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388B1 -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388B1
KR100619388B1 KR1020020045814A KR20020045814A KR100619388B1 KR 100619388 B1 KR100619388 B1 KR 100619388B1 KR 1020020045814 A KR1020020045814 A KR 1020020045814A KR 20020045814 A KR20020045814 A KR 20020045814A KR 100619388 B1 KR100619388 B1 KR 100619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overhead message
message
overhead
i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2300A (ko
Inventor
최진태
이재문
변재완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38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2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2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3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으로, 기지국#1과의 동조 상태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기지국#2로 동조하여 수신된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기지국#1로 동조하여 기지국#1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확인하며, 확인된 메시지 시퀀스와 기 저장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비교하는 단계와, 비교한 메시지 시퀀스가 동일하면 기 저장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갱신하며,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며, 이동 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호 처리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이 훨씬 빨라지며,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이 최소화되어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METHOD FOR IDLE HANDOFF OF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1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2에서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에서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이동 단말기 20, 25 : 기지국
30 : 기지국 제어장치 35 : 기지국 관리장치
40 : 교환기 45 : 방문자 위치 등록기
50 : 인증센터 55 : 홈 위치 등록기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Idle Handoff)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아이들 핸드오프 발생시 이전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를 저장한 후에 현재 셀에서 이전 셀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저장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활용하도록 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의 구성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Mobile Station; MS), 기지국(20, 25)(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기지국 제어장치(30)(Base Station Controller; BSC), 기지국 관리장치(35)(Base Station Manager; BSM), 교환기(40)(Mobile Switching Center; MSC), 방문자 위치 등록기(45)(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인증센터(50)(Authentication Center; AC), 홈 위치 등록기(55)(Home Location Register; HLR)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0)는 사람이 소지하고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복수의 셀(A, B 등)로 이루어진 서비스 영역내에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임의의 기지국(20, 25)의 범위 내에 있고, 이동 단말기(10)의 정보는 기지국(20, 25)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30)를 거쳐 교환기(40)에 전송되며, 교환기(4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20, 25) 및 기지국 제어장치(30)를 거쳐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된다.
기지국(20, 25)은 이동 단말기(10)를 기지국 제어장치(30)에 접속시키며, 디지털 채널 장치(Digital Channel Unit; DCU), 시간/주파수 제어 장치(Timing/Frequency Control Unit; TCU), 무선주파수 장치(Radio Frequency Unit; RFU), 및 위치정보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기지국(20, 25)은 이동 단말기(10)와 무선을 통해 통신하고, 기지국 제어장치(30)와 유선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유무선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기지국 제어장치(30)는 기지국(20, 25)을 교환기(40)에 접속시켜 기지국(20, 25)간의 연결을 조정하며, 다수의 기지국(20, 25)을 지원하고, 기지국(20, 25)과 교환기(40)간의 통신을 위한 신호처리 기능을 한다.
교환기(40)는 이동전화 가입자가 전화를 걸거나 받을 때 호를 연결하며, 기지국 제어장치(30)와 접속하여 이동 단말기(10)의 통화설정 및 해제 기능 등을 수행하고, 호 처리 및 부가서비스의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며, 다른 망과의 연동 기능을 수행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45)는 교환기(40)가 서비스하는 지역의 방문 가입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자신이 담당하는 영역으로 위치 등록한 이동 단말기(10) 및 가입자의 정보를 홈 위치 등록기(55)로부터 가져와 일시적으로 저장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45)는 통상적으로 교환기(40)에 실장된다.
홈 위치 등록기(55)는 이동 단말기(10)와 가입자의 영구적인 정보, 위치정보, 및 부가서비스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인증센터(50)는 교 환기(40)와 상호 작용하여 호 처리 및 부가서비스와 관련된 각종 기능을 수행하고 서비스를 통제하는 역할을 한다.
보통 하나의 서비스망에는 다수의 홈 위치 등록기(55)가 존재할 수 있고, 하나의 홈 위치 등록기(55)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교환기(40)가 접속될 수 있으며, 하나의 교환기(40)에는 여러 개의 기지국 제어장치(30)가 접속될 수 있으며, 하나의 기지국 제어장치(30)에는 여러 개의 기지국(20, 25)이 접속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10)는 노 파일럿(No Pilot) 상태, 파일럿 채널(Pilot Channel) 획득상태, 동기 채널(Sync Channel) 획득상태 등의 노 서비스(No Service) 상태에서 아이들 상태로 정상적으로 천이하기 위해서는 먼저 셀(기지국 또는 섹터)에서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로 내려오는 기본 정보인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야 한다.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 후에 이동 단말기(10)는 정상적으로 발신이 가능하며 착신을 받기 위해 주기적으로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그리고, 기지국(20, 25)이나 섹터간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한 후에도 이동 단말기(10)에서 발신/착신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핸드오프 후 액티브(Active)인 기지국이나 섹터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다 수신하여야 한다.
현재 실용화된 CDMA2000 1X 및 IS-95 A/B 이동 통신 시스템의 셀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에는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System Parameter Message), 엑세 스 파라미터 메시지(Access Parameter Message), CDMA 채널 리스트 메시지(CDMA Channel List Message), 네이버 리스트 메시지(Neighbor List Message), 익스텐디드 시스템 파라미터 메시지(Extended System Parameter Message) 등이 있으며, 이러한 오버헤드 메시지의 파라미터는 최적화 용도로 기지국마다 다르게 운용할 수 있으나 최적화 작업이 어느 정도 끝난 후에는 시스템 운용자가 거의 변경하는 일이 없다, 또한 파라미터 값은 기지국마다 크게 차이가 없고 거의 동등한 값으로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CDMA2000 1X 및 IS-95A/B 규격에는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를 1.28sec내에 1번 이상 셀에서 송신하도록 되어 있고, 운용자가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를 변경하였을 때 오버헤드 메시지내에 있는 메시지 시퀀스(Message Sequence)가 +1 씩 증가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에서는 페이징 채널로 내려오는 메시지 시퀀스를 확인하고 기존에 저장되어 있는 오버헤드 메시지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1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지국#2에서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가 A 셀에서 B 셀로 이동한 후에 다시 A 셀로 이동할 경우의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A 셀에서 B 셀로의 이동의 경우에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Sleep Mode)에서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확인하기 위해 기지국#1(20)과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S11∼S13).
이동 단말기(10)는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시 파일럿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데, 기지국#2(25)의 파일럿 신호세기가 기지국#1(20)의 파일럿 신호세기와 비교할 때에 일정 레벨(현재 3 dB) 더 크면, 즉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기지국#2(25)로 동조하며,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지국#1(20)로의 동조를 유지한다(S15∼S21).
기지국#2(25)로 동조한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아이들 상태로 천이된다(S23∼S27).
이때,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오버라이트(Overwrite)된다(S29).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로 천이된 후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 값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메시지 시퀀스(Message Sequence)를 확인하여 기존 오버헤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31∼S35).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시 발신 처리를 시도하며, 착신 요구가 발생되면 해당 통화로에 이동 단말기(10)를 연결하여 착신 처리한다(S37).
다음으로, B 셀에서 A 셀로의 복귀 이동의 경우에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Sleep Mode)에서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확인하기 위해 기지국#1(20)과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S52∼S54).
이동 단말기(10)는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시 파일럿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데, 기지국#1(20)의 파일럿 신호세기가 기지국#2(25)의 파일럿 신호세기와 비교할 때에 일정 레벨(현재 3 dB) 더 크면, 즉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기지국#1(20)로 동조하며,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지국#2(25)로의 동조를 유지한다(S56∼S62).
기지국#1(20)로 동조한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1(20)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아이들 상태로 천이된다(S64∼S68).
이때,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는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오버라이트(Overwrite)된다(S70).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로 천이된 후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 값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1(20)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메시지 시퀀스(Message Sequence)를 확인하여 기존 오버헤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72∼S76).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시 발신 처리를 시도하며, 착신 요구가 발생되면 해당 통화로에 이동 단말기(10)를 연결하여 착신 처리한다(S78).
한편, 보통 트래픽(Traffic) 상태에서 보면 셀간의 소프트(Soft) 핸드오프(Softer Handoff 포함)비율이 70% 이상이 발생하고 있으며, 셀간의 경계지역이 많이 오버레이(Overlay)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10)에서 아이들 상태에 있어도 전파세기가 다양하게 변화하는 것을 고려하면 많은 지역에서 아이들 핸드오프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신호세기가 비슷한 셀 경계지역에 있는 이동 단말기(10)는 아이들 핸드오프가 자주 발생하고, 아이들 핸드오프 발생 시에 가입자가 호를 시도하기 위해서는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를 다 수신하여야 한다.
이러한 경계지역에 있는 이동 단말기(10)에서 계속적인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호 처리가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단말기(10)에서는 단계 S17 및 S58과 같이 마진(Margin)을 두어 셀간의 신호세기가 3dB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에만 아이들 핸드오프를 수행한다.
그러나, 마진을 두어도 경계지역에서는 자주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며, 빈번한 아이들 핸드오프로 인해 호 처리 지연이 발생되고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 변경 처리를 위해 이동 단말기(10)의 배터리가 심하게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한 것으로, 아이들 핸드오프 발생시 이전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한 후에 현재 셀에서 이전 셀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저장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호 처리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해 당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동작 시간을 최소화하여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를 최소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은, 기지국#1과의 동조 상태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기지국#2로 동조하여 수신된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와,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기지국#1로 동조하여 기지국#1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확인하며, 확인된 메시지 시퀀스와 기 저장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비교한 메시지 시퀀스가 동일하면 기 저장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갱신하며,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요지를 살펴보면, 이동 단말기는 액티브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와 올드 액티브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를 포함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A 셀에서 B 셀로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고 B 셀의 오버 헤드 메시지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여 아이들 상태가 되면 A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지우지 않고 B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 액티브 오버헤드 메시지로 저장하며, A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올드 액티브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저장한다.
B 셀에서 A 셀로 아이들 핸드오프가 다시 발생하였을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A셀의 오버헤드 메시지와 A 셀에서 내려오는 페이징 채널의 메시지 시퀀스를 비교하여 상호 동일하면 저장되어 있는 오버헤드 메시지가 유효한 것으로 판정하여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고, B 셀의 오버헤드를 올드 액티브 오버헤드 메시지로 저장하며, A 셀의 오허헤드 메시지를 현재 액티브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1을 통해 나타낸 바와 같으며, 이동 단말기(10)(Mobile Station; MS), 기지국(20, 25)(Base Station Transceiver Subsystem; BTS), 기지국 제어장치(30)(Base Station Controller; BSC), 기지국 관리장치(35)(Base Station Manager; BSM), 교환기(40)(Mobile Switching Center; MSC), 방문자 위치 등록기(45)(Visitor Location Register; VLR), 인증센터(50)(Authentication Center; AC), 홈 위치 등록기(55)(Home Location Register; HLR)로 구성된다.
이동 단말기(10)는 사람이 소지하고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복수의 셀(A, B 등)로 이루어진 서비스 영역내에서 통신할 수 있는 단말기로서, 임의의 기지국(20, 25)의 범위 내에 있고, 이동 단말기(10)의 정보는 기지국(20, 25)과 이를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장치(30)를 거쳐 교환기(40)에 전송되며, 교환기(40)로부터 전송되는 정보는 기지국(20, 25) 및 기지국 제어장치(30)를 거쳐 이동 단말기(10)로 전송된 다.
이동 단말기(10)는 액티브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와 올드 액티브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를 포함하며, 아이들 핸드오프 발생시 이전 셀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상기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한 후에 현재 셀에서 이전 셀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상기 저장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활용하여 아이들 상태로 천이된다.
이외의 구성 요소에 대한 그 기능 설명은 종래 기술을 통해 설명한 바와 유사하며,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유추될 수 있으므로 그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1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2에서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4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이동 단말기(10)가 A 셀에서 B 셀로 이동한 후에 다시 A 셀로 이동할 경우의 본 발명에 따른 핸드오프 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A 셀에서 B 셀로의 이동의 경우에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Sleep Mode)에서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확인하기 위해 기지국#1(20)과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S101∼S103).
이동 단말기(10)는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시 파일럿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데, 기지국#2(25)의 파일럿 신호세기가 기지국#1(20)의 파일럿 신호세기와 비교할 때에 일정 레벨(일예, 3 dB) 더 크면, 즉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기지국#2(25)로 동조하며,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지국#1(20)로의 동조를 유지한다(S105∼S111).
기지국#2(25)로 동조한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아이들 상태로 천이된다(S113∼S117).
이때,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며,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한다(S119∼S121).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로 천이된 후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 값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메시지 시퀀스(Message Sequence)를 확인하여 기존 오버헤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123∼S127).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시 발신 처리를 시도하며, 착신 요구가 발생되면 해당 통화로에 이동 단말기(10)를 연결하여 착신 처리한다(S129).
다음으로,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B 셀에서 A 셀로의 복귀 이동의 경우에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Sleep Mode)에서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확인하기 위해 기지국#1(20)과 기지국#2(25)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S152∼S154).
이동 단말기(10)는 페이징 채널 모니터링시 파일럿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데, 기지국#1(20)의 파일럿 신호세기가 기지국#2(25)의 파일럿 신호세기와 비교할 때에 일정 레벨(일예, 3 dB) 더 크면, 즉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면 기지국#1(20)로 동조하며, 아이들 핸드오프 조건을 만족하지 않으면 기지국#2(25)로의 동조를 유지한다(S156∼S162).
기지국#1(20)로 동조한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1(20)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확인하며, 확인된 메시지 시퀀스와 단계 S121에서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한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와 비교한다(S164∼S166).
단계 S166에서 메시지 시퀀스가 동일하면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1(20)에서 페이징 채널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지 않고,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갱신하여 아이들 상태로 천이한다(S168∼S170). 이때,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한다(S172).
단계 S166에서 메시지 시퀀스가 동일하지 않으면 이동 단말기(10)는 기지국#1(20)에서 페이징 채널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해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여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며, 기지국#1(20)의 페이징 채널로부터 수신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한다. 이때,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1(20)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새 로운 메시지 시퀀스를 갖는 오버헤드 메시지로 오버라이트(Overwrite)된다(S174∼S180).
다음으로, 단계 S172 또는 S180의 수행 이후에 이동 단말기(10)는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2(25)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여 이후의 또 다른 아이들 핸드오프 발생시에 활용 가능하도록 한다(S182).
그리고, 이동 단말기(10)는 슬리프 상태로 천이된 후 슬롯 사이클 인덱스(Slot Cycle Index) 값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1(20)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이때 메시지 시퀀스(Message Sequence)를 확인하여 기존 오버헤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한다(S184∼S188).
또한, 이동 단말기(10)는 사용자의 발신 요청시 발신 처리를 시도하며, 착신 요구가 발생되면 해당 통화로에 이동 단말기(10)를 연결하여 착신 처리한다(S190).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국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다.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고정점이나 이동 중에 있는 두 셀의 경계지역에서 이동 단말기는 반복적인 아이들 핸드오프 후에 정상적인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기 위하여 에어 상으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기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활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에서 정상적으로 호 처리를 시도할 수 있는 시간이 훨씬 빨라지며, 해당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이 최소화되어 배터리 소모가 최소화된다.
특히, CDMA2000 1X 및 95A/B와 1xEV-DO 하이브리드 모드(Hybrid Mode)로 동작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효과가 기대된다. 현재 1xEV-DO보다 1X가 우선권이 높으므로 1xEV-DO 호 처리 도중에 1X의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이 되면 1xEV-DO 호 처리를 중단하고 1X 페이징을 모니터링하여 페이징의 유무를 확인하고 1X의 페이징이 없을 때 다시 1xEV-DO로 와서 계속적으로 호 처리를 시도한다. 그러나 1X 페이징을 모니터링할 때 셀간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하면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해야 됨으로 이때 1xEV-DO 호 처리는 실패할 수 있다. 따라서 셀의 경계지역에 있는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는 1xEV-DO 호 처리에 영향을 크게 줄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핸드오프 방법에 의하면 보다 더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으며, CDMA2000 1X나 95B의 엑세스 핸드오프시에도 보다 빨리 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기지국#1이 관장하는 셀과 기지국#2가 관장하는 셀 사이의 핸드오프 처리 방법에 있어서,
    기지국#1과의 동조 상태에서 기지국#2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기지국#2로 동조하여 수신된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1 단계와,
    기지국#1로의 아이들 핸드오프가 발생되면 기지국#1로 동조하여 기지국#1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확인하며, 확인된 메시지 시퀀스와 기 저장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비교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비교한 메시지 시퀀스가 동일하면 기 저장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갱신하며,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저장하는 제 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슬리프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확인하기 위해 기지국#1과 기지국#2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파일럿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 11 단계와,
    기지국#2의 파일럿 신호세기가 기지국#1의 파일럿 신호세기와 비교할 때에 일정 레벨 더 크면 기지국#2로 동조하는 제 12 단계와,
    기지국#2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여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갱신하며,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가 정상적으로 수신되면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는 제 13 단계와,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며,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14 단계와,
    슬리프 상태로 천이된 후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2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메시지 시퀀스에 의거하여 기존 오버헤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 15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슬리프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페이징을 확인하기 위해 기지국#1과 기지국#2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파일럿의 신호세기를 측정하는 제 21 단계와,
    기지국#1의 파일럿 신호세기가 기지국#2의 파일럿 신호세기와 비교할 때에 일정 레벨 더 크면 기지국#1로 동조하는 제 22 단계와,
    기지국#1의 페이징 채널에서 내려오는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확인하며, 확인된 메시지 시퀀스와 기 저장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의 메시지 시퀀스를 비교하는 제 2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단계는,
    상기 비교한 메시지 시퀀스가 동일하면 기 저장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의 오버헤드 메시지로 갱신하여 아이들 상태로 천이하는 제 31 단계와,
    상기 기 저장된 기지국#1의 오버헤드 메시지를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며, 상기 현재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기존에 저장되어 있던 기지국#2의 오버헤드 메시지는 과거 오버헤드 메시지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 32 단계와,
    슬리프 상태로 천이된 후 슬롯 사이클 인덱스 값에 따라 주기적으로 기지국#1의 페이징 채널을 모니터링하여 메시지 시퀀스에 의거하여 기존 오버헤드 메시지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제 33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KR1020020045814A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KR100619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14A KR100619388B1 (ko)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5814A KR100619388B1 (ko)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00A KR20040012300A (ko) 2004-02-11
KR100619388B1 true KR100619388B1 (ko) 2006-09-05

Family

ID=37320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5814A KR100619388B1 (ko) 2002-08-02 2002-08-02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3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9095B1 (ko) * 2004-11-04 2012-06-12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무선접속 시스템에서 유휴 모드 이동국의 아이피주소 갱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전송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221A (en) * 1994-10-26 1996-1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edicting motion of mobile terminals
KR20010017860A (ko) * 1999-08-16 2001-03-05 이계철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WO2001058182A2 (en) * 2000-02-05 2001-08-09 Ericsson Inc. Position assisted handoff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6393282B1 (en) * 1999-01-14 2002-05-21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base station searching fun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72221A (en) * 1994-10-26 1996-11-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predicting motion of mobile terminals
US6393282B1 (en) * 1999-01-14 2002-05-21 Kabushiki Kaisha Toshiba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with base station searching function
KR20010017860A (ko) * 1999-08-16 2001-03-05 이계철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불필요한 핸드오프 감소 방법
WO2001058182A2 (en) * 2000-02-05 2001-08-09 Ericsson Inc. Position assisted handoff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2300A (ko) 2004-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8452B2 (en) Communications system
US7747275B2 (en) Cell sel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CN101595752B (zh) 电信系统中的移动性管理
US8219117B2 (en) Method of paging a mobile terminal
US20080014930A1 (en) Managing user profile information
US20080070574A1 (en) Registration Of A Mobile Station In A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AU7857494A (en) Location updating in a cellular radio network
WO2009033945A1 (en) Power-aware selection of radio access technology
CA2506904C (en) Cell selection in mobile communications
US7551934B2 (en) Cel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s system
CA2615730C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optimizing the operational times and cell change performance of mobile terminals
KR10061938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아이들 핸드오프 방법
JP2006333408A (ja) 通信管理システム、移動端末及び通信管理方法
CN116981003A (zh) 一种终端设备网络连接切换方法及装置
KR20020070618A (ko) 이동 단말의 위치 영역 관리 방법
Yaqub et al. Architecture supporting network discovery in future heterogeneous networks
Escalle et al. Evaluating registration and interrogation costs in a PCS network
Quintero et al. Location management in third-generation networks: a user mobility approach
GB2408895A (en) Network selection based upon subscriber&#39;s network ident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50214

Effective date: 200606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