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8451B1 -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 Google Patents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8451B1
KR100608451B1 KR1020040062327A KR20040062327A KR100608451B1 KR 100608451 B1 KR100608451 B1 KR 100608451B1 KR 1020040062327 A KR1020040062327 A KR 1020040062327A KR 20040062327 A KR20040062327 A KR 20040062327A KR 100608451 B1 KR100608451 B1 KR 10060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visual
overload
yellow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2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3741A (ko
Inventor
박형배
Original Assignee
박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철 filed Critical 박영철
Priority to KR1020040062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8451B1/ko
Publication of KR20060013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3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8Devices or methods enabling eye-patients to replace direct visual perception by another kind of percep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5/00Exercisers for the e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력 감소, 공간적 거리감각의 훼손, 주변 인식력 부족, 시각적 혼란 증세 등을 나타내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을 개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분홍색, 복숭아색, 파란색, 초록색, 회색, 보라색, 선황색, 노란색 및 이들 색상이 조합된 색체로 이루어진 필터; 상기 필터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요입부가 구비되도록 하되, 귀에 걸어지는 걸이부를 가지고 양측 눈 혹은 어느 일측 눈에 착용되는 고정테;로 구성된 것을 기술적인 특징으로 한다.
시지각, 과부하 증상, 필터

Description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VISUOPERCEPTUAL OVERLOAD SYMPTOMS IMPROVEME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선 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개선 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테 11 : 요입부
20 : 필터
본 발명은 시력 감소, 공간적 거리감각의 훼손, 주변 인식력 부족, 시각적 혼란 증세 등을 나타내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을 개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입사되는 광선주파수의 파장의 강도를 가변시키는 색상필터를 이용하여 뇌에 전달되는 시각 정보를 조절함으로써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을 개선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이 시지각 정보를 처리한 과정은 광선을 통해 물체가 망막에 상이 맺힐 때부터 시작된다. 이러한 망막은 광선의 10%만 선택적으로 색상을 구별하는 콘(cones)세포와 주로 명암을 구별하는 로드(rods)세포로 이루어진 광수용체를 통해 받아들인다. 물론 여과되지 아니한 광선을 10% 초과하여 받아들이면 눈에 과부하가 걸려 피로를 느끼게 된다.
이렇게 망막을 통과한 시지각적 정보는 신경적 전기 신호로 바뀌어 시신경 세포를 따라 시지각 중추로 가게되며, 망막을 통과한 시지각적 정보는 중뇌에 있는 시상으로 보내지게 된다.
시상에 도달한 시지각적 정보는 외측슬상체(lateral geniculate body)에서 뇌간으로 보내지게 되는데, 이 회로에는 시지각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두가지 시신경 세포가 있다. 이중 크기가 큰 신경 세포를 마그노 세포(Magno cell)라 하고, 작은 신경 세포를 파르보 세포(Parvo cell)라 한다.
이중 마그노 세포는 시지각 정보를 좀 더 빠르게 처리하는데 관여하며 주로 시지각 정보의 움직임, 위치, 공간적 인식, 모양과 음영대조가 적은 물체의 인식 등에 관여하고, 파르보 세포는 정지된 이미지, 색상, 세밀한 정보와 음영 대조가 큰 물체의 인식 등을 담당하며 시지각 정보를 마그노 세포보다는 좀더 느리게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차가 얼마나 빨리 달리냐?'는 마그노 세포가 인식하고 '달리는 차의 색상은 무엇이냐?'는 파르보 세포에 의해서 인식되는 것이다.
이 둘의 시신경 세포를 통하여 전달된 정보는 뇌관에서 불필요한 세세한 정보는 여과되고 필요한 정보를 완전한 시지각적 상으로 종합해서 만들게 되는 것이 다.
그런데,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에 따라 즉, 전체 인구의 5∼10%가 외측슬상체의 현미경 조직 소견에서 시신경 세포가 더 혼란스럽고 신경세포의 크기가 더 작았다는 연구 보고서가 있다. 특히 시신경 세포 중 마그노 세포의 크기가 정상인에 비해 작다는 것이다.
이러한 증상은 시각적 정보를 처리하는데 있어 세포가 어느 특정한 광선의 파장 대역에서 과민성을 보이게 되어 한가지 상이 눈으로 들어오면 다음 상이 들어오기 전에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뇌의 능력을 억제시켜 상의 겹침 현상이 일어나고 그들 사이에 명확한 구별이 없어지게 됨으로써, 글자가 가물거리거나 움직이는 것 같아 보이는 것이다.
이러한 증상을 난독증 장애라고 하며, 대다수의 난독증 환자들은 시력 감속, 공간적 거리감각의 훼손, 주변 인식력 부족, 시각적 혼란 증세 등을 나타내며, 일반 렌즈로는 치료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입사되는 광선주파수의 파장의 강도를 가변시키는 적어도 수 개의 색상 필터를 이용하여 광선의 특정주파수의 강도를 변화시켜 뇌에 전달되는 시지각적 정보를 조절하여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을 개선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난독증 장애를 개선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눈의 피로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난독증 장애 즉, 두통 어지러움 증상을 해소하여 정상적 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는 개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설치 및 착용이 간편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도 저렴한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 필터들과, 이 필터들이 끼워맞춤 혹은 접착되는 고정테가 갖추어진 것으로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치료 장치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개선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개선 장치는 적어도 2개의 색상 필터(20)를 사용하여 특정 주파수의 강도를 변화시켜 난독증 장애를 치료하는 것으로서, 고정테(10)와, 이 고정테(10)에 접착 혹은 끼워맞춤에 의해 설치되는 필터(20)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20)는 화이트 스모그, 박하 크림, 보라, 파랑, 녹색, 옅은 보라, 네이플즈 옐로우, 노랑, 빨강, 핑크, 오렌지, 복숭아색, 선황색, 하늘색, 검정색 등 여러 색상이 선택적으로 사용되며, 이들이 조합된 예컨데 파랑에 박하 크림이 혼합된 색, 박하 크림에 옅은 보라가 혼합색 등 여러 종류의 필터가 사용된다.
상기 필터(20)는 합성수지, 유리등으로 제작되며, 코팅에 의해서도 색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테(10)에는 하나 혹은 복수개 이상의 필터가 긴밀하게 겹쳐지도록 요입부(11)가 형성된다.
상기 요입부(11)는 장애 정도에 따라 접착 혹은 삽입되는 필터의 색상 및 갯수가 달라질 수 있음으로, 좌,우측 각각이 다른 형태와 폭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하부측으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어느 일측 요입부가 중앙 부위를 중심으로 그 폭이 상부는 넓게, 하부는 좁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요입부(11)는 다수개가 요철 모양으로 연속해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고정테(10)에는 귀에 걸어지거나 혹은 관자놀이부에 착용될 수 있도록 걸이부(10a)가 갖추어져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테(10)의 일부를 절개 개방하고, 이 개방부위를 통해 필터(20)를 고정테(10)의 내측으로 삽입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시,근시등의 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도수를 가지는 렌즈(12)의 표면 혹은 내,외측면에 필터(20)가 접착 혹은 코팅하게 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필터(20)의 상단이 고정테(10)에 설치된 힌지(21)와 연결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렌즈(12)에 덮어지거나, 젖혀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장애 정도 및 과민 반응을 보이는 주파수에 따라 필터(20)를 고정테(10)에 접착, 끼워맞춤하여 착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별도의 보관함을 구비하여 환자 상태 즉, 2가지 이상의 주파수에 과민 반응을 보일 때 선택적으로 교환 착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발명의 개선 장치를 이용하여 난독증을 개선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개선 장치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난독증 장애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여기서 난독증 장애의 판단은 개인적인 차이 즉, 측정 시간, 건강 상태, 관심도, 성격, 지능, 시력의 피로도, 집중력, 혈압, 당뇨, 위치, 감각, 습관, 경험, 눈설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갖는다.
1. 책을 읽기 싫어한다.
2. 줄이나 문장, 단어 등을 자주 건너 띄어 읽는다.
3. 읽던 위치를 자주 잃어버린다.
4. 단어를 틀리게 읽는다.
5. 읽은 줄을 다시 읽는다.
6. 읽기 속도가 느리고, 속독을 하지 못한다.
7. 읽고 난 뒤에 앞에 내용을 자주 잊어버린다.
8. 읽으면서 바로 내용을 이해하는 속도가 느리다.
9. 오래 읽지를 못한다.
10. 조금 오래 읽으면 눈이 피로하고, 눈을 자주 비비게 된다.
11. 책을 오래 읽으면 어지럽거나 두통이 자주 생긴다.
12. 움직이는 차 안에서 글을 잘 읽지 못하고 읽으면 메스꺼워진다.
13. 눈이나 얼굴을 자주 찌푸리거나 눈을 크게 뜨는 경향이 있다.
14. 책을 오래 읽으면 글씨가 겹쳐 보이거나 흐릿해지거나, 글씨가 움직이는
것 같아 보인다.
15. 사전, 신문 등 작은 글씨를 읽기가 힘이 들고, 오래 보면 두통이 오거나
글씨가 흐릿해진다.
16. 밝은 빛이나 형광등 빛을 보면 눈이 불편하다.
17. 광택지나 흰 바탕에 검은 글씨로 된 것을 읽으면 눈이 쉽게 불편해진다.
18. 형광등과 같은 밝은 조명 아래서 책을 읽으면 눈이 쉽게 피로해진다.
19. 밝은 곳보다 약간 어두운 데 있으면 눈이 더 편한 느낌이 든다.
20. 컴퓨터 화면, TV 등을 오래 보면 남들보다 더 쉽게 눈이 불편해진다.
21. 책을 읽을 때 글씨가 한눈에 다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토막 내어 읽는
다.
22. 필체가 오른쪽으로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경향이 있다.
23. 줄에 맞게 잘 쓰지 못한다.
24. 글자 크기 간격 등이 일정하지 않다.
25. 보고 베껴 쓰기를 할 때 실수가 많다.
26. 악보를 잘 못 본다.
27. 테이블 가장 자리나 문설주에 자주 부딪히고, 물건을 잘 떨어뜨리거나
쓰러뜨리는 경향이 있다.
28. 슈퍼나 도서관, 집 안 등에서 물건을 찾아야 할 때 잘 찾지 못한다.
29. 에스컬레이터, 계단 등을 내려갈 때 자주 헛디딘다.
30. 운전을 할 때 거리 감각이 부족하고 차선 변경을 하는 순간을 판단하기
어렵거나 평행 주차를 잘 못한다.
31. 방향 감각이 부족하고 어떤 장소를 잘 찾지 못한다.
32. 운전할 때 눈이 부시거나 밤 운전이 힘이 들거나 졸음이 자주 온다.
33. 집중을 오래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34. 집중을 오래 하면 눈이 피로하거나 두통 등 신체 증상이 있다.
35. 시험 칠 때 읽었던 내용을 잊어버려 다시 읽어야 하거나 답안지 작성 시
실수를 자주 하는 편이다.
이러한 기준은 여러 환자 중 가장 특징이 되는 증상을 찾아내기 위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이며, 상기한 결과에 따라 읽기 어려움 즉, 난독증 장애를 판단한다.
난독증으로 판단되며, 환자의 얼굴 및 안구 그리고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 고정테(10)를 결정하고, 이 고정테(10)의 내측으로 색상 필터(20)를 끼워맞춤 혹은 접착하게된다.
여기서 상기 색상 필터(20)는 대체로 425 내지 575 나노미터(㎚) 사이에 있는 모든 색상의 파장 흡수율을 60% 이하로 감소시키면서도 모든 정상활동을 위한 충분한 광선을 투과시킨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필터(20)는 분홍색, 복숭아색, 파란색, 초록색, 회색, 보라색, 선황색, 노란색 등과 이들을 조합하여 사용하며, 고정테(10)는 일반 안경과 같은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물론 근시 원시 혹은 눈에 각종 장애가 있는 경우, 도수가 있는 렌즈 상면에 필터를 접착하게 되며, 그러하지 않은 환자의 경우에는 각자에 맞는 색상의 필터만을 사용한다.
상기 필터(20)는 환자가 과민 반응을 보이는 색상의 주파수를 감안하여 그 주파수의 강도를 변화시켜 시지각적 정보를 조절한다. 예를 들어 푸른색 필터를 착 용하면 다른 색상은 흡수되어 여과되고 남은 색상이 푸른색이 되어 흡수율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색상 필터를 통해서 광선을 보면 광선의 특정 주파수의 강도를 변화시키고, 이러한 변화에 의하여 뇌에 전달되는 시지각적 정보가 조절되는 것이다.
따라서 환자들은 제각기 광선을 통해서 들어오는 전체 주파수 대역 안에 있는 다양한 색상들을 받아들이는 흡수율이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사물을 정확하게 볼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색상들이 흡수율이 시지각적으로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떤 색상이 정상적인 흡수율 이상으로 투과되면 이로 인해 정보가 왜곡되어 인식될 수 있고, 시지각적 피로, 시지각적 정보 처리가 방해됨으로 정상적인 수준으로 정보량에 의해서도 과부하로 인식되어 시지각적 스트레스가 될 수 있으며, 상기 색상 필터는 이 흡수율을 조절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개선 장치를 착용한 이후에는 그 효과를 검사하게 되는데, 먼저 필터를 착용했을 때와 착용하지 않았을 때를 비교하여 검사하고, 더 이상 개선이 되지 않을 때까지 필터를 계속 교체 삽입한다.
처음에는 색상의 종류를 조절하고 다음에는 색상의 농도를 조절하게 되며, 시술 후 혹은 도중에 다음의 검사를 통해 개선 여부를 판단한다.
1) 시각적 기억 검사 (Visual Memory Test),
2) 시각적 판별력 검사 (Visual Discrimination Test)
3) 시각적 형태 배경 검사 (Visual Figure-Ground Test)
4) 시각적 순서 기억 검사 (Visual-Sequential Memory Test)
5) 시각-운동 협응 능력 검사 (Visual-Motor Coordination Test)
6) 주변 인식 챠트 검사 (Test of Span of Peripheral Recognition Chart)
7) 읽기 속도 검사
8) 읽기 정확도 검사
9) 읽기 이해력 검사
10) 읽기 과제 시 신체 증상 발생 유무 검사
11) 읽기 과제 시 시지각적 왜곡 발생 유무 검사
12) 읽기 시 주관적 편이성 검사 등을 통해 필터를 선택, 교환하게 된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환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체크하여 시지각적 과부하를 개선시키게 되는 것이다.
하기의 표는 필터 장착 후 임상 실험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가(N=102) 필터 작용전 필터 착용 후 P-Value
시지각 스트레스 평가 점수 26(35) 12(35) P>0.05
시각적 기억 검사 4 second 3 second P>0.05
시각적 판별력 검사 2 second 2 second
시각적 형태 배경 검사 10 second 6 second P>0.05
시각적 순서 기억 검사 12 second 8 second P>0.05
시각-운동 협응 능력검사 90 second 25 second P>0.05
주변 인식 챠트 검사 0(5) 3.5(5) P>0.05
읽기 속도 검사 0(5) 3(5) P>0.05
읽기 정확도 검사 0(5) 3.6(5) P>0.05
읽기 이해력 검사 0(5) 3.2(5) P>0.05
신체 증상 평가 3.8(5) 1.2(5) P>0.05
시지각적 왜곡 정도 4.1(5) 1.0(5) P>0.05
주관적 편한 정도 4.2(5) 1.3(5) P>0.05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치료 장치는 난독증 장애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으로, 필터의 색상 및 농도를 조절하여 특정 광선의 주파수에 과민 반응을 보이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을 개선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적어도 수 개의 색상 필터를 이용하여 광선의 특정 주파수의 강도를 변화시켜 뇌에 전달되는 시지각적 정보를 조절하여 시지각적 과부 증상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본 발명은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을 개선하여 집중력을 향상시키고, 눈의 피로를 감소시킴과 아울러 두통 어지러움 증상을 해소하여 정상적인 생활을 가능하게 하여 학생들은 읽기 능력을 개선함으로써 학습능력을 향상시키고, 성인등의 경우에도 시지각적 능력과 피로를 개선하여 직업적인 능률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며, 아울러 장치의 설치 및 조립, 착용이 간편하며, 제작이 용이하고 경제적으로도 저렴한 효과를 주게 되는 것이다.

Claims (9)

  1. 입사되는 광선주파수의 파장의 강도를 가변시키는 적어도 2가지 이상의 색상 필터들과,
    상기 색상 필터들이 선택적으로 접착 혹은 끼워맞춤되는 고정테로 구성함으로써, 상기 색상 필터를 통해 입사되는 광선주파수의 파장의 강도를 가변시켜 뇌에 전달되는 시지각적 정보가 조절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425 내지 575 나노미터(㎚)사이에 있는 모든 파장의 흡수율을 60% 이하로 감소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테의 내주연에 필터가 끼워지는 요입홈부가 적어도 복수개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분홍색, 복숭아색, 파란색, 초록색, 회색, 보라색, 선황색, 노란색 및 이들 색상이 조합된 색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필터는 도수가 있는 렌즈의 표면 혹은 후면에 적어도 1개 이상이 접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테는 그 내주연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필터 요입부를 구비하되, 이 요입부는 좌우측의 폭이 달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7.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여러 개의 색상이 순차적으로 겹쳐지며, 과부하 정도에 따라 좌우측 색상을 달리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테의 전방측에 힌지에 결합되어 회전하며 렌즈의 전면에 덮어지거나 상부로 젖혀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9. 분홍색, 복숭아색, 파란색, 초록색, 회색, 보라색, 선황색, 노란색 및 이들 색상이 조합된 색체로 이루어진 필터;
    상기 필터가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내주연에 요입부가 구비되도록 하되, 귀에 걸어지는 걸이부를 가지고 양측 눈 혹은 어느 일측 눈에 착용되는 고정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장치.
KR1020040062327A 2004-08-09 2004-08-09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KR10060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27A KR100608451B1 (ko) 2004-08-09 2004-08-09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2327A KR100608451B1 (ko) 2004-08-09 2004-08-09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41A KR20060013741A (ko) 2006-02-14
KR100608451B1 true KR100608451B1 (ko) 2006-08-02

Family

ID=37122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2327A KR100608451B1 (ko) 2004-08-09 2004-08-09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84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7429B2 (ja) * 2019-04-18 2020-12-09 株式会社スポーツネット ゴーグ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3741A (ko) 200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ilkins Reading through colour
EP2089756B1 (fr) Lentilles ophtalmiques colorees pour dyslexiques
Chase et al. Can the magnocellular pathway read? Evidence from studies of color
Evans et al. Tinted lenses and related therapies for learning disabilities–a review
Krinsky‐McHale et al. Vision deficits in adults with Down syndrome
US20050175969A1 (en) Dyslexia glasses that remove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visual dyslexia
US5440359A (en) Lenses and spectacles for reducing nystagmic oscillations,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is purpose
Ludlow et al. Colored overlays enhance visual perceptual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s
Bailey et al. Visual impairment: An overview
Omar et al. Management of visual disturbances in albinism: a case report
US5424786A (en) Lateral vision controlling device
Schornack et al. The use of tinted contact lenses in the management of achromatopsia
Palomo-Álvarez et al. Effects of wearing yellow spectacles on visual skills, reading speed, and visual symptoms i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KR100608451B1 (ko) 시지각적 과부하 증상 개선 장치
Shaik et al. The effect of tinted spectacle lenses on contrast sensitivity and colour vision
Gentaz et al. The oblique effect in the visual perception of orientations.
US20120249966A1 (en) Neurochromatic trial lens kit
Gruesser et al. Physiology of vision
EP4293396A1 (en) Optical lens and methods for augmented visual perception
Giuliani et al. Connections between Autism Spectrum Disorders (ASD) and Meares-Meares-Irlen Syndrome
US5208615A (en) Optical arrangements for reading deficiencies
Wilmer The blindness of Milton
Evans Visual factors in dyslexia
Lattimore et al. Varied Human Tolerance to the Combined Conditions of Low Contrast and Diminished Luminance: A Quasi-Meta Analysis
Schilling Effects of color-tinted lenses on visual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