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443B1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22443B1 KR100622443B1 KR1020050004217A KR20050004217A KR100622443B1 KR 100622443 B1 KR100622443 B1 KR 100622443B1 KR 1020050004217 A KR1020050004217 A KR 1020050004217A KR 20050004217 A KR20050004217 A KR 20050004217A KR 100622443 B1 KR100622443 B1 KR 1006224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ler
- water
- pipe
- cooling
- heat exchang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8
- 239000000945 fill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8
- 239000000498 cooling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12809 cooling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9000002826 cool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8439 repair proces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5494 cond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9833 condens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WYTGDNHDOZPMIW-RCBQFDQVSA-N alstonine Natural products C1=CC2=C3C=CC=CC3=NC2=C2N1C[C@H]1[C@H](C)OC=C(C(=O)OC)[C@H]1C2 WYTGDNHDOZPMIW-RCBQFDQV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57 refrig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85 plastic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255 plastic fil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38 solvent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53 supple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309464 bull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JEGUKCSWCFPDGT-UHFFFAOYSA-N h2o hydrate Chemical compound O.O JEGUKCSWCFPD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89 suppl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39/00—Evaporators; Condensers
- F25B39/04—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02—Header boxes; End plat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1—Details of condensers of evaporative condens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39/00—Details of evaporators; 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Details of condensers
- F25B2339/045—Condensers made by assembling a tube on a plate-like element or between plate-lik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각유체를 냉각하거나 또는 냉매를 응축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에 관한 것으로서, 증발 냉각식 열교환기는, 다수의 곡관부와 직관부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과, 직관부의 유체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입헤더와, 직관부의 유체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출헤더와, 전열관을 지지하며 곡관부가 출입되는 다수의 관판슬롯이 형성되는 복수의 관판프레임과, 관판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전열관부와; 전열관을 수용하여 배치되며,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와 수막을 형성하는 골과 융기로 형상되는 필러시트와, 필러시트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평면부와, 평면부를 개구하여 형성되며 곡관부가 출입되고 전열관을 수용하는 필러슬롯과, 필러시트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필러시트 간에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돌기로 구성되는 필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한다. 이에 의하여,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의 크기와 소비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제공한다.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응축기, 필러, 전열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for cooling a cooling fluid or condensing a refrigerant.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includes a heat transfer tube formed by meandering in a plurality of curved pipe portions and a straight pipe portion, and a fluid inlet side end por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 fluid inlet header coupled to the fluid inlet header, a fluid outlet header coupled to the fluid outlet side end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 plurality of tube plate frames for supporting the heat transfer tube, and a plurality of tube plate slots through which the curved tube part is insert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ube plate frame. And the heat-transfer tube part consisting of; It is arranged to receive the heat transfer pipe, the filler sheet is formed by the valleys and bumps forming the flow path and the water film of the cooling water and air, a plurality of flat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and formed by opening the flat portion, the curved pipe portion Filler slot for receiving the heat transfer pip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filler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and composed of a plurality of gap projections to maintain the interval between the cooling water and the air between the filler sheet.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 exchanger can be reduced, and as a structure that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the installation and repair can be simplified and the maintenance cost can be reduced. Provide a cooled heat exchanger.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condenser, filler, heat pipe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도 3은 도 1의 필러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ler member of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4;
도 6은 도 4의 필러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filler member of FIG. 4;
도 7은 본 발명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일실시예로서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s an embodiment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로서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s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9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s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의 측단면도,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having a conventional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도 11은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다른 응축기의 측단면도이다.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ndenser having a conventional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Code Description of Main Parts of Drawing>
1a, 1b, 310 :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2a, 2b, 2c, 300a, 300b : 응축기 1a, 1b, 310: evaporative
10, 310 : 전열관부 11, 311 : 전열관 10, 310: heat
12a, 12b, : 곡관부 13 : 직관부12a, 12b, curved tube portion 13: straight tube portion
14, 314 : 유체유입헤더 15, 315 : 유체유출헤더14, 314:
16a, 16b : 관판프레임 17 : 지지관판16a, 16b: tube plate frame 17: support tube plate
18 : 관판슬롯 19 : 고정부재18
20a, 20b, 320 : 필러부재 21a, 21b : 필러시트20a, 20b, 320: Filler
22 : 평면부 23a, 23b : 필러슬롯22:
24 : 마우스부 25 : 힌지홈24: mouse portion 25: hinge groove
26 : 간격돌기 27a, 27b, 327 : 엘리미네이터26:
28a, 28b, 328 : 루버 30a, 30b, 330b, 330c : 살수부28a, 28b, 328:
31a, 31b, 31c, 331 :케이싱 33a, 33b : 응결수팬31a, 31b, 31c, 331:
34 : 브래킷 35a, 35b, 35c, 335 : 집수조34:
36 : 수위계 37 : 기계실36: water gauge 37: machine room
40, 340 : 순환펌프 41, 341 : 냉각수흡입관40, 340:
42, 342 : 냉각수공급관 43a, 43b, 43c, 343 : 급수구42, 342: cooling
44 : 응결수유입관 45a, 45b, 345 : 급수제어밸브44: condensate
46 : 수위조절스위치 47 : 만수관46: level control switch 47: water pipe
48 : 배수밸브 49 : 배수구48: drain valve 49: drain port
50, 250 : 압축기 51, 251 : 냉매가스유입관 50, 250:
52 : 냉매가스유입구 53, 253 : 냉매가스토출관52:
54 : 냉매액유출구 55, 255 : 냉매액유출관54: refrigerant
60a, 60b, 60c, 360 : 팬부 61a, 61b, 61c : 냉각팬60a, 60b, 60c, 360:
62 : 구동모터 70 : 급배기루버62: drive motor 70: supply and exhaust louver
71 : 급기루버 72 : 배기루버71: supply louver 72: exhaust louver
73 : 외곽프레임 74 : 구획프레임73: outer frame 74: partition frame
81 : 급기구 82 : 배기구81: supply port 82: exhaust port
100 : 방진부재 101 : 실내바닥100: dustproof member 101: indoor floor
102 : 외벽 103 : 외벽개구102: outer wall 103: outer wall opening
200 : 냉방기 210 : 증발기 200: air conditioner 210: evaporator
231 : 냉방기케이싱 260 : 냉방기팬231: air conditioner casing 260: air conditioner fan
270 : 흡기그릴 280 : 토출그릴270: intake grill 280: discharge grill
본 발명은,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응축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열관에 필러가 구성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및 이를 이용한 응축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a condenser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having a filler in a heat transfer tube and a condenser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는 냉각유체(냉각수, 오일류, 공기 등)를 냉각하거나 또는 냉매가스를 응축하는 기계 및 장치에 구성된다. Generally,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is configured in a machine and apparatus for cooling a cooling fluid (cooling water, oils, air, etc.) or condensing a refrigerant gas.
통상의 응축기는, 공기를 냉각매체로 하는 공랭식응축기(air cooled condenser)와, 냉각매체인 공기와 냉각수를 접촉시키어 열교환하는 증발냉각식 응축기(evaporative cooling condenser)와, 냉각탑으로부터 공급받는 냉각수를 냉각매체로 하는 수냉식응축기(water cooled condenser)로 구분된다. Conventional condensers include an air cooled condenser that uses air as a cooling medium, an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that exchanges heat by contacting air, which is a cooling medium, and cooling water, and cooling water supplied from a cooling tower. It is divided into water cooled condenser.
일반적으로 냉동사이클을 갖는 냉동기와, 냉방기와, 히트펌프유닛 등의 냉열열원기계는 냉매가스를 압축 및 이송시키는 압축기와, 냉매가스를 응축하는 응축기와, 냉매액을 증발시키어 냉열을 생산하는 증발기로 구성되며, 냉동사이클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증발기에서 흡수한 열과 압축기가 냉매가스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냉매가스의 압력을 높이는데 소요된 에너지에 상당하는 열을 응축기를 통해 냉동사이클의 외부로 제거하여야 한다. Generally, a cold heat source machine such as a refrigerator having a refrigeration cycle, a cooler, and a heat pump unit is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nd transporting refrigerant gas, a condenser for condensing refrigerant gas, and an evaporator for evaporating refrigerant liquid to produce cold heat. In order to complete the refrigeration cycle, the heat absorbed from the evaporator and the energy corresponding to the energy required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gas to move the refrigerant gas must be removed to the outside of the refrigeration cycle through the condenser.
냉매가스를 응축하는 통상의 공랭식 응축기(또는 실외기)는, 압축기 (compressor)와, 응축기(condenser)와, 냉각팬(cooling fan)과, 연관 부속으로서 냉매가스 온도조절기(temperature controller)와, 압력조절기(head pressure controller)와, 고압조절스위치(high pressure switch)와, 저압조절스위치(low pressure switch)와, 유압스위치(oil pressure switch)와, 냉각팬운전조절기(fan cycling controller)와, 냉매제어 전자변(solenoid valve)과, 어큐므레이터 (accumulator)와, 드라이어 필터(dryer filter)와, 수액기(liquid receiver)와,
소음기(muffler)와, 프리쿨러 (pre- cooler)와, 온도제어식 팽창밸브(themostatic expansion valve) 또는 모세관(capillary tube)과, 역류를 방지하는 역지변(check valve)과, 안전변(safety valve)과, 가용전(fusible plug)과, 바이패스 냉매관 (refrigerant by pass pipe)과, 제어부(control box) 등으로 구성되나 이들의 공지된 연관부속은 장치의 구성에 따라 필수 또는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압축기와 일부의 연관부속은 증발기가 구성되는 유닛에 구성할 수도 있다.Conventional air-cooled condensers (or outdoor units) for condensing refrigerant gas include compressors, condensers, cooling fans, refrigerant gas temperature controllers and pressure regulators as associated parts. head pressure controller, high pressure switch, low pressure switch, oil pressure switch, fan fan controller, refrigerant control electronic valve (solenoid valve), accumulator, dryer filter, liquid receiver,
Muffler, pre-cooler, thermostatic expansion valve or capillary tube, check valve to prevent backflow, safety valve and And a fusible plug, a bypass by pass pipe, a control box, and the like, but these known associative parts may be integrally or selectively mounte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device. The compressor and some associated parts may be configured in the unit in which the evaporator is constructed.
삭제delete
그리고 공랭식 응축기는 다수의 곡관(u-bend)과 직관으로 구성되는 전열관(coil)과, 대략 2 ~ 6mm 간격(pitch)으로 직관에 삽입되며 대략 0.15mm ~ 0.6mm 두께의 알루미늄 판재(또는 동판)에 주름(slit)과 직관에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냉각핀(cooling fins)과, 직관에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되는 관판으로 구성된다.And the air-cooled condenser is inserted into the straight pipe with a heat pipe (coil)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u-bend and straight pipe, approximately 2 ~ 6mm pitch (a copper plate) of 0.15mm ~ 0.6mm thick Cooling fins are formed in the pleats (slit) and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inserted into the straight pipe, and the tube plate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are inserted into the straight pipe.
여기서 관판을 관통하여 외부로 도출된 직관의 단부에는 배열에 따라 곡관과 헤더를 용접으로 결합한다.Here, the ends of the straight pipe drawn out through the pipe plate are welded to the curved pipe and the header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또한 냉각팬의 작용에 의해 촘촘히 구성된 냉각핀 틈새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키면서 전열관의 외표면을 냉각시키어 관내로 유동하는 냉매가스를 응축하게 된다.In addition, by cooling the outer surface of the heat transfer tube while forcibly flowing air through the cooling fin gap formed by the action of the cooling fan to condense the refrigerant gas flowing into the tube.
이러한 구성의 종래 공랭식 응축기는, 증발냉각식 응축기와 수냉식 응축기에 비해 간단하게 설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외기 건구온도와 냉매액의 온도차 범위내에서 감열(sensible heat) 열교환으로 냉각이 이루어지는 특성으로 응축효율이 낮고(특히 대기온도 이하로는 냉각불가), 하절기에 대기 건구온도가 설계 건구온도(32℃ DBT)를 초과할 시 온도 상승에 상응하는 응축효율이 저하되어 냉방기(또는 냉동기)의 운전장해가 발생되기도 한다.The conventional air-cooled condenser of such a configuration ha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compared to an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and a water-cooled condenser, while cooling is performed by sensible heat heat exchange within a temperature difference range between an external dry bulb temperature and a refrigerant liquid. Due to its characteristics, the condensation efficiency is low (especially, it cannot be cooled below the atmospheric temperature), and when the air dry bulb temperature exceeds the design dry bulb temperature (32 ℃ DBT) in summer, the condensation efficiency corresponding to the temperature rise is lowered, thereby cooling the cooler (or freezer). Sometimes driving problems occur.
삭제delete
그리고 공랭식 응축기의 구성과 용도 및 운전조건에 따라 증가 변수가 다를 수는 있지만, 응축기 소비동력과 전열관의 전열면적, 냉각공기량 및 응축기의 크기가 증발냉각식 응축기에 비해 약 40 ~ 50 % 또는 그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운전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Although the increase parameters may vary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use, and operating conditions of the air-cooled condenser,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ndenser,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heat pipe, the amount of cooling air, and the size of the condenser are about 40-50% or more than those of the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There may be a problem that can be increased and thus the operating cost is also increased.
또한 박판의 냉각핀은 외부충격에 약하여 충격을 가할시 함몰되거나 변형되어 공기유동에 장애를 줄 수 있고, 촘촘히 구성되는 냉각핀사이에 대기이물질이 누적되어 이를 제거하는 주기적인 관리가 필요하며, 손상된 냉각핀은 교체보수가 곤란하여 냉각핀이 구성된 전열관 전체를 교체하여야 하는 비경제성이 따른다. In addition, the cooling fins of the thin plate may be impaired or deformed when subjected to impact due to weak external shocks, which may impede the air flow, and need periodic management to remove and accumulate air foreign matter between densely formed cooling fins. Since cooling fins are difficult to replace and replace, it is inconvenient to replace the entire heat pipe with cooling fins.
그리고 공랭식 응축기(실외기)의 구성을 냉방기(실내기)에 일체 하는 공지된 종래의 일체형 냉방기는, 실내의 냉방공기의 일부를 냉각공기로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이에 상응하는 냉열손실(에너지)이 따르고, 보다 고온의 외기를 냉각공기로 이용하는 구성에서는 한정된 냉방기 공간내에 실외기에 상응하는 응축용량의 공랭식 응축기를 구성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냉각팬의 소음이 실내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술한 어떤 경우라도 공랭식응축기를 냉방기에 일체하는 구성에서는 공간확보와 응축효율 및 에너지 운영면에서 성공적이지 못하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integrated air conditioner, which integrates the configuration of the air-cooled condenser (outdoor air) to the air conditioner (indoor room), has a corresponding cooling heat loss (energy) in a configuration in which a part of the indoor air cooling air is used as cooling air. In the configuration using outside air as cooling air,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air-cooled condenser having a condensation capacity corresponding to an outdoor unit is limited in a limited air conditioner space, and noise of a cooling fan is transmitted to the room. Therefore, in any of the above cases, the air-cooled condenser is unsuccessful in terms of securing space, condensation efficiency and energy operation.
다음으로 수냉식 응축기는, 공랭식 응축기에 비해 응축효율이 높고 소비동력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탑(cooling tower)과 냉각수 및 급배수 배관 등의 부가설비가 따라야 하고, 설비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Next, the water-cooled condenser has the advantages of higher condensation efficiency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compared to the air-cooled condenser, while additional equipment such as a cooling tower for supplying cooling water and cooling and drainage piping must be followed.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complicated.
그리고 증발냉각식 응축기의 구성을 냉방기에 일체 하는 공지된 종래의 일체형 냉방기에서는, 나관(bare tube)으로 구성되는 전열관 표면에 냉각수를 살수하여 냉매를 응축하는 구성을 갖고 있지만, 한정된 냉방기 공간내에 증발냉각식 응축기를 구성하는데 제약이 따르고 낮은 살수 낙차높이에서 전열관에 살수되는 냉각수는 지체없이 집수조(또는 물탱크)로 유동됨으로 전열관 표면에 마찰하면서 확산되는 물방울과 수막형성 작용이 저하되어 증발냉각효율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integrated cooler integrating the condenser of the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into the air conditioner, the coolant is condensed by sprinkling the coolant on the surface of the heat pipe composed of bare tubes, but the evaporative cooling is limited within the limited air conditioner space. The condenser is constrained and the cooling water sprayed on the heat pipes at low water drop free flows into the sump (or water tank) without delay, so that the water droplets and water film formation that are rubbed on the surface of the heat pipes are reduced, resulting in low evaporative cooling efficiency. There is a problem losing.
따라서 증발냉각식 응축기를 냉방기에 일체하는 구성에서는 공간확보와 응축효율면에서 성공적이지 못하다.Therefore, in the structure in which the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is integrated in the air conditioner, it is not successful in terms of space and condensation efficiency.
다음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외에 설치되는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ondenser having a conventional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installed outdoor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공지된 압축기와 연관부속들은 생략하고 도면에 도시된 주요부에 대해서 만 설명하기로 한다. Prior to description, the known compressor and associated parts will be omitted and only the main parts shown in the drawings will be described.
도 10은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300a)는 대향류형으로서,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며 상부 중앙영역에 고온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개구(미도시)를 형성하는 케이싱(331)이 집수조(335)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10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having a conventional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s shown in the figure, the
다음으로 집수조(335) 상단부와 케이싱(331)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며 공기를 유입하는 급기구(미도시)에는 공기를 응축기(300a) 내로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를 회수하는 한쌍의 루버(328)가 마련되어 있다.Next, a pair of louvers are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다음으로 냉각팬(미도시)과, 냉각팬을 수용하는 팬실린더(미도시)와, 벨트드 라이버(미도시)와 구동모터(미도시)로 구성되는 구동부(미도시)와, 구동부 지지부재(미도시)로 구성되는 팬부(360)가 케이싱(331) 상부 중앙영역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하게 결합되어 있다.Next, a driving unit (not shown) consisting of a cooling fan (not shown), a fan cylinder (not shown) for accommodating the cooling fan, a belted driver (not shown), and a driving motor (not shown), and a driving unit support member. The fan unit 360 (not shown) is coupled to communicate with an exhaust port formed in the upper central region of the
다음으로 냉각수를 유입하는 분배주관(미도시)과, 분배주관으로 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분배관(미도시)과 분배관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 노즐(미도시)로 구성되며 전열관부(310)을 향하여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330b)가 케이싱(331)에 형성된 배기구와 이격되게 배치되어 있다.Next, a distribution main (not shown) for introducing the coolant,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not shown) branched from the distribution main, and a plurality of spraying nozzles (not shown) coupled to the distribution pipe, and the
다음으로 살수부(330b)로 냉각수를 공급하며 집수조(335)에 형성된 냉각수 유출구(미도시)와 순환펌프(340)의 흡입구 사이에는 냉각수 흡입관(341)이 마련되고 순환펌프(340) 토출구와 살수부(340b) 사이에는 냉각수 공급관(342)이 연결되어 있다.Next, a cooling
다음으로 살수부(330b) 상부에는 냉각팬(미도시)을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응축기(300a)내로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327)가 배치되어 있다.Next, an
다음으로 다수의 직관부(미도시)와 곡관부(미도시)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구성되는 전열관(311)과, 압축기(미도시)로부터 냉매가스를 유입하는 유체유입헤더(314)와, 증발기(미도시)로 냉매액을 유출하는 유체유출 헤더 (315)로 구성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310)가 살수부(330b) 하부에 소정의 살수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Next, repeat with a number of straight pipes (not shown) and curved pipes (not shown).
Evaporative cooling type consisting of a
삭제delete
다음으로 증발냉각 열교환 과정에서 증발되는 냉각수를 보충하며 집수조(335) 수위가 낮아질 때에는 보충수를 공급하고 정해진 수위까지 보충수가 공급되면 자동으로 급수를 차단하는 플로우트밸브로 구성한 급수제어밸브(345)가 급수구(343)에 결합되어 있다.Next, the water
다음으로 집수조 저부에는 응축기(300a)를 지지하는 지지가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Next, a support stand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순환펌프(340)의 작용에 따라 집수조(345)로부터 살수부(330b)로 순환되는 냉각수는 살수노즐(미도시)을 통하여 나관(bare tube)으로 구성되는 전열관(311)을 향해 살수되고, 살수되는 냉각수는 수직방향으로 연속되게 구성된 전열관의 외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떨어지면서 마찰에 의하여 작은 물 물방울로 확산되며, 전열관(311) 외표면에는 흐르는 물방울에 의하여 수막이 형성된다.By this configuration, the cooling water circulated from the
한편 냉각팬(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루버(328)를 통해 전열관(311) 영역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분산되어 떨어지는 물방울과 전열관(311)에 형성되는 수막과 접촉하면서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327)와 냉각팬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그리고 이격되게 설치된 유닛(미도시)에 구성된 압축기로부터 유체유입헤더
(314)를 통하여 유입된 냉매가스는 전열관 (311)내를 유동하면서 증발냉각에 의하여 응축되고 응축된 냉매액은 유체유출헤더(315)를 통해 이격되게 설치된 유닛(미도시)에 구성된 증발기(미도시)로 공급되며 이러한 냉매 순환과정은 반복된다.And a fluid inflow header from a compressor configured in a spaced apart unit (not shown).
Refrigerant gas introduced through the 314 is condensed by evaporative cooling while flowing in the
삭제delete
이러한 종래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300a)는, 직관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냉각수는 전열관의 외표면을 거치지 않고 집수조(335)로 우회유동되고, 열교환 영역내에서 지체없이 빠르게 유동하는 무수한 물방울과 전열관 (3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공기가 접촉하면서 증발열교환을 하여야 하는 특성으로, 증발냉각식 응축기의 구성과 용도 및 운전조건에 따라 증가 변수가 다를 수는 있지만, 수냉식 응축기에 사용되며 필러부재를 열교환부로 하는 대향류냉각탑 보다 공기유동량과, 공기유동 저항이 증가되고, 냉각팬의 소비동력의 증가(약 30 ~ 40 %)와 응축기 제품 크기가 증가(약 50 ~ 100%)되므로 초기투자비와 운전비용도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In the
도 11은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다른 응축기의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다른 응축기 (300a)와는 달리, 종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300b)는 직교류형으로서, 복수로 구성되는 전열관(310)의 상부와 하부 그리고 중앙부의 소정 영역에는 필러부재(320)를 더 포함하여 배치하고 있다.1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condenser having a conventional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s shown in the figure, unlike the
그리고 상부는 개구되고 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살수노즐로 구성된 한쌍의 중력 살수식 살수부(330b)가 케이싱(331) 상부에 마련되어 있다.In addition, a pair of gravity sprinkling sprinkling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살수부(330b)를 통해 살수되는 냉각수는 상부 필러부재(320)의 유로를 따라 상부 전열관(311) 표면에 고르게 살수되고 상부 전열관 (311)을 거친 냉각수는 중간 필러부재(320)를 거쳐 하부 전열관(311)과 하부 필러부재(320)로 유동되며, 살수 냉각수는 복수의 필러부재(320)와 전열관(311)의 외표면을 따라 반복적으로 떨어지면서 마찰에 의하여 작은 물방울로 확산되고, 필러 부재(320)와 전열관(311)의 외표면에는 흐르는 물방울에 의하여 수막이 형성된다.By this configuration, the coolant sprayed through the
한편 냉각팬의 작용에 의해 루버(328)를 통해 열교환 영역으로 유동되는 공 기는 분산되어 떨어지는 물방울과, 필러부재(320)와 전열관(3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접촉하면서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327)와 냉각팬을 통하여 외부로 배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이러한 종래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갖는 응축기(300b)는, 전열관(311) 표면상에 살수되는 냉각수가 고르게 분포되도록 하고, 열교환 영역을 유동하는 냉각수의 흐름을 지체시키어 냉각수의 열교환 효율이 향상되도록 필러부재(320)를 부설하고 있으나, 직관부들 사이의 공간으로 떨어지는 냉각수는 전열관의 외표면을 거치지 않고 필러부재(320)와 집수조(335)로 우회유동되고, 전열관(311) 영역내에서 지체없이 빠르게 유동하는 무수한 물방울과 전열관(3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공기가 접촉하면서 열교환을 하여야 하는 특성으로, 증발냉각식 응축기의 구성과 용도 및 운전조건에 따라 증가 변수가 다를 수는 있지만, 수냉식 응축기에 사용되며 필러부재를 열교환부로 하는 직교류형 냉각탑 보다 공기유동량과, 공기유동 저항이 증가되고, 냉각팬의 소비동력의 증가(약 30 ~ 40 %)와 응축기 제품 크기가 증가(약 50 ~ 100%)되므로 초기투자비와 운전비용을 증가 시키며, 복수의 유닛으로 구성되는 중량의 전열관 (311) 사이에 밀착하여 필러부재(320)를 구성하여야 함으로 지지부재의 구성이 복잡하고,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Th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의 크기와 소비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설치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to reduce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 exchanger,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and repair, and to reduce the maintenance cost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To provide a flag.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각유체를 냉각하거나 또는 냉매가스를 응축하는 증발 냉각식 열교환기(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는, 다수의 곡관부(u-bend)와 직관부(straight tube)로 반복하여 사행(serpentine)으로 형성되는 전열관(heat exchanging tube bundle)과, 상기 직관부의 유체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입헤더(fluid inlet header)와, 상기 직관부의 유체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출헤더(fluid outlet header)와, 전열관을 지지하며 곡관부가 출입되는 다수의 관판슬롯(tube shet slot)이 형성되는 복수의 관판프레임(tube sheet frame)과, 상기 관판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전열관부와; 상기 전열관을 수용하여 배치되며,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와 수막(water film)을 형성하는 골(ravine)과 융기(ridge)로 형상되는 필러시트(filler sheet)와, 상기 필러시트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평면부(flat face)와, 상기 평면부를 개구하여 형성되며 곡관부가 출입되고 전열관을 수용하는 필러슬롯(filler slot)과, 상기 필러시트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필러시트 간에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돌기(spacer)로 구성되는 필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발 냉각식 열교환기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cooling the cooling fluid or condensing the refrigerant gas) is a plurality of u-bend and straight tube (straight tube) A heat exchanging tube bundle repeatedly formed as a serpentine, a fluid inlet header coupled to the fluid inlet side end of the straight pipe, and coupled to the fluid outlet side end of the straight pipe part; A fluid outlet header, a plurality of tube sheet frames to support the heat pipes, and a plurality of tube shet slots through which the bent portion enters and exits,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ube plate frames. A heat pipe part configured to be formed; A filler sheet is formed to accommodate the heat transfer tube, and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the filler sheet being formed of a valley and a ridge for forming a flow path and a water film of cooling water and air. A plurality of flat faces, a filler slot formed by opening the flat part, a curved slot part entering and receiving the heat transfer tube, and integrally formed with the filler sheet, and spaced between the coolant and air flow paths between the filler sheets; It provides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comprising a filler member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pacers to maintain the.
여기서, 상기 전열관은 직관부와 곡관부로 반복적인 굴곡(bending)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의 직관과 곡관을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일측은 직관부와 곡관부로 굴곡하고 타측은 별개의 곡관을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heat transfer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by repeated bending (bending) to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curved pipe portion, but may be configured by welding a separate straight pipe and curved pipe, one side is bent to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bent pipe and the other side is separate It can also be constructed by welding a curved pipe.
그리고 상기 전열관은 곡관부를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And the heat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clined curved pipe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또한 상기 전열관은 2 ~ 6열(row) 범위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이상의 열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range of 2 to 6 rows (row), but may be configured in more than one row.
상기 유체유입헤더와 유체유출헤더에 결합되는 전열관은 싱글사행(single serpentine)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프 사행(half serpentine) 또는 더블 사행(double serpentine)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The heat inlet header and the heat pipe coupled to the fluid outlet header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single serpentine, bu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half serpentine or a double serpentine.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전열관은 동관(copper tube)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테인레스관(stainless tube) 또는 철관(steel tube)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tub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pper tube (copper tube),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stainless tube (steel tube) or steel tube (steel tube).
또한 상기 관판슬롯은 곡관부가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 외형 보다 약간 크게하여 타원장공(oval rectangle hole)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ube plate slot is preferably formed to be an oval rectangle hole by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curved pipe portion so that the curved pipe portion can be inserted or separated smoothly.
삭제delete
상기 관판프레임의 외곽에는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er side of the tube plate fram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olt holes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그리고 상기 한쌍의 관판프레임 사이에는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관판슬롯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And between the pair of tube plate frame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upport tube plate formed with a tube plate slot to strengthen the support.
또한 상기 관판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가 형성된 환봉(steel rod bar)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관판프레임과 볼트체결하여 고정되는 평철 또는 형강의 고정부재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ube plate fram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teel rod bar (screw) formed with a screw to fasten the screw at both ends,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fixing member of flat iron or section steel bolted to the tube plate frame. It may be.
상기 관판프레임은 전열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분할된 복수의 관판프레임에는 전열관에 삽입한 후 하나의 관판프레임으로 조립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마련할 수 있다.The tube plate fram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tube plate frames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inserted in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n assembled into one tube plate frame.
그리고 상기 지지관판은 전열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And the support tube plate may be configur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heat transfer tube.
다음으로 상기 필러시트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골과 융기는, 헤링본 (herringbone) 형상 또는 세브론 (chevron) 형상, 주름(corrugate) 형상, 물결 (wave)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Next, a plurality of bones and bump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rringbone shape, a chevron shape, a corrugate shape, and a wave shape.
그리고 상기 필러시트에 일체하게 형성되는 평면부는 필러슬롯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필러슬롯의 개구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lanar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is a means for easily forming the filler slot, and is preferably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filler slot.
여기서 상기 평면부는 전열관의 곡관부 배치와 대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lanar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또한 상기 평면부에는 필러슬롯으로부터 외향 이격되게 보강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The flat par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groove spaced outward from the filler slot.
상기 전열관의 곡관부 배치와 대응하게 평면부를 개구하여 형성되는 타원장공의 필러슬롯은 곡관부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 외형 보다 약간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ller slot of the elliptical long hole formed by opening the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of the heat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curved portion so as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curved portion.
그리고 상기 필러슬롯은 필러시트의 열교환 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곡관부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직관부 외경 보다 약간 크게 하여 직관부가 출입되는 한쌍의 개구와 한쌍의 개구사이 중심을 절개하는 절개부로 형성되는 안경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ller slot is formed as an incision that cuts the center between a pair of openings and a pair of openings through which the straight pipe portion enters and exit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so as to smoothly insert or separate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filler sheet.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glasses.
삭제delete
이 경우 절개부 양측에는 곡관부에 삽입될 때는 삽입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게 굴곡되고 곡관부를 통과했을 때는 복원력에 의하여 굴곡이 원상태로 복원되며 열교환 영역이 되는 마우스(mouth)부가 형성된다.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cutout are bent to be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inserted into the bent part, and when passed through the bent part, the be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 restoring force, and a mouth part is formed as a heat exchange area.
또한 상기 평면부에는 마우스부가 곡관부로 삽입 또는 분리될 때 굴곡과 굴곡 원상태로 복원이 용이하도록 절개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힌지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lana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inge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paced outward from the incision to facilitate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of bending and bending when the mouth portion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curved tube portion.
상기 필러슬롯의 단부에는 필러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직관부면에 안착되는 소정 높이의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An end portion of the filler slot may further include a colla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ojecting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filler sheet and seated on a straight pipe surface.
그리고 상기 필러시트에 일체하여 형성되는 간격돌기는, 20 ~ 40mm의 범위 내에서 필러부재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the gap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is preferably form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iller member within the range of 20 ~ 40mm.
또한 상기 필러부재가 직교류형인 경우에는 공기유입측 단부와 일체하여 루버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고, 배기측 단부와 일체하여 엘리미네이터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ller member is cross-flow type, the louv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inlet side end,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iminator integrally with the exhaust side end.
상기 필러부재는 전열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The filler membe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heat transfer tube.
또한 상기 필러부재는 내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등의 플라스틱막(plastic film)으로 진공성형하여 형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하여 형상할 수도 있고,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등의 비철금속 박판재에 골과 융기, 평면부 및 간격돌기를 프레스(press)로 형상하고 필러슬롯을 타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iller member is preferably formed by vacuum molding into a plastic film such as polypropylene or polyvinyl chloride having heat resistance, but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a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a non-ferrous metal sheet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may be formed by forming a groove, a bump, a planar portion, and a gap into a press and drilling a filler slot.
삭제delete
본 발병의 목적은, 또한,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에 있어서.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며 공기를 유입하는 급기구와 고온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를 갖는 케이싱과; 상기 배기구와 연통하게 배치되며 냉각팬과 구동부로 구성되는 팬부와; 상기 급기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응축기내로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를 회수하는 루버와; 상기 배기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배기구를 향해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와; 상기 열교환영역에 배치되며, 다수의 곡관부와 직관부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과, 상기 직관부의 유체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입헤더와, 상기 직관부의 유체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출헤더와, 상기 전열관을 지지하며 곡관부가 출입되는 다수의 관판슬롯이 형성되는 복수의 관판프레임과, 상기 관판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로 구성되는 전열관부와; 상기 전열관을 수용하여 배치되며,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와 수막을 형성하는 골과 융기로 형상되는 필러시트와, 상기 필러시트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를 개구하여 형성되며 곡관부가 출입되고 전열관을 수용하는 필러슬롯과, 상기 필러시트와 일체하여 형성되며 필러시트 간에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 간격을 유지하는 다수의 간격돌기로 구성되는 필러부재로 이루어지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와; 상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의 상부에 마련되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향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와; 상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의 하부에 마련되는 집수조와; 상기 집수조에서 살수부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흡입관과 냉각수토출관과 순환펌프와, 상기 집수조에 공급되는 보충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축기에 의해서도 달성된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a condenser using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 casing which forms a heat exchange area and has an air supply port for introducing air and an exhaust port for discharging hot exhaust gas; A fan unit disposed in communication with the exhaust port and comprising a cooling fan and a driving unit; A louver provided adjacent to the air supply port and guiding the introduced air into the condenser and recovering the coolant that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An eliminator provided adjacent to the exhaust port and recovering droplets scattered toward the exhaust port; A heat transfer pipe disposed in the heat exchange area and repeatedly formed in a meandering manner with a plurality of curved pipe parts and a straight pipe part, a fluid inflow header coupled to the fluid inlet side end por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a fluid outflow coupled to the fluid outlet side end portion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A heat transfer tube part including a header, a plurality of tube plate frames for supporting the heat transfer tube, and a plurality of tube plate slots through which the curved tube part is inserted, and a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ube plate frame; A filler sheet disposed to receive the heat transfer tube and formed of a valley and a bump forming a flow path of cooling water and air, a water film, a plurality of flat portion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and formed by opening the flat portion and a curved tube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comprising: a filler slot configured to additionally enter and receive the heat transfer tube; and a filler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and having a plurality of gap protrusions to maintain a gap between the coolant and the air between the filler sheets; A sprinkling unit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to sprinkle cooling water toward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 water collecting tank provided under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It is also achieved by a condenser comprising a cooling water suction pipe for supplying cooling water from the water tank to the water spray unit, a cooling water discharge pipe, a circulation pump, and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replenishment water supplied to the water tank.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응축기에는 냉매가스를 압축하여 유동시키는 압축기와 증발기로부터 냉매가스를 유입하는 냉매가스유입관과, 압축기로부터 증발냉각식 응축기로 냉매가스를 유동시키는 냉매가스 토출관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condenser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or for compressing and flowing the refrigerant gas, a refrigerant gas inlet tube for introducing the refrigerant gas from the evaporator, and a refrigerant gas discharge tube for flowing the refrigerant gas from the compressor to the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
상기 응축기는 외벽개구와 연통하여 실내에 설치되는 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냉방기(실내기) 케이싱내에 일체하게 설치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고, 실외에 설치되는 구조로도 구성할 수 있다.The condens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stalled indoors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er wall opening, but may also be configured to be integrally installed in the air conditioner (indoor) casing, or may be configured to be installed outdoors.
그리고 상기 집수조 저부에는 압축기와 순환펌프가 장치되며 점검구와 소정의 환기공과 배관 관통공이 형성되는 기계실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sump tank is provided with a compressor and a circulation pump, and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room in which a check hole, a predetermined ventilation hole and a pipe through hole are formed.
여기서 상기 케이싱의 일영역에는 이격되게 설치되는 증발기로 부터 발생되 는 응결수를 수집하는 응결수팬(dew condensation water pan)과 응결수를 케이싱내로 유입시키는 응결수유입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이다. 이 경우 증발기로 부터 발생되는 저온의 응결수는 냉각수로 사용하게 된다.Here, one region of the casing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ation water pan for collecting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an evaporat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condensed water inlet for introducing condensed water into the casing. In this case, the low temperatur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is used as cooling water.
또한 상기 응축기가 실내에 설치되는 경우 급기구와 배기구에는 외벽개구에 배치되며 급기루버와 배기루버로 구획되는 급배기루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denser is installed indoors, the air supply port and the exhaust port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air supply and exhaust louver disposed in the outer wall opening and divided into an air supply louver and an exhaust louver.
여기서, 상기 전열관은 직관부와 곡관부로 반복적인 굴곡(bending)에 의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별개의 직관과 곡관을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고, 일측은 직관부와 곡관부로 굴곡하고 타측은 별개의 곡관을 용접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은 곡관부를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평 또는 수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형관은 2 ~ 6열(row) 범위에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더 이상의 열로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유체유입헤더와 유체유출헤더에 결합되는 전열관은 싱글사행(single serpentine)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하프 사행(half serpentine) 또는 더블 사행(double serpentine)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열관은 동관(copper tube)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테인레스관(stainless tube) 또는 철관(steel tube)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관판슬롯은 곡관부가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 외형 보다 약간 크게하여 타원장공(oval rectangle hole)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판프레임의 외곽에는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공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한쌍의 관판프레임 사이에는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관판슬롯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지지관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관판프레임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는 양단부에 나사를 체결하는 나사가 형성된 환봉(steel rod bar)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관판프레임과 볼트체결하여 고정되는 평철 또는 형강의 고정부재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관판프레임은 전열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분할된 복수의 관판프레임에는 전열관에 삽입한 후 하나의 관판프레임으로 조립하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마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관판은 전열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필러시트와 일체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골과 융기는, 헤링본 (herringbone) 형상 또는 세브론 (chevron) 형상, 주름(corrugate) 형상, 물결 (wave)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시트에 일체하게 형성되는 평면부는 필러슬롯을 용이하게 형성하는 수단으로서, 필러슬롯의 개구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평면부는 전열관의 곡관부 배치와 대응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평면부에는 필러슬롯으로부터 외향 이격되게 보강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전열관의 곡관부 배치와 대응하게 평면부를 개구하여 형성되는 타원장공의 필러슬롯은 곡관부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 외형 보다 약간 크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필러슬롯은 필러시트의 열교환 면적을 확대하기 위하여, 곡관부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직관부 외경 보다 약간 크게 하여 직관부가 출입되는 한쌍의 개구와 한쌍의 개구사이 중심을 절개하는 절개부로 형성되는 안경형상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절개부 양측에는 곡관부에 삽입될 때는 삽입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게 굴곡되고 곡관부를 통과했을 때는 복원력에 의하여 굴곡이 원상태로 복원되며 열교환 영역이 되는 마우스(mouth)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평면부에는 마우스부가 곡관부로 삽입 또는 분리될 때 굴곡과 굴곡 원상태로 복원이 용이하도록 절개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힌지홈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필러슬롯의 단부에는 필러시트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직관부면에 안착되는 소정 높이의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필러시트에 일체하여 형성되는 간격돌기는, 20 ~ 40mm의 범위 내에서 필러부재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필러부재가 직교류형인 경우에는 공기유입측 단부와 일체하여 루버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 있고, 배기측 단부와 일체하여 엘리미네이터를 더 포함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필러부재는 전열관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러부재는 내열성을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 propylene) 또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등의 플라스틱막(plastic film)으로 진공성형하여 형상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재로 사출 성형하여 형상할 수도 있고, 내부식성을 갖는 스테인레스 등의 비철금속 박판재에 골과 융기, 평면부 및 간격돌기를 프레스(press)로 형상하고 필러슬롯을 타공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Here, the heat transfer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by repeated bending (bending) to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curved pipe portion, but may be configured by welding a separate straight pipe and curved pipe, one side is bent to the straight pipe portion and the bent pipe and the other side is separate It can also be constructed by welding a curved pipe.
And the heat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inclined curved pipe portion, it may be configured horizontally or vertically.
In addition, the typical tube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range of 2 to 6 rows (row), it may be configured in more than one row.
The heat inlet header and the heat pipe coupled to the fluid outlet header are preferably arranged in a single serpentine, bu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half serpentine or a double serpentine.
In addition, the heat transfer tub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pper tube (copper tube),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stainless tube (steel tube) or steel tube (steel tube).
In addition, the tube plate slot is preferably formed to be an oval rectangle hole by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curved pipe portion so that the curved pipe portion can be inserted or separated smoothly.
The outer side of the tube plate fram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bolt holes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And between the pair of tube plate frame may further comprise one or more support tube plate formed with a tube plate slot to strengthen the support.
In addition, th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tube plate fram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steel rod bar (screw) formed with a screw to fasten the screw at both ends, it may also be composed of a fixing member of flat iron or section steel bolted to the tube plate frame. It may be.
The tube plate frame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components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plurality of divided tube plate frames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art inserted in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n assembled into one tube plate frame.
And the support tube plate may be configured by dividing into a plurality in order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heat transfer tube.
Next, a plurality of bones and bump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herringbone shape, a chevron shape, a corrugate shape, and a wave shape.
In addition, the planar port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is a means for easily forming the filler slot, and is preferably formed slightly larger than the opening of the filler slot.
Here, the planar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arrangement of the curved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The flat part may further include a reinforcing groove spaced outward from the filler slot.
The filler slot of the elliptical long hole formed by opening the flat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curved portion of the heat pip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curved portion so as to be smoothly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curved portion.
In addition, the filler slot is formed as an incision that cuts the center between a pair of openings and a pair of openings through which the straight pipe portion enters and exits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traight pipe portion so as to smoothly insert or separate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filler sheet.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glasses.
In this case, both sides of the cutout are bent to be inser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inserted into the bent part, and when passed through the bent part, the be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a restoring force, and a mouth part is formed as a heat exchange area.
In addition, the plana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hinge groov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paced outward from the incision to facilitate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tate of bending and bending when the mouth portion is inserted into or removed from the curved tube portion.
An end portion of the filler slot may further include a collar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projecting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of the filler sheet and seated on a straight pipe surface.
And the gap protrusion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ller sheet is preferably formed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filler member within the range of 20 ~ 40mm.
In addition, when the filler member is cross-flow type, the louver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air inlet side end, and may further include an eliminator integrally with the exhaust side end.
The filler member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parts to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heat transfer tube.
In addition, the filler member is preferably formed by vacuum molding into a plastic film such as polypropylene or polyvinyl chloride having heat resistance, but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with a plastic material. In addition, a non-ferrous metal sheet such as stainless stee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may be formed by forming a groove, a bump, a planar portion, and a gap into a press and drilling a filler slot.
그리고 상기 살수부는 살수수조와 살수수조의 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살수노즐로 살수하는 중력살수식 살수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분배주관과 분배주관으로 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분배관과 분배관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로 살수하는 가압살수식 살수부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And the watering un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atering tank and a gravity spraying spraying water sprayed with a plurality of water spray nozzles formed through the bottom of the watering tank, a plurality of distribution pipes and distribution pipes branching from the distribution main and the distribution main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pressurized sprinkling sprinkler to sprinkle with a plurality of sprinkling nozzles coupled to.
여기서 상기 살수수조는 상부가 개구되는 통형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를 폐쇄하고 상부면의 일영역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개폐식 점검구와 일측벽을 연통하여 형성되는 냉각수유입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Here, the sprinkler tank is preferably configured in the shape of a tubular opening, but further comprises a cooling water inlet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one-sided wall and the opening and closing check opening formed through the one area of the upper surface is closed. It may be.
또한 상기 살수수조의 저부 양측에는 살수영역을 형성하는 격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diaphragm forming a watering area on both sides of the bottom of the watering tank.
상기 집수조는 케이싱과 별개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케이싱 저부에 일체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The sump tank is preferably configured separately from the casing, but may be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casing bottom.
여기서 상기 케이싱과 일체하여 형성되는 집수조에는 집수조내에 수위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투명의 수위계(투명 호수 또는 수지판)와 수위계 결합구를 더 포함하여 마련할 수 있고, 집수조 상부의 케이싱 일영역에는 단수 시 비상가동을 위하여 냉각수를 보충하며 케이싱 내측으로는 급수안내관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개폐 마개를 갖는 급수구를 더 포함하여 마련할 수도 있다. Here, the sump formed integrally with the casing may further include a transparent water level meter (transparent lake or resin plate) and a water level coupler for identifying the level of water in the sump from the outside. Cooling water is supplemented for emergency operation at a time, and a water supply guide tube is formed inside the casing and an opening and closing stopper may be provided on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급수제어밸브는 수위를 감지하는 감지봉으로 구성되는 수위조절스위치와 수위조절스위치의 신호에 의해 개폐 작동되는 전자밸브(또는 전동밸브)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수위 변동에 따라 개폐되는 플로우트 밸브(float valve)로도 구성할 수 있다.And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is preferably composed of a water level control switch consisting of a sensing rod for sensing the water level and the solenoid valve (or electric valve) that is opened and closed by a signal of the water level control switch, the float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water level change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float valve.
또한 상기 팬부는 팬실린더와 축류팬(axial fan) 날개로 구성되는 냉각팬과 냉각팬과 직결하는 구동모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팬실린더와 축류팬 팬날개로 구성되는 냉각팬과 밸트드라이버와 구동모터로도 구성할 수 있고, 저부에는 케이싱 상부와 결합되는 흡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배기구를 형성하며 상부 중 앙영역에는 구동모터 결합부가 마련되는 팬하우징과 원심팬(centrifugal fan) 날개로 구성되는 냉각팬과 구동모터로도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fan unit is preferably composed of a cooling fan composed of a fan cylinder and an axial fan blade and a drive motor directly connected to the cooling fan, but a cooling fan composed of a fan cylinder and an axial fan fan blade and a belt driver. It can be configured as a drive motor, and the fan housing and the centrifugal fan blades are provided with a suction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casing at the bottom, an exhaust port at one side, and a driving motor coupling part at the upper central area. It can also be configured as a cooling fan and a driving motor.
상기 집수조 저부에는 방진부재 또는 지지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sump bottom may further include a dustproof member or a support moun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설명에 앞서, 첨부도면에는 부호기입의 편의상 한쌍으로 구성되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어느 한측의 구성요소에서 만 부호기입을 하였으나 부호가 기입되지 않은 구성요소도 후술할 상세한 설명과 같이 부호를 기입한 구성요소와 동일하다는 것을 전제에 두며, 여러 실시 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적용하여 대표적으로 일실시 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 예에서는 일실시 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만 설명하기로 한다. Prior to the descriptio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convenience of code writing, only one component is coded in one pair of components, but components that are not coded are also coded as described i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n the various embodiment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refer to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In other embodiments, only componen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exemplary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Let's explain.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필러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고 공기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교차 유동되는 직교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는, 다수의 곡관부(12a, 12b)와 직관부(13)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11)과, 직관부(13)의 유체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입헤더(14)와, 직관부(13)의 유체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출헤더(15)와, 전열관(11)을 지지하며 곡관부(12a)가 출입되는 다수의 관판슬롯(18)이 형성되는 한쌍의 관판프레임(16a, 16b)과, 한쌍의 관 판프레임(16a, 16b)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9)로 구성되는 전열관부(10)와; 전열관(11)을 수용하여 배치되며, 냉각매체의 유로와 수막을 형성하는 골(미도시)과 융기(미도시)로 형상되는 필러시트(21a)와, 필러시트(21a)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평면부(22)와, 평면부(22)를 개구하여 형성되며 곡관부(12a)가 출입되고 전열관(11)을 수용하는 필러슬롯(23a)과, 필러시트(21a) 간에 냉각수와 공기의 유로 간격을 유지하며 필러시트(21a)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돌기(26)로 구성되는 필러부재(20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1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and FIG.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ller member of FIG. 1. As shown in these figures, the cross-flow evaporative
여기서 상기 전열관(10)은 곡관부(12a, 12b)를 경사지게 구성하고 있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상기 관판슬롯(18)은 곡관부(12a)가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12a) 외형 보다 약간 크게하여 타원장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관판프레임(16a, 16b)의 외곽에는 고정부재(19)를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공(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tube plate frame (16a, 16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bolt holes (not shown) for fixing the fixing member (19).
상기 한쌍의 관판프레임(16a, 16b)사이에는 지지를 강화하기 위하여 다수의 관판슬롯(18)과 고정부재(19)를 고정하는 다수의 볼트공(미도시)이 형성된 복수의 지지관판(17)을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A plurality of
그리고 상기 관판프레임(16a, 16b)과 지지관판(17)은 전열관(11)에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하고, 분할된 복수의 관판프레임(16a, 16b)과 지지관판(17)에는 전열관 (11)에 삽입한 후 하나로 조립하는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마련할 수 있다.And the tube plate frame (16a, 16b) and the
다음으로 상기 필러부재(20a)는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고 공기는 거 의 수평방향으로 교차 유동되는 직교류형으로 구성되어 있다.Next, the
그리고 상기 평면부(22)는 필러슬롯(23a) 개구보다 약간 크게하여 곡관부 배치와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다.The
여기서 상기 평면부(22)에는 필러슬롯(23a)으로부터 외향 이격되게 보강홈(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The
상기 평면부(22)에 형성되는 안경형상의 필러슬롯(23a)은 곡관부(12a)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직관부(13) 외경 보다 약간 크게 하여 직관부(13)가 출입되는 한쌍의 개구(미도시)와 한쌍의 개구사이 중심을 절개하는 절개부(미도시)로 형성되어 있다. The pair of eyeglass-shaped
그리고 상기 절개부(미도시) 양측에는 곡관부(12a)에 삽입될 때는 삽입 반대 방향으로 벌어지게 굴곡되고 곡관부(12a)를 통과했을 때는 복원력에 의하여 굴곡이 원상태로 복원되며 열교환 영역이 되는 마우스부(24)가 마련되어 있다.And when inserted into the bent portion (12a) on both sides of the incision portion (not shown) is bent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insertion when passed through the bent portion (12a) the bend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by the restoring force and the heat exchange area of the mouse The
또한 상기 평면부(21a)에는 마우스부(24)의 굴곡과 복원력에 의하여 굴곡이 원상태로 복원되는 작용이 용이하도록 절개부로부터 외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힌지홈(25)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필러슬롯(23a)의 단부에는 필러시트(21a)의 전방 또는 후방의 방향으로 돌출되어 직관부(13) 면에 안착되는 소정 높이의 칼라(collar)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An end of the
그리고 상기 필러부재(20a)의 배기측 단부와 일체하여 엘리미네이터(27a)가 마련되고, 급기측 단부와 일체하여 루버(28a)가 마련되어 있다.An
또한 필러부재(20a)는 곡관부(12a)에 삽입과 분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복수로 분할하여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이하 에서는, 상기 주요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n the mai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유체유입헤더(14)와 유체유출헤더(15)에 결합된 다수의 곡관부(12a, 12b)와 직관부(13)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11)의 곡관부(12a)를 통하여 헤더(14, 15)방향으로 관판프레임(16b)을 삽입하고 안경향상의 필러슬롯(23a)이 형성된 필러부재(20a)와 지지관판(14), 그리고 필러부재(20a)를 연속적으로 삽입하고 관판프레임(16a)을 삽입한 다음 관판프레임(16b)과 지지관판(14)에 연통하게 형성되는 불트공에 고정부재(19)를 관통시킨 후 고정부재(19)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서 조립이 완성된다.Through the
여기서 필러부재(20a)가 곡관부(12a)를 통해 삽입될 때에는 마우스부(24)가삽입 반대방향으로 벌어지게 굴곡되고 곡관부(12a)를 통과함과 동시에 복원력에 의하여 마우스부(24)는 굴곡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직관부(13)의 외표면을 따라 삽입하게 된다.Here, when the
그리고 노화되거나 손상된 필러부재(20a)의 교체 또는 필러부재(20a) 표면에 누적된 이물질의 청소를 위하여 전열관(11)으로 부터 필러부재(20a)를 분리할 때에는 삽입의 반대순으로 진행된다.In order to replace the aged or damag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살수부(미도시)를 통해 수직 하향으로 살수되는 냉각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를 이루는 필러부재(20a)와 전열관(11)의 표면에 수막 형성과 마찰에 의한 미세한 물방울을 확산하면서 필러부재(20a)의 유로를 따라 지연되는 흐름으로 집수조(미도시)를 향해 유동된다.By this configuration, the cooling water sprayed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water spraying unit (not shown) is formed by the water film formation and friction on the surfaces of the
한편 냉각팬(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루버(28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러부재(20a)와 전열관(11)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필러부재(20a)와 전열관(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의 접촉에 의해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27a)와 냉각팬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그리고 필러부재(20a)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집수조(미도시)에 집수된 저온의 냉각수는 다시 살수부(미도시)로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 과정은 반복된다.In addition, the coolant at low temperature collected while being cooled while flowing the
다음으로 유체유입헤더(14)로 유입된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스 등)는 전열관(11) 내로 유동하면서 관외에서 작용되는 증발냉각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또는 응축)되어 유체유출헤더(15)를 통해 냉각 열부하설비(미도시) 또는 냉열열원기계(냉동기 등)로 유동되고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유체는 유체유입헤더(14)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 및 증발냉각 열교환 과정이 반복된다.Next, the cooling fluid (cooling water or refrigerant gas, etc.) introduced into the
이에 의하여, 살수 냉각수가 공기와 충분한 열교환 접촉을 이루도록 흐름을 지연시키고 기류분포를 균등하게 하며, 필러부재(20a)와 전열관(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 공기가 동시에 증발열교환 접촉을 이루게 함으로서 열교환 접촉영역이 확대되고, 살수되는 냉각수가 필러부재(20a)를 통하여 냉각됨으로서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교환효율의 향상에 따라 전열관 (11)의 전열면적과 냉각공기 유동량이 감소됨으로 열교환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열관(11)에 필러부재(20a)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냉각팬의 소비동력감소와 보수와 교체가 가능한 필러 부재(20a)에 의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가 제공된다.As a result, the flow of water is delayed so that the sprinkling cooling water makes sufficient heat exchange contact with the air, and the air flow distribution is equalized. The water droplet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도 4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증발냉각식 열교환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측단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필러부재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1실시 예와는 달리,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고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대향하여 유동되는 대향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는, 전열관(11)에 구성되는 곡관부(12a, 12b)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있다.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filler member of Figure 4. As shown in these figures, unlike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counterflow type evaporative
그리고 상기 곡관부(12a)에 삽입되는 관판슬롯(18)은 곡관부(12a)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12a) 외형 보다 약간 크게하여 수직의 타원장공으로 구성되어 있다. In addition, the
다음으로 상기 전열관(11)에는 골과 융기를 형성하는 필러시트(21b)와, 평면부(22)와, 필러슬롯(23b)과, 간격돌기(26)로 구성되는 대향류형 필러부재(20b)가 삽입되어 배치되어 있다.Next, the
그리고 상기 평면부(22)에는 곡관부(12a)에 원활히 삽입 또는 분리되도록 곡관부(12a) 외형 보다 약간 크게하여 수직의 타원장공으로 필러슬롯(23b)을 구성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이하 에서는, 상기 주요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n the mai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유체유입헤더(14)와 유체유출헤더(15)에 결합된 다수의 곡관부(12a, 12b)와 직관부(13)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11)의 곡관부(12a)를 통하여 헤 더(14, 15)방향으로 관판프레임(16b)을 삽입하고 타원장공의 필러슬롯(23a)이 형성된 필러부재(20b)와 지지관판(14), 그리고 필러부재(20b)를 연속적으로 삽입하고 관판프레임(16a)을 삽입한 다음 관판프레임(16b)과 지지관판(14)에 연통하게 형성되는 불트공에 고정부재(19)를 관통시킨 후 고정부재(19)의 양측 단부에 형성된 나사에 너트를 체결함으로서 조립이 완성된다.Through the
그리고 노화되거나 손상된 필러부재(20b)의 교체 또는 필러부재(20b) 표면에 누적된 이물질의 청소를 위하여 전열관(11)으로 부터 필러부재(20b)를 분리할 때에는 삽입의 역순으로 진행된다.In order to replace the aged or damaged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살수부(미도시)를 통해 수직 하향으로 살수되는 냉각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를 이루는 필러부재(20b)와 전열관(11)의 표면에 수막 형성과 마찰에 의한 미세한 물방울을 확산하면서 필러부재(20b)의 유로를 따라 지연되는 흐름으로 집수조(미도시)를 향해 유동된다.Due to this configuration, the coolant sprayed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spraying part (not shown) is formed by the water film formation and friction on the surfaces of the
한편 냉각팬(미도시)의 작용에 의해 루버(미도시)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러부재(20b)와 전열관(11)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필러부재(20b)와 전열관 (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의 접촉에 의해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미도시)와 냉각팬을 통해 외부로 배기 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louver (not shown) by the action of the cooling fan (not shown) flows along the flow path of the
그리고 필러부재(20b)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집수조(미도시)에 집수된 저온의 냉각수는 다시 살수부로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 과정은 반복된다.And the coolant of the low temperature is cooled while flowing the filler member (20b) and collected in a water collecting tank (not shown) is circulated back to the water spray unit, and this circulation process is repeated.
다음으로 유체유입헤더(14)로 유입된 냉각유체(냉각수 또는 냉매가스 등)는 전열관(11) 내로 유동하면서 관외에서 작용되는 증발냉각 열교환에 의하여 냉각(또는 응축)되어 유체유출헤더(15)를 통해 냉각 열부하설비(미도시) 또는 냉열열원기계(냉동기 등)로 유동되고 열교환을 마친 고온의 냉각유체는 유체유입헤더(14)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 및 증발냉각 열교환 과정이 반복된다.Next, the cooling fluid (cooling water or refrigerant gas, etc.) introduced into the
이에 의하여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대향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ounter-flow evaporative
도 7은 본 발명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일실시예로서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2a)는.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며 공기를 유입하는 급기구(미도시)와 고온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미도시)를 갖는 케이싱(31a)과; 상기 배기구(미도시)와 인접하게 배치되며 냉각팬(61a)과 구동모터(62)로 구성되는 팬부(60a)와; 상기 급기구(미도시)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유입되는 공기를 응축기(2a)내로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를 회수하는 루버(28a)와; 상기 배기구와 인접하게 마련되며 배기구를 향해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27a)와; 상기 열교환 영역에 마련되며, 다수의 곡관 부(12a)와 직관부(13)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11)과, 상기 직관부 (13)의 유체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입헤더(14)와, 상기 직관부(11)의 유체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출헤더(15)와, 상기 전열관(11)을 지지하며 곡관부 (12a)가 출입되는 다수의 관판슬롯(18)이 형성되는 한쌍의 관판프레임(16a)과, 상기 관판프레임(16a)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9)로 구성되는 전열관부(10)와; 상기 전열관(11)을 수용하여 배치되며, 냉각매체의 유로와 수막을 형성하는 골 과 융기로 형상되는 필러시트 (21a)와, 상기 필러시트(21a)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평면부(22)와, 상기 평면부(22)를 개구하여 형성되며 곡관부(12a)가 출입되고 전열관 (11)을 수용하는 필러슬롯(23a)과, 상기 필러시트(21a) 간에 냉각매체의 유로 간격을 유지하며 필러시트(21a)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돌기(26)로 구성되는 필러부재(20a)로 구성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와; 상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의 상부에 마련되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를 향해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30a)와; 상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의 하부에 마련되는 집수조(35a)와; 상기 집수조(35a)에서 살수부(30a)로 냉각수를 공급하는 냉각수 흡입관(41)과 냉각수공급관(42)과 순환펌프(40)와, 상기 집수조(35a)에 공급되는 보충수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밸브(45a)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7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s an embodiment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a condenser (2a) using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케이싱(31a)에는 일측면을 개구하여 점검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One side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케이싱(31a)에는 응결수유입관(미도시)과, 만수관(47)과, 집수조 배수관(미도시)과, 냉매가스유입관(미도시)과, 냉매액유출관(미도시)이 관통하는 각각의 관통공(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In addition, the
상기 케이싱(31a)의 바닥에는 케이싱(31a)내에 발생되는 물을 배수하는 배수구(45)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The bottom of the
그리고 상기 케이싱(31a)의 외벽(102)을 향하는 전면에는 급기구와 배기구를 형성하는 개구(미도시)가 마련되며 개구의 외곽으로는 후술할 급배기루버(70)를 장착하는 결합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In addition, an opening (not shown) is formed on a front surface of the
또한 상기 케이싱(31a)의 전면측 상판(미도시)과 바닥판(미도시)에는 케이싱(31a)을 외벽(102)에 고정하는 복수의 브래킷(34)을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Further, the front side upper plate (not shown) and the bottom plate (not shown) of the
상기 케이싱(31a)의 전면 개구에 마련된 결합부에 결합되는 외곽프레임(73)과, 급기루버(71)와, 배기루버(72)와, 급기루버(71)와 배기루버(72)를 구획하는 구획프레임(74)으로 구성되는 급배기루버(70)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The
여기서 상기 급배기루버(70)는 외벽개구(104)를 관통하여 배치된다.Here, the air supply and
그리고 상기 팬부(60a)는 배기구(미도시) 영역을 구획하여 고정되는 팬실린더(미도시)와 축류팬(axial fan) 날개로 구성되는 냉각팬(61a)과, 냉각팬(61a)과 직결하는 구동모터(62)로 구성되어 구동부지지부재(미도시)에 볼트체결로 고정되어 있다.The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30a)는 통형상의 살수수조(미도시)와 살수수조의 저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살수노즐(미도시)과 살수수조 저부 양측에 마련되며 살수영역(미도시)을 형성하는 한쌍의 격판(미도시)과 일측벽을 연통하여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입되는 냉각수유입구(미도시)와 타측벽에 구성되는 복수의 브래킷(미도시)을 마련하고 있다.Next, the sprinkling
그리고 상기 살수부(30a)는 브래킷을 고정구로 하여 구획프레임(74)의 내측부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다.The sprinkling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a)내에 배치되며 상부가 개구되는 통형상의 집수조Next, a cylindrical water collecting tank disposed in the
(35a)는 보충수가 유입되는 급수구(미도시)와, 냉방기(실내기)의 증발기로 부터 발생되는 응결수가 응결수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급수구(43b)와, 단수시 비상가동을 위하여 사용자가 냉각수를 보충하며 케이싱(31a) 내측으로는 급수안내관(미도시)이 형성되고 외측으로는 개폐마개(미도시)를 갖는 급수구(43c)와, 냉각수 유출구(미도시)와, 집수조내에 수위를 확인하는 수위계(36)가 결합되는 수위계 결합구(미도시)와, 지정수위 이상으로 보충수가 유입될시 외부로 배수하는 만수관(47)과, 집수조내의 냉각수를 배수하는 배수구(미도시)와, 레벨스위치(46)가 결합되는 레벨스위치 결합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 (35a) is a water inlet (not shown) through which replenishment water is introduced, a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evaporator of an air conditioner (indoor), a water inlet (43b) introduced through a condensed water inlet pipe, and a user for emergency operation in the case of water shortage. A
그리고 집수조(35a)에 구성되는 급수구(미도시)와 케이싱(31a)을 관통하여 마련되는 급수구(43a)사이에는 급수관(미도시)과 전자밸브(또는 전동밸브)로 구성되는 급수제어밸브(45a)가 마련되어 있다.And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composed of a water supply pipe (not shown) and a solenoid valve (or electric valve) between the water supply port (not shown) configured in the
또한 상기 집수조(35a) 저부에 구성된 배수구(미도시)에는 배수밸브(48)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In addition, a drain port (not show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30a)와 집수조(35a)의 수면 사이에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가 설치되어 있다.Next,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1a)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ing unit (30a) and the water surface of the water collecting tank (35a).
그리고 상기 집수조(35a)에 형성된 냉각수유출구(미도시)와 살수부(30a)에 형성된 냉각수유입구(미도시) 사이에는 냉각수 흡입관(41)과 순환펌프(40)와, 냉각수토출관(42)이 설치되어 있다. And between the cooling water inlet (not shown) form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35a) and the cooling water inlet (not shown) formed in the sprinkling section (30a), the cooling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a)내에 집수조(35a)와 이격되는 소정의 위치에는 냉매가스유입구(52)와 냉매가스토출구(미도시)가 구성되며 냉매가스를 유동시키는 압축기(50)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Next, at a predetermined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그리고 상기 압축기(50)의 냉매가스토출구(미도시)와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에 구성된 유체유입헤더(14) 사이에는 냉매가스토출관(53)이 더 포함되어 연결 되어 있다.A refrigerant
다음으로 상기 집수조(35a) 개구(미도시)와 케이싱(31a) 전판(미도시)의 내측면 사이에는 케이싱(31a)내에서 발생되는 응결수 또는 비산 물방울을 수집하여 집수조(35a)로 안내하는 응결수팬(33a)을 더 포함하여 배치하고 있다.Next, the condensed or scattered water droplets generated in the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a)의 저부와 실내바닥(101) 사이에는 복수의 방진부재(100)를 더 포함하여 마련하고 있다.Next, a plurality of dustproof
이하 에서는, 상기 주요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n the mai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살수부(30a)를 통해 수직 하향으로 살수되는 냉각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1a)를 이루는 필러부재(20a)와 전열관부(10)에 구성된 전열관(11)의 표면에 수막 형성과 마찰에 의한 미세한 물방울을 확산하면서 필러부재(20a)의 유로를 따라 지연되는 흐름으로 집수조(35a)를 향해 유동된다.Cooling water sprayed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한편 냉각팬(61a)의 작용에 의해 급기루버(71, 28a)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러부재(20a)와 전열관(11)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필러부재(20a)와 전열관 (11)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의 접촉에 의해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27a)와 냉각팬(61a)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그리고 필러부재(20a)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집수조에 집수된 저온의 냉각수는 다시 살수부(30a)로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 과정은 반복된다.The low temperature cooling water, which is cooled while flowing the
다음으로 유체유입헤더(14)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전열관(11) 내로 유동하면서 관외에서 작용되는 증발냉각 열교환에 의하여 응축되고 냉매액은 유체유출헤더 (15)를 통해 냉열열원기계(냉동기 또는 냉방기, 공기조화기 등)에 구성된 증발기(미도시)로 유동되고 열교환을 마친 냉매가스는 압축기(50)를 통해 유체유입헤더 Next, the refrigerant gas introduced into the
(14)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 및 증발냉각 열교환 과정이 반복된다.The circulation and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 processes that flow back to (14) are repeated.
다음으로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2a)와 이격되게 실내에 설치되는 냉방기(미도시)로부터 발생되는 저온의 응결수는 응결수유입관(미도시)과 급수구(43b)를 통해 집수조(30a)로 유입되어 냉각수로 활용하게 된다.Next, the low temperatur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air conditioner (not shown) installed indoors apart from the condenser (2a)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is the water collecting tank (30a) through the condensed water inlet pipe (not shown) and the water supply port 43b. ) Is used as cooling water.
다음으로 케이싱(31a)내에 배치되는 응결수팬(33a)을 통하여 케이싱(31a)내에서 발생되는 비산 물방울과 포화습공기의 응결수를 수집하여 집수조(35a)내로 안내함으로서 케이싱(31a)내부의 청결유지와 응결수를 냉각수로 활용할 수 있다. Next, through the
다음으로 단수시 수위계(36)의 확인에 의하여 부족되는 냉각수를 급수구 (43c)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보충수를 주입할 수 있음으로 단수 시에도 응축기(2a)를 운전을 할 수 있다.Next, the user can inject supplemental water directly through the
이에 의하여, 이에 의하여, 살수 냉각수가 공기와 충분한 열교환 접촉을 이루도록 흐름을 지연시키고 기류분포를 균등하게 하며, 필러부재와 전열관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 공기가 동시에 증발열교환 접촉을 이루게 함으로서 열교환 접촉영역이 확대되고, 살수되는 냉각수가 필러부재를 통하여 냉각됨으로서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교환효율의 향상에 따라 전열관 의 전열면적과 냉각공기 유동량이 감소됨으로 열교환기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전열관에 필러부재의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서 간편하게 설치 및 보수를 할 수 있고, 냉각팬의 소비동력감소와 보수와 교체가 가능한 필러부재에 의하여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증발냉각식 응축기(2a)가 제공할 수 있다.Thereby, the water flow is delayed so that the sprinkling cooling water makes sufficient heat exchange contact with the air, the air flow distribution is equalized, and the fine water droplets and the air flowing with the water film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iller member and the heat pipe are simultaneously evaporated in heat exchange contact. As a result, the heat exchange contact area is enlarged and the sprinkling water is cooled through the filler member, thereby improving heat exchange efficiency, and the heat transfer area of the heat transfer pipe and the cooling air flow rate are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ize of the heat exchanger. It is easy to assemble and separate the filler member in the heat pipe, and can be easily installed and repaired.The evaporator can reduce the maintenance cost 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cooling fan and the filler member that can be repaired and replaced. Cooled
도 8은 본 발명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다른 실시예로서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일실시 예와는 달리,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고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대향하여 유동되는 대향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2b)는, 냉방기케이싱(231)과, 증발기(210)와, 냉방기팬(260)과,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그릴(270)과, 실내를 향해 저온의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그릴(280)로 구성되는 냉방기(200) 내에 일체하는 구성으로서,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고온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측 하부에는 집수조(35b)를 형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싱(31b)을 마련하고 있다.8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s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삭제delete
삭제delete
여기서 상기 케이싱(31b)의 공기유입 방향의 측벽(미도시)에는 집수조 수면으로부터 상향으로 이격된 소정의 위치에 공기를 유입하는 급기구(81)가 마련되어 있다.Here, a side air supply (81) of the casing (31b) in the air inlet direction is provided with an
그리고 상기 케이싱(31b)의 상부에 형성되는 배기구에는 저부에 흡입부가 형성되고 일측부에는 배기구(82)를 구성하며 상부 중앙영역에는 구동모터(62)를 결합하는 결합부(미도시)가 마련되는 팬하우징(미도시)과 원심팬(centrifugal fan)날개 로 구성되는 냉각팬(61b)과 구동모터(62)로 구성되는 팬부(60b)가 결합되어 있다.In addition, a suction part is formed at a bottom of the exhaust port formed at the upper part of the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b)의 상부영역에는 배기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분배주관(미도시)과 분배관(미도시)과 분배관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미도시)로 구성되는 살수부(30b)가 배치되어 있다.Next, in the upper region of the
삭제delete
다음으로 살수부(30a) 하부에는, 다수의 곡관 부(12a)와 직관부(13)로 반복하여 사행으로 형성되는 전열관(11)과, 상기 직관부 (13)의 유체유입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입헤더(14)와, 상기 직관부(11)의 유체유출측 단부에 결합되는 유체유출헤더(15)와, 상기 전열관(11)을 지지하며 곡관부(12a)가 출입되는 다수의 관판슬롯(18)이 형성되는 한쌍의 관판프레임(16a)과, 상기 관판프레임(16a)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9)로 구성되는 전열관부(10)와; 상기 전열관(11)을 수용하여 배치되며, 냉각매체의 유로와 수막을 형성하는 골 과 융기로 형상되는 필러시트 (21b)와, 상기 필러시트(21b)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평면부(22)와, 상기 평면부(22)를 개구하여 형성되며 곡관부(12a)가 출입되고 전열관 (11)을 수용하는 필러슬롯(23b)과, 상기 필러시트(21b) 간에 냉각매체의 유로 간격을 유지하며 필러시트(21a)와 일체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간격돌기(26)로 구성되는 필러부재(20b)로 구성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가 배치되어 있다.Next, the lower portion of the sprinkling
삭제delete
다음으로 팬부(60b) 상부에는 증발기(210)로 부터 발생되는 응결수를 수집하며 응결수배출구(미도시)를 형성하는 응결수팬(33b)이 배치되어 있고 응결수유출구(미도시)와 케이싱(31b) 일영역에 구성된 응결수유입 급수구(43b) 사이에는 응결수유입관(44)이 연결되어 있다.Next, a
삭제delete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b)의 저부에는 일측부에는 점검문(미도시)이 마련되고 저부에는 바닥배수구(49)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급수관(미도시), 배수관(미도시), 냉각수흡입관(41), 만수관(47)이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되며 측부에는 냉매가스유입관(51)과, 냉매가스토출관(53)과, 급수관(미도시)이 관통되는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되는 기계실(37)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Next, an inspection door (not shown)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bottom of the
다음으로 상기 기계실(37)에는 압축기(50)가 배치되고 압축기(50)의 냉매가스유입구(미도시) 증발기(210)사이에는 냉매가스유입관(51)이 연결되어 있다.Next, a
삭제delete
그리고 상기 압축기(50)의 냉매가스토출구(미도시)와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1b)의 유체유입헤더(미도시) 사이에는 냉매가스토출관(53)이 연결되어 있다.A refrigerant
다음으로 상기 기계실(37)에는 냉각수를 순환시키는 순환펌프(40)가 배치되고 집수조(35b)의 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냉각수유출구(미도시)와 순환펌프(50)의 흡입구(미도시) 사이에는 냉각수흡입관(41)이 연결되고 순환펌프(50)의 토출구와 살수부(20b)의 냉각수유입구(미도시) 사이에는 냉각수공급관(42)이 연결되어 있다.Next, a
다음으로 상기 기계실(37)내에 마련되며 집수조(35b)의 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급수유입구(미도시)와 급수구(43a) 사이에는 전자밸브(또는 전동밸브)로 구성되는 급수제어밸브(45a)를 수용한 급수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다. Next, a water
그리고 상기 집수조(35b)의 저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결합구(미도시)에는 만수관(47)이 결합되고 만수관(47)의 하부에는 배수밸브(48)에 결합된 배수관(미도시)이 연결되어 있다.A
이하 에서는, 상기 주요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n the mai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살수부(30a)를 통해 수직 하향으로 살수되는 냉각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1b)를 이루는 필러부재와 전열관부에 구성된 전열관의 표면에 수막 형성과 마찰에 의한 미세한 물방울을 확산하면서 필러부재의 유로를 따라 지연되는 흐름으로 집수조(35b)를 향해 유동된다.Cooling water sprayed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spraying
한편 냉각팬(61b)의 작용에 의해 급기구(8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러부재와 전열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필러부재와 전열관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의 접촉에 의해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27b)와 냉각팬(61b)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여기서 급기구(81)와 배기구(82)에는 주름관(또는 덕트)을 연결하여 실외로부터 급기되고 실외로 배기되도록 할 수 있다.Here, the
삭제delete
그리고 필러부재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집수조(35b)에 집수된 저온의 냉각수는 다시 살수부(30b)로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 과정은 반복된다.The coolant of the low temperature, which is cooled while flowing the filler member and collected in the
다음으로 유체유입헤더(미도시)로 유입된 냉매가스는 전열관 내로 유동하면서 관외에서 작용되는 증발냉각 열교한에 의하여 응축되고 냉매액은 유체유출헤더(미도시)를 통해 증발기(210)로 유동되며 열교환을 마친 냉매가스는 압축기(50)를 통해 유체유입헤더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 및 증발냉각 응축 과정이 반복된다.Next, the refrigerant gas introduced into the fluid inflow header (not shown) is condensed by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bridge acting outside the tube while flowing into the heat transfer tube, and the refrigerant liquid is flowed to the
다음으로 증발기(210)로부터 발생되는 저온의 응결수는 응결수유입관(44)과 응결수유입 급수구(43b)를 통해 집수조(35b)로 유입되어 냉각수로 활용하게 된다.Next, the low temperature condensed water generated from the
이에 의하여, 전술한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냉방기 케이싱(231)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서 일체하게 구성할 수 있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2b)를 제공할 수 있다.Thereby, the
삭제delete
도 9는 본 발명의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응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실시 예와는 달리,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2c)는, 실외에 설치되며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고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대향하여 유동되는 대향류형으로서, 열교환 영역을 형성하며 상부에는 고온 배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미도시)가 형성되는 케이싱(31c)이 집수조 (35c) 상부에 고정되어 있다.Figure 9 is a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denser as another embodiment using the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unlik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다음으로 상기 집수조(35c) 상단부와 케이싱(31c)의 하단부 사이에 형성되는 급기구(미도시)에는 공기를 응축기(2c)내로 안내하고 외부로 이탈되는 냉각수를 회수하는 루버(28d)가 마련되어 있다.Next, the air supply port (not shown) form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삭제delete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c) 중앙영역에 형성된 배기구와 연통하여 팬실린더 (미도시)와, 축류팬(axial fan)날개로 구성되는 냉각팬(61c)과, 벨트드라이버(미도시)와 구동모터(62)로 구성되는 팬부(60c)가 결합되어 있다.Next, a cooling
다음으로 상기 케이싱(31c)의 배기구 하부에는 냉각수를 유입하는 분배주관(미도시)과, 분배주관으로 부터 분기되는 다수의 분배관(미도시)과 분배관에 결합되는 다수의 살수노즐(미도시)로 구성되며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을 향하여 냉각수를 살수하는 살수부(30b)가 배치되어 있다.Next, in the lower portion of the exhaust port of the
그리고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에 구성된 유체유입헤더(미도시)와 이격되게 설치된 유닛(미도시)에 구성된 압축기(미도시)의 토출구 사이에는 냉매가스토출관 (53)이 연결되고, 유체유출헤더(미도시)와 이격되게 설치된 유닛에 구성된 증발기(미도시) 사이에는 냉매액유출관(55)이 연결되어 있다.A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30b) 하부에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가 배치되어 있다. Next, an evaporative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30b)로 냉각수를 공급하며 집수조(35c)에 형성된 냉각수 유출구(미도시)와 순환펌프(40)의 흡입구 사이에는 냉각수흡입관(41)이 마련되고 순환펌프(40) 토출구와 살수부(30b) 사이에는 냉각수공급관(42)이 연결되어 있다.Next, the cooling
다음으로 상기 살수부(30b) 상부에는 냉각팬(61c)을 향하여 비산되는 물방울을 회수하는 엘리미네이터(27b)가 배치되어 있다.Next, an
다음으로 증발냉각 열교환 과정에서 증발되는 냉각수에 의하여 집수조(35c) 수위가 낮아질 때에는 보충수를 공급하고 정해진 수위까지 보충수가 공급되면 자동으로 급수를 차단하는 플로우트밸브로 구성한 급수제어밸브(45b)가 보충수를 급수하는 급수구(43a)에 결합되어 있다.Next, when the water level of the
다음으로 집수조 저부에는 응축기(2c)를 지지하는 지지가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Next, a support stand (not shown) for supporting the
이하 에서는, 상기 주요구성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n the main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살수부(30b)를 통해 수직 하향으로 살수되는 냉각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 (1b)를 이루는 필러부재와 전열관의 표면에 수막 형성과 마찰에 의한 미세한 물방울을 확산하면서 필러부재의 유로를 따라 지연되는 흐름으로 집수조(35c)를 향해 유동된다.Cooling water sprayed vertically downward through the spraying
한편 냉각팬(61c)의 작용에 의해 루버(28d)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는 필러부재와 전열관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면서 필러부재와 전열관 표면에 형성되는 수막과 유동되는 미세한 물방울과의 접촉에 의해 증발열교환을 이루고 고온의 공기는 엘리미네이터(27b)와 냉각팬(61c)을 통해 외부로 배기된다.On the other hand, the air flowing through the louver 28d by the action of the cooling
그리고 필러부재를 유동하면서 냉각되어 집수조에 집수된 저온의 냉각수는 다시 살수부(30b)로 순환되며 이러한 순환 과정은 반복된다.The coolant of the low temperature, which is cooled while flowing in the filler member and collected in the water collecting tank, is circulated back to the
다음으로 냉매가스토출관(53)과 유체유입헤더를 통해 유입된 냉매가스는 전열관 내로 유동하면서 관외에서 작용되는 증발냉각 열교환에 의하여 응축된 냉매액은 유체유출헤더와 냉매액유출관(55)를 통해 이격된 유닛에 구성된 증발기로 유동되고 열교환을 마친 냉매가스는 유체유입헤더(14)로 다시 유입되는 순환 및 증발냉각 응축 과정이 반복된다.Next, the refrigerant gas introduced through the refrigerant
이에 의하여, 전술한 일실시예에서 설명한 효과를 갖는 것은 물론 실외에 설치되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이용하는 응축기(2c)를 제공할 수 있다.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원형의 직관부와 곡관부로 구성되는 전열관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타원형 등 다른 형상의 직관부와 곡관부로 구성되는 전열관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eat transfer tube composed of a circular straight tube portion and a curved tube por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but it may also be configured as a heat transfer tube composed of a straight tube portion and a curved tube portion of another shape such as an oval shape.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공기는 거의 수평방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직교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와, 공기는 수직상향으로 유동되고 냉각수는 수직하향으로 유동되는 대향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에 대 하여 상술하였으나, 공기와 냉각수가 같은 방향으로 유동되는 평행형(parallel flow)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로도 적용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rossflow evaporative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a, 1b)를 이용한 응축기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나, 냉각수를 냉각하는 증발냉각식 냉각탑으로도 적용할 수 있고, 오일 등 다른 유체를 냉각하는 증발냉각식 냉각기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condenser using the evaporative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냉방기(200)와 일체하여 구성되는 증발냉각식 응축기
(2b)에 대향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를 구성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직교류형 증발냉각식 열교환기(1b)로도 구성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evaporative cooling condenser configured integrally with the
Although the counterflow type evaporative
삭제delete
그리고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냉방기케이싱(231)내에 일체하여 증발냉각식 응축기(2b)가 구성되는 것에 대해 상술하였으나 냉방기케이싱(231)내에서 분리하여 냉방기와(200) 이격된 실내에 증발냉각식 응축기(2b)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응축기, 냉각탑 및 냉각기 기술분야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음으로, 상기 기술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될 것이다.The technical constru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in the art of condenser, cooling tower and cooler, and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limited only by the claims described in the following claims. will b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열교환기의 크기와 소비동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구조로서 설치 및 보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증발냉각식 열교환기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t exchange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e size and power consumption of the heat exchanger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of easy assembly and separation can simplify th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and the maintenance Provide an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that can reduce costs.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4217A KR100622443B1 (en) | 2005-01-17 | 2005-01-17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50004217A KR100622443B1 (en) | 2005-01-17 | 2005-01-17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Using the Same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049099A Division KR100622453B1 (en) | 2006-05-31 | 2006-05-31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Un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498A KR20060083498A (en) | 2006-07-21 |
KR100622443B1 true KR100622443B1 (en) | 2006-09-13 |
Family
ID=37173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50004217A Expired - Fee Related KR100622443B1 (en) | 2005-01-17 | 2005-01-17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22443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9658B1 (en) | 2006-12-29 | 2008-04-07 | 캐리어 주식회사 | Filler fixing structure of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89541B1 (en) | 2013-08-07 | 2016-01-28 | 주 식 김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 |
CN108680042B (en) * | 2018-06-11 | 2024-03-01 | 湖南元亨科技股份有限公司 | Contact and evaporation type condenser for cooling tower |
CN110296551B (en) * | 2019-07-08 | 2020-06-23 |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 Heat exchanger, evaporative condens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unit |
KR20210070921A (en) | 2019-12-05 | 2021-06-15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Evaporative condenser |
-
2005
- 2005-01-17 KR KR1020050004217A patent/KR10062244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9658B1 (en) | 2006-12-29 | 2008-04-07 | 캐리어 주식회사 | Filler fixing structure of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83498A (en) | 2006-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23430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vaporative cooling of a cooling fluid | |
KR100622453B1 (en)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Unit | |
US7603774B2 (en) | Cooling tower with direct and indirect cooling sections | |
KR101082792B1 (en) | High efficiency cooling tower | |
US5787722A (en) | Heat exchange unit | |
KR20140078351A (en) | Heating tower with heat pump | |
KR100622443B1 (en) | Evaporative Cooling Heat Exchanger and Condenser Using the Same | |
KR101727914B1 (en) | Heat exchanger | |
JP2008209070A (en) | Heat exchanger and closed cooling tower | |
KR100526758B1 (en) | Hybrid cooling tower | |
CN219696907U (en) | Cooling device and laser equipment | |
JPH10246459A (en) | Air conditioner | |
KR100645228B1 (en) | Crossflow cooling tower with protruding sprinkling chamber | |
CN113701256B (en) | Evaporative cooling devices, outdoor units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 |
CN2753995Y (en) | Air-cooled condenser air conditioner outdoor unit set | |
KR200315236Y1 (en) | Hybrid cooling tower | |
CN113669789B (en) | Air conditioner indoor unit and refrigerating system | |
CN222703550U (en) | Fin type evaporator | |
KR100352433B1 (en) | drain apparatus of indoor unit in wall mounted room air conditioner | |
KR200413736Y1 (en) | Condensing coil for evaporative condenser | |
CN222881314U (en) | An evaporative heat pump | |
CN222761430U (en) | Defogging assembly | |
CN218380004U (en) | Evaporated water recovery system for refrigeration system and refrigeration system | |
KR100636720B1 (en) | Evaporative Condenser Coils with Corrugated Pins | |
CN213872967U (en) | Combined energy-saving dehumidification heat pip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5011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5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060531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7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9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9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9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