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573B1 -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 Google Patents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573B1
KR100622573B1 KR1020050029738A KR20050029738A KR100622573B1 KR 100622573 B1 KR100622573 B1 KR 100622573B1 KR 1020050029738 A KR1020050029738 A KR 1020050029738A KR 20050029738 A KR20050029738 A KR 20050029738A KR 100622573 B1 KR100622573 B1 KR 100622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npowder
arrester
disconnector
plug
re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97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병옥
Original Assignee
최병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옥 filed Critical 최병옥
Priority to KR102005002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5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4Adaptation for built-in safety spark ga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4Mean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for protecting it against overload or for disconnecting it in case of fail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00Details of spark gaps
    • H01T1/16Series resist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spark gap

Landscapes

  • F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뢰기용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EC 99-4의 규격에 해당되도록 장시간 대전류 내력시험, 단로기 분리 시험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 피뢰기용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ester for an arr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rester for an arrester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in a long time large current withstand test, disconnector test, etc.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IEC 99-4.

본 발명은 갭 단자의 방전에 의해서 화약 외피에 전달되는 온도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IEC 99-4의 규격에 해당되도록 장시간 대전류 내력시험, 단로기 분리 시험 등의 성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delivered to the shell of the powder by the discharge of the gap terminal is not directly transmitted, but is indirectly transmitted. There is an advantage.

단로기, 피뢰기 Disconnector, lightning arrester

Description

피뢰기용 단로기{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Disconnector for lightning arrester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도 1은 종래의 피뢰기용 단로기의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rrester disconnector.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용 단로기의 분리 사시도.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rester dis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도 2의 피뢰기용 단로기의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rester for arrester of Figure 2, in accordance with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용 단로기의 분리 사시도.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rester for the arrest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피뢰기용 단로기의 단면도.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rester for arrester of FIG. 4,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용 단로기의 회로 구성도.Figure 6 is a circuit diagram of a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 하우징 2: 저항1: housing 2: resistance

3: 화약외피 4: 화약조립체3: Gunpowder Jacket 4: Gunpowder Assembly

5: 플러그 6: 갭 단자 5: plug 6: gap terminal

20: 몸체 20a: 상부몸체20: Body 20a: Upper Body

20b: 하부몸체 22, 24: 나사선20b: Lower body 22, 24: Threaded wire

26: 융착선26: fusion line

30: 플러그 32: 나사선30: plug 32: thread

40: 저항체 42: 동선40: resistor 42: copper wire

50: 화약조립체 52: 화약 외피50: powder assembly 52: powder shell

54: 나사선54: thread

60: 절연체 70: 스프링60: insulator 70: spring

A: 갭 단자A: gap terminal

80, 81: 단자 82: 저항80, 81: terminal 82: resistance

84: 화약소자84: powder element

본 발명은 피뢰기용 단로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IEC 99-4의 규격에 해당되도록 장시간 대전류 내력시험, 단로기 분리 시험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 피뢰기용 단로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rrester for an arres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rrester for an arrester having excellent performance in a long time large current withstand test, disconnector test, etc. to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IEC 99-4.

교류 고압 전력 계통에서 뢰 또는 회로 개폐에 의한 과전압을 제한하여 속류를 차단하는 보호 장치로서 피뢰기를 사용한다. Lightning arrester is used as a protection device to block the current by limiting the overvoltage caused by lightning or circuit switching in AC high voltage power system.

이 피뢰기의 유형 중 산화 아연을 사용한 피뢰기는 운전 중 항상 운전 전압이 인가되므로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 누설 전류는 대개 1mA 이내이다. 하지만 피뢰기의 소자가 열화한다든지 피뢰기 하우징 내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며 피뢰 기가 방출하는 열보다 많게 되면 피뢰기 내부의 온도가 점차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누설전류가 어느 값 이상이 되면 피뢰기를 계통에서 분리하여 피뢰기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게 되며,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가 단로기이다. The lightning arrester using zinc oxide of this type of arrester is always applied with operating voltage during operation, so leakage current flows, and this leakage current is usually within 1mA. However, if the element of the arrester deteriorates or moisture is penetrated into the arrester housing, and if it exceeds the heat emitted by the arrester, the temperature inside the arrester gradually increases, and when the leakage current exceeds a certain value, the arrester is disconnected from the system.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preventing an arrester accident in advance, and a device for performing this role is a disconnector.

피뢰기용 단로기의 회로 구성은 피뢰기의 말단에 접속하는 단자와 접지선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 사이에 저항체와 스파크 갭 단자가 병렬로 연결된 회로구성을 가진다. The circuit arrangement of the lightning arrester has a circuit arrangement in which a resistor and a spark gap terminal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terminal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arrester and the terminal to which the ground wire is electrically connected.

피뢰기의 누설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를 경우에는 저항체를 따라서 흘러 접지선으로 연결되며, 피뢰기에 뢰, 써어지 등의 뇌격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를 경우에는 스파크 갭 단자를 통해서 흘러 접지선으로 연결된다. 피뢰기의 열화 등으로 누설전류가 증가하여 장시간동안 수 암페어[A] 이상이 흐를 경우에는 저항의 단자 전압이 갭의 단자 방전전압보다 높게 되어 스파크 갭이 동작하여 단로기가 폭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the leakage current of the arrester flows normally, it flows along the resistor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When the lightning current such as lightning and surge flows to the arrester, it flows through the spark gap terminal a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When leakage current increase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lightning arrester and flows over several amperes [A] for a long time, the terminal voltage of the resistor is higher than the terminal discharge voltage of the gap, and the spark gap is operated to explode the disconnector.

이러한 피뢰기용 단로기의 회로 구성의 일예는 실용신안등록 제0157258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용신안의 회로 구성은 화약소자와 스파크 갭 단자가 직렬로 연결되고, 화약 소자와 스파크 갭 단자는 저항체에 대해서는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An example of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such a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is shown i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572581. In the circuit configuration of the utility model, the powder element and the spark gap terminal are connected in series, and the powder element and the spark gap terminal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parallel with the resistor.

한편, 상기의 실용신안등록과 동일한 회로 구성을 가지나, 그 구성에 있어 실질적인 차이를 가지는 특허등록 제216650호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 단로기의 단면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Patent Registration No. 216650 has a circuit configuration similar to the above-mentioned utility model registration, but has a substantial difference in the configuration thereof.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atent disconnector is shown in FIG.

상기 특허의 단로기는 누설전류가 정상적으로 흐를 경우에는 플러그(5), 저항체(2), 화약조립체(4)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며, 피뢰기에 뢰, 써어지 등의 뇌격 전류가 순간적으로 흐를 경우에는 저항체를 통하지 않고 플러그(5) 하부의 갭단자(6), 화약외피(3), 화약조립체(4)를 통해서 전류가 흐르게 된다. 한편, 피뢰기의 열화 등으로 누설전류가 증가하여 장시간동안 수 암페어[A] 이상이 흐를 경우에는 저항의 단자 전압이 갭의 단자 방전전압보다 높게 지속되어 방전에너지에 의한 발열로 화약 외피의 온도를 상승시켜 화약이 폭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When the leakage current flows normally, the patented disconnector flows through the plug 5, the resistor 2, and the gunpowder assembly 4, and the resistor in the case of lightning currents such as lightning and surges in the lightning arrester.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gap terminal 6, the gunpowder jacket 3, and the gunpowder assembly 4 below the plug 5 without passing through the gun. On the other hand, if the leakage current increase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arrester, and more than several amperes [A] flow for a long time, the terminal voltage of the resistor is kept higher than the terminal discharge voltage of the gap, and the temperature of the gunpowder jacket is increased by the heat generated by the discharge energy. To explode.

IEC 99-4의 규격에 따르면, 단로기는 1) 장시간 대전류 및 대전류에 견디어야 하며, 2) 단로기 동작시 피뢰기를 선로에서 확실하게 분리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로기에 주입된 에너지가 일정한 에너지 이하가 되면 단로기가 동작하지 않아야 하며, 일정한 에너지 이상이 되면 반듯이 단로기를 완전하게 동작시켜 확실하게 분리시켜야 한다. 이를 위하여 다음의 시험이 필요하게 된다.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IEC 99-4, the disconnector shall specify that 1) it must withstand high current and long current for a long time, and 2) the arrester must be reliably disconnected from the line during operation of the disconnector. Therefore, when the energy injected into the disconnector is below a certain energy, the disconnector should not be operated. When the energy is above a certain energy, the disconnector must be completely operated and separated. To this end, the following tests are necessary.

1) 장시간 대전류 내력 시험 : 2ms, 500A (10kA, Class 1 & 2)의 대전류 20회1) Long time withstand current test: 20 times with 2ms, 500A (10kA, Class 1 & 2)

2) 대전류 내력 시험 : 100kA, 4/10㎲ 대전류 2회2) Large current strength test: 100kA, 4 / 10㎲ large current twice

3) 단로기 분리 시험 : 20A, 200A, 800A에서 피뢰기 분리3) Disconnector disconnection test: lightning arrester at 20A, 200A, 800A

4) 밀폐 시험 : 100℃ 끊는 물에 48시간 동안 넣은 후 저항의 변화가 있어서는 안 된다. 4) Airtight test: After 48 hours in 100 ℃ water, there should be no change in resistance.

5) 내력 시험 : 일정한 에너지(항목 1에 해당하는 에너지)에 단로기의 동작이 일어나서는 안 된다. 5) Strength test: The disconnector shall not operate at a constant energy (energy corresponding to item 1).

그러나, 종래의 단로기, 특히 특허등록 제216650호의 단로기는 상기와 같은 IEC 99-4의 규격을 만족하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isconnector, in particular, the disconnector of Patent No. 216650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does not satisfy the above standard of IEC 99-4.

장시간 대전류 내력 시험에서 10kA용 단로기는 500A를 2ms동안 20회 이상 인가시 동작하지 않고 견뎌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단로기(특허등록 제216650호)에 2ms동안 500A를 인가시 모두 20회 이상을 견디지 못하고 동작해 버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long-term high current withstand testing, a 10kA disconnector shall withstand 500A for 2 ms or more without operation. However, when 500A is applied to a conventional disconnector (Patent Registration No. 216650) for 2ms, all of them have a disadvantage of not being able to withstand more than 20 times.

또한, 대전류 내력시험에서 대전류 2회를 견디지 못하고 동작해 버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was a disadvantage in that the large current withstand test failed to withstand two large currents.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IEC 99-4에서 규정하는 단로기의 성능을 가지는 단로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connector having the performance of the disconnector specified in IEC 99-4.

본 발명자는 상기에서 언급한 특허 제216650호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즉, 장시간 대전류 내력과 대전류 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화약이 내장된 화약 외피와 플러그 일측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갭 단자가 형성되지 않고, 화약 외피를 감싸는 화약조립체와 플러그 일측 사이에서 갭 단자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써, 갭 단자에서 방전이 일어나더라도 직접 화약 외피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화약 외피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 IEC 99-4의 규격에 따른 단로기의 요건을 충족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shortcomings of the above-mentioned patent No. 216650, that is, to improve the long-term high-current strength and the high-current strength, the gap terminal is not directly formed between the gunpowder shell and the plug one side with the gunpowder, and the gunpowder The gap terminal is formed between the powder assembly surrounding the shell and one side of the plug, so that even if a discharge occurs in the gap terminal, the temperature of the powder shell is indirectly raised rather than directly raising the temperature of the powder shell. It is configur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disconnector according to the

본 발명의 피뢰기용 단로기는 부도체인 몸체, 상기 몸체 내부의 상부에 삽입 되어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체가 내부에 삽입되는 도체의 플러그, 및 상기 몸체 내부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약이 내장된 화약외피가 내부에 삽입된 도체의 화약 조립체를 포함하는 데, 상기 저항체는 상기 도체인 화약 외피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의 일측은 화약 외피와 직접 스파크 갭 단자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화약 외피를 감싸는 화약 조립체와 스파크 갭 단자(A)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non-conducting body, a plug of a conductor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and an electrically connected resistor inserted therein, and a powder that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unpowder. The embedded gunpowder shell includes a gunpowder assembly of a conductor inserted therein, wherein the resistor is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gunpowder jacket, which is the conductor, and one side of the plug forms a spark gap terminal directly with the gunpowder jacket. Rather, it comprises a powder assembly and spark gap terminal (A) surrounding the powder shell.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상기 플러그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플러그와 결합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 하부에 형성된 나사선과 상기 화약 조립체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화약조립체와 결합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formed integrally,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crew lin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lug is screwed to the plug and coupled to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ody The thread formed and the thread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gunpowder assembly are screwed and combined with the gunpowder assembly.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몸체는 플러그가 삽입된 상부 몸체와 상기 화약 조립체가 삽입된 하부 몸체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몸체와 하부 몸체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결합된다. According to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is divided into an upper body into which a plug is inserted and a lower body into which the powder assembly is inserted, and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joined by ultrasonic weldin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체의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체가 형성된다. Preferably, an insulator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sistor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plu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저항체와 상기 화약 외피와의 전기적 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항체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한다. Preferably it further comprises a spring for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sistor to ensure good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resistor and the gunpowder shel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피뢰기용 단로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용 단로기의 분리 사시 도이며, 도 3은 도 2의 피뢰기용 단로기의 단면도이다.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arrester disconn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rester disconnector of FIG.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피뢰기용 단로기는 크게, 부도체인 몸체(20), 도체의 플러그(30), 도체의 화약 조립체(50)를 포함한다. 부도체인 몸체(20)는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인 페놀 수지를 사용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2 and 3, the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comprises a non-conductive body 20, a plug 30 of the conductor, gunpowder assembly 50 of the conductor. The insulator body 20 is preferably a thermosetting resin phenol resi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플러그(30)는 상기 몸체 내부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30) 내부에는 전기적으로 플러그(30)와 연결된 저항체(40)가 삽입되어 있다. The plug 30 is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In the plug 30, a resistor 40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g 30 is inserted.

한편, 상기 저항체(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화약외피(52)는 그 내부에 화약이 내장되어 있다. 화약 외피(52)는 화약 조립체(50) 내에 삽입되어 있으며, 상기 화약 외피(52)와 화약 조립체(5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정상상태의 경우에 플러그(30)와 저항체(40)를 통해서 흐른 누설전류는 화약 외피 및 화약 조립체를 통해서 땅으로 흐르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gunpowder jacket 5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resistor 40 has a gunpowder embedded therein. The gunpowder shell 52 is inserted into the gunpowder assembly 50, and the gunpowder shell 52 and the gunpowder assembly 50 are electrically connected. In the steady state, the leakag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plug 30 and the resistor 40 flows to the ground through the gunpowder shell and the gunpowder assembly.

상기 플러그의 일측은 화약 외피(52)를 감싸는 화약 조립체(50)와 스파크 갭 단자(A)를 이룬다. 즉, 플러그는 화약 외피와 직접적으로 스파크 갭 단자를 이루는 것이 화약조립체와 직렬로 연결되어 간접적으로 화약외피와 연결된다. 이에 따라, 스파크 갭 단자에서 방전이 일어나더라도 바로 화약이 폭발하는 것을 방지하여 본 발명의 단로기가 IEC 99-4의 규격에 따른 요건을 충족하도록 구성되었다. One side of the plug forms a spark gap terminal A with the gunpowder assembly 50 surrounding the gunpowder shell 52. That is, the plug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gunpowder shell in series with the gunpowder assembly to form a spark gap terminal directly with the gunpowder shell. Accordingly, even if discharge occurs at the spark gap terminal, the explosive is prevented from exploding immediately, and the dis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meet the requirements according to the standard of IEC 99-4.

몸체(20)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몸체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나사선(22)과 상기 플러그(3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32)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플러그(30)와 결합되며, 몸체의 내부 하부에 형성된 나사선(24)과 상기 화약 조립체(5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54)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화약조립체(50)와 결합된다. Body 20 is formed integrally, the threaded line 22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threaded line 32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plug 30 is screwed and coupled to the plug 30, the body of A screw thread 24 formed at an inner lower portion thereof and a screw thread 54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gunpowder assembly 50 are screwed to be coupled to the gunpowder assembly 50.

한편, 플러그(30) 내부의 저항체(40)의 측면에는 플러그(3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체(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저항체(40)와 상기 화약 외피(52)와의 전기적 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항체(4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70)이 형성되어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insulator 6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sistor 40 in the plug 30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plug 30, and th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resistor 40 and the gunpowder shell 52 is good. Spring 70 is formed to elastically support the resistor 40 to be made.

플러그와 몸체, 몸체와 화약 사이의 공간은 접착제로 봉합되어 습기가 단로기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다. 플러그와 몸체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어 접착제를 채울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The space between the plug and the body, the body and the gunpowder is sealed with adhesive to prevent moisture from penetrating into the disconnector. A gap is formed between the plug and the body to form a space for filling the adhesive.

본 발명의 단로기의 동작 원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he operating principle of the dis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피뢰기는 단로기를 통하여 접지로 연결된다. 피뢰기의 성능이 비정상적이면 단로기가 동작하여(disconnect) 피뢰기는 접지에서 분리된다. The arrester is connected to earth via the disconnector. If the arrester's performance is abnormal, the disconnector is disconnected and the arrester is disconnected from ground.

본 발명의 단로기는 저항체와 병렬로 연결된 스파크 갭 단자가 플러그의 일측과 화약조립체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화약 조립체의 내부에는 화약이 내장된 화약 외피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음으로, 스파크 갭 단자가 작동되어 일정시간 동안 방전(아크)이 발생되면 화약 외피의 온도가 상승하여 화약을 점화시켜 폭발이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에 화약 폭발에 따른 단로기 내부 압력의 상승으로 플라스틱 몸체가 폭발하게 되어 단로기를 통해서 접지로 연결된 피뢰기를 계통에서 분리하게 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스파크 갭 단자는 종래와 달리 화약 외피와 직접적으로 스파크 갭 단자를 이루는 것이 일정한 거리를 두고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스파크 갭 단자(플러그의 일측과 화약 조립체 사이)에서 방전이 일 어나더라도 간접적으로 화약 외피의 온도를 상승시킴으로 IEC 99-4에서 규정하는 장시간 대전류 내력 및 대전류 내력의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게 된다. In the dis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rk gap terminal connected in parallel with a resistor is formed between one side of the plug and the powder assembly. Inside the gunpowder assembly, the gunpowder shell with gunpowder is connected in series. When the spark gap terminal is operated and discharge (arc) occurs for a certain time, the gunpowder jacket temperature rises to ignite the gunpowder and cause an explosion. . In this case, the plastic body explodes due to an increase in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disconnector due to the explosive explosion, which disconnects the arrester connected to the ground through the disconnector from the system.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park gap terminals are connected in series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o form the spark gap terminals directly with the gunpowder shell, unlike the prior art. Therefore, even if a discharge occurs at the spark gap terminal (between one side of the plug and the gun powder assembly), the temperature of the gunpowder jacket is indirectly rais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long time current and the high current load specified in IEC 99-4. .

피뢰기의 정상 운전시(누설전류가 정상인 경우)에는 저항체를 통해서 전류가 흐름으로 스파크 갭이 동작하지 않도록 구성되었으며, 피뢰기의 비정상 운전시(누설전류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경우)에는 스파크 갭이 동작하여 스파크 갭에 직렬로 연결된 화약의 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며, 화약의 온도가 점화 온도보다 높게 되면 화약이 폭발하게 된다. 이 때 스파크 갭 단자가 동작하더라도 화약에 전달된 방전 에너지가 화약의 점화에 필요한 에너지 보다 적은 경우에는 화약은 폭발하지 않게 되는 데, 이 경우에도 정상적인 상태로 본다. In the normal operation of the arrester (when the leakage current is normal), the spark gap does not operate due to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resistor.In case of the abnormal operation of the arrester (in case the leakage current continues to increase), the spark gap operates. It increases the temperature of the gunpowder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spark gap. If the gun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ignition temperature, the gunpowder explodes. At this time, even if the spark gap terminal operates, if the discharge energy delivered to the gunpowder is less than the energy required for the ignition of the gunpowder, the gunpowder does not explode. In this case, it is regarded as a normal state.

보다 상세히 단로기의 동작 영역을 구분하여 설명하면, In more detail, the operation area of the disconnector is described in detail.

1) 스파크 갭이 동작하지 않는 경우 : 갭 단자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의 단자 접압이 스파크 갭 단자의 방전 전압보다 적은 영역으로서, 피뢰기에서 미세한 누설 전류(1mA 이하)가 정상적으로 흐르는 경우이다. 1) Spark gap does not work: It is the area where the terminal contact voltage of the resistor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gap terminal is less than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spark gap terminal, and minute leakage current (1mA or less) flows normally in the arrester.

2) 스파크 갭 단자는 동작하나 단로기가 동작하지(폭발) 않는 경우 : 화약에 전달되는 스파크의 방전 에너지가 화약의 폭발 에너지보다 적은 경우로써, 피뢰기에 뢰, 써어지(surge) 등의 뇌격 전류는 스파크 갭 단자를 통과하여 땅으로 스며드는 경우이다. 이때에는 정상적으로 동작하여야 함으로 단로기는 동작하지 않아야 한다. 즉, 폭발되지 않아야 한다. 2) When the spark gap terminal operates but the disconnector does not operate (explodes): When the discharge energy of the spark delivered to the gunpowder is less than the explosive energy of the gunpowder, lightning currents such as lightning and surge in the arrester It penetrates the ground through the spark gap terminal. At this time, the disconnector should not operate because it should operate normally. That is, it should not explode.

3) 단로기가 동작하는 경우(즉, 폭발하는 경우) : 피뢰기의 열화 등으로 누설 전류가 증가하여 장시간 동안 수 암페어[A] 이상의 누설 전류가 흐를 경우로서, 저항의 단자 전압이 갭 단자의 방전 전압보다 높게 되어 스파크 갭에서 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화약의 점화 온도에 도달하며 화약이 폭발하게 되어 단로기가 동작하는 경우이다. 3) When the disconnector is operated (i.e., exploded): When the leakage current increases due to deterioration of the arrester, and a leakage current of several amperes [A] flows for a long time, the terminal voltage of the resistor is the discharge voltage of the gap terminal. It becomes higher and discharge occurs in the spark gap and when a certain time passes, the ignition temperature of the gun powder is reached and the gun powder is exploded and the disconnector is op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용 단로기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피뢰기용 단로기의 단면도이다.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according to another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rrester disconnector of FIG. 4.

도 4 및 도 5의 단로기는 도 2 및 도 3의 단로기와 달리 몸체가 2부분(20a, 20b)으로 분리되어 있다. 상부 몸체(20a)에는 플러그(30)가 삽입되어 있는 데,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부도체인 상부 몸체(20a)를 플러그(30)에 결합 형성한다. 그런 후, 상기 플러그 내에 저항체(40), 절연체(60), 스프링(70)이 삽입한다. 한편, 하부 몸체(20b)에는 화약 조립체(50)가 삽입되어 있는 데, 이 또한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서 부도체인 하부 몸체(20b)를 화약 조립체(50)에 결합 형성한다. 그런 후, 화약 조립체 내에 화약이 내장된 화약 외피(52)를 삽입한다. 4 and 5 is separated from the disconnector of FIGS. 2 and 3, the body is separated into two parts (20a, 20b). The plug 30 is inserted into the upper body 20a, and the upper body 20a, which is an insulator, is coupled to the plug 30 by plastic injection. Then, a resistor 40, an insulator 60, and a spring 70 are inserted into the plug. On the other hand, the gunpowder assembly 50 is inserted into the lower body 20b, which also forms a non-conductive lower body 20b coupled to the gunpowder assembly 50 by plastic injection. Then, the gunpowder shell 52 containing the gunpowder is inserted into the gunpowder assembly.

상기 상부 몸체(20a)와 하부 몸체(20b)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결합되는 데, 식별부호 26은 용착선을 나타낸다.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용착선의 플라스틱이 용융됨으로써 상부 몸체 및 하부 몸체가 틈이 없이 단단히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별도로 접착제를 이용하여 틈을 메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다. The upper body 20a and the lower body 20b are joined by ultrasonic welding, and an identification code 26 denotes a welding line. By melting the plastic of the welding line by ultrasonic weld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are tightly coupled without a gap. 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is not necessary to fill the gap using an adhesive separately.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피뢰기용 단로기의 회로 구성도이다. 6 is a circuit diagram of a lightning arrester disconnecto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양 끝단에는 피뢰기의 말단에 접속하는 단자(80)와 접지선과 연결되는 단자(81)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단자(80, 81) 사이에는 저항(82)과 갭 단 자(A)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으며, 화약소자(84)는 갭 단자(A)에 대해서도 저항(82)에 대해서도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At both ends, a terminal 80 connected to the terminal of the arrester and a terminal 81 connected to the ground wire are electrically connected. A resistor 82 and a gap terminal A are connected in parallel between the terminals 80 and 81, and the gunpowder element 84 is connected in series to the gap terminal A and the resistor 82. have.

상기와 같은 회로의 구성은 저항(82)과 스파크 갭 단자(A)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종래와 동일하나, 화약소자(84)가 저항에 대해서도 스파크 갭 단자(A)에 대해서도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는 점에서는 종래의 단로기의 회로와는 다른 회로 구성을 가진다. The configuration of the circuit as described above is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one in that the resistor 82 and the spark gap terminal A are connected in parallel, but the gunpowder element 84 is connected in series with respect to the resistor and the spark gap terminal A. In terms of connection, it has a circuit configuration different from that of a conventional disconnector.

실시예Example

도 2에 도시된 형상을 가지는 10kA용 단로기를 제작하여 단로기의 특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모든 시험, 즉 장시간 대전류 내력 시험, 대전류 내력 시험, 밀폐시험, 내력 시험 및 마지막으로 단로기 분리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모두 IEC 99-4에서 규정하는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A 10kA disconnector having the shape shown in FIG. 2 was fabricated and the characteristics test of the disconnector was performed. All tests were carried out, ie, long-time high current withstand test, high current withstand test, hermetic test, proof test and finally disconnector disconnect test. The result was that all of the requirements of IEC 99-4 were met.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발명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발명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 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claims of the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constituting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may be readily used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similar purposes to the invention.

또한, 본 발명에서 개시된 발명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특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ventive concepts and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uch modifications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variously changed, substitut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갭 단자의 방전에 의해서 화약 외피에 전달되는 온도가 직접적으로 전달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IEC 99-4의 규격에 해당되도록 장시간 대전류 내력시험, 단로기 분리 시험 등의 성능을 갖는다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mperature transmitted to the shell of the powder by the discharge of the gap terminal is not directly transmitted, but is indirectly transmitted so that the long-term high current strength test and the disconnection tester correspond to the standard of IEC 99-4. It has the advantage of having such performance.

Claims (5)

피뢰기용 단로기에 있어서, In the disconnector for the arrester, 부도체인 몸체(20), Non-chain body (20), 상기 몸체 내부의 상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된 저항체(40)가 내부에 삽입되는 도체의 플러그(30), The plug 30 of the conductor is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and coupled, the resistor 40 is electrically connected therein, 상기 몸체 내부의 하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화약이 내장된 화약외피(52)가 내부에 삽입된 도체의 화약 조립체(50)를 포함하며, Inser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ide of the body, the gunpowder shell 52 is embedded with an electrically connected gunpowder includes a gunpowder assembly 50 of the conductor inserted therein, 상기 저항체(40)는 상기 도체인 화약 외피(52)와 전기적으로 직접 접촉하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의 일측은 화약 외피와 직접 스파크 갭 단자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상기 화약 외피(52)를 감싸는 화약 조립체(50)와 스파크 갭 단자(A)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용 단로기. The resistor 40 is in direct electrical contact with the gunpowder jacket 52, which is the conductor, and one side of the plug does not form a spark gap terminal directly with the gunpowder jacket, but rather a gunpowder assembly 50 surrounding the gunpowder jacket 52. And a spark gap terminal (A).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20)는 일체로 형성되며, The body 20 is formed integrally, 상기 몸체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나사선(22)과 상기 플러그(3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32)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플러그(30)와 결합되며, The screw thread 22 formed on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screw thread 32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plug 30 are screwed to engage the plug 30. 상기 몸체의 내부 하부에 형성된 나사선(24)과 상기 화약 조립체(50)의 외측에 형성된 나사선(54)이 나사결합되어 상기 화약조립체(50)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용 단로기. The arrester for an arr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lower portion of the body and the thread thread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gunpowder assembly (50) are screwed and combined with the gunpowder assembly (50).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몸체는 플러그가 삽입된 상부 몸체(20a)와 상기 화약 조립체가 삽입된 하부 몸체(20b)로 구분되며, 상기 상부 몸체(20a)와 하부 몸체(20b)는 초음파 용착에 의해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용 단로기.The body is divided into an upper body 20a into which a plug is inserted and a lower body 20b into which the gunpowder assembly is inserted, and the upper body 20a and the lower body 20b are combined by ultrasonic welding. Disconnector for arrester.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저항체(40)의 측면에는 상기 플러그(30)와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도록 절연체(6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피뢰기용 단로기.Arrestor for an arreste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ulator (60)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sistor (40) to prevent direct contact with the plug (30).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상기 저항체(40)와 상기 화약 외피(52)와의 전기적 결합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상기 저항체(4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7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뢰기용 단로기.And a spring (70) elastically supporting the resistor (40) so that the electrical coupling between the resistor (40) and the gunpowder jacket (52) is satisfactorily performed.
KR1020050029738A 2005-04-09 2005-04-09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KR1006225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738A KR100622573B1 (en) 2005-04-09 2005-04-09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9738A KR100622573B1 (en) 2005-04-09 2005-04-09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771U Division KR200389394Y1 (en) 2005-04-09 2005-04-09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573B1 true KR100622573B1 (en) 2006-09-19

Family

ID=37631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9738A KR100622573B1 (en) 2005-04-09 2005-04-09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2573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96B1 (en) * 2007-03-27 2008-07-01 최병옥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ster
KR100952072B1 (en) * 2008-01-28 2010-04-14 정승현 A Disconnector For Arrest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796B1 (en) * 2007-03-27 2008-07-01 최병옥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ster
KR100952072B1 (en) * 2008-01-28 2010-04-14 정승현 A Disconnector For Arres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9745B2 (e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US8477469B2 (en) Overvoltage protection element
US5523916A (en) Surge arrester with thermal overload protection
US4275432A (en) Thermal switch short circuiting device for arrester systems
US6876289B2 (en) Arrester dis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pacitor
US8106321B2 (en) Disconnecting switch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a disconnecting switch device
US4188561A (en) Station protector spark gap applique
KR100622573B1 (en)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CA2527202C (en) Arrester disconnector assembly having a capacitor and a resistor
KR200389394Y1 (en) A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ter
US3448343A (en) Combined overvoltage protective device and conductor support
KR100952072B1 (en) A Disconnector For Arrester
KR100842796B1 (en) Disconnector for the surge arresster
CN2208749Y (en) Thermal-explosion type disengaging device for arrester
KR200157281Y1 (en) Disconnecting switch for arrester
KR100216650B1 (en) Disconnecting switch
KR20110111125A (en) Disconnector
US3369091A (en) Explosive disconnector with belleville washer interposed between a closure wall and an annular resistance means
JPH02117083A (en) Separating device
CN1113356A (en) Air spark gap for determining the maximum voltage at a voltage surge suppressor
WO2018162388A1 (en) Disconnector arrangement and fabrication method
KR20050031085A (en) The defect indicator for a lightning rod device
KR20060118376A (en) The defect indicator for a lightning rod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