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9124B1 - Moisture proof plug blade - Google Patents

Moisture proof plug blad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9124B1
KR100619124B1 KR1020040000525A KR20040000525A KR100619124B1 KR 100619124 B1 KR100619124 B1 KR 100619124B1 KR 1020040000525 A KR1020040000525 A KR 1020040000525A KR 20040000525 A KR20040000525 A KR 20040000525A KR 100619124 B1 KR100619124 B1 KR 100619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plug blade
insulating layer
blade
r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052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72211A (en
Inventor
수툰리
Original Assignee
젬 터미널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젬 터미널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젬 터미널 인더스트리얼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40000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9124B1/en
Publication of KR20050072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22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9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91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플러그 블레이드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부는 이 후방부의 제1면에서부터 이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의 제2면을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후방부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의 후방부의 관통공을 메운다. 상기 절연층은 플러그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공정 시에 내측 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플랜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The plug blade includes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The rear portion has a through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and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rear portion located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rear part by injection molding, and the through hole of the rear part of the plug blade is filled. The insulating layer includes a flange which abu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housing of the plug,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plug housing.

Description

방습 플러그 블레이드{MOISTURE PROOF PLUG BLADE}Moisture Proof Plug Blade {MOISTURE PROOF PLUG BLADE}

도 1은 종래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plug blade.

도 2는 상기 종래의 플러그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plug.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일렬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w of plug blad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각 플러그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절연층이 제거된 도 3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lade of FIG. 3 with an insulating layer removed, to show the structure of each plug blade;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블레이드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blad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각 플러그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절연층이 제거된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lade of FIG. 5 with the insulating layer removed, to show the structure of each plug blade;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블레이드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blad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각 플러그 블레이드의 구조를 보여주기 위하여, 절연층이 제거된 도 7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blade of FIG. 7 with the insulating layer removed, to show the structure of each plug blade;

도 9는 도 3의 플러그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측면도.FIG. 9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from the plug blade of FIG. 3; FIG.

도 9a는 도 9에서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9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ircled in FIG. 9;

도 10은 도 3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1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blade of FIG. 3.

도 11은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측면도.FIG. 11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of the plug blade of FIG. 5; FIG.

도 12는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blade of FIG.

도 13은 도 3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단면도.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of the plug blade of FIG.

도 14는 도 13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도 15는 도 7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단면도.FIG. 15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from the plug blade of FIG. 7; FIG.

도 16은 도 15의 반제품 플러그로 구성된 플러그의 사시도.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consisting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15; FIG.

도 17은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단면도.FIG. 17 is a cross sectional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from the plug blade of FIG. 5; FIG.

도 18은 도 17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FIG. 18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17; FIG.

도 19는 도 3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of the plug blade of FIG.

도 20은 도 19의 A-A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lane A-A of FIG. 19;

도 21은 도 19의 C-C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21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plane of FIG. 19;

도 22는 도 19의 반제품 플러그를 합체한 사시도.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도 23은 도 22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2; FIG.

도 24는 도 7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of the plug blade of FIG.

도 25는 도 24의 반제품 플러그를 합체한 사시도.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4 incorporated;

도 26은 도 25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FIG. 2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5; FIG.

도 27은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of the plug blade of FIG. 5; FIG.

도 28은 도 27의 반제품 플러그를 합체한 사시도.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7 incorporated; FIG.

도 29는 도 28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2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8;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ug blad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도 30의 각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FIG. 31 is a sectional view of each plug blade of FIG. 30; FIG.

도 31a는 도 31에서 원으로 표시한 부분의 확대도.FIG. 31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circled in FIG. 31. FIG.

도 32는 도 19와 유사한 절연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similar to FIG. 19.

도 33은 도 32의 B-B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3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plane of FIG. 32;

도 34는 도 32의 D-D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FIG. 3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plane of FIG. 32;

본 발명은 플러그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분이 플러그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 플러그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ug blad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isture resistant plug blade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getting into the plug.

플러그는 모든 산업 및 다른 분야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플러그는 소켓과 체결되어서, 습한 환경을 포함한 많은 장소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전기 용품이나 다른 전기 장치에 전류를 공급한다. 따라서, 각 플러그 블레이드의 외주면과 소켓에 있는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가 삽입되는 각 슬롯의 표면벽 사이의 틈새에 수분이 들어가면, 회로가 단락될 위험이 존재한다.Plugs are essential for all industries and other fields. The plug engages with the socket to provide electrical current to electrical appliances or other electrical devices that can be used in many places, including in wet environments. Thus, if moisture enters the gap betwee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each plug blade and the surface wall of each slot into which the plug blade in the socket is inserted, there is a risk of short circuit.

도 1 및 도 2는 보호 슬리브(2)가 장착된 종래의 플러그 블레이드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보호 슬리브(2)는 직사각형 단면으로서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1)가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21)을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보호 슬리브(2) 생산용 주형에는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된다. 또한, 상기 보호 슬리브(2)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1)는 개별적인 부재이므로, 상기 보호 슬리브(2)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1) 사이의 틈새를 통해 수분이 들어가는 것이 여전히 가능하다. 게다가, 상기 보호 슬리브(2)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1) 사이의 결합력이 부족하여, 전선을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1)에 연결하는 후속 공정 동안 상기 보호 슬리브(2)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1)에서 분리될 수 있다.1 and 2 illustrate a conventional plug blade equipped with a protective sleeve 2. The protective sleeve 2 has a rectangular cross section and includes a through hole 21 through which the plug blade 1 extends. However, additional costs are incurred in the mold for producing the protective sleeve 2. In addition, since the protective sleeve 2 and the plug blade 1 are separate members, it is still possible for moisture to enter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rotective sleeve 2 and the plug blade 1. In addition, there is a lack of bonding force between the protective sleeve 2 and the plug blade 1 such that the protective sleeve 2 is removed from the plug blade 1 during a subsequent process of connecting an electric wire to the plug blade 1. Can be sepa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이 플러그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 플러그 블레이드를 제공하여, 가능한 회로의 단락과 손상을 피하는 것이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isture resistant plug blade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getting inside the plug, to avoid possible short circuits and damage to the circui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연층이 견고하게 결합된 방습 플러그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oisture proof plug blade in which an insulating layer is firmly bonded.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블레이드는 전방부와 후방부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부는 이 후방부의 제1면에서부터 이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의 제2면을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상기 후방부 상에는 사출 성형에 의해 절연층이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 후방부의 관통공을 메운다. 상기 절연층은 플러그의 하우징 형성 공정 동안 내측 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플랜지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하우징의 내부로 수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The plug blad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omprises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The rear portion has a through hole extending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and penetrat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rear portion located opposite the first surface. An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rear portion by injection molding to fill the through holes in the plug blade rear portion. The insulating layer includes a flange that abuts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during the housing forming process of the plug,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plug housing.

본 발명의 다른 목적, 이점 및 새로운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 질 것이다.Other objects,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도 4,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 블레이드(3)는 도 3의 일렬의 플러그 블레이드(3)로부터 절단한 것으로, 이 플러그 블레이드(3)는 절연층(4)으로 봉합된 후방부(31)와 노출된 전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봉합된 후방부(31)는 이 후방부(31)의 제1면에서부터 이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31)의 제2면을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33)을 구비한다.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는 전기 전도성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3, 4, 9 and 10, the plug blade 3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ut from the plug blades 3 in the row of Figure 3, the plug blade 3 is an insulating layer ( And a back portion 31 and an exposed front portion 32 sealed with 4). The sealed rear portion 31 has a through hole 33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rear portion 31 located opposite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31. do. The plug blade 3 is made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metal.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4)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고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후방부(31)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절연층(4)은 그 후단부에 플랜지(41)를 포함해도 좋다. 내부에 각 플러그 블레이드(3)가 놓인 주형(도시 생략) 내로 용융 플라스틱 재료를 주입한다. 상기 용융 플라스틱 재료는 각 플러그 블레이드(3)의 관통공(33)도 메운다. 따라서, 상기 용융 플라스틱 재료의 경화 후에, 도 9 및 도 10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4)은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의 후방부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상기 플러그의 최종 제품을 제공하는 하우징(6 ; 도 14)의 일체적인 후속 형성 중에, 상기 절연층(4)의 플랜지(41)는 내측 프레임(5 ; 도 13)의 내측면에 맞닿는다. 따라서, 수분이 상기 플러그 하우징(6)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이 방지된다. As shown in FIG. 3, the insulating layer 4 is made of plastic and formed on the rear portion 31 by injection molding. The insulating layer 4 may include a flange 41 at the rear end thereof. The molten plastic material is injected into a mold (not shown) in which each plug blade 3 is placed. The molten plastic material also fills through holes 33 in each plug blade 3. Thus, after curing of the molten plastic material, the insulating layer 4 is firmly bonded to the rear portion of each of the plug blades 3, as shown in FIGS. 9 and 10. During the integral subsequent formation of the housing 6 (FIG. 14) providing the final product of the plug, the flange 41 of the insulating layer 4 abuts against the inner side of the inner frame 5; Thus, moisture is prevented from entering the interior of the plug housing 6.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우선 각 플러그 블레이드(3) 상에 절연층(4)을 형성한다. 전선(도시 생략)의 단부를 각 플러그 블레이드(3)에 연결하고 난 후, 사출 성형에 의한 하우징(6) 형성 중에, 각 플러그 블레이드(3)를 내측 프레임(5)에 장착하는데, 이에 따라 장착 플러그는 내측 프레임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두 개의 플러그 블레이드(3)를 갖춘 플러그가 제공된다. 13 and 14, an insulating layer 4 is first formed on each plug blade 3. After connect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not shown) to each plug blade 3, each plug blade 3 is mounted to the inner frame 5 during the housing 6 formation by injection molding, whereby the mounting The plug is positioned by the inner frame. Therefore, a plug with two plug blades 3 is provided.

도 9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4)은 그 단부에 각 플러그 블레이드(3)의 노출된 전방부(32)에 접하는 경사진 단부면(46)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사진 단부면(46)은 플러그 블레이드(3)가 보다 적은 마찰로 소켓(도시 생략)의 슬롯(도시 생략) 내에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한다. As shown in FIGS. 9 and 9A, the insulating layer 4 may include an inclined end face 46 at its end that abuts the exposed front 32 of each plug blade 3. This inclined end face 46 allows the plug blade 3 to be inserted smoothly into the slot (not shown) of the socket (not shown) with less friction.

도 19는 도 3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A-A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의 C-C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19의 반제품 플러그를 합체한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우선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 상에 절연층(4)을 형성한다. 전선(도시 생략)의 단부를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에 연결하고 난 후, 사출 성형에 의한 하우징(6C) 후속 형성 동안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는 내측 프레임(5C)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블레이드는 내측 프레임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세 개의 플러그 블레이드(3)를 갖춘 플러그가 제공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4)의 플랜지(41)는 모따기된 모서리(4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4)의 잔여부는 모따기된 모서리(43)를 포함할 수 있다.19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of the plug blade of FIG. 2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plane A-A of FIG. 19. FIG. 2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C plane of FIG. 19. 2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2; FIG. First, an insulating layer 4 is formed on each of the plug blades 3. After connecting the ends of the electric wires (not shown) to the respective plug blades 3, each of the plug blades 3 is mounted to the inner frame 5C and thus during the subsequent formation of the housing 6C by injection molding. The plug blade is positioned by the inner frame. Therefore, a plug with three plug blades 3 is provided. As shown in FIG. 21, the flange 41 of the insulating layer 4 may include chamfered edges 42. As shown in FIG. 20, the remainder of the insulating layer 4 may include chamfered edges 43.

도 5 및 도 6은 다른 타입의 플러그 블레이드(3A)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를 부분적으로 절단한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이러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A)는 전방부(32)와 후방부(31)를 포함하는데, 이 후방부는 후방부의 제1면에서부터 이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31)의 제2면을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41)를 구비한 절연층(4A)이 상기 후방부(31)를 봉합하고, 상기 관통공(33)을 메운다. 상기 후방부(31)의 네 개의 면(34A)은 상기 전방부(32)의 네 개의 면보다 더 낮다. 절연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절연층(4A){상기 플랜지(41)는 제외}의 네 개의 면은 각각 상기 전방부(32)의 네 개의 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5 and 6 show another type of plug blade 3A. FIG. 11 is a side view partially cut away from the plug blade of FIG. 5;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blade of FIG. 5. In this embodiment, the plug blade 3A comprises a front portion 32 and a rear portion 31, the rear portion of which is located opposite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31, a through hole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thereof.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layer 4A having the flange 41 seals the rear portion 31 and fills the through hole 33. The four faces 34A of the rear part 31 are lower than the four faces of the front part 32. After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four surfaces of the insulating layer 4A (except the flange 41) are each at the same height as the four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32.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우선 각 플러그 블레이드(3A) 상에 절연층(4)을 형성한다. 전선(도시 생략)의 단부를 각각의 플러그 블레이드(3)에 연결하고 난 후, 후속되는 사출 성형에 의한 하우징(6) 형성 중에 각 플러그 블레이드(3)는 내측 프레임(5)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블레이드는 내측 프레임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두 개의 플러그 블레이드(3A)를 갖춘 플러그가 제공된다. 17 and 18, an insulating layer 4 is first formed on each plug blade 3A. After connect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not shown) to each plug blade 3, each plug blade 3 is mounted to the inner frame 5 during the formation of the housing 6 by subsequent injection molding, The plug blade is thus positioned by the inner frame. Therefore, a plug with two plug blades 3A is provided.

도 27은 도 5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제조된 반제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반제품 플러그를 합체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반제품 플러그로 제조된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우선 각 플러그 블레이드(3A) 상에 절연층(4)을 형성한다. 전선(도시 생략)의 단부를 각 플러그 블레이드(3A)에 연결하고 난 후, 사출 성형에 의한 하우징(6E)의 형성 중에 각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는 내측 프레임(5E)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블레이드는 내측 프레임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세 개의 플러그 블레이드(3A)를 갖춘 플러그가 제공된다. FIG. 2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emifinished plug made of the plug blade of FIG. 5; FIG. FIG. 28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7 incorporated; FIG. FIG. 29 is a perspective view of a plug made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8. FIG. First, the insulating layer 4 is formed on each plug blade 3A. After connect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not shown) to each plug blade 3A, each of the plug blades 3 is mounted to the inner frame 5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housing 6E by injection molding, thereby The plug blade is positioned by the inner frame. Therefore, a plug with three plug blades 3A is provided.

도 7 및 도 8은 다른 타입의 플러그 블레이드(3B)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A)는 전방부(32)와 후방부(31)를 포함하는데, 이 후방부는 후방부의 제1면에서부터 이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31)의 제2면을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을 구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41)를 구비한 절연층(4B)은 상기 후방부(31)를 봉합하고, 상기 관통공(33)을 메운다. 상기 후방부(31)의 두 개의 측부면(34B)은 상기 전방부(32)의 두 개의 측부면보다 더 낮다. 절연층이 형성된 후, 상기 절연층(4A){상기 플랜지(41)는 제외}의 두 개의 측부면은 각각 상기 전방부(32)의 두 개의 측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다. 7 and 8 show another type of plug blade 3B. In this embodiment, the plug blade 3A comprises a front portion 32 and a rear portion 31, which rear portion 31 is located opposite the first surface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It has a through hole extending through the second surface of the). 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layer 4B having the flange 41 seals the rear portion 31 and fills the through hole 33. The two side surfaces 34B of the rear part 31 are lower than the two side surfaces of the front part 32. After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the two side surfaces of the insulating layer 4A (excluding the flange 41) are each at the same height as the two side surfaces of the front portion 32.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우선 각 플러그 블레이드(3B) 상에 절연층(4B)을 형성한다. 전선(도시 생략)의 단부를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B)에 연결하고 난 후, 후속되는 사출 성형에 의한 하우징(6B) 형성 중에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는 내측 프레임(5B)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블레이드는 내측 프레임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두 개의 플러그 블레이드(3B)를 갖춘 플러그가 제공된다. 15 and 16, an insulating layer 4B is first formed on each plug blade 3B. After connecting the end of an electric wire (not shown) to each said plug blade 3B, each said plug blade 3 is mounted in the inner frame 5B during the formation of the housing 6B by subsequent injection molding, The plug blade is thus positioned by the inner frame. Therefore, a plug with two plug blades 3B is provided.

도 24는 도 7의 플러그 블레이드로 구성된 반제품 플러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4의 반제품 플러그를 합체한 사시도이다. 도 26은 도 25의 반제품 플러그로 구성된 플러그의 사시도이다. 우선 각 플러그 블레이드(3B) 상에 절연층(4B)을 형성한다. 전선(도시 생략)의 단부를 각 플러그 블레이드(3B)에 연결하고 난 후, 후속되는 사출 성형에 의한 하우징(6D) 형성 중에 각 플러그 블레이드(3)는 내측 프레임(5D)에 장착되고, 이에 따라 플러그 블레이드는 내측 프레임에 의해 위치가 정해진다. 그러므로, 세 개의 플러그 블레이드(3B)를 갖춘 플러그가 제공된다. 2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consisting of the plug blade of FIG. 2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plug consisting of the semifinished plug of FIG. 25; FIG. First, the insulating layer 4B is formed on each plug blade 3B. After connecting the end of the electric wire (not shown) to each plug blade 3B, each plug blade 3 is mounted to the inner frame 5D during the formation of the housing 6D by subsequent injection molding, and thus The plug blade is positioned by the inner frame. Therefore, a plug with three plug blades 3B is provided.

도 3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31은 도 30의 각각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단면도이다. 도 31a는 도 31의 원으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엠보싱부(35)가 각 플러그 블레이드(3C에 의해 지칭되지 않음)의 후방부(31)의 두 개의 면 중 적어도 한 면에 형성된다. 상기 엠보싱부(35)는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C)의 개개의 면과 상기 각 플러그 블레이드(3C)의 절연층(4C로 지칭됨) 사이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한 수분이 완성된 플러그의 하우징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30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lug blad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each plug blade of FIG. 30. FIG. 31A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indicated by a circle in FIG. 31. Preferably an embossed portion 35 is formed on at least one of the two sides of the rear portion 31 of each plug blade (not referred to by 3C). The embossing portion 35 improves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individual surface of each plug blade 3C and the insulating layer (referred to as 4C) of each plug blade 3C, and also provides a Prevent entry into the housing.

도 32는 도 19와 유사한 절연층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3은 도 32의 B-B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도 32의 D-D 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4)의 플랜지(41)는 둥근 모서리(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연층(4)의 잔여부는 둥근 모서리(44)를 포함할 수 있다.3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similar to that of FIG. 19. FIG. 3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B-B plane of FIG. 32. 3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D-D plane of FIG. 32. As shown in FIG. 34, the flange 41 of the insulating layer 4 may include rounded corners 44. As shown in FIG. 33, the remainder of the insulating layer 4 may include rounded corners 44.

전술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절연층(4, 4A, 4B, 4C)이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 3A, 3B, 3C)의 관통공(33)을 메우면서 상기 절연층(4, 4A, 4B, 4C)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 3A, 3B, 3C)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상기 절연층(4, 4A, 4B, 4C)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 3A, 3B, 3C)의 관통공(33)에 강한 결합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내부 프레임(5, 5A, 5B, 5C, 5D, 5E)의 내측면에 맞닿는 플랜지(41, 41A, 41B)는 수분이 하우징(6, 6A, 6B, 6C, 6D, 6E)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 3A, 3B, 3C) 후방부(31) 상의 절연층(4, 4A, 4B, 4C)은 수분이 하우징(6, 6A, 6B, 6C, 6D, 6E)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 3A, 3B, 3C) 후방부(31) 상의 절연층(4, 4A, 4B, 4C)은 사용자가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3, 3A, 3B, 3C) 후방부(31)를 우연히 건드림으로써 초래되는 쇼크 위험을 감소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insulating layers 4, 4A, 4B and 4C fill the through holes 33 of the plug blades 3, 3A, 3B and 3C, and the insulating layers 4, 4A, 4B and 4C. ) Is firmly coupled to the plug blades 3, 3A, 3B, 3C. The insulating layers 4, 4A, 4B and 4C made of plastic material provide a strong bonding effect to the through holes 33 of the plug blades 3, 3A, 3B and 3C. The flanges 41, 41A, 41B abutting the inner surfaces of the inner frames 5, 5A, 5B, 5C, 5D, 5E allow moisture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s 6, 6A, 6B, 6C, 6D, 6E. To prevent them. The insulating layers 4, 4A, 4B and 4C on the rear portion 31 of the plug blades 3, 3A, 3B and 3C allow moisture to enter the interior of the housings 6, 6A, 6B, 6C, 6D and 6E. To prevent them. The insulating layers 4, 4A, 4B, and 4C on the rear portions 31 of the plug blades 3, 3A, 3B, and 3C are provided by the user. Reduces the risk of shock caused by accidental touching.

비록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후술하는 청구 범위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다른 가능한 변형이나 변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the preferred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that many other possible modifications or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such as the claims that follow.

본 발명을 통하여 수분이 플러그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습 플러그 블레이드를 제공하여, 가능한 회로의 단락과 손상을 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하여 절연층이 견고하게 결합된 방습 플러그 블레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isture proof plug blade for preventing moisture from getting into the plug, thereby avoiding possible short circuits and damage to the circuit.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moisture-proof plug blade that the insulating layer is firmly coupled.

Claims (8)

전방부 및 후방부와 절연층을 구비한 플러그 블레이드로서, A plug blade having a front part and a rear part and an insulating layer, 상기 후방부는, 상기 후방부의 제1면에서부터 상기 제1면의 반대쪽에 위치하는 상기 후방부의 제2면을 관통하여 뻗는 관통공을 구비하고,The rear portion includes a through hole extending from a first surface of the rear portion to penetrate through a second surface of the rear portion located opposite to the first surface, 상기 절연층은 사출 성형에 의해 상기 후방부 상에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의 후방부의 상기 관통공을 메우며, The insulating layer is formed on the rear part by injection molding, and fills the through hole in the rear part of the plug blade, 상기 절연층은 플러그 하우징을 형성하는 공정 시에 내측 프레임의 내측면에 맞닿는 플랜지(flange)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하우징 내부로 수분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And the insulating layer includes a flange abut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inner frame dur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plug housing, thereby preventing moisture from entering into the plug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과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의 후방부 사이의 결합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의 후방부는 네 개의 면 중 한 개 이상의 면에 엠보싱부를 포함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The plug blade of claim 1, wherein the rear portion of the plug blade includes an embossed portion on one or more of four sides to increase the bond strength between the insulating layer and the rear portion of the plug blad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부는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의 후방부의 제1면과 제2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The plug blade of claim 2, wherein the embossed portions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urfaces of the rear portion of the plug bl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플랜지는 네 개의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The plug blade of claim 1, wherein the flange of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four rounded corner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잔여부는 네 개의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5. The plug blade of claim 4, wherein the remainder of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four rounded corner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플랜지는 네 개의 모따기된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The plug blade of claim 1 wherein the flange of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four chamfered edges.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의 잔여부는 네 개의 모따기된 모서리를 포함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The plug blade of claim 6, wherein the remainder of the insulating layer comprises four chamfered edg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은 그 단부에 상기 각각의 플러그 블레이드의 노출된 전방부에 인접하는 경사진 단부면을 포함하여, 상기 플러그 블레이드를 소켓의 슬롯 내에 부드럽게 삽입되도록 하는 것인 플러그 블레이드.The plug blade of claim 1, wherein the insulating layer includes a sloped end surface adjacent the exposed front portion of each plug blade at its end to allow the plug blade to be inserted smoothly into the slot of the socket. .
KR1020040000525A 2004-01-06 2004-01-06 Moisture proof plug blade KR1006191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525A KR100619124B1 (en) 2004-01-06 2004-01-06 Moisture proof plug blad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0525A KR100619124B1 (en) 2004-01-06 2004-01-06 Moisture proof plug 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211A KR20050072211A (en) 2005-07-11
KR100619124B1 true KR100619124B1 (en) 2006-09-12

Family

ID=37261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0525A KR100619124B1 (en) 2004-01-06 2004-01-06 Moisture proof plug blad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912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7008B1 (en) * 2018-10-23 2020-03-10 (주)대영기계 Insulating tube for power terminal and terminal block for power supply compri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2211A (en) 2005-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23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making the same
US20160315422A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hielding plate
US20140302709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US10170863B2 (en) Electrical connector
US9997865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910920B2 (en) Structure for engaging blades with an inner frame of a plug
US20100102348A1 (en) Lead frame unit, package structure and light emitting diode device having the same
KR101520990B1 (en) Electrical connector
US11114791B1 (en) Connector
US20190067879A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improved tongue portion
US6846203B1 (en) Moisture proof plug blade
JP6569128B2 (en) Terminal block
KR100619124B1 (en) Moisture proof plug blade
US9415534B2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JP2005150621A (en) Semiconductor device
US10826225B2 (en) Waterproof audio jack
JP2004253218A (en) Small fuse
KR200445701Y1 (en) Earth teminal structure
US6923671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US20080311766A1 (en) Light Emitting Diode Mounting Seat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4141789B2 (en) Power semiconductor device
KR101686806B1 (en) Wire terminal
JP2861847B2 (en) Semiconductor device
EP1081811A3 (en)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ical connectors for enhancing coplanarity
JP2594684Y2 (en) Connector for electronic compon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3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