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863B1 -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 Google Patents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863B1
KR100605863B1 KR1020030064777A KR20030064777A KR100605863B1 KR 100605863 B1 KR100605863 B1 KR 100605863B1 KR 1020030064777 A KR1020030064777 A KR 1020030064777A KR 20030064777 A KR20030064777 A KR 20030064777A KR 100605863 B1 KR100605863 B1 KR 100605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input
menu
area
comm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47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50028497A (en
Inventor
이경섭
유장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47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863B1/en
Publication of KR20050028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849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다 빠른 메뉴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입력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부; 표시부 및 RF부를 제어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을 소정 영역별로 분할 설정하며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때 분할된 영역별 이동을 위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함께 표시하고 영역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세부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창을 해당 세부 메뉴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영역별 이동명령 및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를 갖는다.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a faster menu sel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put data on a screen; RF unit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RF unit, and sets the screen by the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displays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for moving the divided areas when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control unit which moves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of a region in which a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when the moving reference point is moved to a corresponding region and a moving command for each detailed menu is input; And a direction key for inputting a movement command for each region and a movement command for each detailed menu.

메뉴, 선택, 스킵, 팝업, 확장, 영역 이동, 세부 메뉴Menu, Select, Skip, Popup, Expand, Move Region, Detailed Menu

Description

보다 빠른 메뉴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 및 방법{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Portable terminal and method that allows faster menu selection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general folding portable terminal,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 2 illustrates an example of menus displaye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도 3은 해당 메뉴들이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corresponding menus are displayed on a screen of a computer;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빠른 메뉴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faster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도 4를 이용한 메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5A and 5B are views for explaining a menu selection process using FIG. 4;

도 6은 본 발명을 컴퓨터에 적용할 경우, 메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및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nu selection proces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mputer, an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 선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nu selec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들의 화면에 표시된 메뉴들을 선택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용 단말기 또는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된 메뉴들 중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electing menus displayed on a screen of display devi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quickly selecting a menu to be selected from menus displaye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or a computer.

통상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기지국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면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휴대 장치를 칭한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남녀노소, 전세계 어디에서나 보편화되어 가고 있으며, 필수품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상대방과 음성 또는 영상 데이터 신호의 송수신을 위하여 송수화부, 데이터 입출력부, 안테나 장치 등을 필수적으로 구비하게 된다. In general, a portable terminal refers to a portable device capable of providing a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 to a user while performing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base station. These portable terminals are becoming common in all ages, men and women around the world, and are becoming a necessity. The portable terminal essentially includes a handset, a data input / output unit, an antenna device, and the lik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voice or video data signal with a counterpart.

도 1은 일반적인 폴더형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폴더형 단말기는 두 개의 하우징이 힌지 장치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두 개의 하우징은 이하에서 메인 하우징(10)과 폴더(20)로 지칭하기로 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general folding portable terminal. In the illustrated folding terminal, two housings are rotatably connected by a hinge device. Here, the two housings will be referred to below as the main housing 10 and the folder 20.

도시된 폴더형 단말기는 메인 하우징(10), 폴더(20), 상기 메인 하우징(10)과 폴더(20)를 서로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킴과 아울러 개폐시키는 힌지 장치, 그리고 상기 힌지 장치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렌즈 하우징(30)으로 구성된다. The illustrated folding terminal includes a hinge device for rotatably connecting and opening and closing the main housing 10, the folder 20, the main housing 10 and the folder 20 in a direction away from or near each other, and the It consists of a hinge device and a lens housing 30 rotatably mounted.

메인 하우징(10)은 그의 상면(40)에 다수 개의 키들의 배열로 이루어진 키 패드(42)와, 마이크 장치(14)를 포함한다. The main housing 10 includes a keypad 42 formed of an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keys on its upper surface 40 and a microphone device 14.

폴더(20)는 스피커 장치(21)와 엘씨디모듈(22)과 같은 표시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렌즈 하우징(30)은 카메라 렌즈(31)와, 그의 내부에 공지의 미도시된 씨씨디(CCD : Charge Coupled Device) 소자 또는 씨모스(CMOS :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소자 등을 포함한다. 이때, 렌즈 하우징(30)은 메인 하우징(10)과 폴더(20)를 연결시키는 힌지의 축과 동축으로 배치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힌지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는다. The folder 20 includes a display device such as a speaker device 21 and an LCD module 22. In addition, the lens housing 30 may include a camera lens 31 and a charge coupled device (CCD) device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device, which is well-known not shown therein. . At this time, the lens housing 30 is disposed coaxially with the axis of the hinge connecting the main housing 10 and the folder 20 is rotatably coupled to have a structure that rotates about the axis of the hinge.

도 2는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화면(50)에는 선택되는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들이 표시된다. 여기서 휴대용 단말기에는 일반적으로 컴퓨터 등과 같이 외부 입력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방향키 또는 숫자키 등을 이용하여 간단한 조작으로 화면(50)에 표시된 메뉴들 중 해당 메뉴(도면에서는 "3.증권정보"(52)가 선택된 상태임)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2 is a diagram illustrating examples of menus displayed on a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s shown, generally, the screen 50 displays menus for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as a selected signal is input. Since the portable terminal is generally not equipped with an external input device such as a computer, among the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50 by a simple operation using the arrow keys or the numeric keys, etc. (“3. Stock Information” in the drawing). (52) is selected), the configuration can be selected.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50) 구성은 표시되는 메뉴들의 구성이 단조롭고 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는 메뉴들의 개수가 한정된다. 따라서, 도면과 같이 화면(50)에는 표시되는 메뉴들 중 추가 메뉴 목록을 요구하는 "9.추가목록" 메뉴가 더 표시된다. Therefore, the configuration of the screen 50 of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is monotonous in the configuration of the displayed menus, and the number of menus that can be displayed on one screen is limited. Therefor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creen 50 further displays a "9. Additional list" menu requesting an additional menu list among the displayed menus.

이러한 메뉴 구성을 갖는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된 메뉴를 숫자키를 이용하여 빠르게 선택할 수는 있으나, 화면(50)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표시할 수 있는 메뉴의 개수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50)에 표시된 메뉴들과 같이 문자 또는 숫자로 구성된 단조로운 메뉴 구성을 갖는다.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such a menu configuration can quickly select the displayed menu using the numeric keys, but has a problem in that the number of menus that can be displayed is limited because the size of the screen 50 is small.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has a monotonous menu structure composed of letters or numbers, such as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50.

또한,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는 화면(50)에 표시된 메뉴들에 대해서는 빠른 선택이 가능하나 표시되는 않은 메뉴들에 대해서는 "9.추가목록"메뉴를 선택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확인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can be quickly selected for the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50, but for the menus that are not displayed, it is inconvenient to check the menu to select by selecting the "9. Additional list" menu. have.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를 화면(50)의 사이즈에 대응하여 설정된 사이즈로만 표시하기 때문에, 모바일 게임 혹은 인터넷 사용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을 보다 세밀하게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이 요구된다. In general, since the portable terminal displays data to be displayed only at a size set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the screen 50, a function for displaying a user's desired information in detail when using a mobile game or the Internet is required.

도 3은 해당 메뉴들이 컴퓨터의 화면에 표시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60)에는 다수개의 메뉴들이 설정된 프래임을 따라 배열되어 있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corresponding menus are displayed on a screen of a computer. As shown in the figure, a plurality of menus are arranged along a set frame.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화면(60)에 표시되어 있는 메뉴들 중 해당 메뉴를 빠르게 선택할 수 있는 마우스 등과 같은 입력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외부입력장치가 작동하지 않거나 구비하고 있지 않는 경우에는, 키보드에 마련된 탭(Tab)키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메뉴들을 이동하면서 해당 메뉴를 선택할 수 있다. In general, a computer includes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for quickly selecting a corresponding menu among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60. However, when the external input device does not operate or is not provided, the corresponding menu can be selected while sequentially moving the menus using the tab key provided in the keyboard.

예를 들어, 메뉴의 선택창이 메뉴1(62)에 있을 때 메뉴2(64)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는 선택창이 메뉴2(64)로 이동할 때까지 키보드의 탭키를 다수번 눌러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즉, 탭키를 1회 누르면 선택창이 화살표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하기 때문에, 메뉴1(62)에서 메뉴2(64)로 이동하고자 할 경우 탭키를 무수히 많은 횟수 눌러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2(64)를 지나쳐버린 경우, 다시 선택창이 메뉴2(64)에 위치할 때까지 탭키를 무수히 많이 횟수 눌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For example, if the user wants to select Menu 2 (64) when the menu selection window is in Menu 1 (62), the user has to press the tab key of the keyboard many times until the selection window moves to Menu 2 (64). There is this. That is, when the tab key is pressed once, the selection window moves one space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nd thus, when the user wants to move from the menu 1 62 to the menu 2 64, there is a problem of pressing the tab key a number of times. At this time, if the menu 2 (64) to be selected has pas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tap key is pressed a number of times until the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n the menu 2 (64).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가 한정된 화면에 보다 많은 메뉴들을 표시하고 표시된 메뉴들 중 선택하고자하는 메뉴를 포함하는 영역을 보다 빠르게 선택하면서 화면의 사이즈를 고려하여 선택된 영역을 확장하여 세부 메뉴들을 표시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메뉴 선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display more menus on a limited-size screen, and to select a region including a menu to be selected from among the displayed menus more quickly whil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displaying detailed menus by expanding and a menu selection method us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부;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RF부; 표시부 및 RF부를 제어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을 소정 영역별로 분할 설정하며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때 분할된 영역별 이동을 위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함께 표시하고 영역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세부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창을 해당 세부 메뉴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영역별 이동명령 및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on the screen; RF unit for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the RF unit, and sets the screen by the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displays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for moving the divided areas when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A control unit which moves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of a region in which a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when the moving reference point is moved to a corresponding region and a moving command for each detailed menu is input; And a direction key for inputting a region-specific movement command and a detailed menu-specific movement command.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어부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영역을 확장하여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세부메뉴들과 함께 세부메뉴 선택창을 화면 전체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는 화면에 선택된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세부메뉴 선택창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이동명령에 따라 세부메뉴 선택창을 해당 세부메뉴로 이동시 킨다. 또한 제어부는 세부메뉴 선택창이 위치하는 해당 세부메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세부메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Preferably, when an are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n area where a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input, the controller expands the selected area and displays a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on the entire screen together with the detailed menus included in the selected area. . At this time, if a moving command of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while the selected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controller moves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o the corresponding detailed menu according to the input moving command. In addition,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submenu in which the sub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s input, the controller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submenu.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입력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부; 표시부를 제어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화면을 소정 영역별로 분할 설정하며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될 때 분할된 영역별 이동을 위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함께 표시하고 영역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세부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창을 해당 세부 메뉴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영역별 이동명령 및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input data on the screen; Controls the display unit, and sets the screen by the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and displays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for moving the divided areas when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moves by area when the moving command for each area is input. A control unit for moving a reference point to a corresponding region and moving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of a region in which a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when a movement command for each detailed menu is input; And a direction key for inputting a region-specific movement command and a detailed menu-specific movement command.

한편, 상기와 같은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a)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b)동작에 대응하여 처리된 데이터 및 영역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소정 영역별로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c)영역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입력된 영역 이동명령에 따라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d)해당 영역에 포함된 세부 메뉴들 중 해당 메뉴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세부메뉴 선택창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이동명령에 따라 세부메뉴 선택창을 해당 세부메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e)세부메뉴 선택창이 위치하는 세부메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세부메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의 선택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On the other hand,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erforming the operatio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b) displaying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ndicating the data and the area moving state process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n a screen divided for each predetermined area; c) when an area moving command is input, moving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displayed on the predetermined area of the screen to the corresponding area according to the input area moving command; d) when a moving command of a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ndicating a selec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menu is input among detailed menu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area, moving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o the corresponding detailed menu according to the input moving command; And e) when a signal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in which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s input, performing a se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menu.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 이동 및 세부메뉴 이동을 위한 키를 설정하여 영역별 이동을 위한 키 및 세부메뉴 이동을 위한 키를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키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보다 따르게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for displaying data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regions, and a key for selecting by using a key for movement by region and a key for movement of detailed menu is set by setting keys for movement by region and movement of detailed menu. By selecting, the menu to be selected can be selected more closely.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in the figures are represented by the same numerals wherever possible.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다 빠른 메뉴 선택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Figure 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faster menu sel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휴대용 단말기는 카메라부(110), 영상처리부(112), 표시부(114), RF부(120), 데이터처리부(122), 사운드처리부(124), 제어부(200), 인터페이스부(140), 및 저장부(160)를 갖는다. The portable terminal includes a camera unit 110, an image processor 112, a display unit 114, an RF unit 120, a data processor 122, a sound processor 124, a controller 200, an interface unit 140, and It has a storage unit 160.

카메라부(camera module)(110)는 렌즈를 통해 촬상되는 대상물의 영상을 촬영한다. 이때, 카메라부(110)는 촬영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카메라 센서(미도시)와, 카메라센서로부터 촬영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는 신호처리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여기서, 카메라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센서, 신호처리부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할 수 있다. 카메라센서 및 신호처리부는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또한 분리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The camera module 110 captures an image of an object photographed through a lens. In this case, the camera unit 110 includes a camera senso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photographed optical signal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signal processor (not shown) for converting the analog image signal photographed from the camera sensor into digital data. Here, the camera sensor may be implemented as a charge coupled device (CCD) sensor and a signal processor using a digital signal processor (DSP). The camera sensor and the signal processor may be integrally implemented or may be separately implemented.

영상처리부(112)는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 데이터를 발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영상처리부(112)는 카메라부(110)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프래임 단위로 처리하며, 프래임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14)에 표시 가능한 해상도 등과 같은 특성 및 크기에 대응되게 조절하여 출력한다. 또한 영상처리부(112)는 영상코덱을 구비하며, 표시부(114)에 표시되는 프래임 영상데이터를 설정된 방식으로 압축하거나, 압축된 프래임 영상데이터를 원래의 프래임 영상데이터로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영상코덱은 JPEG 코덱, MPEG4 코덱, Wavelet 코덱 등 다양한 정지영상 코덱 또는 동영상 코덱 등이 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112)는 OSD(On Screen Display) 기능을 구비할 수도 있으며,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영상데이터를 OSD 데이터와 조합하여 출력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or 112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display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10. The image processor 112 processes the image signal output from the camera unit 110 in units of frames, and adjusts and outputs the frame image data corresponding to characteristics and sizes such as resolutions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In addition, the image processing unit 112 includes an image codec and performs a function of compressing the frame imag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in a set manner or restoring the compressed frame image data to the original frame image data. Here, the image codec may be various still image codecs or video codecs such as a JPEG codec, an MPEG4 codec, a wavelet codec, or the like. The image processor 112 may include an on screen display (OSD) function and may output image data in combination with the OSD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200.

표시부(114)는 영상처리부(112)에서 출력되는 영상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며, 제어부(200)에서 출력되는 데이터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14 displays the image data output from the image processing unit 112 on the screen, and displays the data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200.

RF부(120)는 휴대용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한다. RF부(120)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RF송신기(미도시)와,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수신기(미도시) 등을 포함한다. The RF unit 120 performs a wireless communication func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RF unit 120 includes an RF transmitter (not shown) for upconverting and amplifying a frequency of a transmitted signal, and an RF receiver (not shown) for low noise amplifying a received signal and down converting a frequency.

데이터처리부(122)는 RF부(120)에 의해 송신되는 신호를 부호화하거나 RF부(120)에 수신되는 신호를 복호화하는 코덱(CODEC : coder & decoder)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덱은 패킷데이터 등을 처리하는 데이터 코덱과 음성 등의 사운드신호를 처리하는 사운드 코덱을 구비한다. The data processor 122 may be configured as a codec (coder & decoder) that encodes a signal transmitted by the RF unit 120 or decodes a signal received by the RF unit 120. The codec includes a data codec for processing packet data and the like, and a sound codec for processing sound signals such as voice.

오디오처리부(124)는 데이터처리부(122)의 사운드 코덱에서 출력되는 수신 사운드신호를 재생하거나 마이크(126)로부터 발생되는 송신 사운드신호를 데이터처리부(122)의 사운드 코덱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오디오처리부(124)에서 데이터처리부(122)에 입력된 송신 사운드신호는 데이터처리부(122)의 사운드 코덱에 의해 신호 처리되어 RF부(120)를 거쳐 수신측으로 전송된다. The audio processor 124 reproduces a received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ound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2 or transmits a transmission sound signal generated from the microphone 126 to the sound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2. At this time, the transmission sound signal input from the audio processor 124 to the data processor 122 is signal-processed by the sound codec of the data processor 122 and transmitted to the receiver through the RF unit 120.

또한, 데이터처리부(122)에 의해 신호 처리된 수신 사운드신호는 제어부(200)에 제공된다. 이때 제어부(200)는 데이터처리부(122)에서 제공된 수신 사운드신호를 저장부(160)에 저장하거나 오디오처리부(124)를 통해 스피커(128)로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received sound signal signal-processed by the data processor 122 is provided to the controller 20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may store the received sound signal provided by the data processor 122 in the storage 160 or may be controlled to be output to the speaker 128 through the audio processor 124.

제어부(200)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RF부(120)에 수신되는 영상데이터 및 사운드 데이터뿐만 아니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 마이크(126)를 통해 독취된 사운드 데이터 등을 저장부(160)에 저장할 수도 있다. The controller 200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200 stores not only the image data and the sound data received by the RF unit 120, but also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10 and the sound data read through the microphone 126. Can also be stored in

인터페이스부(140)는 사용자로 하여금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선택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40)에는 일반적으로 휴대용 단말기에 마련된 기능을 보다 쉽게 동작시키기 위한 단축 기능과 환경 설정을 위한 기능을 위해 마련된 기능키, 음성과 문자 및 인터넷 등을 이용한 온라인 서비스 기능의 수행을 선택하기 위한 통화키, 그리고 숫자 및 문자의 입력을 위한 숫자/문자키가 마련된다. The interface unit 140 provides a user interface that allows a user to select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interface unit 140 generally selects to perform an online service function using a shortcut function for easily operating a function provided in a portable terminal and a function key provided for a function for setting an environment, voice, text, and the Internet. Currency keys and numeric / character keys for the input of numbers and letters.

본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부(140)에는 카메라키(141), 인터넷접속키(142), 방향키(143), 통화키(145), 및 숫자키(146) 등이 마련된다.The interface unit 14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camera key 141, an internet access key 142, a direction key 143, a call key 145, a numeric key 146, and the like.

카메라키(141)는 휴대용 단말기에 마련된 카메라(110)를 이용한 촬영 기능을 조작하기 위한 키이다. 이에 따라, 카메라부(110)를 통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표시부(114)를 통해 표시하고, 저장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camera key 141 is a key for operating a photographing function using the camera 110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ly, the image data photographed through the camera unit 110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114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인터넷접속키(142)는 휴대용 단말기의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162) 중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키이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인터넷접속키(142)의 선택신호가 감지되면, 저장부(160)에 저장된 프로그램들 중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신호를 RF부(120)를 통해 통신망으로 전송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인터넷 접속을 위한 신호에 대응하는 웹페이지신호가 수신되면, 수신된 웹페이지신호를 표시부(114)에 표시한다. The internet access key 142 is a key for inputting a signal for accessing the internet using an internet access program among the programs 162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of the portable terminal. Whe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Internet access key 142 input by the user is detected, the control unit 200 drives the RF connection unit 120 to drive the Internet access program among the programs stored in the storage unit 160 to access the Internet. To the network. In addition, when a webpage signal corresponding to a signal for accessing the Internet is received,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received webpage signal on the display unit 114.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200)는 표시부(114)상의 화면을 소정 영역별로 분류한다. 제어부(200)는 데이터가 표시부(114)에 표시될 때, 분류된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위치시킨다. 이때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이동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의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controller 200 classifies th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14 by predetermined regions. When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the controller 200 position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n any one of the classified regions. At this time, if a movement command of a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input, the controller 200 move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to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또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이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상기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표시부(114)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선택된 영역의 세부메뉴들을 표시부(114)에 표시하고 상기 세부메뉴들 중 해당 메뉴의 선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선택창을 상기 해당 메뉴에 표시한다. 이때 선택창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상 기 이동명령에 대응하여 선택창의 이동상태를 표시한다. 선택창이 위치하는 메뉴가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In addition,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input is input, the controller 200 expands and displays the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on the display unit 114.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detailed menus of the selected area on the display unit 114 and displays a selection window on the corresponding menu for confirming whether the corresponding menu is selected among the detailed menus. At this time, if a movement command of the selection window is input,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movement state of the selection window in response to the movement command. When a signal selected by a menu on which the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s input,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menu.

방향키(143)는 표시부(114)에 표시된 데이터에 대한 분할된 영역에 따른 영역 이동 및 세부 메뉴들에 대한 선택창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키이다. 해당 데이터가 표시부(114)에 표시된 상태에서 방향키(143)가 선택되어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이동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의 분류된 영역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영역을 확장하여 표시부(114)의 화면 전체에 표시한다. The direction key 143 is a key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region according to the divided region for the data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and the movement of the selection window for the detailed menus. When the direction key 143 is selected and the movement command is input while the corresponding dat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the controller 200 move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to the classified region in th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In this case,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a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s input, the controller 200 expands the selected region and displays it on the entir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4.

해당 영역이 확장되어 표시된 상태에서 방향키(143)가 선택되어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메뉴를 선택하고 있는 선택창을 이동명령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When the direction key 143 is selected and the movement command is input while the corresponding area is extended, the controller 200 moves the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menu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movement command.

통화키(145)는 음성 통화를 위한 호를 호출하거나 통화 요구신호에 대해 응답하기 위한 키이다. 본 실시예에서 통화키(145)는 제어부(200)에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선택명령 및 확장되어 표시된 세부 메뉴들 중 선택창이 위치하는 메뉴의 선택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확인키 기능을 갖는다. The call key 145 is a key for calling or answering a call request signal for a voice call. In this embodiment, the call key 145 has a confirmation key function for inputting a selection command of a region where a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n the control unit 200 and a selection command of a menu in which a selection window is located among the extended detailed menus. Have

숫자키(146)는 숫자 및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숫자키(146)는 표시부(114)에 표시된 메뉴들 중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에 대응하여 표시된 숫자를 입력할 때, 선택된 숫자에 대응하는 메뉴가 선택되도록 하는 명령을 제어부(200)에 입력할 수도 있다. Numeric keys 146 are keys for entering numbers and letters. In addition, the numeric key 146 may input a command to the controller 200 to select a menu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number when inputting a displayed number corresponding to a menu to be selected among the menu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14. have.

저장부(160)에는 프로그램들 및 데이터가 저장된다. 여기서, 프로그램들은 휴대용 단말기의 일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접속 프로그램 등이다. 또한 데이터는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에 따라 얻어진 데이터이다. The storage unit 160 stores programs and data. Here, the programs are programs for controlling the genera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Internet access prog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s also data obtained by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따라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114)상의 화면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상이 표시될 때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함께 표시하여 방향키(143)의 조작에 따라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분할된 영역별로 이동시키고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세부 메뉴 선택창과 함께 확장 표시하며 방향키(143)의 조작에 따라 세부 메뉴 선택창을 이동시키고 세부 메뉴 선택창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세부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한정된 표시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들에서 보다 많은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해당 메뉴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Therefore, the screen on the display unit 114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areas, and when the image is displayed, the moving reference points for each area are displayed together to move the moving reference points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Whe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input, the area in which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the selected region is located is extend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and the selection signal of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When inputted, by performing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menu, more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screen and devices may be selected more quickly in devices having a limited display area.

도 5a 및 도 5b는 도 4를 이용한 메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화면(220)에 표시된 메뉴들에 대하여 방향키(143) 조작에 따른 설정된 영역에 대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화면(220)에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이 선택되어 확장되어 표시된 세부 메뉴들에 대하여 방향키(143) 조작에 따른 세부 메뉴 선택창의 이동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5A and 5B are diagrams for describing a menu selection process using FIG. 4. FIG. 5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path of a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with respect to a set region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with respect to menus displayed on the screen 220. FIG. 5B is a diagram illustrating a movement path of a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for the detailed menus in which the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selected and expanded is displayed on the screen 220.

도 4를 참조하여 도 5a를 설명하면, 먼저 제어부(200)는 인터넷 접속키(142)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넷 접속 요구신호를 RF부(120)를 통해 전송하고 이에 대한 응답정보인 웹브라우저를 수신하여 표시부(114)를 통해 화면(22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화면(220)에 표시된 웹브라우저의 소정 영역에 위치시키고, 웹브라우저와 함께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함께 표시되도록 한다. Referring to FIG. 4, referring to FIG. 5A, first, whe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Internet access key 142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an Internet access request signal through the RF unit 120, and a web browser as response information. Receiv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220 through the display 114.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200 position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web browser displayed on the screen 220, and display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together with the web browser.

초기에 웹브라우저가 표시될 때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222)은 방향키(143)의 조작에 따라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이동될 때마다 바뀌게 된다. 도면에서는 화면(220)이 8개의 영역으로 분리된 상태에서 최초 영역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A영역(222)에서 방향키(143)의 오른쪽키가 1회 및 아래쪽키가 2회 선택되어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영역 이동 기준점이 최초 영역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A영역(222)에서 오른쪽으로 1영역 및 아래쪽으로 2영역 이동한 B영역(224)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있다. When the web browser is initially displayed, the area 222 where the area reference points are located is changed whenever the area reference points are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In the drawing, when the screen 220 is divided into eight areas, the right key of the direction key 143 is selected once and the down key is selected twice in the area A 222 where the initial area movement reference point is located. Accordingly, the region moving reference point is located in the region B of the region A 224 moved to the right and the region 2 to the right from the region A 222 where the initial region movement reference point is located.

이때 제어부(200)는 B영역(224)에 위치하는 영역 이동 기준점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B영역(224)을 확장하여 도 5a에서 B영역(224)에 표시되지 않거나 작게 표시된 세부메뉴들을 전체화면(220)에 표시한다. 이러한 표시 화면이 도 5b에 도시되어 있다. In this case, when a signal for selecting an area moving reference point located in the B area 224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expands the B area 224 to display detailed menus that are not displayed in the B area 224 or smaller in FIG. 5A. The full screen 220 is displayed. Such a display screen is shown in FIG. 5B.

도 4를 참조하여 도 5b를 설명하면, B영역(224)에 위치하는 영역 이동 기준점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제어부(200)는 B영역(224)을 확장하여 세부메뉴들을 전체화면(220)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200)는 세부 메뉴들 중 어느 하나의 메뉴에 선택창이 위치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세부메뉴 선택창을 확장된 B영역(224)과 함께 화면(220)에 표시한다. 도면에서는 최초 세부메뉴 선택창이 확 장된 세부메뉴들 중 A메뉴(224a)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referring to FIG. 5B, as a signal for selecting an area moving reference point located in the B area 224 is input, the controller 200 expands the B area 224 to display detailed menus in full screen ( 22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on the screen 220 together with the extended B region 224 indicating that the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n any one of the detailed menus. In the drawing, it can be seen that the initial sub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n the A menu 224a among the expanded submenus.

세부메뉴 선택창이 A메뉴(224a)에 위치한 상태에서 방향키(143)의 아래쪽키가 1회 및 오른쪽키가 2회 선택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세부메뉴 선택창을 아래쪽으로 1회 및 오른쪽으로 2회 이동한 G메뉴(224b)에 위치시킨다. When a signal in which the down key of the direction key 143 is selected once and the right key is selected twice is input while the detail 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n the A menu 224a, the control unit 200 moves the detail menu selection window downward and once. It is located in G menu 224b which moved to the right twice.

이때 세부메뉴 선택창이 G메뉴(224b)에 위치한 상태에서 세부메뉴 선택창을 선택하는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G메뉴(224b)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 At this time,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selecting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while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n the G menu 224b,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G menu 224b.

따라서, 웹브라우저와 함께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표시하고 방향키(143)의 조작에 따라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분할된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세부메뉴 선택창과 함께 표시하고 방향키(143)의 조작에 따라 세부메뉴 선택창을 해당 세부메뉴로 이동시키고 세부메뉴 선택창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이에 대응하여 선택된 메뉴에 대해 설정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많은 메뉴들을 한정된 영역에 효율적으로 표시 및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로의 이동을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Therefore,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displayed together with the web browser, and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moved to the divided are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and when the selection signal for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input, the area for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located. To display together with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and move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o the corresponding detail menu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143, and if the selection signal of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perform the set operation for the selected menu accordingly.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move more quickly to a menu for efficiently displaying and selecting more menus in a limited area.

도 6은 본 발명을 컴퓨터에 적용할 경우, 메뉴 선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menu selection process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 computer.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300)은 소정 영역별로 분리되어 있다. 해당 영상이 화면(300)에 표시될 때 분리된 영역 중 임의의 영역에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함께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되는 영상이 웹브라우저인 경우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영역별 이동 기준점은 1번메뉴(312)가 위치하는 H영역(310)에 위치하고 있다. As shown, the screen 300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regions. When the corresponding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300,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displayed together in any region among the separated regions.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ase where the displayed image is a web brows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as shown, the first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n the H region 310 where the first menu 312 is located.

본 실시예에서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영역별로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와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세부메뉴를 이동시키고자 하는 경우, 이를 위한 특수키를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컴퓨터를 예로 설명하고 있기 때문에 기준점의 영역 이동을 위해서는 컴퓨터의 외부 입력 장치인 키보드의 컨트롤키(Ctrl)와 방향키를 이용하고, 해당 영역의 세부메뉴 이동을 위해서는 알트키(Alt)와 방향키를 이용한다. 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a special key may be set to move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and to move a detailed menu of an area where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located. Since the present embodiment describes a computer as an example, the control keys (Ctrl) and direction keys of the keyboard, which are external input devices of the computer, are used to move the area of the reference point, and the Alt and Alt keys are used to move the detailed menu of the corresponding area. Use the arrow keys.

도면에서 최초 화면(300)에 표시된 웹브라우저 중 1번메뉴(312)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알트키(Alt)와 방향키만을 이용하여 세부 메뉴인 1번메뉴(312)를 선택한다. In the drawing, when the first menu 312 of the web browser displayed on the first screen 300 is to be selected, the first menu 312 is selected using only the alt key and the direction key.

한편, 최초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H영역(310)에 위치한 상태에서 2번메뉴(342)를 선택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사용자는 컨트롤키(Ctrl)와 방향키를 이용하여 아래쪽키를 2회 및 오른쪽키를 1회 입력하여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I영역(320) 및 J영역(330)을 거쳐 K영역(340)에 위치하도록 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ser wants to select the second menu 342 in the state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n the H region 310, first, the user presses the down key twice and the right key using the control key (Ctrl) and the direction keys. Is inputted once so that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n the K region 340 through the I region 320 and the J region 330.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K영역(340)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는 알트키(Alt)와 방향키를 이용하여 2번메뉴(342)를 선택한다. When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n the K region 340, the user selects the second menu 342 using the alt key and the direction key.

따라서, "컨트롤키(Ctrl)+방향키"와 같은 영역 이동키를 이용하여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알트키(Alt)와 방향키"와 같은 세부메뉴 선택키를 이용하여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Therefore, by using the area movement key such as "Control key (Ctrl) + direction key", the user can quickly move to the area where the menu to select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located and the detailed menu selection key such as "Alt key and direction key" By selecting a menu to select in the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it is possible to select a menu to be selected more quickly.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메뉴 선택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7 is a flowchart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a menu selection method using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200)는 사용자의 영역 설정을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표시부(114)의 화면을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역별로 분할 설정한다(S110).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면을 분할 설정한 상태에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영역별 이동을 조작하기 위한 특수키와 영역 선택을 위한 특수키 및 세부메뉴 선택창의 이동을 위한 특수키와 세부 메뉴 선택을 위한 특수키를 설정하기 위한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입력된 신호에 따라 해당 특수키들을 설정한다(S120). 화면 분할 및 특수키 설정은 S110 단계 및 S120 단계와 같이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설정할 수도 있지만, 휴대용 단말기 내부적으로 프로그램화될 수도 있다. First, when a signal for setting an area of a user is input, the controller 200 divides and sets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4 for each predetermined area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S110). Special key for manipulating the movement of the moving reference point by region, special key for selecting the area, and special key for moving the submenu selection window and special menu for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hile splitting the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When a signal for setting a key is input, the controller 200 sets corresponding special keys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S120). The screen division and the special key setting may be set according to a user's input as in steps S110 and S120, but may be programmed internally of the portable terminal.

제어부(200)는 인터넷 접속키(142)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인터넷 프로그램을 실행하고(S130) 수신한 웹브라우저를 표시부(114)의 화면에 표시한다(S140). 이때 제어부(200)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웹브라우저가 표시된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한다. When the selection signal of the Internet access key 142 is input, the controller 200 executes the Internet program (S130) and displays the received web browser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114 (S140). In this case,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creen on which the web browser is displayed.

제어부(200)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이동시키기 위한 특수키 또는 방향키가 입력여부를 감지한다(S150).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이동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200)는 입력된 이동 명령에 따라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이동 영역으로 이동 및 이동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S160). 이때 제어부(200)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 이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별한다(S170). The controller 200 detects whether a special key or direction key for moving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input (S150). When the movement command of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input, the controller 200 move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to the movement region and displays the movement state on the screen according to the input movement command (S16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signal for selecting a region in which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S170).

영역을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영역을 확장하여 화면에 표시한다(S180). 이때 제어부(200)는 세부메뉴 선택창을 세부 메뉴들과 함께 화면에 표시한다. 제어부(200)는 특수키 또는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세부메뉴 선택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명령의 입력여부를 판단한다(S190). If it is determined that a signal for selecting an area is input, the controller 200 expands the selected area and displays it on the screen (S180). At this time, the controller 200 displays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on the screen together with the detailed menus.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movement command for moving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pecial key or the direction key (S190).

세부메뉴 선택창을 이동시키기 위한 이동명령이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세부메뉴 선택창을 입력되는 이동명령에 따라 이동시키고 이때의 이동 상태를 화면에 표시한다(S210). 제어부(200)는 세부메뉴 선택창이 위치하는 곳의 세부 메뉴를 선택하는 신호의 입력 여부를 판단한다(S220). 세부 메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00)는 선택된 세부 메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한다(S230). If it is determined that a moving command for moving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the control unit 200 moves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according to the input moving command and displays the moving state on the screen (S210). The controller 200 determines whether a signal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where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s input (S220). If it is determined that a signal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is input, the controller 200 performs an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menu (S230).

따라서,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 이동 및 세부메뉴 이동을 위한 키를 설정하여 영역별 이동을 위한 키 및 세부메뉴 이동을 위한 키를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키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보다 따르게 선택할 수 있다. Therefore, by dividing the screen on which data is displayed into a predetermined area and setting keys for movement by region and detailed menu, by selecting keys to select using keys for movement by region and keys for detailed menu movement, You can choose to follow the menu you want to select.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가 표시되는 화면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역별 이동 및 세부메뉴 이동을 위한 키를 설정하여 영역별 이동을 위한 키 및 세부메뉴 이동을 위한 키를 이용하여 선택하고자 하는 키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하고자 하 는 메뉴를 보다 따르게 선택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creen for displaying data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regions, and a key for selecting by using a key for movement by region and a key for movement of detailed menu is set by setting keys for movement by region and movement of detailed menu. By selecting, you can choose to follow the menu you want to select.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을 소정 영역으로 분할하고 영상이 표시될 때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함께 표시하여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분할된 영역별로 이동시키고 영역별 이동 기준점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세부 메뉴 선택창과 함께 확장 표시하며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세부 메뉴 선택창을 이동시키고 세부 메뉴 선택창의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세부 메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한정된 표시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장치들에서 보다 많은 정보들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고 해당 메뉴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bile terminal divides the screen on which the image is displayed into a predetermined area, and displays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when the image is displayed to move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and to move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When the selection signal is input, the area in which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selected area is located is extended and displayed together with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moved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By performing the operation, more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screen in devices having a limited display area and a corresponding menu can be selected more quickly.

게다가 컴퓨터에서 "컨트롤키(Ctrl)+방향키"와 같은 영역 이동키를 이용하여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가 위치하는 영역으로 빠르게 이동하고 "알트키(Alt)와 방향키"와 같은 세부메뉴 선택키를 이용하여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에서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선택하고자 하는 메뉴를 보다 빠르게 선택할 수 있다. In addition, you can quickly move to the area where the menu where you want to select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by using the area movement key such as "Control key (Ctrl) + direction key" on the computer and select the detailed menu such as "Alt key and direction key". By selecting a menu to be selected in the region where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by using a key, the menu to be selected can be selected more quick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In the above,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any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ttached to the claims. will be.

Claims (8)

메뉴 선택이 용이하게 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asy menu selection, 입력되는 데이터가 화면에 표시되는 표시부; A display unit displaying input data on a screen;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화면을 소정 영역별로 분할 설정하며 상기 데이터가 상기 화면에 표시될 때 상기 분할된 영역별 이동을 위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함께 표시하고 영역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의 세부 메뉴를 선택하는 선택창을 해당 세부 메뉴로 이동시키는 제어부; 및 The display unit is controlled, the screen is divided into predetermined areas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nd when the data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for movement of the divided regions is displayed together and the movement command for each region is executed. A control unit which moves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to the corresponding region when input, and moves a selection window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of the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when a movement command for each detailed menu is input; And 상기 영역별 이동명령 및 상기 세부 메뉴별 이동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방향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And a direction key for inputting the movement command for each region and the movement command for each detailed menu. 제 1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선택하는 영역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선택된 영역을 확장하여 상기 선택된 영역에 포함된 상기 세부메뉴들과 함께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을 상기 화면 전체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If an are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n area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s located is input, the controller expands the selected area to display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on the entire screen together with the detailed menus included in the selected area. Portable terminal, characterized in that. 제 2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면에 선택된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방향키의 조작에 따라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을 해당 세부메뉴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controller may be configured to move the submenu selection window to the submenu according to the input movement command when a moving command of the sub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direction key while the selected area is displayed on the screen. Portable terminal made with. 제 3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이 위치하는 해당 세부메뉴를 선택하는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세부메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The control unit performs a se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menu when a selection command for selecting a corresponding detailed menu in which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s input. 삭제delete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표시된 메뉴의 선택 방법에 있어서, In the method of selecting a displayed menu using a portable terminal, a)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 a) performing a corresponding operation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b)상기 동작에 대응하여 처리된 데이터 및 영역 이동 상태를 나타내는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소정 영역별로 분할된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 b) displaying the moving reference point for each area indicating the data and the area moving state processed in response to the operation on a screen divided for each predetermined area; c)영역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화면의 소정 영역에 표시된 영역별 이동 기준점을 상기 입력된 영역 이동명령에 따라 해당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단계; c) when a region movement command is input, moving a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displayed on a predetermined region of the screen to a corresponding region according to the input region movement command; d)상기 해당 영역에 포함된 세부 메뉴들 중 해당 메뉴의 선택 상태를 나타내는 세부메뉴 선택창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을 해당 세부메뉴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d) when a moving command of a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ndicating a selection state of the corresponding menu among the detailed menus included in the corresponding area is input, moving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o the corresponding detailed menu according to the input moving command; And e)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이 위치하는 세부메뉴를 선택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선택된 상기 세부메뉴에 대응하여 설정된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의 선택 방법. e) when a signal for selecting a detailed menu in which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located is input, performing a set operation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detailed menu. 제 6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6, 상기 c) 단계에서 영역 선택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영역별 이동 기준점이 위치하는 영역을 확장하여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과 함께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의 선택 방법. And in step c), when the region selection command is input, expanding the region where the movement reference point for each region is located and displaying the same together with the submenu selection window. 제 7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상기 선택된 영역이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의 이동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이동명령에 따라 상기 세부메뉴 선택창을 해당 세부메뉴로 이동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뉴의 선택 방법. If a moving command of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is input while the selected area is displayed, moving the detailed menu selection window to a corresponding detailed menu according to the input moving command; .
KR1020030064777A 2003-09-18 2003-09-18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KR100605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77A KR100605863B1 (en) 2003-09-18 2003-09-18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4777A KR100605863B1 (en) 2003-09-18 2003-09-18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97A KR20050028497A (en) 2005-03-23
KR100605863B1 true KR100605863B1 (en) 2006-07-31

Family

ID=37385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4777A KR100605863B1 (en) 2003-09-18 2003-09-18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586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4556B1 (en) * 2014-06-27 2020-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Method for displaying an image by using a remote controller and apparatu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8497A (en) 200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286B1 (en) Display apparatus and support method us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external device
US8085291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KR100678206B1 (en) Method for displaying emotion in video telephone mode of wireless terminal
KR1006177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editing image and image edition method using that
JP4082352B2 (en) Mobile phone, display control method for mobile phone, and program thereof
KR100605863B1 (en) Poterble terminal and method capable of quickly seleting a menu
KR100678248B1 (en)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30165B1 (en) Method for searching phone number in wireless terminal
KR10084929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key inputting in slid type wireless mobile terminal
KR100684447B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outer-watch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terminal
KR10067810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resource of external device in wireless terminal
KR100815121B1 (en) Method for magnifying of selected area using screen division in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KR100640402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variably displaying in difference area with screen electronic touch interfaces window according to input interface mode
KR100617736B1 (en) Method for zooming of picture in wireless terminal
KR100735378B1 (en) Method for performing video telephone of sign languag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16B1 (en) Method for turning image stat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261B1 (en) Method for performing multitasking in wireless terminal
KR10066351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device in wireless terminal
KR100678103B1 (en) Method for displaying menu in the mobile phone
KR100689526B1 (en) Method for searching data in wireless terminal
KR100593988B1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controlling multi-direction moving of character and direction controlling method using that
KR101002864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ctive mode in wireless terminal typing slide
KR100663531B1 (en) Method for displaying clock in wireless terminal
KR20050113807A (en) Method for performing of slide show in wireless terminal
KR100790061B1 (en) Method for using rotation key apparatus in wireless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