서비스 유형별 트래픽 정보 분석도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세부 과금 데이터 생성 방법은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URL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별/그룹별 과금을 수행한다. 또한, 당해 선불카드 가입자가 구매한 선불카드에 상응하는 혜택을 반영하여 과금을 수행한다. 즉,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서비스 장치(135)로 전송하기 전에 과금을 수행하고, 과금 수행 과정에서 패킷 데이터 내에 포함된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URL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URL의 추출이 이루어지면 당해 데이터 패킷이 어떤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어떤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송된 것인지, 해당 URL 또는 서비스 유형에 상응하는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를 확인 할 수 있고, 해당 서비스 및/또는 가입자 구분에 상응하는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적용하여 과금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4a에 세션 연결동안 무선 데이터 서비스 사용자가 제공받은 컨텐츠 데이터들이 예시되어 있고, 도 4b에 과금 처리 장치(140)에 의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즉, 특정 가입자가 세션 연결동안 소리나라 서비스, 그림 나라 서비스 등을 이용하였고, 해당 가입자가 "폰 꾸미기" 서비스 그룹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한 경우, 과금 처리 장치(140)가 각 서비스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URL 정보를 추출한 후, 서비스 유형 정보, 가입자 구분 정보, 과금 산출 기준 정보, 제 공 혜택 정보 등을 이용하여 도 4b와 같은 세부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다. 도 4b에는 당해 가입자가 "폰 꾸미기" 서비스 그룹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하였고, 해당 선불카드 가입자에게는 "소리나라"라는 벨소리 제공 웹사이트에서 벨소리를 다운로드할 때 네트워크 사용량 및 컨텐츠 사용료에 50%할인이 적용되고, "그림나라"라는 배경 이미지 제공 웹사이트에서 배경 이미지를 다운로드할 때는 네트워크 사용량이 면제되고 컨텐츠 사용료에 50%할인이 적용되는 경우의 세부 과금 데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4b의 세부 과금 데이터에서 "폰 꾸미기" 이외의 서비스 그룹에 대해서는 할인이 적용되지 않은 것이다.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상응하는 세부 과금 데이터는 서비스 유형(예를 들어, 폰 꾸미기, K-merce 등), 세목(예를 들어, 소리나라, 그림나라 등)으로 분류되고, 각 세목에 상응하는 패킷 사용량(즉, 네트워크 이용량) 및 정보 이용료(즉, 컨텐츠 이용료)가 개별적으로 산출된다. 물론, 각 그룹별 이용료 총량이 산출될 수도 있으며, 당해 사용자가 어떤 서비스를 주로 이용하는지에 대한 고객 정보가 추출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는 실제 컨텐츠 데이터를 제공받기 위한 요금(즉, 컨텐츠 데이터 사용료와 휴지 시간(idle time)을 제외한 사용 시간의 네트워크 사용료)만을 지불하게 되어 합리적인 요금 제도 개발 및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세부 과금 데이터는 사용자 단말기가 세션 연결 동안 사용한 무선 데이터 서비스 내역이 모두 포함되는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선불카드 가입자의 경우에는 선불카드에 상응하는 금액에서 사용료(예를 들어, 선불카드에 상응하는 혜택이 제공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료 또는 전체 서비스 이용료)가 실시간 차감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제까지 도 3,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사용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제공 요청이나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 데이터를 목적지로 전송하기 전에 과금 데이터의 생성을 완료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와 달리 해당 트래픽 데이터들의 전송과 병행하여 과금 처리 장치(140)에서 과금 데이터 생성을 수행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110)와 컨텐츠 제공 서버(150)간의 송수신되는 경로상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과금 처리 장치(140)가 복제하여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세부 과금 데이터의 검증 절차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510을 통해 세부 과금 데이터를 생성한 과금 처리 장치(140)는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의 검증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515). 예를 들어, 과금 자료 관리부(210)에 저장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및/또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에 저장된 가입자 구분 정보, 선불카드 가입자에 대한 혜택 정보 등이 미리 지정된 기간(예를 들어, 유효 기간 2개월) 이전에 저장된 것이라면 검증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경우, 단계 520으로 진행하여 선불카드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상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접속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단계 525에서 추출된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제공 요청을 전송한다. 과금 산출 기준 정보 제공 요청에는 사용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상응하는 서비스 세목 정보(예를 들어, 그림나라), 컨텐츠 제공 서버(150)의 URL 정보, 선불카드 가입자의 전화번호 정보, 혜택 정보 제공 요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50)는 단계 530에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단계 535로 진행하여 상응하는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를 과금 처리 장치(140)로 전송한다.
과금 처리 장치(140)는 단계 540에서 컨텐츠 제공 서버(150)로부터 과금 산출 기준 정보 및/또는 혜택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단계 540에서 수신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및/또는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세부 과금 데이터를 재생성하고, 단계 510을 통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증한다. 만일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 545를 통해 생성된 세부 과금 데이터가 유효한 것으로 인정한다. 물론, 단계 540을 통해 수신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및 혜택 정보가 미리 저장된 과금 산출 기준 정보 및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143)로부터 수신한 혜택 정보 등과 일치하는 경우라면 단계 545는 생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및 시스템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네트워크 이용료와 컨텐츠 이용료로 구분하여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미리 지정된 조건에 상응하는 선불카드를 구매한 가입자에게는 할인된 과금 요율이 적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네트워크 이용료 및/또는 컨텐츠 이용료에 대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함에 있어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세분화된 과금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세분화된 형태로 생성되는 과금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요금 상품 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합리적이고 정교한 요금 제도의 도입, 신속하고 정확한 과금 수행 및 고객 만족을 통한 컨텐츠 수익 극대화를 기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8)

  1. 과금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차등 과금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산출 기초 정보,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한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를 위한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과금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과금 기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접속 주소를 포함함-;
    상기 과금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또는 일반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무료 또는 할인으로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 및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차감한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일반 가입자인 경우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고,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금 처리 장치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간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지정된 시간 내에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신규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신규 트래픽 데이터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통신망 접속 상태를 아이들(IDLE) 상태로 전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량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사용량 정보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료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네트워크 사용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패킷이 과금 대상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과금 대상인 경우에만,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패킷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사용료를 산출하여,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네트워크 사용료를 차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는 망 연동 장치(IWF : InterWorking Function), 패킷 데이터 서빙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ng Node), 서빙 GPRS 서포팅 노드(SGSN : Serving GPRS Supporting Node), 게이트웨이 GPRS 서포팅 노드(GPRS : Gateway GPRS Supporting Nod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6. 과금 처리 장치가 수행하는 차등 과금 방법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이 수신되면,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에 대한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여기서, 상기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은 상기 트래픽 패킷에서 추출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접속 주소를 포함함-;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무료 또는 할인으로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포함하는 가입자 구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여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차감한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을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 및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가 아닌 경우,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추출하여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한 후, 상기 데이터 패킷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과금 처리 장치는 패킷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간에 구비되고,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대해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 및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한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를 위한 혜택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과금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사용자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를 상기 과금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차등 과금 방법.
  7.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고, 패킷 데이터 송수신 경로인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컨텐츠 제공 서버간에 구비된 과금 처리 장치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 서비스에 상응하는 과금 산출 기초 정보, 하나 이상의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여기서, 상기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 정보는 적어도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해 무료 또는 할인으로 미리 지정된 혜택 정보를 포함함-;
    임의의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과금 기초 정보를 추출하는 과금 정보 추출부-여기서, 상기 과금 기초 정보는 사용자 식별 정보,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의 접속 주소를 포함함-;
    상기 과금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상응하는 사용자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또는 일반 가입자인지를 판단하는 판단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에만, 상응하도록 저장된 혜택 정보를 추출하는 혜택 추출부;
    포털 선불 카드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고, 일반 가입자인 경우에는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컨텐츠 데이터에 상응하는 컨텐츠 사용료를 산출하는 산출부;
    포털 선불 카드 가입자인 경우 상기 선불카드 가입자에 상응하는 계정의 잔액에서 상기 컨텐츠 사용료를 차감하는 요금 차감부; 및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달하는 전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금 처리 장치.
  8.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결합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에 상응하는 컨텐츠 데이터를 포함하는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기지국;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상기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데이터 서비스 장치;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서비스 플랫폼에 상응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부터 컨텐츠 제공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을 통신망을 통해 상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트래픽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로 전송하는 메뉴 서버;
    하나 이상의 컨텐츠 데이터 또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컨텐츠 서비스에 대한 요금 정보를 포함하는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데이터 서비스 장치와 상기 메뉴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상기 컨텐츠 제공 요청, 상기 트래픽 패킷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사용자에 상응하는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금 처리 장치; 및
    하나 이상의 가입자에 대한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 및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한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를 위한 혜택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상기 과금 처리 장치의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가입자 구분 정보를 상기 과금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여기서,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지 여부 및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인 경우 상응하는 혜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혜택 정보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 또는 특정 컨텐츠 제공 서버군의 서비스에 대해 할인 또는 무료로 미리 지정된 혜택임-를 포함하되,
    상기 과금 처리 장치는 상기 가입자 정보 관리 장치로 상기 가입자 상세 정보 요청을 전송하여 수신된 상기 가입자 구분 정보에 의해 상기 사용자가 포털 선불카드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 및 상기 혜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가 일반 가입자로 판단되면 상기 과금 산출 기초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통신 서비스 시스템.
KR1020040013916A 2004-03-02 2004-03-02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KR100622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16A KR100622652B1 (ko) 2004-03-02 2004-03-02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13916A KR100622652B1 (ko) 2004-03-02 2004-03-02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48A KR20050088548A (ko) 2005-09-07
KR100622652B1 true KR100622652B1 (ko) 2006-09-14

Family

ID=37271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3916A KR100622652B1 (ko) 2004-03-02 2004-03-02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6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123B1 (ko) * 2007-10-26 2009-09-08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무선 인터넷 망에서의 컨텐츠 접속 정보를 이용한과금시스템 및 과금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053A (ko) * 1999-11-30 2001-01-05 류창완 다기능 선불카드를 위한 전자 지불시스템 및 카드 판매 방법
KR20010018388A (ko) * 1999-08-19 2001-03-05 임준희 인터넷 상에서의 정액 거래를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44505A (ko) * 2001-02-28 2001-06-05 오세경 선불예치형 공연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4174A (ko) * 2000-04-04 2001-10-31 우진웅 카드매체의 사용실적 관리 시스템
KR20030000369A (ko) * 2001-06-23 2003-01-06 (주)데이콤 사이버패스 다기능 선불카드를 이용한 인터넷접속, 접속요금의자동재충전과 실시간 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7160A (ko) * 2001-12-08 2003-06-18 박상돈 선불카드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유료 콘텐츠 서비스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8388A (ko) * 1999-08-19 2001-03-05 임준희 인터넷 상에서의 정액 거래를 위한 통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00053A (ko) * 1999-11-30 2001-01-05 류창완 다기능 선불카드를 위한 전자 지불시스템 및 카드 판매 방법
KR20010094174A (ko) * 2000-04-04 2001-10-31 우진웅 카드매체의 사용실적 관리 시스템
KR20010044505A (ko) * 2001-02-28 2001-06-05 오세경 선불예치형 공연 예약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0369A (ko) * 2001-06-23 2003-01-06 (주)데이콤 사이버패스 다기능 선불카드를 이용한 인터넷접속, 접속요금의자동재충전과 실시간 결제시스템 및 방법
KR20030047160A (ko) * 2001-12-08 2003-06-18 박상돈 선불카드를 이용한 인터넷상의 유료 콘텐츠 서비스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88548A (ko) 2005-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6547B2 (en) Intelligent network charging edge
US7684551B2 (en) Method, means and a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anaging online charg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20110145139A1 (en)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supporting purchases of goods and services via prepaid telecommunication accounts
US20080319884A1 (en) Charging system and charging method
US8744051B2 (en) Translation of fees for value added services in a communication network
KR100578379B1 (ko)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에 대한 컨텐츠별 차등 과금 방법및 시스템
KR100588625B1 (ko) 잔액 소진 상태의 선불 요금 가입자를 위한 무선 데이터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CN101754163A (zh) 一种增值业务计费方法、系统及装置
KR100622652B1 (ko) 선불카드 가입자의 포탈 웹사이트 접속에 대한 차등 과금방법 및 시스템
CN103139695B (zh) 面向客户端的电信能力调用方法和网络设备
KR100578334B1 (ko) 무선 인터넷 서비스 이용에 대한 요금 안내 부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
US20090061816A1 (en) Network controlled classification of service tariff class
CN111542005B (zh) 计费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1729266B (zh) 一种建链报文的计费方法和装置
US9549306B2 (en) Usage triggered telecommunications charging
WO2014153720A1 (zh) 计费方法、接入设备和计费设备
KR100476489B1 (ko) 이동전화 통신망에서 음성 호 및 데이터 호를 제외한부가형 서비스에 대한 실시간 과금 시스템 및 방법
KR100951374B1 (ko) 회기별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통신요금 과금 방법과 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050086126A (ko) 가입자의 무선 데이터 서비스 이용량에 대한 과금 데이터생성 방법 및 시스템
AU2006268206A1 (en) Sender identification system and method
Banjo Charging for Mobile Content
WO2009006806A1 (fr) Procédé de facturation et système destinés à un service de communication dans un réseau de communication
KR20080074081A (ko) 회기별 통신 서비스 가입자의 통신요금 과금 시스템
KR20090097469A (ko) 수신자 과금 데이터 서비스의 과금 방법 및 장치
KR20080020765A (ko) 일시정지에 따른 과금 방법 및 서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