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4292B1 -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 Google Patents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4292B1
KR100604292B1 KR1020040111762A KR20040111762A KR100604292B1 KR 100604292 B1 KR100604292 B1 KR 100604292B1 KR 1020040111762 A KR1020040111762 A KR 1020040111762A KR 20040111762 A KR20040111762 A KR 20040111762A KR 100604292 B1 KR100604292 B1 KR 100604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input
connection
communication lin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1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2955A (ko
Inventor
김금덕
Original Assignee
현대기전 주식회사
김금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기전 주식회사, 김금덕 filed Critical 현대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111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4292B1/ko
Publication of KR20060072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29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4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4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4/00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 H01T4/08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rotec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되어 낙뇌 등으로부터 전화가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피뢰기)가 설치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탄기반은 피뢰기들이 설치되는 상부면을 갖는 제1구역과, 상기 제1구역의 양측에 위치되는 그리고 입력측 통신회선과 출력측 통신회선이 설치되는 제2,3구역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들과 연결되는 제1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제2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입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제2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제3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출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제2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제1단자핀들과 상기 제2 및 제3단자핀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들을 갖는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2,3단자핀들의 타단과 상기 연결부재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하부판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A SURGE PROTECTORS FOR THE PROTECTION OF TELEPHONE SUBSCRIB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분해도이다.
도 4는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평면이다.
도 6은 하부판의 저면을 보여주는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몸체
120 : 제1단자핀
130a : 제2단자핀
130b : 제3단자핀
140 : 제4단자핀
150 : 하부판
160 : 커버
본 발명은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건물의 MDF(Main Distribution Frame)에 설치되어 낙뇌 등으로부터 전화가입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기(피뢰기)가 설치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은 50 회선용, 100 회선용이 주로 사용된다. 종래 탄기반은 래핑 타입인 관계로 전선의 피복을 일일이 벗겨내어 탄기반에 장착된 래핑용 단자핀에 일일이 래핑기로 래핑을 해야했다. 이처럼, 종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은 배선 작업을 위해 전문 작업자의 숙달된 기술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작업시간이 매우 긴 단점이 있다. 또한, 완벽한 랩핑이 되었다 하더라도 접촉 저항이 높기 때문에 전송속도가 2-3M bps 정도로서 PC통신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을 가져올 뿐만 아니라 영상이나 통화품질 저하 요인이 되었다.
특히,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이 100 회선용인 경우, 입력측 전선들과 측력측 전선들을 포함한 400개의 전선들이 단자핀들에 래핑된다. 그런데, 이렇게 400개나 되는 많은 전선들을 단자핀들에 래핑하다 보면 전선들이 서로 얽히어 꼬이게 되고 나중에는 마구 뒤섞여서 회선 구별이 되지 못하게 되는 등 기존의 보호기용 탄기반은 배선 처리가 용이하지 못했다. 그리고, 추후 가입자의 전화번호 변경시에는 원하는 전선을 찾아 변경하기가 매우 불편했다. 이러한 문제점은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고밀도화에 대한 요구에 대응하기 어려운 요인으로 작용되고 있다.
이러한 결선상 문제점인 접촉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퀵클립(Quick Clip) 타입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이 개발되었으나, 이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은 아래측 배선이 노출되어 이물질에 의한 단락의 염려가 있고, 배선 작업을 위한 공간이 협소하며, 전선들이 측면에서 연결되기 때문에 탄기반들을 연속적으로 설치하고자 할 때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됨으로 설치공간 활용이 떨어지고, 피뢰기 설치 영역하고 배선영역이 공유되어 있어 특정라인의 배선을 연결하고자 할때 작업이 불편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자노출이 없어 이물질에 의한 단락의 염려가 없는 그리고 최소형으로 설치공간 활용이 용이한 새로운 형태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과전압/과전류를 차단하는 피뢰기들이 설치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은 상기 피뢰기들이 설치되는 상부면을 갖는 제1구역과, 상기 제1구역의 양측에 위치되는 그리고 입력측 통신회선과 출력측 통신회선이 설치되는 제2,3구역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들과 연결되는 제1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제2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입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제2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제3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출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제2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제1단자 핀들과 상기 제2 및 제3단자핀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들을 갖는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2,3단자핀들의 타단과 상기 연결부재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하부판을 덮는 커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연결전선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자핀은 일단에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과 접속되는 입력접속단과, 타단에 상기 연결전선과 접속되는 출력접속단을 포함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단자핀는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접속단과, 상기 연결전선이 접속되는 출력접속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자핀과 상기 제3단자핀은 상기 입력측/출력측 통신회선이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접속되는 제1접속단과, 상기 연결전선이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접속되는 제2접속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어스라인과 연결되는 접지봉과; 일단은 상기 피뢰기의 접지핀과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봉에 접촉되는 제4단자핀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몸체는 제2,3구역의 상면에 입력측 통신회선 및 출력측 통신회선을 위한 전선인출공간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도면들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병기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100)은 크게 몸체(110), 제1단자핀(120)들, 제2단자핀(130a)들, 제3단자핀(130b)들, 제4단자핀들(140), 하부판(150), 연결부재인 연결전선(158), 그리고 커버(160)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10)는 10개의 피뢰기(10)들이 설치되는 제1구역과(112), 제1구역 양측으로 입력측 통신회선(20)과 출력측 통신회선(30)이 설치되는 제2구역(114)과 제3구역(116)으로 나누어진다. 이처럼, 본 발명의 탄기반(100)은 피뢰기(10)들이 설치되는 공간과, 통신회선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분리해 놓음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정 통신회선의 배선을 연결하고자 할 때 피뢰기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선작업을 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참고로, 상기 피뢰기(10)는 일명 보호기라고도 하며, 통신회선으로부터 유입되는 과전압/과전류를 차단하여 통신장비 및 가입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에 설치되며, 이 피뢰기는 5개의 핀들(입출력핀들(12), 그리고 접지핀(14))을 갖는다.
상기 몸체의 제1구역(112)에는 상기 피뢰기(10)의 핀들이 삽입되는 제1장착홀(113)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2구역(114)과 제3구역(116)에는 통신회선들의 설치 를 위한 전선인출공간(118)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전선인출공간(118)의 양측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2단자핀(130a)들과 제3단자핀(130b)들의 제1접속단(132)들이 대각선 방향으로 각각 위치되는 제2장착홀(115)들이 형성되며(도 3에 도시됨), 통신회선이 상기 제1접속단(132)에 접속된 후 끼워지는 끼움슬롯(119)을 갖는다.
본 발명의 탄기반(100)은 입력측 통신회선과 출력측 통신회선이 몸체의 전단과 후단으로 각각 인출되기 때문에, 탄기반들을 밀착하여 증설할 수 있어 기존의 탄기반들(통신회선을 양옆으로 인출하는 방식)보다 설치공간 활용도가 매우 높은 각별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다시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몸체(110)는 저면에는 접지봉(148)이 설치되며, 상기 제4단자핀(140)은 일단이 상기 피뢰기의 접지핀(14)이 삽입되는 제1장착홀(113)에 끼워져 상기 피뢰기의 접지핀(14)과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접지봉(148)과 접촉된다. 상기 제4단자핀(140)은 상기 피뢰기의 접지핀(14)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접지접속단(142)과, 상기 접지봉(148)이 끼워지는 끼움홈(144)을 갖는다. 상기 접지접속단(142)의 끝단부는 피뢰기의 접지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바깥쪽으로 절곡된 절곡부(142a)를 갖는다. 상기 접지봉(148)은 몸체 양단에 설치되는 접지판(146)과 연결되며, 이 접지판(146)에는 어스 플러그(198)가 끼워진 후, 볼트(196)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볼트(196)는 상기 몸체(110)에 형성된 관통공을 통해 단자박스(미도시됨) 등의 고정물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볼트(196)가 상기 접지판(146)이나 어스 플러그(198)와 절연되도록 상기 몸체의 관통공에는 절연캡(194)이 설치된다.
상기 접지판이나 절연캡 그리고 어스플러그 등은 도면 편의상 도 1에서만 도시하였고, 나머지 도 2내지 도 6에는 생략되었다.
상기 하부판(150)은 상기 몸체(110)의 저면에 설치되는데, 이 하부판(150)에는 상기 제1단자핀(120)이 장착되는 제1장착홀(152)들, 상기 제2단자핀(130a) 그리고 제3단자핀(130b)들이 장착되는 제2장착홀(154)들을 갖는다. 상기 하부판(150)은 저면에 상기 제1단자핀(피뢰기의 입력핀과 연결된 것)과 제2단자핀(입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된 것), 상기 제1단자핀(피뢰기의 출력핀과 연결된 것)과 제3단자핀(출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된 것)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인 연결전선(158)들이 설치되며(도 6참조), 상기 하부판(150)은 이들 연결전선(158)들이 제1,2,3단자핀(120,130a,130b)에 접속된 끼워지는 끼움슬롯(156)을 갖는다. 한편, 상기 하부판(150)의 저면에는 이들 끼움슬롯(156)들 사이로 상기 하부판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상기 연결전선들을 위한 전선인출공간(159)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단자핀(120)은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12)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접속단(122)과, 상기 연결전선(158)가 접속되는 출력접속단(124)을 갖는다. 상기 입력접속단(122)의 끝단부는 입/출력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바깥쪽으로 절곡된 절곡부(122a)를 갖는다. 상기 입력접속단(122)은 상기 몸체의 제1구역 저면으로부터 상기 제1장착홀(113)에 삽입되어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12)들과 연결되고, 출력접속단(124)은 상기 하부판의 제1장착홀(152)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전선(158)과 연결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자핀(120)의 입력접속단(122)과 제4단 자핀(140)의 접지접속단(142)이 제1장착홀 안쪽으로 배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렇게 배치됨으로써 상기 제1단자핀(120)의 입력접속단(122)과 제4단자핀(140)의 접지접속단(142)이 보다 타이트하게 피뢰기의 입/출력핀, 접지핀과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2단자핀(130a)은 입력측 통신회선(20)과 연결되는 제1접속단(132)과, 연결전선(158)과 접속되는 제2접속단(134)을 갖는다. 상기 제2단자핀의 제1접속단(132)은 상기 몸체의 제2장착홀(115)에 삽입되어 입력측 통신회선(20)과 연결되고, 제2접속단(134)은 상기 하부판의 제2장착홀(154)에 삽입되어 연결전선(158)과 연결된다.
상기 제3단자핀(130b)은 출력측 통신회선(30)과 연결되는 제1접속단(132)과, 연결전선(158)과 접속되는 제2접속단(134)을 갖는다. 상기 제3단자핀의 제1접속단(132)은 상기 몸체의 제2장착홀(115)에 삽입되어 입력측 통신회선(20)과 연결되고, 제2접속단(134)은 상기 하부판의 제2장착홀(154)에 삽입되어 연결전선(158)과 연결된다.
예컨대, 상기 제1단자핀의 출력접속단(124), 상기 제2단자핀의 제1,2접속단(132,134)은 하나의 전선이 끼워져 접속되는 한쌍의 경사날면이 형성된 홈을 갖는 퀵클립 타입(quick clip type)으로 이루어지며, 전선(통신회선, 연결전선)이 상기 홈에 끼워지면, 외피가 자동으로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접속단들은 전선과 45도 경사지게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커버(160)가 상기 하부판(150)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2,3단자핀(120,130a,130b)들의 타단과 상기 연결전선(158)들을 보호하여 단자노출을 최소화함으로써, 외부의 오염에 의한 단락의 염려를 줄였다.
본 발명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100)은 10개의 회선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100)을 5개 겹쳐 놓으면 50 회선용이 되고, 10개를 겹쳐 설치하면 100회선용이 되는 것으로, 탄기반들을 밀착하여 증설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적용하면,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은 커버에 의해 단자핀들의 노출을 방지하여 이물질에 의한 단락의 염려가 없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탄기반은 피뢰기들이 설치되는 공간과, 통신회선들이 설치되는 공간을 분리해 놓음으로써 작업성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특정 통신회선의 배선을 연결하고자 할 때 피뢰기를 분리하지 않고도 배선작업을 할 수 있는 각별한 효과를 갖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은 입력측 통신회선과 출력측 통신회선이 몸체의 전단과 후단으로 각각 인출되기 때문에, 탄기반들을 밀착하여 증설할 수 있어 기존의 탄기반들(통신회선을 양옆으로 인출하는 방식)보다 설치공간 활용도가 매우 높은 각별한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과전압/과전류를 차단하는 피뢰기들이 설치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에 있어서:
    상기 피뢰기들이 설치되는 상부면을 갖는 제1구역과, 상기 제1구역의 양측에 위치되는 그리고 입력측 통신회선과 출력측 통신회선이 설치되는 제2,3구역을 갖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제1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들과 연결되는 제1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제2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입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제2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제3구역 저면으로부터 설치되어 출력측 통신회선과 연결되는 일단을 갖는 제2단자핀들;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상기 제1단자핀들과 상기 제2 및 제3단자핀들을 각각 연결하는 연결부재들을 갖는 하부판; 및
    상기 하부판으로 노출되는 상기 제1,2,3단자핀들의 타단과 상기 연결부재들을 보호하기 위해 상기 하부판을 덮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들은 연결전선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핀은
    일단에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과 접속되는 입력접속단과, 타단에 상기 연결전선과 접속되는 출력접속단을 포함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제1구역에는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들이 삽입되는 제1장착홀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핀는 상기 제1장착홀에 삽입되는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의 외면에 접촉되도록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접속단과, 상기 연결전선이 접속되는 출력접속단을 포함하되;
    상기 입력접속단은 상기 피뢰기의 입/출력핀과의 접촉을 위해 상기 제1장착홀 안쪽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단자핀과 상기 제3단자핀은
    상기 입력측/출력측 통신회선이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접속되는 제1접속단과,
    상기 연결전선이 끼워지면 외피가 벗겨지면서 전선의 심선이 접속되는 접속되는 제2접속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저면에 설치되는 그리고 어스라인과 연결되는 접지봉과;
    일단은 상기 피뢰기의 접지핀과 접촉되고, 타단은 상기 접지봉에 접촉되는 제4단자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상기 어스라인이 연결되는 어스 플러그와 볼트 체결에 의해 연결되는 접지판을 갖으며, 상기 접지판은 상기 접지봉과 연결되고, 상기 볼트와 상기 접지판간의 절연을 위한 절연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제2,3구역의 상면에 입력측 통신회선 및 출력측 통신회선을 위한 전선인출공간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호기용 탄기반.
KR1020040111762A 2004-12-24 2004-12-24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KR100604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762A KR100604292B1 (ko) 2004-12-24 2004-12-24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1762A KR100604292B1 (ko) 2004-12-24 2004-12-24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955A KR20060072955A (ko) 2006-06-28
KR100604292B1 true KR100604292B1 (ko) 2006-07-24

Family

ID=37166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1762A KR100604292B1 (ko) 2004-12-24 2004-12-24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429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2955A (ko) 2006-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99929B1 (ko) 터미널,분리또는접속용스트립
EP1750337A1 (en) An overvoltage protection module and an assembly of at least one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t least one overvoltage protection module
NO159567B (no) Koblingslist for kabelgrener og friluftskabler.
RU2365004C2 (ru) Вста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защиты от перенапряжений
US5768081A (en) Modular primary surge protector assembly
KR100604292B1 (ko)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탄기반
US4639820A (en) Protective element for distributor strips
EP1770832B1 (en) Telecommunications plug, an assembly including a telecommunications module and a plug,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lug
KR200258898Y1 (ko)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장치
KR100502689B1 (ko) 아이디씨 텔레콤 블록
KR200258899Y1 (ko)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피뢰기
KR100311305B1 (ko) 전화 가입자 보호를 위한 장치
US8441769B2 (en) Power supplies
US6065975A (en) Connector switching mechanism
KR100355426B1 (ko) 인쇄회로기판을 이용한 보호기반
US6083011A (en) Connector switching mechanism with improved cap retention
KR200323686Y1 (ko) 가입자 보호장치
KR200373936Y1 (ko) Idc 연결 방식을 이용한 스플리터와 보호기의 연결구조
KR100403929B1 (ko) 외장형 서지필터 장치
KR200366387Y1 (ko) 과전류 및 과전압 차단용 보호기
KR200343275Y1 (ko) 멀티 자유배선 단자함
KR200285767Y1 (ko) 보호기 베이스의 구조
US6093891A (en)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enclosures having side swivel stubs
KR200299596Y1 (ko) Pcb 배선보드를 이용한 가입자 보호기
FI88555B (fi) Oeverspaenningsskydd foer laongstraeckt kopplingsplint med flera kopplings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