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5671B1 -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5671B1
KR100605671B1 KR1020050103423A KR20050103423A KR100605671B1 KR 100605671 B1 KR100605671 B1 KR 100605671B1 KR 1020050103423 A KR1020050103423 A KR 1020050103423A KR 20050103423 A KR20050103423 A KR 20050103423A KR 100605671 B1 KR100605671 B1 KR 10060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il
ornaments
wire
nails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342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김창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현 filed Critical 김창현
Priority to KR1020050103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5671B1/en
Priority to PCT/KR2006/000414 priority patent/WO2007052865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567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4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 A44C15/0075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 A44C15/008Jewellery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on a specific part of the body not fully provided for in groups A44C1/00 - A44C9/00 on the hand or nails on the nail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발톱에 장착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부착이 용이하며 손발톱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견고히 장착될 수 있는 손발톱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손발톱용 장신구는, 손발톱에 천공된 홀을 따라 탈부착되는 방식으로, 장착상태에서 손발톱의 상면에 노출되어 장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홀에 관통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손발톱용 장신구는 장착부를 작은 부피의 나선형 와이어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손발톱 아래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탈부착이 용이하고, 장신구의 착용에 따라 손발톱의 작업기능이 저하되는 것 없이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이나 취향에 따라 장식부에 대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 mounted on a nail of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nament for nails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disturbing the function of the nail. The nail ornaments are attached to the nails in such a way that they are detachably attached to the nails, and are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s in a mounted state to accommodate a decoration, and are formed spi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fixed through. Such nail ornaments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even in a narrow space under the nail by implementing the moun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small volume spiral wire, and can feel a stable fit without deteriorating the work function of the nail according to the wearing of the ornaments. According to the user's mood or taste, various decorations can be produced.

피어싱, 와이어, 장식품 Piercing, wire, ornaments

Description

손발톱용 장신구 및 그 장착방법{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Jewelery for nails and how to install it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ornament for nai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장식물이 부착된 상태에서의 도 1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rnament for nail according to Figure 1 in a state where the decoration is attached,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사시도,3a and 3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rnaments for nai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상기 도 2의 손발톱용 장신구의 정면도,4 is a front view of the nail ornament of FIG. 2;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을 나타낸 도면,5 is a view showing a mounting method of the nail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nail ornament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정면도이다.7 is a front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Symbols for Major Parts of Drawings>

100: 손발톱용 장신구 110: 수용부100: nail ornaments 110: receiving portion

111: 수용부의 단부 120: 장착부111: end of the accommodating part 120: mounting part

121: 장착부의 단부 200: 장식물121: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200: decoration

300: 손가락 301: 손톱300: finger 301: nail

302: 홀 400: 난집302: hall 400: mess

본 발명은 사용자의 손발톱에 장착되는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부착이 용이하며 손발톱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으면서도 견고히 장착될 수 있는 손발톱용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nament mounted on a nail of a us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nament for nails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disturbing the function of the nail.

종래 사용자의 손발톱을 대상으로 하여 피어싱하여 연출하는 장식방법의 경우, 사용자가 인조손톱을 바인더 등을 이용하여 실제의 손발톱에 부착한 상태에서 인조손톱에 홀을 형성한 후 고리형태로 만들어진 일반적인 장식제품을 부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In the case of the decorative method of piercing the nail of the user conventionally produced, the general decorative product made in the form of a ring after forming a hole in the artificial nail in the state in which the user attached the artificial nail to the actual nail using a binder or the like The method of attaching is known.

한편, 이러한 종래의 피어싱 홀을 이용한 장식품은 대부분이 고리형태로 이루어져 단순히 인조손톱에 관통시켜 탈부착하는 방식이고, 탈부착을 위해 별도의 잠금구조를 구비한 형태가 일반적이어서 손발톱과 같이 극히 작은 공간만이 허용되는 작업공간상에서 제 3 자의 도움이나 별도의 기구없이 사용자 스스로 탈부착하기가 거의 불가능한 실정이다. On the other hand, the ornaments using the conventional piercing holes are mostly made of a ring shape to simply penetrate through the artificial nail to be detachable, and a separate lock structure for detachable attachment is generally a very small space such as nails It is almost impossible for the user to attach or detach himself or herself without the help of a third party in the allowed working space.

또한, 이러한 커다란 고리형태의 장식품의 경우 홀에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기보다는 단순히 홀에 의존하여 매달리는 구조이어서, 장식품의 장착상태에서 손발톱이 갖는 본래의 작업기능이 저하되는 것은 불가피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such a large ring-shaped ornaments, rather than being firmly attached to the hole, the structure is simply suspended depending on the hole, it was inevitable that the original work function of the nail in the state of the ornament attached to the deterioration.

기타, 손발톱에 단순히 스티커 등을 부착하는 방식도 알려져 있으나, 사용자 의 손발톱을 직접적인 대상으로 하여 이에 피어싱 홀을 형성하여 적용되는 장식제품 및 장식방법은 알려져 있지 않다. In addition, a method of simply attaching a sticker or the like to a nail is also known, but a decorative product and a decoration method applied by forming a piercing hole for a user's nail directly are not known.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손발톱 아래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탈부착이 용이하고, 장신구의 착용에 따라 손발톱의 작업기능이 저하되는 것 없이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이나 취향에 따라 장식부에 대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한, 새로운 탈부착방식의 손발톱용 장신구 및 이를 이용한 장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it is easy to attach and detach even in a narrow space under the nail, it is possible to feel a stable fit without deteriorating the work function of the nail according to the wearing of jewelry, According to the mood or taste of the various possible to produce a decorative part, to provide a new removable nail ornaments and a mounting method using the sam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손발톱에 천공된 홀을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될 수 있는 손발톱용 장신구로서, 장착상태에서 손발톱의 상면에 노출되어 장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홀에 관통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rnament for nails tha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along a hole drilled in the nail, the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decoration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 in the mounted state, and the receiving portion It is provided in a spiral extending from the downward to the ornament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mounting portion that is fixed through the ho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부와 장착부는 일체의 나선형 와이어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수용부는 이를 구성하는 와이어가 장식물의 외주연을 따라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고정하거나, 바인더를 이용하여 고정하거나, 와이어의 단부가 상기 장식물의 소정부위에 형성된 나사홈에 나사결합하거나 또는 별도의 보석 난집 과 수용부의 결합으로써 장식물을 고정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may be made of a single spiral wire, in this case, the receiving portion is fixed to the wire constituting it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decoration elastically, or fixed using a binder, The end of the wire may be screwed into a screw groove formed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decoration, or the decoration may be fixed by combining a separate jewelry mess and the receiving part.

상기 나선형 와이어의 형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회전 반경이 균일한 원통형 형상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부의 단부쪽으로 갈수록 회전축의 중심을 향하여 회전 반경이 감소하는 원추형 형상으로 구성함으로써 손발톱에 형성된 홀에 장착부의 단부를 용이하게 정렬시킴과 동시에 회전운동에 의한 탈부착 동작시 장신구의 회전축에 대한 편심운동을 감소시켜 안정적으로 탈부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piral wi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a cylindrical shape having a uniform radius of rotation. Optionally, by forming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radius of rotation decreases toward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toward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easily aligned with the hole formed in the nail, and at the same time the rotation axis of the jewelry during the detachable opera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Reduction of eccentric motion can be performed stably detachable work.

장착부의 나선형 와이어는 회전축에 대하여 30°~ 80°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양립하는 장착결합력 및 장착용이성의 요청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장착부 단부의 나선형 와이어는 회전축에 대하여 80°~ 90°의 범위에서 경사지게 함으로써 그 단부가 사용자의 살에 직접 닿더라도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iral wire of the mounting portion can be inclined in the range of 30 ° to 80 °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to satisfy the requirements of compatible mounting coupling force and ease of mounting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spiral wire at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inclined in the range of 80 ° to 90 °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so that the end does not cause pain even if the end directly touches the user's flesh.

장착상태에서 장신구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손발톱의 상면을 기준으로 그 아래에 위치하는 장착부의 회전반경에 대하여 그 위에 위치하는 수용부의 회전반경의 비는 적어도 1.5 이상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eccentricity of the jewelry in the mounted state, the ratio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receiving portion positioned above it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unt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 is preferably at least 1.5 or more.

상기 장작부의 단부를 구성하는 와이어의 외경은 손발톱에 천공된 홀의 내경보다 작게 함으로써 장신구의 장착개시시에 장착부의 단부가 홀의 중심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end of the firewood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drilled in the nail, so that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can be easily inserted in the center of the hole at the start of the mounting of the jewelry.

상기 나선형 와이어의 수용부 부분에서의 피치간격은 피착되는 손발톱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함으로써 수용부가 손발톱에 형성된 홀 내부로 과도하게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itch interval at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helical wire may be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deposited, thereby preventing the receiving portion from being excessively inserted into the hole formed in the nail.

이와 대조적으로, 장착상태에서 상기 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상기 장착부의 상부에서의 피치간격은 피착되는 손발톱의 두께와 대체로 일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장착부가 홀 안팎으로 용이하게 활주하도록 하는 한편, 상당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장신구가 손발톱에 견고히 고정되어 이탈이 방지될 수 있어 유리하다.In contrast, the pitch spacing at least in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le in the mounted state is configured to substantially match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deposited, thereby allowing the mounting portion to slide easily in and out of the hole, while a significant external force is applied. Unless the jewelry is firmly secured to the nail, it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ff, which is advantageous.

나선형 와이어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며, 다만 피착되는 손발톱보다 항복강도가 큰 재질을 사용함으로써 반복적인 탈부착에도 나선형 와이어의 소성변형을 방지하여 초기 설계시 고려된 장착상태에서의 결합력이 유지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spiral wir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However, by using a material having a higher yield strength than the nail to be deposited, the bond strength in the mounting state considered in the initial design can be maintained by preventing plastic deformation of the spiral wire even after repeated detachment. have.

상기 장착부는 손발톱이 본래 갖는 작업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적어도 일부가 장착상태에서 상기 손발톱의 하면에 노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장착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The mounting portion may be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ail in at least a portion of the mounting state, as long as the nail does not impair the work function originally possessed, in which case the mounting coupling force may be increased.

본 발명의 다른 모습에 따르면, 장식물을 수용하거나 별개의 보석난집과 결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손발톱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으로서, 상기 장신구를 피착하고자 하는 손발톱의 단부 소정부위에 상기 와이어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크기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부의 단부를 상기 홀에 삽입하여 정력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회전시켜 상기 장착부를 홀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of the nail ornaments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a decoration or to combine with a separate jewelry dish, and a mounting portion is formed spirally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downward fixed to the nail A method comprising: forming a hol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wire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an end portion of a nail to which the ornament is to be deposited; Inserting an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nto the hole to tuck; Rota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provides a mounting method of the nail ornaments comprising the step of fixing by sliding the mounting inside the hol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ail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100)의 사시도이다. 도 1의 손발톱용 장신구(100)는 일체의 나선형 와이어 형태로 구현되어 있으며 장착상태에서 손발톱(도 5의 301)의 상면에 노출되는 장식물 수용부(110)와 손발톱에 형성된 홀(도 5의 302)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장착부(120)로 이루어져 있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nail ornamen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nail ornament 100 of FIG. 1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n integral spiral wire and is formed in the ornament receiving portion 110 and nails ex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 (301 of FIG. 5) in a mounted state (302 of FIG. 5). It consists of a mounting portion 120 is fixed through.

이러한 나선형 와이어 형태의 손발톱용 장신구(100)는, 기본적으로 고탄성의 와이어가 손발톱(301)의 홀(302)의 내측 또는 상하부에서 그 자체의 탄성력으로 밀착하여 고정되는 구조로서, 손발톱(301) 아래와 같이 극히 협소한 장착공간을 갖는 상황에서도 탈부착이 가능하고, 손발톱(301)에 천공되는 피어싱 홀(302)의 크기가 극히 미세한 경우에도 와이어의 굵기를 이에 따라 변경할 수 있어 손발톱(301)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s spiral wire-shaped nail ornaments 100 is basically a structure in which a highly elastic wire is fixed in close contact with the elastic force of its own in the inner or upper portion of the hole 302 of the nail 301, under the nail 301 As described above, even in a situation where the mounting space is extremely narrow, detachment is possible, and even when the size of the piercing hole 302 drilled in the nail 301 is extremely fine, the thickness of the wire can be changed accordingly,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nail 301. It can be minimized.

이하의 설명에서는 장신구(100) 중 수용부(110)측 방향을 상방향으로 하고 장착부(120)측 방향을 하방향으로 하고, 나선형 와이어의 중심축을 회전축(V)으로 하고, 피착되는 손발톱에 수직한 축을 "O"로 한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direction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of the jewelry 100 is made upward and the mounting part 120 is made downward, the central axis of the spiral wire is the rotation axis V, and is perpendicular to the nail to be deposited. One axis is "O".

장식물(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부(110) 와이어의 내측에서 와이어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착고정되어 있다. 이 경우 장식물(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회전 이상의 와이어가 장식물(120)의 상부 표면을 덮도록 하는 것도 좋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식물(200)은 이러한 탄성적 결합에 부가하 거나 또는 단독으로 수용부(110) 측에 바인더 등을 이용하여 보다 견고히 접착될 수도 있고(도면 미도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의 보석 난집(400)과 수용부(11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장식물(200)의 결합은, 결합을 위하여 별도의 가공이 곤란한 취성이 강하고 고경도의 장식물(200), 예컨대 다이아몬드와 같은 보석류에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The ornament 200 is elastically tightly fixed by the wire inside the wir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as shown in FIG.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ornament 120, at least one rotation or more of the wires may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ornament 120. Optionally, the decoration 200 may be more firmly attached to such an elastic coupling or by using a binder or the like on the receiving unit 110 side alone (not shown), as shown in FIG. 7. Separate jewelry obfuscation 400 and the receiving unit 110 may be combined. The combination of the ornament 200 of this type can be advantageously applied to the brittle and hardened ornaments 200, for example jewelry such as diamond, which is difficult to separate processing for bonding.

한편, 결합을 위한 기계가공이 어렵지 않은 장식물(200)의 경우에 있어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의 단부(111)를 나사가공하고 이에 대응하여 장식물(200)의 소정 부위에 나사홈을 가공하여 나사결합시킬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의 경우 장식물(200)의 나사홈 가공 위치는 그 중앙 하면이 될 것이나, 미감을 해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도 3b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측면 등으로 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ornament 200 is not difficult to machine for coupling, as shown in Figure 3a, the end portion 111 of the receiving portion is screwed and correspondingly a screw groove in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ornament 200 Can be machined and screwed together.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of FIG. 3A, the thread groove processing position of the decoration 200 may be the center lower surface thereof, but may be a side surface as in the embodiment of FIG. 3B without limiting the aesthetic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도 1 내지 도 3b의 실시예에서는 나선형 와이어의 회전반경이 수용부(110)로부터 장착부(120) 쪽으로 감소되어 상기 장신구(100)는 전체적으로 원뿔형상을 갖는다. 이러한 원뿔형상의 나선형 와이어로 이루어진 장신구(100)에서는, 장착상태에서 편심을 방지하고, 소망하는 장착결합력을 유지하고, 또한 장착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손발톱의 기능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여러 가지 설계요소들이 고려되어야 한다.1 to 3B, the rotation radius of the helical wire is reduced from the receiving part 110 toward the mounting part 120 so that the ornament 100 has a conical shape as a whole. In the ornament 100 made of such a conical spiral wire, in order to prevent the eccentricity, to maintain the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and to facilitate the mounting work, to prevent the function of the nail to be described below Several design factors must be considered.

도 4는 도 1의 손발톱용 장신구(100)에 대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할 때, 장착부(120)의 나선형 와이어 중 손발톱의 홀(301) 내에 수용되는 부분은 회전축(V)에 대하여 소정의 경사각(θ)을 가지고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경사각 (θ)은 30°이상 80°이하의 크기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사각(θ)이 30°보다 작으면 손발톱의 홀(302)과 와이어의 접촉면적이 감소하여 소망하는 장착 결합력을 얻기 어려우며 또한 장착 후 손발톱(301) 아래로 돌출되는 장착부 단부(121)와 사용자의 살이 직접 접촉하여 통증을 유발할 수 있고, 경사각(θ)이 80°보다 크면 장신구(200)의 장착부의 단부(121)를 과도하게 기울여 홀(302)에 정렬시켜야 하기 때문에 장착작업이 곤란하고, 또한 장착후 수용부의 저면이 손발톱의 상면에 균일하게 밀착되지 않고 한쪽으로 치우쳐 밀착하는 편심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4 is a front view of the nail ornament 100 of FIG. Referring to FIG. 4, the portion accommodated in the hole 301 of the nail of the helical wire of the mounting portion 120 extends downward with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θ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V. As shown in FIG. It is preferable to limit the inclination angle θ to a size of 30 ° or more and 80 ° or less. If the inclination angle θ is less than 30 °,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hole 302 of the nail and the wire is reduc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obtain a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and that the mounting end 121 and the user protrude below the nail 301 after mounting. The direct contact with the flesh may cause pain, and if the inclination angle θ is greater than 80 °, the mounting operation is difficult because the end 121 of the mounting portion of the jewelry 200 must be excessively inclined to be aligned with the hole 302. After mounting,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ion may not be uniformly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 and may cause a problem of eccentricity in which one side is in close contact.

이에 대하여, 장착부(120)의 단부(121) 근방에서의 상기 경사각(θ)은 대체로 90°에 근접하도록 하여, 바람직하게는 80°~ 90° 범위에서 대체로 수평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장착상태(121)에서 예리한 단부(121)가 사용자의 살에 닿을 경우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경사각이 80°보다 작으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없으며, 90°보다 크면 장착작업시 단부(121)를 홀(302)에 정렬하기가 곤란하다.On the other hand, the inclination angle (θ) in the vicinity of the end 121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to be substantially close to 90 °, preferably in a substantially horizontal form in the range of 80 ° ~ 90 ° mounting state 121 It is good not to cause pain when the sharp end 121 in contact with the user's flesh. If the inclination angle is smaller than 80 °, this object cannot be achieved, and if it is larger than 90 °,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end 121 with the hole 302 during the mounting operation.

한편, 장신구(100)가 장착상태에서 편심하는 문제와 관련해서는 상기 경사각(θ)에 대한 설계와 함께, 와이어와 홀(302)의 직경의 크기와, 손발톱(301)의 상면을 기준으로 하여 장착부(120)에 대한 수용부(110)의 회전반경비(Rh/Rm)도 중요하게 고려하여야 한다. 아래에서는, 장신구(100)의 회전축(V)과 손발톱(301)의 수직축(O)이 이루는 각을 편심각(δ)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On the other hand, with respect to the problem that the jewelry 100 is eccentric in the mounting state, with the design for the angle of inclination (θ), the mounting portion on the basis of the size of the diameter of the wire and the hole 302, and the top surface of the nail 301 The radius of rotation (Rh / Rm) of the receiver 110 relative to 120 should also be considered. Hereinafter, the angle formed by the rotation axis V of the jewelry 100 and the vertical axis O of the nail 301 will be described as an eccentric angle δ.

일반적으로 와이어의 직경보다 홀(302)의 직경이 클수록 상기 편심각(δ)은 작아지며, 반대로 와이어의 직경과 홀의 직경이 근접할수록 편심각(δ)은 커진다. 이러한 측면에서 와이어의 직경을 홀(302)의 직경보다 작게 할수록 유리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와이어와 홀(302) 양자의 직경을 모두 제어해야 하는 불편이 있다.In general, the larger the diameter of the hole 302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the smaller the eccentric angle δ, and conversely, the closer the diameter of the wire and the diameter of the hole are, the larger the eccentric angle δ is. In this aspect, the smaller the diameter of the wire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302 is advantageous, but for this purpose, it is inconvenient to control both the diameter of the wire and the hole 302.

편심방지의 목적으로 와이어 및 홀(302) 양자에 대한 직경크기를 제어해야 하는 불편은, 손발톱(301)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착부(120)의 회전반경(Rm)에 대한 수용부(110)의 회전반경(Rh)의 비(Rh/Rm)만을 제어함으로써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반경비(Rh/Rm)를 크게 하면, 수용부(110)에서 탄성적으로 변형하는 와이어의 길이가 커져 편심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손발톱 위에서 장신구(100) 또는 그 수용부(110)는 미세한 편심각(δ)을 가지고 바람직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설계는, 상기 장착부(120)의 단부가 대략 80°정도의 큰 경사각(θ)을 갖는 경우이거나 또는 와이어의 직경이 홀(302)의 직경과 대략적으로 비슷한 경우와 같이 편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상황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Discomfort to control the diameter size for both the wire and the hole 302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eccentricity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radius (Rm) of the mounting portion 120 relative to the top surface of the nail 301 It can be significantly reduced by controlling only the ratio Rh / Rm of the rotation radius Rh. In other words, when the rotation radius ratio Rh / Rm is increased, the length of the wire deformed elastically in the accommodating part 110 may be increased to buffer the eccentricity. Accordingly, the ornament 100 or its receiving portion 110 on the nail can be preferably mounted with a fine eccentric angle (δ). This design may adversely affect the eccentricity, such as when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has a large inclination angle θ of about 80 ° or when the diameter of the wire is approximately similar to the diameter of the hole 302. It can work in situations where it is.

바람직하게는, 상기 편심방지의 목적을 위해서는 상기 회전반경비(Rh/Rm)는 적어도 1.5 이상이어야 한다. 회전반경비(Rh/Rm)의 상한은 제한되지 않고 클수록 편심방지 목적에 적합하나, 수용부(110)의 회전반경(Rh)은 피착되는 손발톱(301)의 사이즈에 의해 제한되므로 회전반경비(Rh/Rm)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장착부(120)의 회전반경(Rm)을 작게 하여야 하는데 이는 가공과 관련하여 일정한 한계가 있기 때문에 상기 회전반경비(Rh/Rm)는 3정도가 적절하다. Preferably, the rotation radius ratio Rh / Rm should be at least 1.5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eccentricity. The upper limit of the rotation radius ratio (Rh / Rm) is not limited, but larger is suitable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eccentricity, but the rotation radius (Rh)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limited by the size of the nail to be deposited (301) rotation radius ratio ( In order to increase Rh / Rm, the rotation radius Rm of the mounting part 120 should be made small. However, since the rotation radius ratio Rh / Rm is about 3, the rotation radius ratio Rh / Rm is appropriate.

기본적으로, 이러한 커다란 회전반경비에 대한 요청은 나선형 와이어의 형상 을 상기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형 형상으로 할 경우에 유리하게 달성될 수 있으며, 한편, 장착부(120)의 단부에서의 회전반경의 크기도 줄어들어 손발톱의 밑과 같이 극히 협소한 작업공간을 상황에서도 유리하다.Basically, the request for such a large rotational radius ratio can be advantageously achieved when the shape of the helical wire is conical shaped as shown in Figs. 1 to 3B above, while at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The size of the turn radius is also reduced, which is advantageous in situations where extremely narrow workspaces such as under the nail.

다음으로 장착부(120)의 단부(121)는, 장신구(100)의 장착작업시 손발톱(301)에 인위적으로 천공된 홀(302)에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도록, 테이퍼져 그 외경이 홀(302)의 내경보다 작게 하고, 회전축(V)의 중심을 향하여 수렴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원뿔형상의 장신구(100)는 회전운동에 의한 탈부착 동작시에 장신구(100)의 회전축(V) 또는 홀(302)에 대한 편심운동을 감소시켜 장신구(100)의 탈부착 작업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한다.Next, the end portion 121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tapered so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mounting portion 120 can be easily aligned with the hole 302 artificially drilled into the nail 301 during the mounting operation of the jewelry 100. It is preferable to make it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 and to converge toward the center of the rotating shaft (V). In addition, the cone-shaped ornament 100 is to perform a detachable operation of the ornament 100 by reducing the eccentric movement of the rotation axis (V) or the hole 302 of the ornament 100 during the detachment operation by the rotational movement. To do it.

수용부(110)측 와이어 직경 크기(2×Rh)는 수용되는 장식물(도 2의 200)의 크기 및 손발톱(301)의 수용가능한 면적에 따라 결정되며 통상적으로 5 mm 이하의 크기이면 족하다. 장착부(120)의 높이(Hm)는 소망되는 장착 결합력을 유지하고 손쉬운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피착되는 손발톱(301)의 두께와 같거나 크게 하여야 하지만, 높이가 과도해지면 장착후에 손발톱(301)에 천공된 홀(302)을 관통하여 손발톱(301)의 하면 아래로 지나치게 돌출되어 손발톱(301)이 갖는 본래의 작업기능을 저해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이러한 측면에서, 장착부(120)의 높이는 0.5 ~ 3 mm의 범위에서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착부(120)의 단부는 손발톱(301)의 하면으로 약간 정도 돌출되도록 설계함으로써 손발톱(301)의 상하 양면을 와이어의 탄성력으로 보다 견고히 조이게 할 수 있다.The wire diameter size (2 × Rh) on the receiving portion 110 side depends on the size of the ornament (200 in FIG. 2) to be accommodated and the acceptable area of the nail 301, and typically is 5 mm or less. The height Hm of the mounting portion 120 should be equal to or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deposited 301 in order to maintain the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and prevent easy detachment, but if the height is excessive, puncture the nail 301 after mounting It is not preferable because it penetrates the hole 302 so as to protrude excessively below the lower surface of the nail 301, thereby inhibiting the original work function of the nail 301. In this aspect, the height of the mounting portion 120 may be designed in the range of 0.5 to 3 mm. Preferably,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designed to protrude slightly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ail 301 can be more firmly tightening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nail 301 by the elastic force of the wire.

계속하여 도 4를 참조할 때, 나선형 와이어의 피치간격과 관련하여, 장신구 (100)의 상부를 구성하는 수용부(110)에서의 나선형 와이어의 피치간격(Ph)은 작고 장신구(100)의 하부를 구성하는 장착부(120)에서의 와이어 피치간격(Pm)은 상대적으로 크게 구성한다. 4, in relation to the pitch spacing of the helical wires, the pitch spacing Ph of the helical wires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constitu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ornament 100 is small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ornament 100. Wire pitch spacing (Pm) in the mounting portion 120 constituting a relatively large configuration.

상세하게는, 수용부(110)에서의 피치간격(Ph)은 피착되는 손발톱의 두께보다 작게 구성한다. 수용부(110)에서의 피치간격(Ph)이 손발톱의 두께보다 크면 홀을 관통하여 손발톱의 하면으로 노출되는 장착부(120)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커져 손발톱의 작업기능을 저해하고, 또한 손발톱의 상면에 노출되는 수용부(110)의 길이는 이에 비례하여 짧아져 장식물(200)이 수용부(110) 내측에 확실히 고정하기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다. In detail, the pitch interval Ph in the accommodation unit 110 is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deposited. If the pitch interval Ph in the receiving portion 110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the nail, the length of the mounting portion 120 that penetrates the hole and is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ail is relatively large, which hinders the work function of the nail, and also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exposed to the film is shortened in proportion to the length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which is difficult to securely fix the interior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이에 대하여, 장착부(120)의 피치간격(Pm)은 피착되는 손발톱의 두께와 대체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장착부(120)의 피치간격(Pm)이 두께보다 과도하게 크면 소망하는 장착결합력이 유지될 수 없어 장착상태에서 장신구(100)가 회전축(V)에 대하여 편심되어 유동하는 것을 피할 수 없고, 반대로 과도하게 작으면 탈부착시 필요한 외력이 상승하여 탈부착 작업이 곤란해지거나 손발톱의 표면에 원하지 않는 손상을 동반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tch interval Pm of the mounting portion 120 preferably matches substantially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deposited. If the pitch spacing Pm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excessively larger than the thickness, the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cannot be maintained, so that the jewelry 100 is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axis V in the mounted state, and inversely, excessive If it is small, the external force required for detachment rises, making the detachment work difficult, or there is a risk of accompanying unwanted damage to the surface of the nail.

이상의 나선형 와이어 형태의 장신구(100)의 재질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미려한 광택을 갖고 고탄성 재질로서 가공성이 우수한 금속이 유리하게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장착상태에서 소망하는 장착결합력을 얻기 위해서는 고강도/고탄성 재질이 요구되며, 이 경우 와이어의 항복강도는 적어도 손발톱의 항복강도 이상이어야 한다. 와이어의 항복강도가 작으면 반복적인 탈부착으로 상기 장착부 (120)가 영구적으로 소성변형하여 피치간격(Pm)이 초기 설계값 보다 커지게 되어 소망하는 장착결합력을 얻을 수 없게 된다.The material of the helical wire-shaped ornament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 metal having an excellent gloss and excellent workability as a high elastic material may be advantageously applied. In particular, a high strength / high elasticity material is required to obtain the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in the mounted state, in which case the yield strength of the wire should be at least equal to the yield strength of the nail. If the yield strength of the wire is small, the mounting part 120 is permanently plastically deformed by repeated detachment, so that the pitch interval Pm becomes larger than the initial design value, and thus the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cannot be obtained.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탈부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ttaching and detaching jewelry for nai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5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착작업의 진행 순서를 작업시간에 따라 (a)에서 (c)로 나타내었다. 한편, 도 5에서는 상기 도 2의 원뿔형상의 손발톱용 장신구를 예시하였으나, 기타의 경우, 예컨대 도 6의 원통형상의 손발톱형 장신구(100)에도 이하의 장착방법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With reference to Figure 5 will be described a mounting method of the nail ornament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progress of the mounting work is shown in (a) to (c) according to the working time. Meanwhile, although FIG. 5 illustrates the cone-shaped nail ornament of FIG. 2, in other cases, the following mounting method may also be applied to the cylindrical nail-shaped ornament 100 of FIG. 6.

먼저 도 5의 (a)를 참조하면, 피착하고자 하는 손톱(301)의 단부는 홀(302)을 형성하기에 충분하도록 손가락(300)으로부터 연장되어 있고, 상기 홀(302)은 와이어를 수용할 수 있도록 장신구(100)의 와이어의 직경보다 약간 큰 직경크기로 적절히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5A, an end portion of the nail 301 to be deposited extends from the finger 300 to be sufficient to form the hole 302, and the hole 302 may receive a wire. It is assumed to be properly perforated to a diameter size slightly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wire of the ornaments 100 to be able to.

손톱(301)에 홀(302)을 형성한 후, 손가락(300)의 바닥면이 적절히 지지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다른 사람의 도움이나 별도의 도구 없이 자신의 다른 손(도면 미도시)을 이용하여 장신구(100)를 파지하여 장착부(120)의 단부를 홀(302) 내부에 위치시킨다. After forming the hole 302 in the nail 301,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finger 300 properly supported, the user uses his or her other hand (not shown)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or a separate tool. By holding the ornament 100 to place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n the hole 302.

이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120)의 단부가 홀(302)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테이퍼진 구조로 하는 구성과, 나선형 와이어를 원뿔형상으로 하는 구성과, 장착부(120) 단부에서의 회전축(P)에 대한 경사각을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60°로 조절하는 구성은 이러한 위치 정렬작업을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될 요소들이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tapered to a size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302, the conical shape of the helical wire, and the rotating shaft at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120 ( The configuration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with respect to P) most preferably at about 60 ° is an important factor to be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facilitating such alignment.

계속하여 도 5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도구를 사용할 필요도 없이 자신의 손을 이용하여 장신구(100)의 수용부(110) 측면을 파지하거나 상면을 눌러(도면 미도시) 장착부(120)의 단부가 홀(302) 쪽으로 가압되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력을 가하면, 나선형 와이어는 홀에 의해 안내되어 부드럽게 전진하게 된다. 이 경우, 장착부의 피치간격(Pm)은 장착작업의 용이성과 소망되는 장착결합력을 유지라는 상반되는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손톱(301)의 두께와 대체로 일치시켜야 함은 상술한 바이다.5 (b), the user does not need to use a separate tool by using his or her hand to hold th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ornament 100 or by pressing the upper surface (not shown) When a rotational force is applied while the end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120 is pressed toward the hole 302, the spiral wire is guided by the hole and smoothly advanced. In this case, the pitch interval Pm of the mounting portion should be generally matched with the thickness of the nail 301 in consideration of the conflicting requirements of the ease of mounting operation and maintaining the desired mounting coupling force.

장신구(100)의 상부에 대하여 상당한 회전력을 인가하여도 더 이상 장신구(100)가 홀(302) 내부로 전진하지 않으면 회전력의 인가를 해제하게 되며, 이에 따라 장신구(100)는 도 5의 (c)의 상면에서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견고히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장착부에 대한 수용부의 회전반경의 비를 1.5 이상으로 제어하는 구성은 이러한 편심방지의 목적으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할 설계 요소이다. 이 경우, 수용부(110)의 피치간격(Ph)이 손톱(300) 두께 이하로 형성하여 수용부(110)가 홀(302) 내부로 전진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는 장착작업의 종결유무를 용이하게 감지하게 된다.Even if a considerable amount of rota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ornament 100, if the ornament 100 does not move further into the hole 302, the application of the rotational force is released. Accordingly, the ornament 100 is illustrated in FIG. 5C. It is firmly mounted on either side of the top surface without any bias. As described above, the configuration of controlling the ratio of the radius of rotation of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mounting portion to 1.5 or more is a design element to be considered important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such eccentricity. In this case, the pitch interval Ph of the accommodating part 110 is formed to be less than or equal to the thickness of the nail 300 to prevent the accommodating part 110 from being advanced into the hole 302,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easily terminate the mounting operation. Will be detected.

이상의 과정을 역으로 수행하면 사용자는 용이하게 탈착과정을 수행할 수 있고, 기호에 따라 다른 형태의 장식물로 연출할 수 있다.By performing the above process in reverse, the user can easily perform the desorption process and can produce a different type of decoration according to the preferenc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핵심은, 손발톱용 장신구에 있어서, 탈부착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장신구 착용함에 따라 손발톱의 작업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탈부착 방식을 적용한 것이며, 이는 상기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부를 나선형 와이어로 구성한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한적인 의미를 갖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본질과 특징적인 구성을 일탈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The cor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n the nail ornaments, detachable, easy to detach, can feel a stable fit, wearing a new concept of detachment method that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deterioration of the work function of the nail. This can be achieved by configuring the mounting portion of the nail ornaments with a helical wire. Accordingly,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have a limiting meaning, and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nature and characteristic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컨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손톱형 장신구(100)의 전체 형태를 원통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술한 원뿔형상과는 달리 편심의 문제는 발생될 수는 있으나 수용부(110)와 장착부(120)에서의 피치간격, 회전 반경 및 높이만 제어하면 되므로 가공의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 내지 6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100)의 수용부(110)는 종래의 일반적인 난집(400)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난집(400) 외의 장착부만을 나선형 와이어 형태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의 귀금속으로 장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난집(400)과 나선형 와이어는 난집에 소정의 홀 가공을 하여 이 홀을 통해 나선형 와이어를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나선형 와이어의 굵기는 손발톱에 천공되는 홀과 함께 미세한 크기로 제어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 및 치환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entire shape of the nail-shaped ornament 100 may be manufactured in a cylindrical shape. In this case, unlike the above-described cone shape, an eccentric problem may occur, but the accommodation part 110 and Since only the pitch interval, the rotation radius and the height of the mounting portion 120 need to be controlled, there is an easy advantage of processing. 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7, the receiving portion 110 of the nail ornaments 100 according to Figures 1 to 6 can be replaced by a conventional general mess 400, only the mounting portion other than the mess 400 is spiral Of course, it can be decorated with a variety of forms of precious metal by configuring in the form of a wire. In this case, the obfuscation 400 and the spiral wire may be connected in a manner of joining the spiral wire through the hole by performing a predetermined hole processing on the obfuscation. 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helical wire can be controlled to a fine size with a hole drilled in the nail. Such modifications and substitu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상기한 실시예가 제한적인 의미를 갖지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 및 이로부터 파악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ccordingly,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appended claims and all modifications that may be understood therefro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손발톱용 장신구는 장착부를 작은 부피의 나선형 와이어 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손발톱 아래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탈부착이 용이하고, 장신구의 착용에 따라 손발톱의 작업기능이 저하되는 것 없이 안정적인 착용감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기분이나 취향에 따라 장식부에 대한 다양한 연출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nail orna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mplement a mounting portion in the form of a spiral wire of a small volume, so that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is easy even in a narrow space under the nail, and the work function of the nail is not deteriorated according to the wearing of the ornament. You can feel the fit, and depending on the user's mood or taste, it is possible to produce a variety of decorations.

Claims (18)

손발톱에 천공된 홀을 따라 탈부착되는 손발톱용 장신구로서,Ornaments for nails that are detached along holes drilled in the nails, 장착상태에서 손발톱의 상면에 노출되어 장식물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홀에 관통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 An ornament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ceiving portion expos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nail in the mounting state for receiving a decora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s formed spirally extending from the receiving portion in the downward direction through the hol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수용부와 장착부는 일체의 나선형 와이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Ornaments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made of an integral spiral wir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와이어는 상기 장식물의 외주연을 따라 탄성적으로 밀착됨으로써 장식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wire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ornaments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to secure the ornament by elastically close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ornamen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와이어는 바인더를 이용하여 장식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wire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ornaments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ornament using a binder.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와이어는 별도의 난집과 결합하여 장식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wire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ornaments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decoration by combining with a separate mess.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수용부를 이루는 와이어의 단부는 상기 장식물에 나사결합함으로써 장식물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 The end portion of the wire constituting the receiving portion is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for fixing the ornament by screwing the ornament.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나선형 와이어는 장착부의 단부쪽으로 회전축의 중심을 향하여 회전 반경이 감소하는 원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And wherein said spiral wire has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radius of rotation decreases toward the center of the axis of rotation towards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착부의 나선형 와이어는 나선형 와이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30°~ 80 °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helical wire of the mounting portion is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in the range of 30 ° to 80 °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piral wir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착부 단부의 나선형 와이어는 나선형 와이어의 회전축에 대하여 80°~90°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helical wire at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jewelry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inclined in the range of 80 ° ~ 90 ° with respect to the axis of rotation of the spiral wir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손발톱의 상면을 기준으로 장착부의 회전반경에 대한 수용부의 회전반경의 비가 1.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Ornaments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ratio of the rotation radius of the receiving portion to the rotation radius of the mounting portion relative to the top surface of the nai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장착부의 단부를 이루는 와이어의 외경이 상기 홀의 내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Ornaments for nail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diameter of the wire forming the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s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e.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나선형 와이어는 상기 수용부에서의 피치간격이 피착되는 손발톱의 두 께보다 작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helical wire is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pitch pitch in the receiving portion.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나선형 와이어는 적어도 상기 홀의 내부에 수용되는 장착부의 상부에서의 피치간격이 피착되는 손발톱의 두께와 대체로 일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And wherein said helical wire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itch spacing at least at the top of a mounting portion received inside the hole is substantially coincident with the thickness of the nail to be deposited.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나선형 와이어는 그 항복강도가 피착되는 손발톱의 항복강도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helical wire is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more than the yield strength of the nail to be deposited.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장착부의 적어도 일부가 장착상태에서 상기 손발톱의 하면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At least a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is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nail.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나선형 와이어는 균일한 회전 반경을 갖는 원통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The helical wire is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the cylindrical shape having a uniform turning radius. 장식물을 수용하거나 별도의 보석난집과 결합하기 위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로부터 하방향으로 나선형으로 연장 형성되어 손발톱에 고정되는 장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으로서, 상기 장신구를 피착하고자 하는 손발톱의 단부 소정부위에 상기 와이어의 외경에 대응하는 직경 크기의 홀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장착부의 단부를 상기 홀에 삽입하여 정렬시키는 단계와; 상기 수용부의 상부를 회전시켜 상기 장착부를 홀 내부로 슬라이딩하여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 A method of mounting nail accessories comprising a receiving portion for accommodating a decoration or for combining with a separate jewelry dish, and a mounting portion formed spirally extending downward from the receiving portion and fixed to the nail. Forming a hole having a diameter corresponding to an outer diameter of the wire at a predetermined end portion of the nail; Inserting and aligning an end of the mounting portion into the hole; And rotating the upper part of the accommodation part to fix the mounting part by sliding the inside of the hole. 제 17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7, 상기 손발톱용 장신구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6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발톱용 장신구의 장착방법.The nail ornament is a method of mounting a nail ornaments, 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selected from claim 1 to claim 16.
KR1020050103423A 2005-10-31 2005-10-31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KR100605671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423A KR100605671B1 (en) 2005-10-31 2005-10-31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PCT/KR2006/000414 WO2007052865A1 (en) 2005-10-31 2006-02-04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03423A KR100605671B1 (en) 2005-10-31 2005-10-31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0890U Division KR200406108Y1 (en) 2005-10-31 2005-10-31 Nail accessor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5671B1 true KR100605671B1 (en) 2006-08-01

Family

ID=3718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3423A KR100605671B1 (en) 2005-10-31 2005-10-31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05671B1 (en)
WO (1) WO2007052865A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7283B2 (en) 2007-04-24 2011-08-16 Pacific World Corporation Artificial nails including application tabs
US8132568B2 (en) 2007-05-07 2012-03-13 Pacific World Corporation Paired artificial nails
WO2012115458A2 (en) * 2011-02-25 2012-08-30 Kim Chang Hyun Jewel bezel assembly having a movable bezel
US8539960B2 (en) 2008-08-01 2013-09-24 Pacific World Corporation Flexible artificial nail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960200B2 (en) 2008-08-01 2015-02-24 Pacific World Corporation Artificial nails including application tab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072117A1 (en) * 2007-11-05 2009-05-06 Natalia Nikolaeva OBJECT OF BEAUTY FOR NAILS
JP6293456B2 (en) * 2013-11-11 2018-03-14 尾崎 志保 Nail accessori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8314A (en) * 1983-07-27 1985-02-12 Okamura Diane H Fingernail jewelry device
JPH0956449A (en) * 1995-08-25 1997-03-04 Toshihiko Kimura Ornament
US5675989A (en) * 1996-02-05 1997-10-14 Abraskin; Alan Fingernail adornment
KR200241318Y1 (en) * 2001-03-12 2001-10-06 한태복 Finger nail accessories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97283B2 (en) 2007-04-24 2011-08-16 Pacific World Corporation Artificial nails including application tabs
US8132568B2 (en) 2007-05-07 2012-03-13 Pacific World Corporation Paired artificial nails
US8596283B2 (en) 2007-05-07 2013-12-03 Pacific World Corporation Paired artificial nails
US8851085B2 (en) 2007-05-07 2014-10-07 Pacific World Corporation Paired artificial nails
US8539960B2 (en) 2008-08-01 2013-09-24 Pacific World Corporation Flexible artificial nails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960200B2 (en) 2008-08-01 2015-02-24 Pacific World Corporation Artificial nails including application tabs
US9220331B2 (en) 2008-08-01 2015-12-29 Pacific World Corporation Artificial nails including application tabs
USD748333S1 (en) 2008-08-01 2016-01-26 Pacific World Corporation Combined artificial nail and application tab
USD754928S1 (en) 2008-08-01 2016-04-26 Pacific World Corporation Combined artificial nail and application tab
US9427061B2 (en) 2008-08-01 2016-08-30 Pacific World Corporation Flexible artificial nails and method of forming same
WO2012115458A2 (en) * 2011-02-25 2012-08-30 Kim Chang Hyun Jewel bezel assembly having a movable bezel
WO2012115458A3 (en) * 2011-02-25 2012-12-27 Kim Chang Hyun Jewel bezel assembly having a movable beze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52865A1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5671B1 (en) Nail accessory and the mounting method thereof
US20140075990A1 (en) Shape Memory Alloy Mounting Collet With Grooved Gemstone
US7100619B2 (en) Attaching apparatus of artificial nail
EP2166893B1 (en) Earring backing
KR200406108Y1 (en) Nail accessory
US6260384B1 (en) Jewelry setting with a faceted cavity
US20160174670A1 (en) Interchangeable wafer rings
CN108366651B (en) Ornament comprising a body and a decorative element reversibly fixable to the body
US20070084478A1 (en) Fingernail jewelry
CN110431492B (en) Timepiece component
KR200418686Y1 (en) Earring
KR200471777Y1 (en) Piercing accessory
WO2009060488A2 (en) Embellishment object for nails
JP6253078B2 (en) Jewelry holder and jewelry holder
JP200324806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decoration, tool for mounting decoration material, structure of decoration material mounting/fixing section, decoration, and clock
KR200184785Y1 (en) Hair pin
JP3136526U (en) Jewelry holding structures, watch bands and watches and jewelry
CN214904299U (en) Dual-purpose gadget of ring pendant
US5262209A (en) Finial with mount for glass ornament
KR200280016Y1 (en) A ring for changing jewelry
RU2806994C1 (en) Accessory for mobile device case
CN217425937U (en) Crown and watch
CN210382922U (en) Jewel ornament
CN210445931U (en) Flexible assembling ring
JP4603760B2 (en) Pendant head and pin broo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