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9921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9921B1
KR100609921B1 KR1020050003308A KR20050003308A KR100609921B1 KR 100609921 B1 KR100609921 B1 KR 100609921B1 KR 1020050003308 A KR1020050003308 A KR 1020050003308A KR 20050003308 A KR20050003308 A KR 20050003308A KR 100609921 B1 KR100609921 B1 KR 10060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mpartment
refrigerator
sensor
free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3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2939A (ko
Inventor
진선미
효니시카와
신요시다
권오재
김정민
박용필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3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9921B1/ko
Publication of KR20060082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2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9/0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 E04G9/10Forming or shuttering elements for general use with additional peculiarities such as surface shaping, insulating or heating, permeability to water or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갖는 본체와,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와,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유니트를 갖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전면 하부의 가로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누름부재와; 누름부재의 냉장실 측의 하부에 마련된 냉동실센서와; 누름부재의 냉동실 측의 하부에 마련된 냉장실센서와; 냉동실센서가 가압되면 냉동실도어를 개방하고, 냉장실센서가 가압되면 냉장실도어를 개방하도록 도어개방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손을 사용하지 않고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냉장고, 누름부재, 도어개방유니트, 냉동실센서, 냉장실센서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도 1은 종래의 냉장고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냉장고에 따른 누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냉장고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10 : 본체
12 : 냉동실 14 : 냉장실
20 : 냉동실도어 22 : 냉동실도어핸들
24 : 냉동실LED 26 : 냉동실신호발생부
30 : 냉장실도어 32 : 냉장실도어핸들
34 : 냉장실LED 36 : 냉장실신호발생부
40 : 누름부재 42 : 냉동실센서
44 : 냉장실센서 50 : 제어부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손을 사용하지 않고 자동으로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대용량의 저장실을 사용하고자 하는 소비자의 욕구에 따라 냉장실 및 냉동실이 좌우로 배치되어 있는 병립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냉장고(101)는 냉각실을 형성하는 본체(110)와, 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핸들(122)이 구비된 도어(120)와, 본체(110)와 도어(120)의 사이를 밀폐시키는 도어가스킷(124)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도어핸들(122)을 잡아당기면 도어가스킷(124)이 본체(110)로부터 분리되면서 도어(120)가 개방된다. 또한 도어핸들(122)을 밀면 도어(120)가 폐쇄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의 경우, 대용량의 냉각실을 폐쇄하고 냉기가 손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가 크고 무거운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도어를 개방하기 위하여 많은 힘이 소요된다.
그런데 많은 식품을 들고 있거나 무거운 물품을 들고 있는 경우에는 짐을 모두 내려놓고 도어를 개방한 후 다시 식품을 정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힘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 몸이 불편한 장애인의 경우에는 도어의 개방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손을 사용하지 않고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유니트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면 하부의 가로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냉장실 측의 하부에 마련된 냉동실센서와;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냉동실 측의 하부에 마련된 냉장실센서와; 상기 냉동실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냉동실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냉장실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냉장실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개방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는 각각 냉동실도어핸들 및 냉장실도어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핸들의 일영역에는 LED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LED가 발광함과 동시에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동실센서를 가압하면 상기 냉동실도어핸들에 마련된 상기 LED 및 상기 신호발생부가 작동하며, 상기 냉장실센서를 가압하면 상기 냉장실도어핸들에 마련된 상기 LED 및 상기 신호발생부가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동실센서 및 상기 냉장실센서는 압력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장고 중 병립형(SIDE BY SIDE TYPE) 냉장고를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하고,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냉장고(1)는 냉동실(12) 및 냉장실(14)을 형성하는 본체(10)와,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냉동실(12) 및 냉장실(14)을 각각 개폐하며 도어핸들(22, 32)을 갖는 냉동실도어(20) 및 냉장실도어(30)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한 누름부재(40)와, 본체(1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되어 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유니트(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일반적으로 본체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왼쪽에는 냉동실이, 오른쪽에는 냉장실이 위치한다).
냉동실도어핸들(22) 및 냉장실도어핸들(32)의 일영역에는 도어의 개방을 표시하는 냉동실LED(24) 및 냉장실LED(34)와, 신호음으로 도어의 개방을 알리는 냉동실신호발생부(26) 및 냉장실신호발생부(36)가 마련된다.
도 3은 도 2의 냉장고에 따른 누름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재(40)는 본체(10)의 전면 하부 영역의 가로 방향을 따라 하나의 긴 바(BAR) 형상으로 설치된다. 누름부재(40)는 사용자가 발로 가압하면, 가압된 영역에 대응하여 냉동실도어(20) 또는 냉장실도어(30)가 개방된다. 누름부재(40)의 후방에는 사용자의 가압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다.
센서는 일종의 압력센서로, 누름부재(40) 후방의 양단부 영역에 냉동실센서(42) 및 냉장실센서(44)가 각각 설치된다. 냉동실센서(42)는 냉장실도어(30)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냉장실센서(44)는 냉동실도어(2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냉동실센서(42) 및 냉장실센서(44)로부터 감지된 정보는 제어부(50)로 전달된다.
제어부(50)는 사용자가 누름부재(40) 오른쪽 영역의 냉동실센서(42)를 가압하면 왼쪽에 위치한 냉동실도어(20)를 개방시킨다. 반대로 사용자가 누름부재(40) 왼쪽 영역의 냉장실센서(44)를 가압하면 오른쪽에 위치한 냉장실도어(30)를 개방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발로 밟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의 도어가 개방되므로, 사용자의 발에 걸리지 않고 도어가 개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도 2의 냉장고에 따른 제어블럭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는 누름부재(40)의 후방에 장착된 냉동실센서(42) 및 냉장실센서(44)와, 냉동실 및 냉장실 도어핸들(22, 32)에 각각 장착된 LED(23, 34) 및 신호발생부(26, 36), 그리고 본체(10)의 상부 영역에 설치된 도어개방유니트를 제어한다. 제어부(50)는 누름부재(40)에 장착된 센서(42, 44)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바탕으로 냉동실도어(20) 또는 냉장실도어(30)를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제어부(50)는 누름부재(40)의 오른쪽 후방에 설치된 냉동실센서(42)가 가압되면 본체(10)의 왼쪽의 냉동실도어핸들(22)에 설치된 냉동실LED(24) 및 냉동실신호발생부(26)를 작동시킨다. 냉동실LED(24)에 불이 들어오고, 냉동실신호발생부(26)로부터 신호음이 울리면 사용자는 일차적으로 냉동실도어(20)가 개방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50)는 도어개방유니트를 작동하여 냉동실도어(20)를 밀어줌으로써 도어를 개방시킨다.
반대로 제어부(50)는 누름부재(40)의 왼쪽 후방에 설치된 냉장실센서(44)가 가압되면 본체(10)의 오른쪽의 냉장실도어핸들(32)에 설치된 냉장실LED(34) 및 냉장실신호발생부(36)를 작동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냉장실도어(30)가 개방된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그 후 제어부(50)는 도어개방유니트를 작동하여 냉장실도어(30)를 개방시킨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무거운 물품을 들고 있더라도 발을 이용하여 누름부재를 가압함으로써 손쉽게 도어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몸이 불편한 장애인이나 힘이 약한 노약자 또는 어린이의 경우라도 손을 사용하지 않고 도어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누름부재는 하나의 바(BAR) 형태로 마련되었으나, 냉동실 및 냉장실 용으로 분리된 두 개의 바(BAR)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냉동실센서 및 냉장실센서는 압력센서로 누름부재의 후방에 마련된다고 하였으나, 물체의 접근을 감지하는 센서 등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누름부재의 전방 및 측방 등에 마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개방하는 도어개방유니트는 도어를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수단이라면 그 종류에 상관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에서, 손을 사용하지 않고 냉장고 도어를 개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향상된다.

Claims (5)

  1. 냉동실 및 냉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와,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를 개방시키는 도어개방유니트를 갖는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본체 전면 하부의 가로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냉장실 측의 하부에 마련된 냉동실센서와;
    상기 누름부재의 상기 냉동실 측의 하부에 마련된 냉장실센서와;
    상기 냉동실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냉동실도어를 개방하고, 상기 냉장실센서가 가압되면 상기 냉장실도어를 개방하도록 상기 도어개방유니트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도어 및 냉장실도어는 각각 냉동실도어핸들 및 냉장실도어핸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핸들의 일영역에는 LED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핸들은 상기 LED가 발광함과 동시에 신호음을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센서를 가압하면 상기 냉동실도어핸들에 마련된 상기 LED 및 상기 신호발생부가 작동하며, 상기 냉장실센서를 가압하면 상기 냉장실도어핸들에 마련된 상기 LED 및 상기 신호발생부가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센서 및 상기 냉장실센서는 압력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50003308A 2005-01-13 2005-01-13 냉장고 KR10060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08A KR100609921B1 (ko) 2005-01-13 2005-01-13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3308A KR100609921B1 (ko) 2005-01-13 2005-01-13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39A KR20060082939A (ko) 2006-07-20
KR100609921B1 true KR100609921B1 (ko) 2006-08-08

Family

ID=37173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3308A KR100609921B1 (ko) 2005-01-13 2005-01-1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99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985B1 (ko) * 2017-09-01 2019-05-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442380B1 (ko) * 2017-11-08 2022-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126086B1 (ko) * 2018-06-01 2020-06-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2939A (ko) 200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15412S1 (en) Drape clip
USD574023S1 (en) Refrigerator
USD522541S1 (en) Refrigerator
KR101654383B1 (ko) 냉장고
USD491797S1 (en) Over-center fastener with safety catch
USD523033S1 (en) Refrigerator
USD453624S1 (en) Tool box with compartment for a level
KR20110037303A (ko) 냉장고
KR100609921B1 (ko) 냉장고
USD600452S1 (en) Handbag
USD527398S1 (en) Refrigerator
USD495746S1 (en) Clipboard storage box
USD532799S1 (en) Refrigerator
USD516401S1 (en) Self-centering door lock guide
USD607021S1 (en) Refrigerator drawer
USD530909S1 (en) Handbag
USD496055S1 (en) Refrigerator
USD558635S1 (en) Openable pendant with moveable items
USD487278S1 (en) Wine refrigerator
USD556148S1 (en) Switch box
USD527745S1 (en) Refrigerator
KR20010074381A (ko) 냉장고의 도어 자동 열림 제어 장치 및 방법
USD529226S1 (en) Lighter
JP2009127973A (ja) 冷蔵庫
KR20110115347A (ko) 냉장고용 디스플레이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