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484B1 -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 Google Patents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484B1
KR100620484B1 KR1020040015257A KR20040015257A KR100620484B1 KR 100620484 B1 KR100620484 B1 KR 100620484B1 KR 1020040015257 A KR1020040015257 A KR 1020040015257A KR 20040015257 A KR20040015257 A KR 20040015257A KR 100620484 B1 KR100620484 B1 KR 100620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output means
output
original
origi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2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0079330A (en
Inventor
요시오까야스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9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3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4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60N2/5816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 B60N2/5825Seat coverings attachments thereof by hooks, staples, clips, snap fasten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간이한 구성에 의해 자연스러운 소리를 합성한다. 소리 합성부는 복수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을 갖는다.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은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신호 Sa를 생성하는 신호 발생기(41a)와, 이 신호 Sa에 대하여 진폭값을 승산하는 승산기(41b)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장치(10)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신호 Sa의 위상 p를 각 신호 발생기(41a)에 지시한다. 이 때,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서의 신호 발생기(41a)에는 위상 p로서 「0」을 지시하는 한편,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서의 신호 발생기(41a)에는 위상 p로서 「π」를 지시한다. A simple structure synthesizes natural sounds. The sound synthesizer has a plurality of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ncludes a signal generator 41a for generating a signal Sa whose level changes periodically, and a multiplier 41b for multiplying the amplitude value by the signal Sa. The control apparatus 10 instructs each signal generator 41a of the phase p of the signal Sa at the start of a pitch period. At this time, "0" is indicated to the signal generator 41a in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s the phase p, while the signal generator 41a in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s indicated. "Π" is indicated as the phase p.

원신호 출력 유닛, 제어 장치, 신호 발생기, 진폭값Source signal output unit, controller, signal generator, amplitude value

Description

소리 합성 장치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 합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동음 합성 장치에서의 소리 합성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 synthesizing unit in a homophonic synthesizing apparatus.

도 3은 각 출력 유닛의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3 is a timing chart showing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of each output unit.

도 4는 각 출력 유닛의 신호 발생기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4 is a timing chart showing the phase of a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of each output unit.

도 5는 합성음 신호의 파형 및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5 shows waveforms and spectrograms of synthesized sound signals;

도 6은 동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소리 합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embodiment.

도 7은 종래의 소리 합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도 8은 종래의 소리 합성 장치에 있어서 처리에 제공되는 신호의 파형을 도시하는 타이밍차트. Fig. 8 is a timing chart showing waveforms of signals provided to processing in the conventional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도 9는 종래의 합성음 신호의 파형 및 스펙트로그램을 도시하는 도면. 9 shows waveforms and spectrograms of a conventional synthesized sound signal.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소리 합성 장치100: sound synthesizer

10 : 제어 장치(지시 수단)10: control device (instruction means)

20 : 기억 장치20: storage device

30 : 입력 장치30: input device

40 : 소리 합성부40: sound synthesis unit

50 : 스피커50: speaker

41(41-1, 41-2, 41-3, 41-4) : 원신호 출력 유닛(출력 수단)41 (41-1, 41-2, 41-3, 41-4): original signal output unit (output means)

41a : 신호 발생기(신호 발생 수단)41a: signal generator (signal generating means)

41b : 승산기41b: Multiplier

41c, 43 : 엔벨로프 처리부41c, 43: envelope processing unit

42 : 가산기(합성음 생성 수단)42: adder (synthetic sound generating means)

43 : 엔벨로프 처리부43: envelope processing unit

Sa : 주기 신호Sa: periodic signal

Sb : 원신호Sb: original signal

Sd : 합성음 신호 Sd: synthesized sound signal

본 발명은, 원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신호를, 복수 종류의 신호를 가산하는 것에 의해 생성하는 소리 합성 장치, 및 컴퓨터를 이 소리 합성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기억 매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for generating a signal representing a desired sound by adding a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causing a computer to function as this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인간의 소리나 악기의 연주음과 같은 원하는 소리를 합성하는 기술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왔다. CSM(Composite Sinusoidal Modeling)에 의한 소리 합성 방법(이하 「CSM 소리 합성 방법」이라고 함)은, 이 종류의 기술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방법의 하나이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1 참조). 이 방법에 따르면, 원하는 소리를 나타내는 신호(이하 「합성음 신호」라고 함)의 파고값 yt는 이하의 수학식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각각 각주파수 및 진폭이 다른 복수개의 정현파의 합으로서 표현된다. The technique of synthesizing desired sounds, such as a human sound and the performance sound of a musical instrument, has conventionally been proposed. The sound synthesis method by CSM (Composite Sinusoidal Modeli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CSM sound synthesis method") is one of the methods widely used in this kind of technique (for example, refer patent document 1).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crest value yt of a signal representing a desired s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ynthetic sound signal") is expressed as a sum of a plurality of sinusoids having different angular frequencies and amplitudes, respectively, as expressed by Equation 1 below. .

Figure 112004009452132-pat00001
Figure 112004009452132-pat00001

또, 상기 수학식 1에서, 「ai(i는 1≤i≤n을 만족하는 정수)」 및 「ωi」는 각각 제i차 정현파의 진폭 및 각주파수이다. 또한, 「t」는 시각을 나타내는 정수이고, 「n」은 가산해야하는 정현파의 개수(소위 CSM 차수)를 나타내고 있다. In formula (1), "ai (i is an integer satisfying 1≤i≤n)" and "ωi" are the amplitude and angular frequency of the ith sine wave, respectively. In addition, "t" is an integer indicating time, and "n" has shown the number of sine waves which should be added (the so-called CSM order).

도 7은 이 CSM음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소리를 합성하는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소리 합성 장치는 소리 합성부(70)와 제어 장치(80)를 갖는다. 이 중 소리 합성부(70)는 각각이 정현파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n개(여기서는 n=4로 함)의 정현파 출력 유닛(71)(71-1, 71-2, 71-3 및 71-4)과, 각 정현파 출력 유닛(71)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가산하여 출력하는 가산기(72)와, 가산기(72)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특정한 엔벨로프를 승산한 후에 합성음 신호 S로서 출력하는 엔벨로프 처리부(73)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정현파 출력 유닛(71)은 지시된 각주파수의 정현파를 발생하는 정현파 발생기(71a)와, 이 정현파에 대하여 지시된 진폭값을 승산하는 승산기(71b)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도 7에 도시하는 제어 장치(80)는 합성해야하는 소리의 내용에 대응한 각주파수 및 진폭값을 각 정현파 출력 유닛(71)의 정현파 발생기(71a)와 승산기(71b)에 각각 지시함과 함께, 합성음의 음고(피치)에 대응한 시간 길이(이하 「피치 주기」라고 함) T를 엔벨로프 처리부(73)에 지시한다. Fig.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synthesizing sounds using this CSM sound synthesizing method. As shown in FIG. 7, the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has a sound synthesizing unit 70 and a control unit 80. Among these, the sound synthesizing unit 70 includes n sinusoidal wave output units 71 (71-1, 71-2, 71-3, and 71-4, each of which generates and outputs a sinusoidal wave). ), An adder 72 that adds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from each sinusoidal wave output unit 71, and an envelope processor 73 that multiplies a specific envelope by a signal output from the adder 72 and then outputs it as a synthesized sound signal S. ). Each sinusoidal wave output unit 71 includes a sinusoidal wave generator 71a for generating a sinusoidal wave of the indicated angular frequency and a multiplier 71b for multiplying the amplitude value indicated for the sinusoidal wave.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device 80 shown in FIG. 7 instructs the sine wave generator 71a and the multiplier 71b of each sinusoidal wave output unit 71 of the angular frequency and amplitude values corresponding to the contents of the sound to be synthesized. At the same time, the envelope processing unit 73 instructs the time length 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itch period") T corresponding to the pitch (pitch) of the synthesized sound.

이 구성하에서, 4개의 정현파 발생기(71a)는 도 8의 (a) 내지 도 8의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치 주기 T의 개시 시점의 도래를 계기로 일제히 정현파의 발생을 개시한다. 즉,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각 정현파의 위상은, 모든 정현파 발생기(71a)에 대하여 「0」으로 된다. 그리고, 이들 정현파에 진폭값을 승산한 신호(이하 「원신호」라고 함)를 가산한 것(도 8의 (e))과, 피치 주기 T의 시간 길이를 갖는 엔벨로프(도 8의 (f))가 엔벨로프 처리부(73)에 의해 승산됨으로써, 도 8의 (g)에 파형을 나타내는 합성음 신호 S가 얻어진다. 도 9의 (a) 및 도 9의 (b)는 이 합성음 신호 S의 파형 및 스펙트로그램을 각각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9의 (a)에서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9의 (b)에서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주파수를 나타내며, 색의 명암이 신호의 강도의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Under this configuration, the four sinusoidal wave generators 71a start the generation of the sinusoidal waves at the start of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T as shown in FIGS. 8A to 8D. That is, the phase of each sine wave at the start of a pitch period becomes "0" with respect to all the sine wave generators 71a. Then, a signal obtained by multiplying these sinusoids by an amplitud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riginal signal") (Fig. 8 (e)) and an envelope having a time length of pitch period T (Fig. 8 (f)) ) Is multiplied by the envelope processing unit 73, whereby a synthesized sound signal S showing a waveform in Fig. 8G is obtained.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waveforms and spectrograms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 respectively. That is, in FIG. 9A,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signal strength. In Fig. 9B,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color represents the distribution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특허 문헌1><Patent Document 1>

일본 특개평11-231875호 공보(특히 제3페이지 및 도 1) Japanese Patent Laid-Open No. 11-231875 (especially page 3 and Fig. 1)

그러나, 도 7에 도시하는 구성하에서 얻어지는 합성음 신호 S는,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의 강도가 레벨 「0」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여기서는 「+」측)으로 편중되게 되고, 또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치 주기 T의 개시 시점의 근방에서 주파수가 높은 노이즈 성분이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발생하는 소리는, 노이즈를 포함한 귀에 거슬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신호의 강도의 편중이나 노이즈 성분을 억제하기 위해, 합성음 신호 S에 대하여 각종 필터 처리를 실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합성음 신호 S를 얻기 위한 구성 외에 필터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발생하여, 처리량의 증대나 구성의 번잡화를 초래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However,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 obtained under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is biased toward one side (here "+" side) on the basis of the level of signal "0"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s shown in Fig. 9B, a high-frequency noise component is prominent in the vicinity of the starting point of the pitch period T. And the sound generated based on such a signal has a problem that it becomes annoying to an ear including noise.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onceivable to perform various filter processes on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 in order to suppress the bias of the signal strength and the noise component. Howev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install a filter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for obtaining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 which may cause a problem of increasing throughput and complicated configuration.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간이한 구성에 의해 자연스러운 소리를 합성할 수 있는 소리 합성 장치, 및 컴퓨터를 악음 합성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capable of synthesizing natural sounds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a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functioning a computer as a musical synthesizing apparatus. Doing.

상술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구성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음 신호 S는, 그 신호의 강도가 레벨 「0」을 기준으로 하여 한쪽으로 편중되게 되고, 게다가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 근방에 노이즈를 포함하게 된다. 본원 발명자는, 합성음 신호 S가 이러한 성질을 갖는 신호가 되는 원인 중 하나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모든 원신호가 일제히 증가를 개시하는 것에 있다는 지견을 얻는데 이르렀다. As described above,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 obtained by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7 is biased to one side based on the level of the signal "0", and further includes noise near the starting point of the pitch period. do.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application have found that one of the causes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 being a signal having such a property is that all the original signals start to increase simultaneously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즉, 모든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 일제히 증가를 개시하기 때문 에, 합성음 신호의 파형은 각 피치 주기의 경계 시점에서 급격하고도 불연속적으로 변화한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9의 (a)를 시간축 방향으로 확대한 도 9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음 신호의 파형은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 불연속이 된다. 이 불연속의 결과로서, 합성음 신호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 노이즈를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since all the original signals start increasing simultaneously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the waveform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changes rapidly and discontinuously at the boundary of each pitch period.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c) in which Fig. 9A is enlarged in the time axis direction, the waveform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becomes discontinuous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s a result of this discontinuity,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contains nois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또한, 엔벨로프의 파형은 일반적으로 모든 원신호가 일제히 증가하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있어서 최대로 되지만, 그 후에는 감쇠해 간다. 이 때문에, 모든 원신호를 가산한 신호와 엔벨로프를 승산한 합성음 신호에서는, 레벨「0」을 기준으로 하여 「+」로 되는 부분의 적분값이, 「-」로 되는 부분의 적분값과 비교하여 커지게 된다. 이 적분값의 불균일에 기원하여, 합성음 신호의 신호의 강도는 한쪽으로 편중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waveform of the envelope is generally maximized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n which all the original signals increase simultaneously, but then attenuates. For this reason, in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multiplied by the envelope and the signal obtained by adding all the original signals, the integral value of the portion that becomes "+" based on the level "0" is compared with the integral value of the portion that becomes "-". It becomes bigger. Originating from the unevenness of this integrated value, the signal strength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is biased to one side.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원신호를 생성해야하는 합성음의 음고에 대응한 시간 길이인 피치 주기마다 출력하는 복수개의 출력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를 가산하는 것에 의해, 합성음을 나타내는 합성음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음 생성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각각에 해당 출력 수단이 출력해야하는 원신호를 지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중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레벨이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다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레벨이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도록,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하는 지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this knowledg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output means for outputting every pitch period that is a tim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synthesized sound that should generate an original signal whose level varies periodically, and an output from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Synthesized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ynthesized sound signal representing a synthesized sound by adding the original signal, and means for indicating the original signal to be output by the output mean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wherein a part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is provided. Instructing each of the output means such that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means of the signal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while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ther output means de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instruction means for giving.

이 구성하에서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의 원신호의 레벨의 증감이 1 이상의 출력 수단마다 상이하도록, 지시 수단이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원신호의 형태를 지시한다. 즉, 모든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일제히 증가를 개시하는 사태가 회피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합성음 신호에 대한 필터 처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신호의 강도의 편중이나 피치 주기마다의 노이즈를 억제하여 자연스러운 소리를 얻을 수 있다. Under this configuration, the indicating means instructs each output means of the form of the original signal so that the increase or decrease of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different for each of the one or more output means. That is, the situation where all the original signals start increasing simultaneously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avoided.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natural sound can be obtained by suppressing the bias of the signal intensity and the noise for every pitch period, without the need for filter processing for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or the like.

본 발명에서,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와 다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에 대하여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의 레벨의 증감을 상이하게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와 다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에서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위상이 상이하도록, 지시 수단이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원신호의 위상을 지시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각 출력 수단이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신호에 진폭값을 승산하며,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원신호로서 출력하는 구성하에서는, 지시 수단이 일부의 출력 수단과 다른 출력 수단에 대하여, 해당 각 출력 수단에서의 승산에 제공되는 진폭값으로서, 부호가 상이한 진폭값을 각각 지시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된다. 혹은, 각 출력 수단이 상기 피치 주기에 상당하는 시간 길이를 가짐과 함께 원신호의 진폭값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엔벨로프를 진폭값의 승산에 의해 얻어진 신호에 반영시키고,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원신호로서 출력하는 구성하에서는, 지시 수단이 일부 출력 수단과 다른 출력 수단에 대하여, 각각의 나타내는 진폭값의 부호가 상이한 엔벨로프를 각각 지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configuration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as a configuration for making the increase and decrease of the level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some output means and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another output means. have. That is, the instructing means instructs each output means to instruct the phase of the original signal so that the phas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some output means and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ther output means. It can be adopted. In addition, under the configuration in which each output means multiplies an amplitude value by a signal whose level changes periodically, and outputs the signal obtained thereby as an original signal, the indicating means outputs the output to the output means different from some of the output means. As an amplitude value provided to the multiplication in a means, you may employ | adopt the structure which respectively instructs the amplitude value from which a code differs. Alternatively, each output means has a tim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itch period and an envelope representing a temporal change in the amplitude value of the original signal is reflected in the signal obtained by multiplying the amplitude value, and the signal obtained thereby is reflected in the original signal. Under the configuration of outputting as a configuration, the indicating means may be configured to indicate envelopes having different signs of the amplitude values respectively indicated by the output means and the other output means.

또한, 복수개의 출력 수단이, 각각 각주파수가 상이한 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면, 복수개의 출력 수단 중 출력하는 원신호의 각주파수가 작은 것부터 카운트하여 홀수번째에 상당하는 1 이상의 출력 수단을 상기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 하고, 짝수번째에 상당하는 1 이상의 출력 수단을 상기 다른 출력 수단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respectively outputs original signals having different angular frequencies, one or mor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the odd number are counted starting from the smaller one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It is preferable to set it as an output means, and to use the 1st or mor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even number as said other output means.

또한, 각 출력 수단이 각각 파형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함과 함께, 이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원신호를 출력하는 구성하에서는, 지시 수단이,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출력 수단의 신호 발생 수단이 생성해야하는 신호로서 지시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에 기초하여 원신호가 출력되기 때문에, 이에 의해 얻어지는 합성음의 음질(음색)을 다양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구성에서, 지시 수단이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해당 출력 수단의 신호 발생 수단이 생성해야하는 신호로서 지시하는 구성으로 하면, 이용자가 원하는 합성음을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each output means includes signal generat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kinds of signals having different waveforms, and in addition, the indicating means under the configuration of outputting the original signal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means.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instructs each output means of any one of the said several types of signal as a signal which the signal generation means of the said output means should generate | occur | produce.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original signal is output based on any one of a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the sound quality (tone) of the synthesized sound obtained thereby can be various. In this configuration, when the indicating means instructs each output means of a signal selected by the user from among a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as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means of the output means, the user can obtain the desired synthesized sound. have.

또, 본 발명은 컴퓨터를 본 발명에 따른 소리 합성 장치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으로서도 특정된다. 이 프로그램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컴퓨터에 제공되는 것이어도 되며, 광 디스크로 대표되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형태로 제공되어 컴퓨터에 인스톨되는 것이어도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specified as a program for making a computer function as the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is program may be provided to a computer via a network, or may be provided in a form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represented by an optical disk and installed in the computer.

<발명의 실시예> Embodiment of the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Example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A: 실시예의 구성> <A: Configuration of Exampl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리 합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소리 합성 장치(100)는 제어 장치(10)와, 기억 장치(20)와, 입력 장치(30)와, 소리 합성부(40)와, 스피커(50)를 갖는다. 이 중 기억 장치(20), 입력 장치(30) 및 소리 합성부(40)는 각각 버스(11)를 개재하여 제어 장치(1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스피커(50)는 소리 합성부(40)에 접속되어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100 includes a control device 10, a storage device 20, an input device 30, a sound synthesizing unit 40, and a speaker 50. Have Among them, the memory device 20, the input device 30, and the sound synthesizing unit 40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device 10 via the bus 11,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peaker 50 is connected to the sound synthesizer 40.

제어 장치(10)는 소리 합성 장치(100)의 전체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어 장치(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각 부의 제어나 각종 연산 처리를 행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이 CPU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ROM(Read Only Memory)과, CPU에 의해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을 구비하고 있다. The control device 10 is a device for controlling the entire sound synthesizing device 100. Specifically, the control device 10 includes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performs control and various arithmetic operations of each unit by executing a program, a ROM (Read Only Memory) in which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is stored; And a random access memory (RAM) used by the CPU as a work area.

기억 장치(20)는 제어 장치(1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그 실행 시에 사용되는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면 하드디스크 장치나 광 디스크 장치와 같은 각종 장치가 기억 장치(20)로서 채용될 수 있다. 이 기억 장치(20)에는 소리 합성부(40)에 소리의 합성을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이하 「소리 합성 프로그램」이라고 함)이 기억되어 있다. 제어 장치(10)는, 이 소리 합성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소리의 합성에 관련된 각종 지시를 소리 합성부(40)에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The storage device 20 is a means for storing a program executed by the control device 10 and data used at the time of execution thereof. For example, various devices such as a hard disk device or an optical disk device can be employed as the storage device 20. The memory 20 stores a progra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ound synthesis program") for causing the sound synthesis unit 40 to synthesize sounds. The control device 10 functions as a means for supplying the sound synthesizing section 40 with various instructions related to the synthesis of sounds by executing this sound synthesizing program.

입력 장치(30)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나, 문자 또는 기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보드 등을 구비하며, 이용자에 의한 조작에 대응한 신호를 제어 장치(10)에 출력한다. 이용자는 이 입력 장치(30)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예를 들면 합성해야하는 소리의 음고(피치)나 소리 합성에 제공해야하는 신호의 파형 등을 적당히 선택할 수 있다. The input device 30 includes a pointing device such as a mouse, a keyboard for inputting characters or symbols, etc., and outputs a signal corresponding to an operation by a user to the control device 10. By operating the input device 30, the user can appropriately select, for example, pitch (pitch) of sounds to be synthesized, waveforms of signals to be provided for sound synthesis, and the like.

소리 합성부(40)는, 제어 장치(10)로부터 부여된 지시에 대응하여, 복수개의 원신호로부터 합성음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수단이다. 스피커(50)는, 소리 합성부(40)로부터 출력된 합성음 신호에 대응한 소리를 출력한다. 또, 여기서는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스피커(50)를 예시했지만, 이것에 대신하여, 이용자의 귀에 장착되는 이어폰이나 헤드폰을 설치해도 된다. The sound synthesizing unit 40 is a mean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a synthesized sound signal from a plurality of original signals in response to an instruction given from the control device 10. The speaker 50 outputs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synthesis unit 40. In addition, although the speaker 50 was illustrated as an apparatus for outputting sound here, you may install the earphone and headphones attached to a user's ear instead.

도 2는 소리 합성부(4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소리 합성부(40)는 복수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41-1, 41-2, 41-3 및 41-4)과 가산기(42)와 엔벨로프 처리부(43)를 갖는다. 원신호 출력 유닛(41)은 CSM음 합성 방법에 있어서 가산의 대상으로 되는 신호의 수(즉 CSM 차수 n)에 대응하는 수만큼 설치되어 있다. 단,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이 설치된 경우를 상정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을 특별히 구별하여 표기하는 경우에는 변수 i를 이용하여 「원신호 출력 유닛(41-i)」으로 표기한다.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pecific configuration of the sound synthesizing section 40. As shown in Fig. 2, the sound synthesizer 40 includes a plurality of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41-1, 41-2, 41-3, and 41-4), an adder 42, and an envelope processing unit. Has 43. In the CSM sound synthesis method,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s provided by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signals to be added (that is, the CSM order n). In the present embodiment, however, it is assumed that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re provided. In addition, below, when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s distinguished and described specifically, it will be described as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i" using the variable i.

이들 원신호 출력 유닛(41)은 각각 각주파수나 진폭값이 상이한 원신호 Sb를 생성하여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은 신호 발생기(41a)와 승산기(41b)를 갖는다. 이 중 신호 발생기(41a)는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동하는 신호(이하「 주기 신호」라고 함) Sa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신호 발생기(41a)는 정현파, 삼각파 및 구형파 등, 각각 파형의 형태가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주기 신호 Sa로서 선택적으로 생성하는 기능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신호 발생기(41a)는 각 종류의 신호에서의 1 주기분의 파형을 나타내는 파형 데이터가 미리 기억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파형 데이터가 나타내는 파형을 시계열적으로 연속시키는 것에 의해 특정한 파형을 갖는 신호를 생성하는 것이다. 한편, 승산기(41b)는 이 신호 발생기(41a)로부터 출력된 주기 신호 Sa에 진폭값을 승산한 후에 원신호 Sb로서 출력한다. These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re means for generating and outputting the original signal Sb having different angular frequencies and amplitude values, respectively.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has a signal generator 41a and a multiplier 41b. Among these, the signal generator 41a generates and outputs a signal Sa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ycle signal") whose level varies periodically. The signal generator 41a in this embodiment has a function of selectively generating any one of a plurality of kinds of signals having different waveform shapes, such as sinusoidal wave, triangular wave, and square wave, as the periodic signal Sa. Specifically, the signal generator 41a includes a memory in which waveform data indicating waveforms for one cycle of each type of signal is stored in advance. The signal having a specific waveform is generated by successively continually sequencing the waveform indicated by any one waveform data. On the other hand, the multiplier 41b multiplies the periodic signal Sa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41a by an amplitude value and outputs the original signal Sb.

가산기(42)는,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 Sb를 가산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 Sc를 출력한다. 엔벨로프 처리부(43)는 가산기(42)로부터 출력된 신호 Sc에서의 진폭값의 엔벨로프를 변경하기 위한 수단이다. 즉, 엔벨로프 처리부(43)는 진폭값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엔벨로프를 생성하는 엔벨로프 제너레이터(43a)를 구비하고, 이에 의해 생성된 엔벨로프를 가산기(42)로부터 출력된 신호 Sc에 대하여 승산한 것을 합성음 신호 Sd로서 출력한다. The adder 42 adds the original signals Sb output from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nd outputs the signal Sc thus obtained. The envelope processor 43 is a means for changing the envelope of the amplitude value in the signal Sc output from the adder 42. That is, the envelope processor 43 includes an envelope generator 43a for generating an envelope indicating a temporal change in the amplitude value, and multiplies the envelope generated thereby by the signal Sc output from the adder 42 to synthesize the sound. Output as signal Sd.

<B : 실시예의 동작> <B: Operation of Example>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30)에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지면, 제어 장치(10)는 기억 장치(20)에 기억된 소리 합성 프로그램을 RAM에 판독해 둔 후에 이것을 순차적으로 실행한다. 이하, 이 소리 합성 프로그램의 실행에 수반하는 소리 합성 동작을 설명한다.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performed on the input device 30 by the user, the control device 10 reads out the sound synthesis program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 into the RAM and then executes it sequentially. The sound synthesis operation accompanying execution of this sound synthesis program will be described below.

이용자는, 소리 합성이 개시되기 전에 입력 장치(30)에 소정의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 각 신호 발생기(41a)가 발생해야하는 주기 신호 Sa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조작을 검지하면, 제어 장치(10)는 선택된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데이터(이하 「파형 선택 데이터」라고 함) Ds를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신호 발생기(41a)에 출력한다. 한편, 각 신호 발생기(41a)는 이 파형 선택 데이터 Ds에 의해 해당 신호 발생기(41a)가 생성해야하는 신호를 특정한다. 또한, 이용자는 소리 합성이 행해지고 있는 임의의 시점에서, 신호 발생기(41a)로부터 출력되는 주기 신호 Sa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이 조작이 이루어질 때마다, 선택된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는 파형 선택 데이터 Ds가 제어 장치(10)로부터 각 신호 발생기(41a)에 출력되어, 이들 신호 발생기(41a)로부터 출력해야하는 주기 신호 Sa의 종류가 특정되게 된다. The user can select the kind of periodic signal Sa which each signal generator 41a should generate | occur | produce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 prescribed operation to the input device 30 before sound synthesis starts. Upon detecting this operation, the control device 10 outputs da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veform selection data") Ds indicating the type of the selected signal to the signal generator 41a of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On the other hand, each signal generator 41a specifies the signal which the signal generator 41a should generate | occur | produce by this waveform selection data Ds. Further, the user can select the type of the periodic signal Sa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41a at any point in time where sound synthesis is performed. Each time this operation is made, waveform selection data Ds indicating the type of the selected signal is output from the control device 10 to the respective signal generators 41a, and the type of the periodic signal Sa that should be output from these signal generators 41a is specified. Will be.

한편, 이용자에 의해 입력 장치(30)에 소정의 조작이 이루어져 소리 합성의 개시 지시를 부여받으면, 제어 장치(10)는 각 신호 발생기(41a)에 신호 발생의 개시 지시를 행한다. 또한, 제어 장치(10)는 미리 정해진 시간 길이(예를 들면 5㎳ 내지 30㎳ 정도)를 갖는 기간마다 합성해야하는 소리의 내용에 대응한 프레임 파라미터를 산정하여 소리 합성부(40)에 출력한다. 이 프레임 파라미터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주파수 ωi(ω1, ω2, ω3 및 ω4), 초기 위상 pi(p1, p2, p3 및 p4), 진폭값 ai(a1, a2, a3 및 a4), 및 피치 주기 T를 포함하고 있다. 이 중 피치 주기 T는 합성해야하는 소리의 음고에 대응한 시간 길이로서, 엔벨로프 처리부(43)에 공급된다. 또한, 각주파수 ωi 및 초기 위상 pi는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신호 발생기(41a)에 공급된다. 즉, 원신호 출력 유닛(41-1)의 신호 발생기(41a)에는 각주파수 ω1 및 초기 위상 p1이 지시되고, 원신호 출력 유닛(41-2)의 신호 발생기(41a)에는 각주파수 ω2 및 초기 위상 p2가 지시되는 식이다. 각주파수 ωi는, 원신호 출력 유닛(41-i)의 신호 발생기(41a)가 출력해야하는 주기 신호 Sa의 각 주파수를 나타내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원신호 출력 유닛(41-1)의 신호 발생기(41a)에 공급되는 각주파수 ω1이 최소이고, ω2, ω3, ω4로 이어짐에 따라 큰 값으로 되도록 한다. 한편, 초기 위상 pi는 원신호 출력 유닛(41-i)의 신호 발생기(41a)가 출력해야하는 주기 신호 Sa 중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진폭값 ai는 승산기(41b)가 신호 발생기(41a)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승산해야하는 진폭값으로서,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승산기(41b)에 공급된다. 예를 들면, 원신호 출력 유닛(41-1)의 승산기(41b)에는 진폭값 a1이 지시되고, 원신호 출력 유닛(41-2)의 승산기(41b)에는 진폭값 a2가 지시되는 식이다. On the other hand, when a predetermined operation is made by the user to the input device 30 to give an instruction to start sound synthesis, the control device 10 instructs each signal generator 41a to start signal generation. In addition, the control device 10 calculates and outputs a frame parameter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sound to be synthesized for each period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of time (for example, about 5 ms to about 30 ms) and outputs it to the sound synthesis section 40. As shown in Fig. 2, the frame parameters include the angular frequencies ω i (ω 1, ω 2, ω 3 and ω 4), initial phase pi (p 1, p 2, p 3 and p 4), and amplitude values a i (a 1, a 2, a 3 and a 4). , And pitch period T. The pitch period T is a tim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pitch of the sound to be synthesized, and is supplied to the envelope processor 43. In addition, the angular frequency ω i and the initial phase pi are supplied to the signal generator 41a of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That is, the angular frequency ω1 and the initial phase p1 are dir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41a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1, and the angular frequency ω2 and the initial phase are directed to the signal generator 41a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2. The phase p2 is indicated. The angular frequency ω i represents each frequency of the periodic signal Sa that the signal generator 41a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i should output.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ngular frequency ω1 supplied to the signal generator 41a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1 is minimum, and is set to a large value as it leads to ω2, ω3, and ω4. On the other hand, the initial phase pi represents the phas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mong the periodic signals Sa that the signal generator 41a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i should output. The amplitude value ai is an amplitude value that the multiplier 41b should multiply th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generator 41a, and is supplied to the multiplier 41b of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For example, an amplitude value a1 is indicated to the multiplier 41b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1, and an amplitude value a2 is indicated to the multiplier 41b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2.

소리 합성부(40)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이 도래할 때마다, 프레임 파라미터의 값을 합성음에 반영시킨다. 여기서, 도 3의 (a)에서는, 프레임 파라미터가 공급되는 타이밍이 하향의 화살표로 도시되어 있다. 피치 주기 T의 개시 시점이 도래하면, 소리 합성부(40)는 그 직전에 공급된 프레임 파라미터를 합성음에 반영 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도 3의 (a)에 도시하는 타이밍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프레임 파라미터 중 「0」가 표시된 타이밍에서 공급된 프레임 파라미터만이 합성음에 영향을 주게 된다. 또, 도 3의 (a)에서는, 프레임 파라미터가 공급되는 시간 간격이 피치 주기 T의 시간 길이보다도 짧은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단, 이 프레임 파라미터가 공급되는 시간 간격은, 합성해야하는 소리의 내용에 대응하여 미리 정해지는 시간 길이로서, 피치 주기 T보다도 긴 시간 길이로 되는 경우도 있다. The sound synthesizer 40 reflects the value of the frame parameter in the synthesized sound each time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rrives. Here, in FIG. 3A, the timing at which the frame parameter is supplied is shown by a downward arrow. When the start time of the pitch period T arrives, the sound synthesizing section 40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frame parameter supplied immediately before the synthesized sound. That is, only the frame parameters supplied at the timing indicated by "0" among the frame parameters sequentially supplied at the timing shown in Fig. 3A affect the synthesized sound. 3A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time interval at which the frame parameter is supplied is shorter than the time length of the pitch period T. As shown in FIG. However, the time interval to which this frame parameter is supplied is a time length predetermined corresponding to the content of the sound to be synthesize | combined, and may become a time length longer than pitch period T.

한편, 제어 장치(10)에 의한 프레임 파라미터의 출력과 병행하여,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은 프레임 파라미터에 대응한 원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즉,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신호 발생기(41a)는, 파형 선택 데이터 Ds에 의해 지정된 종류의 신호로서, 프레임 파라미터로서 지시된 각주파수 ωi를 갖는 주기 신호 Sa를 출력한다. 이 주기 신호 Sa의 출력 동작은 피치 주기 T마다 행해진다. 즉, 각 신호 발생기(41a)는 피치 주기 T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주기 신호 Sa의 출력을 개시한다. 또한, 각 신호 발생기(41a)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주기 신호 Sa의 위상을 프레임 파라미터로서 지시된 초기 위상 pi로 설정한다. 각 신호 발생기(41a)로부터 출력된 주기 신호 Sa는 승산기(41b)에서의 진폭값 ai의 승산을 거친 후에 원신호 Sb로서 출력된다. On the other hand, in parallel with the output of the frame parameter by the control apparatus 10,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generates and outputs an original signal corresponding to the frame parameter. That is, the signal generator 41a of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outputs the periodic signal Sa having the angular frequency ω i indicated as the frame parameter as a signal of the kind specified by the waveform selection data Ds. The output operation of this periodic signal Sa is performed every pitch period T. FIG. That is, each signal generator 41a starts outputting the periodic signal Sa from the starting point of the pitch period T. Further, each signal generator 41a sets the phase of the periodic signal Sa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to the initial phase pi indicated as the frame parameter. The periodic signal Sa output from each signal generator 41a is multiplied by the amplitude value ai in the multiplier 41b and then output as the original signal Sb.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중 지시되는 각주파수 ωi가 작은 것부터 카운트하여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1 및 41-3)(이하, 단순히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이라고 함)에 지시되는 초기 위상 p1 및 p3의 값은「0」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중 각주 파수 ωi가 작은 것부터 카운트하여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2 및 41-4)(이하, 단순히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이라고 함)에 지시되는 초기 위상 p2 및 p4는 「π」로 설정되어 있다. 여기서, 도 4는 각 원신호 출력 유닛(41)에서의 주기 신호 Sa의 위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타이밍차트이다. 도 4에서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각 주기 신호 Sa의 위상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서의 주기 신호 Sa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이 도래할 때마다 그 위상이「0」으로 갱신되는 한편,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서의 주기 신호 Sb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이 도래할 때마다 그 위상이 「π」로 갱신된다. 이 결과,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 Sb의 레벨은 각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 Sb의 레벨은 각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게 된다(도 3 참조).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dd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1 and 41-3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odd circles" are counted starting from the smallest of the angular frequencies? I indicated among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The initial phases p1 and p3 instructed by the &quot; signal output unit 41 &quot; are set to &quot; 0 &quot;. In contrast,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2 and 41-4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are counted starting from the smallest frequency ω i of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41) ", the initial phases p2 and p4 are set to" (pi) ". 4 is a timing chart showing a change in phase of the periodic signal Sa in each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n FIG. 4,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the phase of each periodic signal Sa.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periodic signal Sa in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has its phase updated to &quot; 0 &quot; The phase signal Sb in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n is updated at a phase of &quot; π &quot; each time the start point of the pitch period arrives. As a result,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Sb output from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each pitch period, while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Sb output from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s increased. The level de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each pitch period (see Figure 3).

한편,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 Sb는 가산기(42)에 의해 가산된 후에 신호 Sc로서 엔벨로프 처리부(43)에 공급된다. 엔벨로프 처리부(43)는 엔벨로프 제너레이터(43a)에 의해 생성된 엔벨로프를 신호 Sc에 승산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합성음 신호 Sd로서 출력한다. 여기서, 엔벨로프 제너레이터(43a)는 제어 장치(10)로부터 프레임 파라미터로서 지시된 피치 주기 T와 동일한 시간 길이를 갖는 엔벨로프를 생성한다. 그리고, 스피커(50)는 엔벨로프 처리부(43)로부터 출력된 합성음 신호 Sd에 기초하여 합성음을 출력한다. On the other hand, the original signal Sb output from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is added by the adder 42 and then supplied to the envelope processing unit 43 as a signal Sc. The envelope processor 43 multiplies the envelope generated by the envelope generator 43a by the signal Sc, and outputs the signal obtained as a synthesized sound signal Sd. Here, the envelope generator 43a generates an envelope having a time length equal to the pitch period T instruc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 as a frame parameter. Then, the speaker 50 outputs the synthesized sound based on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d output from the envelope processing unit 43.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중 일부(원신호 출력 유닛(41-1 및 41-3))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 Sb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다른 원신호(원신호 출력 유닛(41-2 및 41-4)으로부터의 원신호)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즉, 모든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일제히 증가(또는 감소)하는 사태가 회피되는 것이다. 이 결과,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한 신호의 강도의 진폭값의 편중이나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노이즈를 억제하여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얻을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Thus, in this embodiment, the original signal Sb output from some of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1 and 41-3)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The other original signals (the original signals from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2 and 41-4) are to be decreased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That is, the situation where all original signals increase (or decrease) simultaneously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avoided. As a resul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natural synthesized sound can be obtained by suppressing the nois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nd the amplitude of the amplitude value of the signal intensity shown in FIG. This poi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5.

여기서, 도 5의 (a)는 엔벨로프 처리부(43)로부터 출력된 합성음 신호 Sd의 파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5의 (b)는 이 신호 Sd의 스펙트로그램이다. 도 5의 (a)에서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신호의 강도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5의 (b)에서는 횡축이 시간을 나타내고, 종축이 주파수를 나타내며, 색의 명암이 신호의 강도의 분포(밝은 부분은 신호의 강도가 큼)를 나타내고 있다. 도 5의 (a)를 도 9의 (a)와 비교하면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실시예에서는 신호의 강도가 레벨 「0」을 기준으로 하여 「+」측 및 「-」측의 쌍방에 균등하게 분포하고 있다. 이것은,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 Sb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것에 기인한 「+」측으로의 신호의 강도의 편중과,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 Sb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는 것에 기인한 「-」측으로의 신호의 강도의 편중이 상쇄되기 때문이라고 생각되어진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합성음 신호 Sd는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합성음 신호 S와 비교하 여,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고주파 성분(노이즈)이 저감되고 있다. 이것은, 도 5의 (a)를 시간축 방향으로 확대한 도 5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음 신호의 파형이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 연속이 되는 것으로부터도 분명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에 도시한 신호의 강도의 편중이나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노이즈를 억제하여 자연스러운 합성음을 얻을 수 있으며, 게다가 신호의 강도의 편중이나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노이즈를 억제하기 위한 필터 처리는 불필요하다. 5A is a graph showing the waveform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d output from the envelope processor 43, and FIG. 5B is a spectrogram of this signal Sd. In FIG. 5A,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and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signal strength. On the other hand, in Fig. 5B, the horizontal axis represents time, the vertical axis represents frequency, and the intensity of color represents the distribution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he brighter portion is the greater of the signal). As can be clearly seen from comparing FIG. 5A with FIG. 9A,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ignal intensity is equal to both the "+" side and the "-" side on the basis of the level "0". Is distributed. This is because the bias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oward the "+" side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original signal Sb output from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nd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 It is considered that the bias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oward the &quot;-&quot; side caused by the decrease of the original signal Sb outputted from 41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canceled out. In addition, as shown in Fig. 5B,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Sd in the present embodiment i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ynthesized sound signal S as shown in Fig. 9B,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High frequency components (noise) are being reduced. This is also apparent from the fact that the waveform of the synthesized sound signal is continuous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s shown in FIG. 5 (c) in which FIG. 5A is enlarged in the time axis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natural synthesized sound can be obtained by suppressing nois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or the bias of the signal shown in Fig. 9, and at the start of the bias of the signal strength o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No filter processing is necessary to suppress noise in the system.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 파형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주기 신호 Sa로서 출력되기 때문에, 이것에 기초하여 얻어지는 합성음의 음질(특히 음색)을 다양화할 수 있다. 게다가, 이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이용자에 의해 선택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용자가 원하는 음질을 갖는 합성음을 얻을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any one of a plurality of kinds of signals having different waveforms is selected and output as the periodic signal Sa, the sound quality (particularly the timbre) of the synthesized sound obtained based on this can be diversified. In addition, since any one of these plural kinds of signals is selected by the user, a synthesized sound having a sound quality desired by the user can be obtained.

<C : 변형예> <C: Variation>

이상에 설명한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예시로서, 이 형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을 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으로는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는 형태를 생각할 수 있다.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merely an example,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is embodim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specific modification, the form described below can be considered, for example.

<C-1 : 변형예1> <C-1: Modification Example 1>

상기 실시예에서는, 초기 위상 pi를 「0」또는 「π」로 한 구성을 예시했지만, 초기 위상 pi의 값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것에 기인한 「+」측으로의 신호의 강도의 편중과,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는 것에 기인한 「-」측으로의 신호의 강도의 편중이 상쇄되어 신호의 강도가 레벨 「0」을 기준으로 하여 쌍방의 측에 균등하게 분포하도록, 적당히 각 초기 위상 pi의 값이 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made initial phase pi into "0" or "(pi)" was illustrated, the value of initial phase pi is not limited to this. That is, the bias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oward the "+" side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nd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The bias of the intensity of the signal toward the "-" side due to the decrease in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canceled, and the intensity of the signal is evenly distributed to both sides based on the level "0". Preferably, the value of each initial phase pi is appropriately selected.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각 원신호의 위상을 제어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모든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 일제히 증가하는 사태를 회피하기 위한 구성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구성을 대신하여,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configuration for controlling the phase of each original signal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exemplified, but the configuration for avoiding the situation in which all the original signals increase simultaneously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limited to this. It doesn't work. Instead of this configuration, for example, a configuration described below can be adopted.

(1) 형태1 (1) Form 1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 지시되는 진폭값의 부호와,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 지시되는 진폭값의 부호를 다르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한 구성에서, 진폭값 a1 및 a3의 부호를 「+」로 하는 한편, 진폭값 a2 및 a4의 부호를 「-」로 하는 식이다. 이 구성에서도,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의 원신호와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의 원신호와의 위상 차를 실질적으로 「π」만큼 어긋나게 하기 때문에, 각 원신호의 파형은 도 3의 (b)에 도시한 파형과 동일해진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The sign of the amplitude value indicated to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nd the sign of the amplitude value indicated to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in the structure shown in FIG. 2, the code | symbol of amplitude values a1 and a3 is made into "+", and the code of amplitude values a2 and a4 is made into "-". Also in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original signal from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nd the original signal from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s substantially shifted by "π", each circle The waveform of the signal becomes the same as the waveform shown in Fig. 3B. Thus, the same effects as in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2) 형태2(2) Form 2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중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승산기(41b)로부터 출력된 신호와,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승산기(41b)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각각 부호가 상이한 엔벨로프를 승산한 후에 원신호로서 출력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각각에, 제어 장치(10)로부터 지시된 엔벨로프를 승산기(41b)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승산하는 엔벨로프 처리부(41c)를 설치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엔벨로프 처리부(41c)에서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으로부터 「+」측으로 상승하고, 그 후에 감소하여 피치 주기의 종료 시점에서 「0」에 이르는 엔벨로프가 이용된다. 한편,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엔벨로프 처리부(41c)에서는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 「-」측으로 하강하고, 그 후에 증가하여 피치 주기의 종료 시점으로부터 「0」에 이르는 엔벨로프가 이용된다. 따라서,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는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게 된다. 즉, 모든 원신호가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일제히 증가하는 사태가 회피되기 때문에,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가 얻어진다. The signal output from the multiplier 41b of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mong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nd the signal output from the multiplier 41b of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May be configured to output an original signal after multiplying an envelope having a different code. That is, as shown in FIG. 6, an envelope processing unit 41c is provided in each of th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to multiply the envelope instructed by the control device 10 to the output signal from the multiplier 41b. do. Specifically, the envelope processor 41c of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rises to the "+" side from the start point of the pitch period, then decreases to "0" at the end point of the pitch period. Leading envelope is used. On the other hand, in the envelope processor 41c of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the envelope is lowered to the "-" sid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and then increased to use the envelope that reaches "0" from the end of the pitch period. do. Therefore,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while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Will decrease. That is, since the situation where all the original signals increase simultaneously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avoided, the same effect as in the above embodiment can be obtained.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복수개의 원신호 중 일부의 원신호의 레벨이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다른 원신호의 레벨이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는 구성이면 충분하며, 원신호의 레벨을 이와 같이 설정하기 위한 구성의 여하와는 무관하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fficient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source signal of some of the plurality of original signals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while the level of the other original signals de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The configuration for setting the level in this manner is irrelevant.

<C-2 : 변형예2> <C-2: Modification 2>

상기 실시예 및 변형예에서는, 소리 합성부(40)가 4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을 갖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결국, 복수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이 소리 합성부(40)에 설치된 구성이면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s and modifications, the sound synthesizing section 40 exemplifies the configuration having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but the number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is not limited to this. As a result, the plurality of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may be provided in the sound synthesizing section 40.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중 원신호의 각주파수가 작은 것부터 카운트하여 홀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과 짝수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 대하여,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의 원신호의 증감을 상이하게 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원신호 출력 유닛(41)의 구분의 방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면, 원신호 출력 유닛(41)이 4개인 경우에, 제1번째 및 제4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 이루어지는 조(組)와, 제2번째 및 제3번째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 이루어지는 조로 구분하고, 양자의 조에 대하여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의 원신호의 증감을 상이하게 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혹은, 하나의 원신호 출력 유닛(41)과 그 밖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으로 구분하여, 양자에 대하여 원신호의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의 증감을 상이하게 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결국, 복수개의 원신호 출력 유닛(41) 중 1이상의 원신호 출력 유닛(41)과 그 밖의 1이상의 원신호 출력 유닛(41)에 대하여,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의 원신호의 증감을 상이하게 하는 구성이면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odd-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nd the even-numbered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re counted starting from the smallest frequency of the original signal among the plurality of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lthough the structure which makes the original signal increase and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a pitch period differs was illustrated, the method of division | segmentation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is arbitrary. For example, when there are four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the pair which consists of the 1st and 4th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nd the 2nd and 3rd original signals It is good also as a structure which divides into the group which consists of the output units 41, and changes the original signal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a pitch period with respect to both groups. Alternatively, one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and the other original signal output unit 41 may be divided so as to have a configuration in which both increase and decrease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of the original signal. As a result, one or more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nd the other one or more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mong the plurality of original signal output units 41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he original signal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t is sufficient if it is a structure.

<C-3 : 변형예3> <C-3: Modification Example 3>

상기 실시예 및 각 변형예에서는, 소리 합성부(40)를 DSP로 구성한 경우를 예시했지만, CPU 등의 하드웨어와 해당 CPU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의 협동에 의해, 원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원신호 출력 유닛(41))이나 원신호를 가산하여 합성음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가산기(42))이 실현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In the above embodiment and each modification, the case where the sound synthesizing section 40 is constituted by a DSP is illustrated, but means for outputting an original signal by cooperation of hardware such as a CPU and a program executed by the CPU (circle) The signal output unit 41 or the original signal may be added to generate a synthesized sound signal (adder 42).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간이한 구성에 의해 자연스러운 소리를 합성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atural sounds can be synthesized by a simple configuration.

Claims (11)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원(原)신호를, 생성해야하는 합성음의 음고에 따른 시간 길이에 대응한 피치 주기마다 출력하는 복수개의 출력 수단과, A plurality of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n original signal whose level changes periodically, at every pitch period corresponding to a time length according to pitch of synthesized sound to be generated;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를 가산하여, 합성음을 나타내는 합성음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음 생성 수단과, Synthesized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ynthesized sound signal representing a synthesized sound by adding original signals outputted from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각각에 대하여 해당 출력 수단이 출력해야하는 원신호를 지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중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레벨이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다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레벨이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도록,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하는 지시 수단 Means for instructing the original signal to be output by the corresponding output mean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wherein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means of some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nstructing means for instructing each of the output means so that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ther output means de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comprising a.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와 상기 다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에 있어서,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의 위상이 상이하도록,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원신호의 위상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The instructing means is configured such that the original signal outputted from the partial output means differs from the original signal outputted from the other output means so that the phase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s different from each other. Sound synthesizing apparatus characterized by indicating the phase.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출력 수단은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신호에 진폭값을 승산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상기 원신호로서 출력하며, Each output means multiplies an amplitude value by a signal whose level changes periodically, and outputs the signal obtained thereby as the original signal, 상기 일부의 출력 수단에 대한 상기 진폭값과 상기 다른 출력 수단에 대한 상기 진폭값과는 상이한 부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a sign different from the amplitude value for the partial output means and the amplitude value for the other output means. 제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각 출력 수단은, 상기 피치 주기에 상당하는 시간 길이를 가짐과 함께 상기 원신호의 진폭값의 시간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엔벨로프를,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신호에 반영시키고, 이에 의해 얻어진 신호를 상기 원신호로서 출력하고, Each said output means has the tim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said pitch period, and reflects the envelope which shows the temporal change of the amplitude value of the said original signal to the signal whose level changes periodically, and reflects the signal obtained by this Output as original signal,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일부의 출력 수단과 상기 다른 출력 수단에 대하여, 각각이 나타내는 진폭값의 부호가 상이한 엔벨로프를 각각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said instructing means instructs, to said partial output means and said other output means, envelopes having different signs of amplitude values, respectively.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은, 각각 각주파수가 상이한 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이고,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outputs original signals each having a different frequency. 상기 일부의 출력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중 출력하는 원신호의 각주파수가 작은 것부터 카운트하여 홀수번째에 상당하는 1개 이상의 출력 수단이고, The partial output means is one or mor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an odd number counting each frequency of the original signal to be output among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from a smaller one, 상기 다른 출력 수단은,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중 출력하는 원신호의 각 주파수가 작은 것부터 카운트하여 짝수번째에 상당하는 1개 이상의 출력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said other output means is at least one output means corresponding to an even number, counting each frequency of an original signal to be output among said plurality of output means from a smaller one. 제5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5, 홀수번째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각주파수와 짝수번째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각주파수와의 위상 차가 피치 주기의 개시 시점에서 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a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angular frequencies of the original signals output from the odd-numbered output means and the angular frequencies of the original signals output from the even-numbered output means is π at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상기 각 출력 수단은 각각 파형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신호를 생성 가능한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함과 함께, 해당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Each of the output means includes signal generating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kinds of signals having different waveforms, and outputs the original signal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means,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출력 수단의 신호 발생 수단이 생성해야하는 신호로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the instructing means instructs each of the output mean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as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means of the output means. 제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해당 출력 수단의 해당 신호 발생 수단이 생성해야하는 신호로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said instructing means instructs each of said output means as a signal that said signal generating means of said output means should generate a signa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said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제5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5, 상기 각 출력 수단은, 각각 파형이 상이한 복수 종류의 신호를 생성 가능한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함과 함께, 해당 신호 발생 수단에 의해 생성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원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며, Each of the output means includes signal generation means capable of generating a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having different waveforms, respectively, and outputs the original signal based on the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on means,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어느 하나를 해당 출력 수단의 신호 발생 수단이 생성해야하는 신호로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the instructing means instructs each of the output means any one of the plural kinds of signals as a signal generated by the signal generating means of the output means. 제9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9, 상기 지시 수단은,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상기 복수 종류의 신호 중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신호를 해당 출력 수단의 해당 신호 발생 수단이 생성해야하는 신호로서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 합성 장치. And said instructing means instructs each of said output means as a signal that said signal generating means of said output means should generate a signal selected by a user from among said plurality of types of signals. 컴퓨터를, Computer, 레벨이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원신호를, 생성해야하는 합성음의 음고에 따른 시간 길이에 대응한 피치 주기마다 출력하는 복수개의 출력 수단과, A plurality of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n original signal whose level changes periodically at every pitch period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ime according to the pitch of the synthesized sound to be generated;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원신호를 가산하여, 합성음을 나타내는 합성음 신호를 생성하는 합성음 생성 수단과, Synthesized sound generating means for generating a synthesized sound signal representing a synthesized sound by adding original signals outputted from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각각에 대하여 해당 출력 수단이 출력해야하는 원 신호를 지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출력 수단 중 일부의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레벨이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증가하는 한편, 다른 출력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원신호의 레벨이 상기 피치 주기의 개시 직후에 감소하도록, 상기 각 출력 수단에 대하여 지시를 부여하는 지시 수단 Means for indicating an original signal to be output by the corresponding output means to each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wherein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utput means of some of the plurality of output means in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Instructing means for instructing each of the output means so that the level of the original signal output from the other output means decreases immediately after the start of the pitch period. 으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 매체. A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a program for functioning as a computer.
KR1020040015257A 2003-03-06 2004-03-06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KR10062048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60515A JP3888315B2 (en) 2003-03-06 2003-03-06 Sound synthesis apparatus and program
JPJP-P-2003-00060515 2003-03-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330A KR20040079330A (en) 2004-09-14
KR100620484B1 true KR100620484B1 (en) 2006-09-13

Family

ID=33123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257A KR100620484B1 (en) 2003-03-06 2004-03-06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3888315B2 (en)
KR (1) KR100620484B1 (en)
CN (2) CN2699429Y (en)
HK (1) HK1068185A1 (en)
TW (1) TWI254276B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10B1 (en) * 2008-05-22 2010-05-13 주식회사 다날 an apparatus for receiving star voice messages
KR100968090B1 (en) * 2008-05-27 2010-07-05 한국과학기술원 Programable sound synthesis apparatus and programable sound synthesis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62864B (en) * 2021-06-16 2022-08-0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Audio signal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7710B1 (en) * 2008-05-22 2010-05-13 주식회사 다날 an apparatus for receiving star voice messages
KR100968090B1 (en) * 2008-05-27 2010-07-05 한국과학기술원 Programable sound synthesis apparatus and programable sound synthesis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88315B2 (en) 2007-02-28
JP2004271750A (en) 2004-09-30
KR20040079330A (en) 2004-09-14
TWI254276B (en) 2006-05-01
TW200425056A (en) 2004-11-16
CN1527279A (en) 2004-09-08
HK1068185A1 (en) 2005-04-22
CN100565667C (en) 2009-12-02
CN2699429Y (en) 2005-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63413A2 (en) Reverberation effect adding device
KR20070100334A (en) Audio waveform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0620484B1 (en) Sound synthesizing device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09288697A (en) Impulse response processing apparatus, and reverberator and program
EP2355092A1 (en) Audio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JP5434120B2 (en) Impulse response processing device, reverberation imparting device and program
JP3037861B2 (en) Waveform forming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using the output waveform
JP3322209B2 (en) Sound source system and storage medium using computer software
JP5169753B2 (en) Resonance sound adding device and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343071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parameters of musical sound synthesizer
JP4385401B2 (en) Low frequency oscillation device and low frequency oscillation processing program
JP5310064B2 (en) Impulse response processing device, reverberation imparting device and program
JP2010066636A (en) Sound processor and program
EP4216205A1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method of generating musical sound, and program
JP2003255951A (en) Waveform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JP3201553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JP4479847B2 (en) Waveform generator and waveform generation processing program
JP2797888B2 (en) Music synthesizer
JP4232203B2 (en) Waveform generator and waveform generation processing program
JP6400408B2 (en) Music generator
JP5909416B2 (en) Tempo sound generator and tempo sound generator
JP3489713B2 (en) Musical sound synthesizer and method
JP5184228B2 (en) Phase synchronizer for electronic musical sound generator
JP2009042785A (en) Waveform generator and waveform generation processing program
JPH04133099A (en) Musical sound synthesiz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