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6809B1 -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6809B1
KR100606809B1 KR1020040112372A KR20040112372A KR100606809B1 KR 100606809 B1 KR100606809 B1 KR 100606809B1 KR 1020040112372 A KR1020040112372 A KR 1020040112372A KR 20040112372 A KR20040112372 A KR 20040112372A KR 100606809 B1 KR100606809 B1 KR 100606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locker
battery pack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235A (ko
Inventor
권순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2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6809B1/ko
Priority to CNB2005100850401A priority patent/CN100379161C/zh
Publication of KR20060073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6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6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팩 커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너팩 배터리를 덮도록 장착되는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는, 상기 배터리팩 커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중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리브가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열리거나 닫히면서 배터리팩 커버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그는 커버로커와; 상기 커버로커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로커를 포함한다.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 이너팩, 로커

Description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A Locker Apparatus of a Cellular Phone Battery Pack Cover}
도 1은 종래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구조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로커의 반대면을 보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통신 단말기 110: 삽입홀
120: 함몰부 130: 스톱홀
200: 배터리팩 300: 배터리팩 커버
400: 고정돌부 410: 고정홀
500: 커버로커 510: 고정리브
520: 분리방지편 530: 스토퍼
540: 판스프링 550: 걸림홈
600: 고정로커 610: 후크
611: 경사부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배터리팩 커버의 탈착을 용이하게 하는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배터리가 장착되면서 이동시의 사용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받게 되고, 배터리는 통상적으로 충전과 방전이 모두 가능한 2차 전지를 사용한다.
이러한 배터리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일체로 내장된 채 충전과 방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완전히 방전된 후 충전이 이루어질 때까지의 시간동안 휴대가 불가능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복수의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배터리를 교체가능하게 구성함에 있어서, 근래의 이너팩 타입(inner pack type)은 배터리 셀을 규격화된 배터리팩(소프트 팩)으로 제작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장착될 수 있도록 하고, 그 위에 단말기 기종에 따른 고유의 배터리팩 커버를 덮음으로써 배터리팩의 분리를 방지하는 동시에 단말기의 외관을 미려하게 유지하게 하여, 단말기에 무관하게 배터리팩의 호환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배터리팩 커버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도 1에 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팩 커버(10)에 후크(12)를 가진 돌부(11)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동통신 단말기(20)에 돌부(11)가 삽입되는 삽입홈(미도시)을 형성하되, 삽입홈 내부에 후크(12)가 걸리는 걸림부(미도시)를 구비함으로써, 돌부(11)를 삽입홈에 삽입하여 후크(12)가 걸림부에 걸리면 배터리팩 커버(10)가 이동통신 단말기(20)에 고정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구조에서는 반대로 배터리팩 커버(10)를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분리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배터리팩(30)을 교체할 필요성이 있어 배터리팩 커버(10)를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돌부(11)의 후크(12)는 탄성에 의하여 삽입홈의 걸림부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으므로, 돌부(11)의 삽입 역방향으로 상당한 외력을 가하여 후크(12)를 걸림부에서 빼내어야만 배터리팩 커버(10)를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분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배터리팩 커버(10)를 이동통신 단말기(20)에서 분리하기에 힘이 많이 들었고, 경우에 따라서는 배터리팩 커버(10)에서 돌부(11)가 파손되어 배터리팩 커버(10)를 더이상 사용할 수 없게될 염려가 존재하였으며, 심지어는 이동통신 단말기(20) 및 배터리팩(30)이 파손될 우려까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배터리팩 커버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용이하게 장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너팩 배터리를 덮도록 장착되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는, 상기 배터리팩 커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중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리브가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열리거나 닫히면서 배터리팩 커버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그는 커버로커와; 상기 커버로커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로커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로커에는 커버로커가 열리도록 힘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가 부가로 구비된다.
상기 커버로커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되어 커버로커가 열렸을 때 한정된 거리만 인출되면서 커버로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편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고정로커는 후크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닫혀있는 커버로커의 걸림홈에 상기 후크가 걸려 커버로커의 열림을 고정한다.
상기 고정로커에는 후크가 걸림홈에 걸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가 부가로 구비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를 가지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시 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배터리팩 커버 로커장치를 구성하는 커버로커의 반대면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여 보면,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너팩 타입으로, 배면에 구비된 배터리팩 장착부에 배터리팩(200)을 장착한 후 배터리팩 커버(300)를 체결하여 덮도록 되어 있다.
배터리팩 커버(300)는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슬라이드하여 안정적으로 체결되며, 이에 관한 구성은 공지된 다수의 기술이 존재하므로 그에 의한다.
배터리팩 커버(300)가 체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잠그기 위한 본 발명의 로커장치는, 배터리팩 커버(300)에 일체로 구성된 고정돌부(400)와, 고정돌부(500)를 잠그거나 잠금해제하는 커버로커(500)와, 커버로커(500)를 잠긴 상태에서 고정하는 고정로커(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돌부(400)는 배터리팩 커버(30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슬라이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맞닿게 되는 상단에서 슬라이드 방향으로 돌출되고, 고정돌부(400)의 중부에는 고정홀(410)이 형성된다.
이동통신 단말기(100)에는 배터리팩 커버(300)가 슬라이드하여 체결될 때 고정돌부가 삽입되는 삽입홀(110)이 마련되고, 삽입홀(110)이 관통함으로써 연결되는 함몰부(120)가 구비되면서 배터리팩 커버(3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완전히 체결된 상태에서는 고정돌부(400) 및 고정홀(410)이 함몰부(120)에 위치하며, 함몰부(120)에는 커버로커(500)와 고정로커(600)가 연접하여 구비된다.
커버로커(500)는 고정홀(410)에 삽입되는 고정리브(510)가 구비되어 함몰부(120)에서 열리거나 닫히면서 배터리팩 커버(300)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근다.
커버로커(500)에서 고정로커(600)에 연접하는 반대면에는 소정의 거리를 가지는 분리방지편(520)이 일체로 돌출되고, 분리방지편(520)은 함몰부(120)의 대응되는 곳에 마련된 스톱홀(130)에 삽입된 채 커버로커(500)가 열리거나 닫힘에 따라 슬라이드하게 된다.
한편, 스톱홀(130)에 삽입된 분리방지편(520)의 말단은 스톱홀(130)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져 스토퍼(530)를 이루어, 커버로커(500)가 열렸을 때 스토퍼(530)가 스톱홀(130)에 걸려 분리방지편(520)이 이탈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커버로커(500)가 열렸을 때 커버로커(500)가 이동통신 단말기(100)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커버로커(500)에는 커버로커(500)가 열리도록 힘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판스프링(540)이 구비되어 커버로커(500)의 열림을 용이하게 한다.
고정로커(600)는 함몰부(120)에서 커버로커(500)에 연접하여 설치되어지되, 외력에 의하여 커버로커(500)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한 후,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탄성적으로 슬라이드하여 복원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고정로커(600)에는 제2 탄성부재, 바람직하게는 코일스프링(미도시)이 탄설되는데, 이와 같은 압축스프링의 탄설구조 및 고정로커(600)의 슬라이드구조는 기존의 슬라이드타입 배터리팩 로커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그에 의하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고정로커(600)에는 후크(610)가 구비되고 커버로커(500)에는 후크(610)가 걸리도록 걸림홈(550)이 형성되면서, 커버로커(500)가 함몰부(120)에 닫힌 상태로 고정된다.
커버로커(500)와 고정로커(600)는 모두 함몰부(120)에 구비되므로, 커버로커(500)가 고정로커(600)에 의하여 함몰부(120)에 닫힌 상태로 고정되었을 때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배면은 커버로커(500)와 고정로커(600)가 돌출되지 않고 편평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의하여 배터리팩 커버(300)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체결하거나 분리하고자 할 때, 고정로커(600)를 커버로커(500)와 이격되도록 슬라이드시키면 후크(610)가 걸림홈(550)에서 이탈되면서 판스프링(540)의 탄성력에 의해 커버로커(500)가 자동으로 열리게 되고, 고정로커(600)는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다.
커버로커(500)가 열린 상태에서 배터리팩 커버(300)를 이동통신 단말기(100)에 체결 또는 분리를 한 후, 고정로커(600)를 슬라이드시키고 커버로커(500)를 함몰부(120)로 밀어서 닫은 채 고정로커(600)를 놓으면 후크(610)가 걸림홈(550)에 걸리면서 고정로커(600)는 커버로커(500)를 닫힌 상태로 고정하게 된다.
이때, 후크(610)에서의 커버로커(500)가 닫힐 때 접하게 되는 면에 경사부(611)가 형성된다면 단순히 커버로커(500)를 밀기만 하여도 고정로커(600)는 자동 으로 소정거리 슬라이드한 후 복원하게 되므로 커버로커(500)를 용이하게 닫을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의하면, 배터리팩 커버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장착하거나 분리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궁극에는 배터리팩 커버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파손이 방지되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너팩 배터리를 덮도록 장착되는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팩 커버의 일측에서 돌출되고, 중부에 고정홀이 형성된 고정돌부와;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리브가 구비되어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열리거나 닫히면서 배터리팩 커버를 잠금해제하거나 잠그는 커버로커와;
    상기 커버로커를 이동통신 단말기에 닫힌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로커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커에는 커버로커가 열리도록 힘을 가하는 제1 탄성부재가 부가로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커버로커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삽입되어 커버로커가 열렸을 때 한정된 거리만 인출되면서 커버로커가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분리방지편이 일체로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커는 후크를 구비하고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슬라이드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에 닫혀있는 커버로커의 걸림홈에 상기 후크가 걸려 커버로커의 열림을 고정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로커에는 후크가 걸림홈에 걸리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가 부가로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KR1020040112372A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KR100606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72A KR100606809B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CNB2005100850401A CN100379161C (zh) 2004-12-24 2005-07-19 移动通信终端电池盖的锁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372A KR100606809B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235A KR20060073235A (ko) 2006-06-28
KR100606809B1 true KR100606809B1 (ko) 2006-08-01

Family

ID=3680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372A KR100606809B1 (ko) 2004-12-24 2004-12-24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6809B1 (ko)
CN (1) CN100379161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771139A (zh) 2008-12-31 2010-07-0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KR101685348B1 (ko) * 2010-06-15 2016-12-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553A (ja) * 1997-06-23 1999-0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子機器における電池収納構造
JP2003217540A (ja) * 2002-01-21 2003-07-31 Tanita Corp 電池収納部構造
CN1520128A (zh) * 2003-01-24 2004-08-11 华冠通讯股份有限公司 电池座的卡扣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794596A (zh) 2006-06-28
CN100379161C (zh) 2008-04-02
KR2006007323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63927B2 (en) Back cover for a mobile phone
US8320122B2 (en) Latch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11129860B (zh) 一种可穿戴设备
US7867645B2 (en) Latching mechanism for battery cover assembly
US8200282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chip card ejecting mechanism
EP1496620B1 (en) Mobile terminal with blocking mechanism for preventing accidental battery detachment.
KR10042509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착탈 구조
KR1006068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배터리팩 커버의 로커장치
US5974303A (en) Locking mechanism for battery housings
CN113329300A (zh) 耳机盒
CN209738560U (zh) 一种打印机
CN111433937B (zh) 电池外壳
JP2990075B2 (ja) 電池パック押上げ機構およびその押上げ方法
US20110026198A1 (en) Electronic device with latching assembly
US8673481B2 (en) Battery system
KR101100164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로킹장치
TWI393520B (zh) 電池蓋卡鎖結構
KR20031995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sim 카드 장착구조
KR100651845B1 (ko) 배터리 내장형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이탈 방지 구조
TWI447562B (zh) 電池蓋卡鎖結構
KR100487619B1 (ko) 안테나를 이용한 배터리팩고정장치
KR100504823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커버 로킹장치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JPH0211722Y2 (ko)
KR20080111659A (ko) 휴대용 전자 기기의 배터리 팩 이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