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1484B1 - 중공사막 모듈 - Google Patents

중공사막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1484B1
KR100621484B1 KR1020040067808A KR20040067808A KR100621484B1 KR 100621484 B1 KR100621484 B1 KR 100621484B1 KR 1020040067808 A KR1020040067808 A KR 1020040067808A KR 20040067808 A KR20040067808 A KR 20040067808A KR 100621484 B1 KR100621484 B1 KR 100621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low fiber
fiber membrane
housing
fixed
sub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7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9245A (ko
Inventor
장재영
장규만
박선후
현병로
박재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어엔비텍
Priority to KR1020040067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1484B1/ko
Publication of KR20060019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9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1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1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3/00Apparatu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3/02Hollow fibre modules
    • B01D63/04Hollow fibre modules comprising multiple hollow fibre assembl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9/00Semi-permeable membranes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structure or properties;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9/08Hollow fibre memb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06External membrane module supporting or fix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13/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modules or apparatus
    • B01D2313/26Specific gas distributors or gas intak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중공사막을 균일하게 배열하여 모듈을 대형화시킬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해 압력차에 의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일단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소단위체와,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는 상기 소단위체가 다수개 적재되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의 내부통로와 연통되어 중공사막을 거친 처리수가 모아지는 콜렉터,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설치되어 기포를 중공사막으로 분출하기 위한 산기부를 포함하는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한다.
하우징, 소단위체, 고정구, 고정추,

Description

중공사막 모듈{Hollow fiber membrane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외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선단부의 평 단면도,
도 5는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선단부의 평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중공사막 모듈 11 : 하우징
12 : 유출구 13 : 유입구
20 : 소단위체 21 : 중공사막
22 : 고정구 23 : 접착부
24 : 고정추 25 : 접착제
30 : 콜렉터 31 : 배출구
40 : 산기관 41 : 공기유입구
42 : 산기부재 43 : 분출구멍
본 발명은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화 모듈에 적용할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분리막 기술은 고분자 재료의 물질 선택투과 성질을 이용한 분리기술의 하나로 1960년대 미국에서 담수화 공정에 적용하면서 상업화된 기술이다. 막분리 공정은 증류기술과는 달리 상 변화가 없으므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공정이 간단하므로 장치가 차지하는 공간이 적은 장점이 있다. 초기의 분리막은 역삼투압(reverse osmosis membrane)을 중심으로 개발되었고 한외여과막(ultrafiltration), 정밀여과막(microfiltration), 나노여과막(nanofiltration) 등으로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분리막은 나권형(spiral wound), 관형(tubular), 중공사형(hollow fiber), 판틀형(plat and frame) 등의 형식들이 있는데, 이중에서 중공사형은 사용되는 중공사가 중앙이 비어있는 0.2~2mm 직경의 실관 형태이므로 중공사의 단위부피당 막면적비가 다른 형식에 비하여 굉장히 높아서 더 높은 생산성을 가지고 있으며, 다른 형식의 분리막은 분리막을 형성하는 고분자를 코팅할 수 있는 지지체가 필요하지만 중공사형식의 분리막은 직경이 작으므로 자체적으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별도의 지지체가 필요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상기 중공사형의 막을 이용한 모듈의 경우 대단위 처리를 위해서는 대용량의 모듈이 필요하나 대형 모듈의 경우 제조가 용이하지 않고 운전과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모듈을 대형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개수의 중공사막을 하나의 모듈에 고착시켜야 되는 데, 중공사막이 많아짐에 따라 이들을 하나로 관리하기 어렵고 중공사막이 일측으로 쏠리는 등의 현상으로 인해 하나의 모듈 내에 균일한 분포로 중공사막을 고정시키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현재 중공사막을 이용하여 수처리를 시행하는 많은 경우에 있어서 처리대상의 유량이 많은 경우 그 규모에 적합한 중공사막 모듈을 사용하기보다 적은 규모에 사용된 소형모듈을 다수 배열하고 각 소형모듈을 배관으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러한 시스템은 배관 연결 구조가 복잡해지고 각 모듈마다 모듈 크기에 적합한 전동밸브 및 펌프가 사용됨에 따라 설비 전체의 관점에서 볼 때 사용되어지는 전동장치의 개수가 늘어나게 되고 각각의 전동장치 및 구동장치에서 기계적 이상이 발생할 확률은 높아지는 단점을 야기한다.
한편,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처리 모듈의 경우 중공사막들 사이에 부유물질이 층을 이루어 물의 흐름을 막을 수 있으며, 막 오염에 약하고 일단 오염된 막은 세척하기가 어려워 막 오염이 심한 분리단계에는 사용하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즉, 중공사막은 일반적으로 운전하는 방식에 따라 외압형, 내압형, 침지형으로 나눌 수 있는데, 외압형은 중공사막 외부에서 압력을 가하여 정제된 물이 중공사막 내부로 나오게 하는 것이며, 내압형은 외압형의 반대 방향으로 압력을 가하는 방식을 말한다. 이러한 중공사막을 이용한 수처리에 있어서 외압형은 Dead-end(전 여과방식) 운전이 가능하므로 원수의 공급량이 내압형에 비해 현저히 줄일 수 있어 동력비가 적게드는 반면 중공사막이 오염되었을 경우 세정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중공사막 모듈의 경우 중공사막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을 세척하기 위하여 산기관을 구비하게 되나, 그 세정효율은 낮은 실정이다. 특히, 모듈이 대형화되는 경우 산기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가 모듈 전체의 중공사막에 고르게 분산투입되지 못하여 국부적인 세척이 이루어지게 되어 중공사막의 오염을 심화시키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중공사막을 균일하게 배열하여 모듈을 대형화시킬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시 발생되는 스케일 등의 오염물질 제거효율을 극대화시키고 모듈 전체의 중공사막에 대해 고른 세정작용이 이루어 질 수 킬 수 있도록 된 중공사막 모듈을 제공함에 또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다수개로 분리 제작된 소단위 중공사막 단위체가 하우징 내에 모여 하나의 중공사막 모듈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중공사막 모듈은,
압력차에 의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과, 상기 중공사막 다발의 일단 을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소단위체와;
외형을 이루고 내부에는 상기 소단위체가 다수 적재되며 일측에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의 내부통로와 연통되어 중공사막을 거친 처리수가 모아지는 콜렉터;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설치되어 기포를 중공사막으로 분출하기 위한 산기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하우징 내부에 소단위체를 고정하는 것으로 중공사막을 균일하게 배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소단위체는 적층된 소단위체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단위체의 고정구는 양단이 개방된 통 구조물로 내부에는 다수의 중공사막이 충진되며 중공사막 사이로 접착제가 도포 경화되어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는 원형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거나 사각형 또는 오각형이나 육각형 등 다각형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단면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산기부는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며, 하우징의 하단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산기관과, 이 산기관 상부에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의 에어 분출구멍이 분포 형성되어 공기를 하우징 내부로 분산 투입하는 산기부재 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산기관으로 유입된 공기는 산기부재에 형성된 분출구멍을 통해 하우징 내부로 고르게 분산 투입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중공사막 모듈은 중공사막의 양단이 하우징의 양 선단에 각각 고정된 양단 고정형 구조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소단위체의 중공사막 자유단은 상기 산기부재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단위체는 중공사막이 산기부재에 균일한 분포로 배치 고정될 수 있도록 균일고정수단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균일고정수단은 각 소단위체의 중공사막 다발 자유단에 부착 고정되고 끝단은 상기 산기부재에 고정되는 고정추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추는 끝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한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져 산기부재과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수의 중공사막이 고정된 고정추를 산기부재에 균일하게 고정시키는 것으로 하우징 내에서 중공사막을 고르게 분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을 외형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의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중공사막 모듈(10)은 압력차에 의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21)과 상기 중공사막(21)들로 이루어지는 중공사막(21) 다발의 일단 을 고정하는 고정구(22), 상기 중공사막(21) 다발의 타단에 부착 고정되는 고정추(24)를 포함하는 소단위체(20)와,
내부에 상기 소단위체(20)가 연속적으로 적재되며 상단과 하단의 측면에 각각 오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와 유출구(12)가 형성되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일정길이의 원통형 하우징(11),
상기 하우징(11)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22)에 설치된 중공사막(21)의 내부통로와 연통되어 중공사막(21)을 거친 처리수가 모아지는 콜렉터(30),
상기 하우징(11)의 하단에 설치되고 일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산기관(40)과 이 산기관(40) 상부에 설치되고 표면에 다수의 공기 분출구멍(43)이 분포 형성되어 공기를 하우징(11) 내부로 분산 투입하고 상기 소단위체(20)의 고정추(24) 끝단이 고정되는 산기부재(42)를 포함하여 기포를 중공사막(21)으로 분출하기 위한 산기부를 포함한다.
즉, 하우징(11)의 내부에 소 모듈(10) 개념인 소단위체(20)가 다수 적재되고 하우징(11)의 상하단에는 상기 각 소단위체(20)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콜렉터(30)와 산기부가 설치됨으로써 하나의 대형 모듈(10)을 이루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단위체(20)에 충진되는 중공사막(21) 다발이라 함은 별다른 어려움 없이 고정구(22)에 중공사막(21)을 균일한 분포로 고정시킬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소단위체(20)는 하우징(11) 내부에서 고정구(22)가 하우징(1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소단위체(20)의 고정구(22)는 하우징(11) 상단의 콜 렉터(30)와 연결되고 고정추(24)는 산기관(40)의 산기부재(42)과 연결 설치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의 하단 유입구(13)를 통해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된 오폐수는 중공사막(21)을 통해 처리되어 중공사막(21) 내부통로를 따라 콜렉터(30)로 모아져 배출 처리된다.
상기 콜렉터(30)는 상단에 모아진 처리수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31)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산기관(40)으로 유입된 공기는 산기관(40) 상부의 산기부재(42)에 형성된 분출구멍(43)을 통해 기포로 분출되어 하우징(11) 상부로 올라가고 미처리된 오폐수와 함께 하우징(11) 상부의 유출구(12)를 통해 배출 처리된다.
여기서 상기 소단위체(20)는 도 3에 잘 예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 의하면 소단위체(20)는 한 다발의 중공사막(21) 양단을 고정하고 있는 데, 중공사막(21) 다발의 상단을 고정지지하는 고정구(22)는 6각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지고 내부에 채워지는 중공사막(21)과는 접착제를 매개로 접착 고정된다.
상기 고정구(22)의 형태가 육각형을 이룸에 따라 하우징(11) 내에서 소단위체(20)를 연속적으로 적재할 때 고정구(22)와 고정구(22)가 서로 벌집 형태로 접하면서 적재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우징(11) 내에 중공사막(21)을 균일하게 분포시킬 수 있게 되며 중공사막(21)의 충진밀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육각형태의 고정구(22)를 갖는 소단위체(20)에 대해서 예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고정구(22)가 원형 또는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가능하며 이 모든 구조 또한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에 속한 다 할 것이다.
상기 소단위체(20)는 고정구(22)가 연속적으로 적재된 상태에서 하우징(11) 상단에 접착제(25)를 매개로 고정되는 데, 상기 고정구(22)와 고정구(22) 사이로 접착제(25)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구(22)는 내측 선단에 안쪽으로 단턱이 형성되어 외경이 줄어드는 접착부(23)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구(22)와 고정구(22) 사이로 도포된 접착제(25)는 상기 접착부(23)와 접착부(23) 사이의 공간으로 침투되어 접착부(23)와 접착부(23) 그리고 접착부(23)와 하우징(11)을 접착 고정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접착부(23)가 접착제(25)에 의해 상호 접착되면 상기 소단위체(20)에서 고정부(22)에 해당되는 부분을 하우징(11)과 함께 절단한다.
즉, 상기 고정구(22)의 외측 선단은 실질적으로 콜렉터(3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고정구(22)에 충진된 각 중공사막(21)의 내부통로가 막혀있지 않아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구(22)에 접착제(25)를 매개로 중공사막(21)을 고정시키고 상기와 같이 고정구(22)가 하우징(11) 내에서 적재되어 접착제(25)로 고정된 후 고정구(22) 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중공사막(21)의 내부통로가 개방된 상태로 하우징(11)에 소단위체(20)를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하우징(11)의 상단에 소단위체(20)가 고정되고 고정구(도 3의 22 참조)는 제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로, 고정구가 제거됨에 따라 육각형의 접착부(23)만이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각 접착부(23) 사이에는 접착제(25)가 도포 경화되어 소단위체(20)를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단위체(20)의 중공사막(21) 하단에 설치되는 고정추(24)는 원추형태로 외측 선단이 뾰족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내측 선단으로는 중공사막(21) 다발이 인입되어 접착제를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추(24)의 뾰족한 끝단은 산기관(40)의 산기부재(42)에 고정되는 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산기부를 살펴보면 하우징(11)의 하단에 설치되고 표면에는 일정 간격을 두고 분포되는 다수개의 분출구멍(43)이 형성된 산기부재(42)과, 상기 산기부재(42)과 연통되어 산기부재(42)에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40)을 포함한다.
상기 산기관(40)의 일측에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41)가 형성되어 에어펌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게 된다.
상기 산기부재(42)은 상기 산기관(40) 상부에 위치하여 산기관(40)으로 유입된 공기를 분출구멍(43)을 통해 하우징(11) 내부로 분출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산기부재(42)의 내측면에는 언급한 바와 같이 소단위체(20)의 고정추(24)가 고정설치되는 데, 이를 위해 수지 등으로 상기 산기부재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고정추(24)의 하단이 산기부재에 묻히도록 하여 산기부재(42)를 경화 형성하도록 한다.
즉, 도 2에서와 같이 중공사막(21) 다발 하단에 설치되는 각 고정추(24)는 산기부재(42)쪽으로 내려뜨려진 상태에서 그 뾰족한 끝단이 산기부재(42) 상단에 박힌 상태로 고정된다.
도 5는 상기 산기부재(42)에 소단위체의 고정추(24)가 균일한 분포로 고정되고 고정추 사이로 분출구멍(43)이 일정한 분포로 형성된 구조를 잘 예시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산기부재(42)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지 등을 경화시켜 형성하게 되는 데, 하우징(11) 하단에 수지를 상기 고정추(24)의 하단이 잠길 정도의 높이로 채우고, 산기부재에 분출구멍이 형성될 수 있도록 분출구멍형성용 별도의 핀(도시되지 않음)을 고정추 사이에 고른 분포로 배치하여 수지가 경화된 후 제거함으로써 분출구멍(43)이 형성되고 고정추(24)가 삽입 고정된 산기부재(42)가 하우징 하단에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고정추(24)는 그 뾰족한 끝단부가 산기부재(42)에 접함으로써 산기부재(42)와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산기부재(42)에 형성되는 분출구멍(43)의 형성 면적을 늘려 중공사막(21) 세정에 필요한 충분한 분출구멍(43)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 중공사막(21) 다발이 고정된 소단위체(20)는 상단에 위치하는 고정구(22)와 하단에 위치하는 고정추(24)를 매개로 대용량의 하우징(11) 내에 균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중공사막(21)의 하단이 고정되는 경우에도 중공사막(21) 세정을 위한 기포를 고르게 분산 투입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공사막(21) 다발은 양단에 고정구(22)와 고정추(24)를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소단위체(20)로 제조된다.
이렇게 제조된 소단위체(20)는 다수개가 하우징(11) 내에 길이방향으로 배치 되어 하우징(11)에 채워지게 되며, 소단위체(20)가 하우징(11) 내에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각 소단위체(20)의 고정구(22)는 이웃하는 소단위체(20)의 고정구(22)와 접하게 되어 하우징(11) 내에서 균일한 분포로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접착제(25)를 접착부(23)와 접착부(23) 사이 그리고 접착부(23)와 하우징(11) 사이에 주입하게 되면 접착제(25)는 접착부(23) 사이로 유입되어 경화됨으로써 중공사막(21)은 접착제(25)를 매개로 하우징(11) 상부에 상단이 고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소단위체(20)의 고정구(23)부분을 하우징(11)과 함께 절단 제거함으로써 하우징(11)에 소단위체(20)가 접착제(25)를 매개로 상단이 고정되면서 소단위체(20)의 각 중공사막(21)은 내경이 확보된 상태로 상부 콜렉터(30)에 연통된다.
이와 같이 중공사막(21)은 균일하게 배치된 소단위체(20)에 의해 하우징(11) 내에 균일한 분포로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중공사막(21)의 상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중공사막(21) 다발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추(24)의 끝단을 산기부재(42) 윗면에 고정시킴으로써 하우징(11) 내에 중공사막(21)을 설치할 수 있으며, 하우징(11)의 상하단에 콜렉터(30)와 산기관(40)을 부설함으로써 하나의 대형 중공사막 모듈(10)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중공사막 모듈(10)은 하우징(11)으로 하단에 형성된 유입구(13)를 통해 원수인 오폐수가 하우징(11) 내부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오폐수는 압력 차 에 따라 중공사막(21)을 통해 여과 처리되고, 처리수는 중공사막(21) 중앙과 연통된 콜렉터(30)로 모아져 배출구(31)를 통해 배출처리된다.
이러한 수처리 조작을 어느 정도 수행하면 하우징(11) 내의 오염농도가 점점 늘어나게 되고 중공사막(21)의 외벽에 오염물질이 점차 많이 들어 붙게 되어 중공사막(21)을 통과하는 투수속도가 점차 줄어들게 된다.
이때 중공사막(21) 세정작업을 실시하게 되면 백워싱(back washing) 세정 및 공기에 의한 진동세정, 경우에 따라 화학세정(chemical cleaning)을 통해 중공사막(21)의 외벽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진동세정을 살펴보면 에어펌프가 작동함에 따라 공기가 공기유입구(41)를 통해 산기관(40)으로 유입되고, 이렇게 유입된 공기는 산기부재(42)에 형성된 다수의 분출구멍(43)을 통해 하우징(11) 내부의 원수에 기포 형태로 배출된다.
이렇게 분출되는 기포는 중공사막(21)의 아래에서 위로 향해 올라가면서 중공사막(21)을 흔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중공사막(21)에 부착된 입자가 떨어져나가게 되어 스케일 형성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장치에 따라 상기 분출구멍(43)은 산기부재(42)에 균일하게 분포 배열되어 있는 상태로, 상기 분출구멍(43)을 통해 원수로 공급되는 공기는 산기부재(42) 전면에서 고르게 분출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1) 내부의 중공사막(21) 전체에 고르게 공기가 분출되어 고르게 세정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중공사막 모듈에 의하면, 대용량의 중공사막 모듈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조과정에서 중공사막을 균일한 분포로 모듈 내에 배열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중공사막의 충진율을 높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모듈의 단위면적당 처리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중공사막 전체에 균일하게 기포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중공사막의 오염을 줄일 수 있어 안정한 투수량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7)

  1. 중공사막 모듈에 있어서,
    압력차에 의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중공사막(21)이 다발의 형상으로 묶음 된 소단위체(20)와;
    원형 또는 다각형 중 하나의 단면을 이루고 내부에는 상기 소단위체(20)가 다수개 적재 배열되어 수처리가 이루어지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 내에서 상기 소단위체(20)의 각기 일단을 감싸며 고정하는 접착부(23)들이 접착제(25)를 통해 각기 고정된 상태에서 상단부 컷팅을 통해 상기 소단위체(20)를 고정 결합하는 고정구(22)와;
    상기 하우징(11)의 일단에 설치되고 상기 중공사막(21)의 내부통로와 연통되어 중공사막(21)을 거친 처리수가 모아지는 콜렉터(30)와;
    상기 하우징(11)의 타단에 설치되어 기포를 중공사막(21)으로 분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하우징(11) 하단에 배치되고 표면에 다수의 공기 분출구멍(43)이 분포 형성되는 산기부재(42)와, 이 산기부재(42)에 연결 설치되어 분출구멍(43)으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산기관(40)으로 이루어지는 산기부;
    상기 소단위체(20)의 자유단에 부착 고정되고 끝단으로 갈수록 끝이 뾰족한 원추형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산기부재(42)에 고정되는 고정추(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공사막 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40067808A 2004-08-27 2004-08-27 중공사막 모듈 KR100621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08A KR100621484B1 (ko) 2004-08-27 2004-08-27 중공사막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7808A KR100621484B1 (ko) 2004-08-27 2004-08-27 중공사막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45A KR20060019245A (ko) 2006-03-03
KR100621484B1 true KR100621484B1 (ko) 2006-09-14

Family

ID=37126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7808A KR100621484B1 (ko) 2004-08-27 2004-08-27 중공사막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14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5573B1 (ko) * 2006-06-22 2007-03-14 (주)필로스 분리막 모듈 및 분리막 모듈 제조방법
WO2021073349A1 (zh) * 2019-10-15 2021-04-22 海南立昇净水科技实业有限公司 外压式中空纤维膜组件、过滤膜组件及膜过滤模块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837A (ja) * 1993-06-02 1994-12-20 Ebara Infilco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
KR20020039383A (ko) * 2000-11-21 2002-05-27 장진호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US6790360B1 (en) 1999-11-18 2004-09-14 Zenon Environmental Inc. Immersed membrane element and module
KR20040097831A (ko) * 2003-05-13 2004-11-18 노수홍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KR20050078746A (ko) * 2004-02-02 2005-08-08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3837A (ja) * 1993-06-02 1994-12-20 Ebara Infilco Co Ltd 中空糸膜モジュール
US6790360B1 (en) 1999-11-18 2004-09-14 Zenon Environmental Inc. Immersed membrane element and module
KR20020039383A (ko) * 2000-11-21 2002-05-27 장진호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모듈
KR20040097831A (ko) * 2003-05-13 2004-11-18 노수홍 중공사막 모듈과 중공사막 모듈 제조방법
KR20050078746A (ko) * 2004-02-02 2005-08-08 주식회사 코오롱 침지형 중공사막 모듈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2003938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9245A (ko) 2006-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7651B2 (ja) 中空糸膜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
KR100693944B1 (ko) 수직한 중공사 멤브레인 다발 및 섬유 표면을 깨끗하게유지시키는 방법
KR100979435B1 (ko) 기질로부터 투과물을 빼내기 위한 장치를 이용하여 물을 처리하는 방법, 주위 압력에서 활성화된 슬러지로부터 여과된 투과물을 빼내는 방법, 및 여과된 투과물을 기질로부터 빼내는 방법
EP2226115B1 (en) A hollow fiber membrane module
JP2946072B2 (ja) 濾過方法
EP1825903B1 (en) Hollow fiber membrane cartridge
US8591738B2 (en) Membrane unit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CN1864824B (zh) 过滤装置
KR101364362B1 (ko) 여과장치
KR101532428B1 (ko) 중공사막 모듈 및 수처리 장치
KR101908704B1 (ko) 중공사 막 모듈
CN103442789A (zh) 过滤设备和用于该过滤设备的中空纤维膜模块
EP1640057B1 (en) Membrane cartridge, membrane separating device, and membrane separating method
KR100621484B1 (ko) 중공사막 모듈
JP2004344848A (ja) 膜分離方法および膜分離装置
CN101250003B (zh) 一种中空纤维膜组件
CN101254977B (zh) 一种中空纤维膜组件、膜生物反应器及水处理设备
KR101569529B1 (ko) 중공사막 모듈 및 이를 포함한 여과 시스템
JPH09220446A (ja) 外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
JP4269171B2 (ja) エアレーションフラッシング用外圧式中空糸膜モジュールのろ過方法
KR20120044594A (ko) 분리형 산기 프레임과 공기 챔버를 구비하는 산기 장치
KR200379550Y1 (ko) 침지형 평막 모듈
KR100340450B1 (ko) 중공사를 이용한 수처리용 분리막
KR102162074B1 (ko) 침지형 관형 여과막 모듈
KR20200076866A (ko) 침지식 분리막 모듈, 침지식 분리막 모듈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