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3228B1 -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 Google Patents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3228B1
KR100613228B1 KR1020040047612A KR20040047612A KR100613228B1 KR 100613228 B1 KR100613228 B1 KR 100613228B1 KR 1020040047612 A KR1020040047612 A KR 1020040047612A KR 20040047612 A KR20040047612 A KR 20040047612A KR 100613228 B1 KR100613228 B1 KR 1006132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rechargeable battery
discharge
charge
comb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8056A (ko
Inventor
정천수
Original Assignee
정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천수 filed Critical 정천수
Priority to KR1020040047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322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8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8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3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3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6Accumulator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harg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2Over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68Battery or charger load switching, e.g. concurrent charging and load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지등이 수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지의 충전 및 방전용 단자가 단일의 단자로 이루어져서 충전지의 충전과 방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충방전 겸용잭을 구비하며, 상기 충방전 겸용잭의 방전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출력인출선을 별도로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간편한 충방전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전지 케이스 자체를 대상물건의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충방전 겸용, 충전지 케이스,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Description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A charging battery case having uni-jack}
도1은 종래의 충전지 케이스의 사시도
도2는 종래의 충전지 케이스의 내부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4는 도3의 내부 구성도
도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사시도
도6은 도5의 내부 구성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사시도
도8은 도7의 내부 구성도
도9는 본 발명의 회로도
도10 및 도1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도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의 사시도
도13은 도12의 일부절개 단면도
도14는 도13의 사용상태도
도15은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몸체 케이스 5: 충전지
10: 충방전 겸용잭 11,11`: 잭단자
21,21`: 온오프스위치 50: 출력인출선
본 발명은 충전지등이 수납되는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충전지의 충전 및 방전용 단자가 단일의 단자로 이루어져서 충전지의 충전과 방전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충방전 겸용잭을 구비하며, 상기 충방전 겸용잭의 방전기 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도록 출력인출선을 별도로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시킴으로써, 간편한 충방전을 제공함과 동시에 충전지 케이스 자체를 대상물건의 내부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충전지등은 그 자체를 전자제품 내에 그 전원으로써 장착하거나, 또는 별도의 외부 케이스에 내장하여 상기 외부 케이스로부터 전원잭 등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때 전자제품의 크기나 형태의 제한으로 인하여 충전지등의 전지를 외부의 케이스나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잭플러그등을 이용하여 공급받는 형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케이스 내에 전지가 수납되고 그 케이스로부터 방전용의 잭플러그가 선단에 형성된 잭코드가 인출되거나, 또는 잭플러그가 없이 방전용(출력용)의 전선만이 인출되도록 구성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이러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에는, 상기 충전지케이스 내에 수납되는 충전지를 재충전할 경우는 상기 충전지케이스로부터 충전지를 인출하여 별도의 충전기에 다시 장착하여 충전한 후, 충전이 완료된 충전지를 다시 충전지케이스에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에는 충전지케이스로부터 충전지를 자주 입탈거하여야 하므로 충전지케이스를 빈번히 개방하여야 하고, 따라서 충전지케이스를 방수구조로 형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충전지케이스는 방전(출력)용의 잭단자만 있거나, 또는 충전용의 잭단자와 방전용의 잭단자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그 구조가 복잡할 뿐 만 아니라, 사용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을 갖고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도1 및 도2에서와 같이, 본 출원인에 의하여 충전 및 방전(출력)을 단일의 공통단자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충전지 케이스구조가 대한민국특허출원 제 2003-82506호로 제안되어 상기된 문제점들을 모두 해결한 바 있다.
이와 같은 개량된 기존의 장치의 구조는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1)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 부에 설치되며 스위치가 장착되는 입출력 조절부(20)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5)와, 상기 충전지(5)와 연결되며 과충전방지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입출력 조절부(20)에 연결되는 과충전 방지부(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출력 조절부(20)에는 단일 단자로써 상기 충전지(5)의 충전과 방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충방전 겸용잭(1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구조는 충방전 겸용잭(10)을 구비함으로써, 충전과 방전이 동일한 잭단자를 통하여 수행되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하다. 이와 같은 동일잭을 이용한 충전 및 방전회로의 형성은 충전지와 상기 잭단자(11)를 통한 외부의 전원 또는 전자장치와의 전위차에 의하여 충전 또는 방전이 자동적으로 일어나게 되어 하나의 충방전 겸용잭으로 전원의 입력 및 출력의 두가지의 작용을 모두 수행할 수 있게 된다는 큰 효과를 제공하게 되었다.
그러나, 개량된 상기와 같은 충전지 케이스는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실제 사용상에는 다소 미흡한 점이 있으니, 그것은 상기 충전지 케이스는 외부의 별도 전원으로서 사용되기에는 간편하게 되어있으나, 각종의 장치 내부에 장착되어 자체의 전원으로 사용되기에는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를 외부의 전원은 물론이고 내부에 설치하여 내부전원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충전지 케이스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부에서 스위칭이나 충전용잭의 사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 충전지 케이스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은, 충방전 겸용잭에 병렬로 연결되어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인출선을 갖는 본 발명의 구성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3 및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몸체케이스(1)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온오프스위치(21)가 장착되는 입출력 조절부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5)와,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며 과충전방지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입출력 조절부에 연결되는 과충전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출력 조절부에는 단일 단자로써 상기 충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충방전 겸용잭(10)이 설치된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11)에 병렬로 연결되어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인출선(50)이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4 및 도9에서와 같이, 상기 입출력 조절부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스위칭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온오프스위치(21) 및 상기 충방전 겸용잭(10)이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과충전 방지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아이씨(32)가 장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아이씨는 과충전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저항(R1)을 통하여 충전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며, 충전지의 타측 단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에 연결되는 두개의 스위치(M1,M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온오프스위치(21)에 연결되되 상기 두개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아이씨(32)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잭단자(11)에 바이패스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11)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인출선(50)이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출력인출선(50)은 잭단자(11)에 병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잭단자와 동일한 회로를 따르도록 구성되어, 상기 출력인출선(50)에 전력이 소요되는 장치를 연결하여 전원의 출력포트로 이용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은 상기 충방전 겸용잭(10)에 전자장치와 연결된 잭플러그를 꽂을 경우는 충전지(5)의 전위가 당연히 높으므로 방전이 일어나서 전자기기(장치)로 전류가 흘러나가게 되어 전원공급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며(이때는 상기 출력인출선과 동일한 역할을 하나, 충방전 겸용잭에 있어서는 외부의 또는 또다른 전기장치로의 연결을 위한 전원공급원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충전지(5)가 방전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충방전 겸용잭(10)에 통상적인 충전기를 연결시켜 상기 충전기로부터의 높은 전위차로 인하여 충전지(5)로 전류가 흘러들어 충전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또한 상기 과충전 방지부에 의하여 과충전 또는 과방전이 방지되어 안정된 충전 및 방전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도5 및 도6에서와 같이 상기 도4에 의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겸용잭(11)은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설치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이와 같이 하면, 본 발명을 이용하는 물건의 내부에 일체식으로 설치하여 이용하기에 매우 용이한 형태가 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본 발명을 발광신발에 이용할 경우, 신발(7)의 밑창등에 엘이디(LED)와 같은 발광소자(8)를 설치하고, 상기 발광소자(8)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기 신발의 밑창등의 내부에 매입하여 설치하되 본 발명의 출력인출선(50)을 상기 발광소자(8)에 연결시켜서 설치하면 매우 이상적인 발광신발을 제공할 수 있게된다.
이때, 본 발명의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11)의 외단부가 신발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면, 필요시마다 외부의 충전기의 잭플러그(40)를 여기에 연결시켜 충전시켜서 사용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은 형태의 발광신발은 기존의 압전소자를 이용한 발광신발에 비하여 매우 큰 공급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더욱 밝고 다양한 형태의 발광형태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밟을 때에만 빛이 나는 압전소자식 발광신발등과는 달 리 주기적으로 또는 일정한 패턴을 갖도록 발광시키는 것이 가능함).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로서, 도7 및 도8에서와 같이, 상기 도6에 따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스위치(21`)는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도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발광소자(8)의 작동을 단속하기 위한 온오프스위치(21`)를 신발(또는 다른 임의의 대상)의 편리한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고, 또한 충전을 위한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11`) 역시 사용이 편리한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게된다.
이는 본 발명을 대상 물품의 내부 적정위치에 매입형으로 설치하여 발광소자등의 전기소요물품의 전원 공급의 단속을 임의로 편리하게 하며, 또한 필요시 마다 용이하게 충전을 하여 반 영구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은 도12 및 도13에서 보는 바와 같은 제4실시예의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몸체케이스(1a)는 만년필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단부에는 내부의 온오프스위치(21)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하로 신축되는 스위치 작동버튼(210)이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출력인출선(50)이 유입되며, 별도의 전자장치(조명장치) 또는 필기장치가 설치될 수 있는 장치수납실(700)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면, 도14에서와 같이 만년필 형태의 미려한 외관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본 발명 자체에 후레시나 레이저 지시봉 등의 조명장치나 필기장치등의 적당한 장치를 구비하여 충전지 케이스의 용도와 함께 다양한 장치(전기장치의 경우에는 본 발명의 자체의 전원을 직접 이용하게 된다)의 기능을 함께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몸체케이스(1a)를 3부분으로 나사식으로 조립되도록 구성(물론 일체식으로 융착하여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하며, 상부에는 스프링(23)을 설치하여 스위치작동버튼(210)이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스위치 작동버튼의 하단에 작동부(22)를 형성하여 이것이 온오프스위치(21)를 압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도 15에서와 같이 몸체 케이스(1b)가 타원 또는 원판형의 형태를 갖도록 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구상할 수 있으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함은 당연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충방전 겸용잭과 별도로 출력인출선을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을 물품의 외부는 물론, 물품의 내부에도 임의의 위치에 설치하여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간편하게 충전 및 스위치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한 이용성을 제공하게 된다.

Claims (6)

  1. 몸체케이스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온오프스위치가 장착되는 입출력 조절부와,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충전지와,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며 과충전방지회로가 구성되어 상기 입출력 조절부에 연결되는 과충전 방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입출력 조절부에는 단일 단자로써 상기 충전지의 충전과 방전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충방전 겸용잭이 설치된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에 병렬로 연결되어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는 출력인출선이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입출력 조절부는 상기 몸체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스위칭회로가 형성된 인쇄회로기판에 온오프스위치(21) 및 상기 충방전 겸용잭이 장착되어 구성되며,
    상기 과충전 방지부는 인쇄회로기판에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아이씨가 장착되어 형성되되, 상기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아이씨는 과충전 또는 과방전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저항을 통하여 충전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며, 충전지의 타측 단자는 서로 직렬로 연결되어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에 연결되는 두개의 스위치(M1,M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기 온오프스위치(21)에 연결되되 상기 두개의 스위치는 각각 상기 과충전 및 과방전 방지 아이씨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잭단자에 바이패스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충방전 겸용잭의 잭단자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출력인출선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방전 겸용잭은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오프스위치는 몸체케이스의 외부로 인출되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는 만년필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몸체케이스의 상단부에는 내부의 온오프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상하로 신축되는 스위치 작동버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케이스의 하측에는 상기 출력인출선이 유입되며, 별도의 전자장치나 필기장치등이 설치될 수 있는 장치수납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KR1020040047612A 2004-06-24 2004-06-24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KR1006132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612A KR100613228B1 (ko) 2004-06-24 2004-06-24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7612A KR100613228B1 (ko) 2004-06-24 2004-06-24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56A KR20040068056A (ko) 2004-07-30
KR100613228B1 true KR100613228B1 (ko) 2006-08-21

Family

ID=373572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612A KR100613228B1 (ko) 2004-06-24 2004-06-24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3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32B1 (ko) 2005-05-16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69A (ko) * 2003-11-20 2004-05-10 정천수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69A (ko) * 2003-11-20 2004-05-10 정천수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구조 및 이에연결되는 방수용 잭플러그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4003916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32B1 (ko) 2005-05-16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8056A (ko) 2004-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69779Y1 (ko) 휴대폰용 보조배터리 충전기
US9033539B2 (en) LED device has built-in removable LED-lights
US20080251109A1 (en) Lighting and Alerting Device for Walking Stick
US20060082991A1 (en) Flashlight adaptor for providing alternativ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to other electronic instruments
US11658498B2 (en) Chargeable gunsight bracket and gunsight having the same
US7059742B2 (en) Flashlight with power supply adapter
CN210141494U (zh) 一种多功能露营灯
KR100613228B1 (ko) 충방전 겸용잭을 갖는 충전지 케이스
CN205565793U (zh) 一种便携式多功能充电器
CN205191295U (zh) 一种多功能手电筒
CN201568746U (zh) 一种使用扁平方块电池的可充电手电筒
KR20070000524U (ko) 유에스비 메모리가 부설된 다목적 휴대 충전배터리 장치
CN208107704U (zh) 一种可充电式led帽灯
EP1765038A2 (en) Light assembly with rechargeable battery
WO2010130153A1 (zh) 一种自备充电结构的电池
KR200210704Y1 (ko) 휴대폰용 비상 충전기
CN205299208U (zh) 一种智能led台灯
CN211127175U (zh) 车载充电宝
CN210110084U (zh) 教学用多功能激光笔
US20070046215A1 (en) Light assembly with power discharge unit
CN207994694U (zh) 一种带有显示屏的无线充电器
US20090045770A1 (en) Headgear assembly capable of collecting solar power
CN219222314U (zh) 一种用于手电筒的控制电路及其手电筒
CN210372959U (zh) 一种便携式的发光棒
CN203691009U (zh) 便携式移动电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