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730B1 -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 Google Patents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730B1
KR100613730B1 KR1020050027617A KR20050027617A KR100613730B1 KR 100613730 B1 KR100613730 B1 KR 100613730B1 KR 1020050027617 A KR1020050027617 A KR 1020050027617A KR 20050027617 A KR20050027617 A KR 20050027617A KR 100613730 B1 KR100613730 B1 KR 100613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urethane film
rubber band
treatme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7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장호
Original Assignee
윤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장호 filed Critical 윤장호
Priority to KR1020050027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3Corsets or bandages for abdomen, teat or breast support, with or without pa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8Abdomen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inflatab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2Orthopaedic corsets
    • A61F5/028Braces for providing support to the lower back, e.g. lumbo sacral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레탄 필름을 고주파 접착시 꺽임공간을 마련하고, 좌우측에는 고무밴드를 형성한 후, 복대를 미사용시 굽힘방지원단에 의해 상하단부의 밀림이 방지되면서 상기 꺽임공간과 고무밴드를 통하여 복대 몸체가 접힘 형태로 상하 수축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고무밴드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상하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Description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The health band for protection and treatment}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정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대가 신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복대 200 ; 우레탄 필름
300 ; 고주파 접착부분 400 ; 공기충진공간
500,510,520 ; 꺽임공간 600 ; 공기주입구
700 ; 고무밴드 800 ; 굽힘방지원단
900 ; 고정점
본 발명은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레탄 필름을 고주파 접착시 꺽임공간을 마련하고, 좌우측에는 고무밴드를 형성한 후, 복 대를 미사용시 굽힘방지원단에 의해 상하단부의 밀림이 방지되면서 상기 꺽임공간과 고무밴드를 통하여 복대 몸체가 접힘 형태로 상하 수축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고무밴드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상하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크환자들의 요추부를 올바르게 교정하기 위해서는 상체를 견인해 줌으로써 요추압박으로 인한 고통을 완화,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이러한 요추보호 및 치료 목적의 보조로 사용되는 복대는 일정한 길이를 갖는 몸체와 이 몸체 좌우측에 형성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고정시키는 암수 구조의 벨크로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몸체 내부에는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여 상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신축관이 내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축관은 고무재질로서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부풀어 오르면서 상하 신장됨과 동시에 허리를 압박하여 사용자의 상체가 견일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복대를 이용하여 디스크환자들의 요추부를 교정하거나 치료하는 복대를 이용하여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종래 복대를 상하 신축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신축장치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신축장치 복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많은 제조과정을 거칠뿐 아니라 자재가 많이 소요되어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우레탄 필름을 고주파 접착시 꺽임공간을 마련하고, 좌우측에는 고무밴드를 형성한 후, 복대를 미사용시에는 상기 꺽임공간과 고무밴드를 통하여 복대 몸체가 접힘 형태로 상하 수축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고무밴드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상하 견인할 수 있도록 한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를 제공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꺽임공간과 고무밴드에 의해 복대 몸체가 접힘 형태로 상하 수축될시 복대 상하단에 형성된 굽힘방지원단에 의해 상하단부의 밀림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를 제공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우레탄 필름상에 고주파 접착부분을 성형시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꺽임공간을 배열 형성한 후, 이 꺽임공간을 통하여 복대가 상하 수축 가능하게 하는 것과,
상기 우레탄 필름 좌우측에 고무밴드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미사용시 이 고무밴드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대 몸체가 꺽임공간을 기준으로 상하 수축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고무밴드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상하 신장되게 하는 것과,
우레탄 필름 상하단에 굽힘방지원단이 형성되고, 이 굽힘방지원단에 의해 복대 상하단의 말림이 방지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정면도 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복대가 신 장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복대가 수축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복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100)도 내피와 외피의 결합으로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위치하고 금형에 의해 고주파 접착부분(300)이 성형되며 고주파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공기충진공간(400)이 마련되는 우레탄 필름(200)으로 이루어지며, 공기충진공간(400) 내부로 공기가 충진되면 우레탄 필름(200)이 부풀어 오르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압박하여 상체를 견인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종래와 같다.
따라서 복대(100)의 내부 구성과, 고주파 처리방법은 이미 공지된 기술 내용이므로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더욱 효과적으로 사용자의 상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도1과 도3에서와 같이 공지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 내부에 위치하여 공기가 충진되게 하는 우레탄 필름(200)과, 이 우레탄 필름(200)상에 형성되는 꺽임공간(500)(510)(520), 고무밴드(700) 및 굽힘방지원단(800)이 기본적으로 동원된다.
우레탄 필름(200)은 두장이 사용되는데, 고주파 접착부분(400)을 통하여 두장의 우레탄 필름이 고주파 처리되면 가장자리가 외부와 긴밀하게 밀폐처리 되고, 내부는 공기가 충진되면서 부풀어 오를수 있도록 공기충진공간(400)이 마련된다.
꺽임공간(500)(510)(520)은 고주파 접착시 우레탄 필름(200)에 고주파 접착 부분(300)과 동시에 성형된다. 이러한 꺽임공간(500)(510)(520)은 복대(100)를 미사용시 복대가 접힘방식으로 상하 수축될 수 있도록 길이방향(수평방향)으로 다수배열 형성된다.
고무밴드(700)는 띠 형태로서 우레탄 필름(200) 좌우측에 수직방향으로 위치한다. 이때 고무밴드(700)를 우레탄 필름(200) 몸체에 일체로 형성하기 전에 접착지점(900) 부근을 잡고 상하 늘린 상태에서 접착지점(900)을 접착하여 복대(100)를 미사용시 상기한 고무밴드(7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대가 상하 수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굽힘방지원단(800)은 우레판 필름(200) 상하단에 각각 형성되고, 이 굽힘방지원단에 의해 복대 수축시 상하단의 밀림을 방지하여 사용상의 불편함을 해소하였다.
미설명 부호 600은 공기주입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레탄 필름(200) 두장을 준비한 후, 상기한 우레탄 필름(200)을 고주파 처리하면 우레판 필름상에는 고주파 접착부분(300), 공기충진공간(400) 및 꺽임공간(500)(510)(520)이 동시에 형성된다.
이때 준비된 고무밴드(700)는 접착지점(900)을 잡고 상하 늘린상태에서 접착지점(900)을 우레탄 필름(200) 몸체에 수직방향으로 접착하면, 이 고무밴드(700)의 안쪽은 늘려진 상태이고 양단부는 늘려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꺽임공간(500)(510)(520)만 수축 가능한 것이다.
이후, 공기충진공간(400)측에 공기주입구(600)와 우레탄 필름(200) 상하단에 굽힘방지원단(800)을 각각 형성하고, 임의의 복대(100) 형태로 재단하면 복대로 제조되는 것이다.
따라서 최초 제조된 복대(100)는 우레탄 필름(200)상에 꺽임공간(500)(510)(520)과, 늘린 상태로 고무밴드(700)가 연결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미사용시에는 상기한 꺽임공간(500)(510)(520)과 고무밴드(7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대는 수축되어 접힘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복대(100) 상하단은 굽힘방지원단(800)에 의해 굽혀지거나 밀리지 않고 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허리측에 복대(100)를 착용한 후, 공기주입구(600)에 공기펌프를 연결하고 이를 펌핑시키면 공기는 공기충진공간(400)내로 충진된다.
공기충진공간(400) 내부로 공기가 충진되는 과정에서 꺽임공간(500)(510)(520)과, 고무밴드(700)에 의해 수축되어 있던 복대(100)는 상하 신장됨과 동시에 부풀어 오르는 우레탄 필름(200)에 의해 사용자의 상체가 견인되고 신체가 압박되는 것이다.
상기와는 반대로 복대(100)를 미사용시에는 공기주입구(600)를 이용하여 공기뽑기를 실시한다. 그러면 공기충진공간(400) 내부에 있던 공기는 외부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과정에서 늘어나 있던 고무밴드(700)가 원상복귀 되기 때문에 복대는 수축 작용하게 되고, 수축되는 과정에서 꺽임공간(500)(510)(520)에 의해 접힘 상태로 수축되는 것이다.
한편, 꺽임공간(500)(510)(520)이 형성되고 좌우측에 고무밴드(700)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꺽임공간(500)(510)(520)에 의해서만 복대(100)가 수동으로 접힐수 있다면 도4에서와 같이 복대(100)에 꺽임공간(500)(510)(520)만 형성하고 고무밴드는 사용하지 않을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대(100)에 꺽임공간(500)(510)(520)만 형성되어 있을때에는 복대(100)가 수동으로 상하 수축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복대(100) 좌우측을 잡고 바깥쪽으로 잡아당기면 꺽임공간(500)(510)(520)에 의해 복대는 수축된다.
이를 사용시 수축된 상태로 사용자의 허리에 복대(100)를 착용한 후 공기충진공간(400)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면 상기한 복대(100)가 상하 신장되면서 사용자의 허리를 상하 견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우레탄 필름을 고주파 접착시 꺽임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좌,우측에는 고무밴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복대를 미사용시 상기 꺽임공간과 고무밴드를 통하여 복대 몸체가 접힘 형태로 간편하게 상하 수축될 뿐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꺽임공간과 고무밴드에 의해 복대 몸체가 접힘 형태로 상하 수축될시 복대 상하단에 굽힘방지원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단부의 밀림이나 굽힘이 방지되어 더욱 간편하게 복대를 착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내피와 외피의 결합으로 전체적인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내부에 위치하고 금형에 의해 고주파 접착부분(300)이 성형되며 고주파 접착되지 않은 부분에는 공기충진공간(400)이 마련되는 우레탄 필름(200)으로 이루어진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필름(200)상에 고주파 접착부분(300)을 성형시 수평 방향으로 다수의 꺽임공간(500)(510)(520)을 배열 형성한 후, 이 꺽임공간(500)(510)(520)을 통하여 복대(100)가 접힘 상태로 수축 가능하게 하는 것과, 상기 우레탄 필름(200) 좌우측에 고무밴드(700)를 수직방향으로 형성하고, 미사용시 이 고무밴드(7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복대(100) 몸체가 꺽임공간(500)(510)(520)을 기준으로 수축되게 하고 사용시에는 고무밴드(700)의 탄성복원력을 극복하면서 상하 신장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상하 신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필름(200) 상하단에 굽힘방지원단(800)이 형성되고, 이 굽힘방지원단(800)에 의해 상하단의 말림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상하 신축구조.
KR1020050027617A 2005-04-01 2005-04-01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KR100613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17A KR100613730B1 (ko) 2005-04-01 2005-04-01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7617A KR100613730B1 (ko) 2005-04-01 2005-04-01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13730B1 true KR100613730B1 (ko) 2006-08-22

Family

ID=37602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7617A KR100613730B1 (ko) 2005-04-01 2005-04-01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7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12B1 (ko) 2006-02-15 2007-05-09 윤장호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WO2021120411A1 (zh) * 2019-12-17 2021-06-24 苏州宿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智能人体姿态矫正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058A (ko) * 1998-12-26 2000-07-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00065680A (ko) * 1999-04-08 2000-11-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216093Y1 (ko) 2000-08-23 2001-03-15 김승호 복대
KR20010087096A (ko) * 2000-03-02 2001-09-15 장익춘 주름진 압박 밴드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4058A (ko) * 1998-12-26 2000-07-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00065680A (ko) * 1999-04-08 2000-11-15 채준석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KR20010087096A (ko) * 2000-03-02 2001-09-15 장익춘 주름진 압박 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0216093Y1 (ko) 2000-08-23 2001-03-15 김승호 복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9512B1 (ko) 2006-02-15 2007-05-09 윤장호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WO2021120411A1 (zh) * 2019-12-17 2021-06-24 苏州宿鸠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穿戴智能人体姿态矫正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2113B2 (en) Spinal brace
EP1054615A1 (en) Method and apparatus to medically treat soft tissue damage, lymphedema and edema
US6672311B2 (en) Colonoscopy pressure device
CN110325152A (zh) 男性阴茎锻炼装置
KR100613730B1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JP2010227322A (ja) 腰痛治療用軟性機能装具
JP2018088984A (ja) 体幹サポーターおよびそれを備えたインナーウエア
KR20120110814A (ko) 디스크 치료용 벨트
KR101296516B1 (ko) 분리형 목 디스크 치료장치
CN205251982U (zh) 一种用于抗血栓治疗仪的腿套
KR100879630B1 (ko) 흉요추 보조기
KR101431746B1 (ko) 디스크 치료기
KR100709512B1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CN205073086U (zh) 一种充气式腰椎牵引器
JP2000005207A (ja) 空気ポンプとセットの身体矯正具
KR20120079593A (ko) 허리 보조기
KR100298328B1 (ko) 요추보호및치료용복대
KR200476376Y1 (ko) 인체공학적 구조를 갖는 의료용 복대
KR100288100B1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CN207445111U (zh) 胸外科用胸带
CN103431934A (zh) 一种气柱式气压可调的胸部固定护具
KR102636117B1 (ko) 상체용 공기압 마사지기
WO2020012322A1 (en) Tool for stimulating a part of the skin
KR20060013300A (ko)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 신축구조
KR20050121158A (ko) 신축자재한 공기튜브를 갖는 요추보호 및 치료용 복대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