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131B1 -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6131B1
KR100616131B1 KR1020040071574A KR20040071574A KR100616131B1 KR 100616131 B1 KR100616131 B1 KR 100616131B1 KR 1020040071574 A KR1020040071574 A KR 1020040071574A KR 20040071574 A KR20040071574 A KR 20040071574A KR 100616131 B1 KR100616131 B1 KR 100616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ation
information
user terminal
management server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32997A (ko
Inventor
이성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컨택트
Priority to KR1020040071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6131B1/ko
Publication of KR20050032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2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6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6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영역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소규모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IP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위치 관리 서버, 상기 위치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위치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치기반 서비스, 사용자 단말, 액세스 포인트, IP망, 위치 관리 서버

Description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 원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인터넷을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을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별 과금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를 위한 영역 정보 등록 및 해제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 전화의 홈위치 등록기와 발신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싱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관리 서버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PSTN 망 110 : 유선전화 교환기
120, 200, 300 : IP망 130 : IWF
140, 336 : 이동통신 교환기 150 : PSDN
160, 340 : 기지국 제어기 170, 310 : DSLAM
180, 230, 350 : 이동통신 기지국 190, 240, 320 : 소규모 영역
191, 250, 321 : 액세스 포인트 192, 260, 322 : 사용자 단말
210, 331 : 영역 관리 서버 220 : 무선망
330 : 이동통신 백본망 332 : 무선 인터넷 포털 서버
333 : 가입자 데이터베이스 334 : 홈 위치 등록기
335 : 과금 서버
400 : 무선 가입자망 기지국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선통신 시장 자체가 포화상태에 도달하여 성장이 한계에 부딪치고 이 동통신의 급속한 발전 및 소비자들의 생활패턴 변화에 따른 유무선 대체현상 등으로 인해 위기감을 느낀 유선통신 사업자들은 앞 다투어 유무선 통합서비스의 사업화에 나서고 있다.
유무선 통합 서비스는 보다 저렴하고 보다 고속전송이 가능한 유선통신 특성과 이동성 지원으로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무선통신 특성을 결합함으로써 시너지를 창출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적인 예로서는 VoWLAN(VoIP Over Wireless LAN) 원폰(OnePhone)서비스 및 블루투스(Bluetooth) 원폰서비스를 들 수 있다.
상기 VoWLAN 원폰서비스는 가정이나 직장 혹은 특정 지역에 VoWLAN 통신시스템을 설치하고,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외에 부가적으로 무선 LAN 인터페이스 및 VoWLAN 기능을 지원하는 VoWLAN 사용자 단말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가 외부에 있을 때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고 사용자가 VoWLAN 커버리지(coverage) 내에 있을 때에는 무선 LAN을 통해 VoIP 서비스나 고속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여기서, VoWLAN 통신시스템은 무선 LAN(Wireless LAN)을 전달망으로 이용하여 VoIP(Voice Over IP) 방식의 통신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며, VoWLAN 커버리지는 이러한 VoWLAN 시스템의 전달망 역할을 하는 무선 LAN의 커버리지이다.
상기 블루투스(Bluetooth) 원폰서비스는 유선전화의 종단에 블루투스 AP를 설치하고,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외에 부가적으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블루투스 단말 사용자에 대하여, 사용자가 외부에 있을 때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하고, 사용자가 블루투스 AP의 커버리지 내에 있을 때에는 블루투스 AP를 통해 유선 전화망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이다. 블루투스 AP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블루투스 단말에서 전화를 걸면 블루투스 AP는 이를 수신한 후, 유선전화 즉,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전화를 걸어 블루투스 단말과 PSTN사이에서 통화를 중계해 준다.
이러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는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이용할 수 있는 이동통신의 편리성을 유지하면서도 유무선 통합 서비스가 지원되는 가정이나 직장 혹은 특정 지역에서 유선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어 통신요금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기반한 서비스 모델은 실제 통신이 유선망과 무선망 모두를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유선망과 무선망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는 사업자에게 유리한 사업모델이라 할 수 있다. 즉, 무선망인 이동통신 망만을 보유한 이동통신 사업자나 유선망인 전화망이나 ISP(Internet Service Provider)망만을 소유한 유선통신 사업자 등의 입장에서는 타 업체와 연계해야 하므로 접근이 쉽지 않으며, 가입자 인증이나 요금정산 등이 매우 복잡하고 어렵다. 또한, 상기 유무선 통합서비스는 착신에 있어 이동통신망과 PSTN, 혹은 이동통신망과 VoWLAN 등 두개 이상의 망으로부터 동시에 착신이 가능하나, 이처럼 동시착신이 가능한 두개의 망 사이에 단말의 상태에 관한 정보가 공유되지 않고 있어서 이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아직까지 VoIP 서비스의 QoS(Quality Of Service)가 만족스럽지 못하고 유선전화나 이동통신을 따라오려면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되므로, VoWLAN 원폰서비스의 경우 QoS 측면에서 약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유무선 통합 서비스들에 대응하기 위해 이동통신 사업자들은 법인이나 개인을 대상으로 소규모 영역(Zone) 기반의 요금할인 정책을 적용하고 있다. Zone 기반의 요금할인 정책은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특정 지역에서 음성 통화 또는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에 대해서 요금을 할인해 주는 방식인데, 이 방식은 기지국 정보(기지국 ID 등)를 기반으로 Zone이 결정되기 때문에 Zone을 필요한 만큼의 크기로 한정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지국 커버리지는 도심지와 외곽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백미터에서 수Km까지의 반경을 가진다. 또한, 도심지의 지하나 건물 밀집지역에 존재하는 음영지역을 커버하기 위해 설치된 수많은 중계기들로 인해 기지국 혹은 셀 단위의 커버리지는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Zone 기반의 요금할인 정책을 이용하게 되면 사용자는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서 요금할인을 받게 되어 유리해지지만 이동통신 사업자 측면에서는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보완으로 사용자 단말의 위치추적에 위성 위치 추적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이하, 'GPS'라 한다.)을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방법은 사용자 단말이 위성의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옥외에 위치하여야 한다는 제약을 가지고 있어, 실질적으로 댁내 서비스의 제공은 어렵다.
이하, 상술한 종래의 블루투스 원폰 서비스 예를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반적인 블루투스를 이용한 원폰 서비스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원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192)은 이동통신과 블루투스의 듀얼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이동통신 단말이다. 상기 사용자 단말(192)의 사용자가 블루투스 AP(191)와의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예컨대, 댁내 핫스팟)(190)에 위치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192)은 블루투스 인터페이스 사용이 가능함을 감지하고, 사용자의 음성/데이터 발신 요구 시에 기존의 유선 전화회선을 이용하여 PSTN망(100)으로의 발신을 요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에 의한 발신호는 블루투스 AP(191)를 거쳐 디지털 가입자 회선 접속 다중화기(Digital Subscriber Line Access Multiplex; 이하, 'DSLAM'라 한다)(170) 및 유선 교환기(110)를 경유하여 PSTN망(100)에 접속되어 진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192)에 대해 유선 전화번호로의 착신요구가 있을 경우에도 상기 유선전화 교환기(110)와 블루투스 AP(191)를 거쳐 사용자 단말(192)을 통해 착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사용하는 전화번호는 이동통신 번호가 아닌 유선전화번호를 사용하게 된다.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192)이 댁내에 위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192)의 이동통신 번호로 착신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기존의 이동통신 착신과 동일하게 이동통신 교환기(140), 기지국 제어기(160) 및 이동통신 기지국(180)을 경유하여 사용자 단말(192)의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로 수신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192)에서 상기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인터넷 등의 IP망 접속을 하고자 할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192)은 상기 블루투스 AP(191) 및 DSLAM(170)을 거쳐 소정의 라우터를 통해 IP망(120)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IP망(120)은 이동통신망과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IP망(120)은 IWF(InterWorking Function; 130)를 통해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PDSN(Packet Data Serving Node; 150)을 통해 상기 기지국 제어기(160)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댁내에서 원폰 사용자는 해당 소규모 영역(190)에서 유선전화망을 통해 우선적으로 연결되므로, 이동통신으로의 발신이 어렵고 오로지 유선전화로의 발신만이 허용되며, 수신의 경우에는 유선 및 이동통신 착신호에 대해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 단말에서 사용자가 인터넷 포털 접속 서비스를 요구할 경우에는 댁내 또는 핫스팟과 같은 소규모 영역(190)에 설치된 블루투스 AP(191)를 통해 xDSL(x Digital Subscriber Line)을 경유하여 IP망(120)으로 접속하게 된다.
상술한 종래의 서비스 모델은 사용자가 댁내에서 이동통신 단말로 음성호 발신을 할 경우에 사실상으로는 유선전화를 사용하게 되고, 데이터 호를 발신할 경우에도 이동통신 인터페이스가 아닌 유선 가입자망을 경유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댁내에서 이동통신 단말을 이용하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도중에 옥외로 이동하면 서비스가 단절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에는 댁내에서 옥외로 이동할 경우 서비스를 종료하고 이동하지만 음성통화의 경우에는 호를 종료하지 않은 상태에서 외부로 이동하게 되므로, 통화단절로 인한 서비스 중단은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댁내에서 블루투스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홈뱅킹과 같은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경우에 사용자 정보의 보안에도 심각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인 소규모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 서비스의 단절 없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의 서비스 커버리지(coverage)인 소규모 영역 내에 위치할 때, 이동통신망을 통해 상기 소규모 영역에 대한 다양한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시스템은;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영역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소규모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IP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위치 관리 서버; 및 상기 위치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위치 관리 서버에 저장 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WLAN(Wireless LAN) 방식,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소출력 RF 방식, ZigBee 방식, UWB 방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위치관리 서버 사이의 IP망은 공중 인터넷, 사설 IP망, 전용회선 IP망, ISP 사업자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IP망 내, 상기 이동통신망 내, 및 상기 망들의 외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IP망과 유선 가입자망을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IP망과 Wi-MAX 또는 휴대 인터넷(WiBro)와 같은 무선 접속망을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상기 소규모 영역의 식별자 정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유지하고 관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가지고 있는 상기 소규모 영역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단말의 신규 위치 등록 정보, 위치 갱신 등록 정보 및 위치 해제 등록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과금에 대한 정보로 이용하는 과금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시스템은,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이탈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홈위치 등록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 발신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데이터 트래픽 서비스일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해당 단말의 소규모 영역 위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여 IP망을 통하여 데이터 트래픽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현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 또는 영역 식별 ID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 정보 또는 이동통신 MIN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와 보안이 가능한 가상 사설망, IP계층 프로토콜,TCP계층 프로토콜,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은; 이동 전화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IP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P 할당 단계 이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IP망 간의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간의 보안 연 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IP망은 공중 인터넷, 사설 IP망, 전용회선 IP망, ISP 사업자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에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에는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가 소속되어 있는 소규모 영역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할당 받는 IP 주소는 공인 IP주소, 또는 사설 IP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록 단계 이후에,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정보에 의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가입한 상기 소규모 영역에 따른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WLAN 방식,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소출력 RF 방식, ZigBee 방식, UWB 방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수신하는 위치정보는 상기 단말의 신 규 위치 등록 정보, 위치 갱신 등록 정보 및 위치 해제 등록 정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망 연결 및 위치등록 정보가 유효한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소규모 영역 정보를 과금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과금 서버가 소규모 영역 정보를 과금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홈위치 등록기로 위치 정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이탈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홈위치 등록기로 위치 정보 해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 발신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데이터 트래픽 서비스일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해당 단말의 소규모 영역 위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여 IP망을 통하여 데이터 트래픽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 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는 영역 식별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의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 정보 또는 이동통신 MIN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하기에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에서 소규모 영역(Zone)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상기 본 발명의 적용에 따라 사용자 단말이 소규모 영역(Zone) 단위로 설치된 근거리 무선통신망에의 접속 정보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위치관리 서버를 통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달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은 상기 단말의 접속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파악한 뒤 위치정보에 기반한 다양한 부가서비스(예컨대, 특정지역 음성통화 할인,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이하, 'SMS'라 한다) 등)들을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ADSL 또는 VDSL 모뎀을 이용한 유선 전송망이나 E1/T1과 같은 전용 회선 통신망과 같은 유선 IP 망, 및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무선 IP 접속 환경이 구비된 소규모 영역(Zone)에 대해, 사용자 단말이 이동통신 인터페이스와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일 경우, 상기 부가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한 통신망 접속 정보 등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이동통신 사용자에 대한 특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서는 전 지역을 커버리지로 가지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와 댁내와 같이 소규모 지역을 커버리지로 가지는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동시에 지원하는 사용자 단말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을 상기 소규모 영역(Zone) 단위로 인식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할 경우, 상기 접속 정보를 이동통신 시스템의 위치관리 서버에 전달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영역 기반의 부가 서비스, 예컨대 소규모 영역(Zone) 단위의 요금할인 정책 또는 푸시(Push) 서비스와 같은 위치기반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추가적인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 사용자에 대해 효과적으로 소규모 영역(Zone)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한다. 특히, 유선 사업자의 원폰과 같은 유무선 통합 서비스에 대해 이동통신 사업자가 본 발명에 의해 효과적인 대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시스템 구조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2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AP(240)를 통해 IP망(200)과 접속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 및 이동통신 기지국(230)을 통해 무선망(220)과 접속이 가능한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다. 여기서 상기 무선망(220)은 이동통신망 등과 같은 무선통신 사업자망을 의미한다.
한편, 상기 사용자 단말(260)은 상기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AP(250)와 접속하기 위하여 상기 AP(250)와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240) 내에 위치하여야 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기지국(230)의 커버리지(coverage)는 상기 AP(250)의 커버리지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되며, 본 발명은 상기 무선망(220)를 통한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소규모 영역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하여 상기 AP(250)를 통한 위치 정보를 이용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상기 '소규모 영역(Zone)'(240)이란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와의 통신이 가능한 영역(즉, 상기 AP(250)와 상기 사용자 단말(260)이 통신 가능한 영역)의 범위를 말하며, 사무실, 카페(cafe), 공항, 기차역과 같은 공공 핫스팟(hotspot)과 개인 가정 등이 상기 소규모 영역의 대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260)이 상기 소규모 영역(Zone)에 위치하여 상기 AP(250)와 통신이 가능해지면, 상기 사용자 단말(260)의 위치 정보는 상기 소규모 영역 단위로 상기 AP(250)를 통해 상기 IP망(200)으로 전송된다. 이때, 상기 전송된 상기 사용자 단말(260)의 위치 정보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관리 서버(210)에 저장되며, 상기 무선망(220)에서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210)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260)의 소규모 영역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260)에게 소규모 영역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사용자 단말(260)로 제공되는 소규모 영역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는 상기 무선망(220) 및 이동통신 기지국(230)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다.
즉, 종래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단말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커버리지가 넓은 기지국 단위로 파악이 되어 왔기 때문에 효과적인 소규모 영역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제공될 수 없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단말에 대한 소규모 영역의 정보를 포함한 위치 정보를 상기 소규모 영역을 기반으로 하는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예컨대, 근거리 무선망의 AP를 통해) 제공받으므로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소규모 영역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가 가능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위치 관리 서버(210)는 상기 IP망(200) 내에 구성되거나, 상기 무선망(220) 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구현 방법으로서 상기 IP망(200) 또는 무선망(220)과는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 이외의 인터페이스(예컨대,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 단말 접속 정보를 활용하여 상술한 소규모 영역 (Zone)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해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보다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실시예들로서 상기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유선 가입자망(VDSL 또는 ADSL, 전용회선)을 통한 인터페이싱의 경우로 활용하는 방법과 와이맥스(Wi-Max)와 휴대인터넷(WiBro) 같은 무선 가입자망을 통한 인터페이싱의 경우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이동통신 사업자가 유선 사업자와 제휴할 경우에 대한 서비스 방안과 독자적으로 무선 가입자망을 구축할 경우에 대한 방안을 모두 고려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상기 두 가지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 구조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판단함으로써 이동통신 사업자가 이동통신을 통해 원폰 서비스와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의 장점은 음성 통화에 대해서는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이동에 따른 음성통화의 단절이 없다는 것이다. 아울러, 무선 데이터 서비스의 경우에는 단절에 의한 영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므로, 댁내에서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받고, 옥외에서는 이동통신으로 서비스를 받도록 할 수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초고속 인터넷망(즉, 유선 가입자망)을 통한 사용자 단말 접속 정보 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유선 가입자망이 존재하고 상기 유선 가입자망의 종 단에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AP가 연결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접속 정보 기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동통신 인터페이스와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이동통신 인터페이스와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322)이 댁내 또는 핫스팟(Hotspot)과 같은 소규모 영역(320)에 들어오면,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AP(321)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된 AP(321)를 사용자 단말(322)이 인식하면, 상기 AP(321)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연결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AP(321)는 xDSL을 이용하여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접속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322)이 상기 AP(321)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AP(321)를 통해 DSLAM(310)을 거쳐 IP망(300)과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 접속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322)은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할당받게 되고, 유선 가입자망을 통한 IP망(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322)은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IP망(300)과 연결된 위치 관리 서버(Zone 관리 서버)(331)에 접속한 후, 현재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321)에 대한 정보(예컨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 영역 식별 ID 등) 및 사용자 단말의 정보(MAC 주소, 이동통신 번호(즉,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331)에 전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331)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322)의 위치 정보(즉, 소규모 영역(320)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규모 영역 기반의 부가 서비스를 이동통신 백본망(330)으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322)로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이동통신 백본망(330)은 무선 인터넷 포털 서버(332), 가입자 데이터베이스(333),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 이하, 'HLR'이라 한다)(334) 및 과금 서버(33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통신 백본망(330)은 이동통신 교환기(336), 기지국 제어기(340) 및 이동통신 기지국(350) 등을 거쳐 상기 사용자 단말(322)과 통신하게 된다. 또한, PDSN(337)을 통해 IP망(300)로부터 기지국 제어기(340)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소규모 영역 단위의 위치기반 서비스의 예로서 사용자 단말이 특정 지역에 위치하였을 경우 요금 할인의 혜택을 주는 서비스를 고려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331)는 상기 사용자 단말(322)의 MIN 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DB(333)로부터 사용자가 특정지역 요금할인과 같은 위치 기반(Zone 기반)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와 할인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사용자 단말(322)이 접속한 AP(321)의 정보를 비교하여 할인지역 해당 여부를 식별한다. 만약, 사용자 단말(322)이 요금할인 지역 내에 위치할 경우에는 단말(322)의 진입시간을 저장하고, 아닐 경우에는 접속을 차단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322)은 일정 주기로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상기 위치관리 서버에서도 근거리 무 선통신망을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의 유효성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사용자 단말의 등록정보를 최신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관리 서버(331)는 사용자 단말이 지정된 소규모 영역(320) 밖으로 이동한 것을 감지한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322)의 MIN 번호, AP(321)에 대한 정보, 영역(Zone) 진입 시간 및 이탈시간을 과금 서버(335)에 전달하게 된다. 상기 과금 서버(335)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생성된 과금 정보와 위치 관리 서버(331)로부터의 정보를 비교하여, 지정된 할인 지역 내에서의 이동통신 요금에 대해서는 할인율을 적용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서비스의 세부적인 절차는 도 5에서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을 통한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와이맥스(Wi-Max) 또는 와이브로(WiBro; Wireless Broadband internet)와 같은 무선 가입자망의 종단에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AP가 연결된 경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 접속 정보 기반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으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 인터페이스가 장착된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방법은 제1 실시예의 경우에서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단지 상기 사용자 단말(322)이 IP망(300)으로 접속하고, 상기 IP망(300)으로 자신이 속한 소규모 영역에 대한 위 치 정보를 전송하는 인터페이싱의 차이만이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322)이 댁내 또는 핫스팟(Hotspot)과 같은 소규모 영역(320)에 들어오면, 상기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AP(321)와의 통신 가능 여부를 식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된 AP(321)를 사용자 단말(322)이 인식하면, 상기 AP(321)와의 접속을 시도하고 연결을 설정한다. 그런 다음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AP(321)는 와이맥스(Wi-Max) 또는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무선 가입자망을 통해 IP망(300)과 접속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사용자 단말(322)이 상기 IP망(300)과의 접속이 이루어지면 사용자 단말(322)은 상기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IP 주소(Internet Protocol Address)를 할당받게 되고, 상기 무선 가입자망을 통한 IP망 접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322)은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IP망(300)과 연결된 위치 관리 서버(Zone 관리 서버)(331)에 접속한 후, 현재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321)에 대한 정보(예컨대, MAC(Media Access Control) 주소(Address), 영역 식별 ID 등) 및 사용자 단말의 정보(MAC 주소, 이동통신 번호(즉, MIN(Mobile Identification Number) 등)가 포함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331)에 전송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수행되는 서비스 절차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시스템 구조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술한 방법들에 따라 저장된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용한 서비스 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서비스의 예들로서 위치 정보에 기반한 과금 서비스와 푸시(Push) 서비스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영역별 과금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AP와 DSLAM 간의 인터넷 접속(501 단계)이 이루어지고, 상기 AP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관리 서버간의 보안 연결이 설정(502 단계)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이 AP와 접속 가능한 영역으로 진입하여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의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AP와 접속(503 단계)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AP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504 단계)받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절차에 따라 자신의 소규모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AP를 통해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505 단계)함으로써,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해당 사용자 단말이 상기 AP의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인지하게 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현재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MAC 주소, 영역식별 ID 등) 및 사용자 단말의 정보(MAC 주소, 이동통신 MIN 번호 등)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등록(505 단계)하게 된다.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의 MIN 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특정지역 요금 할인과 같은 위치 기반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와 할인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506 단계)한다.
상기 정보 획득 결과, 상기 서비스에 가입되어 있을 경우,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 등록 정보에 의해 상기 단말의 해당 영역 진입 시간을 저장(507 단계)하게 된다.
이후,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영역 진입에 따른 위치 등록과 마찬가지로 주기적으로 자신의 위치 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508 단계)함으로써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저장된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게 된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상기 위치관리 서버에서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의 유효성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사용자 단말의 등록정보를 최신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상기 사용자 단말이 해당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음을 감지할 경우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는 이탈 시간을 저장(510 단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AP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으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해제(512 단계)하게 되며,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는 상기 단말의 위치 관련 정보를 과금 서버로 통보(511 단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과금 서버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소규모 영역(Zone)에 대한 진입 및 이탈 시간에 의해 과금 할인 혜택 등을 적용한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가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방법에 의해 가입자 단말의 소규모 영역에 대한 위치 등록 및 과금 서버로의 위치 관련 정보 전송이 이루어진 후, 상기 과금 서비스는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한 과금 서비스의 예로서 첫 번째 방법은 이동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음성 통화와 동일한 방법으로 요금에 대해서만 할인율을 적용하는 방법이다. 이때, 이동통신에서 음성 통화에 대한 과금정보의 생성은 이동통신 교환기(336)가 하는 반면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과금 정보의 생성은 PDSN(337)이 한다는 것만 차이가 있을 뿐, 과금 서버(335)에서 정보를 취합하여 최종 과금 데이터를 생성하는 것은 동일하다.
상기 과금 서비스의 두 번째 예는 특정지역 내에서 무선 데이터 서비스를 이동통신이 아닌 상기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제공받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에는, 이동통신망이 대부분 외부 인터넷 망과는 방화벽 등으로 차단되어 보안이 유지된 상태로 운용되므로, 위치 관리 서버(331)를 이동통신 백본망(330)과 접속하도록 하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부가 서비스의 실시예로서 과금 서비스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푸시(Push) 서비스의 적용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푸시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서는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즉, 소규모 영역 정보)를 이동통신망, 특히 홈위치 등록기에서 알고 있어야 하므로, 상술한 과금 서비스의 예에서 홈위치 등록기로의 위치 정보 등록 및 해제 절차가 추가되어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푸시 서비스를 위한 영역 정보 등록 및 해 제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전송 및 저장되는 위치 정보에 의한 부가 서비스의 실시예에 따라 댁내 또는 특정 핫스팟(Hotspot)(즉, 소규모 영역)내에 위치한 사용자 단말에 대해 푸시(push)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소규모 영역(Zone) 정보의 등록 및 해제 절차가 구현된다.
먼저 AP와 DSLAM 간의 인터넷 접속(601 단계)이 이루어지고, 상기 AP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관리 서버간의 보안 연결이 설정(602 단계)된다.
그런 다음, 사용자 단말이 AP와 접속 가능한 영역으로 진입하여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AP와 접속(603 단계)하게 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AP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604 단계)받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술한 절차에 따라 자신의 소규모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상기 AP를 통해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605 단계)함으로써,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하여금 상기 해당 단말이 상기 AP의 영역에 진입하였음을 인지하게 한다.
즉, 상기 사용자 단말은 자신의 위치를 등록하기 위해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접속한 후, 현재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MAC 주소, 영역식별 ID 등) 및 사용자 단말의 정보(MAC 주소, 이동통신 MIN 번호 등)를 포함한 위치정보를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등록(605 단계)하게 된다.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이동통신의 MIN 번호를 이용하여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가 특정지역 요금할인과 같은 위치 기반의 부가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와 할인지역에 대한 정보를 획득(606 단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푸시 서비스의 부가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HLR에 이동 단말이 위치한 소규모 영역(Zone) 정보를 추가로 저장(608 단계)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 단말은 일정 주기로 위치 관리 서버에 자신의 위치를 등록(609 단계)한다. 또한,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상기 위치관리 서버에서도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한 상기 사용자 단말 접속의 유효성을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사용자 단말의 등록정보를 최신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지정된 영역(Zone) 밖으로 이동했음을 감지한 경우, 상기 이탈 시간을 저장(611 단계)하고, 단말의 MIN 번호, AP에 대한 정보, 해당 영역(Zone) 진입 시간 및 이탈시간을 과금서버에 전달(613 단계)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푸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더불어 HLR에 대해서도 위치 정보 등록 해제(612 단계)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AP의 통신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였으므로 근거리 무선통신 접속을 해제(614 단계)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푸시 서비스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존 이동통신망의 HLR에는 소규모 영역(Zone)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필드가 추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교환기로부터의 착신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의 요청이 있을 경우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함께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망의 홈위치 등록기와 발신 교환기간의 인터페이싱 절차를 나타낸 신호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6의 절차에서와 같이 위치 관리 서버는 단말 접속 시에 이동통신의 MIN 번호에 기반하여 HLR에 위치 정보를 등록(608 단계)하고, 단말의 접속 해지 시에는 HLR에 위치 정보 해제를 요청(612 단계)하게 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가입자 단말의 위치 등록 절차(701 단계)를 통하여 소규모 영역 정보가 저장되면, 푸시 서비스를 위하여 상기 HLR에 상기 소규모 영역 정보를 등록(702 단계)하게 된다.
한편, 소규모 영역(Zone) 정보가 등록된 가입자 단말에 대해 발신 교환기에서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에 대한 조회 요구(704 단계)가 오면, 상기 HLR은 해당 착신 단말의 위치 정보를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달(705 단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 교환기는 먼저 단말의 요청 서비스의 종류를 확인(706 단계)하고, 상기 서비스의 종류가 음성통화인 경우에는 이동통신에서 사용하는 위치 정보만으로 단말을 페이징(Paging)(707 단계)하여, 음성통화 서비스를 연결한다.
반면, 상기 서비스 종류 확인 결과, 요청된 서비스가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MMS) 또는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와 같은 데이터 트래픽(traffic) 요구일 경우에는 소규모 영역(Zone) 정보를 검색(708 단계)하게 된다.
상기 소규모 영역 정보 검색 결과, 정보가 존재하면 위치 관리 서버에 해당 정보를 전달(710 단계)하여 IP망을 통해 메시지가 전달되도록 한다. 즉, 상기 교환기에서 위치 관리 서버로 상기 해당 단말의 페이징 요청 정보(예컨대, SMS 메시지, MIN 정보 등)을 제공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는 상기 정보를 수신하고 해당 단말로 페이징(711 단계)하게 된다. 반면, 상기 소규모 영역 정보 검색 결과,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교환기에서 직접 단말 페이징 절차를 수행(709 단계)하게 된다.
즉, 상기 해당 단말이 데이터 트래픽 서비스를 요구할 때 본 발명에 따라 소규모 영역 정보가 존재할 경우에는 교환기로부터의 단말 페이징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관리 서버에 의해 단말 페이징 절차가 수행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지정된 영역(Zone) 밖으로 이동할 경우, 단말의 위치 등록을 해제(712 단계)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푸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HLR에 대해서도 위치 정보 등록 해제(713 단계)를 요구하게 된다. 상기 HLR에서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의 위치 정보 등록 해제 요구에 따라 해당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714 단계)하게 된다.
이하,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의 위치 정보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위치 관리 서버에서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서 위치 등록 이벤트가 발생(801 단계)하면, 각 이벤트의 종류(802 단계)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처리하게 된다.
상기 위치 등록 이벤트의 종류가 주기적인 갱신 이벤트일 경우, 상기 위치 갱신 시간을 저장(806 단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위치 등록 이벤트의 종류가 신규 등록 이벤트일 경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단말의 정보를 획득(803 단계)하고, 위치 등록 시작 시간을 저장(804 단계)한다. 아울러, 푸시 서비스의 경우 HLR에 상기 단말의 해당 영역 정보를 추가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805 단계)하게 된다.
만약, 상기 위치 등록 이벤트의 종류가 해제 이벤트일 경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해당 단말의 정보를 획득(807 단계)하고, 위치 등록 해제 시간을 저장(808 단계)하며, 과금 서버에 시간 정보를 전달(809 단계)하게 된다. 아울러, 푸시 서비스의 경우 HLR에 상기 단말의 해당 영역 정보를 삭제할 것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전송(810 단계)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입자 단말은 WLAN, 블루투스, UWB, ZigBee, 소출력 RF, RFID 등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위치 관리 서버와 위치 등록 절차를 주기적으로 반복한다. 이는 사용자 단말이 전원을 끄거나 또는 빠른 이동 또는 무선 전파 환경상의 이유로 정상적인 해제 절차를 할 수 없을 경우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각 접속 단말별로 타이머를 구동하고 관리한다. 상기 타이머는 신규 단말 위치등록 시에 구동되며, 만약 사용자 단말이 정상적인 위치등록 해제 절차 없이 일정시간 동안 위치 등록 절차가 수행되지 않으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초기 접속 시간과 가장 최근의 위치 정보 등록 시간을 과금서버에 통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통신 사업자에 대해 사용자에 대한 구역별 요금 할인과 같은 마케팅 정책을 가능하게 하여, 유선 통신 사업자의 원폰과 같은 유무선 통합서비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즉, 가정과 같은 소규모 영역(zone)에서 이동통신을 사용할 경우에는 음성통화 비용을 유선전화 수준으로 할인하며, 아울러 무선 데이터 서비스 요금을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어, 사용자가 필요한 정보를 이동통신이나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를 통해 유무선 통합 서비스로 인한 가입자 이탈 방지 및 가구별 할인을 통한 이동통신 신규가입자 확보 효과를 거둘 수 있어, 이동통신 사업자의 매출증대에 기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Claims (34)

  1. 삭제
  2. 이동통신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소규모 영역에 대하여 근거리 무선통신 커버리지를 제공하고 상기 소규모 영역에서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액세스 포인트;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IP망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유지하고 관리하는 위치 관리 서버; 및
    상기 위치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위치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상기 소규모 영역의 식별자 정보를 가지며,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유지하고 관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가지고 있는 상기 소규모 영역의 식별자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위치관리 서버 사이의 IP망은 공중 인터넷, 사설 IP망, 전용회선 IP망, ISP 사업자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IP망 내, 상기 이동통신망 내, 및 상기 망들의 외부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IP망과 Wi-MAX 또는 휴대 인터넷(WiBro)와 같은 무선 접속망을 통해 인터페이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WLAN(Wireless LAN) 방식,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소출력 RF 방식, ZigBee 방식, UWB 방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단말의 신규 위치 등록 정보, 위치 갱신 등록 정보 및 위치 해제 등록 정보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위치정보를 수신하여 과금에 대한 정보로 이용하는 과금 서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삭제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이탈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위치 정보 해제 요구 메시지를 수신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홈위치 등록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 발신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데이터 트래픽 서비스일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해당 단말의 소규모 영역 위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여 IP망을 통하여 데이터 트래픽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현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 또는 영역 식별 I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 정보 또는 이동통신 MIN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상기 위치 관리 서버와 보안이 가능한 가상 사설망, IP계층 프로토콜,TCP계층 프로토콜, 응용계층 프로토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17. 삭제
  18. 이동 전화 인터페이스 및 부가적인 근거리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소규모 영역에 위치할 때,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근거리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액세스 포인트와 접속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IP주소를 할당받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위치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하여 등록하는 단계; 및
    이동통신망에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에 저장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를 참조하여 위치기반 서비스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에는 사용자 단말이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가 소속되어 있는 소규모 영역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할당 받는 IP 주소는 공인 IP주소, 또는 사설 IP주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위치정보에는 사용자 단말 정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IP 할당 단계 이전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IP망 간의 접속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간의 보안 연결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IP망은 공중 인터넷, 사설 IP망, 전용회선 IP망, ISP 사업자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3.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단계 이후에,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위치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단말 정보에 의해 가입자 데이터베이스로 상기 사용자 단말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입자 정보는,
    상기 단말이 가입한 상기 소규모 영역에 따른 부가 서비스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5.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은 WLAN 방식, 블루투스 방식, RFID 방식, 소출력 RF 방식, ZigBee 방식, UWB 방식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6.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가 수신하는 위치정보는 상기 단말의 신규 위치 등록 정보, 위치 갱신 등록 정보 및 위치 해제 등록 정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7.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망의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 연계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근거리 무선통신망 연결 및 위치등록 정보가 유효한지를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8.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관리 서버는 상기 소규모 영역 정보를 과금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과금 서버가 소규모 영역 정보를 과금에 활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29. 삭제
  3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진입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홈위치 등록기로 위치 정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등록하는 단계; 및
    상기 단말의 소규모 영역 이탈에 따라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부터 홈위치 등록기로 위치 정보 해제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여 상기 단말의 위치 정보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착신 단말일 때, 발신 단말이 요구하는 서비스가 데이터 트래픽 서비스일 경우, 상기 홈위치 등록기에 해당 단말의 소규모 영역 위치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상기 단말의 페이징 정보를 전송하여 IP망을 통하여 데이터 트래픽이 송수신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3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현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2.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는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3. 제 31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접속한 AP에 대한 정보는 영역 식별 I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34.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위치 관리 서버로 전송되는 사용자 단말에 대한 정보는, 상기 단말의 매체 접속 제어 계층 주소 정보 또는 이동통신 MIN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040071574A 2004-09-08 2004-09-08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616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574A KR100616131B1 (ko) 2004-09-08 2004-09-08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574A KR100616131B1 (ko) 2004-09-08 2004-09-08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997A KR20050032997A (ko) 2005-04-08
KR100616131B1 true KR100616131B1 (ko) 2006-08-31

Family

ID=37237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574A KR100616131B1 (ko) 2004-09-08 2004-09-08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613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547B2 (en) 2009-08-27 2013-03-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tion track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9097544B2 (en) 2009-08-27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track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9191781B2 (en) 2010-08-31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wireless access point ID for position determination
KR20180081640A (ko) * 2015-11-30 2018-07-17 시아오미 아이엔씨. 사용자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514B1 (ko) * 2004-11-22 2007-02-02 이노에이스(주) 이동통신단말기 위치에 따른 위치 기반 서비스 수행시스템 및 방법
KR100546473B1 (ko) * 2005-04-12 2006-01-26 서동욱 알에프 태그,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들을 이용한 정보 제공장치
KR100854038B1 (ko) * 2005-06-13 2008-08-26 엘지전자 주식회사 Wlan과 이동통신 네트워크간 연동을 통한 위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60118210A (ko) * 2005-05-16 2006-11-23 엘지노텔 주식회사 위치정보 음성안내기능이 구비된 무선단말장치 및 그제어방법
KR100676625B1 (ko) * 2005-05-17 2007-01-3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을 위한 단말의 위치관리애플리케이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734541B1 (ko) * 2005-08-18 2007-07-04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독립된 위치 등록 단말기를 이용한 구역별 개인화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34540B1 (ko) * 2005-10-17 2007-07-04 티에스씨시스템 주식회사 구역별 개인화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25767B1 (ko) * 2005-11-24 2007-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인터페이스를 가진 통합 단말기의 위치등록을 위한장치 및 방법
KR100784288B1 (ko) * 2006-01-25 2007-12-12 (주)씽크테크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제공 방법
KR100692792B1 (ko) * 2006-03-10 2007-03-1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기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이용하는 위치기반 서비스시스템 및 방법과 이에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
KR100774362B1 (ko) * 2006-04-14 2007-11-08 주식회사 에스씨티 Rfid와 uwb통신을 이용한 data 제어 장치와이를 이용한 제어방법.
KR100914208B1 (ko) * 2006-05-04 2009-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Wlan과 이동통신 네트워크간 연동을 통한 위치 정보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0742754B1 (ko) * 2006-05-24 2007-07-25 주식회사 대흥데이타통신 무인 감지 보안 시스템 및 그 작동방법
KR100857573B1 (ko) * 2007-01-05 2008-09-09 주식회사 셀리지온 이종 무선통신망과 연동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 측위시스템 및 이종망 연동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 위치측위 방법
KR100860094B1 (ko) 2007-08-29 2008-09-2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지정 지역에서 발신하는 경우 대표 번호 과금 방법 및시스템
KR100942895B1 (ko) * 2007-10-15 2010-02-16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an 기반 홈 존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547B2 (en) 2009-08-27 2013-03-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ocation track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9097544B2 (en) 2009-08-27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Location tracking for mobile computing device
US9191781B2 (en) 2010-08-31 2015-11-17 Qualcomm Incorporated Use of wireless access point ID for position determination
KR20180081640A (ko) * 2015-11-30 2018-07-17 시아오미 아이엔씨. 사용자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KR101895701B1 (ko) 2015-11-30 2018-09-05 시아오미 아이엔씨. 사용자 정보 푸시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2997A (ko) 200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6131B1 (ko) 위치기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5314699B2 (ja) パブリックセルを使用したローカル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
US9787855B2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JP6077048B2 (ja) 固定/移動体ネットワークの加入者識別情報管理ブローカ
US778284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ging local area and wide area wireless data networks
US7570617B2 (en) Complex wireless service apparatus using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 thereof
US10637997B2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US201600144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video streaming in a dynamic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9049652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and utilization of femtocells via a network based service
US20050227692A1 (en) Utilized-network selec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terminal
US960951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vice authentication in a dynamic network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787885B2 (en) System for controlling access to a ser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EP2227918B1 (en) Method and node to control access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core
KR20090037199A (ko) 펨토셀 커버리지내 위치 확인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이에 적용되는 펨토셀 기지국
GB2450575A (en) Controlling the use of access points in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KR100945338B1 (ko) WiMAX 망에서의 위치 서비스 제공 방법
CN101599876B (zh) 一种通用业务接口系统业务调用的方法与系统
EP3871404A1 (en) Billing engine and method of use
KR101403812B1 (ko) 서비스 제공 방법, 가입자 관리 방법 및 옥내용 기지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