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603B1 -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 Google Patents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603B1
KR100604603B1 KR1020050057746A KR20050057746A KR100604603B1 KR 100604603 B1 KR100604603 B1 KR 100604603B1 KR 1020050057746 A KR1020050057746 A KR 1020050057746A KR 20050057746 A KR20050057746 A KR 20050057746A KR 100604603 B1 KR100604603 B1 KR 10060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state
long
value
keystr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7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Priority to KR10200500577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60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60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이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 수행을 UI 태스크(Task)로 요청함으로써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wherein a long key is used for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and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 Checking the count value, processing long key events for keys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where the long key count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By requesting execution as a UI task, it enables efficient longkey recognition using minimum timer resources.

키 인식, 롱키(Long Key), 핸드셋(Handset) 태스크, UI 태스크 Key Recognition, Long Key, Handset Task, UI Task

Description

키 인식 시스템 및 방법{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key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a,2b 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방법의 흐름도2A and 2B are flowcharts of a key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키 인식 시스템 110 : 제 1 키 스트록 정보100: key recognition system 110: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20 : 제 2 키 스트록 정보 130 : 롱키 카운트 정보120: second key stroke information 130: long key count information

140 : 키 스캔 신호 처리부 150 :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40: key scan signal processing unit 150: previous key stroke state inspection unit

160 :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 170 :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60: current keystroke state inspection unit 170: long key count value inspection unit

180 : 롱키 이벤트 처리부 190 :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180: long key event processing unit 190: key release event processing unit

200 : 키 입력 이벤트 처리부200: key input event processing unit

본 발명은 키 인식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롱키 입력을 인식하는 기술에 관련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for recognizing long key input.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 스캔 로직(Key Scan Logic)은 일정시간 마다 수행되는 폴링(Polling) 구조이다. 즉, 현재의 키 스캔 처리는 키 스캔 로직이 타이 머(Timer)에 의해 주기(이후, 폴링 주기라 칭함)적으로 예컨데, 35ms 간격으로 기동되어 모든 키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키가 눌려졌는지 인식하도록 설계된 다중 처리 방식이다.Currently, the key scan logic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a polling structure that is performed every predetermined time. In other words, the current key scan process is performed so that the key scan logic is periodically cycled by a tim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polling cycle), for example, to be activated at 35 ms intervals to recognize whether the key has been pressed by the user for all keys. It is a multi-processing scheme designed.

그러나,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 등에서 사용되는 키 인식 처리 중 롱키(Logn Key) 인식 처리는 하나의 타이머(Timer)를 이용하여 한번에 하나의 롱키 입력만을 인식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단일 처리 방식이다.However, among the key recognition processes currently used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 long key (Logn Key) recognition process is a single processing scheme designed to recognize only one long key input at a time by using one timer.

따라서, 사용자의 키(Key) 스트록(Stroke)과 롱키(Long Key) 스트록(Stroke)간의 동기가 맞지 않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모든 키(Key)에 타이머(Timer)를 부여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고 있으나, 제한된 자원인 타이머 부족 및 시스템 과부하가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since th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user's key stroke and the long key stroke is not correct, a method such as assigning a timer to all keys is used to solve this problem.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a shortage of timers and system overload which are limited resources are caused.

또한, 현재 이동통신 단말기의 일반적인 키 인식 처리는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처리하고 있으나, 롱키 인식 처리는 UI 태스크(Task)에서 이전 키 입력 이벤트를 저장하여 시간을 확인하고 롱키를 발생시키고 있으므로, 키 인식에 대한 처리가 분산되어 있어 일관성있는 키 인식 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the general key recognition process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currently handled by the Handset task, but the long key recognition process stores the previous key input event in the UI task to check the time and generate the long key. Therefo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process for key recognition is distributed, and therefore, a consistent key recognition process is impossible.

따라서, 본 발명자는 키 인식에 관련한 모든 처리를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수행하도록 구현하되,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한 기술에 대한 연구를 하게 되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implemented a technique to implement all the processes related to key recognition in a handset task, and to perform a technique for efficient long key recognition using minimal timer resources.

본 발명은 상기한 취지하에 발명된 것으로,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한 키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 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under the above-described object,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capable of efficient long key recognition using a minimum timer resourc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롱키 인식이 가능한 키 인식 시스템이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이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 수행을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long key recognition possible key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revious key stroke state 'key pressed state', the current key stroke state ' The Long Key Count value is examined for keys that are in the "key pressed state", and the pooling is performed at a reference value at which the Long Key count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It is characterized by requesting the UI task to perform long key event processing on keys such as a period divided value.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의 키(Key) 스트록(Stroke)과 롱키(Long Key) 스트록(Stroke)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모든 키(Key)에 타이머(Timer)를 부여함으로써 제한된 자원인 타이머 부족 및 시스템 과부하가 초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hortage of timers and systems that are limited resources by assigning timers to all keys in order to synchronize a user's key stroke with a long key stroke. Solving the conventional problem of overloading has the advantage that efficient long key recognition using minimum timer resourc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understand and reproduce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은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키입력 수단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실행코드 중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수행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형태로 존재하여,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이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 수행을 UI 태스크(Task)로 요청함으로써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하다.The key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in the form of software that can be executed in a handset task among executable codes executed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key input mean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or a PDA. Long key count value is checked for keys whose key stroke state is 'key pressed state' and the current key stroke state is 'key pressed state'. Key Minimum timer by requesting UI task to perform long key event processing on keys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where the count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Efficient long key recognition is possible with resource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블럭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a key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은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와,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와, 롱키 카운트 정보(130)와, 키 스캔 신호 처리부(140)와,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와,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와,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와,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를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10, a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a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a key scan signal processor 140, And a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150, a current keystroke state checker 160, a longkey count value checker 170, and a longkey event processor 180.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는 각 키들에 대한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한다.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10 stores the current keystroke state for each key.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는 각 키들에 대한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한다.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stores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for each key.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는 각 키들에 대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저장한다.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stores a long key count value for each key.

상기 키 스캔 신호 처리부(140)는 풀링(Polling) 주기 간격으로 키 스캔 로직(Key Scan Logic)으로부터 스캔(Scan)된 각 키들의 스캔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키들의 스캔값을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에 반영하여 기록한다.The key scan signal processor 140 receives a scan value of each key scanned from a key scan logic at a pulling cycle interval, and stores the scan value of each of the received keys. 1 Keystroke information 110 is reflected and recorded.

이동통신 단말기, PDA 등의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키(Key)들을 가진 휴대용 전자기기에 탑재되는 키 스캔 로직(Key Scan Logic)은 미리 설정된 풀링 (Polling) 주기, 보통 35ms 간격으로 타이머(Timer)에 의해 기동되어 모든 키에 대해 사용자에 의해 키가 눌려졌는지 인식하여, 각 키들의 스캔값을 출력한다. 이 스캔값은 예컨데, 0(True)일 경우에는 키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 1(False)일 경우에는 키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를 의미하도록 정의 될 수 있다.Key scan logic installed in portable electronic devices having keys arranged in an M × N matrix form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PDA, etc. is a preset pulling cycle, usually at 35 ms intervals. It is activated by a timer and recognizes whether a key is pressed by a user for all keys, and outputs a scan value of each key. For example, the scan value may be defined to mean that the key is 'key pressed' in case of 0 (True), and the key is 'non pressed' in case of 1 (False). .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키 스캔 신호 처리부(140)를 통해 키 스캔 로직(Key Scan Logic)으로부터 출력되는 각 키들의 스캔값을 수신하여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에 반영하여 기록한다. 예컨데,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는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키(Key)들의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하는 제 1 배열[XM,YN] 형태로 정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에는 각 키들이 현재 '눌려진(Key pressed) 상태' 인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인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된다.Then,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scan value of each key output from the key scan logic through the key scan signal processing unit 140 to receive the first key stroke information 110. ) To record. For example,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10 may be defined in the form of a first array [X M , Y N ] that stores a current keystroke state of keys arranged in an M × N matrix.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10 records a value indicating whether each key is currently in a 'key pressed state' or a 'non pressed state'.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를 참조하여 각 키(Key)들의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한다.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150 checks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of each of the keys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예컨데,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키(Key)들에 대한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하는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는 제 2 배열[XM,YN] 형태로 정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를 통해 제 2 배열[XM,YN] 형태로 정의된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를 참조하여 각 키(Key)들의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한다. 즉,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에는 각 키(Key)들의 이전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 인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인지를 나타내는 값이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기록된 값을 검사함에 의해 각 키(Key)들의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알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that stores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for the keys arranged in the M × N matrix form may be defined in the form of a second array [X M , Y N ].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refer to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defined in the form of a second array [X M , Y N ] through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150. Check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of the keys. That is,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records a value indicating whether a previous keystroke state of each key is a 'key pressed state' or a 'non-pressed state'. By examining this recorded value, the previous keystroke status of each of the keys can be known.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는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를 참조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한다.The current keystroke state checker 160 checks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as a result of the test by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150. Check 110 for current keystroke status.

롱키(Long Key)는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를 지속하여 일정 시간 즉,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 시간이 도달한 시점까지 키 스트록 상태를 '눌려진(Key pressed) 상태'로 유지한 경우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은 롱키를 인식하기 위한 선행 절차로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를 통해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를 참조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한다.Long Key is a key that has been pressed while the previous key stroke state has been 'key pressed' and has been pressed for a certain time, that is, until a reference time that is recognized as a long key has been reached. Since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eliminary procedure for recognizing a long key,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150,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For the keys that are in the 'key pressed state',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checked through the current keystroke state checking unit 160 with reference to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10.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는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를 참조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한다.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ing unit 170 refers to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for keys whose current key stroke state is a 'key pressed state' as a result of the test by the current key stroke state checking unit 160. Long Key Count is checked.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은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정의하여 관리하고, 이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경우 롱키(Long Key)로 인식한다. 따라서,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를 통해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를 참조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한다.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fines and manages a long key count value, and pools at a reference value in which the long key count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Polling) If it is equal to the divided value, it is recognized as a long key. Accordingly,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the keys for which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nspection unit 160. The long key count value is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through 170.

상기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는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에 의해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에 반영한다.The long key event processing unit 180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pulling period from a reference value in which a long key count value inspected by the long key count value inspector 170 is recognized as a long key. Long key event processing is requested to the UI task for the same keys, and a long key count value is increased by one and reflected in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즉,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은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에 의한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과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을 비교하여, 그 값에 따라 롱키(Long Key) 입력인지 아닌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상기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를 통해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에 반영한다.That is,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ulls a long key count value and a reference value recognized as a long key by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er 170. The value obtained by comparing the period is compared,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a long key is input according to the value. At this time,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long key event processor 180 to perform a long key ( Long Key Request long key event processing to the UI task for the same keys a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where the count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Long Key) A count value is increased by one and reflected in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이렇게 함으로써 본 발명은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해 진다.By doing s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efficient long key recognition using minimal timer resources.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상기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가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에 의한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보다 작은 키들에 대해서는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에 반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ng key count value counted by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er 170 is recognized by the long key event processor 180 as a long key. For keys smaller than the pooling period divided by the reference value, it is preferable to increase the long key count value by one to reflect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즉, 이 경우는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를 지속하여 일정 시간 동안 키 스트록 상태를 '눌려진(Key pressed) 상태'로 유지하였으나,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 시간에 도달하지 못했을 경우의 롱키 인식을 위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증가시키는 처리를 수행하는 실시예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에 의한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과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을 비교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작은 키들에 대해서 상기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를 통해 해당 키들의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에 반영하여 계속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in this case,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kept in the 'key pressed state' and the keystroke state is kept in the 'key pressed state' for a predetermined time, but the criterion recognized as a long key. In an embodiment in which a process of increasing a long key count value for long key recognition when the time has not been reached,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 unit 170. Keys with small long key counts are compared by comparing the value of the long key count with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recognized as a long key. For example, the long key event processor 180 increases one long key count value of the corresponding keys to reflect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to continue.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ey release event processor 190.

상기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190)는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키 해제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내의 상태값을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내의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초기화한다.The key release event processor 190 checks the key release event for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current keystroke state checker 160. Request processing to the UI task, change the state value in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s to a 'None pressed state' value, and correspond to the corresponding keys The long key count value in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130 is initialized.

즉,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에서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가 되었다면, 키 해제가 된 상태이므로,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상기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190)를 통해 키 해제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내의 상태값을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한다. 또한, 키 해제되었을 경우에는 롱키를 인식하기 위한 시간 카운트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상기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190)를 통해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130)내의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초기화함으로써 키 해제 처리를 수행한다.That is, if the current keystroke state becomes the 'None pressed state' from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in the 'key pressed state', the key is released, and thus, the ke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nspecting unit 160, the recognition system 100 performs the key release event processing unit 190 for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Request processing of a key release event to a UI task, and change a state value in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s to a 'None pressed state' value. . In addition, when a key is released, it is not necessary to perform a time count for recognizing a long key, and thus,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key release event processing unit 190 to perform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s. The key release process is performed by initializing the Long Key Count value in 130.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키 입력 이벤트 처리부(2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according to an additional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key input event processing unit 200.

상기 키 입력 이벤트 처리부(200)는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를 참조하여 현재의 키 스트 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을 검사하고, 검사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내의 상태값을 '눌려진(Key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한다.The key input event processing unit 200 checks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on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as a result of the test by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ing unit 150. Referring to (110), examines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state', and requests the UI task to process key input events for the checked keys. The state value in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keys is changed to a 'key pressed state' value.

즉,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에서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가 되었다면, 키 입력이 된 상태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이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키 입력 이벤트 처리부(200)를 통해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110)를 참조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을 검사하여, 검사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120)내의 상태값을 '눌려진(Key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키 입력 처리를 수행한다.That is, if the current keystroke state becomes the 'key pressed state' from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None pressed state', since the key is input, the key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inspecting unit 150, the key input event processing unit 200 performs the control on the keys for which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in the 'None pressed state'. By referring to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110,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state' are examined, and key input event processing for the checked keys is performed as a UI task. Request a key input process by changing a state value in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120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s to a 'key pressed state' value.

따라서, 본 발명은 키 인식 처리에 관련한 모든 처리를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일관성있는 키 인식 처리가 가능하고, 사용자의 키(Key) 스트록(Stroke)과 롱키(Long Key) 스트록(Stroke)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모든 키(Key)에 타이머(Timer)를 부여함으로써 제한된 자원인 타이머 부족 및 시스템 과부하가 초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키 인식을 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ll key processing related to key recognition processing to be performed by the Handset Task, which enables consistent key recognition processing, and enables the user's Key Stroke and Long Key. By assigning timers to all keys in order to synchronize strokes, it solves the conventional problem of insufficient resources such as lack of timer and system overload. You can do it.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100)의 롱키(Long Key) 인식 동작을 도 2a 및 도 2b 를 참조하여 알아본다.Long key recognition operation of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A and 2B.

도 2a,2b 는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방법의 흐름도이다.2A and 2B are flowcharts of a key recogni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 1 단계(S11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키 스캔 신호 처리부(140)를 통해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키(Key)들의 스트록 상태(Stroke State)를 풀링(Polling) 주기 간격으로 스캔(Scan)하여 각 키들의 스캔값을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배열[XM,YN]에 저장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first step S11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through the key scan signal processing unit 140, the stroke state (Stroke State) of the keys (Key) arranged in the form of M × N matrix Scan at intervals of pooling cycles to store the scan values of each key in a first array [X M , Y N ] representing the current keystroke state.

그 다음, 제 2 단계(S12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50)를 통해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한 제 2 배열[XM,YN]을 참조하여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각 키(Key)들의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한다.Next, in a second step (S12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refers to the second array [X M , Y N ] storing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through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150. Examine the state of the previous keystroke of each of the keys arranged in an xN matrix.

만일, 상기 제 2 단계(S120)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제 3 단계(S13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키 입력 이벤트 처리부(200)를 통해 상기 제 1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키 스캔값을 검사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응하는 제 2 배열[XM,YN] 값들을 '눌려진(Key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한다.If,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second step (S12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inputs the key in the third step (S130) for the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state. The key input event for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is examined by checking the corresponding key scan value stored in the first array [X M , Y N ] through the event processor 200. Event) requests processing to the UI task and 'key pressed' the second array [X M , Y N ] values corresponding to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Status' value.

만일, 상기 제 2 단계(S120)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제 4 단계(S140)에서 키 인식 시스템 (100)이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160)를 통해 상기 제 1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키 스캔값을 검사한다.If the result of the check by the second step (S12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in the fourth step (S140) for the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in the current keystroke The state checker 160 examines the corresponding key scan value stored in the first array [X M , Y N ].

만일, 상기 제 4 단계(S140)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제 5 단계(S15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190)를 통해 키 해제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응하는 제 2 배열[XM,YN] 값들을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저장한 제 3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초기화한다.If,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fourth step S140, the keys having the current keystroke state of 'None pressed' state,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performs the key release event in the fifth step S150. A second array [X M] requesting the UI task to the UI task through the processing unit 190 and corresponding to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 Y N ] values are changed to the 'None pressed state' value, and the corresponding long key stored in the third array [X M , Y N ] storing the Long Key Count value. Key) Initialize the count value.

만일, 상기 제 4 단계(S140)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제 6 단계(S16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170)를 통해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저장한 제 3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한다.If, as a result of the check by the fourth step S14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checks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er in the sixth step S160 for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In operation 170, the corresponding long key count value stored in the third array [X M , Y N ] storing the long key count value is examined.

만일, 상기 제 6 단계(S160)에 의해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보다 작은 키들에 대해서는 제 7 단계(S17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를 통해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킨다.If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ed by the sixth step S160 is less tha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ul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recognized as the long key, the seventh step is performed. In operation S17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increases the long key count value by one through the long key event processor 180.

만일, 상기 제 6 단계(S160)에 의해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 들에 대해서는 제 8 단계(S180)에서 키 인식 시스템(100)이 롱키 이벤트 처리부(180)를 통해 롱키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킨다.If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ed by the sixth step S160 is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pulling period from a reference value recognized as a long key, the eighth key is equal to eighth. In operation S180, the key recognition system 100 requests a UI task to process a long key event through the long key event processor 180, and increases a long key count by one. .

따라서, 본 발명은 키 인식 처리에 관련한 모든 처리를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일관성있는 키 인식 처리가 가능하고,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하게 되므로, 상기에서 제시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a consistent key recognition process by processing all the processes related to the key recognition process in the Handset Task, and enables efficient long key recognition using minimum timer resource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ed can be achiev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에 따른 키 인식 시스템 및 방법은 키 인식 처리에 관련한 모든 처리를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처리하도록 하여 일관성있는 키 인식 처리가 가능하고,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이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 수행을 UI 태스크(Task)로 요청함으로써 최소한의 타이머 자원을 이용해 효율적인 롱키 인식이 가능하고, 키입력 수단을 가지는 전자기기의 모든 키들에 대해 롱키 인식 기능을 부여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ow all the processing related to the key recognition processing to be performed by the Handset Task, thereby enabling consistent key recognition processing, and the previous key stroke state. The Long Key Count value is checked by checking the Long Key Count value for the keys that are in the "key pressed state" and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Efficient long key using minimum timer resources by requesting UI task to perform long key event processing for keys equal to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where the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and have a useful effect of giving a long key recognition function to all keys of an electronic device having a key input means.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이러한 기재로부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괄되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which are referred to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apparen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within the scope covered by the following claims from this description. .

Claims (7)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이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 수행을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는 핸드셋(Handset) 태스크(Task)에서 수행 가능한 키 인식 시스템.The Long Key Count value is checked for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and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Long Key A handset that requests a UI task to perform long key event processing on keys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pooling period from a reference value where a count value is recognized as a long key. Handset) A key recognition system that can be performed in a task.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키 인식 시스템이:The key recognition system is: 각 키들에 대한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하는 제 1 키 스트록 정보와;First keystroke information that stores a current keystroke state for each key; 각 키들에 대한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하는 제 2 키 스트록 정보와;Second keystroke information that stores a previous keystroke state for each key; 각 키들에 대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저장하는 롱키 카운트 정보와;Long key count information for storing long key count values for each key; 풀링(Polling) 주기 간격으로 키 스캔 로직(Key Scan Logic)으로부터 스캔(Scan)된 각 키들의 스캔값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각 키들의 스캔값을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에 반영하여 기록하는 키 스캔 신호 처리부와;Receiving a scan value of each key scanned from a key scan logic at a pulling cycle interval and reflecting the scan value of each of the received keys to the first key stroke information A key scan signal processor;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를 참조하여 각 키(Key)들의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하는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와;A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er for checking a previous keystroke state of each of the keys with reference to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하는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와;A current key that checks the current keystroke state with reference to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for the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checking unit A stroke state inspection unit;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를 참조하여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는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와;A long key for checking a long key count value with reference to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for keys whose current key stroke state is 'key press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current key stroke state inspecting unit A count value checker;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에 의해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 롱키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에 반영하는 롱키 이벤트 처리부를;Long key event processing is performed on keys equal to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pooling period from a reference value in which a long key count value checked by the long key count value inspection unit is recognized as a long key. A long key event processor for requesting a UI task and increasing one long key count value to reflect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시스템.Key recognition system comprising a. 제 2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2, 상기 롱키 이벤트 처리부가:The long key event processing unit: 상기 롱키 카운트값 검사부에 의한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보다 작은 키들에 대해서는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켜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에 반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시스템.The long key count (Long Key count) for keys that are smaller than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a pulling period from a reference value recognized by the long key count value inspecting unit as a long key is recognized as a long key. A key recognition system, characterized by increasing the value of Count) to reflect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제 3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상기 키 인식 시스템이:The key recognition system is: 상기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키 해제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내의 상태값을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롱키 카운트 정보내의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초기화하는 키 해제 이벤트 처리부를;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current keystroke state checker, for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a key release event is requested to the UI task, and the corresponding keys Change the state value in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one pressed state' value, and initialize the Long Key Count value in the long key cou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s. A key release event processor;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시스템.Key recogni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제 4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상기 키 인식 시스템이:The key recognition system is: 상기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 검사부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제 1 키 스트록 정보를 참조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을 검사하고, 검사된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해당 키들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키 스트록 정보내의 상태값을 '눌려진(Key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하는 키 입력 이벤트 처리부를;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inspection unit,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pressed' with reference to the first keystroke information with respect to the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Key pressed), request a UI task to process key input events for the checked keys, and press a state value in the second keystro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corresponding keys. A key input event processor configured to change a value of the “key pressed state”;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시스템.Key recognition system further comprises.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키 인식 시스템을 탑재한 이동통신 단말기.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quipped with the key recognition syste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키(Key)들의 스트록 상태(Stroke State)를 풀링(Polling) 주기 간격으로 스캔(Scan)하여 각 키들의 스캔값을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를 나타내는 제 1 배열[XM,YN]에 저장하는 제 1 단계와;Scanning the stroke states of keys arranged in an M × N matrix form at intervals of pooling periods to scan the scan values of each key in a first array representing the current key stroke state [X]. M , Y N ];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저장한 제 2 배열[XM,YN]을 참조하여 M×N 행렬 형태로 배열된 각 키(Key)들의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를 검사하는 제 2 단계와;Checking a previous keystroke state of each of the keys arranged in an M × N matrix form by referring to a second array [X M , Y N ] storing the previous keystroke state; 상기 제 2 단계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상기 제 1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키 스캔값을 검사하여,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한 키 입력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응하는 제 2 배열[XM,YN] 값들을 '눌려진(Key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하는 제 3 단계와;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second step, for the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state', the corresponding key scan value stored in the first array [X M , Y N ] is inspected. Requests the UI task to process key input events for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state', and th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state'. Changing a second array [X M , Y N ] values corresponding to the keys to a 'key pressed state'value; 상기 제 2 단계에 의한 검사결과, 이전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 상기 제 1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키 스캔값을 검사하는 제 4 단계와;A fourth step of inspecting a corresponding key scan value stored in the first array [X M , Y N ] for the keys whose previous keystroke state is the 'key pressed state' as a result of the checking according to the second step Wow; 상기 제 4 단계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 (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키 해제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응하는 제 2 배열[XM,YN] 값들을 '눌려지지 않은(None pressed) 상태' 값으로 변경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저장한 제 3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초기화하는 제 5 단계와;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by the fourth step, for the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None pressed', request processing of a key release event to the UI task, and the current keystroke state. Changes the second array [X M , Y N ] values corresponding to the keys that are in the 'None pressed state' to the 'None pressed state' value, and the Long Key count ( A fifth step of initializing a corresponding Long Key Count value stored in a third array [X M , Y N ] storing the Count value; 상기 제 4 단계에 의한 검사결과 현재의 키 스트록 상태가 '눌려진(Key pressed) 상태'인 키들에 대해서는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저장한 제 3 배열[XM,YN]에 저장된 해당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검사하는 제 6 단계와;In the third array [X M , Y N ] storing long key count values for keys whose current keystroke state is 'key pressed' as a result of the inspection according to the fourth step. A sixth step of inspecting the stored long key count value; 상기 제 6 단계에 의해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보다 작은 키들에 대해서는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키는 제 7 단계와;The Long Key count is counted for keys that are smaller than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recognized by the sixth step as the long key. A seventh step of increasing the value by one; 상기 제 6 단계에 의해 검사된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이 롱키(Long key)로 인정되는 기준값에서 풀링(Polling) 주기를 나눈값과 같은 키들에 대해서는 롱키 이벤트(Event) 처리를 UI 태스크(Task)로 요청하고, 롱키(Long Key) 카운트(Count)값을 하나 증가시키는 제 8 단계를;Long key event processing is performed for the same keys as the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pooling period from the reference value for which the long key count value checked in the sixth step is recognized as a long key. An eighth step of requesting a task and incrementing a long key count value by one;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 인식 방법.Key recognition method comprising a.
KR1020050057746A 2005-06-30 2005-06-30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KR10060460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746A KR100604603B1 (en) 2005-06-30 2005-06-30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746A KR100604603B1 (en) 2005-06-30 2005-06-30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04603B1 true KR100604603B1 (en) 2006-07-24

Family

ID=37184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746A KR100604603B1 (en) 2005-06-30 2005-06-30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60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0140A (en) * 2018-12-14 2019-04-16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Butt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40140A (en) * 2018-12-14 2019-04-16 青岛海信传媒网络技术有限公司 Butt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61266B2 (en) Deploying a virtual machine having a virtual hardware configuration matching an improved hardware profile with respect to execution of an application
CN107798108B (en) Asynchronous task query method and device
CN107506240B (en) Background application program control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CN101840268B (en) Method for fast scanning and positioning of matrix keyboard
US8074000B2 (en) Hotkey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system
CN101114323A (en) Device for monitoring keyboard hook
CN100492918C (en) A method and system for keyboard scan
CA2560747A1 (en) Profile based capture component for monitoring events in applications
CN109033247B (en) Application program management method and device, storage medium and terminal
WO2023116130A1 (en) Keyboard scanning circuit, keyboard key recognition method, chip, and keyboard
KR100604603B1 (en) Key recognition system and method
CN110267215B (en) Data detection method,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US6546065B1 (en) Frame synchronous circuit
CN105471674A (en) Method and system for testing performance of server
CN109491771B (en) Task processing method based on system performance optimization and related equipment
CN113377752B (en) Data clean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CN113687942B (en) Detection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064661A (en) Memory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for batch tasks,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14791780A (en) Display screen touch control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0767986B1 (en) Terminal unit
CN107395888B (en) Processing method, device, storage medium and the mobile terminal of blank screen gesture
CN110515834B (en) Interface testing method and device, mobil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CN110874277A (en) Electronic red packet processing method, electronic red packet processing device and mobile terminal
CN112241556B (en) Interrupt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equipment of control circuit and storage medium
CN115168010A (en) Process execution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