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2083B1 -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 Google Patents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2083B1
KR100622083B1 KR1020060047577A KR20060047577A KR100622083B1 KR 100622083 B1 KR100622083 B1 KR 100622083B1 KR 1020060047577 A KR1020060047577 A KR 1020060047577A KR 20060047577 A KR20060047577 A KR 20060047577A KR 100622083 B1 KR100622083 B1 KR 100622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d water
bar
vertical bar
side wal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7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Original Assignee
한보일렉트(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보일렉트(주) filed Critical 한보일렉트(주)
Priority to KR1020060047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20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083B1/ko
Priority to PCT/KR2007/002414 priority patent/WO2007139298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55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transporting 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154Materials for the side walls
    • B65D2519/0016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made of more than one pie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13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 B65D2519/0032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 B65D2519/00338Overall construction of the base surface shape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ase contact surface having a discrete foot-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49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 B65D2519/00512Overall construction of the side walls skelet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57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 B65D2519/00582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 B65D2519/00587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including corner posts, to each other 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i.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side walls directly connected to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63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side walls to the pallet
    • B65D2519/00641Structures intended to be disassemb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547Connections
    • B65D2519/0070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the lid or cover to the side walls or corner posts
    • B65D2519/00716Connections structures connecting the lid or cover to the side walls or corner posts non-removable lid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736Details
    • B65D2519/00805Means for facilitating the removal of the l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1/00Mobile visual advertising
    • G09F21/04Mobile visual advertising by land vehicles
    • G09F21/048Advertisement panels on sides, front or back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다량의 생수통을 서로간의 간섭 없이 간결한 동선에 의해 용이하게 인입하여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어서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 자동화에 의한 물류를 촉진하고 배달시 작업자의 수고를 대폭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수평하게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하게 전후방향을 따라 세워지되 좌우간 상호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그 사이로 생수통이 인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공간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 프레임과, 측벽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서로 쌍을 이루면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생수통이 수납공간에 인입될 때 접촉되어 밀리면서 회전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어 생수통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운반대차, 생수통, 역류방지부재

Description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WATER-TUB CARRIER HAVING COUNTERFLOW PREVENTION MATERIAL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재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재의 분해사시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베이스 프레임 120 : 측벽 프레임
130 : 역류방지부재 140 : 로울러 유닛
161,163,165 : 광고판
본 발명은 생수통 운반대차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량의 생수통을 서로간의 간섭 없이 간결한 동선에 의해 용이하게 인입하여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어서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 자동화에 의한 물류를 촉진하고 배달시 작업자의 수고를 대폭 줄이는 데 적당한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 업체에서 생수를 각 소비처에 운반하고 보관하기 위한 용도로 생수통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생수통은 대략 18리터 정도의 생수를 담을 수 있으며, 생수통을 사용하게 되면 정량의 생수를 외부와 차단된 상태로 비교적 신선하게 운반할 수 있고, 가정과 같은 각 소비처에서 생수를 소비하는 동안 별도의 용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생수통은 원통형의 몸체에 비교적 작은 입구를 갖는 병모양의 용기형태로 형성된 관계로 자체적으로 서로간에 적재시키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직육면체의 수납상자를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수납상자는 생수통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였지만 물류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음과 같은 많은 문제들을 해소할 수는 없었다.
즉, 생수 업체에서 수납상자에 수납된 다량의 생수통을 화물차에 상차하기 위해서는 각 수납상자를 팔레트(palette)에 순차대로 일일이 적재시키는 복잡하고 원시적인 물류형태를 벗어나지 못하였다. 이로 인해 로봇 아암 등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여야 하고 그 과정 역시 복잡하여 물류의 비효율화를 초래하였다.
이렇게 팔레트(palette)에 적재된 생수통은 지게차에 의해 화물차에 간단히 얹혀 놓으면 되지만, 이를 각 소비처에 일일이 배달해야 하는 작업자에게 대단히 큰 고충을 야기하였다. 즉, 최상층에 적재된 생수통을 인출하기는 비교적 쉽지만 수거된 빈 생수통이 혼재된 상태에서 하층에 적재된 생수통을 인출하기 위해서는 상층에 적재된 생수통들을 치우고 그 생수통들을 다시 하나하나 적재하는 등의 고된 과정을 거쳐야만 하였다. 이로 인해 작업자에게는 노동력이 낭비되고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 화물차의 정차시간이 길어지면서 도로교통에도 장애를 초래케 되었다.
이처럼 종래에는 생수 업체에서 각 소비처에 이르는 동안 전반적인 물류과정이 비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고, 이로 인해 막대한 비용을 지출해야만 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량의 생수통을 서로간의 간섭 없이 용이하게 인입하여 수납하고 인출할 수 있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는, 수평하게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하게 전후방향을 따라 세워지되 좌우간 상호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그 사이로 생수통이 인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공간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 프레 임과, 상기 측벽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서로 쌍을 이루면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생수통이 상기 수납공간에 인입될 때 접촉되어 밀리면서 회전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생수통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수직바에 대하여 상기 회전바를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조인트수단과, 상기 수직바에 설치되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수단은, 상기 수직바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된 회전용 절개부를 구비한 수직바 끼움링과, 상기 수직바 끼움링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회전바 끼움링으로 이루어진 결합편과, 상기 회전용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바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편 및 회전바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속핀과, 상기 수직바와 수직바 끼움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 끼움링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바와 수직바 끼움링간의 접촉을 막는 합성수지 소재의 마찰저감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인트수단은, 상기 수직바 끼움링과 회전바 끼움링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분할되며, 상기 이분할된 회전바 끼움링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 끼움링의 절개부위 중 상기 회전바 끼움링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 절개부위는 상호 대응하여 교차 결합되는 끼움홈 및 끼움돌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하 복층으로 다단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생수통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로울러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닥면과 양측벽면을 구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벽면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어, 생수통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편 사방 모서리에는 이동용 캐스터 및 상하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받침대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측 사방 모서리에는 받침대가 설치되고, 상기 측벽 프레임의 상단부에는 상기 받침대가 대응하여 안착되는 안착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벽 프레임 중 최외각에 설치되는 측벽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측벽 프레임간 상측면을 덮는 광고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후방향 수평바와 좌우방향 수평바가 교차하여 결합된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 프레임은 상기 전후방향 수평바와 수직바가 교차하여 결합된 격자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운반대차(100)는 기본적으로 다량의 생수통(W)을 세운 채로 상호 간섭 없이 다열 다층으로 수납하면서 작업자가 수시로 편리하게 인입(引入)하고 인출(引出)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은 도 2에서와 같이 생수통(W)을 눕히지 않고 세운 채로 그대로 화물차에 상차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화물차의 화물칸 측판(D)에 구애받지 않고 생수통의 입구 주변(W1)을 잡아 올려 그대로 어깨에 짊어질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같은 이유로 생수통(W) 내부에 담겨진 생수가 새나가는 문제가 완전히 해소된다.
나아가 본 발명이 운반대차(100)는 역류방지부재(130)를 구비하여 생수통(W)을 전측에서 그대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인입할 수 있기 때문에 생수 업체에서 컨베이어의 이송 흐름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생수통(W)을 인입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로봇 아암 등을 사용하는 등의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 합리적인 물류 자동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생수 업체로부터 시작하여 각 소비처에 이르기까지 물류 전반에 걸쳐 획기적인 개선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 지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재의 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역류방지부재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일련의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전후방향 수평바(121A)와 좌우방향 수평바(121C)와 수직바(121B)가 격자구조로 결합되어 기본형태를 이루면서 전후방향 수평바(121A)와 좌우방향 수평바(121C)가 격자구조로 결합된 베이스 프레임(110)과, 전후방향 수평바(121A)와 수직바(121B)가 격자구조로 결합된 측벽 프레임(120)과, 생수통의 인출 및 수납에 관여하는 역류방지부재(130)를 주요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상기 역류방지부재(130)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 혹은 컨베이어와 같은 이송장치가 생수통을 전측에서 그대로 밀어 넣기만 하면 생수통을 이탈되지 않게 안정적으로 수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생수 업체에서 로봇 아암 등의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이송용 컨베이어만을 사용하여 다량의 생수통을 인입하여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아래에서는 상기 역류방지부재(130)를 중심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역류방지부재(130)는 상기 측벽 프레임(120)의 전측부에 설치되어 측벽 프레임(120) 사이에 형성되는 수납공간(S)으로 생수통의 인입은 허용하되, 일단 인입된 생수통이 역류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역류방지부재(130)는 상기 수납공간(S)을 중심으로 양측에 쌍을 이루면서 설치되며, 수직바(121B), 회전바(133), 조인트수단(135), 토 션스프링(1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30)에 대해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30)의 수직바(121B)는 상기 측벽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선단부의 수직바(121B)를 겸용한다. 물론 별도의 수직바를 구비하여 상기 측벽 프레임(120)의 선단부에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30)의 회전바(133)는 앞으로 상세히 설명될 조인트수단(135)에 의해 상기 수직바(121B)에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되, 제한된 각도 내에서만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이처럼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회전바(133)는 도 6 및 7과 같이 전측으로부터 인입되는 생수통(W)에 접촉되어 밀리면서 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후 도 8과 같이 생수통(W)의 인입이 완료되면 토션스프링(138)의 탄성력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귀된다. 그리고 원상태로 복귀된 회전바(133)는 인입된 생수통(W)의 전측을 가로막아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바(133)는 원상태에서 후방향으로만 제한된 각도로 회전하였다가 탄성스프링(138)에 의해 복귀되는 것만 가능하며 원상태에서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같은 회전바(133)의 제한된 회전 기능은 차후에 설명되는 상기 조인트수단(135)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조인트수단(135)는 상기 수직바(121B)에 대하여 회전바(133)를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결합편(135A,135B)), 구속핀(136), 마찰저감링(139)을 포함한다. 상기 결합편(135A,135B))은 상기 수직바(121B)에 관통되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수직바 끼움링(135A) 과, 상기 수직바 끼움링(135A)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133)의 끝단부에 끼워지는 회전바 끼움링(135B)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 끼움링(135A)과 회전바 끼움링(135B)은 각각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종방향으로 이분할된다. 이때 상기 이분할된 회전바 끼움링(135B)의 경우 체결볼트(137A) 및 너트(137B)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 끼움링(135A)의 절개부위 중 상기 회전바 끼움링(135B)과 더 멀리 떨어져 있는 반대편 부위(135A-1, 135A-2)의 절개부위는 상호 대응하여 교차 결합되는 끼움홈(135A-3) 및 끼움돌기(135A-4)로 형성되어 결합된다(도 4의 "A" 영역 참조). 상기 끼움홈(135A-3) 및 끼움돌기(135A-4)는 지퍼 락 구조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회전바 끼움링(135B)을 결합시키는 볼트(137A) 및 너트(137B)가 풀어져 상호간에 어긋나지 않는 한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상기 구속핀(136)은 상기 절개부(135C)에 관통된 상태로 상기 수직바(121B)에 체결되어 결합편(135A,135B)) 및 회전바(133)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절개부(135C)가 상기 수직바 끼움링(135A)의 원주방향으로 어느 정도 절개되었는지에 따라 상기 결합편(135A,135B)) 및 회전바(133)의 허용되는 회전 각도가 결정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편(135A,135B)) 및 회전바(133)의 회전 각도는 대략 60ㅀ 정도면 적당하다. 상기 마찰저감링(139)은 상기 수직바(121B)와 수직바 끼움링(135A)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 끼움링(135A)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바(121B)와 수직바 끼움링(135A)간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찰저감링(139)은 수직바(121B)와의 접촉으로 인한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폴리에틸렌(polyethylene) 등의 합성수지 소재로 구비된다.
상기 역류방지부재(130)의 토션스프링(139)은 상기 회전바(133)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상기 회전바(133)의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139)은 상기 수직바(121B)나 인근에 설치된 수평바(121A)의 지지를 받으면서 상기 회전바(133)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토션스프링(138)은 말려 있는 부위가 상기 수직바(121B)의 외주면에 끼워져 설치되고, 그 양끝단부 중 하나는 상기 회전바(133)에, 나머지 하나는 지지되는 수직바(121B) 또는 인근의 전후방향 수평바(121A)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이로써 상기 토션스프링(138)이 상기 회전바(133)의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탄성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생수통을 아래에서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갖는 전후방향 수평바(121A)및 좌우방향의 수평바(121C)들의 결합으로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수납되는 생수통의 하중을 견디면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에 강도 보강용 철재 플레임이 덧붙여져 보강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것처럼 베이스 프레임(110)은 하측에 구비되는 팔레트(P palette)에 의해 지지를 받는다. 상기 팔레트(P)는 본 발명의 운반대차 전체를 상차하고 하차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생수통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로울러 유닛(140)이 설치된다. 상기 로울러 유닛(14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닥면과 양측벽면을 구비하는 메인프레임(141)과, 상기 메인프레 임(141)의 양측벽면 사이에 전후방향으로 열을 지어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어 생수통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로울러(1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은 복수개가 복층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로써 더 많은 수의 생수통을 상호 간섭 없이 복층으로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에 세워져 설치되는 측벽 프레임(120)도 함께 설치된다.
상기 측벽 프레임(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직하게 전후방향을 따라 세워지되, 좌우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세워진다. 이로써 상기 측벽 프레임(120) 사이로 생수통이 인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공간(S)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벽 프레임(120)은 중공의 파이프 형태를 갖는 다수의 전후방향 수평바(121A) 및 수직바(121B)들이 격자형으로 결합되어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측벽 프레임(120)이 전후방향 수평바(121A) 및 수직바(121B)들에 의한 격자형 구조로 구성되면 전체 무게가 경량화되고 생수통을 인출하기가 용이해진다.
상기 측벽 프레임(120)이 세워지는 좌우간 간격은 한 열의 생수통이 물류작업에 의해 쉽게 들어갈 수 있는 정도면 적당하다. 도면에서는 한 층에 네 개의 측벽 프레임(120)이 세워져서 세개의 수납공간(S)이 형성된 것으로 예시되었다. 한편, 상기 측벽 프레임(120)이 세워지는 좌우간 간격은 두 열의 생수통이 들러갈 수 있는 정도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겅우 두 열의 생수통이 들어가는 수납공간(S)에는 그 중간에 전후방향을 따라 가이드용 수평바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측벽 프레임(120)의 후단부를 가로질러 걸쳐지는 후단부 지지바(121D)가 설치된다. 상기 후단부 지지바(121D)는 수납된 생수통의 후방향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생수통의 하단부를 걸 수 있는 정도의 높이로만 설치된다. 이는 차후에 작업자가 수납된 생수통을 후측에서 인출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적층시켜 운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운반대차 최상단의 사방 모서리에는 안착편(150)이 설치된다. 상기 안착편(150)은 바닥면(151)과 상기 바닥면(151)으로부터 수직하게 세워진 측벽(153)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상기 안착편(150)이 설치되면 팔레트(P)의 사방 모서리 부위나 다른 운반대차의 최하단 사방 모서리 부위를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발명의 운반대차를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게 되면 화물차의 크기에 따라 더 많은 수의 생수통을 한번에 운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0)의 하측 사방 모서리에는 상기 받침대(151) 이외에 지면에서 구름이동이 가능하도록 캐스터(미도시 됨)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캐스터와 함께 신축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받침대(미도시 됨)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받침대의 신축구조는 유압잭의 구조를 그대로 적용하면 된다. 이같은 구성에 따르면 운반을 위해 캐스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상기 받침대의 길이를 줄여서 캐스터가 지면에 닿게 하고, 반대로 안정된 지지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받침대의 길이를 늘려서 받침대가 지면에 닿게 한다. 이처럼 신축 가능한 받침대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상기 받침대가 안착편(150)에 안착되는 형태를 가지면 대차간 적층은 얼마든지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상기 측벽 프레임(120)을 둘러싸 설치되는 광고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광고판은 최외각에 설치된 측벽 프레임(120)의 외측면을 덮는 좌우면 피스(161,163)와 상측을 덮는 상면 피스(165)로 이루어진다. 상기 광고판에는 다양한 광고 삽화 및 문구가 인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은 대형의 광고 삽화 또는 문구를 퍼즐 타입으로 짜서 맞추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한번에 여러 대의 운반대차를 상차할 수 있는 대용량의 화물차의 경우에 이 같은 퍼즐 타입의 대형 광고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고판은 태양광에 의한 녹조방지와 함께 먼지 빗물 등의 유입을 막을 있어 생수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상기 광고판은 알루미늄을 소재로 구비된다. 알루미늄의 경우 무게가 가볍고 부식에 강하면서도 가격은 비교적 저럼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고판의 소재로 적당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운반대차를 이용한 생수통(W)의 상차 과정을 설명한다.
생수가 충진된 새로운 생수통(W)을 이송시키는 이송용 컨베이어(미도시 됨)를 본 발명의 운반대차에 형성된 수납공간(S) 전측에 간단히 연결하고, 컨베이어를 작동시켜 생수통(W)을 이송시킨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는 본 발명의 운반대차에 수납되는 생수통(W)의 수납 열들에 맞는 것으로 마련된다. 예컨대 도 2에 예시된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1층 3열, 2층 3열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상기 컨베이어는 3열의 생수통(W)을 운반할 수 있도록 3개 한조를 이루는 것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운반대 차 각 층에 따라 구분하여 별도의 컨베이어를 마련하고 1층의 수납이 완료되면 2층의 수납이 이루어지는 순서로 생수통(W)의 수납작업을 순차적으로 진행시킨다.
이로써,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새로운 생수통(W)이 본 발명의 운반대차에 형성된 수납공간(S)으로 인입된다. 이 과정에서 역류방지밸브의 회전바(133)는 상기 생수통(W)에 의해 밀려 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생수통(W)이 수납공간(S)으로 인입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이후, 상기 수납공간(S)에 생수통(W)이 모두 수납되어 수납이 완료되면 상기 회전바(133)는 토션스프링(138)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어 수납공간(S)을 전측에서 가로질러 막게 된다. 이때 복귀된 상태의 회전바(133)는 역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수납공간(S)에 전측에서 수납된 생수통(W)의 역류 및 불필요한 이탈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운반대차의 후측에는 수납공간(S)을 가로질러 설치된 후단부 지지바(121D)가 설치되어 수납되는 생수통(W)의 후방향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든 수납공간(S)에 생수통(W)이 수납되면, 지게차로 팔레트(P)를 들어올려 운반대차 전체를 화물차에 상차한다. 이처럼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로봇 아암 등과 같은 고가의 장비나 복잡한 과정 없이도 생수통(W)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만 있으면 간단하게 자동화된 물류를 진행하는 데 유리하다.
이후, 화물차에 의해 각 소비처로 운반된 생수통(W)은 작업자에 의해 간단히 인출될 수 있으며, 사용된 빈 생수통(W) 역시 간단히 인입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수납공간(S)의 후측에서 생수가 충진되어 있는 새로운 생수통(W)을 비스 듬히 들어올려 인출하고, 그 반대편인 수납공간(S)의 전측으로는 빈 생수통(W)을 밀어 넣어 수납한다. 그러면 같은 열의 생수통(W)들이 밀리면서 수납공간(S)의 후측 빈자리까지 새로운 생수통(W)이 채워지면서 다음 인출을 대기하게 된다. 이때 생수통(W)들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설치된 로울러(143)에 작업자의 적은 힘만으로도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하게 된다.
물론 작업자가 상기와 같은 인출 방법을 따르지 않고서도 격자구조를 갖는 측벽 프레임(120)을 통해서나 전후측으로 생수통(W)을 간단히 인출하고 인입할 수 있으며 이때 생수통(W)간에 간섭이 없기 때문에 인출 및 인입작업이 쉽게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운반대차는 생수 업체에서부터 각 소비처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물류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해주며, 특히 화물차를 가지고 각 소비처에 생수를 배달하는 작업자들에게는 수고를 덜어주고 더할 나위 없는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는, 생수통의 인입과 인출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져 고가의 장비나 복잡 한 과정 없이 자동화에 의한 물류를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생수통간의 간섭이 거의 없이 생수통의 인입과 인출이 매우 자유롭게 이루어져 화물차를 통해 생수를 배달하는 작업자의 수고를 대폭 덜어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생수통을 눕히지 않고 세운 생태로 인입, 수납 및 인출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생수가 세어나가는 등의 문제가 해소된다.
또한, 본 발명은 외측을 둘러싸는 알루미늄 광고판에 의해 광고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알루미늄 광고판에 의해 태양광에 의한 녹조방지와 함께 먼지 빗물 등의 유입을 막을 수 있어 생수의 신선도를 장시간 유지하는 데 유리하다.

Claims (9)

  1. 수평하게 설치된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수직하게 전후방향을 따라 세워지되 좌우간 상호 간격을 두고 세워져서 그 사이로 생수통이 인입되어 수납되는 수납공간를 형성하는 복수의 측벽 프레임과;
    상기 측벽 프레임의 선단부에서 서로 쌍을 이루면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생수통이 상기 수납공간에 인입될 때 접촉되어 밀리면서 회전한 후 원상태로 복귀되어 상기 생수통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류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재는,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에 직교하게 설치되는 회전바와;
    상기 수직바에 대하여 상기 회전바를 제한된 각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조인트수단과;
    상기 수직바에 설치되어 지지된 상태로 상기 회전바의 회전시 원상태로 복귀하려는 경향을 갖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수단은,
    상기 수직바에 관통되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절개된 회전용 절개부를 구비한 수직바 끼움링과, 상기 수직바 끼움링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회전바의 일단부에 끼워지는 회전바 끼움링으로 이루어진 결합편과;
    상기 회전용 절개부를 통하여 상기 수직바에 체결되어 상기 결합편 및 회전바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구속핀과;
    상기 수직바와 수직바 끼움링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수직바 끼움링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수직바와 수직바 끼움링간의 접촉을 막는 합성수지 소재의 마찰저감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수단은,
    상기 수직바 끼움링과 회전바 끼움링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이분할되며, 상기 이분할된 회전바 끼움링은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수직바 끼움링의 절개부위 중 상기 회전바 끼움링이 형성되지 않은 반대편 절개부위는 상호 대응하여 교차 결합되는 끼움홈 및 끼움돌기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하 복층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생수통의 전후방향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로울러 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로울러 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바닥면과 양측벽면을 구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양측벽면 사이에 전후방향을 따라 열을 지어 롤링 가능하게 설치되어, 생수통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복수의 로울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7. 제1항에 있어서,
    다단 적층이 가능하도록 최상단의 사방 모서리에는 최하단의 사방 모서리가 대응되어 안착되는 안착편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 프레임 중 최외각에 설치되는 측벽 프레임의 외측면과 상기 측벽 프레임간 상측면을 덮는 광고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 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전후방향 수평바와 좌우방향 수평바가 교차하여 결합된 격자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측벽 프레임은 상기 전후방향 수평바와 수직바가 교차하여 결합된 격자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KR1020060047577A 2006-05-26 2006-05-26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KR100622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77A KR100622083B1 (ko) 2006-05-26 2006-05-26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PCT/KR2007/002414 WO2007139298A1 (en) 2006-05-26 2007-05-17 Water-tub carrier having counterflow prevention material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7577A KR100622083B1 (ko) 2006-05-26 2006-05-26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2083B1 true KR100622083B1 (ko) 2006-09-11

Family

ID=3762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7577A KR100622083B1 (ko) 2006-05-26 2006-05-26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22083B1 (ko)
WO (1) WO200713929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515A2 (ko) * 2008-08-21 2010-02-25 골드라인물류(주) 생수통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14254U1 (de) * 2008-10-25 2009-01-29 Eurotank Gmbh Anhänger zum Transport von Gasflasche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5086A (ko) * 2003-05-06 2004-11-12 박광숙 운반용 차량에 구비되는 물통수납장치
KR20050116956A (ko) * 2004-06-09 2005-12-14 최병호 생수통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21515A2 (ko) * 2008-08-21 2010-02-25 골드라인물류(주) 생수통 캐리어
WO2010021515A3 (ko) * 2008-08-21 2010-05-27 골드라인물류(주) 생수통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139298A1 (en)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00829B2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7988405B2 (en) Pallet jack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of stackable packaged goods pallets
US8075244B2 (en) Pallet jack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of stackable packaged goods pallets
US8011677B1 (en) Pallet jack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of stackable packaged goods pallets
US8360443B2 (en) Pallet jack system and method for the transportation of stackable packaged goods pallets
US20180093828A1 (en) Object handling system and method
KR100744815B1 (ko) 차량 선적용 콘테이너
WO2015108831A1 (en) Modular shipping apparatus and system
US20170021999A1 (en) Inter-modal shipping mini-containers and method of using same
US20160039602A1 (en) Inter-modal shipping mini-containers and method of using same
WO2021119147A1 (en) Adjustable pallet rack
US3305117A (en) Double hand truck assembly
KR100622083B1 (ko) 역류방지부재를 구비한 생수통 운반대차
CN111469894B (zh) 一种包装饮用水多层堆叠运输装置及其存取转运方法
JP7386588B1 (ja) 液化水素搬送システム
WO2024043224A1 (ja) 液化水素搬送システム
JP7427305B1 (ja) 液化水素搬送システム
JP2024052250A (ja) 圧縮水素搬送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