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8403B1 -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8403B1
KR100618403B1 KR1020040100614A KR20040100614A KR100618403B1 KR 100618403 B1 KR100618403 B1 KR 100618403B1 KR 1020040100614 A KR1020040100614 A KR 1020040100614A KR 20040100614 A KR20040100614 A KR 20040100614A KR 100618403 B1 KR100618403 B1 KR 100618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location
information
distan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06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1977A (ko
Inventor
정기중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006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8403B1/ko
Publication of KR20060061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1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8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8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한 방법은 제 1 단말기가 위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 1 단말기와 거리 계산의 기준이 되는 제 2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사이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에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산출한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망 및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 하며 위치 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단말기, 위치 기반, 통신망

Description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ALERTING SERVICE}
도 1은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거리 산출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측위 서버 30 : 응용 서버
100 : 제 1 단말기 120 : 위치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
150 : 제 2 단말기 200 : 위치 서비스 서버
210 : 가입자 관리부 220 : 실행 조건 정보 설정부
230 : 거리 산출부 240 : 알림 메시지 생성부
250 : 송수신부
본 발명은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가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위치 서비스 서버에서는 단말기들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며, 산출한 거리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의해 기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이거나 이하인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단말기 및 단말기 관련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의 종류도 다양해지고 있다. 즉, 음성 통화 서비스에 부가하여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상기 각각의 서비스는 컨텐츠 제공 방법에 따라 더욱 세분화되고 있다.
특히, "이동성" 이라는 이동 단말기 및 무선 인터넷의 가장 큰 특징을 이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위치 기반 서비스란 유, 무선 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 측위 기술(LDT; Location Detection Technology)을 이용해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에게 다양한 컨텐츠 및 온라인, 오프라인 통합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도 1은 종래의 위치 기반 서비스를 위한 기본적인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종래에는 측위 서버(20)가 기지국 및 무선망을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단말기(10)와 상호 통신하면서 단말기(10)의 위치를 계산하고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생성한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응용 서버(30)에 전송함으로써 응용 서버(30)가 단말기(10)의 위치 정보를 응용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위치 서비스는 단말기(10) 및 응용 서버(30) 사이에서 측위 서버(200)가 단말기(10) 및 응용 서버(30)와 여러 번의 정보 교환 과정을 수행하여야 하고, 특히, 응용 서버(30)가 위치 정보를 필요로 할 때마다 매번 측위 서버(20)에 접속하여야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위치 서비스는 위치 획득에 따른 이동 통신망 부하로 인해 제한된 환경에서 제한된 사용자만의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있고, 위치 기반 서비스 확산에 큰 장애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다수의 단말기에 대한 위치 추적의 상용화는 통신망의 부하를 고려할 경우 비용대비 상용화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기반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의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한 단말기에서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위치 기반 서버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며, 상기 산출한 거리가 기 설정된 기준 거리 이상이거나 이하인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치 기반 서버에서는 서비스 요청자의 설정에 의해 위치 이동을 확인하고자 하는 피확인 단말기를 설정하고, 피확인 단말기의 이동 영역에 대한 기준 지역을 설정하여 피확인 단말기가 상기 기준 지역을 벗어나거나 특정 거리 이하로 진입할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A-1) 제 1 단말기가 위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 1 단말기와 거리 계산의 기준이 되는 제 2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사이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A-2)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에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A-5)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산출한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B-1) 제 1 단말기가 위치 서비스 서버에 위치 이동 확인 대상이 되는 제 2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대한 기준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B-2)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2 단말기에 위치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 지역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B-5)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위치 서비스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행 조건 상응시 위치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위치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거리 산출 대상이 되는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설정하는 실행 조건 정보 설정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산출한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 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위치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말기(100, 150) 및 위치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상기 단말기(100, 15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를 포함하는데, 상기 제 1 단말기(1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접속하여 서비스 제공을 요청하는 단말기이고, 상기 제 2 단말기(150)는 상기 제 1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위치 확인 대상이 되는 단말기이다.
또한, 상기 단말기(100)는 위치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120)을 내장하고 있어, 도 1에 도시된 측위 서버(20)와 통신하지 않고도 자동으로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그러나 상기 단말기(100, 150)는 위치 서비스 서버(200)로부터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상기 위치 정 보 생성 어플리케이션(120)을 구동 시켜 단말기(100, 150)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실행 조건 정보는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시키기 위한 즉, 위치 정보 생성 과정을 실행하기 위한 조건 정보로,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시키는 시점에 대한 정보인 실행 시각 정보와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시키는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실행 시간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시키는 지역에 대한 정보인 실행 지역 정보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위치 서비스 서버(200)는 단말기(100, 150)의 위치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위치 정보 제공에 대한 요청을 할 필요 없이, 서비스 종류별 및 단말기 정보별로 해당하는 실행 조건 정보만을 단말기(100, 150)에 전송한다.
그리고 단말기(100, 150)는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만족할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구동시켜 생성한 위치 정보를 위치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예컨대, 제 1 단말기(100)가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제 2 단말기(150)를 등록하고 제 2 단말기(150)와의 기준 거리를 설정한 후, 제 2 단말기(150)와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일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였다고 하자.
이와 같은 경우, 제 1 단말기(100)는 특정 지역에 제한을 두어 상기 서비스를 실행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실행 지역 정보를 '마포구'로 설정하면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가 '마포구' 내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에만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시킨다.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200)는 통신망(300)을 통해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와 연결되고 제 1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를 제 1 단말기(100) 및/또는 제 2 단말기(150)에 제공하며, 가입자 관리부(210), 실행 조건 정보 생성부(220), 거리 산출부(230),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 송수신부(250) 및 중앙처리부(260)를 포함한다.
상기 가입자 관리부(210)는 위치 서비스 서버(200)가 제공하는 서비스 사용자 정보 및 사용자의 단말기 정보를 관리하며, 제 1 단말기(100)의 서비스 요청에 상응하여 제 2 단말기(150)를 설정하고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 사이의 기준 거리 또는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이동 확인 영역에 대한 기준 지역을 설정하여 관리한다.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설정부(22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의 어플리케이션(120)을 실행시키기 위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제 1 단말기(100)의 요청에 의해 설정한다.
그리고 상기 설정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제 1 단말기(100) 및/또는 제 2 단말기(150)에 전송한다. 따라서 위치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통신망(300)을 통해 단말기(100, 150)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한 제 1 단말기(100) 및/또는 제 2 단말기(150)는 상기 조건 정보 상응 시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120)을 통해 위치 정보를 생성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한 위치 정보를 위치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거리 산출부(230)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로부터 수신 한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한편, 상기 거리 산출부(230)는 설정에 의해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즉, 제 1 단말기(100)의 위치 및 제 2 단말기(150)의 위치에 대한 지리학적인 직선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거나, 제 1 단말기(100)의 위치 및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사이의 통행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또한, 설정에 의해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최단 거리를 추출하여 상기 상호간의 거리로 설정한다.
또한, 위치 서비스 서버(200)는 평균 이동 속도 정보 등과 같이 통행 경로에서의 교통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교통 정보 관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상기 거리 산출부(230)에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전송한다.
따라서, 상기 교통 정보 관리부(미도시)로부터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수신한 거리 산출부(230)는 상기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통행 경로를 추출하여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 상호간의 거리로 설정한다.
또한, 상기 거리 산출부(230)는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서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제 2 단말기(150)에만 전송하였을 경우에는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정보와 기 설정된 기준 지역 정보를 비교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는 상기 거리 산출부(230)에서 산출한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 상호간의 거리와 실행 조건 설정부에서 설정한 기 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하여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제 1 단말기(100) 및/또는 제 2 단말기(150)로 전송한다.
한편, 상기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는 상기 가입자 관리부(210)를 통해 어떤 서비스를 요청했는지에 따라 생성하는 알림 메시지가 달라진다.
즉, 제 1 단말기(100)가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일 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였다면,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상일 경우에만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또한, 제 1 단말기(100)가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일 때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였다면,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는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기준 거리 이하일 경우에만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한편, 상기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는 제 1 단말기(100)의 설정에 의해 상기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정보가 상기 기준 지역밖에 위치하고 있거나, 상기 기준 지역으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이상 멀어지거나 또는 기 설정한 범위 이하로 가까워지는 경우에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상기 송수신부(250)는 상기 실행 조건 정보 및 알림 메시지 등 통신망(300)을 통해 단말기(100, 150)와 교환하는 정보를 송수신한다.
상기 중앙처리부(260)는 가입자 관리부(210), 실행 조건 정보 생성부(220), 거리 산출부(230), 알림 메시지 생성부(240) 및 송수신부(250)를 제어하여 각각의 기능을 실행시킨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거리 산출 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준 거리 설정 단계(S110), 실행 조건 정보 전송 단계(S120), 위치 정보 생성 단계(S130), 거리 산출 단계(S140) 및 알림 메시지 전송 단계(S150)를 포함한다.
상기 기준 거리 설정 단계(S110)에서는 제 1 단말기(100)가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제 1 단말기(100)와 거리 계산의 기준이 되는 제 2 단말기(150)를 등록하고,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 상호간의 거리가 일정 거리 이상이거나 이하일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을 것을 요청하며, 상기 상호간의 기준 거리를 설정한다.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전송 단계(S120)는 위치 서비스 서버(200)가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에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실행 조건 정보는 위치 정보를 언제 생성해야 하는지에 대한 생성 시각 정보와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시각 정보를 포함하는 생성 시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지역에 대한 생성 지역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는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에 상응하는 때에, 다음 단계인 위치 정보 생성 단계(S130)를 수행한다.
상기 위치 정보 생성 단계(S130)에서는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가 각각 상기 실행 조건 정보시,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즉, 상기 실행 조건 정보가 포함하고 있는 실행 시각 정보, 실행 시간 정보 및 실행 지역 정보 등을 만족할 때 각각의 위치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는 생성한 위치 정보를 위치 서비스 서버(200)로 전송한다.
상기 거리 산출 단계(S140)에서는 위치 서비스 서버(200)가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로부터 각각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이때,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즉, 상기 거리 산출 단계(S140)는 통행 경로 확인 단계(S210), 최단 경로 추출 단계(S220) 및 거리 설정 단계(S230)를 포함한다.
상기 통행 경로 확인 단계(S210)에서는 제 1 단말기(100)의 위치와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사이에 형성된 지리학적인 통행 경로를 확인한다.
상기 최단 경로 추출 단계(S220)에서는 상기 통행 경로에서 최단 경로를 설정한다.
이때, 상기 최단 경로는 상기 통행 경로에서의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추출된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통행 경로에서의 평균 이동 속도 정보를 산출하여 통행 속도가 가장 빠른 경로를 선택한다.
또한, 도보할 수 있는 통행 경로 중 최단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 거리 설정 단계(S230)에서는 기 설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최단 경로 추출 단계에서 선택한 경로를 제 1 단말기(100) 및 제 2 단말기(150) 상호간의 거리로 설정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설정되면 다음 단계인 알림 메시지 전송 단계(S150)를 수행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 전송 단계(S150)에서는 상기 거리 산출 단계(S140)를 통해 산출된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 설정 단계(S110)를 통해 설정된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전송한다.
예컨대, 상기 기준 거리 설정 단계(S110)에서 제 1 단말기(100)가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일 경우 알림 메시지를 제공받을 것을 요청하였다면, 상기 알림 메시지 전송 단계(S150)에서는 상기 비교 결과를 통해 상기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으로 판단될 때 이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생성한 알림 메시지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또한, 제 1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150)에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은, 기준 지역 설정 단계(S310), 실행 조건 정보 전송 단계(S320), 위치 정보 생성 단계(S330), 위치 확인 단계(S340) 및 알림 메시지 전송 단계(S350)를 포함한다.
한편, 여기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다른 점만을 설명한다.
상기 기준 지역 설정 단계(S310)에서는 제 1 단말기(100)가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 위치 이동 확인 대상이 되는 제 2 단말기(150)를 등록하고,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이동에 대한 기준 영역을 설정한다.
따라서, 위치 서비스 서버(200)는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정보만을 필요로 하므로 위치 서비스 서버(200)에서는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전송 단계(S120) 및 위치 정보 생성 단계(S130)를 통해 제 2 단말기(150)의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하고 제 2 단말기(150)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다음 단계인 위치 확인 단계(S340)를 수행한다.
상기 위치 확인 단계(S340)에서는 위치 서비스 서버(200)가 제 2 단말기(15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상기 기준 지역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는 단계이다.
즉, 제 2 단말기(150)가 상기 기준 지역밖에 있는지, 상기 기준 지역으로부 터 기 설정한 범위 이상 멀어지거나 기 설정한 범위 이하로 가까워지는지 등을 확인한다.
상기 알림 메시지 전송 단계(S350)에서는 상기 위치 확인 단계(S340)를 통해 확인한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이를 제 1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한편, 제 1 단말기(100)의 설정에 따라 상기 알림 메시지를 제 2 단말기(150)에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또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 Automatic Response Service) 등을 이용하며, 위치 측위 서버 또는 관련 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는 콜백 유알엘(Callback URL) 등과 같은 접속 정보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위치 서비스 서버는 서비스별로 필요한 실행 조건 정보만을 단말기에 전송함으로써 위치 정보가 필요할 때마다 단말기와 접속하지 않아도 되고, 단 말기는 위치 측위 서버를 통하지 않고 스스로 위치 정보를 생성하므로 통신망 및 시스템의 부하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거리 정보 및 제 2 단말기의 이동 영역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4)

  1. A-1) 제 1 단말기가 위치 서비스 서버에 상기 제 1 단말기와 거리 계산의 기준이 되는 제 2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 사이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는 단계;
    A-2)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에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A-3)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A-4)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정보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단계; 및
    A-5)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산출한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 및/또는 제 2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산출한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일 경우, 상기 A-5)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1) 단계에서
    상기 제 1 단말기가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제 1 단말기 및/또는 제 2 단말기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산출한 상호간의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일 경우, 상기 A-5)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조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시간 정보 및 생성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시간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시각 정보 및 생성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상호간의 거리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직선 거리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상호간의 거리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통행 경로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간의 거리는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최단 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간의 거리는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상기 통행 경로에서의 평균 이동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1.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4) 단계에서
    상기 상호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A-4-1)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와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통행 경로를 확인하는 단계;
    A-4-2)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최단 경로를 추출하는 단계; 및
    A-4-3) 상기 최단 경로를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상호간의 거리로 설정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4. B-1) 제 1 단말기가 위치 서비스 서버에 위치 이동 확인 대상이 되는 제 2 단말기를 등록하고,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대한 기준 지역을 설정하는 단계;
    B-2)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2 단말기에 위치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B-3)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실행 조건 정보 상응시 위치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B-4)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상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 지역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는 단계; 및
    B-5)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기준 지역밖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기 B-5)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B-4) 단계에서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기준 지역으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이상 멀어지거나 기 설정한 범위 이하로 가까워지는 경우, 상기 B-5)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7.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조건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시간 정보 및 생성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시간 정보는
    상기 위치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 시각 정보 및 생성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4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1. 위치 서비스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 생성에 대한 실행 조건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실행 조건 상응시 위치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위치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생성한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로 전송하는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및
    거리 산출 대상이 되는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를 설정하고 상기 제 1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 사이의 기준 거리를 설정하여 관리하는 가입자 관리부, 상기 실행 조건 정보를 설정하는 실행 조건 정보 설정부, 상기 제 1 단말기 및 제 2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각각의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산출한 거리와 상기 기준 거리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대한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알림 메시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위치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조건 설정부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실행 시간 정보 및 실행 지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실행 시간 정보는
    상기 단말기의 위치 정보 생성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는 실행 시각 정보 및 실행 주기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4.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산출한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상일 때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단말기 및/또는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5.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산출한 거리가 상기 기준 거리 이하일 때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제 1 단말기 및/또는 상기 제 2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6.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에 대한 직선 거리를 기반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7.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통행 경로를 기반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8. 제 27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통행 경로에 대한 최단 거리를 상기 상호간의 거리로 설정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29.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서비스 서버는
    상기 제 1 단말기 위치 및 상기 제 2 단말기 위치 사이의 통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관리하는 교통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교통 정보 관리부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 1 단말기의 위치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사이의 통행 경로에 대한 교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상호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0. 제 29항에 있어서, 상기 교통 정보는
    상기 통행 경로에서의 평균 이동 속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1.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관리부는
    상기 제 1 단말기의 요청에 의해 위치 이동 확인 대상이 되는 제 2 단말기 및 상기 제 2 단말기의 위치 이동에 대한 기준 지역을 설정하여 관리하고,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제 2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기준 지역에 대한 정보와 비교하며, 상기 알림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기준 지역밖에 위치하고 있을 때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 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2. 제 3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리 메시지 생성부는
    상기 제 2 단말기가 상기 기준 지역으로부터 기 설정한 범위 이상 멀어지거나 기 설정한 범위 이하로 가까워질 때 상기 알림 메시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3.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알림 메시지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또는 자동 응답 서비스(ARS)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4. 제 33항에 있어서, 상기 단문 메시지 서비스는
    URL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40100614A 2004-12-02 2004-12-02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618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14A KR100618403B1 (ko) 2004-12-02 2004-12-02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0614A KR100618403B1 (ko) 2004-12-02 2004-12-02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977A KR20060061977A (ko) 2006-06-09
KR100618403B1 true KR100618403B1 (ko) 2006-08-31

Family

ID=37158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0614A KR100618403B1 (ko) 2004-12-02 2004-12-02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84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8375B1 (ko) * 2007-07-05 2008-09-11 에스케이에너지 주식회사 거점기반 지역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531725B1 (ko) * 2010-08-30 2015-06-26 네이버 주식회사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태깅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661B1 (ko) * 2018-01-11 2019-04-02 주식회사 제이슨와이 트래픽 감소를 위한 vr 영상의 공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1977A (ko) 2006-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1598B1 (ko) 목표단말기의 주기적 위치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JP470372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情報サービス提供方法
US7796993B2 (en)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value of target terminal in locatio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KR101133850B1 (ko) 위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단말 및 서버와 그 방법
CN101411092B (zh) 在网络间切换时的位置定位方法
JP4343226B2 (ja) 位置情報サービスにおける位置情報要求を処理する方法
RU2384975C2 (ru) Способ аннулирования запроса информации о местоположении
CN101322331B (zh) 位置信息系统及基于位置执行通知的方法
US20070155400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mobile terminal
CN1989743A (zh) 位置信息系统中的漫游方法和系统
WO2007086702A1 (en) Method for requesting triggered location service between terminals in location information system
CN101160986A (zh) 一种定位移动终端的方法
KR100618403B1 (ko) 위치 기반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01416424B (zh) 对移动通信系统中的漫游终端的网络发起区域事件触发定位方法
JP200415894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測位システム並びに測位方法
KR10069086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관리장치 및 방법
KR100768119B1 (ko) 요청자에게 가입자 사용 장비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처리 방법
US200901219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riggered location information
KR10042131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위치 영역 관리 장치 및 방법
JP5197764B2 (ja) PHS網でのロケーティング(locating)およびアシスタント・ロケーティングの方法および装置
KR20060036164A (ko) 해외 로밍중인 이동통신단말에 대한 친구찾기서비스제공방법
KR102183325B1 (ko) 지오 펜싱 처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11356193B (zh) 一种终端的越区方法及通信终端
KR100422930B1 (ko) 관문 이동 위치 센터의 위치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21239241A1 (en) Network nodes for improved client device mobility analytics in communica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2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