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0331B1 -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 Google Patents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0331B1
KR100620331B1 KR1020050086961A KR20050086961A KR100620331B1 KR 100620331 B1 KR100620331 B1 KR 100620331B1 KR 1020050086961 A KR1020050086961 A KR 1020050086961A KR 20050086961 A KR20050086961 A KR 20050086961A KR 100620331 B1 KR100620331 B1 KR 1006203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s
pdu
verification
subscriber station
monito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석
Original Assignee
(주)인트로모바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트로모바일 filed Critical (주)인트로모바일
Priority to KR10200500869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03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0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0331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MMSE를 제공하고, 다양한 MMSE에서 MMS의 송수신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과정을 추적하여 오류 발견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MMS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는 송신 가입자 단말, MMS 검증 서버 및 수신 가입자 단말 간의 MMS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수단에 있어서, 모니터링 수단은 트랜잭션 각각의 PDU을 추출하는 PDU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PDU를 분석하는 PDU 분석부를 구비하고, 송신 가입자 단말, MMS 검증 서버 및 수신 단말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생성하는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와 PDU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 값 리스트를 제공하는 PDU 리포트 작성부를 더 구비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테스트, 검증, MMS, MMS 환경

Description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MMS Transfer Process Test System Including MMS Monitoring Device For Tracing And Display MMS Transfer Process, And Test Method Transfer Process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검증 서버를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부를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
도 4a는 송신 가입자 단말에서 MMS 검증 서버로 MM이 전송되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
도 4b는 MMS 검증 서버로부터 수신 가입자 단말로 MM의 전송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
도 4c는 확인 후 수신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
도 4d는 즉시 수신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
도 4e는 MM이 수신 가입자 단말로 전달되었음을 알리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
도 4f는 수신 가입자 단말이 전송된 MM을 읽었음을 송신 가입자 단말에 알리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PDU 분석부에 의해 작성된 PDU 리포트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M-Send.req의 PDU 리포트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MM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MMS 전송처리 검증 과정을 매우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작성된 PDU 리포트와 트랜잭션 그래프를 이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
도 10은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 5, 7 : 가입자 단말 9 : 이동통신망
11 : 인터넷 13, 41 : MMS 검증 서버
15 : 중앙제어부 17 : 망연동부
19 : MM 전송부 21 : MM 서버
23 : 검증 서버 환경 설정부 25 : MMS 전송 모니터링부
27 : MMS 환경 정보 설정부 29 : MMS 환경 정보 데이터베이스
31 : PDU 추출부 33 : PDU 분석부
35 :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 37 : PDU 리포트 작성부
40 : 송신 가입자 단말 42 : 트랜잭션
43 : 수신 가입자 단말 51 : PDU 필드명 리스트
53 : 필드값 리스트 55 : 디지트 코드
57 : 캐릭터 코드 59 : HTTP 영역
61 : MMS 영역 64 : 부각표시
65 : MM 확인 선택 영역 67 : MM
69 : 저장 선택 영역
본 발명은 이동통신 검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양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MMSE를 제공하고, 다양한 MMSE에서 MMS의 송수신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과정을 추적하여 오류 발견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MMS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통신 기술의 발전,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 증가는 이동통신 서비스에도 영향을 주어 이동통신 서비스가 발전하는 계기를 마련하고 있다. 그러한 발전의 예로 들 수 있는 것이 이동통신 서비스를 통해 제공되던 단문 메시지 즉, SMS(Short Message Service)가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포함하여 제공 되는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로 대체되는 것이다. MMS는 텍스트, 음악, 이미지, 동영상, 링크정보 등이 복합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 MM)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MMS를 통해 무선 엽서나 그림, 동영상, 동영상 카드 지도, 명함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이러한, MMS와 SMS를 비교해 보면, SMS는 영어 80자, 약 80비트 정도로 제한되는 반면, MMS는 이론상 길이의 제한 없이 장문형태의 메시지 전송이 가능하며 또한, 메일, 음악, 사진 및 동영상 등 형태나 첨부물에 구애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SMS는 1단계의 푸쉬(Push)로 메시지 전달이 이루어지는 반면, MMS는 메시지 통보(Notification), 메시지 불러오기(Retrieve)의 2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SMS는 음성망을 전송망으로 이용하는 반면, MMS는 데이터망을 이용하여 메시지를 전송한다. 아울러, SMS는 페이징(Paging)만으로 전송이 가능한 반면, MMS는 페이징 후 무선데이터 통신을 통한 데이터 수신방식을 사용하므로, 스트리밍(Streaming) 방식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MMS의 미디어 포맷(Format)은 텍스트에 있어서는 UTF(범용 변환 포맷), UCS2(Universal Code Set 2) 또는 비로마 문자를 지원하는 16비트 코딩을 사용하고, 이미지는 JPEG(Joint Photographic coding Experts Group), GIF(Graphics Interchange Format), BMP(Bit Map)을, 음성은 AMR(Audio Modem Riser), 각 미디어의 동기화는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rgration Language)를 사용한다.
이와는 별도로, MMS는 각 관리체계 별로 MMS 규격 네트워크 요소들의 집합인 MMS 환경(MMS Environment : 이하 "MMSE"라 함)을 가지게 되며, 이 MMSE에 따라 수신된 MM의 전달(Forwarding) 기능 지원 여부, 전달 상태 리포트(Delivery Report) 지원 여부, 수신 답장 리포트(Read-Reply) 지원 여부, 스트리밍 지원 여부, 선불 서비스 지원 여부, 발신자 주소 숨기기 지원 여부, 수신자 비용 부담 기능 지원 여부, 네트워크 기반의 MM 저장 기능 지원, 부가 서비스(Value-Added Service) 지원 여부, USIM(Universal Subscriber Identify Module)에 저장되는 MMS 관련 정보 처리 여부, 다양한 매체의 메시지 전달 여부, 다양한 오디오 메시지(WAV, MP3, MID, AMR, AAC 등) 지원 여부, 다양한 이미지 메시지(JPEG, GIF, PNG, BMP, WBMP 등) 지원 여부, 복합 메시지 지원 여부, 단말기 사용에 맞게 데이터 변환 여부, 외부 메일 시스템으로의 전달 및 수신 기능 지원 여부, 다양한 주소(이동통신 단말기 전화번호, 이메일 어드레스) 지정 가능 여부, 신규 메시지 도착시/수신자 메시지 검색시/메시지 전달 오류 시 통지 여부, 예약 전송 기능 지원 여부, 동보 전송 기능 지원 여부, 메시지 필터링 기능 지원 여부 등이 결정된다.
한편, 각 이동통신사는 통신사별로 상이한 MMSE를 사용하기 때문에 이동통신단말기 제조사는 새로운 단말기의 개발시마다 당해 단말기가 사용될 이동통신사가 운영하는 MMSE 환경에 맞추어 이동통신 단말기에 탑재되는 MMS 클라이언트(Client)를 개발 및 변경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그런데, 이동통신 단말기는 휴대성을 목표로 하는 특성 때문에 일반적인 범용 컴퓨터보다는 한정된 리소스(Resource)를 사용해야 하며 이 때문에, MMS 클라이언트의 개발 및 변경에 따른 작업을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에 탑재된 MMS 클라이언트를 이용해 수행하는 것은 막대한 어려움이 따른 다. 특히, 해외로 수출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제조하는 경우, 해당국의 이동통신 시스템과의 적합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외국의 이동통신 시스템에 노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신규 이동통신 단말기와 그에 따른 MMS 클라이언트의 개발과정에는 많은 시행착오와 오류가 따르게 마련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실제 환경에 노출시켜 검증을 진행해야만 하고, 마땅히 오류를 확인하고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렇기 때문에, MMS 검증 중에 오류가 발생하면, 일일이 전송 지점을 확인하고, 개발자가 프로그램 또는 시스템상의 오류를 예측 또는 일일이 검색하여 오류 원인을 찾아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MMSE를 제공하고, 다양한 MMSE에서 MMS의 송수신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과정을 추적하여 오류 발견이 용이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MMS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을 원활하게 하도록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중요한 목적은 상기 검증 과정을 추적하고 오류 발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랜잭션에 따른 PDU를 추출 및 분석하고, 트랜잭션 그래프 및 PDU 리포트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MMS 전송처리에 따른 검증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DU 리포트에 PDU 필드명, 필드값, 디지트 코드 및 캐릭터 코드를 함께 표기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부분과 대응되는 필드명, 필드값, 디지트 코드 및 캐릭터 코드를 부각시켜 포함함으로써 오류의 확인 및 검증 과정의 분석을 보다 원활히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랜잭션 그래프 또는 PDU 리포트의 확인 중에 전달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정상여부 판단이 용이하도록 하며, 트랜잭션 그래프의 선택에 따라 해당 PDU 리포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오류의 발견 및 검증 진행과정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는 송신 가입자 단말,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 스) 검증 서버 및 수신 가입자 단말 간의 MMS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수단에 있어서, 모니터링 수단은 트랜잭션 각각의 PDU(프로토콜 데이터 유닛)을 추출하는 PDU 추출부와, 추출된 PDU를 분석하는 PDU 분석부를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은 송신 가입자 단말,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검증 서버 및 수신 가입자 단말 간의 MMS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PDU(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추출부와 PDU 분석부를 구비하는 모니터링 수단을 이용한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PDU 추출부가 상기 트랜잭션에 따른 PDU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PDU 분석부가 추출된 PDU를 분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은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 및 상기 가입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MMS 검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이 있어서, MMS 검증 서버는, MMS 환경 정보를 설정하는 MMS 환경 정보 설정부와, 복수의 MMS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MMS 환경 정보 저장부와,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MM를 가입자 단말이 지정한 MMS 환경 정보에 따라 전송처리하는 MMS 메시지 전송부와, MM의 전송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트랜잭션 각각의 PDU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MMS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가입자 단말은 지정된 MMS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MM의 전송처리를 수행하는 MMS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울러,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송신 가입자 단말, 수신 가입자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MMS 검증 서버를 통해 가입자 단말의 MMS 클라이언트를 검증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에 있어서, 송신 가입자 단말이 자신이 검증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사의 MMS 환경에 따라 MMS 검증 서버의 MMS 환경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송신 가입자 단말이 MM를 MMS 검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MMS 검증 서버가 수신된 MM을 설정된 MMS 환경에 따라 수신 가입자 단말로 전송처리하는 제 3 단계와, MMS 검증 서버가 MM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PDU을 추출하는 제 4 단계와, MMS 검증 서버가 추출된 PDU를 분석하는 제 5 단계 및 MMS 검증 서버가 분석 결과를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작용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은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1, 3)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1, 3, 5, 7) 및 가입자 단말 (1, 3, 5, 7)과 네트워크(9, 11)를 통해 접속되는 MMS 검증 서버(13)를 구비한다.
가입자 단말(1, 3, 5, 7)은 지정된 MMS(Multimedia Message Service : 이하 "MMS"라 함) 환경 정보에 따라 MM(Multimedia Message : 이하 "MM"이라 함)의 전송처리를 수행하는 MMS 클라이언트를 구비한다. 이러한, MMS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가입자 단말(1, 3, 5, 7)은 실제로 이루어지는 MMS 검증 서버(13)와의 MMS 검증을 통해 오동작 여부를 확인받게 된다.
한편, 가입자 단말(1, 3, 5, 7)이 PC(5, 7) 또는 PDA와 같은 정보처리 단말기인 경우는 인터넷(11)을 통해 MMS 검증 서버(13)와 접속하고, 가입자 단말(1, 3, 5, 7)이 이동통신 서비스 기반의 이동통신 단말(1, 3)인 경우, 이동통신 네트워크(9)의 데이터 통신망을 통해 MMS 검증 서버(9)에 접속한다.
도 2는 도 1의 검증 서버를 좀더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MMS 검증 서버는 MMS 환경 정보 설정부(27), 복수의 MMS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MMS 환경 정보 저장부(29),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MM을 가입자 단말이 지정한 MMS 환경 정보에 따라 전송처리하는 MM 전송부(19) 및 MM의 전송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Transaction)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트랜잭션 각각의 프로토콜 데이터 유닛(Protocol Data Unit : 이하 "PDU"라 함)을 추출하고 분석하는 MMS 모니터링부(25)를 구비한다. 또한, 검증 서버 환경 설정부(23), MM 서버(21) 및 망연동부(17)를 더 구비한다.
MMS 환경 정보 설정부(27)는 MMS 검증 서버(13)를 관리하는 관리자 또는 MMS 검증 서버(13)에 접속하는 가입자에 의해 MMS 환경 정보(MMSE)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MMS 환경 정보 저장부(29)는 MMS 환경 정보 설정부(27)에 설정된 복수의 MMS 환경 정보(MMS Environment : MMSE)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는 MMS 환경 정보 설정부(27)을 통해 다양한 파라미터로 구성되는 MMS 환경 정보(MMSE)를 검증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1, 3)가 사용되는 이동통신사의 MMS 환경(MMSE)에 맞도록 설정하고, 설정된 환경정보(MMSE)를 이 MMS 환경 정보 저장부(29)에 저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본 발명의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양한 국내 및 국외 이동통신사의 MMS 환경을 선택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 3)의 MMS 클라이언트를 검증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MMS 환경 정보(MMSE)는 MMS 환경 정보 식벽자(MMSE_ID), MMBox(Multimedia Message Box) 플래그 사용여부(mmBox_Flag), 차지(Charge) 플래그 사용여부, 프록시(Proxy) 사용여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MMS 환경 정보 식별자(MMSE_ID)는 복수의 MMS 환경 정보(MMSE)를 구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LG 텔레콤", "SK 텔레콤" 등과 같이 MMS 환경 정보(MMSE)를 실제로 사용하는 이동통신사의 명칭을 사용할 수도 있다. MMBox 플래그 사용 여부(mmBox_Flag)는 MMS 버전 1.2에서 지원하는 옵션사항으로서 MM을 저장하는 MMBox 기능을 사용하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이다. 차지 플래그 사용 여부(Charge_Flag)는 MMS 버전 1.1에서 지원하는 옵션사항으로서 MM 전송에 따른 비용을 송신자에게 부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프록시 사용 여부는 프록시 서버를 거쳐 이동통신 단말기로의 MM을 처리하는지에 대한 정보이다. 아울러, 이외에도 MMS 환경 정 보(MMSE)는 해당 MMS 환경이 이동통신 단말기(1, 3)에서 PC(5, 7)로 이메일(Phone To E-mail) 기능을 사용하는지를 선택하는 이메일 플래그 사용 여부(Email_Flag),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헤더(Header)를 이용하여 가입자 인증을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http 인증 플래그(Http_Auth_Flag), 알려지지 않은 어드레스를 사용한 경우 이에 대한 리포트를 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알림 메일 플래그 사용정보(Inform_Mail_Flag) 등을 포함할 수 있다.
MM 전송부(19)는 가입자 단말(1, 3, 5, 7)로부터 수신한 MM을 가입자 단말(1, 3, 5, 7)이 지정한 MMS 환경 정보(MMSE)에 따라 전송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A 이동통신사의 MMS 환경 정보(MMSE)를 선택한 경우, 해당 이동통신사의 MMS 환경 정보(MMSE)에 따라 전송처리가 이루어진다. MM 서버(21)는 송신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MM을 게시(Post)하며, MM 전송부(19)는 송신 가입자 단말(1, 3, 5, 7)로부터의 MM 메시지 전송요청에 따라 수신 가입자 단말(1, 3, 5, 7)로 MM 수신 알람 메시지(M-Notification.ind)를 전송한다. 그리고, 수신 가입자 단말(1, 3, 5, 7)은 MM 수신 알람 메시지(M-Notification.ind)의 수신에 따라 MM 서버(21)에 접속하여 MM을 수신(M-Retrieve.conf)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MMS 모니터링부(25)는 송신 가입자 단말(1, 3, 5, 7), MMS 검증 서버(13) 및 수신 가입자 단말(1, 3, 5, 7) 간의 MM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한다. 이를 위해, MMS 모니터링부(25)는 각각의 트랜잭션별 PDU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가입자가 확인하기 용이한 형태로 가공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 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MMS 환경 정보(MMSE)별 검증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 발생 위치와 원인 등을 추적 및 해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다. 이 MMS 모니터링부(25)에 대해서는 도 3을 통해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2의 모니터링부를 좀더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DU 추출부(31), PDU 분석부(33),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35) 및 PDU 리포트 작성부(37)를 구비한다.
PDU 추출부(31)는 송신 가입자 단말(1, 3, 5, 7), MMS 검증 서버(13) 및 수신 가입자 단말(1, 3, 5, 7) 간의 MM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트랜잭션 각각의 PDU를 추출한다. 여기서, 추출되는 PDU는 PDU 헤더 정보, 메시지 내용 및 PDU 테일(Tale) 정보가 포함된다. PDU 헤더 정보는 MMS 환경 정보(MMSE)에 설정된 내용에 맞게 작성되며, 송신자 정보, 수신자 정보, 경로, 발송일시와 같은 정보가 기록된다. 메시지 내용 역시 MMS 환경정보(MMSE)에 설정된 내용에 적합하게 SMIL(Synchronized Multimedia Integration Language,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과 같은 언어를 이용하여 작성되며, 테스트를 위한 실제 메시지 내용이 기록된다. 그리고, PDU 테일 정보는 PDU의 송수신을 위한 에러 정정 코드와 같은 프로토콜 관련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PDU 분석부(33)는 PDU 추출부(31)에 의해 추출된 PDU의 내용을 분석한다. 즉, PDU 분석부(33)는 PDU 헤더 정보, 메시지 내용 등을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35), PDU 리포트 작성부(37)에서 처리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 특히, PDU 분석부(33)는 MMS 전송시, MMS 규격에 정의된 압축형태의 PDU를 압축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35)는 송신 가입자 단말(1, 3, 5, 7), MMS 검증 서버(13) 및 수신 가입자 단말(1, 3, 5, 7)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MM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작성한다. 그리고,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35)에 의해 작성된 트랜잭션 그래프는 PDU 리포트 작성부에서 작성한 PDU 리포트와 연계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 트랜잭션 그래프에 대해서는 도 4a 내지 도 4f를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PDU 리포트 작성부(37)는 PDU 분석부(33)에서의 PDU 분석결과를 이용하여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값 리스트를 포함하는 PDU 리포트를 작성한다. 이 PDU 리포트에 대해서는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트랜잭션 그래프의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4a는 송신 가입자 단말에서 MMS 검증 서버로 MM이 전송되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MMS 검증 서버로부터 수신 가입자 단말로 MM의 전송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c와 도 4d는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수신 가입자 단말이 MM을 수신하는 트랜즈 액션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4c는 확인 후 수신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d는 즉시 수신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4e는 MM이 수신 가입자 단말로 전달되었음을 알리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f는 수신 가입자 단말이 전송된 MM을 읽었음을 송신 가입자 단말에 알리는 트랜잭션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도 4a에 나타낸 것처럼 트랜잭션 그래프는 송신 가입자 단말(40), MMS 검증 서버(41)를 축으로 송신 가입자 단말(40)과 MMS 검증 서버(41) 간의 트랜잭션(42)을 명칭과 함께 출발지(40)와 목적지(41)를 연결하는 화살표로서 나타낸다. 도 4a에 나타낸 트랜잭션은 송신 가입자 단말(40)이 MM을 MMS 검증 서버(41)로 전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즉, 송신 가입자 단말(40)이 MM의 송신을 MMS 검증 서버(41)에 요청(M-Send.req)하면, MMS 검증 서버(41)는 MM의 송신을 확인(M-Send.conf)하는 확인 메시지(Confirm Message)를 송신 가입자 단말(40)에 전송한다. 이때, 전송요청(M-Send.req)의 PDU 헤더 정보에는 MM의 거절 또는 승락을 결정할 수 있는 X-Mms-Reply-Charging, 특정 시간을 설정해서 그 시간에 받아야 송신자 요금 부담 혜택을 받도록 하는 필드인 X-Mms-Reply-Charging-Size, 날짜(Date), 전송자 주소(From), 수신자 주소(To), 참조 수신자 주소(Cc), 숨은 참조 수신자 주소(Bcc), 제목(Subject), 유효기간(X-Mms-Expiry)과 같은 다양한 내용의 필드가 기록되고, 해당 필드에 적당한 필드값이 기록되어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도 4b는 수신 가입자 단말(43)을 포함한 트랜잭션 그래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 에서와 같이 MM 전송 요청(M-Send.req)을 수락한(M-Send.conf) MMS 검증 서버(41)에는 송신 가입자 단말(40)로부터 전송된 MM이 게시된다. MM을 수신한 MMS 검증 서버(41)는 수신 가입자 단말(41)에 전송을 요하는 MM이 있을 알리는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ion.ind)를 전송하게 된다. 이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ion.ind)를 수신한 수신 가입자 단말(43)은 이에 응답하는 인디케이터 응답 메시지(M-Notifyresp.ind)를 MMS 검증 서버(41)에 전송한 다. 여기서, 도 4b에 나타낸 트랜잭션은 수신 가입자 단말(43)이 MM을 수신하는 개략적인 내용을 나타낸 것이다. 실제로 수신 가입자 단말(43)이 MM을 수신하는 트랜잭션은 대표적을 2가지의 트랜잭션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가 도 4c에 나타낸 확인 후 수신 트랜잭션이며, 다른 하나가 도 4d에 나타낸 즉시 수신 트랜잭션이다.
우선, 도 4c와 같이 확인 수신 트랜잭션(Deferred Retrieval)에서는 MMS 검증 서버(41)가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ion.ind)를 수신 가입자 단말(43)에 전송한다. 이를 수신한 수신 가입자 단말(43)은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ion.ind)를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 응답 메시지(M-Notifyresp.ind)를 MMS 검증 서버(41)에 전송한다. 인디케이터 응답 메시지(M-Notifyresp.ind) 전송 후 수신 가입자 단말(43)은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ion.ind)에 포함된 정보를 토대로 MM 요청 메시지(WSP/HTTPGet.req)를 MMS 검증 서버(41)에 전송하여 MM을 수신(M-Retrieve.conf)하게 된다. 또한, MM을 수신한 수신 가입자 단말(43)은 MM을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수신 확인 메시지(M-Acknowledge.ind)를 MMS 검증 서버(41)에 전달한다.
한편, 즉시 수신 트랜잭션(Immediate Retrieval)은 도 4c와는 달리 단계가 매우 축소된다. 즉,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ion.ind)가 수신 가입자 단말(43)로 전송되면, 수신 가입자 단말은 MM 요청 메시지(WSP/HTTPGet.req)를 전송하여 MM을 바로 수신(M-Retrieve.conf)하게 된다. 그리고, MM을 수신한 수신 가입자 단말(43)은 MM을 수신했음을 알리는 인디케이터 응답 메시지(M-Notifyresp.ind)를 MMS 검증 서버(41)에 전송한다.
또한, 도 4e에서와 같이 수신 가입자 단말(43)로부터 MM을 수신을 확인받은 MMS 검증 서버(41)는 MM이 수신 가입자 단말(43)에 전달되었음을 송신 가입자 단말(40)에 알리게 된다(M-Delivery.ind).
그리고, 수신 가입자 단말(43)이 MM의 내용을 읽은 경우, MM을 읽었음을 알리는 읽음 인디케이터 메시지(M-Read_rec.ind)를 MMS 검증 서버(41)에 전송하고, MMS 검증 서버(41)는 이를 토대로 송신 가입자 단말(40)에 수신 가입자 단말(43)이 MM을 확인했음을 알리게 된다. 도 4f는 MM 읽음 확인 트랜잭션을 나타낸 것으로, 이것은 1.0 버전에서 사용되는 MM Read Report 형식이다. 1.1 이상의 버전에서는 보다 간결한 과정에 의해 진행되는 PDU Read Report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트랜잭션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MM Read Report의 예를 도 4f를 통해 나타내었다. 읽음 인디케이터 메시지(M-Read_rec.ind)를 수신한 MMS 검증 서버(41)는 도 4f에서와 같이 수신 가입자 단말(43)에 MM을 전달하는 과정과 유사한 과정으로 송신 가입자 단말(40)로 하여금 수신 가입자 단말(43)이 MM을 확인했음을 인식하게 된다. 도 4를 통해 나타낸 트랜잭션 외에도. 송신 가입자 단말(40)의 요청에 의해 다른 수신 가입자 단말에게 MM을 송신하기 위한 포워드 트랜잭션(Forward Transaction)도 존재한다.
도 5는 PDU 분석부에 의해 작성된 PDU 리포트를 나타낸 도면으로 인디케이터 메시지(M-Notificattion.ind)의 PDU 리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PDU 리포트는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51), 필드명 각각에 대응하는 필드값 리스트(53)를 포함한다. 그리고, PDU 리포트는 디지트 코드가 표시되는 디지트 코드 표시 영역(55)과, 디지트 코드에 대응하는 캐릭터 코드가 표시되는 캐릭터 표시 영역(57)을 포함한다.
PDU 리포트 작성부(37)에서 작성되는 PDU 리포트는 도 5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다. 이미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각각의 트랜잭션에는 메시지 내용뿐만 아니라, PDU 정보가 기록된 헤더가 동반된다. 이러한 PDU 정보를 검증을 수행하는 사용자가 확인하기 쉬운 형태로 표시하는 것이 PDU 리포트라 할 수 있다. 우선 PDU 리포트에는 좌측 상단에 보여지는 PDU 필드(51)들이 리스트 형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PDU 필드들은 각각의 용도가 MMS 국제규격에 정의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국제규격에는 “MMS Architecture Overview”, Open Mobile Alliance TM, OMA-WAP-MMS-ARCH -v1_2 (v1_0, v1_1), "MMS Client Transactions”, Open Mobile Alliance TM, OMA-WAP-MMS-CTR -v1_2 (v1_0, v1_1), “MMS Encapsulation Protocol”, Open Mobile Alliance TM, OMA-WAP-MMS-ENC-v1_2 (v1_0, v1_1), "MMS Conformance Document”, Open Mobile Alliance TM, OMA-MMS-CONF-v1_2와 같은 규격들이 현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국제규격은 추가적으로 증가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국제규격의 증가에 맞추어 버전 업(Version_Up) 뿐만 아니라, 이에 해당하는 필드 표시, 트랜잭션, PDU 리포트 등을 추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트랜잭션마다 PDU 필드는 달라지기 때문에 PDU 리포트는 트랜잭션마다 다르게 디스플레이된다. 이와 같은 PDU 필드(51)들의 우측에는 각 필드에 해당하는 값 즉, 필드값(53)이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PDU 리포트의 좌측 하단에는 PDU의 디지트 코드(55)가 디스플레이 된다. 주로, 16진수를 이용하여 간결하게 나타내지만, 2진수, 8진수 혹은 10진수로도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다. 이 디지트 코드(55)는 PDU 필드명(51)과 필드값(53) 정보를 포함하게 된다. 그리고, 디지트 코드(57)의 우측에는 캐릭터 코드 표시영역(57)이 형성된다. 즉, 디지트 코드(57)를 알파벳, 숫자 등을 이용하여 캐릭터 코드로 표현한 형태이다. 이러한, 디지트 코드(57)와 캐릭터 코드(57)는 프로그래밍 과정, 디버깅(Debuging) 과정에서 프로그램의 내용을 확인하기 위한 데이터임이 자명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도 5의 디스플레이 배치는 일례일뿐이며, 다양한 배치 형태를 가질 수 있는 것은 물론이거니와 다른 내용의 디스플레이를 위한 영역이 더 할당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도 6은 M-Send.req의 PDU 리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PDU 리포트 정보는 트리(Tree) 형태(63)로 디스플레이 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PDU 리포트 정보는 HTTP 영역(59)과 MMS 영역(61)으로 나누어 확인할 수 있다. 이는 MM이 이동통신망만을 경유하는 것이 아니라 인터넷 프로토콜을 가지는 인터넷망을 경유하기 때문에 MM의 헤더부분에는 인터넷 프로토콜에 관한 정보도 기록된다. 따라서, 굳이 인터넷망이 아니더라도 MM의 전송 실패(fail)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를 확인할 필요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MMS 모니터링에서는 이러한 인터넷 프로토콜 정보도 확인 가능하도록 도 6에서와 같이 MMS 정보와 함께 HTTP 정보도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도 6에서 음영 부분(64a, 64b, 64c)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검증을 수행하는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특정 필드명(64a), 필드값(64a), 디지트 코드 집합(64b), 캐릭터 코드 집합(64c)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하면 선택한 값과 대응되는 값을 음영처리를 이용해 부각시킨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선택한 부분이 어떤 필드의 어떤 필드 값을 가지며, 디지트 코드와 캐릭터 코드로 각각 어떻게 표현되는지 쉽게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MM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M-Retrieve.conf의 PDU 리포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의 하단부(6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DU 리포트에는 MM 확인 선택 영역(65)을 제공한다. 즉,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PDU 리포트가 어떤 메시지 내용(67)을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영역을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가 이 MM 확인 선택 영역(65)을 마우스 클릭 등의 방법으로 선택하면, 팝업(Pop-Up) 창과 같은 형태로 사용자에게 MM의 메시지 내용(67)이 디스플레이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어떤 내용의 MM이 전송되는지 확인함과 아울러,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이 쉬워진다.
한편, PDU 리포트는 각각의 트랜잭션별 PDU 리포트 또는 전반적인 PDU 리포트를 저장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 의해 저장 명령이 입력되는 PDU 리포트 저장 선택 영역(69)이 제공된다. 사용자가 현재 디스플레이 되는 PDU 리포트를 데이터 화일로 저장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가 저장 선택 영역(69)을 선택하면 텍스트(text), 워드(doc), 멀티미디어 통합 언어(Smil) 등으로 PDU 리포트가 저장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이후에 저장된 PDU 리포트를 확인하여 개발작업을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MMS의 검증 과정은 트랜잭션 그래프를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사용자가 트랜잭션 그래프를 확인하는 중에 트랜잭션 그래프에 표현된 어느 하나의 화살표 또는 메시지를 선택하면, 이에 해당하는 PDU 리포트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전반적이 MMS 서비스의 진행은 트랜잭션 그래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므며, 각 트랜잭션의 상세 내용은 트랜잭션 그래프의 선택에 따라 디스플레이 되는 PDU 리포트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MMS 전송처리 검증 과정을 매우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 1 단계는 전술한 모니터링부는 트랜잭션이 발생하면, 발생된 트랜잭션별로 PDU를 추출한다(S10). 제 2 단계에서는 추출된 PDU는 PDU 분석부에 의해 분석되어 트랜잭션 그래프 작성 및 PDU 리포트 작성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된다(S20). 그리고, 제 3 단계에서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는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취합하여 트랜잭션 그래프을 작성한다(S30). 마지막으로 제 4 단계에서, PDU 리포트 작성부는 각 트랜잭션별 PDU 리포트를 작성한다(S40).
그리고, PDU 리포트 작성부는 PDU 리포트 작성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PDU 필드명 리스트와 필드값 리스트를 MMS와 HTTP로 나누어 작성하게 된다.
도 9는 작성된 PDU 리포트와 트랜잭션 그래프를 이용하는 과정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트랜잭션 그래프 및 PDU 리포트의 작성(S30, S40)은 트랜잭션이 발생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트랜잭션 그래프 및 PDU 리포트의 작성 종료 후 또는 작성 중에 사용자는 트랜잭션과 PDU 리포트를 확인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PDU 리포트를 확인하던 사용자가 제 1 부단계(S100) 단계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되는 PDU 리포트 중 필드명, 필드값, 디지트 코드 또는 캐릭터 코드 중 어느 하나를 지정하면, 제 2 부단계(S110)에서와 같이 선택된 부분과 그에 대응하는 다른 부분이 음영처리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여 부각되어 표시된다.
한편, 트랜잭션 그래프 및 PDU 리포트를 확인하던 사용자가 MM을 확인하고자 제 3 부단계에서와 같이 MM 확인을 선택(S210)하게 되면, 제 4 부단계에서와 같이 해당 트랜잭션 또는 해당 PDU 리포트에서 확인 가능한 형태의 MM이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220).
또한, 제 5 부단계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PDU 리포트를 저장하기 위해 PDU 리포트 저장을 선택(S310)하면, 제 6 부단계에서 PDU 리포트는 사용자가 지정한 형태의 파일 포맷으로 저장된다(S320).
아울러, 제 7 부단계에서 사용자가 트랜잭션 그래프에 표시된 어느 한 트랜잭션 화살표 또는 트랜잭션을 선택하면(S410), 제 8 부단계에서 선택된 트랜잭션에 해당하는 PDU 리포트가 표시되어 사용자에게 제공된다(S420).
상술한 제 1 내지 제 8 부단계 중에서 제 1, 제 3, 제 5 및 제 7 부단계의 선후 관계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취한 순서일뿐, 우선순위로 구애받지 않는다. MMS 전송처리 검증 과정을 모니터링 하는 과정에서 제 1, 제 3, 제 5 및 제 7 부단계는 여러 번에 걸쳐 반복될 수 있으며, 불특정하게 진행될 수 있다.
도 10은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에서의 모니터링 방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1 단계에서, MMS 검증 서버의 MMS 환경 설정부를 통해 사용자가 검증하고픈 MMS 환경을 설정한다(S1000). MMS 환경이 설정되면, 제 2 단계에서 설정된 MMS 환경이 적용된 MM이 작성되고, 작성된 MM은 송신 가입자 단말로부터 MMS 검증 서버로 전송된다(S1100). MM이 MMS 검증 서버로 전송되면, 제 3 단계에서 MMS 검증 서버는 수신한 MM을 수신 가입자 단말로 전송한다(S1200).
그리고, MMS 검증 서버의 모니터링부는 제 4 단계에서, 제 1 내지 제 3 단계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감지하고, 각 트랜잭션의 PDU를 추출한다(S1300). PDU를 추출한 후 제 5 단계에서 추출된 PDU를 분석한다(S1400). 아울러, 제 1 부단계에서, 모니터링부는 트랜잭션과정이 기록된 트랜잭션 그래프를 작성하고(S1500), 제 2 부단계에서 모니터링부는 PDU 리포트를 작성한다(S1600). 그리고, 작성된 트랜잭션 그래프와 PDU 리포트를 사용자가 확인하여 MMS 전송처리 검증 과정의 진행에 따른 오류 검사, 수정, 개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은 다양한 이동통신사에서 제공하는 MMSE를 제공하고, 다양한 MMSE에서 MMS의 송수신 검증을 수행하며, 검증 과정을 추적하여 오류 발견이 용이하게 함 으로써 다양한 MMSE에서의 이동통신 단말기 개발을 종래보다 손쉽고 빠르게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은 검증 과정을 추적하고 오류 발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트랜잭션에 따른 PDU를 추출 및 분석하고, 트랜잭션 그래프 및 PDU 리포트를 작성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MMS 전송처리에 따른 검증을 보다 용이하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은 PDU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PDU 리포트에 PDU 필드명, 필드값, 디지트 코드 및 캐릭터 코드를 함께 표기함과 아울러, 사용자에 의해 어느 하나가 선택되는 경우 선택된 부분과 대응되는 필드명, 필드값, 디지트 코드 및 캐릭터 코드를 부각시켜 포함함으로써 오류의 확인 및 검증 과정의 분석을 보다 쉽고 빠르게 수행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개발 기간을 단축시키고, 개발 비용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은 트랜잭션 그래프 또는 PDU 리포트의 확인 중에 전달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전송되는 멀티미디어 메시지의 정상여부 판단이 용이하 도록 하며, 트랜잭션 그래프의 선택에 따라 해당 PDU 리포트를 디스플레이하여, 오류의 발견 및 검증 진행과정의 제어가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원하는 때에 원하는 자료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개발자의 개발 편의성을 증대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Claims (28)

  1. 송신 가입자 단말,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검증 서버 및 수신 가입자 단말 간의 MMS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는 모니터링 수단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트랜잭션 각각의 PDU(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추출하는 PDU 추출부와, 추출된 상기 PDU를 분석하는 PDU 분석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 상기 MMS 검증 서버 및 상기 수신 단말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 MM)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생성하는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분석부의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상기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 값 리스트를 제공하는 PDU 리포트 작성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 니터링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디지트(Digit)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트 코드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트 코드는,
    16진수 디지트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디지트 코드 표시에 대응하는 캐릭터 코드를 표시하는 캐릭터 코드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7.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필드명 리스트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헤더와 MMS 헤더를 구분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8.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필드명 리스트, 상기 필드 값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필드명 또는 상기 필드 값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디지트 코드 중 해당하는 상기 디지트 코드 집합을 선택적으로 부각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9. 제 3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선택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 선택 영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10. 제 3 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PDU 리포트의 저장을 선택할 수 있는 저장 선택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저장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PDU 리포트를 컴퓨터 화일 형태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11. 제 2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 수단은,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 상기 MMS 검증 서버 및 상기 수신 단말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멀티미디어 메시지(Multimedia Message : MM) 전송에 의해 발생하 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생성하는 트랜잭션 그래프 생성부를 더 구비하되,
    상기 트랜잭션 그래프의 상기 화살표를 사용자가 선택하는 경우, 해당 상기 트랜잭션의 상기 PDU 리포트를 디스플레이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
  12. 송신 가입자 단말, MMS(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검증 서버 및 수신 가입자 단말 간의 MMS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PDU(프로토콜 데이터 유닛) 추출부와 PDU 분석부를 구비하는 모니터링부를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트랜잭션에 따른 PDU를 추출하는 제 1 단계 및;
    상기 모니터링부가 추출된 상기 PDU를 분석하는 제 2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 상기 MMS 검증 서버 및 상기 수신 단말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MM(멀티미디어 메시지)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생성하는 제 3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제 2 단계 이후에,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PDU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상기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 값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디지트(Digit) 코드를 표시하기 위한 디지트 코드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트 코드는,
    16진수 디지트 코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디지트 코드 표시에 대응하는 캐릭터 코드를 표시하는 캐릭터 코드 표시영역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18.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더 필드명 리스트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헤더와 MMS 헤더를 구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19. 제 15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헤더 필드명 리스트, 상기 필드 값 리스트 중 어느 하나의 상기 필드명 또는 상기 필드 값을 선택하는 제 1 부단계와,
    상기 디지트 코드 중 상기 입력에 해당하는 상기 디지트 코드 집합을 선택적으로 부각하여 표시하는 제 2 부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20.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MM 확인 선택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 상기 MM 확인 선택 영역을 선택하는 제 3 부단계와,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MM을 디스플레이하는 제 4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21. 제 14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PDU 리포트는 상기 PDU 리포트의 저장을 선택할 수 있는 저장 선택 영역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가 상기 PDU 리포트의 저장을 선택하면, 상기 PDU 리포트가 커퓨터 화일 형태로 저장되는 제 5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22.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가,
    상기 PDU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상기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 값 리스트를 작성하는 제 4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화살표를 선택하는 경우, 해당 상기 트랜잭션의 상기 PDU 리포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제 6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이용한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
  23.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가입자 단말 및;
    상기 가입자 단말과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MMS 검증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이 있어서,
    상기 MMS 검증 서버는,
    MMS 환경 정보를 설정하는 MMS 환경 정보 설정부와;
    복수의 상기 MMS 환경 정보를 저장하는 MMS 환경 정보 저장부와;
    상기 가입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MM(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가입자 단말이 지정한 상기 MMS 환경 정보에 따라 전송처리하는 MMS 메시지 전송부와;
    상기 MM의 전송처리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상기 트랜잭션 각각의 PDU(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추출하고 분석하는 MMS 모니터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가입자 단말은,
    상기 지정된 MMS 환경 정보에 따라 상기 MM의 전송처리를 수행하는 MMS 클라이언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 검증을 위한 모니터링부를 가지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MMS 모니터링부는,
    상기 가입자 단말 중 송신 가입자 단말, 상기 MMS 검증 서버 및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MM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가지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링부는,
    상기 PDU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상기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 값 리스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MMS 모니터링부를 가지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26. PC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송신 가입자 단말, 수신 가입자 단말 및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는 MMS 검증 서버를 통해 가입자 단말의 MMS 클라이언트를 검증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이 자신이 검증하고자 하는 이동통신 서비스사의 MMS 환경에 따라 상기 MMS 검증 서버의 MMS 환경 정보를 설정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이 MM(멀티미디어 메시지)를 상기 MMS 검증 서버로 전송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MMS 검증 서버가 수신된 상기 MM을 상기 설정된 MMS 환경에 따라 상기 수신 가입자 단말로 전송처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MMS 검증 서버가 상기 MM 전송에 따라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PDU(프로토콜 데이터 유닛)를 추출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MMS 검증 서버가 상기 추출된 PDU를 분석하는 제 5 단계 및;
    상기 MMS 검증 서버가 상기 분석 결과를 상기 가입자 단말로 전송하는 제 6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또는 상기 제 6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는,
    상기 MMS 검증 서버가 상기 송신 가입자 단말, 상기 MMS 검증 서버 및 상기 수신 단말 각각을 축으로 하여 단일의 MM 전송에 의해 발생하는 트랜잭션 각각의 명칭, 출발지, 목적지를 화살표로 표시하는 트랜잭션 그래프를 생성하는 제 1 부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28.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 또는 상기 제 6 단계 중 적어도 어느 한 단계는,
    상기 분석 결과에 따라 상기 MMS 검증 서버가 상기 PDU를 구성하는 헤더의 필드명 리스트와 상기 필드명에 대응하는 필드 값 리스트를 제공하는 제 2 부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MMS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을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KR1020050086961A 2005-09-16 2005-09-16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KR100620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961A KR100620331B1 (ko) 2005-09-16 2005-09-16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961A KR100620331B1 (ko) 2005-09-16 2005-09-16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0331B1 true KR100620331B1 (ko) 2006-09-06

Family

ID=3762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961A KR100620331B1 (ko) 2005-09-16 2005-09-16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03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16B1 (ko) 2007-09-21 2010-02-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ms 송수신 품질 자동 측정 방법
KR100942915B1 (ko) 2007-09-21 2010-02-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Sms 송수신 품질 자동 측정 방법
KR100986376B1 (ko) * 2008-05-08 2010-10-08 주식회사 팬택 Mms 메시지 전송 상태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통신단말기
CN108600971A (zh) * 2018-04-13 2018-09-28 卓望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彩信接收结果监测装置与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73A (ko) * 2002-10-09 2004-04-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dsn 실시간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40052969A (ko) * 2004-05-21 2004-06-23 배인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엠엠에스 전용 송수신 중계시스템 및송수신방법
KR20040083682A (ko) * 2003-03-24 2004-10-0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멀티미디어 서비스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2373A (ko) * 2002-10-09 2004-04-17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dsn 실시간 감시 장치 및 방법
KR20040083682A (ko) * 2003-03-24 2004-10-06 학교법인 포항공과대학교 멀티미디어 서비스 트래픽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040052969A (ko) * 2004-05-21 2004-06-23 배인철 무선통신망을 이용한 엠엠에스 전용 송수신 중계시스템 및송수신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2916B1 (ko) 2007-09-21 2010-02-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Mms 송수신 품질 자동 측정 방법
KR100942915B1 (ko) 2007-09-21 2010-02-22 주식회사 이노와이어리스 Sms 송수신 품질 자동 측정 방법
KR100986376B1 (ko) * 2008-05-08 2010-10-08 주식회사 팬택 Mms 메시지 전송 상태 표시 방법 및 그를 위한통신단말기
US9100496B2 (en) 2008-05-08 2015-08-04 Pantech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transmission status of MMS (multimedia message service) message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US9357363B2 (en) 2008-05-08 2016-05-31 Pantech Co., Ltd. Method for displaying transmission status of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US10162490B2 (en) 2008-05-08 2018-12-25 Goldpeak Innovantions Inc. Method for displaying transmission status of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US10540066B2 (en) 2008-05-08 2020-01-21 Goldpeak Innovations Inc Method for displaying transmission status of 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message and tele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CN108600971A (zh) * 2018-04-13 2018-09-28 卓望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彩信接收结果监测装置与方法
CN108600971B (zh) * 2018-04-13 2021-07-13 卓望信息技术(北京)有限公司 一种彩信接收结果监测装置与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716922B (zh) 移动装置消息传送的方法和系统
CN1788474B (zh) 对寻址到客户机终端的消息进行处理的方法、装置和系统
KR100841352B1 (ko) 국제 메시지 전송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운용하는 방법
KR100540241B1 (ko) 메시지 관리방법
US8019818B2 (e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8774844B2 (en) Integrated messaging
JP4414090B2 (ja) ディジタル・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既存のメッセージに基づくサービスを用いて情報を転送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080082678A1 (en) Communications Network System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060184609A1 (en) Simplified scheme of rich content messaging from PC to mobile devices
EP1571792B1 (en)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050144243A1 (en) Multi-language wireless email transmiss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CN1981494B (zh) 消息转送系统和消息转送方法
KR100738040B1 (ko) 개방형 모바일 비즈니스 지원 시스템의 api 제공 방법
KR100620331B1 (ko) 엠엠에스 전송처리 과정 추적 및 표시가 가능한 엠엠에스 모니터링부와 이를 구비하는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송처리 검증 방법
US7010790B2 (en) Modular method and device for the tracing of a multimedia message through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20060136893A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product for adapting software applications for client devices
CN112689005B (zh) 消息发送方法及装置、存储介质、电子装置
US8284052B2 (en) Messaging engine health check
EP2490467A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registering a user
EP2599268A1 (en) Method for sending out mobile financial summaries
US20140040087A1 (en) Method for sending out mobile financial summaries
KR100620333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엠엠에스 전송처리 검증 시스템 및 검증 방법
KR100587578B1 (ko) 메신저를 통해 작성된 메시지 통신 방법
KR20070071381A (ko) 이동통신 기반의 콘텐츠 식별자를 이용한 메시지 서비스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단말기
JP2022143503A (ja) メッセージ通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