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3366B1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 Google Patents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3366B1
KR100603366B1 KR1020040065370A KR20040065370A KR100603366B1 KR 100603366 B1 KR100603366 B1 KR 100603366B1 KR 1020040065370 A KR1020040065370 A KR 1020040065370A KR 20040065370 A KR20040065370 A KR 20040065370A KR 100603366 B1 KR100603366 B1 KR 100603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substrate
display panel
plasma display
discharg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5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6903A (ko
Inventor
손승현
김영모
히데카주 하타나카
장상훈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65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3366B1/ko
Publication of KR20060016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6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3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3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10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 H01J11/12AC-PDP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being out of contact with the plasma with main electrode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ischarge spa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1/00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lternating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lternating current plasma display panels [AC-PDP];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out any main electrode inside the vessel; Gas-filled discharge tubes with at least one main electrode outside the vessel
    • H01J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11/38Dielectric or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3Vessels or contain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4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 H01J9/241Manufacture or joining of vessels, leading-in conductors or bases the vessel being for a flat panel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11/00Plasma display panels with alternate current induction of the discharge, e.g. AC-PDPs
    • H01J2211/20Constructional details
    • H01J2211/34Vessels, containers or parts thereof, e.g. substrates
    • H01J2211/3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 H01J2211/366Spacers, barriers, ribs, partitions or the like characteriz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Filled Dischar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전면기판을 형성하여 전체적 중량이 감소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유지전극쌍들과, 상기 각 방전셀에서 상기 유지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쌍들을 덮는 하측 유전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상측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과, 그리고 상기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도 1 은 종래의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200 :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0 : 배면기판 112 : 유지전극쌍
113 : X전극 114 : Y전극
116 : 하측 유전체층 119 : 보호층
120, 220 : 전면기판 122 : 어드레스전극
124 : 버스전극 125 : 브릿지
126 : 상측 유전체층 128, 228 : 격벽
129 : 형광체층 130 : 방전셀
본 발명은 투과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플라스틱의 전면기판에 의하여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될 뿐만 아니라, 무효전력이 감소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종래의 음극선관 디스플레이 장치를 대체하는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은, 복수개의 전극이 형성된 두 기판 사이에 방전가스가 봉입된 후 방전 전압이 가해지고,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자외선에 의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형광체가 여기되어 원하는 화상을 얻는 장치이다.
이러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방전 형식에 따라 직류형과 교류형으로 분류될 수 있다. 직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전극들이 방전 공간에 노출되어 하전입자의 이동이 대응 전극들 사이에서 직접적으로 이루어지고, 교류형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는 적어도 한 전극이 유전체층으로 덮여져서, 상호 대응하는 전극들의 직접적인 전하의 이동 대신 벽전하(Wall Charge)의 전계에 의하여 방전이 수행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교류형 3전극 면방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을 부분적으로 절개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원에서 "전면"이란 화상이 표 시되는 방향을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5)은 상호 대향하는 배면기판(10)과 전면기판(20)을 구비한다. 배면기판(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11)들이 배열되어 있으며, 이 어드레스전극(11)들은 하측 유전체층(12)에 의해 매립되어 있다. 그리고, 하측 유전체층(12)의 상면에는 격벽(13)이 방전셀(14)들을 구획하고 있다. 이 격벽(13)에 의해 구획된 방전셀(14)의 내면에는 형광체층(15)이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전면기판(20)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는 투명기판으로서 주로 유리로 만들어지며, 격벽(13)이 마련된 배면기판(10)에 결합된다. 전면기판(20)의 저면에는 어드레스전극들(11)과 교차하는 유지전극쌍(3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전극쌍(30) 중 일 유지전극은 X전극(21)이고, 다른 유지전극은 Y전극(22)이다. 유지전극(21, 22)들 각각은 투명전극(21a, 22a) 및 버스전극(21b, 22b)을 구비하고 있다. 투명전극(21a, 22a)은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도전체이면서 형광체(15)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전면기판(111)으로 나아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투명한 재료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재료로서는 ITO(indium tin oxide)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체는 일반적으로 그 저항이 크고, 따라서 투명전극으로만 유지전극을 형성하면 전압강하가 커서 구동전력이 많이 소비되고 응답속도가 늦어지는바,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상기 불연속적으로 배치된 투명전극들 상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고 좁은 폭으로 형성되는 버스전극(21b, 22b)이 배치된다. 이러한 유지전극쌍(30)들은 투명한 상측 유전체층(23)에 의해 매립되어 있으며, 상측 유전체층(23)의 저면에는 보호층(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의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전면기판이 유리로 형성됨으로 인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체적 중량이 증가하여 취급이 불편하고, 대형의 유리기판을 제조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전면기판의 비유전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서 무효전류가 증가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소비전력의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전면기판을 형성하여, 전체적 중량이 감소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기판의 낮은 비유전율로 인하여, 무효전류를 감소시킬 수 있어서,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 및 그 밖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면기판과, 상기 배면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면기판과,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유지전극쌍들과, 상기 각 방전셀에서 상기 유지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 어드레스전극들과, 상기 유지전극쌍들을 덮는 하측 유전체층과,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상측 유전체층과,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과, 그리고 상기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전면기판 및 상측 유전체층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또는 아크릴 레진(acrylate resine)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전면기판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를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격벽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쌍들은 상기 배면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전면기판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유지전극쌍과 상기 전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실시예 )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부분 절개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3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내부 구조를 알기 쉽게 보여주기 위해 하판(160)만 90도 회전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크게 상판(150)과 하판(160)을 구비한다. 상판(150)은 전면기판(120) 을 구비하고, 하판(160)은 전면기판(120)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배면기판(110)을 구비한다. 배면기판(110)과 전면기판(120)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그들 사이에 격벽(128)에 의하여 구획되는 다수개의 방전셀(130)들을 한정한다.
배면기판(110) 상에는 유지전극쌍(112)들이 소정의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유지전극쌍(112) 중 일 유지전극은 X전극(131)으로서 공통전극의 기능을 하고, 다른 유지전극은 Y전극(132)으로서 스캔전극의 기능을 한다. X전극(131)들 및 Y전극(132)들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형성되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된다.
유지전극쌍(112)들은 배면기판(110)의 상면에 형성되는 하측 유전체층(116)에 의해 매립된다. 하측 유전체층(116)은 배면기판(110)의 상면에 유전물질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측 유전체층(116)은 인접한 X전극(113)과 Y전극(114) 간에 직접 통전되는 것과 양이온 또는 전자가 유지전극들(113, 114)에 직접 충돌하여 X전극(113)과 Y전극(114)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하여 벽전하를 축적할 수 있는 유전체로 형성된다.
한편, 하측 유전체층(116)의 상면에는 보호층(119)이 형성된다. 보호층(119)은 플라즈마 입자의 스퍼터링에 의해 하측 유전체층(116)과 유지전극쌍(112)들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2차 전자를 방출하여 방전전압과 유지전압을 낮추어 주는 역할을 한다. 보호층(119)은 하측 유전체층(116)의 상면에 예컨대 산화마그네슘(MgO)을 소정의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MgO층(119)은 주로 스퍼터링(sputtering), 전자빔 증착(E-beam epaporation)법으로 박막(thin film)으로 형성된다.
전면기판(120)으로는 가시광이 투과율 높은 투명기판으로서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이러한 플라스틱으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폴리카보네이트또는 아크릴 레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 레진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에 일반적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 사용되는 유리(PD200)와 상기의 플라스틱의 물성치가 비교되어 있다. 표 1을 참조하면, 먼저 폴리카보네이트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밀도는 유리의 43% 에 불과하다. 따라서, 동일한 크기의 전면기판을 제조할 경우,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제도된 전면기판이 훨씬 가볍게 된다. 특히,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전면기판 및 배면기판이 전체 중량의 상당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고려하면, 전면기판의 경량화는 곧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량의 감소를 의미한다.
또한, 표 1에는 상기 유리 및 플라스틱의 가시광 투과율이 나타나 있다. 여기에서 가시광 투과율은 두께 2.8㎜의 전면기판을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나타낸다. 특히, 전면기판에서는 표면 반사에 의하여 약 10% 정도의 가시광 투과 손실이 발생되는데, 표 1의 물성치들은 반사 저감 코팅(anti-reflection coating)이 형성된 전면기판의 가시광 투과율이다.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전면기판을 제조할 경우에도, 가시광 투과율에서 종래의 유리 재질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면기판도 가시광 투과율이 매우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판용 유리 및 플라스틱의 물성치 비교
밀도 (g/㎤) 비유전율 가시광 투과율(%) (두께 : 2.8㎜ 기준)
기판용 유리 (PD200) 2.77 7.9 > 99
폴리카보네이트 1.2 3 > 97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1.19 3.5∼4.5 > 99
한편, 유전체에 전압이 인가되면 변위전류가 흐르게 된다. 예를 들면, 어드레스 방전을 위하여 어드레스전극(122)에 전압이 인가되면 변위전류가 발생된다. 이러한 변위전류 중에서, 전면기판(120)을 흐르는 변위전류는 벽전하의 생성에 참여하지 않기 때문에, 일종의 무효전류이다. 뮤효전류는 소비전력만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발광효율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전면기판에 흐르는 무효전류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지만, 낮은 비유전율(relative dielectric constant)을 가지는 물질을 이용하여 전면기판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을 참조하면, 폴리카보네이트의 비유전율이 유리의 비유전율에 35%이고,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비유전율이 유리의 비유전율에 44% 내지 57% 정도이기 때문에,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면기판에서는 무효전류가 감소되어 소비전력이 절감된다.
전면기판(120)의 저면에는 각 방전셀(130)에서 유지전극쌍(112)들과 교차하는 다수의 어드레스전극(122)들이 형성된다. 상기 어드레스전극(122)들은 스트라이프 형태로 연장된다. 어드레스전극(122)들은 X전극(113)과 Y전극(114) 간의 유지 방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한 어드레스방전을 일으키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 방전이 일어나기 위한 전압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어드레스방 전은 Y전극(114)과 어드레스전극(122) 간에 일어나는 방전이다.
어드레스전극(122)들은 전면기판(120)의 저면에 형성되는 상측 유전체층(126)에 의해 매립된다. 상기 상측 유전체층(126)은 전면기판(120)의 저면에 투명한 유전물질을 소정 두께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측 유전체층(126)은 방전시 양이온 또는 전자가 어드레스전극(122)에 충돌하여 어드레스전극(122)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전하를 유도할 수 있는 유전체로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은 유전체로서는 PbO, B2O3, SiO2 등이 있다.
상측 유전체층(126)의 저면에 다수개의 방전셀(130)들을 구획하는 격벽(128)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지만, 격벽(128)은 보호막(119)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2에는 격벽(128)이 스트라이프 형태로 구획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복수의 방전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한, 다양한 패턴의 격벽들, 예컨대 스트라이프 등과 같은 개방형 격벽은 물론, 와플, 매트릭스, 델타 등과 같은 폐쇄형 격벽으로 될 수 있다. 또한, 폐쇄형 격벽은, 방전공간의 횡단면이, 사각형이외에도,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 또는 원형, 타원형 등으로 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방전셀(130)들 내에는 Ne, Xe 또는 이들이 혼합된 방전가스가 주입된다. 또한, 격벽(128)의 측면과 격벽(128) 사이의 제2유전체층(126)의 저면에 각각 적색, 녹색, 청색의 형광체층(129)이 소정 두께로 도포된다. 이는 유지방전 시 발생되는 유지전극쌍(112)들 보다 형광체층(129)을 전방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투과형 구조를 이루기 위함이다. 다만, 형광체층(129)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형광체층(129)은 자외선을 받아 가시광선을 발생하는 성분을 가지는데, 적색 방전셀에 형성된 적색발광 형광체층은 Y(V,P)O4: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고, 녹색 방전셀에 형성된 녹색발광 형광체층은 Zn2SiO4:Mn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하며, 청색 방전셀에 형성된 청색발광 형광체층은 BAM:Eu 등과 같은 형광체를 포함한다.
전면기판(120)의 저면에 배치된 다수의 어드레스전극(122)들은 가시광이 투과될 수 있도록 투명한 전도성 재료인 ITO(Indium Tin Oxide)로 이루어지는데 반해, 배면기판(110)의 상면에 배치된 유지전극쌍(112)들은 투명성을 요하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도전성 금속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지전극쌍(112)들을 Ag, Al 또는 Cu 등의 도전성이 우수하고 저항이 낮은 금속 재료로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방전에 따른 응답속도가 빠르고, 신호가 왜곡되지 않으며 유지 방전에 필요한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되어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한편, 어드레스전극(122)은 상기한 바와 같이 비교적 저항이 높은 투명한 도전성 물질인 ITO로 이루어지므로, 라인 저항을 줄이기 위해 어드레스전극들(122) 각각에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진 버스전극(124)이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버스전극(124)들도 어드레스전극(122)과 함께 상측 유전체층(126)에 의해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스전 극(124)은 상기 어드레스전극(122) 각각의 일측에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버스전극(124)과와 어드레스전극(122) 사이에는 이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브리지(125)가 마련되며, 상기 브리지(125)는 버스전극(124)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스전극(124)은 가시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격벽(128)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패널(100)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어드레스전극(122)과 Y전극(114) 간에 어드레스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유지 방전이 일어날 방전셀(130)이 선택된다.
어드레스전극(122)과 Y전극(114) 간에 어드레스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어드레스방전이 일어나고, 이 어드레스방전의 결과로 전극들에 벽전하가 축적됨으로써 유지방전이 일어날 방전셀(130)이 선택된다.
그 후 상기 선택된 방전셀(130)의 X전극(113)과 Y전극(114) 사이에 방전유지전압이 인가되면, X전극(113)과 Y전극(114)에 쌓여 있던 벽전하들의 이동으로 유지 방전을 일으키고, 이 유지 방전 시에 여기된 방전가스의 에너지 준위가 낮아지면서 자외선이 방출된다. 그리고 이 자외선이 방전셀(130) 내에 도포된 형광체(129)를 여기시키는데, 이 여기된 형광체(129)의 에너지준위가 낮아지면서 가시광이 방출되며, 이 가시광이 상측 유전체층(126)과 전면기판(120)을 투과하여 출사되면서 사용 자가 인식할 수 있는 화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전면기판 및 상측 유전체층이 가시광 투과율이 높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휘도와 발광 효율이 매우 우수하다.
(제2 실시예 )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수직 단면도이다. 도 4에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내부 구조를 알기 쉽게 보여주기 위해 하판(160)만 90도 회전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상이한 사항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4를 참고하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크게 상판(250)과 하판(160)을 구비한다. 상판(250)에 구비된 전면기판(220)은 격벽(228)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전면기판(220)과 격벽(228)은 가시광 투과율이 높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플라스틱으로는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전술한 바와 같이 폴리카보네이트 또는 아크릴 레진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아크릴 레진으로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격벽(228)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전면기판(220)과 격벽(228)을 하나의 공정으로 하기 때문에, 공정이 단순해지고 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면기판(220)에서는, 낮은 비유전율로 인하여 무효전류가 감소되어 소비전력이 감소되고, 가시광 투 과율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격벽(228) 사이의 전면기판(220)의 저면에는 어드레스전극(122)들이 방전셀(130)들을 가로질러 배치되며, 상측 유전체층(126)이 어드레스전극(122)들을 덮도록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측 유전체층(126)으로는 가시광 투과율이 높은 물질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격벽(228)의 측면과 상측 유전체층(126)의 저면에는 적색, 녹색, 청색발광 형광체층(129)이 배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200)의 작동 과정은 제1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전면기판이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므로, 전면기판은 종래의 유리재질의 전면기판에 비하여 중량이 훨씬 감소하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량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둘째, 플라스틱은 비유전율이 낮으므로 전면기판을 통하여 소모되는 무효전류가 줄어들게 되어 결과적으로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서 소비전력이 감소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전면기판으로 이용되는 플라스틱의 가시광 투과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전방으로의 투과율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유지전극쌍 및 보호층이 배면기판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전면기판의 투과율이 향상되어 휘도가 증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배면기판;
    상기 배면기판에 이격되어 배치되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전면기판;
    상기 전면기판과 배면기판 사이에 배치되고, 방전셀들을 구획하는 격벽;
    상기 방전셀들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유지전극쌍들;
    상기 유지전극쌍들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어드레스전극들;
    상기 유지전극쌍들을 덮는 하측 유전체층;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을 덮는 상측 유전체층;
    상기 방전셀들 내에 배치된 형광체층; 및
    상기 방전셀 내에 있는 방전가스;를 구비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은 아크릴 레진(acrylate resine)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과 상기 격벽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유전체층은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은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은 아크릴 레진을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기판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를 포함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전극쌍들은 상기 배면기판에 배치되고,
    상기 어드레스전극들은 상기 전면기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광체층은 상기 유지전극쌍과 상기 전면기판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20040065370A 2004-08-19 2004-08-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370A KR100603366B1 (ko) 2004-08-19 2004-08-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5370A KR100603366B1 (ko) 2004-08-19 2004-08-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903A KR20060016903A (ko) 2006-02-23
KR100603366B1 true KR100603366B1 (ko) 2006-07-20

Family

ID=37125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370A KR100603366B1 (ko) 2004-08-19 2004-08-19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33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2730A (ko) 2020-02-12 2021-08-20 황다윤 회전되는 벤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743A (ko) * 2000-08-10 2002-02-21 하세가와 케미컬 인더스트리 가부시끼 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판과 그것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743A (ko) * 2000-08-10 2002-02-21 하세가와 케미컬 인더스트리 가부시끼 가이샤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용 전면판과 그것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6903A (ko) 200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9674B2 (en) Plasma display panel provided with discharge electrodes arranged within upper and lower barrier ribs assemblies
KR20060000758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6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9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72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77730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0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1959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58195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5906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922748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6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4764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69723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83782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6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15337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20050105703A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03375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79578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37236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KR100670334B1 (ko)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