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235B1 -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 Google Patents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235B1
KR100622235B1 KR1020050097376A KR20050097376A KR100622235B1 KR 100622235 B1 KR100622235 B1 KR 100622235B1 KR 1020050097376 A KR1020050097376 A KR 1020050097376A KR 20050097376 A KR20050097376 A KR 20050097376A KR 100622235 B1 KR100622235 B1 KR 100622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ching circuit
matching
band
pin diode
impedance m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주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9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2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235B1/ko
Priority to CNA2006101407186A priority patent/CN1964539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53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common antenna for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6Circuits
    • H04B1/18Input circuits, e.g. for coupling to an antenna or a transmission li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모드에 따라 핀 다이오드를 통해 각 통신 모드에 적합하도록 정합회로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1 정합회로; 상기 제2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2 정합회로;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상기 제2 정합회로 사이에 위치하여, 임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정합회로를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핀 다이오드(pin diode);를 포함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를 제공한다.
삼중 대역, 이동통신단말기, 임피던스 정합

Description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method for impedance matching of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pin diode and impedance matching devic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정합회로부의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피던스 정합 장치의 정재파비 대 주파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면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단말기 110: RF부
111: 정합회로부 112: 제1 정합회로
113: 제2 정합회로 114: 핀 다이오드
115: 제어신호 입력부 116: 듀플렉서부
117: 송신부 118: 수신부
120: 입력부 130: 표시부
140: 저장부 150: 제어부
본 발명은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모드에 따라 핀 다이오드를 통해 각 통신 모드에 적합하도록 정합회로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키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과 이동통신단말기의 광범위한 보급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는 현대인에게 필수품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방식으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 여러 방식이 현존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이동통신방식이 통일되어 있지 않고, 특히 각 통신 방식별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이 상이하여 하나의 통신 방식을 위한 이동통신단말기로는 다른 통신 방식으로 통화를 수행할 수 없다.
또한 최근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을 탑재한 이동통신단말기가 출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GPS 대역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 신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즉, 다양한 통신 대역에 대해 좋은 정재파비를 가져 다양한 통신 대역으로 무선 통신을 최적의 품질로 수행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하나의 안테나와 하나의 정합회로를 가지고 여러 대역에 대해 낮은 정재파비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현하기는 매우 어려우며, 하나의 대역에 대해 최적의 정재파비를 갖는 무선 통신 장치를 구현할 경우 해당 무선 통신 장치의 다른 대역에 대한 정재파비의 증가를 감수할 수밖에 없는 트레이드 오프(trade off)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는 여러 대역에 대해 최적의 상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통신 대역에 대해 최적의 통화 품질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1 정합회로; 상기 제2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2 정합회로;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상기 제2 정합회로 사이에 위치하여, 임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정합회로를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핀 다이오드(pin diode);를 포함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핀 다이오드로 전달하되, 일단이 상기 제1 정합회로 및 상기 핀 다이오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정합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차단하는 인덕터와, 일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직렬 연결되고 타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제어신호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정합회로는 일단이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커패시터, 일단이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정합회로는 일단이 상기 핀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대역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대역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역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대역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1 정합회로; 상기 제2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 는 제2 정합회로;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상기 제2 정합회로 사이에 위치하는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으로, 상기 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정합회로가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정합회로를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1 정합회로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정합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정합수행단계;를 포함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블록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세 종류의 통신 모드, 예를 들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모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드 및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모드로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3중 모드 이동통신단말기(tri-mode mobile phone)이다.
여기서 CDMA 모드라 함은 CDMA 방식에 의해 CDMA 대역의 무선 신호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며, GPS 모드라 함은 GPS 방식에 의해 GPS 대역의 무선 신호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하고, PCS 모드라 함은 PCS 방식에 의해 PCS 대역의 무선 신호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모드를 의미 한다.
상기 CDMA 대역은 셀룰러 주파수 대역, 즉 약 800 MHz 내지 약 900 MHz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PCS 대역은 한국의 경우 약 1.75 GHz 내지 약 1.87 GHz 대역, 미국의 경우 약 1.85 GHz 내지 약 1.99 GHz 대역을 포함한다. 상기 GPS 대역은 약 1.5 GHz 내지 약 1.6 GHz 대역을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100)는 RF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30), 저장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RF부(11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를 받으며 안테나(ANT)로부터 수신된 무선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원하는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50)으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정합회로부(111), 듀플렉서부(duplexer part)(116), 송신부(117) 및 수신부(118)를 포함한다.
상기 정합회로부(111)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RF부(110)의 RF단에서 상기 안테나(ANT)의 급전점과 상기 RF부(110)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 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대역의 무선신호에 대해 정합되도록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정합회로부(111)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 또는 PCS(personal communication) 대역의 무선신호에 대해 상기 정 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voltage standing wave ratio, VSWR)가 최적화, 즉 가능한 범위 내에서 최소가 되도록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상기 듀플렉서부(116)는 상기 정합회로부(111)로부터 입력된 무선신호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수신부(118)로 출력하고, 상기 송신부(117)로부터 입력된 무선신호에 대해 소정의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정합회로부(111)로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듀플렉서부(116)는 각 CDMA, GPS 및 PCS 대역의 무선신호 대해 각각 상기 입, 출력 동작을 수행하는 CDMA 듀플렉서(미도시), GPS 듀플렉서(미도시), 및 PCS 듀플렉서(미도시)와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정합회로부(111)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상기 각 듀플렉서들로 스위칭하는 3중 모드 스위치(tri-mode switch)(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듀플렉서부(116)에 관한 사항은 공지된 기술인바 이하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송신부(117)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기저대역(base band)의 저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고대역(radio band)의 고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듀플렉서부(116)로 출력한다.
상기 수신부(118)는 상기 듀플렉서부(116)로부터 고대역(radio band)의 고주파 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기저대역(base band)의 저주파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입력부(120)는 문자키, 숫자키와 각종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를 발생하여 제어부(170)로 전달한다.
상기 표시부(130)는 액정표시장치(LCD)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서, 상기 제어 부(160)의 제어를 받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상태나 프로그램의 진행상항을 표시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상기 제어부(150)의 제어시에 필요한 동작프로그램, 시스템 프로그램이 저장되며 여러 동작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150)의 상기 정합회로부(111)에 대한 제어 동작을 포함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동시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임피던스가 변화하도록 상기 정합회로부(111)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모드가 CDMA 대역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CDMA 모드 또는 GPS 대역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GPS 모드인 경우,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가 CDMA 대역 또는 GPS 대역에 대해 최적화 되도록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신모드가 PCS 대역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PCS 모드 인 경우,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가 PCS 대역에 대해 최적화 되도록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임피던스를 변화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통신모드에 따라 상기 듀플렉서부(116)의 3중 모드 스위치가 상기 통신 모드에 상응하는 듀플렉서로 상기 정합회로부(111)를 통해 입력된 무선신호를 스위칭하도록 상기 듀플렉서부(116)의 3중 모드 스위치로 제 어신호를 출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정합회로부의 회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합회로부(111)는 제1 정합회로(112), 제2 정합회로(113), 핀 다이오드(114) 및 제어신호 입력부(115)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합회로(112)는 안테나(ANT)와 연결되어 CDMA 대역 및 GPS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 정합회로(112)는 일단이 상기 안테나(ANT)에 연결된 커패시터(C), 일단이 상기 안테나(ANT)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C)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된 제1 인덕터(L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합회로(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정합회로부(112)가 상기 제2 정합회로부(113)와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상기 제1 정합회로(112) 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DMA 대역에 대해 최적화, 즉 상기 정재파비의 값이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상기 제2 정합회로(113)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제2 정합회로(113)는 PCS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한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2 정합회로(113)는 일단이 상기 핀 다이오드(114)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제2 인덕터(L2)(1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정합회로(11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π"형상을 가진다. 상기 제1 정합회로부(112)가 상기 제2 정합회로부(113)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상기 제2 정합회로(113)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PCS 대역에 대해 최적화, 즉 상기 정재파비의 값이 상기 제1 정합회로(112)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경우보다 낮은 값을 가지게 된다.
상기 핀 다이오드(114)는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상기 제2 정합회로(113)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제어부(15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115)를 통해 입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정합회로(113)를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한다.
상기 제어신호는 통신 모드에 따라 하이 또는 로우 값을 가지는 디지털 신호일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가 MSM(mobile station modem)에 의해 구현되는 경우, 상기 제어신호는 상기 MSM의 GPIO(general purpose input output) 핀을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115)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핀 다이오드(114)로 전달하되, 일단이 상기 제1 정합회로(112) 및 상기 핀 다이오드(114)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정합회로(112)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무선신 호를 차단하는 제3 인덕터(L3)와, 일단이 상기 제3 인덕터(L3)의 타단과 직렬 연결되고 타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저항(R)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115)는 상기 제어부(150)로부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핀 다이오드(114)로 전달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150)로 고주파 무선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어부(150)의 동작을 교란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제어신호 입력부(115)는 상기 제어부(115)로부터 지나치게 큰 제어신호, 예를 들어 전류가 상기 정합회로부(111)로 유입되어 상기 정합회로부(111) 및 상기 제어부(150)에 기계적 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하기 표 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정합회로(112)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때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표이다.
CDMA 대역 PCS 대역
1 824 MHz 3.38 1850 MHz 2.04
2 849 MHz 2.40 1910 MHz 2.18
3 869 MHz 1.96 1930 MHz 2.24
4 894 MHz 1.62 1990 MHz 2.53
하기 표 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정합회로(112) 및 상기 제2 정합회로(113)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때 상기 정합회로부(111)의 정재파비를 나타낸 표이다.
CDMA 대역 PCS 대역
1 824 MHz 2.45 1850 MHz 1.72
2 849 MHz 1.92 1910 MHz 1.85
3 869 MHz 1.81 1930 MHz 1.97
4 894 MHz 2.10 1990 MHz 2.32
전체적인 상기 정재파비의 값이, 상기 CDMA 대역에서는 상기 제1 정합회로(112)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때 낮고, 상기 PCS 대역에서는 상기 제1 정합회로(112) 및 상기 제2 정합회로(113)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할 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정합회로(112,113)와 상기 핀 다이오드(114)를 구성하는 회로 구성 요소의 종류 및 배열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의 절차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핀 다이오드(114)는 상기 핀 다이오드(114)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이동통신단말기(110)의 제어부(150)로부터 입력받는다(S100).
그 후, 상기 핀 다이오드(114)는 상기 제어신호가 상기 제2 정합회로(113)가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지시하는 제2 정합회로 연결 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110).
상기 S110단계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제2 정합회로 연결 신호인 경우, 상기 핀 다이오드(114)는 상기 제2 정합회로(113)가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정합회로(113)를 상기 제1 정합회로(112)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고(S120) 절차를 종료한다.
한편 상기 S110단계 판단결과 상기 제어신호가 제2 정합회로 연결 신호인 경우, 상기 핀 다이오드(114)는 상기 제1 정합회로(112)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정합회로(112,113)를 전기적으로 분리하고(S130) 절차를 종료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청구항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 모드에 따라 핀 다이오드를 통해 각 통신 모드에 적합하도록 정합회로부의 임피던스를 변화시켜 하나의 안테나를 이용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두 개 이상의 통신 대역에 대해 최적의 통화 품질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1 정합회로;
    상기 제2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2 정합회로;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상기 제2 정합회로 사이에 위치하여, 임의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정합회로를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하는 핀 다이오드(pin diode);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핀 다이오드로 전달하되, 일단이 상기 제1 정합회로 및 상기 핀 다이오드와 연결되어 상기 제1 정합회로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무선신호를 차단하는 인덕터와, 일단이 상기 인덕터의 타단과 직렬 연결되고 타단으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제어신호의 크기를 조절하는 저항을 포함하는 제어신호 입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정합회로는
    일단이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커패시터, 일단이 상기 안테나에 연결된 상기 커패시터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ground)에 연결된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정합회로는
    일단이 상기 핀 다이오드의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이 그라운드에 연결되는 인덕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대역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역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6. 미리 정해진 제1 및 제2 대역의 무선신호를 송, 수신하는 안테나; 상기 안테나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1 정합회로; 상기 제2 대역에 속하는 무선신호의 송, 수신을 위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는 제2 정합회로;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상기 제2 정합회로 사이에 위치하는 핀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으 로,
    상기 핀 다이오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는 신호입력단계;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제2 정합회로가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동하여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2 정합회로를 상기 제1 정합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1 정합회로만이 임피던스 정합을 수행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정합회로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정합수행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 대역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대역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대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대역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대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 방법.
KR1020050097376A 2005-10-17 2005-10-17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0622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376A KR100622235B1 (ko) 2005-10-17 2005-10-17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CNA2006101407186A CN1964539A (zh) 2005-10-17 2006-09-30 利用pin型二极管的无线通信装置的阻抗整合方法及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7376A KR100622235B1 (ko) 2005-10-17 2005-10-17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235B1 true KR100622235B1 (ko) 2006-09-13

Family

ID=37624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7376A KR100622235B1 (ko) 2005-10-17 2005-10-17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2235B1 (ko)
CN (1) CN196453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8915A (zh) * 2019-12-18 2021-07-0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及其可控阻抗匹配电路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6336B (zh) * 2018-11-16 2021-03-26 深圳迈睿智能科技有限公司 微波驱动电路和驱动方法及其应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78915A (zh) * 2019-12-18 2021-07-06 深圳市大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及其可控阻抗匹配电路
CN113078915B (zh) * 2019-12-18 2023-04-14 大富科技(安徽)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设备及其可控阻抗匹配电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64539A (zh) 200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22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ranching signal for mobile terminal
US6662021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multi-band antenna
US6304748B1 (en) Transmitter circuitry for a cellular phone
US7542727B2 (en) Method for receiving a signal on a single multi-band antenna
EP1105973B1 (en) Dual band radio telephone with dedicated receive and transmit antennas
US6667723B2 (en) System and method for a GPS enabled antenna
US7155251B2 (en) Mobile radio apparatus and radio unit
TWI472169B (zh) 用於使用開關電路保護微機電系統開關免於無線電頻率訊號之系統及方法
US8674889B2 (en) Tunable antenna arrangement
US6510310B1 (en) Dual mode phone architecture utilizing a single transmit-receive switch
JP4628293B2 (ja) マルチバンド無線通信方法およびマルチバンド無線通信装置
KR100470582B1 (ko) 다중 대역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090153417A1 (en) Multiple Frequency Band Wireless Transceiver Device and Related Devices
US8405558B2 (en) Wireless device
US6738603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with retractable antenna and its impedance matching method
EP2134000B1 (en) Multi-ban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6639489B2 (en) Composite high-frequency switch, high-frequency module, and communication apparatus
KR100622235B1 (ko) 핀 다이오드를 이용한 무선 통신 장치의 임피던스 정합방법 및 이를 위한 임피던스 정합 장치
KR100318916B1 (ko) 다중밴드 단말기의 전력 증폭 장치
KR20040092127A (ko) 다중 매칭회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792003B1 (ko) 광대역 임피던스 정합 장치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이를위한 광대역 임피던스 정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법
KR10038324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듀얼 밴드 제어장치
KR20020050763A (ko) 마이크로스트립 패치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능동안테나
KR20020066029A (ko) 동작 모드별 임피던스 매칭회로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및 임피던스 매칭 방법
KR20070067983A (ko) 무선신호 동작채널에 따른 안테나 성능 확보가 가능한이동통신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